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550A - 특히 재봉틀의 재료 피더 구동을 위한 가변발진 링크기구 - Google Patents

특히 재봉틀의 재료 피더 구동을 위한 가변발진 링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550A
KR20000076550A KR1020000004206A KR20000004206A KR20000076550A KR 20000076550 A KR20000076550 A KR 20000076550A KR 1020000004206 A KR1020000004206 A KR 1020000004206A KR 20000004206 A KR20000004206 A KR 20000004206A KR 20000076550 A KR20000076550 A KR 20000076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rank
link mechanism
lin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887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헥크너
게르트랑레크
Original Assignee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7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4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oscillating motion
    • F16H21/4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oscillating motion with adjustable th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4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of the ratch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8Devices for illuminating the head of the screw or the nu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특히 재봉틀 피더의 구동용 가변발진을 위한 링크기구는 프레임에 내장되어 있는 조정프레임(93)과 또다른 프레임베어링에 수용되어 있는 커플링부분(56)을 포함한다. 이것은 크랭크(66)와 더불어 구성되어 있어서 링크대우(74)에 의하여 불가변 진동을 하는 레버단부(75)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 또다른 링크대우(88)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단부(86,87)는 링크로 조정프레임(93)에 지지되어 있다. 커플링부분(56)은 유격(F1,F2)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에 링크로 지지되어 있는 링크대우(88)의 단부(86,87)를 포함한 그의 조정프레임(93) 내에서 충돌함이 없이 수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본 기구는 소요공간을 절감함으로서 크랭크(66)에서 발생한 불가변 진동의 증대에 이르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특히 재봉틀의 재료 피더 구동을 위한 가변발진 링크기구{Link mechanism for generating a variable vibration especially for driving the material feeder to the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특히 청구항 제 1항의 상위개념에 따른 재봉틀의 재료 피더 구동을 위한 가변발진 링크기구에 관한 것이다.
DE-PS 1 058 820(US-PS 3,012,531와 유사)에는 이러한 종류의 링크기구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면 구동레버로부터 시작된 진동이 2개의 링크대우에 의하여 재봉틀의 피더구동을 하게끔 구동측에 전달되도록 감안되어 있다. 링크기구는 조인트대우의 그에 지지되어 있는 조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조정프레임의 조정에 따라서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하는 구동 운동이 가변진폭으로 진동하는 종동 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구의 단점을 들면 일정한 링크요소의 크기결정 또는 조정프레임의 조정 가능성이 일반적으로 기구의 운동능력 즉, 링크기구등을 기구요소의 상호간 충돌이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의 조정범위를 제한 하는데 있다. 이에 의하면 소요공간에 비하여 공지된 링크기구로서는 종동운동이 제한된 진폭만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요공간을 감소시켜서 종동축에 보다 큰 진폭을 얻을 수 있도록 공지의 링크기구를 개발하기 위한 과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과제의 해결은 청구항 제 1항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링크기구에 있어서 그의 제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으로 개별 기구요소의 확대된 간격의 제공이 유리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한편으로는 기구요소가 충돌할 염려없이 조정프레임의 조정범위를 넓힐수가 있어서 보다 큰 발진이 이루어진다. 또한편으로는 이러한 충돌의 위험을 제거함과 동시에 기구의 크기를 작게하여 소요 조립공간이 작아지게 된다.
기타 유리하면서 일부 발명에 따르는 개발은 제 종속청구항에 나타나 있다.
재봉틀(1)은 베이스판(base plate)(2), 그로부터 위로 뻗어 있는 스탠드(stand), 보통 베이스판(2)과 병렬로 뻗어 있어 헤드(head)(5)에서 끝나는 암(arm)(4)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4)에 있어서 암축(6)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그의 스탠드(3)쪽 단부에는 핸드휠(Hand wheel)(7)이 달려 있다. 핸드휠(7)은 일체형의 벨트풀리(belt pulley)(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되어 있어서 벨트(belt)(8)로 감겨 있다. 또한 암축(6)은 그의 헤드(5) 단부에 크랭크(creank)구동(10)의 일부인 크랭크(9)가 달려 있다.
