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091A - 차량 유리면 세척용 와이퍼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차량 유리면 세척용 와이퍼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091A
KR20000076091A KR1019997008179A KR19997008179A KR20000076091A KR 20000076091 A KR20000076091 A KR 20000076091A KR 1019997008179 A KR1019997008179 A KR 1019997008179A KR 19997008179 A KR19997008179 A KR 19997008179A KR 20000076091 A KR20000076091 A KR 2000007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per blade
wiper
glass surfac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미드트토마스
코트라르스키토마스
키셀만루디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7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made in two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3Connectors having a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7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in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81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in additional element, e.g.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6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n, or holes in, the side walls to create a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18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 channel-like element, e.g. not 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pr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유리면(24) 세척용 와이퍼블레이드(10)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블레이드는, 밴드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금속 재질이며 유리면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된 탄성레일(12), 및 유리면(24)과 하나이상의 탄성레일 밴드면 사이에서 종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길게 연장된 탄성고무 와이퍼스트립(16)을 가진다. 탄성레일(12)이 하우징 형상의 합성수지 커버(14)에 의해 거의 폐쇄되는 공간(34)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설치되는 경우, 금속탄성레일(12)과 와이퍼스트립(16) 사이의 연결이 특히 신뢰성 있게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유리면 방향 면(36)에 와이퍼스트립(16)용 고정소자(40, 42)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차량 유리면 세척용 와이퍼블레이드{Wiper blade for cleaning the glass panes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청구항1의 형태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를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와이퍼블레이드(DE-PS 12 47 161)의 경우, 와이퍼스트립은 유리면을 향하는 금속탄성레일의 밴드면과 접합된다. 이 접합연결부는 세척하는 동안 교환하중에 노출되며, 이로 인해 와이퍼스트립이 노화되고, 따라서 와이퍼스트립이 조기에 탄성레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레일을 한편으로 와이퍼스트립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 접촉력이 이상적으로 분배되도록 설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치수, 형상 및 소재선택과 관련된 요구사항들은 상호 대치되는 성질이 있다.
청구항1의 상위개념인 와이퍼블레이드의 경우, 탄성레일은 와이퍼블레이드가 지나가는 세척영역 전체에 걸쳐 와이퍼암으로부터 전달되는 와이퍼블레이드 압착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와이퍼블레이드가 유리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 즉 탄성레일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탄성레일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므로, 와이퍼블레이드가 작동할 때 유리면과 완전히 접하는 와이퍼스트립의 종단은 장력이 걸린 탄성레일로 인해, 유리면쪽으로 눌려지며, 이때 구형으로 만곡된 차량유리면의 곡률반경은 와이퍼 이동위치마다 변한다. 와이퍼블레이드의 곡률은 세척대상 유리면의 세척영역의 가장 큰 곡률반경보다 약간 커야한다. 와이퍼블레이드는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유리면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의 와이퍼블레이드에 적용했듯이(DE 15 05 357 A1), 두 개의 탄성레일을 배치함으로써, 탄성레일은 와이퍼스트립의 복잡한 구조물을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의 측면도.
도 2는 와이퍼블레이드에 속하는 도 1의 커버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와이퍼스트립과 탄성레일이 조립된 커버를 도 2의 화살표(Ⅲ)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다른 구조의 커버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와이퍼스트립과 탄성레일이 조립된 커버를 도 4의 화살표(Ⅴ)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부분커버가 있는 도 2의 와이퍼블레이드의 종단면도.
도 7은 다른 구조의 커버가 있는 와이퍼블레이드 부분 종단면도.
도 8은 탄성레일과 거기에 속하는 전단 분리된 커버의 축소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바람막이 살이 있는 도 3의 커버의 기본구조도.
도 12는 커버부위에 배치된 연결수단이 있는 전단 분리된 커버의 부분 원근도.
도 13은 다른 구조의 커버에 있어서의 또 다른 전단분리 형태도.
도 14a는 장력이 없는 상태의 금속탄성레일의 곡률 기본도.
도 14b는 보조탄성레일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커버의 곡률 진행도.
도 14c는 도 14a의 탄성레일 및 도 14b의 보조탄성레일 조립 후에 나타나는 곡률 진행도.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과 유사한 단면도.
