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185B1 - 스틱형 용기 - Google Patents

스틱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185B1
KR102482185B1 KR1020220116345A KR20220116345A KR102482185B1 KR 102482185 B1 KR102482185 B1 KR 102482185B1 KR 1020220116345 A KR1020220116345 A KR 1020220116345A KR 20220116345 A KR20220116345 A KR 20220116345A KR 102482185 B1 KR102482185 B1 KR 10248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elevating member
contents
sti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코리아테크
Priority to KR102022011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185B1/ko
Priority to CN202280069759.8A priority patent/CN118102946A/zh
Priority to PCT/KR2022/013875 priority patent/WO2023068563A1/ko
Priority to KR1020220144218A priority patent/KR102517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62Stick holding cups with retaining means, e.g.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내용물은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의 격벽이 상하로 이동하고, 또한 내용물을 쉽게 리필할 수 있는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틱형 용기{Stick type container}
본원발명은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내용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여 내용물의 노출을 조절하면서도, 상기 내용물을 쉽게 리필할 수 있는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스틱형 용기는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할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내용물인 화장물의 변이가 최소화되며, 별도로 손에 덜어내지 않고 직접 바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반고형은 물론 고형 제품까지의 다양한 제형이 스틱형 용기에 담겨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크림제를 반고형상의 제형으로 변경한 자외선 차단 스틱형 제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종래의 스틱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1) 내용물인 화장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별도의 부품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며, 제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분해가 어려워 재활용을 고려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2) 내용물인 화장물을 리필할 때 사용자의 손에 묻거나 화장물이 손실될 수 있다. 종래의 제품은 리필할 때 화장물이 사용자의 손이나 다른 곳에 쉽게 묻어 화장물이 손실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립스틱과 같은 색조 화장품의 경우 다른 곳에 묻지 않고 깨끗하게 리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3) 내용물인 화장물의 리필 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없고, 리필 자체가 용이하지 않다. 종래의 스틱형 용기는 내부에 배치된 화장물을 얼마나 사용했는지 사용자가 대략적으로만 감지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화장물의 리필을 위해서는 결합부를 분리한 후 이를 다시 조립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립스틱은 대부분이 리필을 할 수 없는 형태로 판매된다.
4) 화장물을 끝까지 사용하기 어렵다. 스틱형 제품의 경우, 화장물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들을 지지하기 위해서 하단에 별도의 고정부가 마련되어야 한다. 화장물의 일부가 고정부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데드존'인 고정부 내부에 있는 화장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없다. 종래의 립스틱 경우, 처음에는 직접 바르는 것이 가능하나, 나중에는 별도의 붓을 사용해야만 남은 립스틱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5) 화장물을 바르는 압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반고형상의 제형은 강도가 낮아 얼굴 등에 바를 때 압력을 조절해야 한다. 강한 압력을 가해서 바르게 되면 내용물이 손상되는바, 사용자가 이를 조심스럽게 사용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특허문헌 1은 화장물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며, 화장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여 화장물의 노출 정도를 조절한다. 특허문헌 1은 승하강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때, 화장물이 회전하지 않는 점에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외부의 승하강부재를 이동하기 위해서 용기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한 별도의 내용기(220)를 배치하였고, 또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관(310), 연장부(520), 관통홀(420)의 형태를 비원형으로 제조하여 구조가 복잡하다.
특허문헌 1은 화장물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덮개부(600)와 외용기(210)의 결합 형태 또한 고정되어 있는바, 화장물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뚜껑과 화장물 상부의 빈 공간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
특허문헌 1은 화장물의 리필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허문헌 1의 구조를 살펴볼 때, 리필을 위해서는 화장물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강제적으로 끼움 결합을 해야 하는 등의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2 또한 특허문헌 1과 유사하게 화장물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며, 화장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여 화장물의 노출 정도를 조절한다. 화장물이 회전하지 않는 점도 특허문헌 1과 동일하다.
특허문헌 2 또한 화장물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관(310), 관통홀(420)의 형태를 비원형으로 제조하여 구조가 복잡하다.
특허문헌 3은 화장물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며, 화장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여 화장물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과 2는 나사를 이용하고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고, 특허문헌 3은 승하강부재의 주변에 오링을 마련하고 이들과 케이스 본체(10)의 마찰력에 의해서 승하강부재를 고정한다. 특허문헌 3은 구성이 단순하나, 정확도가 떨어지고 오링의 경화 등으로 장시간 사용이 어렵다.
특허문헌 4는 특허문헌 3과 같이 승하강부재가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하강하며, 특허문헌 5는 여기에 더하여 하부에 탄성체와 고정을 위한 노치(6)를 부가하였다.
특허문헌 1 내지 5 모두 화장물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뚜껑과 화장물 상부의 빈 공간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리필을 위해서는 화장물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강제적으로 끼움 결합을 해야하는바, 특허문헌 1 내지 5 모두 리필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리필에 대한 종래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특허문헌 1 내지 5는 또한 화장물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들이 외부로 노출될 때 지지하기 위해서 화장물의 하단에 별도의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다. 화장물의 일부가 이러한 고정부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데드존'에 있는 화장품을 바로 사용할 수 없고 붓 등을 사용해야만 한다. 특허문헌 1 내지 5는 이를 문제점 자체로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특허문헌 1 내지 5는 또한 화장물을 바르는 압력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완충하는 기술은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도 36은 시중에 판매되는 리필용 제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6을 참고하면, 시중에 판매되는 리필용 용기는 크게 A와 B 부분으로 나뉜다. A는 실제 판매되는 리필부로서, 내부에 내용물을 포함하고 내용물의 승하강을 위한 구조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B는 A를 지지하는 몸체로서 실질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스에 해당된다.