크랭크구동(10)은 일반 구조로 침봉 조인트와 침봉힌지(둘다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가지고 있으며 침봉힌지는 구동이 되도록 침봉과 연결되어 있다. 침봉(11)은 베어링프레임(12) 내에서 축방향에 따라서 이동이 되도록 수용되어 있으며 그의 상단부(13)에서 핀(14)에 의하여 암(4) 베어링(15)과 결합이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1과 2에서 보듯이 침봉(11)은 그의 베이스판(2)쪽 단부에서 재봉침(16)이 꽂혀 있다.
또한 암(4)에 있어서 암축(6) 및 (도1) 에는 축(17)이 회전하도록 그의 헤드(5)쪽 단부는 크링크(18)와 그의 중공스탠드(3)내 단부에는 크랭크(19)가 들어 있다. 헤드(5) 내부에는 크랭크(18)가 링크(20)에 의해서 베어링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구멍(21)과 링크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재봉틀에서는 소위 침이송식 재봉틀에서 공지되어 있다. 또한 암축(6)은 기어풀리(gear pulley)(23)에 감긴 기어벨트풀리(22)로 되어 있다. 이것은 중공형스탠드(3)를 통하여 베이스판(2)에 이르며 여기에서 기어풀리(23)는 기어풀리(22)에 대응하는 기어벨트풀리를 감고 있다. 기어벨트풀리(22,24) 및 기어풀리(23)와 같은 상기 부품으로 기어벨트구동(25)을 구성하고 있는 변속비 i=1:1로 되어 있다.
도 10,11에 따라서 후에 기술하고자 하는 역학(力學)을 위하여 베이스판(2)은 프레임(26)이라고 하기로 한다.
베이스판(2)은 내벽(27,28,29 및 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안에는 이제 설명할 축의 회전지지를 위한 다양한 베어링이 들어 있다. 내벽(28)과 (29)에는 1차 프레임베어링(33)으로 표시된 일직선으로 서로 나열되어 있는 베어링(31,32)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제 1 프레임베어링(36)이라 칭한다. (도 10,11)
내벽(27,28 및 30)의 베어링에는 축(37)이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으며 그 위에 기어벨트풀리(24)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2)은 폐쇄되어 있는 지지판(38) 밑에서 내벽(28,29) 사이의 공간(38)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안에 링크구동(40)이 수용되어 있다. 축(37)은 베이스판(2)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에 따라 뻗어 있으며 대략 재봉침(16) 아래 부위에서 끝난다 (도 1). 축(37)단에는 크랭크저널(41)이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저널(41)은 링크(42)의 한 구멍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데 그의 자유단은 핀(43)에 의하여 각형 레버(45)의 하단(44)과 연결되어 있다. 레버(45)의 자유단은 일반구조에서는 축(47)에 고정된 크랭크(46)와 링크결합이 되어 있다. 축(47)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내벽(30)의 베어링과 내벽(29)의 베어링(35) 내에 수용되어 있어서 가상축(48)에 따라 뻗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2) 벽(28)의 베어링(34) 내에는 축(49)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동시에 축(48)에 따라 뻗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 따라서 축(47) 및 (49)는 동심축으로 되어 있는데 즉 축(47,49)들은 공동축(48)상에 뻗어 있다.
축(49)상에서 그의 스탠드(3) 아래에 있는 단부(도 1)에는 크랭크(50)가 고정되어 있으며 거기에 토우잉바(towing bar)(51) 하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토우잉바(51)는 거기에서 위로 크랭크(19)에 뻗어 있으며 거기서 그의 자유단과 링크로 크랭크(19)와 연결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따라서 레버(45)에는 재료피더(52)가 고정되어 있어서 재봉침(16)의 통과구멍(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 발명에 있어 소요공간을 감소시켜서 종동축에 보다 큰 진폭을 얻을 수 있도록 공지의 링크기구를 개발하기 위한 과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명세는 도면에 의한 2가지 실시예로 다음의 설명에 제시되어 있으며 도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도 1은 재봉틀 전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방향 Ⅱ에 따르는 재봉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 Ⅲ-Ⅲ에 따르는 발명의 주요부품 단면 확대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도 3의 화살표 방향 Ⅶ에 따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부를 반시계방향으로 90°틀은 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품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타 주요부품 투시도.