청구항 1의 특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는 이러한 접착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탄성레일의 커버는 고정소자를 사용하여 탄성레일과 와이퍼스트립을 확실하고 내구성 있게 연결한다. 커버 아래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탄성레일 유격으로 와이퍼스트립은 장력이 없는 상태로 고정되며, 이로써 세척능력이 개선되고, 와이퍼블레이드가 유리면 위의 변환지점에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미끄럼구역에서 와이퍼스트립이 젖혀질 때 적은 소음으로 빠르게 작동된다. 커버가 탄성레일을 완전하게 감싸도록 하면, 사용할 합성수지를 선택하여 처리하는 시점에서, 추가비용 없이 표면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또 다른 표면처리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커버를 제조할 때, 역시 와이퍼블레이드의 디자인에 관한 조건들을 경제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하나이상의 탄성레일을 접촉력이 이상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연결구조로 만들어야 한다는 제한조건과는 무관하게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만약 유리면을 향하는 커버하우징면이 중앙의 종방향 홈을 통해 개방된 경우, 및 일정간격으로 상호 마주 놓이는 하우징면 홈 모서리를 따라 지지테가 설치되는 경우, 커버 및 커버와 연결되는 와이퍼스트립 고정소자가 특히 간단하게 실현되며, 이 지지테의 마주보는 고리는 와이퍼스트립의 상호 마주보며 배치된 두 개의 종방향 홈에 조립된다.
커버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유리면을 향하는 커버하우징면에, 종방향으로 확장하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레일이 있으며, 이 지지레일의 마주보는 고리는 와이퍼스트립의 상호 마주보며 배치된 종방향 홈에 조립된다. 따라서, 커버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탄성레일의 탄성 및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지지테 및 지지레일을 종방향으로 상호 거리를 두고 배치된 홈으로 분리함으로써 이러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유리면을 향하는 하우징면이 있는 커버의 경우, 탄성레일의 탄성 관점에서 볼 때 커버가 종방향으로, 상호 거리를 두고 유리면으로 향하여 배치된 하우징면에 이르는 홈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커버 수명의 관점에서 볼 때, 지지레일의 전단홈과 커버의 전단홈을 와이퍼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상호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양호하다.
탄성레일에 커버를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커버로 감싸는 공간의 종방향 단부가 커버의 끝면에 의해 최소한 부분적으로 덮여지며, 끝면의 최소한 하나는 와이퍼스트립을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높을 경우, 및 유리면 구조에 문제가 있을 경우, 와이퍼블레이드 내지는 와이퍼스트립이 유리면에 규정에 적합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커버에 바람막이 살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진보된 형태에서는, 유리면 방향의 커버 종방향면이 커버의 다른 종방향면보다 두껍다. 이렇게 함으로써 와이퍼블레이드가 특히 긴 경우 안정성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와이퍼블레이드의 경우, 유리면을 향하는 커버 종방향면이 보조탄성레일로 구성되어, 측면 및 개별적으로 금속탄성레일의 곡률과는 다른 곡률을 갖게 되는 경우, 금속탄성레일의 전체 길이를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조탄성레일- 너비, 두께, 곡률진행도 -형태를 변형 구성함으로써, 탄성레일- 금속탄성레일과 합성수지 보조탄성레일 -을 통해 유리면 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조건에 맞추어 접착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커버의 중간 단면이 전단분할되면, 이 두 개의 커버부위를 금속탄성레일의 각 끝단으로부터 밀어줄 수 있으므로, 와이퍼블레이드를 특히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커버부위에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양호하다.
