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018A -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 Google Patents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018A
KR20000076018A KR1019997008104A KR19997008104A KR20000076018A KR 20000076018 A KR20000076018 A KR 20000076018A KR 1019997008104 A KR1019997008104 A KR 1019997008104A KR 19997008104 A KR19997008104 A KR 19997008104A KR 20000076018 A KR20000076018 A KR 20000076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atient
bcg
cws
immuno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하야시
이치로 아즈마
쿠마오 토요시마
Original Assignee
아키라 하야시
이치로 아즈마
쿠마오 토요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키라 하야시, 이치로 아즈마, 쿠마오 토요시마 filed Critical 아키라 하야시
Publication of KR2000007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0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응답능이 있는 환자에게 피내로 투여되는 경우 인터페론-γ 및 CD28 표지의 혈중 농도에서의 증가로 나타나는 암에 걸린 환자의 면역 응답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유효 성분으로서 세균의 균체 성분을 함유하는 암의 단독 치료를 위한 암 면역 요법제이다.

Description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IMMUNOTHERAPEUTIC AGENT FOR CANCER CONTAINING NUCLEOIDAL COMPONENT OF BACTERIUM AS ACTIVE INGREDIENT}
암의 면역 요법제의 하나로서,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가 공지되어 있고, 특히 BCG(Bacille Calmette-Guerin) 균을 사용한 면역 요법제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치료 성적이 축적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임상에 있는 암면역 요법에 관해서는 특히 1960년대의 후반부터 마테(Mathe) 등이 급성 림프성 백혈병에서, 몰튼(Molton) 등이 흑색종(melanoma)에서 BCG 면역 요법제의 효과를 확인한이래 지금까지 많은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임상 성적으로서 추계학적으로 유의차 검정(무작위 배당법에 의한 대조군과의 생존율)되도록 되고부터, BCG 암면역 요법이 효과가 없다는 예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BCG 암 면역 요법 자체의 유효성이 의문시되고, 사용되는 경우도 많은 경우 화학 요법제 등과 병용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될 뿐이다. 또한, BCG 이외의 세균으로서는 씨 파르붐(C. parvum), 용혈성 스트렙토코쿠스(Hemolytic streptococcus) 및 OK432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사용한 경우에도 BCG와 마찬가지로 유효 및 무효의 보고예로 나누어지고, 이들의 평가도 아직 명확하지는 않다.
그런데, 근래에 BCG 면역 요법제에 있어서는 균체를 분쇄하여 원심분획하여 수득한 세포벽으로부터 조제된 세포골격 성분(cell wall skeleton, CWS)이 사용되어, 부작용의 회피 및 투여량과 회수 조절의 개량이 수행되었다. 그래서, 오사카 대학의 야마무라를 중심으로 BCG-CWS에 뒤이어 엔 루브라(N. rubra)-CWS에 의한 무작위 배당법에 의한 치료 시험이 폐암, 백혈병, 위암 등에서 수행되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추계학적 유의차에 있는 생존 기간의 연장이 보여지기는 했지만 충분하지 않고, 면역 요법으로서는 부정적인 것이었다. 그래서, 현재에는 다음과 같은 평가가 정평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성과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역효과, 무효, 유의성 없음, 유효 및 면역 요법의 유효성을 확정하도록 하는 일정한 방향성이 보이지 않는 것이 현재 상태이다. 그러한 원인은 여러가지가 존재하겠지만, 면역 요법을 보조 요법으로서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추계학적 유의차를 수행한 것에 큰 원인이 있고, 말하자면 직접적인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면역 요법의 한계를 암시하고 있다(암파강좌, 면역과학 7, 이식 면역과 종양 면역, 1984년 2/29 발행, 302쪽).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BCG-CWS의 암면역 요법의 현재 방향에 의문을 갖고, 그 요법의 문제점을 정리하여 종래의 요법이 항암제, 방사선 등의 강력한 면역 억제 효과를 갖는 치료법과 병용되어온 점에 착안하였다. BCG-CWS 및 엔 루브라-CWS 등을 사용한 면역 부활 요법에 대하여 면역 억제 효과를 갖는 화학 요법으로서 모순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래서, BCG-CWS 및 엔 루브라-CWS 등을 사용한 암면역 요법의 유효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면역 부활을 일으키기 쉬운 투여 방법을 확립함과 동시에, 면역 응답능이 적절히 존재하는 환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게 생각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첫번째 치료후, 화학요법 등의 치료와 병용하지 않고 BCG-CWS에 의한 단독 치료를 시험하여, 종래에 없었던 우수한 성적이 수득됨을 발견하였다[Pro. Japan Acad., 70, Ser. B 205-209(1994)]. 그래서, 치료를 받은 환자의 말초혈의 분석으로부터 BCG-CWS의 피내 투여에 의해 명확한 IFN-γ의 유도가 보여진 환자는 완전 치유의 예를 포함한 건강한 상태로 생존하지만, IFN-γ의 유도가 없는 환자는 단기간에 사망함이 분명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BCG-CWS의 접종에 수반하는 IFN-γ의 유도 및 항암 효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직접적으로 관계함을 발견했다(제 54회 암학회 총회 기사, 제 2411 호, 1995년).