도 10은 도 4에 따르는 변속기 요소 약도 및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르는 조인트변속기의 도 10의 당해도.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특히 도 3 내지 도 10으로 설명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축(47)은 단부(53)로 그리고 축(49)은 단부(54)로 구성되어 있다. 단부(53)는 커플링부(56)의 측벽(55)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으며 이에 측벽(55)은 축의 직경에 맞는 구멍(57)으로 되어 있다. 측면(55)은 또한 나사구멍(도시안됨)으로 구성되어 있느데 그안에 셋팅스크류(setting screw)(58)가 수용되어 있다. 동일한 유형에서 축(49) 단부(54)는 측벽(59)에 수용되어 있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구멍(60)과 셋트스크류(61)로 되어 있다.
커플링부분(56)은 측벽(55)와 (59)를 서로 결합하고 있는 연결피스(62)를 브릿지(bridge) 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축(47) 단부(53),(54)의 전면(도시안됨)은 거리 a(도 17)를 두고 연이어 배설되어 있으며 커플링부(56)에 의하여 상호 고정연결되어 있다.
커플링부분(56)은 양측벽(55,59) 사이 중앙에 웹(web)이 붙어 있어서 크랭크부(63)를 형성한다. 크랭크부분(63)을 통하여 축(48)과 평행한 구멍(64)이 관통하고 있다. 이 구멍(64)은 축(48)으로부터 거리 D를 두고 위치한다. 크랭크부분(63)에는 스크류구멍(도시안됨)이 그안에 끼워진 셋트스크류(65)로 되어 있다. 크랭크부분(63)은 크랭크(66)의 일부이다.
크랭크(66)는 유격 F1 과 유격 F2로 구성되어 있다. 유격 F1은 측벽(59)으로 연결피스(62)와 크랭크부분(63)의 경계를 이룬다. 유격 F2는 측벽(55)으로 연결피스(62)와 크랭크부분(63)의 경계를 이룬다.
구멍(64) 안에는 핀(67)이 수용되고 셋트스크류(65)에 의하여 고정된다. 핀(67)은 크랭크부분(63) 양측에서 동일한 길이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단부(68,69)는 링크(70),(71)로 부터 유격없이 회전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링크(70,71)는 단부가(72),(73)으로 되어 있는데 각각 핀(67)의 직경에 대응하는 구멍으로 되어 있다. 링크(70),(71)은 동일하며 함께 링크대우(74)를 형성한다.
링크(70),(71)의 단부(72),(73) 및 그 사이에는 토우잉바(76)의 레버단부(75)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의 자유단은 베어링구멍(77)으로서 그 안에 있는 베어링(78)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78)은 축(37) 상에서 셋트스크류(도시안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편심륜(79)을 싸고 있다. 베어링(78) 구조는 편심륜(79)이 토우잉바(76)에서 유격이 없이 회전 가능하여 베어링구멍(77)은 편심륜(79)에 대하여 축방향에 따라 통해 있도록 되어 있다.
토우잉바(76)의 레버단(75)은 구멍(도시안됨) 및 셋트스크류(80)로 되어 있으므로 구멍안에 핀(81)이 수용되어 있는 셋트스크류(80)으로 고정되어 있다. 핀(81)에서 레버단부(75) 양측에 대하여 링크대우(74)가 유격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도 10에서 레버단(7)이 햇칭 사각형으로서 끼어 있는 핀(81)과 더불어 약도로 도시되어 있다.
레그(leg)의 상단(98), 핀(89) 및 링크(84)의 상단(86)은 베어링(100)을 구성한다. 레그(92)의 상단(99), 핀(90) 및 링크(85)의 상단(87)은 베어링(101)을 구성한다 (도 10).
조정프레임(93)은 또한 구멍(102),(103)으로 되어 있으며 그안에 조일 수 있는 셋트스크류(104),(105)가 끼어 있다. 구멍(102) 안에는 축의 한 단부(106)가 셋트스크류(104)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구멍(103) 안에는 축(109)의 한 단부(108)가 셋팅스크류(105)로 고정되어 있다 (도 4)
축(107),(109)의 단부(106),(108) 위치는 측벽(91),(92)에서 레버단부(75)의 운동이 핀(81)과 그 위의 링크대우(74),(88)에 의하여 지장없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107) 및 (109)는 조정프레임(93) 내에서 축(107)과 (109)가 동심으로 연이어 설치됨에 따라서 공동의 가상축(110)을 통하여 뻗어 있다. 다시 말하면 축(48)과 (110)은 서로 평행하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멍(94),(95)는 축(110)에 대하여 평행인 가상 축상에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10에 따라서 링크기구(40)는 링크(70),(71),(84),(85)가 한 평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어 있으며 교차선(118),(119)에 의하여 뻗어 있다. 이와 똑같이 커플링(56)과 조정프레임(93)도 당해 평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정프레임(93)은 레그(91),(92)가 커플링부의 양측벽(55),(59) 사이의 공간에서 1 내지 2㎜의 유격으로 자유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그(91),(92)는 웨브(63) 또는 레버단부(75)를 비롯한 그 사이의 링크(70),(71),(84),(85)로 거의 유격없이 운동이 가능하며 개별링크는 축방향에 따라 이동이 안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링크기구는 예컨대 DE 30 00 831 C2(US PS 4 347 797에 해당)에 공지되어 있다.
