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87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871A
KR20000071871A KR1020000023045A KR20000023045A KR20000071871A KR 20000071871 A KR20000071871 A KR 20000071871A KR 1020000023045 A KR1020000023045 A KR 1020000023045A KR 20000023045 A KR20000023045 A KR 20000023045A KR 20000071871 A KR20000071871 A KR 2000007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machine
tank
housing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883B1 (ko
Inventor
마쯔모또마사까즈
반바요시까즈
사라다기요시
나까니시다께히로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455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433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245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12795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7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조가 하우징 내에서 현수된 구성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가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져 항상 배치되도록 안정되게 현수할 수 있는 현수 수단을 제안한다. 그를 위해, 세탁조(3)를 기울어지게 현수하기 위한 현수봉(4)은 전방 현수봉(41)과 후방 현수봉(42)을 갖는다. 전방 현수봉(41)은 종래의 현수봉과 같이 외조(31)의 하부를 지지하는 현수봉이다. 후방 현수봉(42)에는 전방 현수봉(41)의 약 절반의 길이로써, 외조(31)의 후방측을 현수한다. 후방 현수봉(42)은 외조(31)의 후방측 중앙부 부근을 현수하고, 게다가 그 도중에 방진 기구(45)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조(3)를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해 안정되게 현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ER}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외조와 그 속에 세탁겸 탈수조가 동축으로 수납된 전자동 세탁기 등의 전기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이 끝난 세탁물을 세탁조로부터 취출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세탁조 등을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한다고 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7-265584호 공보에는 세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후방 다리가 신축 가능하게 되고, 세탁이 끝난 세탁물을 취출할 때 후방 다리가 연장되어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기 전체를 기울어지게 할 수 있어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한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세탁기는 후방 다리를 연장시켜 세탁기 전체를 기울어지게 하기 때문에, 후방 다리 신축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세탁조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까지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세탁기 전체가 움직이는(경사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거나 하는) 것을 배려해 세탁기를 배치해야만 한다. 이로 인해, 세탁기에 인접하여 수납 선반 등을 배치하기 어려운 등의 결점이 있었다.
한편, 세탁조를 단순히 기울어지게 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려고 하면, 경사진 세탁조를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을 대형화해야만 한다. 그리고, 대형화한 세탁기는 일정한 규격 치수로 설정된 방수 팬에 수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세탁조가 외조 및 내조를 갖고, 이 세탁조가 하우징 내에서 현수된 구성의 전자동 세탁기 등에 있어서는 현수된 세탁조가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져 항상 배치되도록 현수 수단의 구성을 연구해야만 하고, 종래 세탁조를 항상 기울어지게 현수한다고 하는 구성은 제안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그것을 실현하는 현수 수단도 고안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세탁조로부터 세탁물을 취출하기 쉬운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 내에서 세탁조가 현수된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가 항상 원하는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현수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조가 현수된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가 항상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게다가 세탁 및 탈수시의 진동 등이 적은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현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외형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안정되게 세탁조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도록 현수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세탁기의 개략 구성의 측면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세탁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며, 종래의 세탁기도 파선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한 세탁기의 평면도이며, 상면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한 세탁기의 전방부 현수봉의 단면도.
도5는 도1에 도시한 세탁기의 후방부 현수봉의 단면도.
도6은 도5와 다른 현수봉의 단면도.
도7은 도1에 도시한 세탁기의 현수봉의 다른 부착 방법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8은 도1에 도시한 현수봉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a)에 비교예를, (b)에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도1에 도시한 현수봉의 부착 방법를 도시한 평면 모식도.
도10은 도1에 도시한 세탁기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11은 도1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수구(注水口) 및 세탁조 상부의 측면 단면도.
도12는 도1에 도시한 세탁조의 일수(溢水) 구멍 근방 부분의 단면도.
도13은 도1에 도시한 세탁기의 하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기
2 : 하우징
2a : 전방면
2b : 좌측면
2c : 우측면
2d : 배면
3 : 세탁조
3a : 상부 개구
21 : 주 부재(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하는 부재)
22 : 정면판(배면 부재)
22a : 정면판의 하부
22b : 정면판의 상부
23 : 상면판(상면 부재)
23b : 돌출부
25 : 보강재
31 : 외조
32 : 내조
32a : 작은 구멍
70 : 조작부
72 : 조작면
K : 경사 각도
CL : 중심축선
VL : 연직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외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현수 수단으로 현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로써, 세탁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조와, 외조 내에 동축으로 수납된 원통형의 세탁겸 탈수조로서의 내조를 포함하고, 세탁조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그를 위해 상기 현수 수단은 세탁조의 경사 방향 하측(정면측)을 현수하는 제1 현수 수단과 세탁조의 경사 방향 상측(배면측)을 현수하는 제2 현수 수단을 갖고, 제1 현수 수단은 상부가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부는 제2 현수 수단에 비해 외조의 상대적으로 낮은 부위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제2 현수 수단은 상부가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부는 제1 현수 수단에 비해 외조의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구성에 따르면, 세탁조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현수되어 있다. 세탁조의 경사 방향 하측을 현수하는 제1 현수 수단은 세탁조의 외조의 상대적으로 낮은 부위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한편, 세탁조의 경사 방향 상측을 현수하는 제2 현수 수단은 세탁조의 외조의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제1 현수 수단이 보유 지지하는 세탁조의 보유 지지 위치가 하측이고, 제2 현수 수단이 보유 지지하는 세탁조의 보유 지지 위치가 상측이면, 현수된 세탁조는 제1 현수 수단측으로 안정되게 기운다. 따라서, 세탁시나 탈수시에, 외조 내에서 내조가 회전되는 등 해도 외조의 경사 각도가 변하지 않아 흔들림 등이 커지지 않는다.
또한, 제2 현수 수단은 외조의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므로, 그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제2 현수 수단과 기울어진 세탁조의 외조와의 사이에 생기는 빈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로서 세탁기의 외형을 그다지 크게 하지 않아서 좋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1 현수 수단은 한쌍의 현수봉을 포함하고, 각 현수봉의 상부는 각각 하우징 정면측의 좌우 상방에 고정되고, 각 현수봉의 하부는 각각 외조 정면측의 좌우 하방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제2 현수 수단은 한쌍의 현수봉을 포함하고, 각 현수봉의 상부는 각각 하우징 배면측의 좌우 상방에 고정되고, 각 현수봉의 하부는 각각 외조 배면측의 좌우 중간 정도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4개의 각 현수봉에는 각각 방진 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세탁기이다.