본 발명자들은 이들의 지식에 기초하여,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하는 암면역 요법의 단독 요법을 확립함을 목적으로 하여 열심히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요법에 바람직한 면역 응답능을 보유한 환자의 식별을 위해서는 세균의 균체 성분의 접종후의 면역 응답능의 지표로서 IFN-γ 및 G-CSF와 함께 CD28이 적절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면역 응답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번째 치료 요법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이러한 첫번째 치료의 요법 선택이 큰 의미를 가짐을 발견하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이고, 특히 면역 응답능이 있는 환자에 대하여 단독 요법용으로 사용가능한 신규한 암 면역 요법제이다. 또한, 상세하게는 인터페론-γ(IFN-γ) 등의 유도능을 지표로 하여 면역 응답능이 양성인 환자의 수술후 전이를 포함한 재발 또는 2차 암의 발생을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암 면역 요법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IFN-γ 등의 유도능을 지표로 하는 암의 단독 면역 요법용의 신규한 면역 응답능의 검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BCG-CWS의 단독 면역 요법을 받은 급성전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임상 경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100γ의 BCG-CWS를 피내 접종한 후의 생물학적 지표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 측정 시기는 접종전 및 접종후 18시간, 42시간, 7일, 15일, 21일, 28일이다. 도 2A는 말초혈 사이토킨의 양(G-CSF, IL-12, IFN-γ)을 나타내고, 도 2B는 말초혈중의 혈액 세포수(백혈구, 적혈구, 혈소판)를 나타내고, 도 2C는 말초혈중의 백혈구수(과립구, 림프구, 단구)를 나타낸다.
도 3은 BCG-CWS 단독으로 치료된 환자의 IFN-γ 유도시험 및 병후 경과에 대한 면역 억제 요법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중의 면역 억제 치료는 BCG-CWS 면역 요법 전의 화학 요법 및/또는 방사선 요법이다. IFN-γ 유도 시험의 결과는 감작기의 4회차(S4) 또는 치료기의 1회차(T1)에서 수득된 결과이다. 생존 또는 사망은 BCG-CWS 면역 요법 개시후 6개월의 시점에서 판정하였다.
도 4는 BCG-CWS 단독 면역 요법에 의해 치료된 암환자수를 암의 종류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원발성 폐암(비소세포 폐암)에 대하여, 외과 수술이 가능하고 외과 수술후 BCG-CWS에 의한 단독 면역 요법을 받은 환자의 생존 곡선과 1988년부터 1989년까지 오사카 부립 성인병 센터에서 외과 수술을 받은 역사적 대조(control)의 생존 곡선을 비교한 도이다. 유의차 검정의 결과는 진행도 I에서는 로그-랜크(Log-Rank)법에서 p가 0.2287이고, 윌콕슨(Wilcoxon)법에서 p가 0.2313이고, 진행도 II에서는 로그-랜크법에서 p가 0.2037이고, 윌콕슨법에서 p가 0.2115이고, 진행도 III에서는 로그-랜크법에서 p가 0.0009이고, 윌콕슨법에서 p가 0.0012이었다.
도 6은 BCG-CWS에 의한 단독 면역 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원발성 폐암 환자에 있어서, 외과 수술이 가능한 예와 외과 수술이 불가능한 예를 비교한 도이다.
도 7은 목부분 림프절에 전이를 갖는 폐암(대세포암) 환자의 증상 예에 있어서, 이러한 림프절 전이에 대하여 방사선 요법을 실시한 후, 또한 BCG-CWS에 의한 암면역 요법 전의 목부분 CT 스캐닝 사진의 모사도이다.
도 8은 목부분 림프절에 전이를 갖는 폐암(대세포암) 환자의 증상 예에 있어서, BCG-CWS에 의한 암면역 요법을 개시하고 약 1년 반 후의 목부분 CT 스캐닝 사진의 모사도이다.
도 9는 BCG-CWS 면역 요법이 유효하고, 현재 건강한 상태로 생존하고 있는 환자에 있어서, 100γ의 BCG-CWS를 피내 접종한 후의 말초혈의 구성 성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특히 동시 자극성 신호(co-stimulatory signal) CD28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 측정 시기는 접종전 및 접종후 18시간, 42시간, 1주간, 2주간, 3주간, 4주간, 5주간 및 6주간이다. 도 9A는 림프구 표면 표지량(CD28 및 CD46)을 나타내고, 도 9C는 말초혈중의 백혈구수(과립구, 림프구, 단구)를 나타낸다.
도 10은 BCG-CWS 면역 요법이 유효한 환자 7명의 예에 있어서, 100γ의 BCG-CWS를 피내 접종한 후의 동시 자극성 신호 CD28 표지의 변화를 나타낸다. 측정 시기는 접종전 및 접종후 18시간이다. 4명의 예(S. H., Sa. H., E. T., K. O.)에서 CD28 표지의 상승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밝혀진 암면역 요법의 개요를 하기에 설명한다.