A 부분은 회전을 통해서 내용물이 상하로 이동하는 기계적인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부는 회전이 아닌 단순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기계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의 좌측에는 회전을 통해서 내용물이 상하로 이동하는 기계적인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36은 또한 A와 B가 결합하는 방식에 대한 예시를 1), 2), 3)으로 나타내고 있다. 1)은 A의 하단 내주부에 마련된 다수의 돌기부와 B의 내부 기둥이 결합하는 방식이며, 2)는 A의 하단 외주부에 마련된 다수의 돌기부와 B의 원통이 결합하는 방식이며, 3)은 A의 하단 내부주의 자석 및 A의 하단 외주부의 다각형 형상과 B의 금속 또는 자석, 내부 다각형 홈이 결합하는 방식이다. 3)의 경우 2개의 결합이 동시에 진행되지만, 이들이 각각 진행될 수 있으며, 특히 자석 결합은 1), 2)와 결합한 형태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EGO STIC", "SHISEIDO", "HERMES", "La Bouche Rouge"의 제품의 경우 리필을 고려하여 해당 내용물을 교환할 수 있는 형태로 립스틱 또는 멀티밤 제품을 출시하였다. "La Bouche Rouge"의 제품은 도 36의 3)과 같은 방식이며, 나머지 제품은 도 36의 1) 또는 2)의 방식과 같이 리필부가 몸체와 끼움 결합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제품들은 도 36의 A와 같이 립스틱 등의 내용물을 상하로 이동하는 기계적인 수단이 모두 리필부에 부가되어 있다. 즉, 몸체는 단순한 원기둥의 케이스 역할만을 하며, 실질적인 내용물과 이들의 상하 이동의 작동을 위한 기계적인 구성이 모두 리필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의 경우 리필부가 결국 주요한 부품이 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재활용이 어렵고,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모든 구성이 리필부에 있는바, 리필부와 케이스는 단순한 끼움 또는 자석에 의한 결합만이 마련되어 리필부를 몸체에 결합하더라도 완벽하게 밀착되지 않고 유격이 발생한다. 이러한 유격의 문제로 인해서 사용자가 립스틱을 원하는 곳에 섬세하게 바르는 것이 어렵다. 시중에 판매되는 상기 제품들은 또한 화장물을 바르는 압력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완충하는 기술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44399호 ('특허문헌 1')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21265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8883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93090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3383호 ('특허문헌 5')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 화장물이 상하로 승하강하지 않으면서, 이들의 노출 정도를 간단한 구조로 조절할 수 있고, 2) 사용자의 손이나 다른 곳에 묻지 않으면서 화장물을 리필할 수 있으며, 3) 화장물 리필의 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있고, 4) 화장물의 분리와 리필이 용이하며, 5) 화장물을 붓과 같은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끝까지 사용할 수 있고, 6) 화장물을 바르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는 개선된 스틱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용기는 반고형 또는 고형 형태이면, 화장물은 물론 의약, 의약 외 제품 등의 다른 어떠한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내용물로 기재한 것은 화장물, 의약품, 식품 등에서 반고형 또는 고형 형태인 모든 제품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내용물이 탑재되는 내용물홀더, 몸체, 승하강하면서 상기 내용물의 노출을 조절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용물홀더와 탈착 결합하면서 상기 내용물홀더를 지지하는 홀더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지지부는 중앙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가 마련되고 전체적으로 원통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서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홀더지지부몸체,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홀더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상단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더이동부,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결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결합부를 지지하면서도 상기 상단결합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이 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중공부 하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홀더지지부몸체에서 상기 중공부로 돌출된 턱, 상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홀더지지부몸체와 상기 몸체는 개별적으로 분리되거나 일체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부는 하부 방향 및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결합부의 최상부는 상기 홀더지지부몸체의 최상부 단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홀더이동부는 상기 상단결합부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단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더이동부는 전체적인 수직 단면이 T 형태이다. 상기 하단지지부의 하부는 화살촉 또는 쐐기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내용물홀더가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스탑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상기 승하강부재, 상기 내용물홀더는 각각의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이고, 상기 내용물홀더 및 상기 홀더지지부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의 승하강부재몸체, 상기 승하강부재몸체로부터 상기 승하강부재몸체의 외부 또는 내부 방향으로 1개 이상이 돌출되거나, 상기 승하강부재몸체의 외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를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에 지지하는 제1이동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몸체의 내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를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에 지지하는 제2이동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하는 것은 승하강을 하면서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결합부에 의해서 상기 승하강부재가 지지하는 것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시의 구체적인 제1예로서, 상기 몸체의 내면에 마련된 제1나사, 상기 승하강부재의 외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하강부재몸체의 하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제3이동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제한적인 예시의 구체적인 제2예로서, 상기 홀더지지부의 외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홀더지지부몸체의 외면에 마련된 제2나사,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하강부재몸체 내면 하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제4이동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이동결합부는 상기 승하강부재몸체 하부 외면에 1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4이동결합부는 상기 승하강부재몸체 하부 내면에 1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링 형상으로서 상단부에 상기 제3이동결합부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과 결합하는 결합링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과 상기 제1나사의 시작점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이동결합부의 수에 맞게 제1나사는 나사산 또는 쓰레드가 마련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4이동결합부의 수에 맞게 제2나사는 나사산 또는 쓰레드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별도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결합부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상기 몸체와 같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부와 상기 내용물홀더가 탈착 결합하는 방식은 자력, 벨크로, 끼움, 점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부 및 상기 내용물홀더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자석이 부가될 수 있다. 만약에 각각에 자석이 부가될 경우 이들은 특정한 각도에서만 서로 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홀더와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호 결합시 상대적인 회전운동은 하지 않고, 상기 스틱형 용기의 길이 방향의 이동만 가능하도록 상호고정부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부로 투입되며, 상기 내용물홀더와 상기 승하강부재가 상호 결합시 상기 내용물홀더가 상기 스탑퍼에 의해서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호고정부가 상기 스탑퍼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면에 상기 내용물이 탑재되는 홀더 및 측부 홈에 내용물이 끼워져서 탑재되는 내부고정체 및 내용물에 끼워져 내용물을 고정하는 내부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상면은 상기 내용물에 삽입되는 돌출결합부가 배치된다. 또한 돌출결합부는 상기 내용물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내용물에 삽입되어 상기 내용물을 고정할 수 있으면 그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나, 내용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얇은 날개 형태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용물홀더의 외주부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부주를 따라서 이동하는바, 상기 내용물의 실링을 위한 외주부날개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외부주날개는 상기 내용물홀더의 외주부를 따라 배치된 얇고 탄성이 있는 띠 형태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상향 외부로 경사진 띠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외주부날개는 또한 오링과 같은 별도의 부속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기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금속 또는 자석 재질의 홀더결합부, 상기 홀더결합부를 상기 홀더와 결합해주는 홀더결합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주부날개는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결합링에 부가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용물홀더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상부가 폐쇄된 관 형태이며, 내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와 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수단 및 내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된 제1뚜껑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제1뚜껑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 또한 관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홀더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일단부가 폐쇄된 관 형태이고, 상기 관의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뚜껑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제2뚜껑의 경우, 폐쇄된 관의 내경은 개방된 입구쪽이 가장 작고, 폐쇄된 상기 일단부 쪽이 가장 크다. 또 다른 예시로서 상기 제2뚜겅의 경우, 반대의 형태도 가능하며, 또한 내경이 동일한 경우도 가능하다. 한편, 폐쇄된 관의 내경이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으나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내경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뚜껑의 하단 내주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부보다 크고, 상기 제1결합수단 및 제2결합수단이 결합하는 방식은 끼움, 자력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뚜껑과 상기 승하강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내용물홀더를 외부와 차단하며, 이 경우 상기 제1뚜껑은 상기 몸체의 외주부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별도의 지지대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내용물이 탑재되는 내용물홀더,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내용물홀더가 배치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리필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부로 투입되며,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에 돌출된 스탑퍼에 의해서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로 배출되지 않는 리필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필카트리지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와 별도로 실시될 수 있다. 스틱형 용기에 구비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거나, 상기 내용물을 교체할 경우, 내용물이 사용되거나 남아 있는 종래의 내용물홀더 및 이들이 내부에 배치된 상태의 승하강부재 전체가 분리되고, 이후 일체로 신규의 리필카트리지가 새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면에 상기 내용물이 탑재되는 홀더 및 측부 홈에 내용물이 끼워져서 탑재되는 내부고정체 및 내용물에 끼워져 내용물을 고정하는 내부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상면은 상기 내용물에 삽입되는 돌출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기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금속 또는 자석 재질의 홀더결합부, 상기 홀더결합부를 상기 홀더와 결합해주는 홀더결합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전체 높이가 상기 내용물이 탑재되는 상기 내용물홀더의 높이 이상이며,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로서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 밑면은 원주로부터 돌출된 상기 스탑퍼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제시한 해결 수단을 다양하게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종래의 스틱형 용기와 달리 1) 내용물이 상하 이동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내용물의 노출을 조절할 수 있고, 2)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으면서 내용물을 리필할 수 있으며, 3) 리필의 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있고, 4) 이미 사용한 내용물의 분리와 새로운 내용물의 리필이 용이하며, 5) 내용물을 붓과 같은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끝까지 사용할 수 있고, 6) 화장물을 바르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뚜껑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홀더, 홀더결합부, 홀더결합링과 이들이 결합하는 예시다.
도 8 내지 14는 본원발명에 따른 홀더와 돌출결합부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 중 제1실시예에 따른 상단결합부와 하단지지부의 다른 예시이다.
