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675A -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675A
KR20000074675A KR1019990018780A KR19990018780A KR20000074675A KR 20000074675 A KR20000074675 A KR 20000074675A KR 1019990018780 A KR1019990018780 A KR 1019990018780A KR 19990018780 A KR19990018780 A KR 19990018780A KR 20000074675 A KR20000074675 A KR 20000074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mobile telephone
call
mobil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414B1 (ko
Inventor
유건섭
김병구
백혜원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9001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4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전화 단말기로 착신 시도시에 착신 가입자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일 때,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따라 안내메시지를 제공하고, 또한 발신 가입자가 연락받을 번호를 남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 가입자로 하여금 착신 단말기에 대한 궁금점 해소와 착신 가입자에게는 전화를 받을수 없는 상황일 때 연락받을 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받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이동전화 발신시에 이동전화 교환기가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각 상태에 따른 인식번호를 요구하여 인식번호를 부여받는 제 1 단계; 이동전화 교환기가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로 호를 설정하고,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가 접속요구프로토콜(LAPD)을 이용하여 인식번호와 착신 이동전화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발송하는 제 2 단계; 및 인식번호에 따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METHOD OF Cellular Recall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전화 단말기로 착신 시도시에 착신 가입자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중이면서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착신전환, 자동연결)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등록되었어도 사용중이 아님)일 때, 착신 시도시 응답할 수 없는 조건(예를 들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POWER/OFF) 상태, 통화중(BUSY) 상태, 가입자 위치확인 실패(즉, 페이징 무응답)(NPR) 상태, 착신신호는 가는데 무응답(NA)인 상태 등)에 따라 안내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또한 발신자가 연락받을 번호를 입력하면 단문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착신 전화기에 전화번호가 표시되어 착신자가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전화 가입자와 통화를 위해 전화를 걸면 착신 가입자가 응답할 수 없는 상황(예를 들면, 단말기 전원이 꺼진 상태, 통화중, 가입자 위치확인 실패(페이징 무응답), 착신 신호는 가는데 무응답인 경우 등)일 때, 착신 가입자가 소리샘 서비스(VMS : Voice Mail Service)에 등록하여 사용중인 경우에는 착신 가입자의 상태를 발신자에게 알리지 않고 바로 소리샘으로 접속되었으며, 소리샘 접속시에 녹음을 하거나 연락받을 번호를 남기는 절차까지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발신 가입자의 상당수가 안내메시지를 청취하자마자 바로 끊어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때 통화료가 정산되기 때문에 소리샘 서비스의 비효율성과 고객의 불만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착신 가입자가 소리샘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등록하였으나 사용중이 아닌 경우를 포함)에, 착신 가입자가 응답할 수 없는 조건(상기 제시된 4가지 경우와 동일)에 따라 전화 연결이 않되는 안내메시지나 통화중음만 들리게 되어 발신자 입장에서는 급히 연락하고자 할 때 달리 연락할 방법이 없어 답답하기만 하였다. 또한, 착신자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전화가 걸려왔는지를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화를 받을수 있는 조건으로 회복되어도 못받은 전화를 다시 연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연결도 안되는 전화를 여러번 시도하기 때문에 발신자 입장에서는 불쾌지수가 상당히 높아지고, 사업자 측면에서는 통화완료가 않되어 실패호만 발생하여 착신 완료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전화 단말기로 착신 시도시에 착신 가입자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중이면서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착신전환, 자동연결)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등록되었어도 사용중이 아님)일 때,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예를 들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 통화중 상태, 가입자 위치확인 실패(즉, 페이징 무응답) 상태, 착신 신호는 가는데 무응답인 상태 등)에 따라 안내메시지를 제공하고, 또한 발신 가입자가 연락받을 번호를 남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 가입자로 하여금 착신 단말기에 대한 궁금점 해소와 착신 가입자에게는 전화를 받을수 없는 상황일 때 연락받을 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받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전원 오프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통화중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무응답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위치확인 실패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동전화 교환기 12: 신호 중계기
13 : 가입자 위치 등록기 14: 공중망 접속 교환기
15 :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 16 : 이동전화 리콜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
