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065A - 봉제품에 있어서 원단부를 가진 플랩과 포킷을 한 공정에 의한재봉방법과 당해 자동재봉틀 - Google Patents

봉제품에 있어서 원단부를 가진 플랩과 포킷을 한 공정에 의한재봉방법과 당해 자동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065A
KR20000071065A KR1019997007334A KR19997007334A KR20000071065A KR 20000071065 A KR20000071065 A KR 20000071065A KR 1019997007334 A KR1019997007334 A KR 1019997007334A KR 19997007334 A KR19997007334 A KR 19997007334A KR 20000071065 A KR20000071065 A KR 20000071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flap
folding
automatic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숄
Original Assignee
게르트뵈우어
게.엠.파프악티엔게젤샤프트
클라우스에게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트뵈우어, 게.엠.파프악티엔게젤샤프트, 클라우스에게르트 filed Critical 게르트뵈우어
Publication of KR2000007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05B35/0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with mov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부를 가진 플랩과 포킷을 봉제부품에다 1개 작업공정으로 재봉하기위한 방법과 당해 자동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당해 플랩(10)은 선회위치에서 그의 최종위치(11)(사용위치)로 되고 포킷절편(8)은 봉제부품(6)에 대하여 서로 주어진 거리를 두고 자리를 잡으며 당해 봉제부품 절첩 포킷절편(9)과 플랩은 재봉위치(97)대로 자리잡아 이송되는데 여기에서 포킷(9)과 봉제부품(6)은 심(16)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며 이위에 플랩이 고정심(12)에 의하여 봉제부품(6)과 결합된 다음 고정심(12)주위에서 그의 최종위치(11)(사용위치)로 돌려져 제 2의 카버심(13)에 의하여 주어진 거리(15)에서 봉제부품(6)과 결합된다(도 1).

Description

봉제품에 있어서 원단부를 가진 플랩과 포킷을 한 공정에 의한 재봉방법과 당해 자동재봉틀{Process and sewing robot for sewing a flap with a raw end edge and a pocker to a piece of material for sewing in a single work process}
봉제부품에서 원단부를 가진 플랩을 미리 재봉한 포킷과의 재래식 재봉은 도 4와 5에서처럼 2개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부분 공정에서 플랩(10)은 그의 원단부(14)를 돌린위치로 완성된 사용위치로 봉제품 견본형(17)을 고려하여 재봉된 포킷(9)에 대하여 주어진 거리를 두고 포킷과 플랩의 위치가 조정이 되어 있으며 봉제부위(6)와 고정 심(seam)(12)에 의하여 붙여진다. 제 2 부 과정에서 이제 플랩(10)은 이러한 고정심(12)을 중심으로 그의 사용위치(11)로 180°만큼 회전하여 카버심(cover seam)(틈이음새)(13)에의하여 봉제품(6)과 이어져 있으며 고정심(12)에 대한 카버심(13)의 간격(15)은 완전히 재봉된 플랩(11)이 이상 더 보이지 않도록 택하여 진다. 임의의 수작업으로 행하는 이러한 작업과정은 포킷(9)에 대한 플랩(11)의 주어진 위치를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견본상품의 경우 주어진 공차 범위내에서 줄무늬나 체크무늬(17)와 일치시키기 위하여서는 작업자의 고도 숙련을 요한다. 여기에 적용된 방법은 요구되는 품질사양과 목표수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특히 상당한 시간과 훈련비가 많이든다.
DE 41 24 164 C2에는 봉제부품에 플랩을 달기위한 방법과 자동재봉틀이 명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플랩은 접혀진(정결한)카버 단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플랩은 포킷에 대하여 전위된 위치로 미리 정치시켜서 포킷을 달고 실제 사용위치로 민다음 부친다. 이러한 방법은 플랩을 단다음 원카버단이 보이게 됨으로 원카버단의 플랩을 부치는데는 품질상의 이유로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봉재제품부분에 있어서 원단을 가진 포킷플랩과 포킷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과 당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자동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도면에 의하여 실시예를 명시함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도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 발명에 따르는 자동재봉틀의 부분분해도의 평면도;
도 2 : 절첩장치부 준비스테이숀(로딩스테이숀)의 A-B측면도;
도 3 : 절첩장치부 준비스테이숀 그의 옵션 A-B측면도;
도 4 : 고정심에 의한 회전위치에서 부친 포킷과 플랩달린 셔츠
도 5 : 커버심에 의한 사용위치의 포킷과 플랩달린 셔츠
도 5a : 2개의 커버심과 연필꽃이를 가진 사용위치의 포킷과 플랩(도 5에 대한 설계옵션)
도 6 : 봉제품 홀더(Holder)와 재봉틀의 단면 C-D측면도
도 6a : 플랩홀더 시스템의 단면 L-M
도 7 : 신축터닝 슬라이더(turning slider)부 봉제품홀더 측면도(단면E-F)
도 8 : 신축터닝 슬라이더부 봉제품홀더 평면도
도 9 : 신축터닝 슬라이더부 봉제품홀더 측면도(단면도 G-H)
도 10 : 신축터닝 슬라이더부 봉제품홀더 평면도
도 11 : 신축 절첩슬라이더부 봉제품홀더 측면도(측면 I-K)
도 12 : 신축 절첩슬라이더부 봉제품홀더 평면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봉제품에 포킷과 함께 원카버단부를 가진 플랩을 한 공정으로 하여 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자동재봉을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원카버단부를 가진 플랩을 마추어 재봉하는 작업은 시간과 장치의 비용이 적게 들도록 한다.