도 16 내지 28은 본원발명에 따른 홀더지지부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9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홀더와 승하강부재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3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대한 내용물홀더와 승하강부재 및 이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4는 돌출결합부의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5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내용물홀더와 홀더지지부의 결합에 대한 변형 예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6은 시중에 판매되는 리필용 제품에 대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원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원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뚜껑에 대한 모식도이며,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홀더, 홀더결합부, 홀더결합링과 이들이 결합하는 예시이며, 도 8 내지 14는 본원발명에 따른 홀더와 돌출결합부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15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 중 제1실시예에 따른 상단결합부와 하단지지부의 예시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1000)는 내용물(1100)이 탑재되는 내용물홀더(1200), 몸체(1500), 승하강하면서 내용물(1100)의 노출을 조절하는 승하강부재(1300), 몸체(15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용물홀더(1200)와 탈착 결합하면서 내용물홀더(1200)를 지지하는 홀더지지부(1400)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1000)에 있어서, 홀더지지부(1400)는 중앙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1410)가 마련되고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서 몸체(1500)와 결합하는 홀더지지부몸체(1420), 중공부(1410)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내용물홀더(1200)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상단결합부(1432)를 포함하는 홀더이동부(1430), 중공부(1410)에 배치되고 상단결합부(143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단결합부(1432)를 지지하면서도 상단결합부(1432)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이 되는 탄성지지부(1440)를 포함한다. 탄성지지부(1440)는 홀더지지부몸체(1420)에서 중공부(1410)로 돌출된 턱(1422)에 의해서 지지된다. 홀더지지부몸체(1420)의 내부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배플(1425)이 구비되어 홀더이동부(14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홀더지지부몸체(1420)와 상기 몸체(1500)는 개별적으로 분리가 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 것이다.
도 3, 도 6, 도 16에서 상단결합부(1432, 1432A)의 가장 상단면이 홀더지지부몸체(1420, 1420A)의 가장 상단면을 넘어서지 않는 것으로 도식화되어 있다. 홀더지지부몸체(1420, 1420A)의 가장 상단면이 상단결합부(1432, 1432A)의 가장 상단면보다 높을 경우 상단결합부(1432, 1432A)와 홀더결합부(1220)가 결합할 때 실질적으로 내용물홀더(1200)가 홀더지지부몸체(1420, 1420A) 외면의 제2나사(1424)를 따라서 일부 회전하면서 결합하게 되는바, 사용자에 결합을 한다는 동작이 촉감으로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단결합부(1432)는 하부 방향 및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홀더지지부의 다양한 변형예 중 하나인 도 16을 통해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단결합부(1432A)의 최상부는 홀더지지부몸체(1420A)의 최상부 단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는 턱(1422A)에 의해서 걸리기 때문이다.
한편, 사용자가 내용물(1100)을 압박할 경우 탄성지지부(1440)에 의해서 내용물(1100)이 이동하므로 내용물(1100)의 형태가 크게 파손되지 않는다.
홀더이동부(1430)는 상단결합부(1432)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탄성지지부(144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단지지부(1434)를 더 포함한다. 홀더이동부(1430)는 전체적인 수직 단면이 T 형태이다. 상단결합부(1432)는 원기둥 형태로서 수직 단면이 넓고, 하단지지부(1434)는 두개의 판이 서로 직교하여 결합된 형태이며 하부에는 화살촉 형태와 같은 걸쇠(도면번호 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쇠는 턱(1422)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1000)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단지지부(1434)는 2개의 판이 서로 직교한 형태이며, 하부에는 걸쇠가 마련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은 하단지지부(1434A)가 원기둥 형태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냈다. 도 15 및 도 16에는 상단결합부(1432A)의 홈에 자석(1433)이 상면으로부터 끼워져서 결합하는 방식을 예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자석(1433)이 측면으로부터 끼워지는 방식을 예시로 나타내고 있다.
승하강부재(1300)는 내용물홀더(1200)가 승하강부재(1300)의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스탑퍼(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1000)에서 스탑퍼(1320), 제1이동결합부(1330), 제4이동결합부(1340)는 같은 것을 말한다.
몸체(1500), 승하강부재(1300), 내용물홀더(1200)는 각각의 단면이 원형이고, 내용물홀더(1200) 및 홀더지지부(1400)는 승하강부재(13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며, 승하강부재(1300)는 몸체(15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승하강부재(13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의 승하강부재몸체(1310), 승하강부재몸체(1310)로부터 승하강부재몸체(1310)의 내부 방향으로 1개 이상이 돌출되어 승하강부재(1300)를 홀더지지부(1400)에 지지하는 제1이동결합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하는 것은 승하강을 하면서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승하강부재(1300)는 몸체(1500) 또는 홀더지지부(1400)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할 수 있다. 몸체(1500)와 홀더지지부(1400)가 개별적으로 분리가 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 것인바, 승하강부재몸체(1310)를 잡고 몸체(1500)를 회전하면 승하강부재(1300)는 승하강한다.
승하강부재(1300)의 다른 설명으로서 홀더지지부(1400)의 외면에 마련된, 구체적으로 홀더지지부몸체(1420)의 외면에 마련된 제2나사(1424)에 대해서 승하강부재(13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나사(1424)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제4이동결합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1000)에서 스탑퍼(1320), 제1이동결합부(1330), 제4이동결합부(1340)는 같은 것을 말한다.
몸체(1500)의 상단에는 별도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결합부(1510)가 부가될 수 있다. 결합부(151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몸체(1500)와 같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상단결합부(1432)와 내용물홀더(1200)가 탈착 결합하는 방식은 자력으로서, 상단결합부(1432)에 자석(1433)이 부가되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1000)에 대한 내용물홀더(1200)는 도 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도 7의 가장 왼쪽은 내용물홀더(1200)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그 오른쪽 3개의 모식도는 위부터 아래로 상부도, 측면도 하부도이다. 가장 왼쪽은 분해 사시도이다.
내용물홀더(1200)는 승하강부재(1300)의 상부로 투입되며, 내용물홀더(1200)와 승하강부재(1300)가 상호 결합시 내용물홀더(1200)가 스탑퍼(1320)에 의해서 승하강부재(1300)의 하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내용물홀더는(1200) 상면에 내용물(1100)이 탑재되는 홀더(1210)를 포함하며, 홀더(1210)의 상면은 내용물(1100)에 삽입되는 돌출결합부(1212)가 배치된다. 또한 돌출결합부(1212)는 내용물(1100)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바, 탄성 재질을 포함한다. 돌출결합부(1212)는 내용물(1100)에 삽입되어 내용물(1100)을 고정할 수 있으며 내용물(1100)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얇은 날개 형태이다.
내용물홀더(1200)의 외주부는 승하강부재(1300)의 내부주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바, 내용물(1100)의 실링을 위해서 외주부날개(1232)가 부가된다. 외주부날개(1232)는 내용물홀더(1200), 구체적으로는 홀더결합링(1230)의 외주부를 따라 얇고 탄성이 있는 띠 형태, 세부적으로 상향 외부로 경사진 띠 형태이다. 외주부날개(1232)는 또한 오링과 같은 별도의 부속으로 대치될 수 있다.
내용물홀더(1200)는 홀더(1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금속 또는 자석 재질의 홀더결합부(1220), 홀더결합부(1220)를 홀더(1210)와 결합해주는 홀더결합링(1230)을 더 포함한다. 외주부날개(1232)는 홀더결합링(1230)에 부가된 것이다.
도 7에서 외주부날개(1232)는 홀더결합링(1230)에 결합되어 있으나, 홀더(1210)에도 결합될 수 있고, 두 곳 모두에도 부가될 수 있다.