합성수지커버에, 와이퍼암에 와이퍼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또 다른 간단한 와이퍼블레이드의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유용한 확장과 형태를 도면을 참조로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도 1의 길다란 와이퍼블레이드(10)는 밴드형상의 긴 탄성레일(12)을 가지며(도 3), 이 레일은 합성수지커버(14)로 둘러싸인다. 합성수지커버(14)는 금속탄성레일(12)에 길다란 탄성고무 와이퍼스트립(16)을 지지하며, 탄성레일(12)과 와이퍼스트립(16)이 상호 종축에 평행하게 놓이도록 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합성수지커버(14) 또는 금속탄성레일(12)에 연결장치(18)가 조립되며, 이 연결장치에 의해 와이퍼블레이드(10)가 차체에 설치된 와이퍼암(20)과 연결된다. 와이퍼암(20) 및 그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10) 역시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차량유리면(24)에 화살표(22)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점선(24)은 가장 큰 유리면의 곡률을 나타내므로, 비장력 상태에서 유리면에 놓이는 와이퍼블레이드(10)의 곡률은 유리면 최대곡률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리면(24)에 대해 비장력 상태의 탄성레일(12) 내지는 와이퍼블레이드(10)는 오목하게 굽어진다. 압착력(화살표 22)이 작용하면 와이퍼블레이드에 있는 와이퍼스트립(16)의 와이퍼립(26)(도 3 참조)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유리면(24)에 접한다. 이때 밴드형상의 탄성력을 가진 탄성레일(12)에 장력이 형성되며, 이 탄성력으로 와이퍼스트립(16) 또는 와이퍼립(26)이 차량유리면(24)에 규정에 맞도록 전체적으로 접하게 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10)의 특별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금속-탄성레일(12)이며, 실질적으로 와이퍼블레이드(10)의 척추역할을 한다. 이것은 합성수지커버(14)로 입혀진다. 커버(14)는 중앙의 종방향 홈(28)을 가지며, 이 홈을 통해 커버면(32, 36)의 내측 공간(34)이 개방된다. 중앙의 종방향 홈(28)은 커버면(36)에 배치되며, 이 커버면은 와이퍼블레이드(10)가 작동대기상태일 때 세척차량유리면(24)을 향한다. 금속 탄성레일(12)은 공간(34)에 느슨하게 설치된다. 상호 마주보며, 일정거리를 두고 진행하는 홈 모서리(38)에 각각 하나의 고리형상의 지지테(40)가 설치되며, 고리(42)는 공간(34)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 고리는 와이퍼스트립(16) 상호 맞은편 면의 종방향 홈(44)에 삽입됨으로써, 와이퍼스트립(16)이 탄성레일(12)에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탄성레일(12)과 커버(14)의 종방향의 안정성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4) 공간(34)의 종방향 단부(46)를 끝면(48, 50)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감싸줌으로써 확보된다. 도 7의 끝면(48)은 커버(14)와 견고하게 연결되며, 도 6의 끝면(50)은 상부 커버면(32)의 해당 자유단면(52)을 통해 화살표(54)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간(34)은 전면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버(14) 또는 와이퍼스트립(16)을 예를 들어, 부품을 교체할 때 탄성레일(12)로부터 분리 할 수 있다.
합성수지커버(14)의 면(32, 36)의 두께는 탄성레일(12)의 탄력특성을 해치지 않도록 정해지며, 커버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탄성을 갖는다. 그 외에도 탄성레일(12)과 커버면(32, 36)사이에 미소한 간격이 있으며, 이 간격으로 인해 커버(14)와 탄성레일(12) 사이의 상대운동이 가능하다. 와이퍼스트립(16)을 구성하는 고리(42)가 있는 지지테(40)용의 고정소자의 경우도 동일하며, 지지테는 와이퍼스트립(16)을 커버(14) 내지는 탄성레일(12)에 응력이 걸리지 않는 상태로 유지시켜준다. 지지테(40)와 와이퍼스트립(16)사이 내지는 고리(42)와 종방향 홈(44) 사이의 이러한 작은 간격으로 와이퍼블레이드(10)의 세척 방향전환위치에서, 즉 깨끗하고 소음이 없어야하는 소위 미끄럼지점에서 와이퍼립(26)이 양호하게 젖혀질 수 있다. 유리면의 곡률이 특히 큰 경우, 합성수지커버(14)의 지지테(40)를 종방향으로 일정거리(56)를 가지는 전단홈(58)으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며, 홈의 깊이는 커버면(36)의 근처까지 이른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합성수지커버(114)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이미 설명한 합성수지커버(14)와 거의 일치한다. 합성수지커버(14)와의 차이점은, 합성수지커버(114)의 경우에는, 유리면(24) 방향의 커버면(136)이 연속적으로 진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커버(114)가 보다 안정적이다. 특히 와이퍼블레이드가 매우 긴 경우, 커버면(136)에 형성된 지지레일(140)의 기존 홈(158) 외에 관형상의 커버(114)를 종방향을 가로지르며, 일정거리로 유리면(24) 방향의 커버면(136) 근처에 이르는 전단홈(160)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지지레일(140)의 전단홈(158)과 커버(114)의 전단홈(160)은 와이퍼블레이드(10)의 종방향으로 상호 별도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것은 도 4로부터 알 수 있으며 커버(114)의 전단홈 사이의 거리는 참조부호 162로 나타냈다. 