본 과제는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제 1항에 제시되어 있는 작업과정에 의한 상기 종류의 방법으로 해결된다.
당해 플랩은 미리 삽입된 재료와 자리잡은 포킷절편이 돌려져 재봉위치로 견본에 마추어지고 재료부분과 포킷재단부에 대하여 그의 완성 사용위치로 정리된다. 개별부분의 상호 정리과정순서는 이때 임의이다. 셔츠, 브라우스 또는 바지인 봉제품에 포킷절편을 접어서 재봉한 다음 정치된 플랩을 제 1 고정심으로 재봉한 다음 이의 고정심을 중심으로 그의 사용위치로 돌림과 동시에 카버심에 의하여 플랩의 원카버단이 더 이상 보이지 않도록 재료와 이어진다. 이로인하여 클램핑 한번으로 여직껏 별도의 작업장에서 행해진 작업공정이 통합되어서 봉재부품, 포킷절편과 플랩의 전 공정시간(공정 및 대기시간)의 절감을 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비절감이 된다. 동시에 이것은 당해 플랩이 고정심 가이드에 의한 교정과정후에 포킷절편과 봉제품에 대하여 정확한 자리를 잡지못할 우려가 저감됨으로 품질향상의 원인이 된다.
당해 방법을 실시하기위하여 청구항 4의 특징을 가진 자동재봉틀이 감안되었다. 봉제품에 대한 포킷절편의 여직껏 공지되어 있는 자리잡기와 포킷절편의 연속 절첩 및 양 부재를 꿔매는 데 반하여 플랩만이 삽입되어야 한다. 당해 장치는 플랩없이 포킷 절편만이 달아야 할 때도 자명하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융통성이 있다. 플랩의 봉제품 부착에 의한 고정 및 카버심은 용이하게 그의 형상과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제 종속청구항은 특히 당해 방법 및 자동재봉틀의 유리한 발명에 따르는 개발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명시되어 있는 자동재봉틀은 프레임(1)을 가지고 있으며 그위에 절첩장치(2)(로딩시테이숀), 재봉틀(3)과 재료-가이드장치(4)가 정치 배설되어 있다.
준비스테이숀(2)에서 재료(6)로서 이때 예컨대 셧츠 앞부분이 있으며 그위에 봉재지지판(5)은 당해 선 마크 7과 7'에 따라서 자리를 잡고 있다.
포킷재단부(8)는 스프링강으로 되어있는 얇은 절첩판(22)상에 위치하며 재료(6)에 대하여 견본과 일치 정돈되고 탄성크램프(24 및 24')에 의하여 재료(6)에 대하여 절첩과 재봉에 필요한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재료를 견본에 마추어 서로 정돈하기 위하여서는 절첩판(22)이 창(27)으로 관통이 되어있음으로 재봉할 재료의 견본형을 따르게 된다. 임의로 봉재홀더(5)를 지나 돌출한 캐리어(31)에서 포킷재단부(8)를 절첩하는데 소요되는 일부만 표시된 절첩구(Folding Tool)(32)가 수용되어 잇으며 이에 의하여 포킷절편(8)이 절첩되어 하부 봉제품(6)이 정확히 자리를 잡게된다. 이러한 절첩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또한 실제로 배포되어 있음으로 상세한 설명이 불필요하다.
예컨대 다음으로 입증이 가능하다.