도 8 내지 14는 본원발명에 따른 홀더와 돌출결합부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8 내지 14에서 상부 좌측은 내용물홀더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식도이다. 상부 우측은 내용물홀더를 각각 바라보는 시점을 나타낸 것이며, 중앙의 7개는 각각 바라보는 시점에 따른 모식도 및 사시도이며, 하부는 내용물홀더를 아래쪽에서 위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8 내지 11은 내용물(1100)과 결합하는 돌출결합부(1212A, 1212B, 1212C, 1212D)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돌출결합부(1212A, 1212B, 1212C, 1212D)는 2개 내지 4개로 나타냈으며, 각각의 크기와 굴곡 정도를 변형한 것이다.
도 12 내지 13은 별도의 돌출결합부가 없이 내용물(1100)이 내용물홀더에 바로 탑재되는 형태로서 원기둥 모양의 내부고정체(1216A, 1216B)의 주변에 마련된 홈 및/또는 내부고정체(1216B) 하단부의 공간에 내용물이 탑재되어 고정되는 방식이다.
도 14는 별도의 돌출결합부가 없이 내용물(1100)이 내용물홀더에 바로 탑재되는 형태로서 돌출된 내부돌출부(1217)에 의해서 내용물 고정되는 방식이다.
내용물홀더(1200) 및 승하강부재(1300)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상부가 폐쇄된 관 형태이며, 내면 하부에 몸체(1500)와 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수단(1710)이 마련되거나, 내면 상부에 승하강부재(1300)와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수단(1720)이 마련되거나, 제1결합수단(1710) 및 제2결합수단(1720)이 마련된 제1뚜껑(1700A, 1700B, 1700C)이 부가될 수 있다. 제1뚜껑(1700C)은 몸체(1500)의 적어도 일부 또한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로 더 연장된 것이다.
제1뚜껑(1700A)의 하부 내주부는 몸체(1500)의 외주부보다 크다. 제1결합수단(1710) 및 제2결합수단(1720)이 결합하는 방식은 끼움, 자력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1뚜껑(1700B)과 승하강부재(1300)가 결합하여 내용물(1100)을 외부와 차단하며, 제2결합수단(1720) 하부 내주부는 몸체(1500)의 외주부보다 작다. 도 31의 제2결합수단(3720)도 제2결합수단(1720)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뚜껑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제2뚜껑(1700D)에 관한 것이고, 도 5는 제2뚜껑(1700E)에 관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는 플러그(1600)에 원형의 손잡이가 부가된 스틱형 용기를 예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2, 3, 6에서 플러그(1600)는 스틱형 용기(1000)에 있어서 원형의 손잡이 등을 부가하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홀더지지부(1400)의 기능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내용물홀더(1200) 및 승하강부재(1300)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일단부가 폐쇄된 관 형태이고, 상기 관의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다수의 돌출부(1730)를 포함하는 제2뚜껑(1700D, 1700E)이 부가될 수 있다.
제2뚜껑(1700D, 1700E)의 경우, 폐쇄된 관의 내경은 개방된 입구쪽이 가장 작고, 폐쇄된 일단부 쪽이 가장 크다. 다른 예로서 제2뚜껑의 단면이 일정한 경우도 가능하다.
도 4에서 (a)는 전체 스틱형 용기 중 제2뚜껑(1700D) 부분만 분해사시도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b)와 (c)는 제2뚜껑(1700D)을 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서 전체 용기의 결합 전과 결합 후 상태이다. (d), (e), (f)는 제2뚜껑(1700D)이 결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 내용물을 사용한 정도에 따라 제2뚜껑(1700D)에 더 깊게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a)는 전체 스틱형 용기 중 제2뚜껑(1700E) 부분만 분해사시도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b)는 전체 스틱형 용기의 결합전 사시도이며, (c), (e)는 결합 후 단면도를 나타낸다. 각각 내용물을 사용한 정도에 따라 제2뚜껑(1700E)에 더 깊게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d), (f)는 제2뚜껑(1700E) 부분만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의 제2뚜껑(1700D, 1700E)은 모두 폐쇄된 관의 형태로서 내경은 개방된 입구쪽(도면에서 상부)이 가장 작고, 폐쇄된 일단부(도면에서 하부) 쪽이 가장 크다. 이 경우 스틱형 용기를 결합하게 되면 입구쪽은 강하게 결합이 되지만 더 결합이 될수록 내경이 크기 때문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돌출부(1730)를 제2뚜껑(1700D, 1700E)의 내부에 부가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1730)는 수직으로 배치된 기둥(1732)과 수평고리(1734)를 포함한다. 기둥(1732)은 제2뚜껑(1700D)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도 4에는 수평고리(1734)가 4개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수평고리(1734)는 얇은 도넛 형태로서 내경은 일정하다. 즉 도 4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평고리(1734)의 외경은 더 커지지만, 내경은 일정하다. 이를 통해서 스틱형 용기를 제2뚜껑(1700D)과 결합할 때 어느 위치에서도 일정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과의 결합 또한 쉽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할 경우 제2뚜겅(1700D)의 일단부가 더 넓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1730)는 수직으로 배치된 기둥(1732)으로만 구성된다. 기둥(1732)은 제2뚜껑(1700E)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 경우 기둥 각각의 두께는 도 5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며, 이를 통해서 기둥(1732)으로 구성된 내경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는 도 4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이를 통해서 스틱형 용기를 제2뚜껑(1700E)과 결합할 때 어느 위치에서도 일정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과의 결합 또한 쉽다는 장점이 있다. 도 5의 (d), (f)를 참고하면, 상부에 대한 수평 단면도(f)는 각각이 기둥이 서로 서로 절개된 상태이나, 하부에 대한 수평 단면도(d)가 바깥면만 일부만 절개가 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돌출부(1730)를 제2뚜껑(1700E)으로 삽입할 경우 제2뚜껑(1700E) 내부에서 온전히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돌출부(1730)는 금속 재질이 아닌 밀착 및 고정을 위해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PE, PP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 외에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소재도 사용할 수 있다. 제1뚜껑(1700A, 1700B, 1700C), 제2뚜껑(1700D, 1700E)의 최외각은 강도가 있고, 무게가 가벼운 금속이 바람직하다. 강도 있는 수지도 가능(ABS, PET, PC)하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3개의 제1뚜껑(1700A, 1700B, 1700C)을 한꺼번에 나타내었다. 한편 도 3에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해서 탄성지지부(1440)는 생략하였다.