지지레일(140)의 홈(158)은 종방향에서 볼 때, 합성수지커버(114)의 홈(160) 사이에 있다. 도 4에 나타낸 단면과는 대조적으로, 단면이 홈(160) 뿐 아니라 홈(158)을 통해 구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형태와 같이 지지레일(140)에 상호 마주보는 고리(142)가 설치된다. 이 고리는 고정소자으로서, 이미 설명한 와이퍼스트립(16)의 종방향 홈(44)에 삽입된다. 기타사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커버(114)는 전술한 도 2 및 도 3의 합성수지커버(14)와 완전히 일치한다. 따라서 합성수지커버(114)에 대한 또 다른 형태는 합성수지커버(14)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8 및 도 9에는 종방향으로 중간부분이 분리된 합성수지커버(214)의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두 개의 커버부위(213, 215)를, 금속탄성레일(12)이 이미 설명한 공간(34)에 놓이도록 화살표(218)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커버부위(213, 215)를 탄성레일(12)에 완전히 밀착시킨 다음, 커버부위(213, 215)의 상호 접촉하는 분리면(220)을 접착, 용접 등으로 상호 연결한다. 이 실시형태의 상부 커버면에 탄성레일(12)에 연결장치(18)를 설치할 경우에도, 커버부위(213, 215)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적절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분리된 두 부분의 합성수지커버(314)에 연결장치(318)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위(315)에 연결장치(318)가 존재한다. 커버부위(315) 상부 커버면(332)에 버튼(334)이 설치되며, 두 개의 커버부위(313, 315)가 화살표(316) 방향으로 접합될 때, 다른 커버부위(313)에 있는 버튼 수용부(336)와 연결된다. 버튼 수용부(336)가 화살표(338)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커버부위(313)의 판(340)에 설치되므로, 두 개의 커버부위(313, 315)가 상호 신뢰성 있게 연결된다.
도 13은 커버(414)의 또 다른 전단분리 형태이다. 이 경우 분리면은 연결볼트(420)(도 1 참조) 종축을 통해 진행하며, 연결볼트는 와이퍼블레이드(10)와 와이퍼암(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연결장치(418)에 속한다. 두 커버부위(413, 415)의 고정은 와이퍼암(20)의 대응연결수단(19)으로 이루어지며, 두 부위(413, 415)가 화살표(416) 방향으로 접합될 때 두 개의 볼트반면(421, 422)을 둘러싼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합성수지커버(514)에 바람막이 살(570)을 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 10의 합성수지커버(514)와 같이 돌출하는 경우나, 도 11과 같이 매달리는 경우 모두 동일한 바람막이 살(570)이다. 이 중요한 세목의 설명을 위해, 도 2 및 도 3의 커버전단형태를 인용했지만, 바람막이 살(570)을 도 4 및 도 5에 따라 합성수지커버(114)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막이 살(570)에 그곳에 표시한 합성수지커버의 홈(160)을 설치해야 하며, 그 이유는 합성수지커버의 탄성 및 그에 따른 공간(34)에 있는 탄성레일(12)의 탄성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현저히 발전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합성수지커버(600)를 사용한다. 또한, 이 일체형 합성수지커버(600)는 보조탄성레일을 구성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참조부호 136으로 표시한 커버면의 강도가 다른 커버면의 강도보다 크도록, 커버면을 더 두껍게 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강화시킨다. 도 14b에서는 합성수지커버(600)가 유리면에 대해 양(+) 또는 음(-)의 곡률을 갖는다. 금속탄성레일(602)(도 14a 참조)은 오직 양(+)으로만 만곡된다. 양으로 만곡된 금속탄성레일(602)이 도 14b에 따라 미리 가공된 합성수지커버(600)에 삽입되는 경우, 탄성레일(602)의 탄성특성을 원하는 데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진보형태는 금속탄성레일(602)이 전체길이에 걸쳐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보조레일의 형태와 구조를 적절하게 부여함으로써, 탄성레일(602)을 각각의 차량유리면의 형상으로 정해지는 조건에 맞출 수 있다. 금속탄성레일(602)과 보조탄성레일을 구성하며 금속탄성레일과는 상이한 곡률을 갖는 커버(600)를 접합하면, 도 14c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체적인 탄성레일(604)이 이루어진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이러한 발전형태를 시사하는 단순한 이론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사고는 어떠한 경우에도 이 도에 제시한 형태로만 제한될 수 없다.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커버(700)가 두 개의 측면 종방향 통로(702)를 가지며, 이 통로를 통해 두 개의 탄성레일(704)이 느슨하게 삽입된다. 탄성레일(704)은 커버에 구성된 도에 나타내지 않은 지지소자, 또는 외부로부터 설치된 고리 및 종단클립에 의해 통로(702)에 유지된다. 이 실시예는 특히 상술한 다양한 곡률의 조합에 적합하다.
