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2315A - 공기 순환형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공기 순환형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315A
KR20000072315A KR1020000050253A KR20000050253A KR20000072315A KR 20000072315 A KR20000072315 A KR 20000072315A KR 1020000050253 A KR1020000050253 A KR 1020000050253A KR 20000050253 A KR20000050253 A KR 20000050253A KR 20000072315 A KR20000072315 A KR 20000072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cuum cleaner
suction unit
suc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범
최백규
손태영
Original Assignee
안상범
손태영
최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00015836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205450Y1/ko
Application filed by 안상범, 손태영, 최백규 filed Critical 안상범
Priority to KR102000005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2315A/ko
Publication of KR2000007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3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실, 상기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를 상기 흡입 유닛으로 안내하는 송풍관, 상기 흡입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관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관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양탄자 등의 바닥의 틈새 또는 구석의 먼지까지 용이하게 청소하고, 집진실을 거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므로 집진실의 필터에 의해서도 여과되지 않는 미세한 먼지도 포획할 수 있으며, 배출구에 가열 코일을 설치하여 고온의 공기를 배출시키면 집진드기와 같은 해충을 박멸하는 살충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순환형 진공 청소기{AN AIR-CIRCULATED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내부에서 순환시키면서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 청소기(10)에 있어서, 흡입관(11)을 통해 진공 청소기(10)의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먼저 집진실(12)을 거쳐 먼지를 비롯한 동반된 작은 입자가 여과된 후 모터(13)를 통과한다. 그 후, 걸러진 공기는 머플러(14)를 통과하면서 소음되어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즉, 진공 청소기는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만 먼지와 같은 작은 입자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양탄자에 끼거나 바닥에 달라붙은 작은 입자를 흡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은 입자를 청소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부근에 브러시를 설치하고 이 브러시로 작은 입자를 양탄자 또는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흡입력에 의해 입자를 흡입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구석이나 철망 아래의 먼지는 흡입하기가 어렵다.
다른 방법으로서, 배출구에 송풍관을 연결하여 입자를 불어내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구석이나 철망 아래의 작은 입자를 송풍되는 바람으로 부양시키고, 부양된 작은 입자를 다시 흡입구를 통해 진공 청소기 내부로 흡입시킬 수 있다. 하지만,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부양된 입자는 쉽게 멀리까지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흡입구의 흡입력에 의해서도 충분히 흡입되지 않는다. 또한, 송풍관의 배출구와 흡입구는 인접 배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부양된 입자를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는 것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청소의 효과가 반감된다. 더욱이 부양된 입자는 이미 청소한 구역까지 다시 더럽힘으로써 오히려 청소 효과를 저해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목적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후 집진실을 통과한 공기를 다시 흡입구 둘레로 안내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가열 코일을 구비함으로써 고온 공기를 방출하여 살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상세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3의 B 부분의 상세한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E 부분의 일부 절개한 종단면도로 체크 밸브의 조작에 따른 공기 흐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관형 부재 내에 배치된 가열 코일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측면과 상면에 냉각 수단이 설치된 흡입 유닛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F-F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세한 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도 13의 G-G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로서 체크 밸브의 조작에 따른 공기 흐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20, 154 : 흡입구 30, 141, 341 : 흡입관
40 : 집진실 50 : 모터
60, 142, 342 : 송풍관 70, 157 : 배출구
112 : 송풍 통로 150, 250 : 흡입 유닛