도 3에서 뚜껑(1700A)은 (a), (b), (c), (d)를 나타낸다. 처음 (a) 상태에서 뚜껑(1700A)을 열고(b) 승하강부재(1300)를 하강시키면(c) 내용물(1100)이 노출된다. 계속 사용함에 따라 내용물(1100)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승하강부재(1300) 또한 하강한다. (d)는 내용물(1100)을 사용 후 승하강부재(1300)를 내용물(1100)보다 높게 상승한 후 뚜껑(1700A)을 덮은 상태이다. (d)의 경우, 뚜껑(1700B)을 사용할 경우 (e)와 같이 전체적인 용기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쉽게 눈으로 파악할 수 있는바, 내용물(1100)의 교체 시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내용물(1100)을 거의 다 사용할 경우인 (f)에서 돌출결합부(1212)가 날개 형태의 탄성 재질인바, 별도의 붓 등을 사용하지 않고 끝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g)와 같이 내용물(1100)을 모두 사용한 후에, 승하강부재(1300)를 회전에 의해서 끝까지 상승할 경우, 그 상승하는 힘과 스탑퍼(1320)에 의해서 내용물홀더(1200)가 상단결합부(1432), 특히 자석(1433)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탈착된다. 리필을 할 경우 이 때 내용물(1100)은 승하강부재(1300) 내에 있는바 사용자의 손에 전혀 접촉되지 않는다. 리필은 상기의 반대 순서로서 내용물(1100)이 들어있는 승하강부재(1300)를 홀더지지부(1400)에 결합시키면 내용물홀더(1200)가 상단결합부(1432)에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한편, 몸체(1500)의 하단에는 별도의 지지대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고정수단(도면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1600)를 해서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1실시예(1000)에 따른 완충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a)는 내용물(1100)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b)와 같이 외부의 힘(F)이 가해지면 탄성지지부(1440)에 의해서 내용물(1100)이 하부로 밀려난다. 승하강부재(1300), 특히 승하강부재몸체(1310)는 제2나사(1424)와 제4이동결합부(1340)에 의해서 지지되는바, 승하강부재몸체(1310)는 외부의 힘(F)에도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다. 홀더지지부(1400)의 턱(1422)과 하단지지부(1434)의 걸쇠(도면번호 미도시)에 의해서 탄성지지부(1440)가 미는 힘이 있지만, 상단결합부(1432)는 일정 위치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사용자가 내용물(1100)을 피부에 바를 때 약한 압력을 사용하면 내용물(11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나 내용물(1100)을 강하게 피부에 밀착시키면 내용물(1100)이 탄성력을 가지고 밀려나는바, 사용자는 부드러운 느낌을 유지하면서 내용물(1100)을 피부에 바를 수 있다. 또한 내용물(1100)이 강한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홀더이동부(1430A)로서 자석(1433)이 상단결합부(1432A)에 위에서부터 끼워져 결합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 1, 2는 자석(1433)이 상단결합부(1432)에 측면으로 결합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 16 내지 28은 본원발명에 따른 홀더지지부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하단지지부(1434A)가 원기둥 형태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냈다. 또한 도 16에는 상단결합부의 홈에 자석이 상부로부터 끼워져서 결합하는 방식을 예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 18의 홀더지지부(1400B)는 자석(1433)이 옆으로 끼워지며, 탄성지지부(1440B)가 플러그(1600B)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19, 20, 23, 24, 25, 26, 27, 28의 홀더지지부(1400C, 1400E, 1400F, 1400G)는 탄성지지부(1440C, 1440E, 1440F, 1440G)가 플러그(1600C)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플러그(1600E, 1600F, 1600G)에 의해서 지지된다. 하단지지부(1434C)는 플러그(1600C)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홀더지지부(1400E, 1400G)는 별도의 하단지지부가 없는 형태이다.
도 21, 22의 홀더지지부(1400D)는 탄성지지부(1440D)가 플러그(1600D)에 의해서 지지되며, 하단지지부(1434D)는 플러그(1600D)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9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2실시예(2000)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1000)와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진행한다. 제2실시예(2000)는 몸체(2500)와 홀더지지부몸체(2420)가 분리가 가능하다. 홀더지지부몸체(2420)의 내부 중간에는 턱이 있어 몸체(2500)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다. 아울러 몸체(2500)의 중앙에는 돌출부(도면번호 미도시)가 마련되어 홀더지지부몸체(2420)에 끼움 결합한다. 추가적으로 몸체의 하부 외면은 금속 재질의 하부케이스(2800)가 부가될 수 있다.
도 30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1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며, 도 32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홀더와 승하강부재에 대한 모식도이다.
내용물(3100)이 탑재되는 내용물홀더(3200), 몸체(3500), 승하강하면서 내용물(3200)의 노출을 조절하는 승하강부재(3300), 하부가 몸체(35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내용물홀더(3200)와 탈착 결합하면서 내용물홀더(3200)를 지지하는 홀더지지부(3400)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3000)에 있어서, 승하강부재(3300)는 내용물홀더(3200)가 승하강부재(3300)의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스탑퍼(3320)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를 제공한다.
몸체(3500), 승하강부재(3300), 내용물홀더(3200)는 단면이 원이고, 내용물홀더(3200) 및 홀더지지부(3400)는 승하강부재(33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승하강부재(3300)는 몸체(3500)의 내부로 삽입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3실시예(3000)는 아래서부터 몸체(3500), 몸체(3500)의 내면에 마련된 제1나사(3524), 몸체(35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내용물홀더(3200)와 탈착 결합하면서 내용물홀더(3200)를 지지하는 홀더지지부(3400)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지지부(3400)의 상부에는 자석(3433)이 결합되어 있다.
몸체(3500)의 상면에는 4개의 결합홈(3512)이 마련된 결합링(3510)이 결합된다. 내용물(3100)이 탑재되는 내용물홀더(3200)는 그 하면에 자성을 띤 홀더결합부(3220)가 결합되어 있고, 그 상태로 승하강부재(3300)의 상부로부터 내부에 배치된다. 내부에 내용물홀더(3200)가 배치된 상태로 승하강부재(3300)는 제3이동결합부(3350)가 결합홈(3512)을 통과하여 제1나사(3524)에 결합한다. 이때, 홀더(3210)의 하면에 결합된 자성을 띤 홀더결합부(3220)와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에 결합된 자석(3433)이 결합하여 내용물홀더(3200)가 홀더지지부(3400)에 고정된다.
승하강부재(3300)의 하면 내부로 일부가 돌출된 스톱퍼(3320)는 상부로 투입된 내용물홀더(3200)가 승하강부재(3300)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이후 리필의 경우 승하강부재(3300)가 몸체(3500)의 외부로 배출될 경우 내용물홀더(3200)를 같이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제1뚜껑(3700)을 덮을 경우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며, 제1뚜껑(3700)을 제거한 후 승하강부재(3300)를 몸체(350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승하강부재(3300)가 스틱형 용기(3000)의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내용물(310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승하강부재(3300)가 하강하는 것은 몸체(35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다.
승하강부재(33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의 승하강부재몸체(3310), 승하강부재몸체(3310)로부터 승하강부재몸체(3310)의 외부로 방향으로 1개 이상이 돌출되어 승하강부재(3310)를 몸체(3500)에 지지하는 제3이동결합부(3350)를 포함한다.
도 30 내지 도 35에서 승하강부재와 몸체가 결합하는 방식은 제1나사(3524)와 제3이동결합부(3350, 4350, 5350)를 예시로 나타내었다.
승하강부재(3300)는 몸체(3500)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명세서에서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는 것은 스틱형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하는 것은 승하강부재가 몸체에 대한 상대적 회전 운동을 하면서 승하강하거나 몸체에 대한 상대적 회전 운동을 하지 않으면서 승하강하는 것을 모두를 포함한다.
제1나사(3524) 및 제3이동결합부(3350)의 위치는 상대적인바, 대응되는 구성이 서로 교환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승하강부재(3300)에 마련된 제3이동결합(3350)부가 몸체(3500)에 마련된 경우, 제1나사(3524)는 승하강부재(3300)에 마련될 수 있다.
승하강부재(3300)와 몸체(3500) 또는 홀더지지부(3400)가 고정 및 승하강하는 방식은 나사 외에도 홈 및 슬라이드, 탄성 돌출, 오링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이를 2개 이상 조합하여서도 제공이 가능하다.
제3이동결합부(3350)는 승하강부재(3300)의 하단 외부에 1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3은 대칭으로 4개가 나타나 있으나, 나사산의 가공 등을 고려하여 4개를 초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원형의 링 형상으로서 상단부에 제3이동결합부(3350)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홈(3512)이 마련되고, 몸체(3500)의 상단과 결합하는 결합링(3510)이 부가될 수 있다. 결합홈(3512)과 제1나사(3524)의 시작점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이동결합부(3350)가 결합홈(3512)을 통해서 끼워진 후 몸체(3500)의 내면에 마련된 제1나사(3524)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부 회전을 해야 한다. 이는 제1나사(3524)의 상단부 끝까지 이동한 제3이동결합부(3350)가 바로 결합홈(3512)을 통해서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이동결합부(335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는 결합홈(3512)을 통과하기 쉽게 하고, 제1나사(3524)와의 결합력을 충분하게 할 수 있다.