청구항 2의 구성에서는 제1 현수 수단 및 제2 현수 수단은 각각 한쌍의 현수봉을 포함하고, 또한 각 현수봉에는 각각 방진 장치가 조립되어 있으므로, 세탁조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해 안정되게 현수할 수 있고, 게다가 세탁조에 생기는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진 장치로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2 현수 수단에 포함되는 한쌍의 현수봉에는 외조 및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는 하부 및 상부의 도중부에 방진 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세탁기이다.
청구항 3의 구성에서는 세탁조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생기는 공간을 이용하여 방진 장치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방진 장치를 양호하게 조립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제1 현수 수단에 포함되는 한쌍의 현수봉에는 외조 보유 지지부의 하측에 방진 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기재의 세탁기이다.
청구항 4의 구성에서는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현수봉에 구비되어 있던 방진 장치를 그대로 제1 현수 수단의 한쌍의 현수봉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부재를 이용하여 신뢰성이 있는 장치를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방진 장치는 현수봉의 길이 방향으로 탄력성을 갖고, 현수봉의 길이를 그 길이 방향으로 탄력있게 보유 지지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세탁기이다.
청구항 5의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효과가 높은 방진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제1 현수 수단에 포함되는 한쌍의 현수봉은 제2 현수 수단보다도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두고 외조 정면측의 좌우 하방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제2 현수 수단에 포함되는 한쌍의 현수봉은 제1 현수 수단보다도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두고 외조 배면측의 좌우 중간 정도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세탁기이다.
청구항 6의 구성에서는 4개의 현수봉에 의한 보유 지지가 안정된다. 특히 세탁조를 기울어지게 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울기가 안정되고, 게다가 흔들림이 적은 현수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외조의 외부 바닥면에는 현수 수단으로 현수된 외조의 흔들림을 경감하기 위한 평형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7의 구성에 따르면, 세탁 및 탈수시에 세탁조에 진동이 발생할 때 그 진동이 경감되어 진동이 적은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평형 장치는 수용실과 수용실 용적의 60 내지 90%를 채우는 소정의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의 세탁기이다.
청구항 8의 구성에서는 외조의 흔들림과 액체의 관성 모멘트의 차로부터 액체가 외조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기능하여 저렴하고도 효과가 높은 평형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외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현수 수단으로 현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로써, 세탁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조와, 외조 내에 동축으로 수납된 원통형의 세탁겸 탈수조로서의 내조를 포함하고, 세탁조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그를 위해 상기 현수 수단은 세탁조의 정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과 세탁조의 배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을 갖고, 정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은 배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두고 세탁조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의 구성에서는 세탁조의 정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과 세탁조의 배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은 세탁조를 보유 지지하는 위치가 정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이 배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두고 세탁조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므로, 세탁조를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진동이 적고 안정된 현수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외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현수 수단으로 현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로써, 세탁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조와 외조 내에 동축으로 수납된 원통형의 세탁겸 탈수조로서의 내조를 포함하고, 세탁조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외조의 바닥면에는 세탁용 모터나 배수용 밸브 등이 배치되어 있고, 외조 바닥면의 세탁용 모터나 배수용 밸브 등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빈 공간에 외조의 흔들림을 경감하기 위한 평형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의 구성에서는 세탁 및 탈수시에 세탁조에 진동이 발생할 때, 그 진동이 경감되어 진동이 적은 장치로 할 수 있다. 특히, 진동을 경험하기 위한 평형 장치가 외조의 외부 바닥면으로써 세탁용 모터나 배수용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빈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탁조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고, 게다가 빈 공간을 이용하여 진동이 적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현수 수단에 의해 세탁조가 현수된 세탁기에 있어서, 안정된 상태에서 세탁조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여 항상 현수해 둘 수 있고, 게다가 흔들림도 적고 실용적인 세탁기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세탁조가 기울어져 있으므로,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한 세탁기로 할 수 있다.
특히 전자동 세탁기에 적합한 구성으로, 게다가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한 세탁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행하기 위한 세탁조가 구비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상단부에 개구를 갖는 바닥있는 통형이며, 상단부가 바닥부에 대해 정면측에 위치하도록 통의 중심축선이 연직선에 대해 정면측으로 소정의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하우징의 전방면은 하방에 비해 상방이 정면측으로 팽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탁조는 정면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정면측에 선 사용자는 세탁조의 상부 개구로부터 세탁물을 취출하기 쉽다. 게다가, 세탁조는 정면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세탁조 바닥부의 특히 정면측까지 눈이 닿아, 그 결과 세탁물을 취출하기 쉽고, 또한 남겨진 세탁물이 없는지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전방면의 상방이 하방에 비해 팽출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정면측으로부터 세탁기에 가까이 갈 때 전방면의 하부가 방해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상반신은 세탁기에 가까이 갈 수 있으므로, 경사진 세탁조의 바닥까지의 거리가 멀어지지 않아 세탁물을 한층 더 취출하기가 쉽다.
그리고, 하우징의 상방이 하방에 비해 정면측으로 팽출하고 있으므로, 하우징의 하부는 종래의 세탁기의 하우징과 변함이 없는 치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세탁기용의 규격 치수로 만들어진 방수 팬에 본 발명의 세탁기를 넣을 수 있다.