370 : 가열 코일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실, 상기 흡입 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집진실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 그리고 상기 배출구와 상기 송풍관을 연결하는 가요성 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송풍관의 말단부는 그 단면적이 작아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유닛이 상기 배출구 둘레에 개방된 흡입구를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집진실을 연결하는 흡입관, 그리고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관형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관형 부재가 상기 흡입 유닛에 대해 피벗 가능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유동하는 공기 흐름을 변경시킬 수 있는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흡입 유닛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에 의해 변경된 공기 흐름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실, 상기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를 상기 흡입 유닛으로 안내하는 송풍관, 상기 흡입 유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관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흡입관과 상기 송풍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관형 부재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관형 부재는 경질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관형 부재가 상기 흡입 유닛에 대해 피벗 가능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관형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열 코일, 그리고 상기 배출구와 상기 송풍관을 연결하는 가요성 관을 더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관의 말단부가 그 단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관형 부재가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배출구가 슬릿 형태이고, 상기 흡입 유닛이 상기 배출구 둘레에 개방된 흡입구를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흡입 유닛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제2 배출구, 그리고 상기 송풍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유동하는 공기 흐름을 상기 제2 배출구 쪽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체크 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실, 상기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송풍관,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송풍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 코일을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송풍관은 상기 가열 코일이 배치되는 부분이 경질 재료로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바닥에 들러붙은 먼지와 같은 오물 입자를 부양시킨 후 흡입구를 통해 청소기 내부로 흡입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닥의 틈새 또는 구석에 있는 오물까지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집진실을 거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므로 집진실의 필터에 의해서도 여과되지 않는 미세한 먼지도 포획하여 더욱 청결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배출구에 가열 코일을 설치하여 고온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진드기와 같은 실내에 기생하는 해충을 박멸하는 살충 장치의 기능도 역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하지만,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터(50)가 작동하면 흡입 유닛의 흡입구(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흡입관(30)을 통해 집진실(40)로 안내된다. 흡입된 공기는 집진실(40)에서 먼지, 작은 입자 등이 여과된 후 모터(50)를 경유해 송풍관(60)으로 유동된다. 그 후, 여과된 공기는 송풍관(60)을 통해 배출구(70)로 안내되어 배출구(70)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7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바닥에 부딪쳐 와류를 형성하고 바닥에 부착된 먼지 또는 작은 입자를 부양시킴으로써, 이들 입자가 흡입구(20)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는 하우징의 내부에 집진실 및 모터를 구비하는 본체(110), 일단이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벨로즈 부재(120), 일단이 상기 벨로즈 부재(120)의 타단에 결합된 손잡이가 달린 조작부(130), 일단이 상기 조작부(130)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관형 부재(140), 그리고 상기 관형 부재(140)의 타단에 피벗(pivot) 가능하게 연결된 흡입 유닛(150)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 요소 중에서, 벨로즈 부재(120), 조작부(130) 및 관형 부재(140)는 모두 본체(110)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흡입 유닛(150)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부분인 송풍관과, 흡입 유닛(150)에서 흡입된 공기를 본체(110)로 안내하기 위한 부분인 흡입관으로 이루어진 2개의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0)에 수용된 모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흐름은 화살표 C로 지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외측의 송풍 통로(112) 및 연결부(113)를 통해 유동한 후, 벨로즈 부재(120)의 암형 연결부(122)를 통해 벨로즈 부재(120)의 송풍관으로 유동한다.
한편, 벨로즈 부재(120)의 흡입관으로부터 본체(110)로 흡입되는 공기 흐름은 화살표 D로 지시한 바와 같이 벨로즈 부재(120)의 수형 연결부(121)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유동된다. 이 때, 송풍 통로(112)로부터 연장된 본체(110)의 수형 연결부(113)는 벨로즈 부재(120)의 암형 연결부(122) 안으로 끼워 맞춰져 있으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벨로즈 부재(120)의 수형 연결부(121)는 본체(110)의 쇼울더(114) 안쪽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공기가 유동할 때 벨로즈 부재(120)의 연결부들(121, 122) 및 본체(110)의 수형 연결부(113)와 쇼울더(114) 사이로 새어나갈 가능성을 최소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수형 연결부(113)와 그 우측의 암형 연결부(115)는 각각 대체로 반원형의 형상이며, 벨로즈 부재(120)의 수형 및 암형 연결부(121, 122)는 각각 상기 본체(110)의 수형 및 암형 연결부(113, 115)에 상응하는 반원형 형상을 하고 있다.