하기에 설명하는 자석(3433) 또는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이 부가되고, 상기 자석들의 결합력이 충분할 경우, 제3이동결합부(3350)가 제1나사(3524)로부터 바로 분리되지 않는바, 이 경우는 결합홈(3512)과 제1나사(3524)의 시작점을 엇갈리게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3이동결합부(3350)의 수에 맞게 나사가 마련될 수 있다. 제3이동결합부(3350)가 1개일 경우 1개의 나사산을 구비한 제1나사(3524)가 몸체(3500)에 마련되고, 제3이동결합부(3350)가 2개일 경우 2개의 나사산(2개의 쓰레드(thread))를 구비한 제1나사(3524)가 몸체(3500)에 마련될 수 있다. 제3이동결합부(3350)가 복수개인 경우 결합홈(3512) 또한 동일한 복수개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른 예시로서 제3이동결합부가 스틱용 용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위치 또는 동일한 위상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될 경우(도면 미도시), 제3이동결합부 상호 간격은 나사의 1회전의 이동 거리인 피치의 배수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는 제3이동결합부 수에 따라서 나사산의 수 및 결합홈의 수가 증가될 필요가 없다.
홀더지지부(3400)는 중앙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3410)가 마련되고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서 몸체(3500)와 결합하는 홀더지지부몸체(3420), 중공부(3410)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내용물홀더(3200)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상단결합부(343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과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이 탈착 결합하는 방식은 자력, 벨크로, 끼움, 점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합하는 방식 중 자력이 바람직하다.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과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 모두에 자석(3220, 3433)이 배치되거나,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 또는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 중 한 곳에만 자석이 배치되고 다른 곳은 자석과 결합할 수 있는 금속이 배치될 수 있다. 홀더지지부(3400)에 자석이 배치되고 내용물홀더(3200)에는 금속이 배치될 경우, 리필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30, 31, 32에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과 내용물홀더(3400)의 하면 모두에 자석(3220, 3433)이 배치된 것을 예시로 나타냈다.
도 35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내용물홀더(3200)와 홀더지지부(3400)의 결합에 대한 변형 예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과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에 각각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이 부착되고,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은 특정한 각도에서만 서로 결합이 될 수 있다. 도 35에서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은 상호 경사지거나, 상호 요철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이 평면인 경우에도 N, S극의 극성에 의해서 회전하여 특정한 각도에서만 결합이 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변형은 도면에 의해서만 한정되지 않는다.
내용물홀더(3200)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3300)가 제3이동결합부(3350)에 의해서 몸체(3500)와 결합할 때, 승하강부재(3300)의 제3이동결합부(3350)가 특정한 위치에 배치된 결합홈(3512)을 통과해야 한다. 특정한 위치가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이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위치가 아닐 경우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의 상호 결합력에 의해서 내용물홀더(3200)와 홀더지지부(3400)는 강제적으로 회전 및 결합을 한다. 이렇게 결합한 홀더지지부(3400)와 내용물홀더(3200)는 승하강부재(3300)가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더라도 회전 운동을 하지 않는다. 이 경우 내용물홀더(3200)와 승하강부재(3300)가 서로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지 않도록 마련된 상호고정부(3214, 4214, 5214, 3214A, 3214B, 3214C, 3214D)가 도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호고정부(3214, 4214, 5214, 3214A, 3214B, 3214C, 3214D)가 도입될 경우,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은 오히려 방향성이 없이 결합이 가능한 무지향성 자석이거나, 제1자석(3220A, 3220B) 또는 제2자석(3433A, 3433B)만 자력을 갖고 이에 대응하는 쪽은 단순한 금속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경우를 자석(3433)으로 나타냈다.
상호고정부(3214, 4214, 5214, 3214A, 3214B, 3214C, 3214D)가 도입될 경우, 승하강부재(3330)와 내용물홀더(3200)는 홀더지지부(3400) 또는 몸체(3500)와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동시에 필요한바, 이때 제1자석과 제2자석의 결합은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도 35에서는 승하강부재몸체(3300)를 다른 도면과 구별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상호고정부가 생략된 형태를 나타냈다. 이는 도 30, 31, 32의 승하강부재몸체(3310)와는 실질적으로 다른 형태이다.
도 32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홀더와 승하강부재에 대한 모식도이며, 도 33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대한 내용물홀더와 승하강부재 및 이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또한 돌출결합부 및 상호고정부에 대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내용물홀더, 구체적으로 홀더(3210, 4210, 5210)와 승하강부재(3300, 4300, 5300)는 상호 결합시 상대적인 회전운동은 하지 않고, 스틱형 용기의 길이 방향의 이동만 가능하도록 단면의 일부를 변형한 상호고정부(3214, 4214, 5214)가 부가될 수 있다.
상호고정부(3214, 4214, 5214)는 홀더(3210, 4210, 5210)와 승하강부재(3300, 4300, 5300)가 끼워졌을 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단면의 모양을 원형이 아닌 것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각각의 단면을 회전 가능하지 않은 형태인 다각형으로 만들거나, 원형인 단면의 일부를 직선으로 변형하거나, 슬라이드 및 홈 형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2의 경우 원형인 단면의 일부를 직선으로 변형한 것이다. 도 32에서 왼쪽은 홀더(3210)와 승하강부재(3300)의 결합 예시이며, 오른쪽은 홀더(3210)의 상면도, 측면도, 하면도를 나타낸다.
도 33의 오른쪽은 슬라이드 및 홈 형식으로 제조한 것이다. 도 33의 왼쪽은 이들의 복합된 것으로서, 슬라이드 및 홈을 위한 별도의 중간홀더(4305)를 부가한 것이다. 중간홀더(4305)에는 홈이 마련되어 있고 중간홀더(4305)의 외부가 원형인 단면의 일부를 직선으로 변형한 것이나, 이는 서로 바꿔서 적용이 가능하다.
도 33의 오른쪽의 구성은 상호고정부(5214)가 도 31, 도 35에 기재된 스탑퍼(3320)의 역할을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도 33 오른쪽의 상호고정부(5214)는 홀더(5210)와 승하강부재(5300)가 상호 결합시 상대적인 회전운동은 하지 않고, 스틱형 용기의 길이 방향의 이동만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리필 등을 위해서 승하강부재(5300)를 몸체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뽑아낼 때 내부의 내용물홀더(5200)도 동시에 제거되는바, 도 31, 도 35에 기재된 스탑퍼(3320)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초기에 내용물홀더(5200)를 승하강부재(5300) 내부에 강제적으로 결합해야 한다. 이때 홀더(5210)는 승하강부재(5300)의 상부 또는 하부로 투입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과 같이 내용물홀더와 승하강부재가 상대적인 회전운동은 하지 않고, 스틱형 용기의 길이 방향의 이동만 가능하게 할 경우,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더라도 내용물홀더와의 접촉 또는 마찰은 상하 운동에 의한 것만 작용하는바, 내용물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리필을 위해서는 내부에 내용물홀더(3200)가 포함된 상태의 승하강부재(3300)가 사용된다. 내용물홀더(3200)의 내용물(3100)을 사용함에 따라서 승하강부재(3300)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계속적으로 내용물(310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내용물(3100)을 모두 사용하고 나서 리필을 위해서는 승하강부재(3300)를 가장 위쪽으로 상승시킨다. 이 경우 승하강부재(3300)의 제3이동결합부(3350)와 몸체(3500)의 내면에 마련된 제1나사(3524)와 결합이 풀린다. 승하강부재(3300)를 위로 더 올려 몸체(3500)와 분리하면, 스탑퍼(3320)에 의해서 내용물홀더(3200)도 같이 분리가 된다. 상기 리필의 과정은 도 3의 구성과 동일하다.
