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566B1 - 친환경 스틱형 용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스틱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566B1
KR102651566B1 KR1020230041089A KR20230041089A KR102651566B1 KR 102651566 B1 KR102651566 B1 KR 102651566B1 KR 1020230041089 A KR1020230041089 A KR 1020230041089A KR 20230041089 A KR20230041089 A KR 20230041089A KR 102651566 B1 KR102651566 B1 KR 102651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contents
type container
scre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코리아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내용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여 내용물의 노출을 조절할 수 있고,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 재활용이 쉬운 친환경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스틱형 용기{Eco-friendly stick type container}
본원발명은 친환경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내용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운 친환경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립스틱, 멀티밤과 같은 스틱형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스틱형 화장품은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할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내용물인 화장물의 변이가 최소화되며, 별도로 손에 덜어내지 않고 직접 바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반고형은 물론 고형 제품까지의 다양한 제형이 스틱형 용기에 담겨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크림제를 반고형상의 제형으로 변경한 자외선 차단 스틱형 제품 또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립스틱 제품(100)의 모식도이다. 도 1의 a), b), c)를 참조하면, a) 통상적인 립스틱 용기에서 b) 립스틱을 뚜껑을 개방하고 몸통 부분을 회전하면 c) 내용물(11)인 립스틱이 상승한다.
도 2는 종래 스틱형 용기의 내용물(11) 및 내용물 홀더(10)에 대한 모식도이다. 각각에 대해서 투과 사시도(a), 투과 측면도(b), 투과 상부도(c), 투과 하부도(d)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따른 립스틱 제품은 도 2와 같은 립스틱인 내용물(11) 및 내용물 홀더(1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틱형 용기의 내용물 홀더(10)에는 내용물(11)이 수직으로 삽입 배치되고 이들을 지지하기 위해서 내부에 별도의 배플 형태의 고정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12)가 없더라도 내용물(11) 하부가 내용물 홀더(10)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데드존'인 내용물 홀더(10) 내부에 있는 내용물(11)은 끝까지 사용할 수 없다. 종래의 립스틱 경우, 처음에는 직접 바르는 것이 가능하나 나중에는 별도의 붓을 사용해야만 남은 립스틱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스틱형 용기(2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건조한 입술에 바르는 제품 등에 사용되는 형태다. 도 3에 따른 내용물 홀더(210)는 지지부(213)를 관통하는 돌출결합부(215)가 마련되어 있으며, 돌출결합부(215)는 기둥형상으로서 외면에 나사(217)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결합부(215)는 내용물(211)을 사용하는 동안 회전 운동에 의해서 지지부(213)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지지부(213)의 이동에 의해서 내용물(211) 또한 같이 이동한다. 돌출결합부(215)는 지지부(213)에 완전히 고정된 것이 아니며, 지지부(213)를 관통하여 배치된 것이다. 돌출결합부(215)는 지지부(213)와 나사 결합을 하기 때문에 강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지지부(213)가 나사(217)를 따라서 돌출결합부(215)의 끝까지 이동하더라도 케이스 외벽에 의해서 내용물(21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도 도 2와 같이 별도의 붓이나 스파츌라 등을 사용해야만 내용물(211)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스틱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1) 내용물인 화장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별도의 부품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며, 제조가 어렵다.
2) 화장물을 끝까지 사용하기 어렵다. 도 1 내지 3의 립스틱이나 스틱형 제품의 경우, 화장물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들을 지지하기 위해서 하단에 별도의 고정부(도 2 및 도 3 참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화장물을 지지하기 위한 내용물 홀더(10) 또는 케이스와 같은 외벽이 필요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데드존'인 고정부 내부에 있는 화장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없다. 종래의 립스틱 경우, 처음에는 직접 바르는 것이 가능하나, 나중에는 별도의 붓이나 스파츌라 등을 사용해야만 남은 립스틱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3)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스틱형 용기의 재활용이 어렵다. 스틱형 용기에는 다양한 소재의 수지, 금속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부품의 크기 또한 작다. 아울러 분해하기가 어려워 재활용 또한 어렵다.
특허문헌 1은 화장물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며, 화장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여 화장물의 노출 정도를 조절한다. 특허문헌 1은 승하강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때, 화장물이 회전하지 않는 점에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외부의 승하강부재를 이동하기 위해서 용기 내부에 나사를 구비한 별도의 내용기를 배치하였고, 또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관, 연장부, 관통홀의 형태를 비원형으로 제조하여 구조가 복잡하다.
특허문헌 1은 화장물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덮개부와 외용기의 결합 형태 또한 고정되어 있는바, 화장물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뚜껑과 화장물 상부의 빈 공간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
특허문헌 2 또한 특허문헌 1과 유사하게 화장물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며, 화장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여 화장물의 노출 정도를 조절한다. 화장물이 회전하지 않는 점도 특허문헌 1과 동일하다.
특허문헌 2 또한 화장물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관, 관통홀의 형태를 비원형으로 제조하여 구조가 복잡하다.
특허문헌 3은 화장물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며, 화장물을 감싸는 외부의 승하강부재가 승하강하여 화장물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과 2는 나사를 이용하고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고, 특허문헌 3은 승하강부재의 주변에 오링을 마련하고 이들과 케이스 본체의 마찰력에 의해서 승하강부재를 고정한다. 특허문헌 3은 구성이 단순하나, 정확도가 떨어지고 오링의 경화 등으로 장시간 사용이 어렵다.
특허문헌 4는 특허문헌 3과 같이 승하강부재가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하강하며, 특허문헌 5는 여기에 더하여 하부에 탄성체와 고정을 위한 노치를 부가하였다.
