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378A - 입체의 길이로 놓인 샘방지 장벽을 갖는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입체의 길이로 놓인 샘방지 장벽을 갖는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378A
KR20000069378A KR1019997005107A KR19997005107A KR20000069378A KR 20000069378 A KR20000069378 A KR 20000069378A KR 1019997005107 A KR1019997005107 A KR 1019997005107A KR 19997005107 A KR19997005107 A KR 19997005107A KR 20000069378 A KR20000069378 A KR 20000069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barrier
containment
disposable absorbent
di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바라 오클레이 사우어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Publication of KR2000006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3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 용품의 표면에 따른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도록 형상화된 한쌍의 내압착성 샘방지 장벽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이 샘방지 장벽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흡수 용품의 표면 사이에 신체 분비물을 봉쇄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옆으로 떨어져 있다. 각 샘방지 장벽의 너비 대 높이비는 약 0.5 이상이고 내압착력은 약 50 % 이상이다. 또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에 배치되고 흡수 용품의 표면에 따른 배설물이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도록 형상화된 샘방지 댐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상기 샘방지 장벽은 흡수 용품의 상면 시트층과 흡수체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에서, 상면 시트층에는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샘방지 장벽 위에 배치된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입체의 길이로 놓인 샘방지 장벽을 갖는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 Having Three-Dimensional Longitudinal Containment Barriers}
〈발명의 배경〉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흡수용품에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와 액체 불투성 후면 시트 사이에 신체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 물질이 들어있다. 그러한 종래 흡수 용품은 또한 통상적으로는 신체 분비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탄성 허리밴드 및 다리 커프스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흡수 용품 가운데 많은 것이 완벽하게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많은 종래의 흡수 용품은 사용시 신체 분비물을 완벽하게 흡수 용품 내에 봉쇄하지 못하므로써 누출이 일어나 착용자의 옷을 더럽히는 불쾌한 결과를 낳았다. 이런 누출 문제는 특히 사용시 착용자가 물과 같이 흐르는 대변을 배설했을 경우 이러한 흡수 용품의 다리 부분에서 일어났다. 일반적으로, 착용자가 가한 힘에 의해 가랑이로부터 흡수 용품의 다리 및 허리의 열린 부위로 종횡으로 물과 같이 흐르는 대변이 바깥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이런 문제는 착용자가 특히 활동적이어서 흡수 용품의 가랑이 부위에 계속해서 압력이 가해질 경우 더 커진다. 또한 누출 문제는 피부에 대해 친화성을 갖고 있는 대변이 착용자의 피부를 따라 이동하며 흡수 용품 내로 충분히 봉쇄 및 통제되지 않기 때문에도 발생했다. 종래 흡수 용품 가운데 일부는 그의 다리 및 허리 부분에 탄성 부재 및 샘방지 날개 또는 장벽 날개를 갖추고 있어서 덜 새어나가도록 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 부재 및 샘방지 날개는 흡수 용품의 다리 부분에서의 누출을 완벽하게 막아내지는 못했다. 예를 들면 흐르는 배설물과 같은 분비물은 착용자의 피부에 남아있다가 피부를 따라 이동하여 결국에는 샘방지 날개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작은 구멍을 통해 새어나가게 된다. 착용자의 신체와 샘방지 날개 사이의 그런 구멍은 흡수 용품이 착용자에게 잘 맞지 않거나 사용시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생겨난다. 더욱이, 샘방지 날개는 통상적으로 압착력에 대해 그다지 저항성이 없어서 착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체중 또는 힘으로 쉽게 접혀진다. 이렇게 접혀지면 사용시 착용자의 신체가 흡수 용품의 신체측 안감에 바람직하지 못하게 접촉하게 되어 배설물이 가랑이 부분 바깥으로 밀려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다리 탄성물 및 샘방지 날개가 그 흡수 용품의 성능을 향상시켰다고는 하지만, 그러한 흡수 용품의 다리 및 허리 부분에서 배설물이 새어나가는 회수를 더욱 감소시켜야 할 필요가 남아 있다.