링크기구(40)는 레버단부(75), 링크대우(74),(88), 조정프레임(93), 핀(81),(89),(90) 및 핀(67)을 가진 커플링부분(56)과 같은 주요부품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따라서 축(107)의 자유단은 크랭크(111)로 되고 링크로 토우잉바(112)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조정장치(113)와 연결되어 있는데 스탠드(3)의 전면을 통하여 나와 있는 조정레버(114)를 가지고 있다. 조정장치(113)는 링크기구(40) 즉, 축(107)은 원점을 대표하는 선(115)에 대하여 최대각도 W1, W2 사이에서 셋트스크류에 의한 고정에서 스프링하중 또는 조정레버(114)에 가해진 하중에 의하여 정해진다.
작동방식은 다음에 설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조정 프레임(93)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에 와 있다.
이러한 위치는 조정프레임(93)이 고정되도록 소위 조정장치(113)에 의하여 정해진다.
재봉틀(1)이 구동시에는 폴리(8)에 의하여 암축(6)이 회전함으로서 침봉(11)과 재봉침(16)이 상하운동을 하게된다. 기어풀리구동(25)에 의하여 축(37)의 회전은 암축(6)의 회전방향과 회전에 따라 이루어진다. 축(37)의 회전으로 크랭크저널(crank journal)(41)과 이에 연결된 링크(42)에 의하여 레버(45) 단부(44)에서 스탠드(3)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축(37)의 회전으로 토우잉바(76)의 베어링구멍(77)이 편심운동을 하고 레버단부(75)는 불가변 진동을 한다. 이는 베어링(100),(101)에 수용되어 있는 링크대우(88)로 인하여 원호상에서 행해진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조정프레임(93)의 위치에서 링크대우(74)의 링크(70),(71)는 한편으로 핀(8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또한편으로 링크(70),(71)는 크랭크(66)로 밀며 당기는 운동을 함에 따라서 커플링부분(56)에 회전-진동운동을 일으킨다. 이것은 축(47)과 크랭크(46)을 거쳐서 레버(45)에 전달됨으로 재료피더(52)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점핑운동(jumping motion)을 하게 된다.
이와 똑같이 커플링부분(56)의 회전-진동-운동은 축(49)에 전달된다.
따라서 축(49)은 한편으로 회전모멘트의 전달 역할을 하며 또한편으로는 커플링부분(56)의 지지 역할도 한다. 이로서 축(49)은 지지베어링으로 간주되는데 이때 이러한 축(49)에 의한 회전모멘트는 침의 이동이 없는 재봉틀의 경우처럼 생략이 된다.
축(49) 앞에서 운동은 크랭크(50), 토우잉바(51)와 크랭크(19)에 의하여 축(17)으로 전달되는데 이는 크랭크(18)와 토우잉바(20)에 의하여 이 운동이 베어링프레임(12)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서 이것은 핀주위(14)로 진자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동력학적 결합은 재료피더(52)의 이동과 재봉침(16) 진동의 조정을 유도해서 이것이 그의 베이스판(2)에 면한 운동부분이 작동중에 재료피더(52)의 상기 침구멍으로 잠김에 따라서 침이송에 대응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조정레버(114)에 하중을 가함으로서 조정프레임(93)의 위치가 전환됨에 따라 축(110)을 중심으로 스프링하중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각도 W1,W2의 합만큼 회전된다 (도 6). 조정프레임(93)의 선회된 위치가 도 6에서 부분(116)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분(116)은 선회시에 원호(117) 상에서 움직인다. 조정프레임(93)이 선회시에 베어링(102)은 유격 F1을 통하고 베어링(101)은 유격 F2를 통하여 이동한다. 유격 F1, F2로서 커플링부분(66)과 충돌함이 없이 조정프레임(93)의 선회시에 필요한 충분한 장소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피스(62)에 의하여 대칭의 즉 선(118) 또는 (119)의 양측에 행하는 지지와 진동의 균일한 전달이 축(47,49)에 이른다.