특허문헌 1 내지 5 모두 화장물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뚜껑과 화장물 상부의 빈 공간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5는 또한 화장물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들이 외부로 노출될 때 지지하기 위해서 화장물의 하단에 별도의 내용물 홀더가 마련되어 있다. 화장물을 고정하기 위한 외벽이 필요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데드존'에 있는 화장품을 바로 사용할 수 없고 붓 등을 사용해야만 한다. 특허문헌 1 내지 5는 이를 문제점 자체로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특허문헌 6은 내용물을 잔량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이나, 이러한 형태의 스틱형 용기는 내부에 별도의 승강 구조를 갖는 2단 승강 구조를 갖는 점에서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6은 또한 모두 용기를 재활용하는 점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용기를 소재별로 쉽게 분해할 수 없으며, 이들의 분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1) 내용물인 화장물의 외부 노출 정도를 간단한 부품으로 구현하고, 2) 화장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3) 모두 사용한 후 재활용이 쉬운 스틱형 용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44399호 ('특허문헌 1')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21265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8883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93090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3383호 ('특허문헌 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377557호 ('특허문헌 6')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 화장물이 상하로 승하강하지 않으면서, 이들의 노출 정도를 간단한 구조로 조절할 수 있고, 2) 화장물을 붓과 같은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끝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3) 모두 사용한 후 재활용이 쉬운 스틱형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화장물을 채우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용기는 반고형 또는 고형 형태이면, 화장물은 물론 의약, 의약 외 제품 등의 다른 어떠한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내용물로 기재한 것은 화장물, 의약품, 식품 등에서 반고형 또는 고형 형태인 모든 제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외부 측면에 나사가 마련된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몸통을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몸통결합부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나사가 상기 몸통의 외부 측면이 아닌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나사가 상기 몸통의 외부 측면에 마련될 경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면에 마련되며, 나사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마련될 경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외면에 마련된다.
상기 몸통은 상기 승하강부재,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상기 나사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가 빈 기둥 형태이고 상기 기둥 형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나사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측면에 상기 나사가 마련된 나사부,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나사부의 하부는 상기 승하강부재,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결합된 나사부와 상기 손잡이부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상기 나사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1개 이상의 형태로서,
1) 수평 단면 넓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2) 수평 단면 최외각 사이의 길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3)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부분, 및
4) 절곡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단면의 넓이는 수평 단면으로 보았을 때 채워진 부분의 넓이를 말하며, 수평 단면 최외각 사이의 길이는 수평 단면으로 보았을 때, 가장 길어지는 형태의 길이이다.
절곡부는 도 15와 같은 형태에서 중간에 절곡부가 있는 형태는 물론 소나 염소의 뿔처럼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들지만 절곡된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 돌출결합부의 구체적인 형태의 예시로는
1) 잎이 1개 이상인 식물의 떡잎 형태,
2) i) 1개의 기둥과 ii) 상기 기둥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원형의 판, 타원형의 판, 다각형 판,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3) i) 2개 이상의 돌출된 돌출부와 ii)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 상면과 이격되어 지지되는 막대,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원형의 판, 타원형의 판, 다각형 판, 도넛,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4)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연결된 것으로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형태 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결합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결합부는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거나, 폴리올레핀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와 맞물려 상기 내용물 및 상기 승하강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가 폐쇄된 관 형태의 상부케이스가 부가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는 종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결합부는 상기 몸통과 결합하는 몸통고정부, 상기 몸통고정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몸통고정부와 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부 하면에 밀착되는 밑면지지부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몸통결합부의 다른 예시로는 상기 하부케이스 밑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몸통과 결합하는 몸통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별도의 몸통결합부가 없이 상기 몸통과 상기 하부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틱형 용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제품의 결합을 위해서 지지부가 몸통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몸통의 외측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통의 내측은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나사부의 외부에 마련된 고정턱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결합부, 상기 나사결합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상기 몸통, 상기 승하강부재, 상기 몸통결합부는 수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질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은 반고형 또는 고형 상태로서, 화장품, 의약품, 의약외품, 식품 중 하나일 수 있다. 화장품의 예시로는 립스틱, 립글로즈, 밤,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데오드란트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발명은 또한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내용물의 형태가 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틀을 마련하는 단계,
2) 상기 틀에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
3) 지지부의 상면이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틀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하는 단계,
4) 상기 내용물을 굳혀 상기 지지부와 결합시키고 상기 내용물과 스틱형 용기를 상기 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다른 방법에 있어서,
1) 내용물의 상대적인 노출을 조절하는 승하강부재의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2) 상기 승하강부재 내부 공간에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상기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1) 내용물의 상대적인 노출을 조절하는 승하강부재의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2)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뚜껑을 부가하는 단계,
3)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부 공간에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상기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단계 2)는 순서가 변경이 가능한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제시한 해결 수단을 다양하게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종래의 스틱형 용기와 달리, 1) 화장물이 상하로 승하강하지 않으면서, 이들의 노출 정도를 간단한 구조로 조절할 수 있고, 2) 화장물을 붓과 같은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끝까지 사용할 수 있고, 3) 모두 사용한 후 재활용이 쉬운 스틱형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립스틱 제품(100)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스틱형 용기의 내용물(11) 및 내용물 홀더(10)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스틱형 용기(2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재의 이동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재와 나사의 결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원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변형 예이다.
도 16은 본원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변형 예이다.
도 17은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변형 예이다.
도 18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조 단계에 대한 일 예시이다.
도 19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조 단계에 대한 다른 일 예시이다.
도 20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조 단계에 대한 또 다른 일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원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원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7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스틱형 용기(300)는 상면에 내용물(311)이 탑재되는 지지부(313), 상기 지지부(313)의 하부와 연결되며 외부 측면에 나사(322)가 마련된 몸통(32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지지부(313) 및 몸통(320)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나사(322)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332)가 마련된 승하강부재(33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승하강부재(330)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350), 몸통(320)을 하부케이스(350)와 결합하는 몸통결합부(340)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300)에 있어서, 지지부(313)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용물(311)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315)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300)를 제공한다.