17 : 이동전화 리콜서버 18 : 단문메시지 센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이동전화 발신시에 이동전화 교환기가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각 상태에 따른 인식번호를 요구하여 상기 인식번호를 부여받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가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로 호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가 접속요구프로토콜(LAPD)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번호와 착신 이동전화번호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발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인식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수행후에, 발신 가입자가 상기 안내메시지를 청취한 후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남길시에, 통화료를 정산하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버를 통해 단문메시지 센터로 전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가 상기 착신 이동전화번호의 착신 단말기로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이동전화 발신시에 이동전화 교환기가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각 상태에 따른 인식번호를 요구하여 상기 인식번호를 부여받는 제1 기능;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가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로 호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가 접속요구프로토콜(LAPD)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번호와 착신 이동전화번호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발송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인식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제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3 기능 수행후에, 발신 가입자가 상기 안내메시지를 청취한 후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남길시에, 통화료를 정산하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버를 통해 단문메시지 센터로 전달하는 제4 기능; 및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가 상기 착신 이동전화번호의 착신 단말기로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제5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SMS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가입되어도 비활성화된 경우 착신 시도시 발신 가입자가 연락받을 번호를 남겨서 착신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는 없었던 착신 단말기 상태별로 안내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의 착신 단말기 상태에 대한 궁금점이 해소되는 효과를 가져오며, 멘트 내용도 간편성과 이용자 편리성을 제공하여 단 한번의 멘트 청취로 발신번호를 남기게끔 하여 발착신 가입자로 하여금 서비스 사용을 통해 착신율 향상 및 이에 따른 발신호 유발을 가져올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망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전화 교환기(11), 신호 중계기(12), 가입자 위치 등록기(13), 공중망 접속 교환기(14),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 이동전화 리콜 서버(17), 및 단문메시지 센터(18)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동전화 발신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제공한 후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전달하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절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이동전화 발신시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가 착신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신호 메시지를 신호중계기(12)를 통해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전달하면, 이때 가입자위치등록기(13)는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수 없는 상황(예를 들면, 단말기 전원이 꺼진 상태, 통화중, 가입자 위치확인 실패(페이징무응답), 착신신호는 가는데 무응답인 경우 등)이고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기 위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이동전화 교환기(11)로 전달한다.
이후,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는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를 통해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여 상기한 4가지 상황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만약 발신자가 이를 청취한 후에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남기면 단문메시지 센터(18)을 통해 단문세시지 형태로 착신 가입자에게 연락받을 번호를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가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를 통해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이동전화 발신시에 이동전화 교환기(11)가 이동전화 발신 가입자를 우선 소리샘에 접속시켜 소리샘에서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수 없는 상황(예를 들면, 단말기 전원이 꺼진 상태, 통화중, 가입자 위치확인 실패(페이징무응답), 착신신호는 가는데 무응답인 경우 등)일 때 이동전화 발신 가입자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상태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제공한 후 연락받을 번호를 전달하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4가지 상태(전화기 전윈이 꺼진 상태, 통화중, 가입자 위치확인 실패(페이징무응답), 착신 신호가는데 무응답)일 때, 각각의 4가지 상태를 분리하기 위해 이동전화 교환기(11)와 가입자위치등록기(13)간 신호를 추가, 변경하고,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를 통한 신호전달(LAPD) 프로토콜을 통해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서 4가지 상태에 따른 안내멘트를 제공한다. 이때, 발신 가입자가 안내메시지를 청취한 후에 연락받을 번호를 남기면 연락번호를 남기는 순간부터 통화료 정산되며, 연락받을 번호가 이동전화 리콜 서버(17)를 통해 단문메시지 센터(18)로 전달되어 단문메시지 센터(18)로 전달된 연락받을 번호가 착신 단말기에 단문메시지 형태로 나타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은, 먼저 발신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부터 받게 되면,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로 통화를 위한 호설정을 하게 된다. 이후에,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LAPD : Link Access Protocol D channel)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식번호와 이동전화 착신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전달한다(201).