BCG-CWS 등을 사용한 면역 요법은 당연한 것이지만, 면역 응답능이 있는 환자에만 유효하다. 또한, 면역 응답능은 첫번째 치료의 요법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능한 외과 수술 등에 의해 생긴 만큼 암세포를 제거한 후, 면역 응답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모든 약제, 방사선 등과의 병용을 하지 않고, BCG-CWS 등의 단독 치료가 원칙이다.
BCG-CWS 등의 접종에 수반하여, 그 말초혈의 구성 성분에는 일과성(一過性)의 연속적인 변화가 발견된다. 그러한 변화는 다음과 같은 본 면역 요법의 유효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 면역 요법이 유효한 환자의 말초혈의 구성 성분 변화
접종후, 약 15 내지 약 18시간을 절정으로 하여 세포 성분으로서는 백혈구의 증가, 특히 과립구의 증가, 림프구의 감소(약 24시간 지속)가 발견된다.
사이토킨(cytokine)으로서는 IFN-γ의 증가(약 30시간 지속), G-CSF의 증가(약 1주간 지속)가 발견된다.
T세포 표면 표지로서는 CD28 강양성의 림프구 군의 증가(약 4 내지 6주간 지속)가 발견되었다.
(2) 면역 요법이 무효인 환자의 말초혈의 구성 성분 변화
상기 세포 성분, 사이토킨 및 T 세포 표면 표지는 어느것에도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면역 요법이 유효한 환자중에서 상기의 구성 성분의 항목내에, CD28에 대하여 증가가 보이지 않은 환자 3명의 예가 발견되었다. 첫번째 치료에서는 이들 환자들은 순조롭게 회복하고 경과했지만, 2년을 경과한 무렵부터 2명에서 흉부로의 전이가 나타나고 모두 사망하였다.
이와 같이, 치료 결과를 예측시키는 면역 응답능의 지표로서는 말초혈의 구성 성분의 상기 변화중에서 IFN-γ 및 CD28이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이러한 면역 응답능에서 첫번째 치료를 포함한 이전의 치료가 어떤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특히 IFN-γ의 유도능으로 확인하여 다음의 사실을 수득하였다.
(1)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요법 등의 면역 응답능에 영향을 미치는 이전의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서는 BCG-CWS 단독 요법에 의해 약 90%의 환자에서 IFN-γ의 유도가 발견되었다.
(2)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요법 등의 면역 응답능에 영향을 미치는 이전의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는 BCG-CWS의 단독 요법을 수행하여도 약 30%의 환자에서 IFN-γ의 유도가 보여지는 데에 그쳤다.
(3) 또한, 생존율에 관하여도 다음과 같이 큰 차이가 발견되었다. IFN-γ가 유도되고, 양성인 환자의 약 90%가 BCG-CWS 치료 개시후 6개월 이상 생존하고 있다. 한편, IFN-γ가 유도되지 않았던 음성의 환자에서는 약 20%가 BCG-CWS 치료 개시후 6개월 이상 생존하는 데에 그쳤다.
이상으로부터, BCG-CWS 등의 암면역 요법으로서는 가능한 외과수술 등에 의해 생긴 만큼 암세포를 제거한 후, 면역 반응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모든 약제, 방사선 등과의 병용을 하지 않고, BCG-CWS 등의 단독 치료가 바람직함이 명백해졌다.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1) 피내 투여에 의해, 암환자에서 혈중 IFN-γ 및 CD28 강양성의 림프구 군의 증가를 지표로 하는 면역 응답능을 유도할 수 있는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단독 요법용의 암 면역 요법제;
(2) (a) 면역능의 저하를 일으키고 있지 않은 환자 및 (b) 뇌, 간장 및 골을 포함하는 원격(遠隔) 전이를 갖지 않은 암환자에게 투여되고, 재발 또는 2차 암의 발생을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암 면역 요법제;
(3) 첫번째 치료에 의해 관해(寬解) 도입 또는 원발소(原發巢) 제거 수술을 받은 암환자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암 면역 요법제;
(4) 암환자가 고형암을 갖는 환자이고, 첫번째 치료가 외과 수술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암 면역 요법제;
(5) 암환자가 비고형암을 갖는 환자이고, 첫번째 치료가 화학 요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암 면역 요법제;
(6) 암의 림프절 전이를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암 면역 요법제;
(7) 환자가 폐암 환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암 면역 요법제; 및
(8) 세균의 균체 성분을 피내 투여한 암환자에서 유래된 혈액에 포함된 IFN-γ 및 CD28 표지를 측정함으로 이루어진 단독 면역 요법의 면역 응답능의 검정 방법.