DE 37 09 264 A1 (US 48 13 362 해당)
DE 37 09 210 A1 (US 47 93 272 해당)
DE 37 09 251 A1 (US 47 85 749 해당)
절첩판(22)은 나사(104)에 의하여 핀(103 및 103')으로 가이드캐리어(105)에 고정된 교환장치에 단계형 정치 캐리어(102)와 연결되어 있다. 정치(定置)(25)상에는 플랩(10)이 그의 근접위치에서 그의 완성 사용위치에 대하여 180°틀어져서 여기에 스토퍼(26)가 견본에 맞게 재료(6)와 포킷 절편(8)에 대하여 자리잡아 탄성 클램프(28 및 28')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3은 재료(6)에 대하여 플랩(10)이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옵션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절첩판(22)은 실린더(29)에 의하여 복귀되며 재료(6)는 상기와 같이 정리된다. 플랩(10)은 그 다음 그의 완성 사용위치에 대하여 180°만큼 틀어져 있는 그의 재봉위치에서 봉제품(6)의 견본형을 감안 2개의 광원(33)에서 나오는 발광마크에 따라 위치조정이 되며 이러한 위치에서 진공실(34)에 의하여 구멍판(35)을 거쳐 흡입된다. 다음단계에서 절첩판(22)은 재차 그의 원위치로 되돌아가고 포킷절편(8)이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자리를 잡는다. 광마크대신에 이동스토퍼(10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 플랩(10)이 자리를 잡은 다음 절첩방향(32)의 절첩영역으로부터 재차 멀어진다.
도 6과 같은 재봉틀(3)은 일반구조에서 실리더 암형의 베이스판(36)과 전자제어 모터(39)로 구동되는 암축(38)이 지지되어 있는 상부암(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축(38)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침봉(40)의 구동은 침(41)으로 전달되고 이밖에 베이스판(36)내 들어 있는 루퍼(42)의 구동이 유된다. 침(41)에는 실공급장치(43)와 실텐숀장치(44)에 의하여 실(45)이 공급되는데 이것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아래실과 이어진다. 봉제품홀더판(5)(도 1 및 도 6)위에는 서로 재봉할 봉제부품(6, 8, 10)의 재료 안내장치(4)가 감안되어 있는데 작업자측(47)에서 보아 재봉틀(3)뒤에 배설되어 있다. 당해 안내장치는 가이드레일(48)을 가지고 있어서 봉제품홀더판(5)에 의하여 프레임(1)과 고정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레일(48)위에는 X방향으로 컴퓨터 제어모터(여기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치형벨트(50)를 거쳐서 가이드 슬라이드(49)가 구동된다. X방향운동을 위하여 가이드레일(51)은 가이드 슬라이드(49)와 고정결합이 되어 있으며 그위에 가이드슬라이드(52)가 Y방향으로 컴퓨터 제어모터(여기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치형벨트(53)를 거쳐 움직인다. 가이드레일(48)은 X축 방향운동을 위하여 가이드슬라이드(49)와 가이드레일(51)은 Y축 방향운동을 위하여 가이드 슬라이드(52)와 더불어 운동직각 좌표계를 형성하는데 이에 따라서 공지의 방법으로 컴퓨터 프로그램(CNC)에 의한 임의의 이동이 제어(96)로 실행가능하다.
Y슬라이드(52)는 마스트(54) 형태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 2개의 가이드바(55 및 55')가 슬라이딩된다. 가이드바(55 및 55')는 연결홀더(57)에 의하여 가이드장치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장치는 한쪽에서 마스트(54)와 고정되고 그의 피스톤롯드(56)에서 연결홀더(57)와 결합이 되어 있는 공압제어 리프트실린더(58)에 의하여 작동된다. 연결홀더(57)에서 봉재품홀더(60)는 다우엘핀(59)에 의하여 자리를 잡아 나사(61)로 고정되어 있는데 당해 봉제품홀더(60)는 홈(62)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는데 이는 재봉할 포킷형상(16)의 심(솔기)라인과 일치한다.
플랩(10)을 재료(6)에 달기위하여서는 봉제품홀더(60)가 터닝슬라이더 시스템(63), 절첩슬라이더 시스템(64)및 플랩루퍼 시스템(65)을 구비하고 있다.
터닝슬라이더 시스템(63)(도 7 및 8 참조)은 실린더 크램핑 피스(cylinder clamping peace)(67 및 67')에 고정되어 있는 터닝바(66)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실린더(68 및 68')의 피스톤롯드가 슬라이더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68 및 68')는 그의 단부에서 핀(69)을 중심으로 포크형의 베어링블록(70 및 70')이 회전이 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봉제품홀더(60)에 고정되어 있다. 봉제홀더판(5)에 대한 터닝바(63)의 정확한 높이는 조정요소(71 및 71')에 의하여 설정되며 여기에서 실린더(68 및 68'가 지지된다). 실린더(68 및 68')에 핀(69)의 반대측 압축시스템(72 및 72')이 부착되어 있으며 한편에서는 일괄설정된 터닝슬라이더 시스템(63)이 조절요소(71 및 71')에 대하여 스프링(73 및 73')으로 눌러주며 또 한편으로는 두터운 재료가 횡단하는 경우에도 터닝바를 들어올려서 허용하게 된다. 압축시스템(72 및 72')의 스프링압력은 핀(74)에 의하여 실린더(68 및 68')로 전달된다. 압력하중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핀(74)은피스톤 역활을 할 수 있으며 스프링실(75)은 유입구(76)를 거쳐 제어 압축공기의 힘을 받는다. 터닝바(66)는 카버심(13)을 재봉하기 위한 홈(77)을 가지고 있으며 포킷플랩(10)이 밑으로 잘 이송이 되어 연속 절첩바(80)주위로 돌도록 예리한 경사면을 가진 터닝단부(78)에 따라 이루어진다.