〈발명의 요약〉
위에서 논한 어려움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히 흐르는 배설물을 봉쇄하고 옆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한쌍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입체 샘방지 장벽을 갖춘 새로운 일회용 흡수 용품이 개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내압착성"은 아래에 기재한 내압착성 시험 (Compression Resistance Test)에 따라 측정한 내압착성 값을 의미한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내압착성 샘방지 장벽이 갖춰진 일회용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샘방지 장벽은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 위에 옆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지게 위치하여, 착용자의 엉덩이와 배설물 봉쇄용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샘방지 장벽은 소정의 길이, 너비, 높이, 약 0.5 이상의 너비 대 높이비, 및 약 50 % 이상의 내압착성을 갖는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샘방지 장벽은 옆으로 약 8 ㎝ 이하의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각 샘방지 장벽의 안쪽 연부에는 샘방지 장벽 사이에 추가 공간을 제공하고 샘방지 장벽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오목면이 있다.
흡수 용품은 또한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에 놓인 하나 이상의 내압착성 샘방지 댐을 포함한다. 샘방지 댐은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에 따라 배설물이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도록 배치된다. 샘방지 댐은 흡수 용품의 뒷면 허리부의 말단에서부터 길이로 안쪽으로 흡수 용품 길이의 약 10 % 이상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앞면 허리부, 뒷면 허리부, 앞면 허리부와 뒷면 허리부를 연결하는 중간부, 종방향의 양 말단 한쌍, 및 측면의 양 곁단 한쌍이 있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이 흡수 용품은 후면 시트층, 이 후면 시트층 위에 포개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층, 상면 시트층과 후면 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체, 및 상면 시트층 상에 옆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샘방지 장벽을 포함한다. 샘방지 장벽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배설물 봉쇄용 흡수 용품의 상면 시트층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이 흡수 용품은 샘방지 장벽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흡수 용품의 양 곁단을 따라 위치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샘방지 날개를 구비하고 있다. 샘방지 날개는 적어도 일부가 흡수 용품의 양 곁단에 부착되는 접착 말단, 적어도 흡수 용품의 중간부의 양 곁단에 부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유리 연부, 및 통상적으로 중간부에서 흡수 용품의 양 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지도록 유리 연부를 유지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로 되어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샘방지 댐은 소정의 길이, 너비, 높이, 약 0.5 이상의 너비 대 높이비, 및 약 50 % 이상의 내압착성을 갖는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앞면 허리부, 뒷면 허리부, 앞면 허리부와 뒷면 허리부를 연결하는 중간부, 종방향의 양 말단 한쌍, 및 측면의 양 곁단 한쌍이 있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이 흡수 용품은 후면 시트층, 이 후면 시트층 위에 포개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그의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있는 상면 시트층, 상면 시트층과 후면 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체, 및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내압착성 샘방지 장벽을 포함한다. 샘방지 장벽은 흡수 용품의 흡수체와 상면 시트층 사이에 옆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위치하고, 착용자의 엉덩이와 배설물 봉쇄용 흡수 용품의 흡수체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도록 배열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샘방지 장벽은 소정의 길이, 너비, 높이, 약 0.5 이상의 너비 대 높이비, 및 약 50 % 이상의 내압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신체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봉쇄하는 흡수 용품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배설물이 길이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줄이고 흡수 용품의 흡수체로부터 착용자의 신체에 공간을 두어 이러한 분비물을 봉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내압착성 샘방지 장벽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의 흡수 용품은 종래 흡수 용품과 비교할 때 누출을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 소비자의 선호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소변 및 대변과 같은 체액과 분비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배설물을 집적하고 봉쇄하여 누출을 방지하는 모양으로 형상화된 일회용 기저귀 및 성인 요실금 가먼트와 같은 흡수 가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완전하게 이해되고 또한 추가의 이점이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 용품의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라인 2--2를 따라 자른 흡수 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한쌍의 샘방지 장벽이다.
도 4는 도 3에서 라인 4--4을 따라 자른 샘방지 장벽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샘방지 장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 용품의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라인 7--7을 따라 자른 흡수 용품의 단면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유아의 하체 착용에 적합한 일회용 기저귀 용품의 맥락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이 여성 위생 패드, 요실금 가먼트, 배변연습용 팬츠 등 다른 종류의 흡수 용품에도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그의 각종 형상의 맥락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은 그러한 형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회용 기저귀 (20)과 같이 완전한 흡수 가먼트 용품은 일반적으로 앞면 허리부 (22), 뒷면 허리부 (24), 앞면 허리부와 뒷면 허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 (26), 측면의 양 곁단 (28) 한쌍, 종방향의 양 말단 (30) 한쌍으로 형상이 규정된다. 앞면 허리부 및 뒷면 허리부는 사용시 각각 앞뒤 복부 위까지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제조된 흡수 용품의 공통적 부위를 포함한다. 이 용품의 중간부는 착용자의 다리 사이의 가랑이 부위를 통해 연장되도록 제조된, 용품의 공통적 부위를 포괄한다. 양 곁단 (28)은 기저귀의 다리 트임 형상을 규정하며 일반적으로 곡선이거나 착용자의 다리에 더 잘 맞게 만들어진다. 양 말단 (30)은 기저귀 (20)의 허리 트임 형상을 규정하며, 전형적으로는 직선이지만 곡선일 수도 있다.
