KR0128363Y1 -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363Y1
KR0128363Y1 KR2019940039246U KR19940039246U KR0128363Y1 KR 0128363 Y1 KR0128363 Y1 KR 0128363Y1 KR 2019940039246 U KR2019940039246 U KR 2019940039246U KR 19940039246 U KR19940039246 U KR 19940039246U KR 0128363 Y1 KR0128363 Y1 KR 0128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lip
mold
hole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526U (ko
Inventor
문광열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9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363Y1/ko
Publication of KR960023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자동차 차체에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소정 형상의 고정클럽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10)은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12)와 기동부(14)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멍(13)과 하부의 베이스(16) 및 이 베이스(16)의 양측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고정핀(17)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클립(10)이 모울드(30)와 끼워맞춤할 때에, 상기 고정 구멍(13)의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구멍(34)을 상기 모울드(30)의 부착돌기(32)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그 작업시간이 적게 걸리고 클립의 제조도 용이하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고정클립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 스크류를 사용하여 외장재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분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클립 11 : 상부
12 : 걸림부 13 : 고정구멍
14 : 기둥부 15 : 부착구멍
16 : 베이스 17 : 고정핀
20 : 도어패널 22 : 구멍
30 : 모울드(외장재) 32 : 부착돌기
본 고안은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가로 제작할 수 있고 고정작업에 따른 시간도 줄일 수 있는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기능적, 의장적 특면에서 장식물(garnish)이 부착된다.
제4도는 자동차 측면에 모울딩된 보호 모울드이다.
이것은 외장재로서의 모울드이고,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부착하면 간단하지만, 원래의 모울드 설치 목적에 반하는 것이어서 그렇게 할 수는 없고, 또 의장적 심미감의 이유에서 그 부착수단이 노출되어서도 안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크류(100)와 돌림부(122)를 가지는 클립(120)을 사용하여 외장재를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었다.
즉, 미리 모울드(130)에 스크류 구멍(132)을 형성하여 놓고, 이 스크류 구멍(132)에 상기 스크류(100)를 이용하여 클립(120)을 끼운 채 나사박음을 한다.
그 후, 이 모울드(13)을 차체, 예를 들면 도어의 아웃패널(140)의 고정구멍(142)에 상기 클립의 머리부를 집어 넣으면 상기 걸림부(122)가 상기 패널(140)의 고정구멍(142)의 테두리에 걸리어, 결과적으로 상기 패널(140)에 상기 모울드(130)가 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부착방식에 의하면, 클립과 스크류라고 하는 2개의 부품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고 마운팅 작업시의 스큐류 작업시간이 길어 비생산적이었다.
더구나 이 부착에는 여러 개의 스크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고정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렸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단일부품으로 구성한 클립을 이용하여 외장재를 고정하므로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는, 자동차 차체에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정 형상이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와 기둥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멍과 하부의 베이스 및 이 베이스의 양측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고정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클립이 모울드와 끼워맞춤할 때에, 상기 고정구멍의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구멍을 상기 모울드의 부착돌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그 작업시간이 적게 걸리고 클립의 제조도 용이하여 코스크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고정클립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종단면도이다.
부호 10은 고정클립 20은 도어패널, 30은 외장재로서의 모울드이다.
상기 고정클립(10)은 테이퍼진 상부(11)에 형성된 걸림부(12)와 기둥부(14)에 형성된 고정구멍(13)과 하부의 베이스(16) 및 이 베이스(16)의 양측에 형성된 2개의 고정핀(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16)와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상부(11) 사이의 기동부(14)에는 그 중심축방향으로 후술하는 모울드(30)의 부착돌기(32)를 받아 들이기 위한 부착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둥부(14)에 형성된 고정구멍(13)은 이 부착구멍(15)과 관통하고 있다.
부호 22는 도어패널(20)에 형성된 구멍, 32는 모울드(30)에 형성된 부착돌기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의 고정클립(10)을 상기 모울드(30)의 부착돌기(32)에 끼워맞춤시킨다.
그후 고정클립(10)의 고정구멍(13)에, 베이스(16) 양측에 형성된 고정핀(17)을 삽입하여 상기 부착돌기(32)에 상기 고정클립(10)을 고정한다.
여기까지는 패널(20)에 부착하기 전공정으로서, 먼저 외장재인 모울드(30)에 고정클립(10)을 부착하는 공정인 것이다.
그후, 여러 개의 고정클립(10)을 부착한 모울드(30)를 여러 개의 고정구멍(22)이 형성된 차체, 예를 들면 도어패널(20)등에 억지로 끼워맞춤시킨다.
상기 고정클립(10)의 상부는 안쪽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형상이기 때문에 초기에는 수월하게 삽입되다가 상기 걸림부(12)위치에서는 구멍(22)의 테두리에 걸리게 된다.
이때 더욱 힘을 가하여 밀어 넣게 되면, 상기 걸림부(12)가 구멍(22)을 타고 넘게 되고, 걸림부(12)가 구멍(22)의 테두리에 걸리게 되어 결국 상기 패널(20)에 모울드(30)을 견고하게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에 의하면, 단일의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외장재를 차체에 부착하기 때문에 그 작업시간이 적게 걸리고 클립의 제조도 용이하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차체에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정 형상의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10)은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12)와 기둥부(14)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멍(13)과 하부의 베이스(16) 및 이 베이스(16)의 양측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고정핀(17)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클립(10)이 모울드(30)와 끼워맞춤할 때에, 상기 고정구멍(13)의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구멍(34)을 상기 모울드(30)의 부착돌기(32)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KR2019940039246U 1994-12-31 1994-12-31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KR0128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246U KR0128363Y1 (ko) 1994-12-31 1994-12-31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246U KR0128363Y1 (ko) 1994-12-31 1994-12-31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26U KR960023526U (ko) 1996-07-22
KR0128363Y1 true KR0128363Y1 (ko) 1998-12-01

Family

ID=1940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246U KR0128363Y1 (ko) 1994-12-31 1994-12-31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3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26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363Y1 (ko)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KR100412817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 장착구조
JP3408621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3465290B2 (ja) 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262983Y1 (ko)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KR0119975Y1 (ko) 차량의 도어창틀
CN212861354U (zh) 一种带预组立结构的保险杠侧导向支架
CN213442299U (zh) 前门水切和外后视镜的安装结构,以及车辆
JP3211675B2 (ja) 自動車用ミラーブラケット
KR20010066485A (ko) 자동차용 도어 웨더 스트립의 설치구조
JP2001277861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H08109910A (ja) 自動車用成形天井のブラケット取付構造
JPS5918909Y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取付用クリップ
KR920003883Y1 (ko) 자동차의 트림패널 장착용 클립
JP2004124479A (ja) ドアガラス用保持装置
KR960005536Y1 (ko) 스피커용 레인커버 고정장치
KR200198401Y1 (ko) 자동차 내장재용 취부구조체
KR100449299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결합구조
KR0129367Y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 체결구조
KR870000543Y1 (ko) 차량용 창유리 받침대
JPH0338500Y2 (ko)
KR200150777Y1 (ko) 자동차용 와이어링 클립
JPH08324248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KR100384855B1 (ko) 자동차의 카울 그릴 취부구조
JPH0939566A (ja) 車両用カーテンレールの端末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