절첩슬라이더 시스템(64)은 터닝슬라이더 시스템(63)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접철바(80)는 실린더 크램핑피스(81 및 81')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쪽의 실린더(82 및 82')의 피스톤롯드에서 한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봉제품폴더(60)에 실린더(82 및 82')의 고정은 터닝슬라이더 시스템의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포크형 베어링블록(83 및 8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실린더들은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압축시스템(84 및 84')은 조정요소(85 및 85')에 대하여 실린더(82 및 82')를 누르는데 당해 시스템은 플랩(10)위로 절첩바(80)가얹힐 때 고정 심(12)을 재봉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이 되도록 설정된다.
플랩루퍼시스템 65(도1, 도6 및 도 6a)는 가이드하우징(88)으로 되어 있으며 그안에서 2개의 반대로 움직이는 침봉(86 및 86')이 실린더(89 및 89')에 의하여 작동된다. 실린더(89 및 89')를 교대로 작동시켜서 침봉(86 및 86')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원리에 따라서 아래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당해 침봉들은 이를 봉제품홀더(60)의 구성부품으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침(87)으로 플랩(10)의 봉제품속에 밀어넣는다. 침루퍼(shuttle= 북)대신에 민감한 재료가공시 재료손실을 남기지 않는 진공루퍼도 사용 할 수 있다.
가이드하우징(88)은 봉제품홀더(60)의 실린더홀더(9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90)의 봉제품홀더(60)의 홈안에서 상하로 움직인다. 가이드하우징(88)에는 2개의 바(92 및 92')가 고정되어 있어서 재봉할 재료가 로딩 스테이숀(2)으로 부터 재봉틀(3)에 공급시 원활한 공정이 되도록 잡아주고 로딩스테이숀(2)에서 절첩판(22)으로 봉제품홀더(60)를 셋팅하고 당해 절첩판(22)을 절첩위치로 부터 되돌릴때 이를 들어올린다.
로딩위치(2)에서 나올때 침(바늘)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랩접촉면(25)에 하나의 홈(106)이 파여 있어서 그안으로 통과하는 침단부가 잠길 수 있다.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
봉제부품(6) 여기에선 셧츠앞부분은 로딩스테이숀(2)의 절첩장치하에 봉제부품접촉판(5)에 얹히며(도 1 및 도 2)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선마크(7 및 7')에 따라 정렬되며 이때 절첩판(22)은 절첩판실린더(29)에 의하여 나온 위치에서 봉제부품(6)위에 존재하게 된다. 그다음 포킷절편(8)은 절첩판(22)위로 얹히며 스토퍼(23)에 대하여 밀려서 거기에서 샘플과 부합되게 자리잡으려 동시에 크램프(28 및 28')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순서에서는 포킷절편(8)이 일부만 도시되어 있는 절첩구(32)에 의하여 절첩된다. 즉 그의 단부(19)는 절첩판(22)의 하측에서 둘러 싸여진다. 연이어서 절첩판(22)은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는 절첩구(32)와 함께 봉제품 접촉판(5)위에 있는 봉제부품(6)으로 하강한다.
당해절첩구(32)들은 절첩판(22)에 의하여 풀려서 절첩구 캐리어(31)와 함께 위로 선회하여 뒤로 이동한다. 이러한 작동과정은 돌려진 재봉위치와 단부에서 기준면(25)과 판(10)에 의한 절첩판(22)의 장착을 제외하고는 이미 언급한 DE 37 09 251 A1(미국 48 13 362에 상당), DE 37 09 251 A1(미국 47 85 749)과 DE 37 09 210 A1(미국 47 93 272 에 상당)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점에 한해서도 입증이 될 수 있다. 봉제부품홀더(60)(도 1, 도 2, 도 6 및 도 6a)는 이에 설치되어 있는 터닝슬라이드 시스템(turning slide system)(63), 폴딩슬라이드 시스템(folding slide system)(64)과 포킷 그립 시스템(pocker grip system)(65)과 함께 가이드슬라이드 49(X-축에 대한)와 52(Y축에 대한) 및 이에 속한 치형벨트(50 및 53)를 거쳐서 전산기 유도모터(여기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X- 및 Y-축에 대하여 도 1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로드스에숀(2)으로 이송된다. 홈(62)이 절첩된 포킷(9)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를 위하는 이러한 위치에서 봉제품홀더(60)는 실린더(58)의 제어에 의하여 절첩된 포킷(9)은 봉제부품(6)과 함께 봉제품접촉판(5)에 대하여 눌려진다. 그 다음 플랩 그립시스템(65)의 실린더(90)가 제어되며 터닝바(66)와 절첩바(80)는 지지면(20)으로 하강하고 가이드하우징(88)은 침봉(86 및 86')과 함께 플랩(10)을 향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실린더(89 및 89')가 제어됨으로서 침봉(86 및 86')은 침(87)과 더불어 나아가 플랩(10)으로 밀고 들어간다. 실린더 90(실린더 90 들어옴)의 새로운 제어에 의하여 침봉(86 및 86')으로 잡힌 플랩(10)이 또한 터닝바와 절첩바(80)가 지지면(20)에 의하여 바(92 및 92')위로 올려진다.