결합링(3510)이 있을 경우, 승하강부재(3300)의 제3이동결합부(3350)와 몸체(3500)의 내면에 마련된 제1나사(3524)와 결합이 풀린 상태에서 승하강부재(3300)를 일부 회전하여 결합홈(3512)을 통해서 승하강부재(3300)를 몸체(3500)와 분리하고, 이때 스탑퍼(3320)에 의해서 내용물홀더(3200)도 같이 분리된다.
리필을 위해서는 내부에 새로운 내용물홀더(3200)가 포함된 상태의 승하강부재(3300)의 제3이동결합부(3350)를 몸체(3500)의 제1나사(3524)와 결합시킨다. 결합링(3510)이 없을 경우에는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과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이 자력(3220, 3433)에 의해서 자동으로 결합된다. 내용물홀더(3200)가 승하강부재(3300)의 최하면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자력(3220, 3433)에 의해서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과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이 결합할 수 있으며, 승하강부재(3300)를 일부 회전하여 하강할 경우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과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의 더욱 가까워져 쉽게 결합이 가능하다.
결합링(3510)이 마련된 상태에서는 승하강부재(3300)의 제3이동결합부(3350)를 결합홈(3512)을 통과시키고 일부 회전하여 몸체(3500)의 제1나사(3524)와 결합시키며 이후 과정은 결합링(3510)이 없는 상태와 동일하다.
결합링(3510)이 있고 상호고정부(3214)가 없을 경우,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과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에 각각 특정한 각도에서만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1자석(3220A, 3220B) 및 제2자석(3433A, 3433B)을 각각 배치함으로써, 내용물홀더(3200)의 위치를 자력에서 의해서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성이 없는 자석(3433) 또한 사용이 가능하다.
결합링(3510)이 있고 상호고정부(3214)가 있을 경우, 홀더지지부(3400)의 상면과 내용물홀더(3200)의 하면을 방향성이 없는 자석(3433)에 의해서 결합하고, 제3이동결합부(3350)를 회전하여 제1나사(3524)의 시작점과 결합함으로써, 승하강부재(330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스톱퍼(3320)는 종래의 스틱형 용기에 고려하고 있지 않는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으면서 내용물을 리필할 수 있게 한다. 이미 사용한 내용물의 분리를 할 경우 승하강부재(3300)만을 분리함으로써 내용물홀더(3200)가 같이 분리되는 편리함이 있다. 사용자는 내용물홀더(3200)만을 가지고 리필을 진행하므로 내용물(3100)에 대해서는 접촉을 할 필요가 없다.
내용물홀더(3200)를 내부에 포함하는 승하강부재(3300)는 상부 및/또는 하부를 밀봉한 상태로 별도의 리필 제품으로 판매가 가능하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3000)는 리필이 매우 간편한바, 사용자는 하나의 몸체(3500)를 가지고 필요에 따라 다른 내용물을 가지고 있는 승하강부재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상기의 리필을 적용하는 과정은 전체 도면의 다른 실시예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된다.
내용물홀더(3200)는, 상면에 내용물(3100)이 탑재되는 홀더(3210)를 포함하며, 홀더(3210)의 상면은 내용물에 삽입되는 돌출결합부(3212)가 배치된다.
홀더(3210)의 하면에는 홀더지지부(3400)의 자석과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4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돌출결합부의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홀더(1210, 3210, 4210, 5210)는 종래의 스틱형 용기와 달리 상면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별도의 격벽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립 또한 필요치 않다. 본원발명에 따른 홀더(1210, 3210, 4210, 5210)는 상면에 내용물에 삽입되고 내용물을 고정할 수 있는 돌출결합부(1212, 3212, 3212A, 3212B, 3212C, 3212D)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결합부(1212, 3212, 3212A, 3212B, 3212C, 3212D)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이 바람직하나, 내용물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에서 돌출결합부만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는 경우로서 더 바람직한 것은 내용물이 반고형 또는 고형의 재질이거나, 승하강부재에 의해서 내용물이 지지될수 있고 내용물과 승하강부재 사이의 마찰력이 낮아 쉽게 미끄러질 수 있거나, 내용물의 단면이 충분히 넓어 스틱형 형태일지라도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경우이다. 본원발명은 반고형 상태의 유분 화장물을 사용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를 사용할 경우, 내용물이 계속적으로 형태를 유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 모두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형적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돌출결합부(1212, 3212, 3212A, 3212B, 3212C, 3212D)는 내용물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바, 탄성 재질을 사용하며,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탄성체가 바람직하다.
홀더(1210, 3210)는 일부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단면을 가지거나 돌출된 형태의 상호고정부(3214, 3214A, 3214B, 3214C, 3214D)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호고정부(3214, 3214A, 3214B, 3214C, 3214D)는 도 34의 경우와도 결합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몸체의 하단에는 별도의 지지대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고정수단(도면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1000, 2000, 3000: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
1100, 3100, 4100, 5100: 내용물
1200, 3200, 4200, 5200: 내용물홀더
1210, 3210, 4210, 5210: 홀더
3214, 4214, 5214, 3214A, 3214B, 3214C, 3214D: 상호고정부
1212, 1212A, 1212B, 1212C, 1212D, 3212, 3212A, 3212B, 3212C, 3212D: 돌출결합부
1216A, 1216B: 내부고정체
1217: 내부돌출부
1220 : 홀더결합부
3220: 홀더결합부(자석)
3220A, 3220B: 제1자석
1230: 홀더결합링
1232: 외주부날개
4305: 중간홀더
1300, 3300, 4300, 5300: 승하강부재
1310, 3310, 4310, 5310: 승하강부재몸체
1320, 3320: 스탑퍼
1330: 제1이동결합부
1340: 제4이동결합부
3350, 4350, 5350: 제3이동결합부
1400, 1400A, 1400B, 1400C, 1400D, 1400E, 1400F, 1400G, 3400: 홀더지지부
1410, 3410: 중공부
1420, 1420A, 2420, 3420: 홀더지지부몸체
1422, 1422A: 턱
1424: 제2나사
1425: 배플
3524: 제1나사
1430, 1430A: 홀더이동부
1432, 1432A, 3432: 상단결합부
1433, 3433: 자석
3433A, 3433B: 제2자석
1434, 1434A, 1434B, 1434C, 1434D, 1434F: 하단지지부
1440, 1440A, 1440B, 1440C, 1440D, 1440E, 1440F, 1440G: 탄성지지부
1500, 1500B, 1500C, 1500D, 1500E, 1500F, 1500G, 2500, 3500: 몸체
1510: 결합부
3510: 결합링
3512: 결합홈
1600, 1600B, 1600C, 1600D, 1600E, 1600F, 1600G: 플러그
1700A, 1700B, 1700C, 3700: 제1뚜껑
1700D, 1700E: 제2뚜껑
1710: 제1결합수단
1720, 3720: 제2결합수단
1730: 돌출부
1732: 기둥
1734: 수평고리
2800: 하부케이스
F: 힘

Claims (35)

  1. 내용물이 탑재되는 내용물홀더;
    몸체;
    승하강하면서 상기 내용물의 노출을 조절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용물홀더와 탈착 결합하면서 상기 내용물홀더를 지지하는 홀더지지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지지부는,
    중앙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가 마련되고 전체적으로 원통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서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홀더지지부몸체;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홀더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상단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더이동부;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결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결합부를 지지하면서도 상기 상단결합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이 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중공부 하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홀더지지부몸체에서 상기 중공부로 돌출된 턱, 상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틱형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결합부는 하부 방향 및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가 제한되는 스틱형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의 최상부는 상기 홀더지지부몸체의 최상부 단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스틱형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이동부는 상기 상단결합부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단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이동부는 전체적인 수직 단면이 T 형태인 스틱형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내용물홀더가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스탑퍼;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기 승하강부재, 상기 내용물홀더는 각각의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이고,
    상기 내용물홀더 및 상기 홀더지지부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인 스틱형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의 승하강부재몸체;
    상기 승하강부재몸체로부터 상기 승하강부재몸체의 외부 또는 내부 방향으로 1개 이상이 돌출되거나, 상기 승하강부재몸체의 외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를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에 지지하는 제1이동결합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몸체의 내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를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에 지지하는 제2이동결합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하는 스틱형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면에 마련된 제1나사;