도 1은 수축되지 않은 평평한 상태의 본 발명의 기저귀 (20)의 대표적인 평면도이다. 그 구조의 일부를, 기저귀 (20)의 내부 구조를 더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부분적으로 잘라내었으며, 착용자와 접촉하는 기저귀 표면이 관찰자 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 기저귀 (20)은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성인 후면 시트 (32), 후면 시트 (32)와 접하는 다공성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 (34), 및 후면 시트와 상면 시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패드와 같은 흡수체 (36)을 갖는다. 기저귀 (20)은 또한 횡방향 (38) 및 종방향 (40)과 종방향 중앙선 (56) 및 횡방향 중앙선 (58)이 있다. 후면 시트 (32)의 여분 구역과 같은 기저귀 (20)의 여분은 흡수체 (36)의 말단 연부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후면 시트 (32)가 흡수체 (36)의 말단 여분 연부를 넘어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기저귀 (20)의 측면 여분 (42) 및 말단 여분 (44)를 형성한다. 상면 시트 (34)는 후면 시트 (32)와 함께 확장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임의로는 후면 시트 (32)의 면적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면적을 필요에 따라 덮는다.
신체에 더 잘 맞아 기저귀 (20)으로부터 신체 분비물이 덜 새어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저귀의 측면 여분 (42) 및 말단 여분 (44)을 다리 탄성 부재 (46) 및 허리 탄성 부재 (48)와 같은 적절한 탄성 부재로 탄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 탄성 부재 (46)은 기저귀 (20)의 측면 여분 (42)를 기능적으로 그러모아 주름을 잡는 단일 또는 다중 띠의 탄성 합성품이나 고무 합성품을 갖추고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꼭 맞출 수 있는 탄성 다리 밴드를 제공하여 누출을 감소시키고 안락함과 외관을 개선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허리 탄성 부재 (48)은 기저귀 (20)의 말단 여분 (44)를 탄성화하는데 사용되어 탄성 허리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허리 탄성 부재는 허리 밴드 부분을 기능적으로 그러모아 주름을 잡도록 하는 모양으로 형상화되어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탄력성 있고 편안하게 꼭 드러맞게 된다.
이 탄성 부재 (46) 및 (48)을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상태로 기저귀 (20)에 고정하여, 팽팽한 정상 상태일 때 탄성 부재가 기저귀 (20)을 효과적으로 수축시킨다. 예를 들면, 기저귀가 비수축 상태일 때 탄성 부재 (46) 및 (48)을 신장된 상태로 기저귀 (2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에서, 탄성 부재 (46) 및 (48)은 명확하게 보이기 위해 수축되지 않고 신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는, 기저귀 (20)은 별도의 탄성화된, 모아진 다리 보강부 (leg gusset) 한쌍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기저귀 (20)의 적어도 중간부 (26)에서 측면 여분 (42)을 따라 부착되어 있으면서 탄성 다리 커프스로 기능한다. 이러한 다리 보강부는 측면 여분 (42)의 각 오목부를 지나 확장되면서 그 오목부를 연결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에서 대표적으로 묘사한 바와 같은 기저귀 (20)은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기저귀 (2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파스너 (50) 한쌍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파스너 (50)으로 적절한 것은 훅크-루프형 파스너, 접착 테이프 파스너, 단추, 핀, 똑딱 단추, 머쉬룸-루프 파스너 등이 있다. 보조 측면패널 부재 (52)가 각 파스너와 연결될 수 있으며, 비탄성으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기저귀 (20)의 횡방향 (38)을 따라서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기저귀 (20)은 또한 탄성화된, 종방향으로 연장된 샘방지 날개 (90) 한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기저귀 (20)의 적어도 중간부 (26)에서 곧추 선 수직 배열을 유지하도록 형상화되어 있어서 신체 분비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추가 장벽으로 기능한다. 샘방지 날개는 적어도 기저귀 (20)의 중간부에서는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에 부착되지 않은 채로 있는 유리 연부 (92) 및 실질적으로 샘방지 날개 (90)의 전체 길이에 걸처 상면 시트 (34)에 접착된 채로 있을 수 있는 접착 연부 (94)를 구비한다. 샘방지 날개 (90)에는 또한 적어도 기저귀 (20)의 중간부 (26)에서는 유리 연부 (92)가 상면 시트 (34)로부터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형상화된 탄성 부재 (96)가 갖추어져 곧추 선 배열이 유지되어 분비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장벽을 제공한다.