또한, 세탁조는 항상 경사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세탁기는 청구항11에 기재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을 갖는 상자형을 이루고, 전방면은 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하는 부재와는 별도의 부재로 만들어진 전방면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방면과 좌우 측면부 등의 다른 부분과를 별도의 부재로 하였으므로, 다른 부분을 종래와 같이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는 결과,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방면을 팽출시키는 위해서는 전방면 부재만을 취급하면 되므로, 팽창시키기 위한 가공이 용이하다. 그 결과, 하우징의 가공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세탁기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부재를 포함하고, 이 상면 부재는 정면측에 있어서 전방면 부재의 상부의 팽창에 맞춰 정면측으로 달아 낸 돌출부를 갖고, 이 돌출부에는 세탁기의 조작에 필요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면 부재가 정면측으로 달아 내어 있으며, 그 달아 낸 부분에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정면측으로부터 조작부를 조작하기 쉽고, 게다가 조작부의 내용을 보기 쉽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세탁기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 스위치 등이 배열된 조작면을 갖고, 이 조작면은 정면측을 향해 하향 구배의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면이 정면측을 향해 하향 구배이므로, 한층 더 조작하기 쉽고, 또한 보기 쉬운 조작부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세탁기는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절곡 형상의 1장의 금속판에 의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을 형성한 주 부재를 갖고, 이 주 부재의 우측면 및 좌측면의 전방 모서리 상부 끼리를 연결하는 보강재가 설치되고, 이 보강재는 정면측으로 기울어진 세탁조의 정면측 상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정면측으로 팽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주 부재를 종래와 같이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공하기 쉽고, 또한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 부재는 전방면의 절결에 의해 강도가 약한 경향이 있지만, 보강재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강도가 강화되어 흔들림이나 진동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정면측으로 팽출한 보강재는 강성이 높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간섭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통상의 상태에서 접촉하거나 부딪치거나 하지 않는 것이며, 진동시와 같은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접촉하거나 부딪치는 것을 허용해도 좋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세탁기는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조와, 외조 내에 동축으로 수납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세탁겸 탈수용의 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탁조가 외조와 세탁겸 탈수용의 내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동 세탁기로서 적용한 경우에 양호한, 세탁조가 경사진 세탁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세탁기에 따르면,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는 5도 이상 또한 20도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탁조의 경사 각도를 5 내지 20도의 범위로 하면, 세탁조로부터의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하고, 게다가 세탁조를 기울어지게 한 것에 수반하여 하우징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세탁기에 따르면,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행하기 위한 세탁조가 구비된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는 상부에 개구를 갖는 바닥있는 통형이며, 세탁조는 세탁물의 취출을 쉽게 하기 위해 적어도 세탁 종료시에는 정면측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세탁기에 따르면, 청구항 18에 기재된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는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8, 청구항 19의 구성에 따르면, 세탁조는 정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정면측에 선 사용자는 세탁조의 상부 개구로부터 세탁물을 취출하기 쉽다.
이상의 각 구성의 세탁조를 기울어지게 한 세탁기에 따르면,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한 세탁기로 할 수 있다. 더구나, 세탁기의 외관이 커지지 않아 종래의 규격 치수의 방수 팬에 세탁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는 항상 경사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나기 어려운 세탁기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세탁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상술한 세탁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세탁기(1)는 그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2)과, 이 하우징(2) 내에 현수봉(4)을 거쳐서 지지된 세탁조(3)와, 세탁조(3)의 상방에 설치되어 세탁조(3) 내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기구(5)와, 세탁조(3)의 내부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배수 기구(6)와, 이 세탁기(1)의 조작에 필요한 조작부(70)를 갖고 있다. 세탁기(1)는 그 전방면(2a)을 정면으로 하여 사용되고, 조작부(70)는 상면(2e)의 정면측에 배치되어, 그 앞에서 사용자는 조작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1)에서는 세탁조(3)가 상부에서 정면측으로 달아 내도록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에 따라서 하우징(2)도 정면측의 상부가 달아 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탁조(3)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도2의 모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조(3)로의 투입구를 파선으로 도시한 종래의 세탁기에 비해 치수 L1만큼 정면측에 배치할 수 있고, 게다가 세탁조(3)가 기울어짐으로써 바닥부를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의 안쪽 부분도 치수 L2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정면에 선 사용자에게 있어서 세탁물을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한다.
세탁조(3)는 현수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현수봉(4)에 지지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외조(31)와, 외조(31) 내에 동축으로 수납된 원통 형상의 세탁겸 탈수용의 내조(32)와, 내조(32) 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교반 날개(33)를 구비하고 있다. 내조(32)는 외조(3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내조(32)는 주위면에 다수의 작은 구멍(32a)을 갖고 있다. 내조(32) 및 교반 날개(33)는 모터(35) 등을 포함하는 구동 기구(34)에 의해 구동된다. 세탁 및 헹굼시에는 교반 날개(33)만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하고, 탈수시에는 교반 날개(33) 및 내조(32)가 모두 고속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내조(32)의 주위면에 작은 구멍(32a)을 형성하지 않고, 세탁시에 내조(32)는 물을 저장하고, 탈수시에는 내조(32) 내의 세탁물에 포함되는 물이 원심력에 의해 내조(32)의 상방으로부터 외조로 전달되어 흐르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세탁조(3)는 정면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즉, 외조(31)의 중심축선(CL)이 연직선(VL)에 대해 미리 정해진 경사 각도(K)로 기울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경사 각도(K)는 5도 이상 또한 20도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세탁물의 취출 용이함과 하우징(2)의 대형화 방지를 양립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 각도(K)가 5도 미만이면, 세탁조(3)의 경사가 불충분해지므로 세탁물의 취출 용이함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또한, 경사 각도(K)가 커짐에 따라 세탁물을 취출하기 쉬워지지만, 경사 각도(K)가 20도를 넘으면 세탁조(3)의 경사가 지나치게 커지므로 세탁조(3)가 정면측으로 돌출하는 양이 커지고, 하우징(2)이 대형화해 버리기 때문이다. 경사 각도(K)는 특히 8도 이상 또한 12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세탁물을 취출하기 쉽고, 또한 세정력도 종래와 동등하게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고, 이에 덧붙여서 하우징(2)의 정면측으로의 팽출량도 억제할 수 있어, 종래의 규격 치수의 방수 팬에 넣을 수 있는 세탁기(1)를 실용상 무리없이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각도(K)는 대략 10도로 설정되어 있다.
현수봉(4)은 세탁조(3)를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 세탁조(3)의 경사 방향 하측(정면측)을 현수하는 제1 현수 수단으로서의 2개의 전방 현수봉(41)과, 세탁조(3)의 경사 방향 상측(배면측)을 현수하는 제2 현수 수단으로서의 2개의 후방 현수봉(42)을 갖고, 전방 현수봉(41)과 후방 현수봉(42) 사이에서 구성을 다르게 하고 있다.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현수봉(41)은 하우징(2) 내의 전방부에 있으며, 외조(31)의 전방부의 받침부로서의 플랜지부(31m)와 하우징(2)의 전방부의 받침 부재(28)를 잇고 있다. 후방 현수봉(42)은 하우징(2) 내의 후방부에 있으며, 외조(31)의 후방부의 플랜지부(31u)와 하우징(2)의 후방부의 받침 부재(29)를 잇고 있다. 후방 현수봉(42)용의 플랜지부(31u)와 받침 부재(29)의 거리는 전방 현수봉(41)용의 플랜지부(31m)와 받침 부재(28)의 거리보다도 짧게, 예를 들어 대략 절반으로 되어 있다.