이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는 각각의 인식번호에 따라(202) 안내메시지를 조건에 맞게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한다(203 내지 206).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입자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POWER/OFF) 상태인 경우에는 "지금은 고객이 전화기 스위치를 끈 상태이오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한다(203). 또한, 가입자의 이동전화 단말기가 통화중(BUSY) 상태인 경우에는 "지금은 고객이 통화중이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한다(204). 또한, 착신신호는 가는데 무응답(NA)인 경우에는 "지금은 고객이 전화를 받지 않으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한다(205). 또한, 가입자의 위치 확인에 실패한 경우(페이징신호에 무응답)(NPR)에는 "지금은 고객과 통화할 수 없으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한다(206).
여기서, 발신 가입자가 안내메시지를 청취한 후에 연락번호를 누르면, 이미 전달된 이동전화 착신번호 정보를 이용해 단문메시지 센터(18)를 통해 착신 가입자 단말기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가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를 통해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이동전화 발신시에 이동전화 교환기(11)가 우선 이동전화 발신 가입자를 소리샘에 접속시켜 소리샘에서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수 없는 상황(예를 들면, 단말기 전원이 꺼진 상태, 통화중, 가입자 위치확인 실패(페이징무응답), 착신신호는 가는데 무응답인 경우 등)일 때 이동전화 발신 가입자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함은 자명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전원 오프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전원이 꺼진 상태일 때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기 위한 호처리(Call Flow) 절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MSINACT"(301)는 이동전화 착신 가입자가 단말기 전원을 끌 경우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에서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단말기의 전원이 꺼졌다는 신호를 전달하는 메시지, "msinact"(302)는 가입자위치등록기(13)에서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로 단말기 전원이 껴졌다는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LOC"(303)는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에서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 "loc"(304)는 가입자위치등록기(13)에서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로 가입자 위치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서, 통화를 위한 이동전화 교환기(11)간 인식번호나 착신 단말기 상태(통화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메시지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전원 오프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은, 먼저 이동전화 단말기가 전원을 끄게 되면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를 통해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전원이 꺼진 상태의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301,302). 이후에, 이 가입자에게 이동전화 단말기나 일반 전화기로 착신 시도를 하게 되면,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가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가입자 위치 정보를 요구하게 되고(303), 가입자위치등록기(13)는 이 가입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미등록이거나 등록되어도 사용중이 아닌 경우)일 때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1540+1)를 리턴하여(304)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도록 한다.
이처럼,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전원이 꺼진 상태일 때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부터 받게 되면(304),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로 통화를 위한 호설정을 하게 된다(305). 이후에,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LAPD)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식번호와 이동전화 착신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전달한다(306).
마지막으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가 가입자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POWER/OFF) 상태에 대해서 "지금은 고객이 전화기 스위치를 끈 상태이오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로 제공한다(307).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통화중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일 때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기 위한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RTR"(402)은 가입자위치등록기(13)가 착신 가입자가 위치해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로 이동전화 교환기(11)간 통화를 위한 인식번호를 요구하는 신호, "rtr"(403)은 착신 가입자가 위치해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가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전달하는 상기 "RTR"(402)에 대한 응답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통화중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은, 먼저 이동전화 가입자가 통화중일 때 이 가입자에게 착신을 시도하게 되면,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가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가입자 위치 정보의 조회를 요구하고(401), 가입자위치등록기(13)는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로 가입자 상태를 요구(RTR)하게 된다(402). 이후에,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가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가입자위치등록기(13)에 통화중이라는 정보를 주게 된다(403). 이때, 가입자위치등록기(13)는 이 가입자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미등록이거나 등록되어도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 해당되면 이동전화 리콜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1540+2)를 리턴하여 준다(404).