본 발명의 제 1의 태양은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단독 요법용 암 면역 요법제이고, 세균의 균체 성분으로서는 공지된 항종양 면역 보강제(adjuvant)(암파강좌 면역과학 7, 265쪽 표 5.2, 1984년 발행)이면 적용가능하고, 예를 들면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BCG-CWS, 엔 루브라-CWS 등을 들 수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BCG-CWS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독 요법용의 암 면역 요법제는 바람직하게는 피내 투여에 의해 혈중 IFN-γ 및 CD28 표지의 상승을 지표로 하는 면역 응답능이 유도된 환자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단독 요법용 암 면역 요법제는 비특이적인 면역 요법제이기 때문에, 대부분 모든 암에 대응하여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폐암, 위암, 대장암, 유방암, 설암, 인두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췌장암, 난소암 등의 암의 면역 요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현재까지에서 181건의 예의 암환자에게 본 발명의 단독 요법용 암 면역 요법제를 사용하였지만, 폐암이 가장 많은 75건의 예였다. 그외에 위암, 대장암, 유방암 등 대부분 모든 암을 포함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제 2의 태양은 암환자중에서도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의 바람직한 대상으로는 (a) 면역능의 저하를 일으키고 있지 않은 환자 및 (b) 뇌, 간장 및 골을 포함한 원격 전이를 갖지 않은 환자임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를 암에 대한 계속 유지 요법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암의 전이를 포함한 재발 또는 2차 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첫번째 치료에 의해 관해 도입된 급성 골수성 백혈병 등의 환자 및 외과 수술에 의해 암의 원발소의 제거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를 투여함이 바람직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고형암을 갖는 환자에 대하여 외과 수술에 의해 암의 원발소를 가능한한 제거하고, 그런 후에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이고 있다. 고형암으로서는 폐암, 위암, 대장암 등의 암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폐암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비고형암을 갖는 환자에 대하여 첫번째 치료로서 화학 요법을 사용하여 관해 도입한 후,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를 투여함이 바람직함을 보이고 있다. 비고형암으로서는 백혈병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의 태양은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가 암의 원발소로부터 암이 전이함을 억제함과 동시에, 특히 림프절에 전이한 암에 대하여는 특히 유효함을 보이고 있다. 면역 응답능이 있는 환자, 즉, IFN-γ의 유도 양성의 환자에서는 분명하게 효과가 현저하고, 상당히 큰 림프절 전이에 있어서도 소실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이중에서도 간장, 뇌, 골 등에 있어서 면역 요법 개시전에 이미 거기에 전이하고 있는 것에서는, 가령 IFN-γ의 유도 양성의 환자에서도 효과는 부족함이 보여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 특히 BCG-CWS 면역 요법제가 림프절 전이에 유효한 이유는, CTL(Cytoxic T lymphocyte, 각 암에 특이적으로 작용)의 활성화 및 CD28이 직접 관계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즉, CD28의 양의 상승은 CD28 강양성의 림프구 군의 증가, 즉, 암특이적 CTL의 활성화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7의 태양은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가 폐암 환자에 대하여 사용됨을 나타내고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가장 증세 예의 수가 많은 폐암 환자에 대하여 가장 상세하게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의 효과가 해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8의 태양은 본 발명의 암 면역 요법제를 투여하기에 바람직한 환자의 말초혈의 검정 방법이다. 구체적인 검정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IFN-γ의 유도능의 측정법으로서는 BCG-CWS를 100γ 또는 200γ 접종하기 전 및 접종하고 난 후의 18시간째에 채혈하고 말포혈중의 IFN-γ의 양을 측정하여 IFN-γ의 유도능이 양성인지 음성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측정 시기로서는 BCG-CWS에 대한 면역 응답이 유발되는 감작기(感作期)의 제 4회차와 치료기의 제 1회차가 적절하고, 그로 인해 면역 요법의 계속의 여부를 조기에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말초혈중의 림프구중의 CD28 강양성의 림프구 군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프로사이토미터 (procytometer)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태양은 단독으로 첫번째 치료에 이어서 실시하는 암계속 유지 요법으로서 단독 면역 요법을 받기에 부합하는 암에 걸린 환자의 검정 방법에 그치지 않고, 면역 요법이 부적절하여 다른 치료법이 필요한지를 평가 검정하는 방법으로도 될 수 있다. 따라서, IFN-γ의 유도능이 높은 환자에서는 외과적 수술과 BCG-CWS를 이용한 단독 면역 투여법이 바람직하고, IFN-γ의 유도능이 없는 환자에서는 다른 치료법을 조기에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첫번째 치료에 이어서 환자의 면역능에 따른 적절한 치료 계획이 실시가능하게 된다.
BCG-CWS 접종액의 조제
BCG-CWS는 문헌[아즈마(Azuma) 등, J. Natl. Cancer Inst. 52: 95-101(197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조제될 수 있다.
BCG-CWS 접종액은 문헌[하야시(Hayashi, A.); Proc. Japan Acad., 70, Ser. B(1994)]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BCG-CWS 분말을 5ml 분쇄관(grinder tube)에 넣고, 여기에 26G 주사침을 사용하여 BCG-CWS 1mg에 대하여 한 방울의 비율로 광물유[드라케올(Drakeol-6VR); 미국 버틀러 소재의 펜실바니아 리파이닝 캄파니(Pensylvania Refining Co.)]를 첨가하고, 그 후 고르게 페이스트상이 될 때까지 균질화시킨다. 여기에, 1.1% 트윈(Tween) 80의 가생리적 식염수를 가하고, 균질화시킨다. BCG-CWS를 포함하는 작은 유적의 균일한 현탁액의 최종 농도는 1mg/ml이다. 이러한 오일 부착된 BCG-CWS 현탁액을 60℃에서 30분간 살균한다.