외조(31) 전방부의 플랜지부(31m)는 외조(31)의 바닥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1m)는 한쌍으로 설치되고, 한쌍의 플랜지부(31m)가 외조(31)의 중심축선(CL)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는 중심 각도가 대략 90도가 되도록 외조(31)의 주위면에 좌우 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조(31) 후방부의 플랜지부(31u)는 중심축선(CL)을 따라서 측정한 때의 외조(31)의 중앙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조(31) 후방부의 플랜지부(31u)는 한쌍으로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측정한 때의 한쌍의 플랜지부(31u) 끼리의 간격(도3의 치수 L4)은 전방부의 플랜지부(31m) 끼리의 간격(도3의 치수 L5) 보다도 좁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부(31m, 31u)는 모두 현수봉(4)의 단부를 받는 오목부형의 시트와, 오목부 내에 현수봉(4)을 넣기 위한 절결을 갖고 있다.
하우징(2)의 받침 부재(28, 29)는 내측 상부의 네 구석에 설치된 금속 판재이며, 하우징(2)의 주 부재(21)의 상단부 모서리에 코오킹 접합되어 있다. 받침 부재(28, 29)는 플랜지부와 같이 현수봉(4)의 단부를 받는 오목부형의 시트와, 오목부 내에 현수봉(4)을 넣기 위한 절결을 갖고 있다.
전방 현수봉(41)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조(31)를 현수하는 지지봉(43)과 지지봉(43)에 설치되어 외조(31)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방진 기구(45)를 갖고 있다. 지지봉(43)의 상단부(43a)가 완충 부재(46)를 거쳐서 받침 부재(28)에 부착되고, 지지봉(43)의 하단부(43b)에 방진 기구(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진 기구(45)의 용기(451)의 상단부(451a)가 부직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외조(31)의 플랜지부(31m)를 지지하고 있다.
방진 기구(45)는 용기(451) 내를 피스톤(452)이 이동하는 데 수반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이용하여 피스톤(452)과 용기(451) 사이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이른바 공기 댐퍼이다. 또한, 방진 기구(45)는 현수봉(4)의 길이 방향에 탄력성을 갖고, 현수봉의 길이를 그 길이 방향으로 탄력있게 보유 지지하는 장치이다. 즉, 방진 기구(45)는 내부에 공기실(451c)을 구획하는 용기(451)와, 용기(451) 내를 구획하면서 이동 가능한 방진 고무제의 피스톤(452)과, 피스톤(452)에 걸리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스프링(453)을 갖고 있다. 용기(451)에는 공기실(451c)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451b)이 형성되고, 이 연통 구멍(451b)을 통해 지지봉(43)이 용기(451) 내로 도입되고 있으며, 지지봉(43)의 하단부(43b)에 피스톤(452)이 연결되어 있다. 외조(31)가 진동하면, 용기(451) 내에서 피스톤(452)의 주위면이 마찰되면서 이동하고, 공기가 피스톤(452)에 있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용기(451) 내를 이동하면서, 연통 구멍(451b)을 통해 내외를 출입한다. 이 때의 피스톤(452)의 마찰이나 공기의 유동 저항에 의해, 피스톤(452)과 용기(451)의 상대 이동이 억제되고, 그 결과 외조(31)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 방진 기구(45)는 공기 댐퍼 외에 공지의 구성을 이용해도 좋다.
후방 현수봉(42)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외조(31)를 현수하는 한쌍의 지지봉(43, 44)과, 한쌍의 지지봉(43, 44) 사이에 설치된 상술한 방진 기구(45)를 갖고 있다. 또, 전방 현수봉(41)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측에 있는 지지봉(43)의 상단부(43a)가 완충 부재(46)를 거쳐서 받침 부재(29)에 부착되고, 지지봉(43)의 하단부(43b)에 방진 기구(45)의 용기(45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방진 기구(45)의 피스톤(452)에 하측에 있는 지지봉(44)의 상단부(44a)가 연결되고, 이 지지봉(44)의 하단부(44b)가 완충 부재(46)를 거쳐서 외조(31)의 플랜지부(31u)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후방 현수봉(42)을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도5에 도시한 지지봉(43) 대신에, 도6에 도시한 지지 부재(47)를 이용하고 있다. 지지 부재(47)는 1개의 선재의 도중부에서 되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47)의 상단부 근방에서는 선재의 한쪽 단부(47a)에 선재의 다른쪽 단부(47b)가 권취되어 있으며, 지지 부재(47)의 하단부(47c)에서는 상술한 도중부가 코일 스프링형으로 형성되어 용기(451)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고정되어 있다. 용기(451)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도중부를 받는 환형 볼록부(45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 부재(47)에 걸리는 힘은 용기(451)에 인장력으로서 작용하지 않으므로, 인장에 약한 수지제 용기라도 파손되기 어렵다.
그리고, 후방 현수봉(42)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현수봉(41)과 같이 단일 지지봉(43)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한 전방 현수봉(41)의 상하를 반대로 하여 부착하는 것이 고려되고, 방진 기구(45)의 용기(451)의 하단부가 받침 부재(29)에 부착되고, 방진 기구(45)에 지지봉(43)의 상단부가 부착되어, 지지봉(43)의 하단부가 외조(31)의 플랜지부(31u)를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후방 현수봉(42)의 방진 기구(45)를 하우징(2)의 받침 부재(29)의 상방에 배치하는 경우나, 받침 부재(29)와 플랜지부(31u)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전후 방향으로 공간을 확보하기 쉬운 플랜지부(31u)의 상방에 무리없이 배치할 수 있어, 하우징(2)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의 플랜지부(31u)를 외조(31)의 바닥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측방으로부터 보아 하우징(2) 내에서 외조(31)의 후방으로 구획되는 삼각형의 영역에 플랜지부(31u)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확보하여 쉬워, 이 점에서도 하우징(2)의 대형화를 방지하는 데 바람직하다.