여기서, 몸통(320) 뿐만 아니라 지지부(313) 및 내용물(311)까지 모두 승하강부재(330) 내부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통(320), 지지부(313), 및 내용물(311)이 결합된 길이는 실질적으로 승하강부재(33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승하강부재(330)가 나사(322)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내용물(311)이 승하강부재(330) 내로 배치되는 위치까지 승하강부재(330)가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몸통(320)은 승하강부재(330)의 하면을 관통한 상태가 된다. 승하강부재(330)가 나사(322)를 따라서 몸통(320)의 최상단으로 이동할 경우, 내용물(311)은 모두 승하강부재(330) 내로 배치되거나, 내용물(311)의 상단 일부만이 승하강부재(330) 상부로 노출된다. 반대로 승하강부재(330)가 나사(322)를 따라서 몸통(320)의 최하단으로 이동할 경우, 내용물(311) 전부가 승하강부재(330) 상부로 노출된다. 승하강부재(330)는 내용물(311)을 노출하거나 감추기 위한 목적인바, 승하강부재(330)의 최대 상하 이동 범위는 내용물(311)이 모두 승하강부재(33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용물(311)이 모두 승하강부재(330) 상부로 노출되는 범위까지만 이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모두 결합되어 사용할 경우, 몸통(320)이 하부케이스(350)에 결합되어 있는바, 실질적으로 몸통(320)과 하부케이스(350)는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지만, 이들과 승하강부재(330)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에 의해서 승하강부재(330)가 나사(322)를 따라서 상하 운동을 한다.
이동부(332)는 승하강부재(330)의 내부에서 위치하면서 나사(32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형태면 구체적인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만 이격이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에서 설명하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는 제3실시예에 대한 예시이지만, 해당 구성은 다른 모든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8과 같이 나사(322)가 몸통(320)의 외부 측면에 마련될 경우, 이동부(332)는 승하강부재(330)의 내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나사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마련될 경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외측에 마련된다.
지지부(313), 몸통(320), 승하강부재(330), 하부케이스(350)는 각각의 전체적인 수평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몸통(320)은 승하강부재(330), 구체적으로 승하강부재(330)의 하부를 관통하여 하부케이스(350), 구체적으로 하부케이스(350)의 바닥면에 결합 및 고정되고, 승하강부재(330)는 하부케이스(350)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나사(322)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승하강부재(330)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내용물(311)의 외부 노출정도가 조절된다.
도 6, 7을 참조하면 상부케이스(360)를 개방하면 신규 제품의 경우 승하강부재(330)가 내용물(311)을 모두 감싸고 있다. 하부케이스(350)를 기준으로 승하강부재(330)를 회전시키면, 승하강부재(330), 구체적으로 승하강부재(330)의 이동부(322)가 몸통(320)의 나사(322)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한다. 내용물(311), 돌출결합부(315), 지지부(313), 몸통(320)은 몸통결합부(340) 및 고정버튼(370)에 의해서 하부케이스(350)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몸통(320)은 몸통지지부(374)에 삽입된 상태이고, 버튼밑면(372)은 하부케이스(350)의 하면 내측에 밀착한 상태이다.
내용물(311)이 외부로 개방되어 사용한 후 다시 승하강부재(330)를 상승시켜 내용물(311)을 감출 수 있다. 내용물(311)을 모두 사용하게 되면 돌출결합부(315)가 외부로 노출된다(도 6의 5번째 또는 도 7의 5번째 그림 참조).
내용물(311)을 모두 사용한 후 몸통결합부(340)를 분리하면 지지부(313)와 몸통(320), 승하강부재(330), 하부케이스(350), 고정버튼(370)이 한꺼번에 분리가 된다. 하부케이스(350)와 상부케이스(360)는 종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별도로 분리수거하고 나머지 수지로 된 부분을 한꺼번에 분리수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재활용까지 고려하여 제품의 회수를 용이하게 구성하였다.
몸통결합부(340)는 몸통(320)의 중앙하부에 위치하는 몸통고정부삽입부(324)에 삽입되는 몸통고정부(342), 몸통고정부(342)에 연결되는 손잡이(344), 몸통고정부(342)와 손잡이(344)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350)의 외부 하면에 밀착되는 밑면지지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32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서 원기둥의 외부 측면에 나사(322)가 마련되고, 원기둥의 내부 또는 내부하부에는 몸통고정부(342)가 삽입될 수 있는 몸통고정부삽입부(324)가 마련된다. 손잡이(344)는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하부케이스(350)의 하면을 기준으로 외부에는 밑면지지부(346)가 배치되고 내부에는 고정버튼(370), 구체적으로는 버튼밑면(372)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버튼(370)은 중앙에 통공이 마련된 원형판 형태의 버튼밑면(372)과 버튼밑면(372) 중앙 상부에 결합된 원기둥 형태의 몸통지지부(374)를 포함한다. 몸통(320)의 하부는 몸통지지부(374)에 끼워져 결합된다. 몸통고정부(342)는 하부케이스(350)의 하면에 마련된 관통 부위를 관통하고 몸통지지부(374)로 삽입되고 몸통지지부(374)에 끼워져 결합된 몸통(320)의 몸통고정부삽입부(324)에 삽입된다. 몸통고정부(342)는 하부케이스(350)의 하면, 버튼밑면(372), 몸통지지부(374), 및 몸통고정부삽입부(324) 중 어느 하나에 물리적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 1(300)은 몸통결합부(340)가 별도의 부품으로 존재하고 있으나, 실시예 2(300A)는 별도의 몸통결합부가 없으며, 몸통(320)과 하부케이스(350)을 결합하기 위해서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몸통고정부(342A, 도 8 참조)가 마련되는 점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한바 실시예 2의 해당 차이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생략한다.
구체적인 도면은 제시되지 않았지만, 본원발명은 또한 별도의 몸통결합부가 없이 상기 몸통과 상기 하부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품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통은 분리되어야 한다.