모든 실시예에서 공통으로, 금속탄성레일(12)이 하우징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커버(14, 114, 214, 314)의 하나에 의해 거의 폐쇄된 공간(34)에 배치되며, 커버의 유리면(24)을 향하는 면에 와이퍼스트립(16)용 고정소자(40, 42 또는 140, 142)이 설치된다.
와이퍼스트립을 탄성레일에 고정하는 본 발명과 유사한 실시형태에서는, 유리면(24) 방향의 탄성레일(12) 밴드면에 하나의 부품을 접착시키며, 이 부품은 도 4 및 도 5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참조부호 140에 상응하는 지지레일이 있는, 면(136)과 같은 지지판 만을 가진다. 이러한 합성수지부품은 고무에 대한 재료합성의 다양성으로 접착을 할 때 근소한 혼합변화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고무-와이퍼스트립보다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다. 금속과 합성수지를 접착할 때 이러한 종류의 어려움은 나타나지 않는다.

Claims (13)

  1. 하나이상의 밴드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금속재질이며 유리면(24)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된 탄성레일(12), 및 유리면과 유리면을 향하는 하나이상의 탄성레일밴드면 사이에서 종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길게 연장된 탄성고무 와이퍼스트립(16)을 가지는 차량유리면(24) 세척용 와이퍼블레이드(10)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탄성레일(12)이 하우징형태의 합성수지 커버(14, 114, 214, 314, 414, 514, 614)에 의해 거의 폐쇄된 공간(34)에 배치되며, 커버의 유리면(24)을 향하는 면에 와이퍼스트립(16)용 고정소자(40, 42 또는 140, 1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면(24)을 향하는 커버(34)의 하우징면(36)이 중앙의 종방향 홈(28)을 통해 개방되고, 일정거리로 마주 놓이는 두 하우징면(36)을 따라 지지테(40)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의 상호 마주보는 고리(42)가 와이퍼스트립(16)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배치된 종방향 홈(44)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면(24)을 향하는 커버(134)의 하우징면(36)에 종방향으로 확장되며, 상호 일정거리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레일(14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레일의 상호 마주보는 고리(142)가 와이퍼스트립(16)의 상호 맞은편 면에 있는 종방향 홈(44)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테(40) 또는 지지레일(140)은 그 종방향을 가로질러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홈(58 또는 158)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4)의 유리면(24) 반대 면이 그 종방향을 가로질러 일정간격으로 유리면 방향 커버면(136)에 이르는 홈(160)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140)의 전단홈(158)과 커버(114)의 전단홈(160)은 와이퍼블레이드(10)의 종방향으로 상호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4)로 폐쇄된 공간(34)의 종방향 단부는 커버(14)의 끝면(48, 50)에 의해 최소한 부분적으로 덮여지며, 그중 하나에 의해 하나 이상의 끝면(50)이 탄성적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커버(514)에 바람막이 살(5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9.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면(24)의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커버면(136)은 커버(114)의 다른 길이면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면(24)을 향하는 커버면(136)은 보조탄성레일로서 구성되며, 측면에서 볼 때 금속탄성레일(12)의 곡률과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14)의 중간 부분은 종방향에 대해 횡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커버부위(314, 315)에 상호 연결수단(334, 336, 3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커버(314 또는 414)에는 와이퍼블레이드(10)를 구동 와이퍼 암(20)에 연결하는 장치(318 또는 4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KR1019997008179A 1998-01-14 1998-09-29 차량 유리면 세척용 와이퍼블레이드 KR20000076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1058.3 1998-01-14
DE19801058A DE19801058A1 (de) 1998-01-14 1998-01-14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091A true KR20000076091A (ko) 2000-12-26

Family

ID=785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179A KR20000076091A (ko) 1998-01-14 1998-09-29 차량 유리면 세척용 와이퍼블레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66373A1 (ko)
JP (1) JP2001516310A (ko)
KR (1) KR20000076091A (ko)
DE (1) DE19801058A1 (ko)
WO (1) WO1999036300A1 (ko)
ZA (1) ZA992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6850B2 (en) 2011-04-13 2021-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isting of a low latency in-memory datab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9259B4 (de) * 1999-12-09 2013-01-31 Volkswagen Ag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an Kraftfahrzeugen