접종 일정
BCG-CWS는 통상적으로 단독 접종이 원칙이다.
접종 일정은 감작기 및 치료기로 나누어진다. 감작기에서는 통상 200γ의 BCG-CWS를 주 1회, 총 4회로 팔의 위부분 외측피내에 좌우 교대로 접종한다. 다음으로 치료기에서는 4주 간격으로 좌우 교대로 접종을 반복한다. 이 치료기의 투여량은 환자의 생체 반응에 따라 10 내지 250γ,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00γ의 범위에서 결정된다.
투여량 결정의 지표가 되는 생체 반응
투여량 결정의 지표가 되는 생체 반응은 국소적 생체 반응과 전신적 생체 반응으로 나누어진다.
(1) 국소적 생체 반응
주로 주사 부위의 피부 반응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적(發赤), 경결(硬結), 또한 궤양 형성이다. 또한, 국소 림프절의 종창(腫脹), 즉 주사 부위에서 소속 림프절에 도달하는 림프관염 및 림프절염도 국소적 생체 반응으로서 드물게 일어나는 것이지만 어느 것이나 일과성이다.
(2) 전신적 생체 반응
환자 자신의 감수성 및 접종량의 관계에서 하기와 같은 일과성의 과잉 반응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지만, 감량에 의해 증상을 경감할 수 있다:
임상 증상: 전신 권태감, 발열, 식사부진, 때때로 구역질, 구토.
임상 검사: 백혈구 증가증, C반응성 단백질(CRP) 상승, 때때로 GOT 및 GPT의 경미한 상승.
상기 국소적, 전신적 생체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에서는 BCG-CWS에 의한 면역 요법의 효과는 기대될 수 없다.
IFN-γ유도능의 측정
IFN-γ 유도능을 측정함으로서, BCG-CWS에 의한 면역 요법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측정은 감작기의 4회차(S4) 및 치료기의 1회차(T1)에서 실시한다. 각각, BCG-CWS 접종전 및 접종후 18시간째에 채혈하여, 말초혈중의 IFN-γ를 측정한다. BCG-CWS 접종에 의해. IFN-γ의 양이 35pg/ml 이상 증가한 경우, IFN-γ 유도능은 양성으로 판정된다.
CD28 유도능의 측정
상기와 마찬가지로 CD28 유도능을 측정함으로써 BCG-CWS에 의한 면역 요법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BCG-CWS 접종전 및 접종후 18시간째에 채혈하여, 말초혈중의 림프구중 CD28 강양성의 림프구 군의 증가를 측정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한 예로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기 생존예
제 1 예
장기 생존예의 제 1 예는 전형적인 급성전 골수성 백혈병 환자이다. 오사카 대학 제 3 내과의 외래 환자를 완전 관해 도입후에 단독 면역 요법을 시작하기 위해 오사카 부립 성인병 센터로 옮겼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 요법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게 관해 도입되었지만, PSK(크레스틴)의 치료 시험에 편입되어 있는 등의 문제가 있고, BCG-CWS 단독의 면역 요법이 불규칙으로 되어 약 1년 반에서 재발하였다. 그 후, 화학 요법을 반복하지 않고, 본격적인 BCG-CWS 단독 요법을 개시한 경우 약 3주간에서 아우에르 소체(Auer body)는 완전히 소실되고, 그 후 재발도 없이 22년을 경과한 현재, 건강하게 보통의 생활을 보내고 있다(도 1 참조).
BCG-CWS 단독 요법에 의해, 재발한 급성전 골수성 백혈병이 완전히 치유된 첫번째 예이다.
제 2 예
제 2 예는 장기 생존 고형암(대장암) 환자의 예로서 72세의 여성이었다. 장폐색으로 발병하고, 외과 수술, 수술후의 화학 요법을 실시하면서 경과를 보고 있을때, 일단 순조롭게 저하해왔던 CEA(암태아성 항원: carcinoembryonic antigen)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고 동시에 암성의 복막염이 함께 발병하였다. 이 환자에게 BCG-CWS에 의한 단독 면역 요법을 시작한 경우, 복수(腹水)는 소실되고, CEA는 완전히 정상화되어, 두번다시 출현하는 경우는 없었다. 이 환자는 15년 생존하여 87세에 사망하였다.
제 3 예
장기 생존예의 제 3 예는 급성전 골수성 백혈병 환자이다. 관해 도입에 성공한 후 곧바로 BCG-CWS에 의한 단독 면역 요법을 시작할 수 있었고, 그 후 재발도 없이 20년이 되고 있는 현재 건강하다.
제 4 예
제 4 예는 폐암(대세포암)의 여성 환자이다. 외과 수술이 가능했기 때문에 수술을 실시하고, BCG-CWS의 단독 면역 요법에 의해 6년후인 현재에도 건강하고, 후에 면역 요법의 효과 판정의 지표인 IFN-γ 발견의 시초가 된 환자이다.