그 다음 봉제품홀더(60)의 압력을 받는 절첩판(22)과 절첩된 포킷(9)은 재료부분(6)과 함께 봉재품받침면(5)에 대하여 눌리며 지지면(20 및 25)과 크램프(24, 24' 및 28, 28')와 함께 봉제품홀더(60) 밑에서 실린더(29)의 제어에 의하여 제거되는데 이때 절첩된 포킷(9)과 플랩(10)은 봉제부품(6)에 대하여 그의 상기 재봉위치에서 고정위치를 위한다. 연이어서 봉제품홀더(60)의 이송은 3개 봉제부품(6, 9, 10)과 함께 재료-가이드-시스템(4)에 의하여 로딩스테이숀(2)으로 부터 재봉틀(3)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운동중에 플랩그립시스템의 실린더(90)는 새로히 제어되고 잡혀진 플랩(10)은 침봉(86 및 86')과 함께 봉제부품(6)으로 하강하며 이것은 움직이지 않은채 설정된 재봉위치를 유지한다. 터닝바(66)와 절첩바(80)는 동시에 실린더(90)의 제어에 의하여 조정요소(71, 71' 및 85, 85')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레벨로 하강한다. 그다음 보통 방법으로 심(16)은 절첩된 포킷(9)이 봉재부품(6)과 결합됨에 따라 꿰매진다.
이러한 재봉과정이 끝난 다음 봉재부품(6, 9 및 10)은 봉재부품홀더(60)에 의하여 봉제부품장치(98)의 진공실(93)에 의하여 밀린다. 진공실(93)의 당해 진공충격으로 인하여 3개의 봉제부품(6, 9 및 10)은 구멍판(94)으로 흡입되며 고정위치에서 봉제 받침판(5)상에서 지지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실린더(89 및 89')의 제어는 침봉(86 및 86')이 판(10)을 놓아주며 봉제품홀더(60)는 실린더(58)의 제어에 의하여 올려진다.
이렇게 올려진 상태에서 봉제홀더(60)는 Y슬라이드(52)의 당해 구동에 의하여 포킷 재봉위로부터 부(-)의 Y-방향에 따라 설정치수 y1 만큼 플랩재봉위치로 이송함으로 절첩 슬라이더의 절첩단부(95)는 봉제부품(6, 9 및 10)으로 봉제품홀더(60)가 하강후에 고정심 근처에서 놓이며 플랩(10)은 고정심(12)을 재봉하기 위하여 봉제부품지지판(5)에 대하여 눌려내린다(도 7 및 도 8). 늦어도 이시점에서 터닝바(66)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함께 터닝슬라이드 실린더(68 및 68')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한다. 연이어서 그의 윤곽이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는 고정심의 재봉은 예컨대 연필구멍(101)중절로 이루어 진다(도 5a). 실부착(12) 완성후에 터닝슬라이더-실린더(68 및 68')가 제어되며 터닝바(66)는 플랩 및(10)에서 절첩바(80)의 직조에 위치한 고정심(12)에 이른다.
이러한 운동중(도 9 및 도 10)에 터닝바(66) 및 이에 따른 플랩(10)은 봉제부품받침판(5)에 대하여 실린터(68 및 68')의 근소한 경사각에 의하여 대략 절첩바(80)의 레벨까지 올려진다. 고정심(12)에서 그의 최종위치까지 움직이는 터닝바(66)는 절첩바(80)와 통해 있으며 이위로 이를 올려놓음과 동시에 플랩(10)을 고정심(12)을 중심으로 180°만큼 돌리고 절첩바(80)의 절첩단부(95)를 그의 최종사용 위치(11)로 돌려놓는다. 고정심(12)의 직조거리에서 절첩바(80)가 존재함으로서 정확한 회전과 이에따라 또는 플랩(10)의 절첩은 절첩단부(95) 주위의 그의 사용위치(11)에서 터닝바(66)에 의하여 모든 봉제품 품질에서 보장이 된다.