그런데, 세탁조(3)를 기울어지게 하면, 물이나 세탁물을 넣으면 세탁조(3)는 전방측으로 변위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봉(4)을 전후 모두 외조(31)의 하단부에 부착한 경우를 상정하면, 세탁조(3) 내에 물 등의 부하가 걸리면, 세탁조(3)의 무게 중심은 전방측의 상방으로 이동하고[이동 전의 무게 중심(G1)과 이동 후의 무게 중심(G2)을 참조], 이에 수반하여 전방 현수봉(41)에 가해지는 무게가 증가하여 세탁조(3)는 전방으로 변위하는 경향이 있어 하우징(2)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의 플랜지부(31u)를 전방의 플랜지부(31m)보다도 외조(31)의 중심축선(CL)을 따라서 상부 개구(3a) 측에 설치하였으므로, 후방 현수봉(42)의 연장되는 방향과 연직선(VL)이 이루는 교차 각도(D1)가 도8의 (a)의 경우에 비해 커지는 결과, 후방 현수봉(42)에 가해지는 중력(W)중에서 받침 부재(29) 둘레에 후방 현수봉(42)을 회전시키는 방향의 힘 성분(WR)이 커진다. 그 결과, 세탁조(3)를 한층 더 강하게 후방으로 인장할 수 있으므로, 세탁조(3)가 부하에 의해 전방쪽으로 변위하려고 하는 경향을 억제할 수 있고, 하우징(2)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효과를 플랜지부(31u)를 높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얻고 있으므로, 하우징(2)의 대형화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9의 모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플랜지부(31u)의 간격(L4)을 전방 플랜지부(31m)의 간격(L5)보다도 좁게 하고 있다(L4 < L5). 이로써, 하우징(2)의 후방 받침 부재(29)의 위치를 전방 받침 부재(28)와 동일하게 한 때, 평면에서 본 후방 현수봉(42)의 전후 방향에 대한 기울기(D2)를 전방 현수봉(41)에 의한 기울기(D3)보다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후방 현수봉(42)의 전후 방향에 대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이는 현수봉은 그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세탁조(3)의 변위에 대해서는 주로 방진 기구의 스프링의 강성에 의해 지지하고, 또한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변위에 대해서는 플랜지부나 받침 부재와의 접촉 부분에서의 강성에 의해 지지하고 있으며, 통상 전자의 강성보다도 후자의 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후방 현수봉(42)에 전후 방향의 변위가 작용할 때를 고려하면, 상술한 기울기(D2)가 커지면, 변위 중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이 커지므로, 그 만큼 높은 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결과, 전후 방향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수봉(4)은 전방부 및 후방부의 각 2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방부 1개와 후방부 2개의 3개로 구성해도 좋으며, 전방부 2개와 후방부 1개의 3개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전방 현수봉(41)은 방진 기구(45)를 하단부에 갖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후방 현수봉(42)과 같이 구성하여, 그 도중부에 방진 기구(45)를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세탁조(3)를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 전방과 후방에서 현수봉(4)의 구성을 다르게 하고 있다. 이로써, 하우징(2) 받침 부재(28, 29)의 배치를,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방형의 각형부가 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결과, 받침 부재(28, 29)를 종래와 대략 마찬가지로 하우징(2)에 설치할 수 있다.
하우징(2)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2a), 좌측면(2b), 우측면(2c), 배면(2d) 및 상면(2e)을 갖고, 전체적으로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하우징 형상을 갖고 있다. 하우징(2)은 좌측면(2b), 우측면(2c) 및 배면(2d)를 일체로 형성하는 주 부재(21)와, 이 주 부재(21)와 별도의 부재로써 전방면(2a)을 형성하는 전방면 부재로서의 정면판(22)과, 정면판(22) 및 주 부재(21)의 상방에 부착되어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판(23)과, 정면판(22) 및 주 부재(21)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구조재(24)를 갖고 있다.
주 부재(21)는 단일의 금속판을 절곡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하우징(2)의 배면(2d)의 좌우 양단부 모서리로부터 좌우 측면(2b, 2c)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이 좌우 측면(2b, 2c)의 전방단부 모서리로부터 한쌍의 전방면부(21a)가 서로 접근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한쌍의 전방면부(21a) 사이에는 배수 기구(6) 등을 위한 보수용 개구(21b)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개구(21b)의 상방에는 주 부재(21)의 전방면부(21a)의 상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보강재(25)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재(25)는 주 부재(21)의 한쌍의 전방면부(21a) 끼리를 코오킹 접합함으로써, 개구(21b)의 주위 모서리부를 보강하고, 주 부재(21), 나아가서는 하우징(2) 전체의 강성 및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 보강재(25)는 세탁조(3)의 정면측 상부와 부딪치지 않도록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좌우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정면측으로 팽출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하부(25a)가 상부(25b)보다도 정면측으로 팽출하여,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부가 정면측으로 팽출한 단면 형상의 보강재(25)이면, 보강 효과가 높아 바람직하다.
또한, 주 부재(21)의 상단부의 네 귀퉁이에는 상술한 받침 부재(28, 29)가 코오킹 접합되어 있다. 이 받침 부재(28, 29)는 현수봉(4)을 부착하기 위한 부재로서 외에, 주 부재(21)의 네 귀퉁이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전방에 있는 받침 부재(28)는 보강재(25)와 주 부재(21)의 전방면부(21a)가 함께 코오킹되고, 보강재(25)와 주 부재(21)의 연결 부분의 보강 부재도 겸용하고 있다.
정면판(22)은 주 부재(21)의 전방을 덮는 부재이며, 하우징(2)의 정면(2a) 및 좌우 측면(2b, 2c)의 전방단부 부분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정면판(22)의 형성에는 수지 성형 가공이나 금속판 프레스 가공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정면판(22)은 세탁기(1)의 외장 부재이며, 또한 상술한 보수용 개구(21b)의 덮개로서 이용되고, 주 부재(2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정면판(22)의 배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갈고리부(22f)(일부만 도시)가 설치되고, 이 갈고리부(22f)의 선단부를 주 부재(21)의 전방면부(21a)의 걸림 구멍(21f)에 걸어 정면판(22)을 주 부재(21)에 부착한다.
정면판(22)의 하부(22a)는 대략 연직으로 상하 방향으로 넓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판(22)은 상하 방향의 도중부로부터는 상방을 향해 정면측으로 팽창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이 상부(22b)는 상하 방향으로 높은 위치일수록 정면측으로의 돌출이 커지도록 경사지고 있다.
바닥부 구조재(24)는 정면판(22) 및 주 부재(21)의 하단부와 접속되는 상부(24a)와, 상부(24a)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24b)와, 하부(24b)의 네 귀퉁이에 부착된 다리부(24c)를 갖고 있다.
상면판(23)은 그 대략 중앙에 세탁조(3)로 세탁물을 넣고 꺼내기 위한 투입구(23a)를 형성하고 있다. 투입구(23a)는 세탁조(3)의 상부 개구(3a)에 대향하여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측정한 때의 투입구(23a)의 중심 위치는 상면판(23)의 중심 위치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투입구(23a)의 주위 모서리부는 정면측을 향해 하부 구배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구(23a)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덮개(26)가 부착되어 있다.