실시예 2
이것은 도 11에서 설명한다.
여기에 링크기구(40)에 동력학적으로 등가인 링크기구(120)가 도시되어 있다. 링크기구(120)는 포크형 레버단(121)을 가지고 있으며 도 11에서는 2개의 햇칭된 4각형의 약도로 도시되어 있다. 레버단(121)의 포크측면(도시암됨) 사이에는 핀(122) 위에 링크(124) 단부(123)가 수용되어 있어서 그의 자유단(12)은 베어링(126)의 다리(도시암됨) 사이에서 핀(127)에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126)은 그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단부(125)와 더불어 베어링(128)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조정프레임(129)의 구성부품으로서 베어링프레임(93)에 대응축(110) 주위로 프레임(26) 내에서 선회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핀(122)에는 공지된 링크대우(88) 단부가 회전이 되도록 수용되어 있어서 그의 자유단이 크랭크(132)의 크랭크부분(130 및 131) 핀에서 회전이 되도록 수용되어 있다. 크랭크부분(130,131)에는 핀이 있어서 거기에 링크대우(88)의 링크단부가 크랭크(66)의 경우처럼 축(48)으로부터 간격 b만큼 떨어져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부분(130,13)은 커플링부분(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부분(130,131)은 상호 연결피스(13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132)는 유격 F3으로 구성되고 이를 통하여 축(48)이 뻗어 있으며 이는 크랭크부분(130,131)과 연결피스(134)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다.
링크기구(120) 또한 링크기구(40) 처럼 상기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링크기구(120)의 기능은 링크기구(4)의 경우와 같다. 조정프레임(129)을 필요한 만큼 선회시켜서 베어링(128)이 유격 F3에서 크랭크(133)와 충돌할 염려가 없도록 움직이도록 한다.
재봉틀에 있어서 선행기술의 공지된 링크기구(Linkage Mechanism)에 비하여 소요공간을 절감하면서도 종동축의 진폭이 보다 크도록 개선되어 있다.

Claims (8)

  1. 다음의 특징들
    - 적어도 베어링(31,32)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베어링 부위(100,101;128)를 가진 베어링(31,32) 내에서 선회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는 조정프레임(93;129),
    - 베어링(34,35) 내에 수용되어 축(48) 주위로 가변진동을 하는 크랭크(66;132)
    - 선(118,119)을 통하여 뻗어 있는 면에서 불가변 진동을 하는 레버단부(75),
    -레버단부(75)는 링크(70,71,84,85;124) 단부(72,73,82,83;125)와 링크결합이 되어 있는바,
    - 그에 의하여 링크(70,71,84,85;12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유단은 크랭크(66;132)와 링크결합이 되어 있으며,
    - 그에 의하여 적어도 다른 링크중 어느 하나의 자유단은 조정 프레임(93)의 베어링 부위(100,101;128)와 링크결합이 되어 있으며 적어도 베어링(100,101;128) 중의 어느 하나는 조정프레임 선회시 적어도 링크(70,71,84,85;124) 중의 이에 따라 적어도 링크결합의 단부와 운동하며 적어도 링크(70,71,84,85;124) 중의 2개 (84,85; 84,85 및 70,71)는 평면의 양측에 배설되어 있는 특징들을 가지며 특히 재봉틀(1)의 재료피더(feeder) 구동을 위한 가변발진 링크기구에 있어서,
    - 크랭크(66;132)는 적어도 유격(F1,F2;F3)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축(48)이 관통하며,
    - 적어도 하나의 유격(F1,F2;F3)내에 적어도 조정프레임(93;129)의 베어링(100,101;128)이 크랭크와 충돌함이 없이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크랭크(66;132)는 한 단부에서 축과 고정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크랭크(66;132)는 그의 자유단에서 축(49)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축(47,49)은 커플링부분(56;133)에 의하여 상호 고정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커플링부분(56;133)은 적어도 축(47,49) 중의 어느 하나의 한 부분(53,54)을 잡고 있는 측면(55,59)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측면(55)에는 축(47;49) 단(53;54) 고정용 셋트스크류(58)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7. 전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크랭크(132)는 2개의 크랭크부분(130,131)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8. 제 3항에 있어서,
    축(47)은 재료피더(52)와 구동하고 다른축(49)은 재봉틀(1) 헤드(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침봉(11) 베어링 프레임과 구동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KR1020000004206A 1999-01-28 2000-01-28 특히 재봉틀의 재료 이송기 구동을 위한 가변 발진 링크 기구 KR100642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3264.5 1999-01-28