이처럼,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일 때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부터 받게 되면(404),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로 통화를 위한 호설정을 하게 된다(405). 이후에,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LAPD)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식번호와 이동전화 착신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전달한다(406).
마지막으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가 가입자의 이동전화 단말기가 통화중(BUSY)인 상태에 대해서 "지금은 고객이 통화중이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로 제공한다(407).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무응답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착신신호는 가는데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착신신호에 응답하지 않을 때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기 위한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TTN"(506)은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가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요구하는 신호, "ttn"(507)은 가입자위치등록기(13)가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로 상기 "TTN"(506)에 대한 응답신호로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전달하는 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무응답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은, 먼저 착신신호는 가는데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무응답인 경우에 이 가입자에게 착신을 시도하게 되면,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가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가입자 위치 정보의 조회를 요구하고(501), 가입자위치등록기(13)는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로 가입자 착신을 위한 정보를 요구한다(502). 이때,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는 가입자위치등록기(13)를 통해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로 가입자 착신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여 준다(503,504).
이후,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와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간에 통화를 위한 호설정이 이루어지고(505), 착신신호는 가는데 착신 가입자가 신호에 응답이 없는 경우에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에서는 이 가입자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미등록이거나 등록되어도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 해당되면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요구하게 되고(506), 이에 대해 가입자위치등록기(13)에서는 이동전화 리콜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1540+3)를 리턴하여 준다(507).
다음으로,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LAPD)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식번호와 이동전화 착신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전달한다(508).
마지막으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서 착신신호는 가는데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무응답(NA)인 경우에 대해서 "지금은 고객이 전화를 받지 않으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로 제공한다(509).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위치확인 실패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이동전화 착신 가입자의 위치 확인에 실패(즉, 페이징에 무응답)한 경우에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기 위한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위치확인 실패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과정은, 먼저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에 실패한 경우에 이 가입자에게 착신을 시도하게 되면,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가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가입자 위치 정보의 조회를 요구하고(601), 가입자위치등록기(13)는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로 가입자 착신을 위한 정보를 요구한다(602). 이때,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는 가입자위치등록기(13)를 통해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로 가입자 착신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여 준다(603,604).
이후,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와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간에 통화를 위한 호설정이 이루어지고(505), 착신 단말기가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에서 가입자 위치 확인을 위해 보낸 페이징신호에 응답이 없을 때 착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b)에서는 이 가입자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미등록이거나 등록되어도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 해당되면 가입자위치등록기(13)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요구하게 되고(606), 이에 대해 가입자위치등록기(13)에서는 이동전화 리콜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1540+4)를 리턴하여 준다(607).
다음으로,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15)가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LAPD)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식번호와 이동전화 착신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로 전달한다(608).
마지막으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16)에서 가입자의 위치 확인에 실패한 경우(페이징신호에 무응답)(NPR)에 대해서 "지금은 고객과 통화할 수 없으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가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a)로 제공한다(609).