한편, 쇼울더(114) 내주(內週)의 연결부들(113, 115) 상측에는 반원형의 제1 맞대기부(116)가 형성되고, 벨로즈 부재(120)의 연결부들(121, 122)의 상측에도 역시 반원형의 제2 맞대기부(124)가 형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 맞대기부(116, 124)는, 본체(110)의 연결부들(113, 115)과 벨로즈 부재(120)의 연결부들(121, 122)을 서로 끼워 맞춰서 결합시킬 경우에 서로 맞대어지고 그에 따라 2개의 수형 연결부(113, 121)가 각각의 상응하는 암형 연결부(122, 115) 안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벨로즈 부재(120)의 제2 맞대기부(124)에는 3개의 플러그(12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0)의 제1 맞대기부(116)에는 상기 플러그(124)에 상보하는 형상의 3개의 소켓(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러그(124)와 소켓(117)은 본체(110)로부터 조작부(13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조작부(130)의 전기적 신호를 본체(11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24)와 소켓(117)의 수효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그 수효는 가감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124)가 끼워 맞춰지기 위한 소켓(117)은 플러그(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편의상 도 7과 도 8을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관형 부재(140)의 일부와 흡입 유닛(150)의 종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관형 부재(140)는 격벽(143)에 의해 흡입관(141)과 송풍관(142)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종단면이 원형인 단부(144)를 구비한다. 단부(144)는 흡입 유닛(150)의 상보적 형상의 오목부(152) 내에 조인트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 유닛(150)의 내부 공간(153)으로 개방되어 유입구(144)를 형성하고 있다. 흡입 유닛(150)에 조인트 결합된 관형 부재(140)는 도 7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유닛(150)에 대해 각도 α만큼 피벗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α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관형 부재(140)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관형 부재(140)의 유입구(144)에 인접한 부분에서 송풍관(142)은 단차에 의해 형성된 하부 격벽(143-1) 및 추가된 상부 격벽(143-2)에 의해 그 위치가 흡입관(141)의 중앙으로 이동되고 단면적이 축소된 말단 송풍관(142-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말단 송풍관(142-1)은 그 단부가 관형 부재(140)의 회전의 중심 CR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말단 송풍관(142-1)은 관형 부재(140)의 회전 시에도 그 위치 이동이 최소한으로 한정된다. 또, 말단 송풍관(142')은 흡입 유닛(150)에 배치되어 배기관(156) 및 슬릿형 배출구(157)에 연결된 벨로즈 부재(155)에 결합되어 있다. 말단 송풍관(142-1)과 배기관(156) 사이가 가요성을 갖는 벨로즈 부재(15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말단 송풍관(142-1)이 회전하여도 말단 송풍관(142-1)과 배기관(156) 사이는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송풍관(142) 및 말단 송풍관(142-1)을 통해 유동된 공기는 벨로즈 부재(155), 배기관(156) 및 배출구(157)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말단 송풍관(142'), 벨로즈 부재(155) 배기관(156) 및 배출구(157)의 단면적이 송풍관(142)에 비해 작기 때문에 배출구(155)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흐름은 송풍관(142) 내에서보다 빨라진다. 그에 따라, 빠른 공기의 흐름은 바닥에 달라붙어 있거나 구석에 끼어있는 먼지 또는 작은 입자에 강한 힘을 가해 이들을 용이하게 떼어내어 부양시킬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할 때, 흡입 유닛(150)은 내부 공간(153)이 형성된 하우징(151), 전술한 벨로즈 부재(155) 배기관(156) 및 배출구(157)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우징(151)의 하측에는 흡입 유닛(150)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2쌍의 바퀴(158, 159)가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51)의 하측은 개방되어 흡입구(15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내부 공간(153)은 외부 공간을 통해 배출구(157)와 연결된다.
한편, 내부 공간(15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144)를 통해 흡입관(14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출구(157)로부터 분사된 공기 및 이 공기에 의해 부양된 먼지, 작은 입자 등의 오물은 하우징(151) 하측의 흡입구(154)와 내부 공간(153)을 통해 유입구(144)를 통해 흡입되어 흡입관(141)을 통해 본체(100) 쪽으로 유동된다.
먼지 또는 작은 입자는 고속으로 배출 또는 흡입되면서 관형 부재(140) 또는 흡입 유닛(150)의 여러 구성 요소와 충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유해한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흡입 유닛(150)의 바퀴(158, 159)를 도전성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158, 159)는 외주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제 또는 카본블랙으로 코팅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바퀴(158, 159)를 이들 금속이나 카본블랙이 배합된 플라스틱 또는 도전성이 우수한 폴리아닐린과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퀴(158, 159)를 전도성 재료로 구성하면, 발생된 정전기는 바퀴를 통해 바닥과 접촉하고 그에 따라 바닥을 따라 퍼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소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E 부분의 일부 절개한 종단면도로서 체크 밸브의 조작에 따른 공기 흐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9와 도 10a 내지 도 10c를 연계하여 기재한다.