상면판(23)의 정면측 단부는 정면판(22)의 상부(22b)의 팽창에 맞추어 정면측으로 달아 낸 돌출부(23b)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23b)에 조작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70)는 조작 스위치 등이 배열된 조작면(72)과,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기판(71)(도1 참조)을 갖고 있다. 회로 기판(71)은 조작면(72)의 하방에 수밀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조작 스위치의 설정에 따라서 세탁기(1)의 각부를 운전하는 제어 회로를 갖고 있다. 조작면(72)은 정면측을 향해 하향 구배의 면으로 되고, 조작면(72)과 투입구(23a)의 주연부는 연속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상면(2e)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면판(23)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구(23a)의 후방에 급수 기구(5)를 수용하고 있다.
급수 기구(5)는 일단부가 하우징(2) 밖으로 도출되어 외부의 세탁수도 등의 급수 설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급수관(51)과, 이 급수관(51)의 유통을 개폐하는 급수 밸브(52)와, 급수관(51)의 타단부에 있어서 세탁조(3) 내를 향하는 주수구(5a)를 형성하는 주수구 형성 부재(53)를 갖고 있다.
주수구 형성 부재(53)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51)과의 접속구(51a)로부터의 물과 함께, 내부에 수용된 세제를 세탁조(3) 내로 투입하기 위한 용기(53a)와, 주수구(5a)로부터의 물을 안내하여 물이 유출하는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하는 수류 안내 부재(53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수류 형성 부재(53b)의 후방에 주수구(5a)가 구획되어 있다. 주수구(5a)는 세탁조(3)의 상방, 또한 세탁조(3)의 상부 개구(3a)의 주위 모서리부로써, 세탁조(3)의 상단부의 가장 높은 위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수류 안내 부재(53b)는 주수구(5a)로부터의 물을 세탁조(3)의 내조(32)의 내주면에 달라 붙은 세탁물에 끼얹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이, 주수구(5a)가 세탁조(3)의 상부 개구(3a)의 주위 모서리부의 후방측에 있어서, 세탁조(3) 내로 후방을 향해 물을 유출시키고 있으므로, 물은 세탁조(3) 내의 후방측에 있는 세탁물에 쏟아 부어지고, 또한 세탁조(3)의 바닥부에 모이고 나서 세탁조(3)의 전방측에 있는 세탁물에도 스며드는 결과, 세탁조(3) 내의 세탁물을 빠짐없이 적실 수 있다.
또한, 주수구(5a)로부터의 물은 세탁조(3) 내에 달라 붙은 세탁물에 끼얹어지고 있으므로, 세탁 도중에 행해지는 중간 탈수 후에, 세탁물을 쉽게 풀 수 있다.
그리고, 외조(31)의 상부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수실(31a, 溢水室)이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달아 내어 형성되어 있다. 일수실(31a)은 외조(31) 내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수실(31a)과 외조(31) 내부는 일수 구멍(31b)을 통해 연통하고 있다. 일수실(31a)은 세탁조(3)의 후방측이 되는 하우징(2) 내의 귀퉁이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세탁조(3)의 후방측에 배치된 일수실(31a)은 기울어진 세탁조(3)의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세탁조(3) 내의 수위를 확보하기 쉽다. 일수실(31a)은 일수관(63)을 거쳐서 배수관(61)과 접속되어 있다.
배수 기구(6)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조(31)의 바닥부에 있는 배수구(31c)에 일단부가 접속되는 배수관(61)과, 이 배수관(61)의 유통을 개폐하는 배수 밸브(62)를 갖고 있다. 배수구(31c)는 외조(31)의 바닥부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울어진 세탁조(3)의 외조(31)의 최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배수관(61)에는 배수 밸브(62)보다도 배수의 하류측이 되는 부위에 일수관(63)이 접속되고, 배수관(61)의 타단부(도시하지 않음)는 세탁기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세탁조(3)의 바닥부에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31c)의 근방에 배수 밸브(62)가 배치되고, 바닥부의 후방측에 모터(35)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모터(35)는 돌출하는 부재이지만, 경사진 세탁조(3)에서는 그 바닥부의 후방측 부분은 전방측 부분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 무리없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외조(31)의 바닥부에는 진동을 억제하는 평형 장치 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평형 장치 기구(8)는 수용실을 구획하는 용기와, 수용실 내에 밀봉하여 넣어진 소정의 액체를 포함하며, 액체가 들어간 2개의 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용기는 외조(31)의 바닥부에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액체는 예를 들어 염수이며, 용기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용기 용적의 60 내지 90%가 되도록 넣어져 있다. 여기에서, 염수로 하고 있는 것은 맹물보다도 비중을 크게 하여 방진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이며, 또한 저온시의 동결 방지를 위해서이기도 하다. 또한, 염수라면 만일 누설된다고 해도 무해하다.
2개의 용기는 각각 평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꼴형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액체가 흐르기 쉽게 되어 있다. 용기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이므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모두 액체가 흐르기 쉽게 되어 있다.
평형 장치 기구(8)는 탈수 기동시 등에서 내조(32) 등이 고속 회전에 달하기 까지의 때에, 방진 댐퍼로서 기능한다. 즉, 세탁조(3)가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면, 용기 내에서 염수가 이동하여 그 반력이나 점성 저항에 의해 세탁조(3)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한, 용기는 부채꼴형이므로 부채꼴에 따르도록 액체가 흘러 외조(31)의 회전 방향의 진동도 억제된다. 또한, 한쌍의 용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동 억제 효과가 높다. 여기에서, 용기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울어진 세탁조(3)에서는 전후 방향의 진동이 상정되므로,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면 좋다.
또한, 평형 장치 기구(8)는 용기로 구성되므로, 액체가 흐르는 형상이면 되고, 그 자유도가 높아, 그 결과 세탁조(3) 바닥부의 빈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평형 장치 기구(8)는 바닥부에 있으므로, 하우징(2)의 평면 형상을 대형화하지 않아도 된다.
이 세탁기(1)에서는 세탁, 헹굼 및 탈수의 운전시 및 정지시 모두 세탁조(3)는 경사진 상태이다.
세탁시에는 우선 급수 기구(5)에 의해 주수구(5a)로부터 물이 세탁조(3) 내로 부어지고, 그 후 교반 날개(33)가 회전하여 세탁물이 교반된다. 이 때, 세탁조(3)가 기울어져 있으므로 충분히 교반된다.