실시예 2
BCG-CWS 접종에 수반하는 생물학적 지표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BCG-CWS 접종후의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측정 가능한 약 12종류의 사이토킨을 통상의 ELISA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G-CSF, IL-6 및 IFN-γ의 3종류가 말초혈에 출현함이 밝혀졌다.
도 2는 100γ의 BCG-CWS를 내피 접종한 후의 생물학적 지표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 도 2A는 말초혈중 사이토킨량(G-CSF, IL-12, IFN-γ)을 나타내고, 도 2B는 말초혈중의 혈액 세포수(백혈구, 적혈구, 혈소판)를 나타내고, 도 2C는 말초혈중의 백혈구수(과립구, 림프구, 단구)를 나타낸다.
BCG-CWS 접종후, 약 15 내지 약 18시간을 절정으로 G-CSF, IFN-γ가, 특히 IFN-γ가 저명하게 유도되지만 IL-12는 출현하지 않았다. 동시에,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과립구 증가증(granulocytosis) 및 림프구 감소증(lymphopenia)이 나타났다. 인상적인 것은 IFN-γ가 약 30시간에서 거의 소실된 것이었다(도 2 참조).
실시예 3
BCG-CWS 단독으로 치료된 환자의 IFN-γ 유도 시험 및 병후 경과에 대한 면역 억제 요법의 영향
현재까지 117명의 환자에 대하여 IFN-γ 유도 시험을 실시할 수 있었다. 그 결과를 BCG-CWS의 단독 면역 요법을 개시하기 전에 항암제 및 방사선과 같이 면역 억제적으로 작용하는 치료를 받았는지 받지 않았는지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도 3과 같이, IFN-γ 양성률은 면역 억제 치료를 받은 군에서는 약 3할로 낮아졌고, 면역 억제 치료를 받지 않은 군에서는 약 9할로 높아졌다. 이들 IFN-γ 양성자는 면역 억제 치료와는 관계없이 약 9할이 BCG-CWS 치료 개시후 6개월 이상 생존하고 있었다. 한편, IFN-γ 음성자는 역으로 생존자가 적어지고, 약 2할이 BCG-CWS 치료 개시후 6개월 이상 생존하는데에 그쳤다.
그 결과는 환자의 면역력에 대한 항암제 및 방사선의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BCG-CWS를 항암제 및 방사선 요법과 병용시키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4
BCG-CWS 단독 면역 요법에 의해 치료한 암환자
현재까지 181건의 환자에게 단독 면역 요법을 실시하였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암이 가장 많은 75건의 예이고, 이하 위암, 대장암, 유방암 등 거의 모든 암을 포함하고 있다. 진행도(스테이지: stage) 별로는 IV기가 가장 많다(도 4).
실시예 5
원발성 폐암 환자에 대한 수술후 단독 면역 요법의 영향
가장 증상예의 수가 많은 원발성 폐암(비소세포폐암)에 대하여, 외과 수술후에 BCG-CWS에 의한 단독 면역 요법을 받은 환자와 1988년부터 1989년까지 오사카 부립 성인병 센터에서 외과 수술을 받은 역사적 대조의 경과를 각각 캐플란-메이어(Kaplan-Meyer)법에 의해 해석하고 수득된 생존 곡선을 비교하였다(도 5). 그 결과, BCG-CWS에 의한 단독 면역 요법을 받은 환자는 진행도 I, II 및 III을 통하여 모두 생존하고 있고, 특히 진행도 III에서는 분명히 전혀 보고되지 않은 정도의 큰 유의차가 수득되었다(로그-랜크법에서 p는 0.0009, 윌콕슨법에서 p는 0.0012이다).
실시예 6
BCG-CWS에 의한 단독 면역 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원발생성 폐암 환자
폐암환자의 BCG-CWS에 의한 단독 면역 요법예에 있어서, 외과 수술 가능한 예 및 불가능한 예를 비교하였다(도 6). 수술 가능한 예에 있어서, 전술한 진행도 I, II 및 III과 비교하여 진행도 IV에서 과도하게 수술한 예는 병후 경과가 악화되고 약 8할이 사망하였다. 또한, 수술이 불가능한 예에서는 진행도 III 및 IV, 특히 IV가 압도적으로 많고 병후의 경과도 대단히 악화되었다. 이들 환자의 대부분은 항암제 및 방사선 요법 때문에 면역력이 극도로 저하된 환자가 많았기 때문에, 면역 요법의 대상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IFN-γ 유도가 확인된 환자에서도 뇌, 간 및 골 등에서의 원격 전이를 갖는 환자만 있었다.
실시예 7
림프절 전이에 대한 치료 효과예
폐암(대세포암) 환자의 증상예(남성)에 있어서, 목부분 림프절로 전이하여서 이 림프절 전이에 대하여 방사선 요법을 실시하였으나 큰 효과가 없었다(도 7, 방사선 요법후, 면역 요법전의 CT 스캔 사진의 모사도 참조).