기저귀 (20)은 상면 시트 (34) 및 흡수체 (36) 사이에 급배설물 (surge) 처리층 (5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흡수체 (36)을 효과적으로 지탱하면서 액체 분비물을 흡수체에 골고루 퍼뜨리도록 배치된다. 급배설물 처리층 (54)는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은 기저귀 부분에 액체 분비물이 모이거나 집적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피부가 젖는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샘방지 날개 및 급배설물 처리층의 적절한 구성과 배열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다른 적절한 기저귀 구성요소도 본 발명의 흡수 용품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기저귀 (20)은 적어도 기저귀 (20)의 중간부에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한쌍의 내압착성 샘방지 장벽을 추가로 구비한다. 샘방지 장벽 (60)은 배설물이 기저귀 (20)의 다리 부분 밖으로 옆으로 흐르는 것을 줄이고, 사용시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 (20)의 흡수 부분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형상화한다. 이 공간은 신체 분비물, 특히 배설물이 기저귀 (20)의 흡수체 (36)에 의해 흡수되거나 탈착될 때까지 봉쇄되도록 형상화한다. 도 1 및 도 2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기저귀 (20)은 배설물이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와 같은 부위로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모양으로 형상화되어, 기저귀 (20) 안에 그러한 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봉쇄하는 하나 이상의 샘방지 댐을 추가로 구비한다.
기저귀 (20)은 여러 가지 적합한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T-형 또는 대략 모래시계형일 수 있다. 예시한 실시 형태에서, 기저귀 (20)은 공통적으로 I-형이다. 이러한 용도에 관련하여 사용이 적합한 기저귀 모양이나 기저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기저귀 구성 요소의 예는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을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4,798,603호 (1989년 1월 17일 허여, Meyer 등), 미국 특허 제5,176,668호 (1993년 1월 5일 허여, Bernardin), 미국 특허 제5,176,672호 (1993년 1월 5일 허여, Bruemmer 등), 미국 특허 제5,192,606호 (1993년 3월 9일 허여, Proxmire 등) 및 미국 특허 제5,509,915호 (1996년 4월 23일 허여, Hanson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 및 외형으로 인해 연성, 신체 적합성, 착용자 피부의 홍반 형성 감소, 피부 수화 감소, 및 신체 분비물의 샘방지 개선도의 다른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기저귀 (20)의 각종 구성 요소는 접착제, 음파 결착, 열 결착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여러 종류의 적절한 부착 수단을 사용하면서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예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상면 시트 (34) 및 후면 시트 (32)가 열용융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로 서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흡수체와도 결합되어 있다. 접착제는 균일한 접착제 연속층, 특정 패턴의 접착층, 접착제 분무 패턴, 접착제의 개별 선, 소용돌이 또는 점 배열 등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탄성 부재 (46) 및 (48)과 파스너 (50)와 같은 다른 기저귀 구성 요소도 상기한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기저귀 (20) 용품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기저귀 (20)의 후면 시트 (32)는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성인 재료로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면 시트 (32)는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성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후면 시트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이나 기타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 시트 (32)는 두께가 약 0.012 mm (0.5 mil) 내지 약 0.051 mm (2.0 mil)인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후면 시트를 더욱더 옷감과 유사한 촉감이 나게 하려면 부직웹이 외면에 적층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필름,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드 웹으로 후면 시트 (32)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가 약 0.015 mm (0.6 mil)인 연신-박막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스펀본드 웹이 그 위로 열에 의해 적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섬유의 두께는 필라멘트 당 약 1.5 내지 2.5 데니어이고, 여기서 부직웹의 기본 중량은 약 17 g/㎡ (0.5 온스/yd2)이다. 