도 9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200)는 본체(210)의 우측에 체크 밸브(260) 및 복수의 미늘 형태의 제2 배출구(261)를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체(210)는 내부 공간(211)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 통로(2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송풍 통로(212)에는 본체(210)의 우상단 부분에 "C"자 형태의 밸브 부재(262)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262)의 우측의 본체(210) 내의 공간에는 머플러(264)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경우 머플러(264)는 유동되는 공기의 미세한 먼지를 포집할 수 있도록 스펀지 등과 같은 미소공이 형성된 재료로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집진실에 의해 포집되지 않은 미세한 먼지가 머플러(264)에 의해 포집되고 또한 배출되는 소음도 감소하면서 공기가 제2 배출구(261)를 통해 청소기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밸브 부재(262)는 송풍 통로(212)와 머플러(264)를 연결하는 개방부(263)를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도 10a에 있어서, 본체(210)의 내부 공간(211)에 연결된 송풍 통로(212)를 통해 공기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유동되어 흡입 유닛(250) 쪽으로 송풍되고 있다. 이 때는 체크 밸브(260)가 도 9의 P1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밸브 부재(262)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β만큼 회전함으로써 송풍 통로(212)와 머플러(264) 사이의 개방부(262)를 일부 개방시키며, 그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는 머플러(264)와 제2 배출구(2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의 체크 밸브(260)는 도 9에서 P2에 위치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밸브 부재(262)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γ만큼 완전히 회전되어 있으며, 이 경우 체크 밸브(260)는 도 9에서 P3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밸브 부재(262)는 송풍 통로(212)와 머플러(264) 사이의 개방부(262)를 완전히 개방시키며, 송풍 통로(212) 자체는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송풍되는 공기는 더 이상 송풍 통로(212)를 통해 흡입 유닛(250) 쪽으로 유동되지 않으며 개방부(262), 머플러(263) 및 제2 배출구(261)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송풍 통로(212)에는 멈춤 홈(26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밸브 부재(262)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200)에 있어서, 송풍 통로(212) 및 이 송풍 통로(212)에 연결된 흡입 유닛(250)에 배치된 슬릿형 배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부양된 먼지 또는 입자를 보다 확실히 포획하여 청소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밸브(260) 및 밸브 부재(262)는 도 9에서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개시되었지만,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자식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조작부(230)에서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관형 부재 내에 배치된 가열 코일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형 부재(340)는 제1 실시예의 관형 부재(140)에서와 동일하게 격벽(343)에 의해 2개의 통로 즉, 흡입관(341)과 송풍관(342)으로 분할되어있다. 도시된 송풍관(342) 내에는 가열 코일(3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열 코일(370)은 작동되면 송풍관(342)을 통해 흡입 유닛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킴으로써 흡입 유닛 쪽의 배출구를 통해 고온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해준다. 이 때, 가열 코일(370)에 의해 발생한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송풍관(342)의 내벽은 고온에도 변형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코일(370)에 의해 고온 공기를 양탄자나 침대 시트 등에 배출하면 이들에 기생하는 집진드기와 같은 해충을 구제하는 살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해충은 집진드기의 경우 54.5℃ 이상의 온도에 3초 이상 노출되면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해충을 구제하기 위해 배출구에서 대략 55~150℃ 정도의 고온 공기, 바람직하게는 60~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100℃ 정도의 고온 공기가 배출되도록 가열 코일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관(342)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흡입 유닛을 통해 다시 흡입되어 청소기 본체를 통해 순환되므로, 일단 가열된 공기는 쉽게 냉각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공기의 열손실이 적기 때문에, 소량의 전력만을 사용하여도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 공기를 제공하기가 용이하고 또 그 온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적절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관형 부재(340)의 흡입 유닛 쪽의 단부에 온도 감지용 센서를 부착하고, 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가열 코일(370)에 가해지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온도로 가열 코일(370)을 가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의 외측면과 상면에 냉각 수단이 설치된 흡입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F-F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12와 도 13을 연계하여 기재한다.