DE19903264A DE19903264C1 (de) 1999-01-28 1999-01-28 Gelenkgetriebe zur Erzeugung einer veränderbaren Schwingbewegung, insbesondere für den Antrieb des Stoffschiebers einer Näh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550A true KR20000076550A (ko) 2000-12-26
KR100642887B1 KR100642887B1 (ko) 2006-11-03

Family

ID=789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206A KR100642887B1 (ko) 1999-01-28 2000-01-28 특히 재봉틀의 재료 이송기 구동을 위한 가변 발진 링크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218076A (ko)
KR (1) KR100642887B1 (ko)
CN (1) CN1098379C (ko)
DE (1) DE19903264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82B1 (ko) * 2014-07-29 2015-02-24 김광연 재봉틀의 기종 가변전환 및 선택 방법 그리고 크랭크 로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1859A1 (ja) * 2011-06-30 2013-01-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四節リンク型無段変速機
CN102828352A (zh) * 2012-08-27 2012-12-19 吴江市中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缝纫机的送料摆杆座
DE102017216725A1 (de) * 2017-09-21 2019-03-21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Nähmaschine sowie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668B (de) * 1955-01-18 1957-01-10 Phoenix Naehmaschinen A G Stichstelleinrichtung fuer Naehmaschinen
DE1974416U (de) * 1967-09-28 1967-12-07 Pfaff Ag G M Obertransportvorrichtung an einer naehmaschine.
US3955517A (en) * 1975-09-18 1976-05-11 The Singer Company Drag link-type feeding mechanism
US4295434A (en) * 1979-10-24 1981-10-20 Union Special Corporation Feed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DE4030269C1 (ko) * 1990-09-25 1992-02-27 Duerkopp Adler Ag, 4800 Bielefeld, 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82B1 (ko) * 2014-07-29 2015-02-24 김광연 재봉틀의 기종 가변전환 및 선택 방법 그리고 크랭크 로드
WO2016017935A1 (ko) * 2014-07-29 2016-02-04 김광연 재봉틀의 기종 가변전환 및 선택 방법 그리고 크랭크 로드
CN106471171A (zh) * 2014-07-29 2017-03-01 金光沿 缝纫机的机种可变转换和选择方法及曲柄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18076A (ja) 2000-08-08
CN1263957A (zh) 2000-08-23
KR100642887B1 (ko) 2006-11-03
DE19903264C1 (de) 2000-05-18
CN1098379C (zh)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712B2 (ja) ロボットの関節構造
JP2006056250A (ja) エンボス加工装置
TW202146725A (zh) 織機
KR20000076550A (ko) 특히 재봉틀의 재료 피더 구동을 위한 가변발진 링크기구
KR20060049731A (ko) 재봉틀의 루퍼구동장치
JPH03260412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部構造
KR960001261A (ko) 부직포웨브 니이들장치
US4554840A (en) Anti-wobble device for a connecting rod
JP4625251B2 (ja) 動作伝達機構
EP1207039A2 (en) Press machine
JPS58209389A (ja) ミシン
JPH02504346A (ja) ミシンの上部送り装置
JPH07132400A (ja) プレス機
US2883951A (en) Device for actuating the needle bar of zig-zag sewing machines
JPS55161577A (en) Weaving device of welding torch
US1047003A (en) Mechanical movement.
JP3587277B2 (ja) 紡機用ダブルテンション装置
KR20030014564A (ko) 재봉틀의 루우퍼 구동기구
JP3993761B2 (ja) 電気式操作装置
WO2024048297A1 (ja)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US4895090A (en) Lost motion compensation for sewing machine needle vibrating gate
SU662638A1 (ru) Механизм петлител швейной машины цепного стежка
JP2003038882A (ja) ミシンの針駆動装置
JPH08131679A (ja) ミシンの天秤・針棒機構
KR20030088348A (ko) 바늘대 구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