    상기 승하강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제3이동결합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지지부몸체의 외면에 마련된 제2나사;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제4이동결합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링 형상으로서 상단부에 상기 제3이동결합부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과 결합하는 결합링;
    이 부가된 스틱형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상기 제1나사의 시작점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스틱형 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동결합부의 수에 맞게 제1나사가 마련된 스틱형 용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별도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결합부가 부가되는 스틱형 용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와 상기 내용물홀더가 탈착 결합하는 방식은 자력, 벨크로, 끼움, 점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스틱형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결합부 및 상기 내용물홀더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자석이 부가되는 스틱형 용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홀더와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호 결합시 상대적인 회전운동은 하지 않고, 스틱형 용기의 길이 방향의 이동만 가능하도록 상호고정부가 부가된 스틱형 용기.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부로 투입되며, 상기 내용물홀더와 상기 승하강부재가 상호 결합시 상기 내용물홀더가 상기 스탑퍼에 의해서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로 배출되지 않는 스틱형 용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면에 상기 내용물이 탑재되는 홀더, 측부 홈에 내용물이 끼워져서 탑재되는 내부고정체, 및 내용물에 끼워져 내용물을 고정하는 내부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상면은 상기 내용물에 삽입되는 돌출결합부가 배치되는 스틱형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합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홀더는,
    상기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금속 또는 자석 재질의 홀더결합부;
    상기 홀더결합부를 상기 홀더와 결합해주는 홀더결합링;
    을 더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홀더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상부가 폐쇄된 관 형태이며,
    내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와 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수단, 내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된 제1뚜껑이 부가된 스틱형 용기.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홀더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일단부가 폐쇄된 관 형태이고, 상기 관의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뚜껑이 부가된 스틱형 용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관의 내경은 개방된 입구쪽이 가장 작고, 폐쇄된 상기 일단부 쪽이 가장 큰 스틱형 용기.
  28. 제26항에 있어서,
    폐쇄된 관의 내경이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으나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내경은 동일한 스틱형 용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의 하부 내주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부보다 크고,
    상기 제1결합수단 및 제2결합수단이 결합하는 방식은 끼움, 자력 중 하나 이상인 스틱형 용기.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과 상기 승하강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내용물홀더를 외부와 차단하는 스틱형 용기.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별도의 지지대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마련된 스틱형 용기.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220116345A 2021-10-22 2022-09-15 스틱형 용기 KR10248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345A KR102482185B1 (ko) 2022-09-15 2022-09-15 스틱형 용기
CN202280069759.8A CN118102946A (zh) 2021-10-22 2022-09-16 棒状容器
PCT/KR2022/013875 WO2023068563A1 (ko) 2021-10-22 2022-09-16 스틱형 용기
KR1020220144218A KR102517535B1 (ko) 2022-09-15 2022-11-02 스틱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345A KR102482185B1 (ko) 2022-09-15 2022-09-15 스틱형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218A Division KR102517535B1 (ko) 2022-09-15 2022-11-02 스틱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185B1 true KR102482185B1 (ko) 2022-12-29

Family

ID=845394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345A KR102482185B1 (ko) 2021-10-22 2022-09-15 스틱형 용기
KR1020220144218A KR102517535B1 (ko) 2022-09-15 2022-11-02 스틱형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218A KR102517535B1 (ko) 2022-09-15 2022-11-02 스틱형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82185B1 (ko)
CN (1) CN1181029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764B1 (ko) * 2023-07-21 2023-10-19 데이비드 씨 정 리필이 가능한 스틱형 내용물 용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658B2 (ko) 1979-11-22 1987-03-19 Nippon Telegraph & Telephone
KR100388883B1 (ko) 1999-04-30 2003-06-25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KR100393383B1 (ko) 2000-02-12 2003-07-31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원격지 및 근거리 제어 무선 전광판 시스템
KR100493090B1 (ko) 2002-12-18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접속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97589Y1 (ko) * 2005-07-21 2005-10-05 주식회사 태평양 립스틱 용기
KR101532539B1 (ko) * 2015-04-22 2015-07-02 (주)연우 립스틱 용기
KR101944399B1 (ko) 2018-05-31 2019-01-31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20210009818A (ko) * 2019-07-18 2021-01-27 정규철 보호관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 화장품용기
KR20210097018A (ko) * 2020-01-29 2021-08-06 정재용 스틱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429B1 (ko) * 2017-05-22 2019-03-20 비제이크라맥스(주) 리필 립스틱 용기
KR102038419B1 (ko) * 2018-07-11 2019-10-30 정규철 보호관이 흔들림 없이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KR102270689B1 (ko) * 2019-07-09 2021-06-28 함형길 리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658B2 (ko) 1979-11-22 1987-03-19 Nippon Telegraph & Telephone
KR100388883B1 (ko) 1999-04-30 2003-06-25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KR100393383B1 (ko) 2000-02-12 2003-07-31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원격지 및 근거리 제어 무선 전광판 시스템
KR100493090B1 (ko) 2002-12-18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접속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97589Y1 (ko) * 2005-07-21 2005-10-05 주식회사 태평양 립스틱 용기
KR101532539B1 (ko) * 2015-04-22 2015-07-02 (주)연우 립스틱 용기
KR101944399B1 (ko) 2018-05-31 2019-01-31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20210009818A (ko) * 2019-07-18 2021-01-27 정규철 보호관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 화장품용기
KR20210097018A (ko) * 2020-01-29 2021-08-06 정재용 스틱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535B1 (ko) 2023-04-05
CN118102946A (zh) 202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7535B1 (ko) 스틱형 용기
KR102469148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US8944712B2 (en) Cosmetic bottle with automatic extending applicator
US20180125198A1 (en) Dual jar cosmetic container
EP2586327B1 (en) Multi-color cosmetic packaging tin
KR102054317B1 (ko) 사용이 편리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EP0660679A4 (en) DISPENSER WITH A REPLACEABLE COSMETIC HOLDER.
WO2018169947A1 (en) Customizable palette
EP3701832A1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for controlling rotational angle of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le
KR101201718B1 (ko) 브러쉬의 변형이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CN109892794A (zh) 用于化妆品的两部分式涂敷器
CA2461589A1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KR101782508B1 (ko) 회전형 립스틱 용기
US20190281954A1 (en) Wheel actuated cosmetic stick
KR20160037425A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200488671Y1 (ko)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0089076A (ko)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JP5848779B2 (ja) アプリケータ
KR102484068B1 (ko) 스틱형 용기
US7789581B2 (en) Applicator devices with a short twist-off protective cap
JPH1156460A (ja) 化粧料塗布容器
US20230052536A1 (en) Stick cosmetic accommodating container
TWM567582U (zh) Makeup Pen
KR20180095459A (ko) 화장품용 패키징
KR102636713B1 (ko) 리필 구조를 갖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