도 8의 경우 도 7에서 몸통결합부(340)가 없으며, 몸통(320)과 하부케이스(350)를 결합하기 위해서 하부케이스(350)에 고정된 몸통고정부(342A)가 마련되는 점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및 4와 대비할 때, 실시예 1 및 2는 나사(322)가 마련된 몸통(320)이 하부케이스(350)에 결합 또는 고정된다는 것이고, 실시예 3 및 4는 나사(482)가 마련된 나사부(480)가 하부케이스(450)와 고정되지 않고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시예 1에서 몸통고정부(342)가 상기 몸통(320)과 결합하는 방식의 구체적인 예시는 몸통고정부(342), 구체적으로는 핀의 형태가 몸통(320)의 중앙하부에 삽입되고, 몸통고정부(342) 주변으로 돌출된 부위와 몸통(320)의 몸통고정부삽입부(324)가 결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 외에도 몸통고정부(342)가 상기 몸통(320)과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핀 외에도 나사, 접착제에 의한 결합도 가능하다.
몸통(320), 하부케이스(350), 및 상기 몸통결합부(340)는 별도의 부품이나 결합되고 스틱형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는 일체로 움직인다.
모두 결합된 상태의 스틱형 용기에서 상부케이스(360)를 개방하면 승하강부재(3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승하강부재(330)를 잡고 하부케이스(350) 또는 몸통결합부(340)를 돌리면 결합된 몸통(320), 하부케이스(350), 및 몸통결합부(340)와 승하강부재(330)는 상호 회전 운동을 한다. 몸통(320)의 외부 측면에 마련된 나사(322)가 회전하고, 나사(322)를 따라서 승하강부재(330)의 이동부(3320)가 이동하면서 승하강부재(330)가 상하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승하강부재(330)를 잡고 있는바, 승하강부재(330)는 결합된 몸통(320), 하부케이스(350), 및 몸통결합부(340)에 대비하여 고정된 상태가 되며, 결합된 몸통(320), 하부케이스(350), 및 몸통결합부(340)는 사용자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몸통(320)과 연결된 지지부(313) 또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내용물(311)도 회전한다.
몸통(320), 하부케이스(350), 및 몸통결합부(340)가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기본적으로 몸통(320), 하부케이스(350), 및 몸통결합부(340)는 별도의 부품이나 결합되고 스틱형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는 일체로 움직여야 한다.
몸통(320), 하부케이스(350), 및 몸통결합부(340)가 결합하는 방식의 다른 예시로는 1) 몸통(320)과 몸통결합부(340)가 결합하면서 중간에 하부케이스(350)의 하면이 끼워지는 방식, 2) 몸통결합부(340)가 먼저 하부케이스(350)와 결합하고, 몸통(320)과 몸통결합부(340)가 결합하는 방식, 3) 별도의 고정버튼(370)이 하부케이스(350)의 내부 하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를 기반으로 결합하는 방식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버튼(370)이 부가될 경우, 몸통(320), 고정버튼(370), 하부케이스(350), 몸통결합부(340)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여 몸통(320), 고정버튼(370), 하부케이스(350), 몸통결합부(340)가 일체로 고정되면 충분하며, 구체적인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버튼(370)이 하부케이스(350)에 고정되고, 고정버튼(370)에 몸통(320)과 몸통결합부(340)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몸통결합부(340)가 제외되어도 스틱형 용기의 작동에는 문제가 없으나, 이러한 변형 또한 가능할 수는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른 예시로는 고정버튼(370)이 하부케이스(350)의 내부 하면 상부에 배치되고 고정버튼(370)에 몸통(320)이 결합하며 고정버튼(370)과 몸통결합부(340)가 결합하면서 중간에 하부케이스(350)의 하면이 끼워지는 방식, 고정버튼(370)이 하부케이스(350)의 내부 하면 상부에 배치되고 고정버튼(370)에 몸통(320)이 결합하며 몸통(320)과 몸통결합부(340)가 결합하면서 중간에 고정버튼(370) 및 하부케이스(350)의 하면이 끼워지는 방식, 고정버튼(370)이 하부케이스(350)의 내부 하면 상부에 배치되고 고정버튼(270)에 몸통(320)에 삽입되며 고정버튼(370)과 몸통결합부(340)가 결합하면서 중간에 하부케이스(350)의 하면이 끼워지는 방식, 고정버튼(370)이 하부케이스(350)의 내부 하면 상부에 배치되고 고정버튼(370)에 몸통(320)이 삽입되며 몸통(320)과 몸통결합부(340)가 결합하면서 중간에 고정버튼(370) 및 하부케이스(350)의 하면이 끼워지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4의 실시예 1의 구체적인 예시는 몸통(320)의 하부는 몸통지지부(374)에 끼워져 결합된다. 핀 형태의 몸통고정부(342)는 하부케이스(350)의 하면에 마련된 관통 부위를 관통하고 몸통지지부(374)로 삽입되고 몸통지지부(374)에 끼워져 결합된 몸통(320)의 몸통고정부삽입부(324)에 삽입된다. 몸통고정부(342)는 하부케이스(350)의 하면, 버튼밑면(372), 몸통지지부(374), 및 몸통고정부삽입부(324) 중 어느 하나에 물리적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으나, 도 4는 몸통고정부삽입부(324)에 고정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400)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400A)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400)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400A)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400)에 따른 승하강부재의 이동부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300)에 따른 승하강부재와 나사의 결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400)에 따른 스틱형 용기(400)는 상면에 내용물(411)이 탑재되는 지지부(413), 지지부(413)의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가 빈 기둥 형태이고 상기 기둥 형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된 가이드부(422)를 포함하는 몸통(42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지지부(413) 및 몸통(420)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나사(482) 및 가이드부(422)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432)가 마련된 승하강부재(43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승하강부재(430)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450), 몸통(4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측면에 나사(482)가 마련된 나사부(480), 나사부(480)와 결합하는 손잡이부(490)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400)에 있어서, 지지부(413)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415)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400)를 제공한다.
나사부(480)의 하부는 승하강부재(430) 하부를 관통하여 손잡이부(490)와 결합되고, 승하강부재(430)는 결합된 나사부(480)와 손잡이부(490)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나사(482)를 따라 상하 이동한다.