이상에서와 같이, 사람과 연락하기 위해 전화라는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가 생활화되어 있는데 이동전화를 걸면 착신이 않되는 경우(즉, 전화기 전원 끈 경우, 통화중인 경우, 신호는 가는데 않받는 경우, 가입자 위치 확인에 실패(페이징 무응답)하는 경우 등)가 있어 불편한 때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착신자에게 전화번호를 통보해서 연락만 되면 불편을 해소할수 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 연결이 즉시 않되는 경우에 전화 연결이 않되는 사유를 음성으로 알려 주고, 만약 전화건 사람이 연락받을 번호를 입력하면 착신 전화기에 전화번호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착신자가 추후에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전화 이용 고객 입장에서는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대방이 전화를 걸어 전화를 받을 수 있고, 착신자에게는 자신한테 전화가 걸려온 사실을 모르고 있는 사실을 깨우쳐 주므로 발착신자 모두에게 만족할만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업자 입장에서는 이동전화 발착신 완료율이 향상되고, 수입증대 및 이동전화 발신 통화량 창출과 소리샘서비스가 대체 가능하므로 투자비 절감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SMS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가입되었어도 비활성화된 경우에 착신 시도시 발신 가입자가 연락받을 번호를 남겨서 착신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의 착신 단말기 상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착신 가입자에게 걸려온 전화를 인지시켜 주며, 메시지 내용의 간편성과 이용자 효율성을 제공하여 단 한번의 메시지 청취로도 발신번호를 남길 수 있도록 하고, 발착신 완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이동전화 발신시에 이동전화 교환기가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각 상태에 따른 인식번호를 요구하여 상기 인식번호를 부여받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가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로 호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가 접속요구프로토콜(LAPD)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번호와 착신 이동전화번호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발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인식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수행후에, 발신 가입자가 상기 안내메시지를 청취한 후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남길시에,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버를 통해 단문메시지 센터로 전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가 상기 착신 이동전화번호의 착신 단말기로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이동전화 발신시에 이동전화 발신 가입자를 소리샘에 접속시켜 소리샘이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일 때 이동전화 교환기가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각 상태에 따른 인식번호를 요구하도록 하여 상기 인식번호를 부여받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는,
    실질적으로,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POWER/OFF), 통화중인 상태(BUSY), 가입자의 위치 확인에 실패한 상태(즉, 페이징 무응답 상태)(NPR), 그리고 착신신호는 가는데 무응답인 상태(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면,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를 통해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전원이 꺼진 상태의 신호를 전달하는 제 6 단계;
    전원이 꺼진 상기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로의 착신시에, 상기 이동전화 발신 교환기가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로 가입자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가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미등록이거나 등록되어도 사용중이 아닌 경우)일 때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1540+1)를 리턴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통화중인 이동전화 착신 가입자로의 착신시에, 이동전화 발신 교환기가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로 가입자 위치 정보의 조회를 요구하는 제 6 단계;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가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로 가입자 상태를 요구하면,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가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에 "통화중" 정보를 제공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가 가입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미등록이거나 등록되어도 사용중이 아닌 경우)일 때 상기 이동전화 리콜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1540+2)를 리턴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착신신호는 가는데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무응답인 경우에 이 가입자에게 착신을 시도하게 되면, 이동전화 발신 교환기가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로 가입자 위치 정보의 조회를 요구하는 제 6 단계;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가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로 가입자 착신을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제 7 단계;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가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이동전화 발신 교환기로 가입자 착신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 8 단계;
    상기 이동전화 발신 교환기와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간에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착신신호는 가는데 착신 가입자가 신호에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가 가입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미등록이거나 등록되어도 사용중이 아닌 경우)일 때,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요구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가 상기 이동전화 리콜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1540+3)를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로 리턴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에 실패한 경우 이 가입자로의 착신시에, 이동전화 발신 교환기가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로 가입자 위치 정보의 조회를 요구하는 제 6 단계;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가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로 가입자 착신을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제 7 단계;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가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이동전화 발신 교환기로 가입자 착신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 8 단계;