흡입 유닛(350) 하우징(351)의 외측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된 냉각 수단(380)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제조되며, 그 기부(381)가 하우징(351)의 내부 공간(353)에 노출되고 다수의 핀(382)이 외기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353)의 고온 공기에 함유된 열은 기부(381)로 쉽게 전달되어 다수의 핀(382)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흡입 유닛(35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수단(380)은 청소기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와 같은 흡입 유닛(350)의 구성 요소에도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고온 공기에 노출되는 경우, 저속 회전으로도 다량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링 블로워(ring blower)와 같은 강력 송풍기를 모터로 채용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모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세한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14와 도 15를 연계하여 기재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조작부(430)는 후방의 손잡이(434) 및 상부에 배치된 2개의 조작 스위치(435, 43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위치(435)는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이고, 제2 스위치(43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 코일(37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제1 스위치(435)는 ON/OFF 및 강약 조절이 가능한 반면, 제2 스위치(436)는 ON/OFF 기능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스위치(436)에 온도 조절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조작부(430) 측면에는 제2 흡입 유닛(49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흡입 유닛(490)은 체크 밸브(491) 및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구(492)를 구비한다. 체크 밸브(491)는 2개의 위치 즉 P1과 P2로 설정될 수 있는데 P1의 위치에서는 제2 흡입구(492)는 폐쇄되며, P2의 위치에서는 제2 흡입구(492)가 개방된다. 이러한 제2 흡입구(492)의 개폐에 관해서는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4의 G-G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로서 체크 밸브의 조작에 따른 공기 흐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조작부(430) 내에는 흡입관(431) 및 송풍관(4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흡입 및 송풍관들(431, 432)은 격벽(433)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격벽(433)의 흡입관(431) 쪽의 측면에는 돌기부(49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부(494) 내측의 곡률은 밸브 부재(493)의 곡률과 동일하다. 따라서, 돌기부(494)는 밸브 부재(493)가 도 16b와 같이 회전하면 밸브 부재(493)와 밀착되게 맞닿음으로써 흡입관(431)을 완전히 차단한다.
한편, 제2 흡입 유닛(490)은 조작부(430)의 흡입관(431)과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에 밸브 부재(493)가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밸브 부재(493)의 위치는 도 15의 체크 밸브(491)의 P1의 위치에 해당하며, 이 때는 제2 흡입구(492)를 폐쇄하고 있다. 체크 밸브(491)를 도 15의 P1로부터 P2로 회전시키면 밸브 부재(493)는 각도 δ만큼 선회하여 흡입관(431)을 폐쇄하고 제2 흡입구(492)를 개방시킨다. 이렇게 되면, 공기는 제1 흡입 유닛의 흡입구로부터 흡입되지 않고 제2 흡입 유닛(490)의 흡입구(492)를 통해서만 흡입된다. 이러한 제2 흡입 유닛(490)은 진공 청소기가 송풍의 기능만이 요구될 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흡입 유닛(490)은 조작부(430)가 아닌 청소기 본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작부(430)에서 전자식으로 제2 흡입 유닛(490)을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또는 송풍관에 살충제 또는 향기가 저장된 용기를 설치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이 경우,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킬 때 이러한 용기에 저장된 살충제 또는 향기가 실내에 분산되어, 살충 효과 또는 방향 효과에 의해 쾌적한 실내 환경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의 표면에 흡입구를 밀착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소형으로 구성하면 컴퓨터와 같은 사무 기기 및 자동차 내부의 청소에도 역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바닥에 들러붙은 먼지와 같은 오물 입자를 부양시킨 후 흡입구를 통해 청소기 내부로 흡입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닥의 틈새 또는 구석에 있는 오물까지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집진실을 거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므로 집진실의 필터에 의해서도 여과되지 않는 미세한 먼지도 포획하여 청결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배출구에 가열 코일을 설치하여 고온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집진드기와 같은 해충을 박멸하는 살충 장치의 기능도 역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실;
    상기 흡입 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집진실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흡입 유닛이 상기 배출구 둘레에 개방된 흡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상기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상기 송풍관을 연결하는 가요성 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의 말단부는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슬릿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집진실을 연결하는 흡입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관형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흡입 유닛에 대해 피벗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유동하는 공기 흐름을 변경시킬 수 있는 체크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에 의해 변경된 공기 흐름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0.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실;
    상기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를 상기 흡입 유닛으로 안내하는 송풍관;