DE10007800A1 (de) * 2000-02-21 2001-08-23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blatt
DE50105902D1 (de) 2000-02-21 2005-05-19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025706A1 (de) * 2000-05-25 2001-11-2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DE10044913B4 (de) * 2000-05-29 2017-10-0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JP2002013981A (ja) * 2000-06-28 2002-01-18 Minolta Co Ltd 測光装置
DE10036122B4 (de) * 2000-07-25 2010-12-16 Volkswagen Ag Wischerblatt zur Anordnung am Wischerarm einer Scheibenwischeranlage
DE10106874A1 (de) * 2001-02-14 2002-09-05 Volkswagen Ag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Fahrzeugen
EP1597120B1 (de) * 2003-02-21 2013-04-2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10308785B4 (de) * 2003-02-28 2018-01-04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EP1625056B1 (de) 2003-05-09 2016-02-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wischerblatt am wischerarm einer scheibenwischeranlage
FR2868376B1 (fr) * 2004-04-06 2006-06-0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une vertebre interne et un element de liaison
FR2868747B1 (fr) * 2004-04-07 2008-06-20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de type flat-blade comportant un deflecteur aerodynamique
DE102004019158B4 (de) * 2004-04-21 2015-06-03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R2871127B1 (fr) * 2004-06-03 2007-09-07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pla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BRMU8402004U (pt) 2004-08-17 2004-12-28 Dyna Electromecanica Disposição introduzida em palheta
US20060265830A1 (en) * 2005-02-14 2006-11-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ncapsulated beam with anti-rotation system
KR100662629B1 (ko) * 2005-07-01 2007-01-02 박세헌 와이퍼 고무 블레이드
CA2548939C (en) * 2005-08-26 2010-10-05 Se-Heon Park Vehicular wiper frame
FR2890025B1 (fr) * 2005-08-29 2007-10-0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glace plat notamment pour dispositif d'essuyage de vehicule automobile
FR2890026B1 (fr) * 2005-08-29 2008-12-0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en deux parties
FR2893290B1 (fr) * 2005-09-13 2009-05-01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verrouillage entre une lame d'essuyage et un porte-balai d'essuie-glace
FR2891227A1 (fr) * 2005-09-23 2007-03-30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balai d'essuie-glace
DE102005062462B4 (de) 2005-12-27 2020-08-06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US7370385B2 (en) * 2006-02-22 2008-05-13 Fu Gang Co., Ltd. Flexible wiper with rubber cover
DE102006036777A1 (de) 2006-08-07 2008-02-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6038828A1 (de) 2006-08-18 2008-02-21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6048723A1 (de) 2006-10-16 2008-04-17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FR2910414B1 (fr) * 2006-12-21 2009-07-31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notamment pour dispositif d'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11732A1 (de) 2007-03-10 2008-09-11 Volkswagen Ag Wischerblatt für einen Scheibenwischer
CN101269652B (zh) * 2007-03-22 2010-07-28 黄世贤 下雪及下雨双用之汽车雨刷
US7992248B2 (en) 2007-05-22 2011-08-09 Federal-Mogul Corporation Spoilerless flat wiper blade assembly
TWM323417U (en) * 2007-06-01 2007-12-11 Yu-Rung Lin Non-supporting windshield wiper
ES2397097T3 (es) * 2007-06-26 2013-03-04 Federal-Mogul S.A.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EP2008891B1 (en) * 2007-06-27 2011-02-16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FR2918025B1 (fr) * 2007-06-28 2009-10-23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dont la lame comporte un talon mobile dans l'element structurel
FR2923785B1 (fr) * 2007-11-19 2009-12-2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yage pour vitres de vehicule.