    상기 이동전화 발신 교환기와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간에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착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에서 가입자 위치 확인을 위해 보낸 페이징신호에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가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를 받을수 있는 조건(즉,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소리샘이나 다른 부가서비스에 미등록이거나 등록되어도 사용중이 아닌 경우)일 때,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를 요구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가입자위치등록기가 상기 이동전화 리콜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인식번호(1540+4)를 상기 이동전화 착신 교환기로 리턴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가 상기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로 호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가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로부터 상기 인식번호를 받을 때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호설정하기 위한 접속요구프로토콜(LAPD)을 단말기 전원 오프 상태, 통화중 상태, 착신신호는 가는데 무응답 상태, 및 가입자 위치 파악 실패 상태로 각각 구분하여 수신하고, 상기 인식번호와 상기 착신 이동전화번호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가입자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POWER/OFF) 상태일 때, "지금은 고객이 전화기 스위치를 끈 상태이오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제 6 단계;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가입자의 이동전화 단말기가 통화중(BUSY)일 때, "지금은 고객이 통화중이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제 7 단계;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착신신호는 가는데 이동전화 착신 단말기가 무응답(NA)일 때, "지금은 고객이 전화를 받지 않으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가입자의 위치 확인에 실패한 경우(페이징신호에 무응답)(NPR)에, "지금은 고객과 통화할 수 없으니 연락번호를 남긴후 별표를 눌러 주세요"라는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11.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이동전화 발신시에 이동전화 교환기가 가입자위치등록기로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각 상태에 따른 인식번호를 요구하여 상기 인식번호를 부여받는 제1 기능;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가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로 호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전화 중계 교환기가 접속요구프로토콜(LAPD)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번호와 착신 이동전화번호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로 발송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인식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착신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제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능 수행후에, 발신 가입자가 상기 안내메시지를 청취한 후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남길시에, 통화료를 정산하며,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안내멘트 제공장치가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이동전화 리콜 서버를 통해 단문메시지 센터로 전달하는 제4 기능; 및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가 상기 착신 이동전화번호의 착신 단말기로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제5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18780A 1999-05-25 1999-05-25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KR10029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780A KR100295414B1 (ko) 1999-05-25 1999-05-25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780A KR100295414B1 (ko) 1999-05-25 1999-05-25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675A true KR20000074675A (ko) 2000-12-15
KR100295414B1 KR100295414B1 (ko) 2001-07-12

Family

ID=1958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780A KR100295414B1 (ko) 1999-05-25 1999-05-25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587A3 (en) * 2007-12-04 2009-07-23 Kirusa Inc Call comple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666B1 (ko) * 1993-12-28 199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무선 전화기의 통화불능상태 통보방법
KR100210795B1 (ko) * 1996-11-30 1999-07-15 유기범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 발신 불능 안내 방송 방법
KR100282407B1 (ko) * 1998-09-02 2001-02-15 서평원 스위칭 시스템 및 스위칭 시스템에서의 안내방송 운용 방법
KR20000042225A (ko) * 1998-12-24 2000-07-15 윤종용 무선 사설교환시스템에서 무선 단말의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방송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587A3 (en) * 2007-12-04 2009-07-23 Kirusa Inc Call completion
CN101653017A (zh) * 2007-12-04 2010-02-17 基鲁萨有限公司 呼叫完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5414B1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808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lephony call completion
JP3194571B2 (ja) 電話システムの発呼者を被呼者に接続する方法
US87057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lephony call completion
US7974659B2 (en) Repeat dialing in wireless networks to called parties that are powered off
US8116443B1 (en) Automatic callback and caller ID method and system
KR2001002810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불완료호 처리 방법
KR100295414B1 (ko)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JP3037223B2 (ja) 移動電話交換の接続方法
JP309711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式ならびに電話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100965091B1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정보 제공 방법
KR10032965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메시지대기통보방법
JP2001204078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式および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法
KR20060033304A (ko) 통신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에 따른 착신호 제어서비스 방법
KR100215966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KR100305072B1 (ko) 무료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4003954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완료호 자동 연결 서비스 방법
JP2859201B2 (ja) 通話中着信方式
JP3564370B2 (ja) 伝言・電話番号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526497B1 (ko) 디지털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내선 착신 호 처리방법
JPH0198358A (ja) 即時接続交換機の被呼加入者話中時伝言呼処理方式
KR19980037038A (ko)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전환서비스방법
JPH0470090A (ja) 被呼者への保留呼通知方式
JPS63125025A (ja) 不在時着信呼通知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