    상기 흡입 유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관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흡입관과 상기 송풍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관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열 코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흡입 유닛에 대해 피벗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상기 송풍관을 연결하는 가요성 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의 말단부는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슬릿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배출구 둘레에 개방된 흡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제2 배출구 그리고 상기 송풍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유동하는 공기 흐름을 상기 제2 배출구 쪽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체크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9.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실;
    상기 집진실에서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송풍관;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송풍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000050253A 2000-06-02 2000-08-29 공기 순환형 진공 청소기 KR20000072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253A KR20000072315A (ko) 2000-06-02 2000-08-29 공기 순환형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36U KR200205450Y1 (ko) 2000-06-02 2000-06-02 송풍 및 진공청소기
KR2020000015836 2000-06-02
KR1020000050253A KR20000072315A (ko) 2000-06-02 2000-08-29 공기 순환형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315A true KR20000072315A (ko) 2000-12-05

Family

ID=2663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253A KR20000072315A (ko) 2000-06-02 2000-08-29 공기 순환형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23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391B1 (ko) * 2005-11-03 2006-12-22 동우기연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7836548B2 (en) 2005-05-12 2010-11-23 Bukang Sems Co., Ltd. Vacuum cleaner
CN107468149A (zh) * 2017-10-13 2017-12-15 镇江江润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线路板吸尘器
KR200488006Y1 (ko) * 2018-06-15 2018-12-04 강세윤 청소기의 굵은 쓰레기 걸림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55A (ko) * 1994-08-22 1996-03-22 한동근 금이 피복된 황색 안료를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960013324U (ko) * 1994-10-17 1996-05-17 오영택 열풍 분출기능을 겸한 진공청소기
KR970000167A (ko) * 1996-10-28 1997-01-21 강남규 공기순환식 진공청소기
JPH0923999A (ja) * 1995-07-07 1997-01-28 Masami Onaki 排気の出ない電気掃除機
JPH09135795A (ja) * 1995-11-14 1997-05-27 Kazuichi Tsukamoto 電気掃除機
KR970032700A (ko) * 1995-12-07 1997-07-22 구자홍 배기환류 청소기의 석션 파이프 구동 장치
JPH09285426A (ja) * 1996-04-24 1997-11-04 Yasuo Abe 掃除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55A (ko) * 1994-08-22 1996-03-22 한동근 금이 피복된 황색 안료를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960013324U (ko) * 1994-10-17 1996-05-17 오영택 열풍 분출기능을 겸한 진공청소기
JPH0923999A (ja) * 1995-07-07 1997-01-28 Masami Onaki 排気の出ない電気掃除機
JPH09135795A (ja) * 1995-11-14 1997-05-27 Kazuichi Tsukamoto 電気掃除機
KR970032700A (ko) * 1995-12-07 1997-07-22 구자홍 배기환류 청소기의 석션 파이프 구동 장치
JPH09285426A (ja) * 1996-04-24 1997-11-04 Yasuo Abe 掃除機
KR970000167A (ko) * 1996-10-28 1997-01-21 강남규 공기순환식 진공청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6548B2 (en) 2005-05-12 2010-11-23 Bukang Sems Co., Ltd. Vacuum cleaner
KR100660391B1 (ko) * 2005-11-03 2006-12-22 동우기연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N107468149A (zh) * 2017-10-13 2017-12-15 镇江江润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线路板吸尘器
KR200488006Y1 (ko) * 2018-06-15 2018-12-04 강세윤 청소기의 굵은 쓰레기 걸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75894B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cleaner and vacuum-cleaner having the same
US20080189905A1 (en) Method of cleaning an hvac air duct
CN101357052A (zh) 立式真空吸尘器
KR20000072315A (ko) 공기 순환형 진공 청소기
TW200928244A (en) Air conditioner
JP354226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GB2406783A (en) An airflow diverter for an upright vacuum cleaner
KR100408355B1 (ko) 전기청소기
CN217408692U (zh) 清洁机器人
KR20100003394A (ko) 진공청소기능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JPH119507A (ja) 吸引掃除機
US6813807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secondary dirt and dust collection inlet
JP2002291663A (ja) 電気掃除機
JP3482138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4559610B2 (ja) 電気掃除機
JP2001212042A (ja) 吸込口体およびこの吸込口体を用いた循環式電気掃除機
JP2683353B2 (ja) 電気掃除機
JP3162031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H11206628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込み口体
KR20010059857A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
JP3291496B2 (ja) 電気掃除機
JP3163276B2 (ja) 電気掃除機
JPH11221175A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JP3482145B2 (ja) 空気循環式電気掃除機
JP200117866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