터닝바(66)가 그의 새로운 끝위치에 이른다음 절첩슬라이더 실린더(82 및 82')가 제어되며 절첩바(80)는 도 11과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그의 새로운 끝위치로 들어가며 플랩(11)은 카버심(13)을 재봉하기 위하여 개방된다. 터닝바(66)는 절첩바(80)가 그의 새로운 위체 도달한 후에 압축시스템(72 및 72')에 의하여 봉제품 지지판(5)에 대하여 흘랩(11을 누른다. 이상태에서 플랩은 그의 사용상태(11)로 봉제부품(6)과 함께 터닝바의 홈(77)에 의하여 카버심(13)과 결합된다.
이러한 재봉과정을 종료한 다음 봉제품홀더(60)는 실린더(58)의 제어에 의하여 위로 들리며 Y-슬라이더(52)는 거리 Y2 만큼 전위됨으로 절첩바(80)는 플랩(11)에 의하여 더 이상 카버가 안된다. 이에 따라서 재봉된 봉제부품(6, 9 및 11)의 그 다음에 적용하는 탈착과정은 지장없이 이루어진다. 자동 재봉과정중에 작업자는 준비스테이숀(2)에서 다시 상기의 한 방법으로 재차 새로운 봉제부품을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재봉은 완성재봉부품(6, 9 및 11)이 탈착되고 봉제품홀더(60)가 장착위치(2)로 복귀할 때 이루어진다.
설계상의 이유로 2개 카버심으로 포킷플랩의 재봉도 실용화 된다. 이러한 방안(도 5a)은 상기 장치로 동시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랩(10)은 고정심(12)을 재봉하지 않고도 절첩바(80)를 중심으로 그의 사용위치(11)로 돌리고 이어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2개의 카버심(13 및 21)으로 봉제부품(6)과 결합된다. 이러한 심의 경로는 임의의 형태이며 즉 예컨대 연필구멍에 대한 심구멍(101)과 같은 것이다.
봉제품홀더장치(98)에 봉제부품(6, 9 및 10)을 잡아주기 위하여 포킷재봉위치로 부터 봉제품폴더(60)를 플랩재봉위치로 전환시에도 침봉(99)이 사용되는데 이는 실린더(98)이 사용되는데 이는 실린더(98)의 작동에 의하여 구멍판(94)을 거쳐 이러한 부품의 봉제품내로 밀려 들어가며 이것이 고정 위치에서 봉제품 받침판(5)상에 지지된다.
다른 대안을 보면이러한 방법과 자동재봉틀에 의하여 상기 유형의 플랩 또한 유형에 따라서 포킷이 없거나 또는 포킷을 제작조건상의 이유로 다른 제작방법에 의하여 달아야 할 의류들에도 달을 수 있다.
전체 구동장치 모터 및 실린더 및 부수 자기밸브의 제어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제어방식(96)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봉제품에 포킷과 플랩(포킷뚜껑)을 한공정으로 자동재봉틀로 재봉하면 재래식 방법에 비하여 당해 풀랩의 자리잡기 및 재봉시간과 장치비가 절감되어 유리하다.

Claims (30)

  1. 다음 작업공정 즉 :
    a) 원단부(14)를 돌린위치로하여 그의 최종상태(11)(사용상태)를 가진 플랩(10)과 포킷절편(8)은 봉제부품(6)에 대하여 설정된 거리에서 자리를 잡고 있으며
    b) 봉제부품(6), 절첩된 포킷절편(9) 및 플랩(10)은 일정한 배분에 따라서 연이어 재봉위치(97)로 이송되며
    c) 재봉위치(97)에서 공지된 방법대로 절첩된 포킷(9)과 봉제부품(6)은 심(16)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며
    d) 플랩(10)은 고정심(12)에 의하여 봉제부품(6)과 결합되며
    e) 당해 플랩(10)은 고정심(12)을 중심으로 그의 최종위치(11)(사용상태)로 돌려지고 설정된 거리(15)에서 제 2의 카버심(13)에 의하여 봉제부품(6)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을 사용하여 플랩과 포킷을 봉제부품에 다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당해 플랩(10)은 고정심(12)과 일정한 거리에 설치된 절첩바(80)를 사용하여 터닝바(66)에 의하여 최종위치(11)로 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당해 플랩(10)은 절첩바(80)를 중심으로 터닝바(66)에 의하여 사용위치(단위치(11)로 돌려지며 단지 2개의 카버심(13)과 (21)에 의하여 봉제부품(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플랩(10)만이 봉제부품(6)에 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따르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자동재봉틀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a) 봉제품지지판(5), 절첩판(22) 및 봉제부품(6)(8) 및 (10)의 정치홀더(102)를 구비한 준비스테이션(2)
    b) 공지되어 있는 재봉틀(3)
    c) 플랩그립시스템(65), 터닝슬라이더 시스템(63) 및 절첩 슬라이더 시스템(64)을 가진 봉제품 홀더
    d) 준비스테이션(2)으로 부터 봉제품 홀더를 재봉틀(3)에 인접한 재봉위치(97)로 이송하여 봉제품 홀더(60)와 재봉틀(3) 사이의 상대운동을 주기 위한 공지되어 있는 재료-가이드 장치(4).