또한, 기울어진 세탁조(3)에서는 세탁물이 하방이 되는 전방측으로 치우쳐 탈수 기동시에 세탁조(3)가 진동하는 것이 상정된다. 특히, 세탁조(3)를 현수봉(4)에 의해 강하게 후방으로 인장하는 경우에는 그 경향이 강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격을 좁게 한 후방 현수봉(42)나 평형 장치 기구(8)에 의해 탈수시의 진동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조(3)는 정면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정면측에 선 사용자는 세탁조(3)의 상부 개구(3a)로부터 세탁물을 취출하기 쉽다. 게다가, 세탁조(3)는 정면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세탁조(3) 바닥부의 특히 정면측까지 눈이 닿아, 그 결과 세탁물을 취출하기 쉽고, 또한 남겨진 세탁물이 없는지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이 좋은 세탁기(1)로 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전방면(2a)의 상부만이 팽출하고 있으므로, 하우징(2)의 전방면(2a)의 하부는 상대적으로 오목하며, 사용자가 정면측으로부터 세탁기(1)에 가까이 갈 때, 전방면(2a)의 하부가 방해되지 않는다. 이 로 인해, 사용자의 상반신은 세탁기(1)에 가까이 갈 수 있으므로, 경사진 세탁조(3)의 바닥까지의 거리가 멀지 않아 세탁물을 한층 더 취출하기 쉽다. 특히, 바닥부 구조재(24)의 하부(24b)나 다리부(24c) 등이 조작부(7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정면측으로부터 가까이 갈 때, 다리부(24c) 등이 방해가 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2)의 전방면(2a)의 상부만이 세탁조(3)의 경사에 맞춰 정면측으로 팽출하고 있으므로, 하우징(2)의 하부를 종래 세탁기의 하우징과 변함없는 치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세탁기용의 규격 치수로 만들어진 방수 팬에 본 발명의 세탁기(1)를 넣을 수 있다.
또한, 세탁조(3)는 항상 경사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경사 상태를 절환하기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며, 세탁기(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고장도 발생하기 어렵다.
그리고, 하우징(2)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한 형상의 전방면(2a)을 형성하는 정면판(22)과, 좌우 측면(2b, 2c) 등을 형성하는 주 부재(21)를 별도의 부재로 하고 있음으로써, 주 부재(21)를 종래와 같이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는 결과,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방면(2a)을 팽출시키기 위해서는 정면판(22)만을 취급하면 되므로, 팽창시키기 위한 가공이 용이하다. 그 결과, 하우징(2)의 가공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면판(22)에 측면의 일부를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면판(23)의 돌출부(23b)에 조작부(7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정면측으로부터 조작부(70)를 조작하기 쉽고, 게다가 조작부(70)의 내용을 보기 쉽다.
그리고, 조작부(70)의 조작면(72)이 정면측을 향해 하향 구배이므로, 한층 더 조작하기 쉬우며, 또한 보기 쉽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 부재(21)를 종래와 같이 1장의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공하여 쉽고 또한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재(25)는 개구(21b)의 주위 모서리 부분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주 부재(21), 나아가서는 하우징(2)의 강도를 높여 흔들림이나 진동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정면측으로 팽출한 보강재(25)는 강성이 높아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측으로 팽출한 보강재(25)는 세탁조(3)와 간섭하지 않으므로,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한다고 해도 세탁조(3)나 보강재(25)가 파손할 우려는 적다. 여기에서, 간섭하지 않는다 함은 통상의 상태에서 접촉하거나 부딪치거나 하지 않는 것이며, 크게 진동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접촉하거나 부딪치는 것을 허용해도 좋다.
그리고, 세탁조(3)가 외조(31)와 세탁겸 탈수용의 내조(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동 세탁기(1)로서 적용한 경우에 양호한 세탁조(3)가 경사진 세탁기(1)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동 세탁기이면, 세탁물의 취출이 세탁 완료 후에만 되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세탁조(3)의 경사 각도(K)를 5 내지 20도의 범위로 하면, 세탁조(3)로부터의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하고, 게다가 세탁조(3)를 기울인 것에 수반하여 하우징(2)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1)에 따르면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한 세탁기(1)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세탁기(1)의 외관이 커지지 않아 종래의 규격 치수의 방수 팬에 본 세탁기(1)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3)는 항상 경사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나기 어려운 세탁기(1)로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세탁기(1)는 이중 구조의 세탁조(3)를 하우징(2)에 현수 지지한 일조식(一槽式)의 것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세탁 전용조와 탈수조를 가진 이조식의 것으로써, 세탁 전용조가 바닥부에 교반 날개를 가진 하나의 조로 하우징에 고정된 것이라도 좋으며, 세탁 전용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한 세탁기로 할 수 있다. 더구나, 세탁기의 외관이 커지지 않아 종래의 규격 치수의 방수 팬에 세탁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는 항상 경사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나기 어려운 세탁기로 할 수 있다.