제3실시예(400) 및 제4실시예(400A)에 따른 몸통(420), 승하강부재(430), 하부케이스(450), 나사부(480), 손잡이부(490)의 결합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형태는 항상 유지한다. 몸통(420)과 하부케이스(450)는 별도의 부품이나 결합되고 제3실시예(400) 및 제4실시예(400A)에 따른 스틱형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는 일체로 움직인다. 나사부(480)와 손잡이부(490)는 별도의 부품이나 결합되고 제3실시예(400) 및 제4실시예(400A)에 따른 스틱형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는 일체로 움직인다. 결합된 몸통(420)과 하부케이스(450)와 결합된 나사부(480)와 손잡이부(490)는 스틱형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는 서로 분리되지 않지만,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만을 한다. 즉 결합된 나사부(480)와 손잡이부(490)는 결합된 몸통(420)과 하부케이스(450) 내부에서 상하로는 움직이지 않고 회전한다. 실질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는 유격에 해당할 수 있다.
모두 결합된 상태의 제3실시예(400) 및 제4실시예(400A)에 따른 스틱형 용기에서 상부케이스(460)를 개방한다. 손잡이부(490)와 하부케이스(45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하부케이스(450)를 잡고 손잡이부(490)를 돌리면 결합된 나사부(480)와 손잡이부(490)는 결합된 몸통(420)과 하부케이스(450)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결합된 나사부(480) 및 손잡이부(490)와 결합된 몸통(420)과 하부케이스(450) 사이에는 돌출된 턱, 또는 홈이 마련되어 상하로는 움직이지 않지만 회전은 가능하게 결합한다.
결합된 나사부(480)와 손잡이부(490)가 결합된 몸통(420)과 하부케이스(450)를 기준으로 회전하면 나사부(480)의 외부 측면에 마련된 나사(482)가 회전하고, 나사(482)를 따라서 승하강부재(430)의 이동부(432)가 이동하면서 승하강부재(430)가 상하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하부케이스(450)를 잡고 손잡이부(490)를 돌리면, 하부케이스(450)는 상대적으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따라 하부케이스(450)와 결합된 몸통(420) 또한 위치가 고정된다. 손잡부(490)의 회전에 의해서 나사부(480)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부재(430)의 이동부(432)는 나사(482)를 따라 이동해야 하나, 이동부(432)는 또한 상대적으로 위치가 고정된 몸통(420)의 가이드부(422)에 의해서 회전은 제한을 받는다. 그러므로 승하강부재(430)는 하부케이스(450)에 대비하여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만 움직이게 된다.
나사부(480)와 손잡이부(490)가 결합되고, 몸통(420)과 하부케이스(450)가 결합되므로, 나사부(480) 및 손잡이부(490) 중 적어도 하나가 몸통(420) 및 하부케이스(4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이 가능한 결합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 나사부(480)가 몸통(420)과 회전이 가능한 결합을 하거나, 2) 나사부(480)가 하부케이스(450)와 회전이 가능한 결합을 하거나, 3) 손잡이부(490)가 몸통(420)과 회전이 가능한 결합을 하거나, 4) 손잡이부(490)가 하부케이스(450)와 회전이 가능한 결합을 해야한다. 상기 1) 내지 4)의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이 가능한 결합을 해야하며, 복수의 결합도 가능하다.
도 11 중 특히 확대된 A, B를 참조하면, 나사부(480, e)와 손잡이부(490)는 몸통(420)의 특정 부분, 구체적으로는 몸통(420)의 하부 내부로 돌출된 부분(g)을 기준으로 결합하고 이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된 나사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통에 고정되지만, 또한 이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몸통(420)의 외부결합부(424, b)는 하부케이스(450)의 내부결합부(454, a)와 고정 결합된다. 도 9, 10을 참조하면 이들은 외면이 팔각형 형태로 고정되면서 회전을 방지한다. 도 11에서 스틱형 용기(400)가 결합되어 사용될 때, 서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부분은 (a, b)이다. (c, d) 부분은 움직이지 않지만, 이는 (a, b)의 결합에 의한 것이다. e, f는 결합되어 동시에 움직이며, e 및 f는 g, d와는 상하로는 고정되지만 회전은 가능하다. 고정되면서 회전 가능한 형태는 턱과 같은 돌출부위로도 가능하지만, C 형태의 와셔도 가능하다.
실시예 4(400A)는 실시예 3(400)과 대비하여 손잡이부의 형태가 상이하다. 손잡이부(490)는 나사부(480)와 결합하는 나사결합부(492)와 나사결합부(492)에 연결되는 손잡이(494)를 포함한다. 실시예 4(400A)는 실시예 3(400)은 손잡이의 형태가 원형(494) 및 원기둥(494A)인 점에만 차이가 있다. 손잡이부(490)와 나사부(480)가 결합하는 방식은 고정이 될 수 있으면, 구체적인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스틱형 용기를 모두 사용하고 소재 별로 재활용을 위해서는 접착제와 같은 반영구적인 결합 방식보다는 사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끼움, 고정턱 등의 방식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재의 이동부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재와 나사의 결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 도 14는 실시예 1, 2, 3, 4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승하강부재(432)는 나사(482)에 결합하여 이동한다. 나사(482)는 흔들림과 유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면이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여, 이동부(432) 또한 이에 형태를 맞춘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432)의 외면은 나사(482)의 외면, 원기둥에 맞추어 곡면형태이다.
도 15는 본원발명에 따른 지지부(313)의 변형 예이고, 도 16은 본원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13)의 변형 예이며, 도 17은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13)의 변형 예이다. 도 16은 각각의 예시에 대해서 사시도, 정면도, 상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도 17은 사시도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실시예 1에 한정되지 않고 모두 적용 가능하다.