    e) 포킷 재봉위치로부터 플랩 재봉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봉제부품(6),(9) 및 (10)의 봉제부품홀더 장치(9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6. 제 5항에 있어서,
    터닝바(66)는 구동(68) 및 (68)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7.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터닝바(66)는 핀(69)을 중심으로 베어링블록(70 및 70')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8. 제 5항 내지 제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바(66)는 진입운동중에 절첩바(80)의 레벨까지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9. 제 5항 내지 8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제품받침판(5)까지 나아가는 터닝바(66)의 높이는 조정요소(71)과 (71')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0. 제 5항 내지 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시스템(72)와 (72')에 의하여 카버심(13)을 재봉하기 위한 터닝바(66)는 플랩(11)에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1. 제 10항에 있어서,
    압축시스템(72)와 (72')의 스프링압력은 피스톤(74)의 보조제어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2. 제 5항 내지 11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바(66)는 카버심(13)을 재봉하기 위한 하나의 홈(7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3. 제 5항 내지 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바(66)는 터닝단부(78)에서 모경사(79)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4. 제 5항에 있어서,
    절첩바(80)는 구동(82)와 (82')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5. 제 5항과 14항중에 있어서,
    절첩바(80)는 베어링블록(83)과 (83')내에서 회전이 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6. 제 5, 14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봉제품지지판(5)에 이동한 절첩바(80)의 높이는 조정요소(85)와 (85')에 의하여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7. 제 5, 14항 내지 1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시스템(84)와 (84')에 의하여 고정심(12)을 재봉하기 위한 절첩바(80)는 플랩(10)위로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8. 제 17항에 있어서,
    절첩바(80)에 대한 압축시스템(84)와 (84')의 스프링압력은 이러한 압력시스템의 보조제어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19. 제 5항 내지 18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슬라이더 시스템(63)과 절첩 슬라이더 시스템(64)은 실린더(90)에 의하여 롯드(92)와 (92')를 거쳐서 상승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0. 제 5항 내지 1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킷재봉위치로부터 플랩 재봉위치로 봉제품홀더(60)를 위치 전환시 재봉위치(97)에서 봉제부품(6), (9) 및 (10)의 봉제품홀더 장치(98)는 구멍판(94)을 가진 진공실(9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1. 제 20항에 있어서,
    봉제품홀더장치(98)는 구동(107)에 의하여 작동되는 이동 침봉(99)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2. 제 5항에 있어서,
    홀더(포킷 재단부(8)의 절첩판(22))과 받침판(플랩(10)의 기준면(2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3. 제 22항에 있어서,
    포킷절편(8)의 홀더는 절첩판(22)으로서 한편 플랩(10)의 받침판(10)은 스토퍼(26)와 그루브(91)를 가진 기준면(2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4. 제 22 또는 23항에 있어서,
    절첩판(22)과 플랩스토퍼(26)와 클램프(24),(24')와 (28), (28')을 가진 기준면은 조립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첩장치(32)의 구성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5. 제 5항에 있어서,
    플랩(10)은 절첩판(22)이 귀환할 때 광원(33)의 광마킹에 따라 직접 봉제부품(6)위에 자리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6. 제 25항에 있어서,
    플랩(10)과 봉제부품(6)은 구멍판(35)을 가진 진공실(34)에 의하여 봉제부품 받침판(5)이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7. 제 5항에 있어서,
    플랩(10)은 고정스토퍼(100)에서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8. 제 27항에 있어서,
    스토퍼(100)는 절첩장치(32)의 절첩영역에서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29. 제 5항에 있어서,
    플랩그립시스템(65)의 가이드하우징(88)에서 롯드(92)와 (92')는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30. 제 5항에 있어서,
    플랩그립시스템(65)의 가이드하우징(88)은 실린더(90)에 의하여 플랩기준면(25)과 봉제부품홀더판(5)으로 상하 및 침봉(86), (86')은 침(87)과 함께 실린더(89)와 (89')에 의하여 입축 이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재봉틀.