본 환자에 대하여, BCG-CWS에 의한 암면역 요법을 실시한 경우, 치료 개시하면서 6개월후에 목부 림프절의 종대(腫大)가 거의 소실되었다. 치료 개시후 약 1년 반에 있어서도 목부분 림프절의 종대는 확인되지 않았다(도 8, 면역 요법후의 CT 스캔 사진의 모사도 참조).
실시예 8
BCG-CWS 접종에 따른 말초혈 구성 성분의 변화와 면역 요법의 유효성의 관계
BCG-CWS 접종에 따라서 말초혈의 구성 성분에는 일과성의 연속된 변화가 발견되었다. 그러한 변화는 다음과 같은 본 면역 요법의 유효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1) 면역 요법이 유효한 환자의 말초혈의 구성 성분 변화
면역 요법이 유효하고 현재 건강한 상태로 생존하고 있는 환자 6명의 예에 있어서, BCG-CWS 접종후 약 15 내지 약 18시간을 절정으로 하여 세포 성분으로서는 백혈구의 증가, 특히 과립구의 증가, 림프구의 감소(약 24시간 지속)가 발견되었고, 사이토킨으로서는 IFN-γ의 증가(약 30시간 지속), G-CSF의 증가(약 1주간 지속)가 발견되었다. T세포 표면 표지로서는 CD28의 증가(약 4 내지 약 6시간 지속)가 발견되었다. 도 9에는 BCG-CWS 면역 요법이 유효하고 현재 건강한 상태로 생존하고 있는 환자중 1명의 예의 말초혈의 동시-자극성 신호 CD28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CD28을 포함한 T세포 표면 표지의 측정에 사용한 시료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료
림프구: 통상의 방법에 의해 EDTA를 가한 전체 혈액에 피콜 플라크(Ficoll Plaque, 팔마시아사 제조)를 가하여 정제하고, 조제후 2시간 이내에 사용하였다.
항체: CD28에 대한 단클론성 항체는 생화학공업에서 구입하고, CD46에 대한 단클론성 항체는 오사카 성인병 센터 연구소에서 조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2. 프로사이토미터
정제한 림프구를 해당하는 단클론성 항체와 항온배양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세정하고, 고정한 후 에픽스 프로파일 II(Epics Profile II, 콜타사 제조)에 의해 해석하였다.
도 10은 상기의 면역 요법이 유효한 환자 6명의 예중 4명의 예(S. H., Sa. H., E. T., K. O.) 및 기타 유효예인 3명의 예(Su. H., H. D., N. U.)에 대하여, BCG-CWS 접종전 및 접종후의 CD28 표지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IFN-γ의 증가 등의 상기 항목중,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CD28 표지의 증가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 3명의 예(Su. H., H. D., N. U.)는 어느 경우에도 순조롭게 경과했지만, 2년을 경과할 무렵 2명의 예에서 뇌 전이가 발견되었고, 2명의 모두 사망하였다. 남은 1명의 예는 3년을 경과한 현재에도 건강하다.
(2) 면역 요법이 무효인 환자의 말초혈의 구성 성분 변화
면역 요법이 무효인 환자 1명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의 세포 성분, 사이토킨(특히 IFN-γ) 및 T 세포 표면 표지(특히 CD28)의 어느 것에도 변화가 보이지 않고, 경과는 양호하지 않다.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요법과는 달리,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 암 면역 요법제가 제공된다:
(1) 치료 효과의 질이 양호하게 완전 치유가 예상되고, 장기 생존 예에서도 전이를 포함한 재발 및 2차 암의 발생이 보이지 않는다.
(2) 어느 것보다도 경비가 저렴하다.
(3) 이 치료법은 분류하면 비특이적 활성 면역 요법(non-specific active immunotherapy)이지만, 거의 모든 암에 대응할 수 있고, 환자 체내에서는 암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킬러(killer) 세포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 피부의 상처를 덜어서 QOL(quality of life)이 높다.
(5) IFN-γ 및 CD28을 표지로 하여 치료 효과를 상당히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효과가 기대될 수 없으면 다른 방법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6) 조작이 지극히 간단하고, 계산상으로 1인의 의사가 약 500인의 암환자와 동시 진행으로 치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7)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방광암에 대한 BCG 생약과 달리, 결핵 감염의 걱정이 전혀 없고, 주사 부위에서의 혼합 감염도 없다.

Claims (8)

  1. 피내 투여에 의해, 암환자에서 혈중 IFN-γ 및 CD28 강양성의 림프구 군의 증가를 지표로 하는 면역 응답능을 유도할 수 있는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단독 요법용의 암 면역 요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a) 면역능의 저하를 일으키고 있지 않은 환자 및 (b) 뇌, 간장, 골을 포함하는 원격(遠隔) 전이를 갖지 않은 암환자에게 투여되고, 재발 또는 2차 암의 발생을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첫번째 치료에 의해 관해(寬解) 도입 또는 원발소(原發巢) 제거 수술을 받은 암환자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암환자가 고형암을 갖는 환자이고, 첫번째 치료가 외과 수술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암환자가 비고형암을 갖는 환자이고, 첫번째 치료가 화학 요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암의 림프절 전이를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7.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가 폐암 환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8. 세균의 균체 성분을 피내 투여한 환자로부터 유래된 혈액에 포함된 IFN-γ 및 CD28 표지를 측정함으로 이루어진 단독 면역 요법의 면역 응답능의 검정 방법.