내용물(311, 411)은 반고형 또는 고형 상태로서, 화장품, 의약품, 의약외품, 식품 중 하나일 수 있다. 내용물(311)의 형태는 원기둥, 타원기둥, 또는 각기둥,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으로서, 립스틱, 립글로즈, 밤,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데오드란트, 스틱형 근육이완제, 치즈 ,마아가린 등을 들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내용물(311, 411)은 원기둥 형태만을 나타내고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내용물(311, 411)의 제형은 종래기술에 따른 내용물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반고형 또는 고형의 범위는 인체에 접촉시켜 힘을 가할 때, 형태가 변형이 될 수 있는 정도의 경도 범위이다. 또한 상온이나 그 제품의 보관 온도에 두었을 때, 10분 이상 그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 구체적인 예로 립스틱, 립밤, 냉장 보관된 아이스크림 등의 경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후도 레오미터(Fudoh rheometer)로 측정할 경우 절단경도(g중) 및 꺽임경도(g중)의 범위가 각각 50 내지 300, 50 내지 500의 범위 내이다.
지지부(313)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용물(311)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315, 315A 내지 315T)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돌출결합부(315, 315A 내지 315T)는 지지부(313)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1개 이상의 형태로서,
1) 수평 단면 넓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315, 315A, 315B, 315C, 315D, 315E, 315F, 315G, 315H, 315I, 315K, 315P, 315Q, 315R, 315S, 315T),
2) 수평 단면 최외각 사이의 길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315, 315A, 315B, 315C, 315D, 315E, 315F, 315G, 315H, 315I, 315K, 315Q, 315R),
3) 지지부(313)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부분(315D, 315F, 315H, 315J, 315L, 315M, 315N, 315O, 315P, 315Q, 315R, 315S, 315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형태일 수 있다.
4) 절곡부(315, 315A, 315B, 315C, 315K, 315L, 315M, 315N, 315O, 315P, 315Q, 315R, 315S, 315T)
일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단면의 넓이는 수평 단면으로 보았을 때 채워진 부분의 넓이를 말하며, 수평 단면 최외각 사이의 길이는 수평 단면으로 보았을 때, 가장 길어지는 형태의 길이이다.
돌출결합부(315, 315A 내지 315T)의 구체적인 형태로서,
1) 잎이 1개 이상인 식물의 떡잎 형태(315, 315A, 315B, 315C, 315K),
2) i) 1개의 기둥과 ii) 상기 기둥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원형의 판, 타원형의 판, 다각형 판,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315D, 315E, 315F, 315G, 315H, 315I, 315Q, 315R),
3) i) 2개 이상의 돌출된 돌출부와 ii)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지지부(313) 상면과 이격되어 지지되는 막대,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원형의 판, 타원형의 판, 다각형 판, 도넛,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315J, 315L, 315M, 315N, 315O 315P, 315S, 315T),
4)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연결된 것으로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형태(315D, 315F, 315H, 315J, 315L, 315M, 315N, 315O, 315P, 315Q, 315R, 315S, 315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결합부(315, 315A 내지 315T)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얇게 가공하여 일정 부분 탄성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형태를 유지하지만, 얼굴 피부와 접촉하는 것으로도 변형이 가능한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만 돌출결합부(315, 315A 내지 315T)는 내용물(311)을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 이상은 되어야 한다.
본원발명에서 돌출결합부만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는 경우로서 더 바람직한 것은 내용물이 반고형 또는 고형의 재질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내용물 홀더에 반고형 상태의 유분 화장물을 사용하여 스틱형 용기를 제조할 경우, 내용물이 계속적으로 형태를 유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 모두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형적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돌출결합부는 내용물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바, 탄성 재질을 사용하며,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돌출결합부(315, 315A 내지 315T)는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기준에 비추어 탄성이 없을 수도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돌출결합부는 종래의 돌출결합부(215, 도 3 참조) 또는 고정부(12, 도 2참조)와 달리 내용물에 최소한으로 삽입되므로 사용자가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접근이 쉽다. 또한 측면부가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내용물(311)을 끝까지 사용하는데 매우 유리한 형태다. 종래기술과 달리 내용물을 지지하는 별도의 외벽이 없다. 외벽이 없음에도 물리적인 지지력을 담보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통해서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돌출결합부를 도출하였다.
하부케이스(350, 450)와 맞물려 내용물(311, 411) 및 승하강부재(330, 43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가 폐쇄된 관 형태의 상부케이스(360, 460)가 부가될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350, 450) 및 상부케이스(360, 460)는 종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부품과 동일한 재질인 수지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지지부(313), 몸통(320), 승하강부재(330), 몸통결합부(340)는 수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질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조 단계에 대한 일 예시이며, 도 19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조 단계에 대한 다른 일 예시이고, 도 20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제조 단계에 대한 또 다른 일 예시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은 또한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내용물의 형태가 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틀(2000)을 마련하는 단계(도 18(1)),
2) 상기 틀(2000)에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상기 내용물(2110)을 주입하는 단계(도 18(2)),
3)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틀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하는 단계(도 18(4)),
4) 상기 내용물을 굳혀 상기 지지부와 결합시키고 상기 내용물과 스틱형 용기(300)를 상기 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도 18(5) 및 도 18(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다른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승하강부재(430)를 이동시켜 상기 승하강부재 내부 지지부 상면에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2) 상기 공간에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상기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
3) 상기 내용물(411)을 굳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또 다른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승하강부재(430)를 이동시켜 상기 승하강부재 내부 지지부 상면에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2)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면에 중앙이 개방된 뚜껑(434)을 부가하는 단계,
3) 상기 뚜껑의 중앙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공간에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상기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