Claims (19)

  1. 외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현수 수단으로 현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로써,
    세탁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조와, 외조 내에 동축으로 수납된 원통형의 세탁겸 탈수조로서의 내조를 포함하고,
    세탁조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어 있으며, 그를 위해 상기 현수 수단은 세탁조의 경사 방향 하측(정면측)을 현수하는 제1 현수 수단과 세탁조의 경사 방향 상측(배면측)을 현수하는 제2 현수 수단을 갖고,
    제1 현수 수단은 상부가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부는 제2 현수 수단에 비해 외조의 상대적으로 낮은 부위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제2 현수 수단은 상부가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부는 제1 현수 수단에 비해 외조의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현수 수단은 한쌍의 현수봉을 포함하고, 각 현수봉의 상부는 각각 하우징 정면측의 좌우 상방에 고정되고, 각 현수봉의 하부는 각각 외조의 정면측 좌우 하방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제2 현수 수단은 한쌍의 현수봉을 포함하고, 각 현수봉의 상부는 각각 하우징의 배면측의 좌우 상방에 고정되고, 각 현수봉의 하부는 각각 외조의 배면측의 좌우 중간 정도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4개의 각 현수봉에는 각각 방진 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2 현수 수단에 포함되는 한쌍의 현수봉에는 외조 및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는 하부 및 상부의 도중부에 방진 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현수 수단에 포함되는 한쌍의 현수봉에는 외조 보유 지지부의 하측에 방진 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2항에 있어서, 방진 장치는 현수봉의 길이 방향으로 탄력성을 갖고, 현수봉의 길이를 그 길이 방향으로 탄력있게 보유 지지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제1 현수 수단에 포함되는 한쌍의 현수봉은 제2 현수 수단보다도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두고 외조 정면측의 좌우 하방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제2 현수 수단에 포함되는 한쌍의 현수봉은 제1 현수 수단보다도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두고 외조 배면측의 좌우 중간 정도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외조의 외부 바닥면에는 현수 수단으로 현수된 외조의 흔들림을 경감하기 위한 평형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평형 장치는 수용실과 수용실 용적의 60 내지 90%를 채우는 소정의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외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현수 수단으로 현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로써,
    세탁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조와, 외조 내에 동축으로 수납된 원통형의 세탁겸 탈수조로서의 내조를 포함하고,
    세탁조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어 있으며, 그를 위해 상기 현수 수단은 세탁조의 정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과, 세탁조의 배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을 갖고, 정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은 배면측을 현수하는 한쌍의 현수봉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두고 세탁조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외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현수 수단으로 현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로써,
    세탁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조와, 외조 내에 동축으로 수납된 원통형의 세탁겸 탈수조로서의 내조를 포함하고,
    세탁조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어 있으며,
    외조의 바닥면에는 세탁용 모터나 배수용 밸브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외조 바닥면의 세탁용 모터나 배수용 밸브 등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빈 공간에 외조의 흔들림을 경감하기 위한 평형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행하기 위한 세탁조가 구비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상단부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이며, 상단부가 바닥부에 대해 정면측에 위치하도록 통의 중심축선이 연직선에 대해 정면측으로 소정의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하우징의 전방면은 하방에 비해 상방이 정면측으로 팽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을 갖는 상자형을 이루고, 전방면은 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하는 부재와는 별도의 부재로 만들어진 전방면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부재를 포함하고,
    이 상면 부재는 정면측에 있어서 전방면 부재의 상부의 팽창에 맞춰 정면측으로 달아 낸 돌출부를 갖고,
    이 돌출부에는 세탁기의 조작에 필요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 스위치 등이 배열된 조작면을 갖고,
    이 조작면은 정면측을 향해 하향 구배의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절곡형의 1장의 금속판에 의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을 형성한 주 부재를 갖고,
    이 주 부재의 우측면 및 좌측면의 전방 모서리 상부 끼리를 연결하는 보강재가 설치되고,
    이 보강재는 정면측으로 기울어진 세탁조의 정면측 상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정면측으로 팽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조와, 외조 내에 동축으로 수납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세탁겸 탈수를 위한 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는 5도 이상 또한 20도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행하기 위한 세탁조가 구비된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는 상부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이며, 세탁조는 세탁물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세탁 종료시에는 정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세탁조는 정면측으로 항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0-0023045A 1999-04-30 2000-04-29 세탁기 KR100388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24554 1999-04-30
JP99-124551 1999-04-30
JP12455499A JP3443362B2 (ja) 1999-04-30 1999-04-30 洗濯機
JP11124551A JP2000312795A (ja) 1999-04-30 1999-04-30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871A true KR20000071871A (ko) 2000-11-25
KR100388883B1 KR100388883B1 (ko) 2003-06-25

Family

ID=2646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045A KR100388883B1 (ko) 1999-04-30 2000-04-29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88883B1 (ko)
CN (1) CN1213186C (ko)
TW (1) TW46561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47B1 (ko) * 2003-04-30 2009-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US10077521B2 (en) 2014-06-16 2018-09-18 Haier Asia International Co., Ltd.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81809A1 (ja) 2001-04-05 2004-07-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洗濯機
JP3631171B2 (ja) * 2001-06-21 2005-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および洗浄機
JP3631172B2 (ja) * 2001-06-21 2005-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および洗浄機
JP3631174B2 (ja) * 2001-07-12 2005-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及び洗浄機
JP3631173B2 (ja) * 2001-07-12 2005-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及び洗浄機
CN1320196C (zh) * 2002-07-05 2007-06-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倾斜型滚筒洗衣机的箱盖和顶板的设置结构
CN103628278B (zh) * 2013-11-04 2016-08-17 深圳市海普创科技开发有限公司 波轮洗衣机减振结构和减振方法、波轮洗衣机
CN103820968B (zh) * 2014-03-05 2017-02-15 何洪峰 一种洗衣机的洗涤装置
CN105019191B (zh) * 2014-04-30 2019-11-05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偏心检测方法
KR20170016686A (ko) * 2015-08-04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6681107B2 (ja) * 2015-08-25 2020-04-15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CN106481724B (zh) * 2015-09-01 2020-02-14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波轮洗衣机的可调阻尼吊杆及具有其的波轮洗衣机
JP6845415B2 (ja) * 2016-10-28 2021-03-1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CN108070985B (zh) * 2016-11-10 2020-06-16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震装置及洗衣机
CN108442078A (zh) * 2017-02-16 2018-08-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减振部件及洗衣机
CN108691155B (zh) * 2017-04-12 2021-02-02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KR102482185B1 (ko) 2022-09-15 2022-12-29 (주)코리아테크 스틱형 용기
KR102484068B1 (ko) 2021-10-22 2023-01-04 (주)코리아테크 스틱형 용기
KR102651566B1 (ko) 2022-12-29 2024-03-28 (주)코리아테크 친환경 스틱형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0992A (ja) * 1990-03-29 1991-12-11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19990042132A (ko) * 1997-11-25 1999-06-15 윤종용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47B1 (ko) * 2003-04-30 2009-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US10077521B2 (en) 2014-06-16 2018-09-18 Haier Asia International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883B1 (ko) 2003-06-25
CN1213186C (zh) 2005-08-03
TW465610U (en) 2001-11-21
CN1272567A (zh) 200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883B1 (ko) 세탁기
US20100089102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5657649A (en) Full-automatic washing machine having a vibration damping assembly
KR950014448A (ko) 간단한 전방투입 방식 세탁기
JP2016202444A (ja) 洗濯機
JP3784184B2 (ja) 二重の緩衝構造を有する洗濯機
JP3540779B2 (ja) 洗濯機
JP3443362B2 (ja) 洗濯機
JP2000312795A (ja) 洗濯機
JP2017144008A (ja) 洗濯機
JP2000312800A (ja) 洗濯機
JP2000312799A (ja) 洗濯機
JP2009153651A (ja) 洗濯機
EP3556925B1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top load type laundry apparatus
WO2024089938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62057B2 (ja) 洗濯機
JPS636039B2 (ko)
JP2013046843A (ja) 洗濯機
JP6025264B2 (ja) 洗濯機
JP5531048B2 (ja) 洗濯機
JP202406451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8178653A (ja) 洗濯機
KR200180640Y1 (ko) 세탁기의걸이봉위치조절장치
JPH10258199A (ja) 全自動洗濯機
KR100360437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댐퍼 배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