KR1019997008104A 1997-03-07 1997-05-28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KR20000076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53472 1997-03-07
JP5347297 1997-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018A true KR20000076018A (ko) 2000-12-26

Family

ID=1294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104A KR20000076018A (ko) 1997-03-07 1997-05-28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93096B1 (ko)
EP (1) EP0958826A4 (ko)
KR (1) KR20000076018A (ko)
CN (1) CN1248919A (ko)
CA (1) CA2283388A1 (ko)
TW (1) TW473391B (ko)
WO (1) WO1998039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3724A1 (fr) 1998-07-16 2000-01-27 Hayashi, Akira Preparations pour immunotherapie anticancereuse comprenant un constituant somatique bacterien en tant qu'ingredient actif
US7273602B2 (en) 2001-07-19 2007-09-25 Akira Hayashi Immunotherapy for humans
KR20090094090A (ko) * 2006-12-28 2009-09-03 리머릭 바이오파르마 인코오포레이티드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110138354A (ko) * 2009-03-24 2011-12-27 트랜스진 에스.에이. 환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HUE028240T2 (en) 2009-07-10 2016-12-28 Transgene Sa Biomarker Patient Selection and Related Procedures
KR101096577B1 (ko) * 2010-03-09 2011-12-21 백태현 항산균 세포벽골격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120B2 (ja) * 1979-08-28 1985-08-24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抗腫瘍活性物質とその製剤
JPS59161320A (ja) * 1983-03-04 1984-09-12 Maruyama Chisato リポ多糖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H093091A (ja) 1995-06-21 1997-01-07 Rikagaku Kenkyusho ヌクレオシド誘導体物質、その製造法及び抗腫瘍剤
JP3995733B2 (ja) * 1995-07-17 2007-10-24 明治乳業株式会社 免疫賦活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3391B (en) 2002-01-21
CA2283388A1 (en) 1998-09-11
CN1248919A (zh) 2000-03-29
WO1998039017A1 (fr) 1998-09-11
EP0958826A1 (en) 1999-11-24
US6593096B1 (en) 2003-07-15
EP0958826A4 (en) 200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iegler et al. Treatment of Burkitt's tumor with cyclophosphamide
Sevelda et al. CA 125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Dajon et al. Toll like receptor 7 expressed by malignant cells promotes tumor progression and metastasis through the recruitment of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s
Brugarolas et al. Immunologic status in lung cancer
Barlogie et al. Plasma cell dyscrasias
Whitehead et al. Subcutaneous recombinant interleukin 2 in a dose escalating regimen in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adenocarcinoma
Anderson et al. Lymphocyte blastogenic responses to cultured allogeneic tumor cells in vitro
Abdulhay et al. Human lymphoblastoid interferon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epithelial ovarian malignancies: A Gynecologic Oncology Group study
KR20000076018A (ko) 세균의 균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면역 요법제
BRPI0620187A2 (pt) método para a expansão de linfócitos t auxiliares cd4+ e/ou linfócitos t cd8+ reativos a tumor, linfócito-t reativo a tumor, composição farmacêutica, métodos para tratar um indivìduo sofrendo de uma doença de origem neoplástica e para realizar a regressão de tumor em um indivìduo, uso de linfócitos-t reativos a tumor, e, kit
Xue et al.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CXCR1 in different breast tissues and the relevance between its expression and efficacy of neo-adjuvant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Tallberg et al. Active specific immunotherapy with supportive measures in the treatment of palliatively nephrectomized, renal adenocarcinoma patients
Bhatavdekar et al. Circulating markers and growth factors as prognosticators in men with advanced tongue cancer
Hsieh et al. Lysis of primary hepatic tumours by 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s.
Vakil et al. A comparison of the value of 200,000 IU of tetanus antitoxin (horse) with 10,000 IU in the treatment of tetanus
Harshman et al. Serum mucoid levels in patients with cancer and the effect of surgical treatment
van Scoy‐Mosher et al.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JPH10306029A (ja) 細菌の菌体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癌免疫療法剤
Cohen et al. Specific inhibition of sarcoma‐specific cellular immunity by sera from patients with growing sarcomas
Iwase et al. Evaluation of serum tumor markers in patients with advanced or recurrent breast cancer
Kahl et al. Multimodal therapy for localized spinal epidural follicular lymphoma
Osborne et al. Bisantrene, an Active Drug in Patients With Advanced Breast Cancer¹, 2
Miwa et al. Effect of splenectomy and immunotherapy on advanced gastric cancer associated with total gastrectomy
Serke et al.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associated with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in vitro studies demonstrating tumor-derived eosinophilopoietic activity
Srodes et al. Cytogenetic studies during remission of blastic crisis in a patient with chronic myelocytic leukaem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