4) 상기 내용물을 굳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물이 굳은 후 중앙이 개방된 뚜껑(434) 제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내용물(411)의 형태를 변형하기 위해서 컷팅하는 단계를 부가할 수 있다. 특히 모서리 부분을 더 컷팅할 수 있다. 상기 중앙이 개방된 뚜껑은 금속, 수지, 나무, 고무, 유리, 세라믹, 섬유, 겔 또는 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료는 모두 가능하다. 중앙이 개방된 뚜껑(434)은 내부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변형함으로써 부가적인 컷팅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중앙이 개방된 뚜껑은 승하강부재에 단순하게 놓여져 있는 것으로도 내용물 주입에 필요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부에 단차를 두어 승하강부재와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방법은 공정이 간단하여 1)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2)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증가된다. 종래 기술 중 립스틱 만드는 방법, 도 18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끝부분 둥글게 만들려면 금형을 사용해야 하고 금형에서 분리 후 케이스에 고정 시 끼워서 사용해야 하며, 이 때 도 2와 같은 미사용 부분 발생한다. 3) 상부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하를 뒤집은 상태에서 용기의 하부, 뒤집힌 상태에서의 상부에 구멍을 뚫어 아래쪽에서 내용물을 주입하는 백충진의 경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량이 높지 않다. 내용물이 채워지는 순서가 하부, 실제 사용할 때는 상부부터 채워지는바, 내용물이 고정되어야 하는 부분인 하부에 미충진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기둥의 외면의 온도가 빨리 하강하여, 내용물이 더 빨리 굳기 때문에 중앙부에 홀 형태의 미충진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내용물이 액체 또는 녹아있는 상태와 굳어 있는 상태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굳어있는 상태의 밀도가 더 높은 바, 내용물이 굳게 되면 일부에 동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온도를 상승하여 일부를 용해서 다시 형태를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서 복구가 가능하나, 백충진은 이러한 과정 자체가 불가능하다. 용기 내부까지 열이 전달되지 않을 뿐더러 내부에 빈 구멍이 더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원발명의 경우 충진 과정 중에 기포 등이 발생할 경우 온도를 변경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210: 내용물 홀더
11, 211, 311, 411, 2110: 내용물
12: 고정부
100: 종래기술에 따른 립스틱 제품
200: 종래기술에 따른 스틱형 용기
300, 400, 300A, 400A: 본원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
213, 313, 413: 지지부
215, 315, 315A, 315B, 315C, 315D, 315E, 315F, 315G, 315H, 315I, 315J, 315K, 315L, 315M, 315N, 315O, 315P, 315Q, 315R, 315S, 315T, 415: 돌출결합부
217, 322, 482: 나사
320, 420: 몸통
324: 몸통고정부삽입부
330, 430: 승하강부재
332, 432: 이동부
340: 몸통결합부
342, 342A: 몸통고정부
344, 494, 494A: 손잡이
346: 밑면지지부
350, 450: 하부케이스
360, 460: 상부케이스
370: 고정버튼
372: 버튼밑면
374: 몸통지지부
422: 가이드부
424: 외부결합부
434: 중앙이 개방된 뚜껑
454: 내부결합부
480: 나사부
490: 손잡이부
492: 나사결합부
2000: 틀

Claims (23)

  1. 개방된 평면 형태의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외부 측면에 나사가 마련된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몸통을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몸통결합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1개 이상의 형태로서,
    1) 수평 단면 넓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2) 수평 단면 최외각 사이의 길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3)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부분;
    4) 절곡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형태인 스틱형 용기.
  2. 개방된 평면 형태의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외부 측면에 나사가 마련된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몸통을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몸통결합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1) 잎이 1개 이상인 식물의 떡잎 형태;
    2) i) 1개의 기둥과 ii) 상기 기둥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3) i) 2개 이상의 돌출된 돌출부와 ii)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 상면과 이격되어 지지되는 막대,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도넛,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4)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연결된 것으로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3.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가 빈 기둥 형태이고, 상기 기둥 형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나사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측면에 상기 나사가 마련된 나사부;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의 하부는 상기 승하강부재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결합된 나사부와 상기 손잡이부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상기 나사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스틱형 용기.
  4. 개방된 평면 형태의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 측면에 상기 나사가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몸통을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몸통결합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1개 이상의 형태로서,
    1) 수평 단면 넓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2) 수평 단면 최외각 사이의 길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3)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부분;
    4) 절곡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형태인 스틱형 용기.
  5. 개방된 평면 형태의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 측면에 상기 나사가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몸통을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몸통결합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1) 잎이 1개 이상인 식물의 떡잎 형태;
    2) i) 1개의 기둥과 ii) 상기 기둥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3) i) 2개 이상의 돌출된 돌출부와 ii)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 상면과 이격되어 지지되는 막대,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도넛,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4)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연결된 것으로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상기 승하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상기 나사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스틱형 용기.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1개 이상의 형태로서,
    1) 수평 단면 넓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2) 수평 단면 최외각 사이의 길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3)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부분;
    4) 절곡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형태인 스틱형 용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합부는,
    1) 잎이 1개 이상인 식물의 떡잎 형태;
    2) i) 1개의 기둥과 ii) 상기 기둥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3) i) 2개 이상의 돌출된 돌출부와 ii)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 상면과 이격되어 지지되는 막대,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도넛,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4)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연결된 것으로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맞물려 상기 내용물 및 상기 승하강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가 폐쇄된 관 형태의 상부케이스;가 부가된 스틱형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는 종이로 구성되는 스틱형 용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결합부는,
    상기 몸통과 결합하는 몸통고정부;
    상기 몸통고정부에 연결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결합부는,
    상기 몸통고정부와 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부 하면에 밀착되는 밑면지지부;
    가 더 부가되는 스틱형 용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결합부는,
    상기 하부케이스 밑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몸통과 결합하는 몸통고정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15. 개방된 평면 형태의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외부 측면에 나사가 마련된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과 상기 하부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1개 이상의 형태로서,
    1) 수평 단면 넓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2) 수평 단면 최외각 사이의 길이가 하부보다 상부가 큰 부분;
    3)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부분;
    4) 절곡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형태인 스틱형 용기.