KR1019997007334A 1997-02-13 1998-02-11 봉제품에 있어서 원단부를 가진 플랩과 포킷을 한 공정에 의한재봉방법과 당해 자동재봉틀 KR200000710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5314A DE19705314C2 (de) 1997-02-13 1997-02-13 Verfahren und Nähautomat zum Annähen einer Patte mit roher Schlußkante und einer Tasche an ein Nähgutteil in einem Arbeitsgang
DE19705314.9 1997-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065A true KR20000071065A (ko) 2000-11-25

Family

ID=782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334A KR20000071065A (ko) 1997-02-13 1998-02-11 봉제품에 있어서 원단부를 가진 플랩과 포킷을 한 공정에 의한재봉방법과 당해 자동재봉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31108A (ko)
JP (1) JP2002510215A (ko)
KR (1) KR20000071065A (ko)
BR (1) BR9807221A (ko)
DE (1) DE19705314C2 (ko)
WO (1) WO1998036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5340C2 (de) * 1997-04-12 1999-07-15 Duerkopp Adler Ag Nähautomat zum Annähen einer Patte an einem Nähgutteil
DE19756350C1 (de) * 1997-12-18 1999-02-11 Pfaff Ag G M Verfahren und Näheinheit zum Aufnähen einer Patte und einer Tasche auf ein Nähgutteil
JP2001526918A (ja) * 1997-12-18 2001-12-25 ゲー エム パフ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縫製物一部分にフラップとポケットを縫い付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縫製ユニット
DE10203553C1 (de) * 2002-01-29 2003-07-03 Pfaff Ind Masch Näheinheit mit einem in Längs- und Querrichtung bewegbaren Nähguthalter
EP2601337B8 (en) * 2010-05-06 2014-11-12 Colzi S.r.l.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ckets for wallets and relative equipment.
JP2012179229A (ja) * 2011-03-01 2012-09-20 Brother Ind Ltd ミシン、縫目データ作成装置、及び縫目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ITAN20130176A1 (it) * 2013-09-27 2015-03-28 Derim S R L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cuciture di tasche sovrapposte in un portafoglio o portadocumenti.
CN108505218B (zh) * 2017-02-27 2022-02-11 Juki株式会社 口袋折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2395A (ja) * 1987-02-27 1988-09-05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におけるフラツプ返し装置
DE3709264C2 (de) * 1987-03-20 1995-11-16 Duerkopp Adler Ag Nähautomat
DE3709210A1 (de) * 1987-03-20 1988-09-29 Kochs Adler Ag Falteinrichtung fuer einen naehautomaten
DE3709251C2 (de) * 1987-03-20 1995-08-31 Duerkopp Adler Ag Nähautomat
DE3832669A1 (de) * 1988-06-07 1989-12-14 Duerkoppwerke Verfahren zum falten eines stoffstreifens
DE4124164A1 (de) * 1991-07-20 1993-01-21 Duerkopp Adler Ag Verfahren und naehautomat zum annaehen einer patte an einem naehgutteil
US5584258A (en) * 1994-12-23 1996-12-17 Ideal Equipment Company, Ltd. Semi-automatic pocket and pocket flap se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0215A (ja) 2002-04-02
DE19705314A1 (de) 1998-09-24
US5931108A (en) 1999-08-03
DE19705314C2 (de) 1999-12-09
BR9807221A (pt) 2000-05-23
WO1998036120A1 (de) 199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2994A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nd sewing a workpiece, pocket blank and pocket flap
US5588384A (en) Method and apparatus of folding opposite ends of a piece of tape
KR20000071065A (ko) 봉제품에 있어서 원단부를 가진 플랩과 포킷을 한 공정에 의한재봉방법과 당해 자동재봉틀
CN111936686A (zh) 缝制装置、工件保持夹具以及缝制方法
KR100443144B1 (ko) 니들/스레드 클램프 및 커터를 구비한 재봉기, 특히버튼홀 재봉기
AU632648B2 (en) Fabric holding frame for a sewing machine
JPH0229289A (ja) 搬送装置を備えた縫製ユニット
US5584258A (en) Semi-automatic pocket and pocket flap setter
US5553564A (en) Automatic sew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nd sewing workpieces
JPS602075B2 (ja) 加工片案内装置
JPH0686882A (ja) ミシンにおける布地保持装置と基布搬送装置
US6722299B2 (en) CNC controlled buttonhole sewing machine
US4909167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a pocket insert
JP3415766B2 (ja) 被加工物にフラップを縫い付けるための自動縫い装置
US6647905B2 (en) Buttonhole sewing machine
US6662737B2 (en) Mattress label sewing clamp
US4951586A (en) Sewing machine attachment for aligning a reinforcement member in a hem
US4589359A (en) Workpiece receiv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a computer-controlled automatic sewing device
JP2855529B2 (ja) 衣類にポケットのフラップを付ける方法及びこの方法で作業するミシン
US48299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holding a thread chain
EP0353208A1 (en) Industri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a plurality of improved seaming lines
CN112518774A (zh) 袖克夫机器人工作站
EP0494052B1 (en) Industri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making different seaming patterns
CZ20031068A3 (cs) Číslicově řízený dírkovací šicí stroj
US4395960A (en) Pocket positio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