DE102008002447A1 (de) 2008-06-16 2009-12-17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8040033A1 (de) * 2008-06-30 2009-12-31 Robert Bosch Gmbh Baureihe eines Wischblatts
CN102211568A (zh) * 2010-04-09 2011-10-12 黄世贤 非支架型雨刷的组合构造
TWI388446B (zh) * 2010-04-09 2013-03-11 Shih Hsien Huang Composition of non - stent - type wipers
DE102010056462B4 (de) * 2010-12-30 2024-05-23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KR101220461B1 (ko) * 2012-10-25 2013-01-10 동양기전 주식회사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용 커넥터 장치
FR3007361B1 (fr) * 2013-06-19 2017-03-03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FR3007362B1 (fr) * 2013-06-19 2017-03-03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N104995067B (zh) 2013-09-11 2017-12-05 阿斯莫株式会社 刮水片以及刮水片的制造方法
JP6244447B2 (ja) * 2016-12-26 2017-12-06 アスモ株式会社 ラバーホルダ及びワイパブレード
DE102021213233A1 (de) 2021-11-24 2023-05-2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schblat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7161B (de) 1962-05-21 1967-08-10 Walter D Appel Scheibenwisch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1505357A1 (de) 1965-01-23 1969-05-29 Otto Bloetz Fahrzeug zur Befoerderung von pulverigem Schuettgut
US3427637A (en) * 1966-08-24 1969-02-11 Hastings Mfg Co Windshield wiper assemblies-metal backing strip
GB1438568A (en) * 1972-09-09 1976-06-09 Fister Snc Di Bosso Giacomo C Windshield wiper blade
DE2311293C3 (de) * 1973-03-07 1975-10-30 Swf-Spezialfabrik Fuer Autozubehoe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 Wischblatt für Scheibenwischanlagen vo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IT1011805B (it) * 1974-04-29 1977-02-10 Fister Sas Di Bosso Giacomo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spazzole tergicristallo aventi l armatura composta da un unico elemento e relative spazzole cosi ottenute
DE8911642U1 (ko) * 1989-09-29 1991-01-3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US5392489A (en) * 1991-06-12 1995-02-28 Cooper Industries, Inc. Antilift wiper blade assembly with integral flexor and airfoil
IT235894Y1 (it) * 1995-07-06 2000-07-18 Cooper Ind Inc Spazzola tergicristallo per veicol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6850B2 (en) 2011-04-13 2021-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isting of a low latency in-memory data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6373A1 (de) 1999-12-29
DE19801058A1 (de) 1999-07-15
WO1999036300A1 (de) 1999-07-22
JP2001516310A (ja) 2001-09-25
ZA99211B (en) 200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091A (ko) 차량 유리면 세척용 와이퍼블레이드
RU2346834C1 (ru) Узел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US8370987B2 (en) Wiper blade
US6836927B2 (en) Wiper blade with wiper strip to carrier element attachment means
RU2369500C1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в сборе с несколькими пластинами
CA2569977C (en) Wiper blade
US20060026786A1 (en) Windshield wiper
RU2255011C2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1310590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6904639B2 (en) Wiper blade for cleaning vehicle panes
KR101052268B1 (ko) 회전형 보조빔을 이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010043911A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KR20060126855A (ko) 와이퍼 블레이드
KR20030041137A (ko) 앞유리의 세척을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탈착식 및 힌지식 결합을 위한 장치
US5724700A (en) Low profile, flat spring windshield wiper assembly
US20100017994A1 (en) Windshield wiper device
KR20100064983A (ko) 와이퍼 블레이드
KR20000068534A (ko) 자동차 유리창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00068926A (ko) 자동차 유리창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80086861A (ko) 지지 마운트, 내부 골격부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
JP2002531325A (ja) 自動車の窓ガラス用のワイパブレード
JP4611983B2 (ja) フロントガラスのワイパー装置
KR20080077167A (ko) 구동 아암 상에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장착하기위한 구부러진 박판으로 이루어진 지지부
EP2983952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FR2733476A1 (fr) Raclette d'essuyage et balai d'essuie-glace equipe d'une telle racl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