  16. 개방된 평면 형태의 상면에 내용물이 탑재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외부 측면에 나사가 마련된 몸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마련된 승하강부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과 상기 하부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1) 잎이 1개 이상인 식물의 떡잎 형태;
    2) i) 1개의 기둥과 ii) 상기 기둥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3) i) 2개 이상의 돌출된 돌출부와 ii)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 상면과 이격되어 지지되는 막대, 구,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도넛, 내부가 브릿지로 연결된 도넛 중에 하나 이상의 형태;
    4)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연결된 것으로 1개 이상의 관통부를 갖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외측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틱형 용기.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내측은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나사부의 외부에 마련된 고정턱을 지지하는 스틱형 용기.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결합부;
    상기 나사결합부에 연결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기 몸통, 및 상기 승하강부재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틱형 용기.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반고형 또는 고형 상태로서, 화장품, 의약품, 의약외품, 식품 중 하나인 스틱형 용기.
  22. 1) 내용물의 형태가 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틀을 마련하는 단계;
    2) 상기 틀에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
    3) 지지부의 상면이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틀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하는 단계;
    4) 상기 내용물을 굳혀 상기 지지부와 결합시키고 상기 내용물과 스틱형 용기를 상기 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방법.
  23. 1) 내용물의 상대적인 노출을 조절하는 승하강부재의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2)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뚜껑을 부가하는 단계;
    3)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부 공간에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상기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단계 2)는 순서가 변경이 가능한 스틱형 용기에 내용물을 탑재하는 방법.
KR1020230041089A 2022-12-29 2023-03-29 친환경 스틱형 용기 KR102651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88351 2022-12-29
KR1020220188351 2022-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566B1 true KR102651566B1 (ko) 2024-03-28

Family

ID=9048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089A KR102651566B1 (ko) 2022-12-29 2023-03-29 친환경 스틱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566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658U (ko) 1985-07-03 1987-01-26
KR20010060089A (ko) * 1999-12-31 2001-07-06 장현식 저장용기의 접착제 및 그 제조장치
KR100388883B1 (ko) 1999-04-30 2003-06-25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KR100393383B1 (ko) 2000-02-12 2003-07-31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원격지 및 근거리 제어 무선 전광판 시스템
KR100493090B1 (ko) 2002-12-18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접속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97589Y1 (ko) * 2005-07-21 2005-10-05 주식회사 태평양 립스틱 용기
KR20100000933U (ko) * 2008-07-18 2010-01-27 (주)아모레퍼시픽 러버몰드로부터 화장품의 용이한 분리가 이루어지게 한립스틱 제조장치의 진공흡착구
KR101532539B1 (ko) * 2015-04-22 2015-07-02 (주)연우 립스틱 용기
KR101944399B1 (ko) 2018-05-31 2019-01-31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200493142Y1 (ko) * 2019-11-25 2021-02-08 주식회사 리치코스 홀더 분리형 립스틱 용기
KR102308133B1 (ko) * 2020-06-09 2021-09-30 신허웅 리필형 립스틱 용기
KR102371335B1 (ko) * 2021-11-15 2022-03-08 주식회사 정민 리필형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KR102377557B1 (ko) 2020-03-06 2022-03-23 주식회사 케이알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102389856B1 (ko) * 2022-03-11 2022-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잔량 소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658U (ko) 1985-07-03 1987-01-26
KR100388883B1 (ko) 1999-04-30 2003-06-25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KR20010060089A (ko) * 1999-12-31 2001-07-06 장현식 저장용기의 접착제 및 그 제조장치
KR100393383B1 (ko) 2000-02-12 2003-07-31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원격지 및 근거리 제어 무선 전광판 시스템
KR100493090B1 (ko) 2002-12-18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접속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97589Y1 (ko) * 2005-07-21 2005-10-05 주식회사 태평양 립스틱 용기
KR20100000933U (ko) * 2008-07-18 2010-01-27 (주)아모레퍼시픽 러버몰드로부터 화장품의 용이한 분리가 이루어지게 한립스틱 제조장치의 진공흡착구
KR101532539B1 (ko) * 2015-04-22 2015-07-02 (주)연우 립스틱 용기
KR101944399B1 (ko) 2018-05-31 2019-01-31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200493142Y1 (ko) * 2019-11-25 2021-02-08 주식회사 리치코스 홀더 분리형 립스틱 용기
KR102377557B1 (ko) 2020-03-06 2022-03-23 주식회사 케이알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102308133B1 (ko) * 2020-06-09 2021-09-30 신허웅 리필형 립스틱 용기
KR102371335B1 (ko) * 2021-11-15 2022-03-08 주식회사 정민 리필형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KR102389856B1 (ko) * 2022-03-11 2022-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잔량 소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854B1 (ko) 단일 핸들을 갖는 다중 어플리케이터 패키지
KR20180103010A (ko) 화장품 용기
CN108523377A (zh) 可调端睫毛膏刷
US20150335130A1 (en) Pressed cosmetic powder cake devices and methods
US8944712B2 (en) Cosmetic bottle with automatic extending applicator
EP3257395A1 (en) Cosmetics container for preventing flow of capsule cosmetics
JP2003125842A (ja) 物質を包装しおよび/またはこれを睫毛および/または眉毛に適用するデバイスおよびメイクアップを適用する方法
CN105899101B (zh) 从小容器向单位容器装填的工艺和设备,以及可用于该用途的小容器
EP3051976B1 (en)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2651566B1 (ko) 친환경 스틱형 용기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CA2461589A1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KR101485733B1 (ko) 화장품 제조장치
US10799008B2 (en) Low profile medicament container
KR20200109003A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517535B1 (ko) 스틱형 용기
US20210022477A1 (en) Cosmetic applicator
KR101672495B1 (ko) 화장품 용기
CN207041181U (zh) 一种用于化妆品的包装
CN207789097U (zh) 一种等分式分药器
KR20180095459A (ko) 화장품용 패키징
KR20100007680U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20160135875A (ko) 벌집구조를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JPS628827Y2 (ko)
CN107668903A (zh) 一种使用方便的且安全的化妆用装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