이러한 옷감과 유사한 후면 시트의 제조 방법은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또한, 후면 시트 (32)는 흡수체 (36)에 가까이 또는 맞닿아 있는 선택된 부위의 액체 불투성 수준이 원하는 정도로 맞춰지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작 또는 처리된 직물 또는 부직 섬유 웹 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후면 시트 (32)는 임의로는, 미세 구멍이 있는 "통기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어서 액체 분비물이 후면 시트 (32)를 통과하지 못하게 막는 반면 증기는 흡수체 (36)을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후면 시트 (32)는 전형적으로 기저귀 (20)의 겉커버이다. 후면 시트 (32)는 또한 엠보싱 처리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매트 피니시 (matte finish)로 처리하여 미관상 더욱 만족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상면 시트 (34)는 착용자의 피부에 맞고 부드러운 느낌이 들며 자극적이지 않은 신체 접촉면을 제공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면 시트 (34)는 흡수체 (36) 보다 친수성이 작아서 착용자에게 비교적 건조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액체가 투과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다공성이어서 액체가 시트 두께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적절한 상면 시트 (34)는 다공성 발포체, 그물형 발포체, 개구형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 (예를 들면, 목질 섬유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천연 유와 합성 섬유의 혼방과 같은 광범위한 웹 재료 가운데 선택해서 제조할 수 있다. 상면 시트 (34)는 흡수체 (36) 내에 가두어진 액체를 착용자의 피부와 격리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각종 직물 또는 부직물이 상면 시트 (34)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면 시트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면 시트는 또한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본디드-카디드 (bonded-carded) 웹일 수 있다. 상면 시트는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소수성 재료는 임의로는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 소수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상면 시트 (34)는, 약 2.8 내지 3.2 데니어 섬유가 기본 중량 약 20 g/㎡이고 밀도가 약 0.13 g/㎤인 웹을 형성한, 부직,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직물은 롬 앤드 하스사(Rohm and Hass Co.)에서 상표 트리톤 (Triton) X-102로 시판하는 계면활성제 0.28 중량%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이 계면활성제는 분무, 인쇄, 브러쉬 코팅 등과 같은 종래의 임의의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 계면활성제는 상면 시트 (34) 전체에서 도포하거나 상면 시트 (34)의 특정 구간, 예를 들면 기저귀의 종방향 중앙선에 따라 중앙 구간에 선택적으로 도포함으로써 그러한 구간의 습윤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에 대표적으로 예시한 기저귀 (20)의 흡수체 (36)은 적합하게는, 소수성 섬유 매트릭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플러프(fluff) 웹이 초흡수능 재료로 흔히 알려진 고흡수성 재료 입자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체 (36)이 목재 펄프 플러프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플러프 매트릭스 및 초흡수능 히드로겔-형성 입자를 포함한다. 목재 펄프 플러프는 합성 멜트블로운 고분자 섬유로 또는 멜트블로운 섬유 및 천연 섬유의 혼방으로 교체될 수 있다. 초흡수능 입자는 소수성 섬유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거나 불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플러프 및 초흡수능 입자는 흡수체 (36)의 원하는 대역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신체 분비물이 더 잘 봉쇄되고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초흡수능 입자의 농도도 흡수체 (36)의 두께에 걸쳐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흡수체 (36)은 섬유 웹 및 초흡수능 재료의 적층법 또는 국소 영역에 초흡수능 재료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타 적절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체 (36)은 많은 모양 중 어느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핵은 직사각형, I-형 또는 T-형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흡수체 (36)은 기저귀 (20)의 앞면 또는 뒷면에서 보다는 가랑이 부위가 더 좁다. 흡수체 (36)의 크기와 흡수 용량은 염두해 둔 착용자의 신체 치수 및 의도하는 흡수 용품 용도에 따라 결정되는 액체 하중과 일치해야 한다.
고흡수능 재료는 천연, 합성, 및 개질 천연 중합체 및 재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고흡수능 재료는 실리카겔과 같은 무기 재료이거나 가교 중합체와 같은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가교"이란 정상적으로는 수용성인 재료를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나 팽윤성으로 효과적으로 만드는 임의의 수단을 의미한다. 그러한 수단은 예를 들면 물리적 엉킴, 결정성 도메인, 공유 결합, 이온 착물 및 회합, 수소 결합 등의 친수성 회합, 및 소수성 회합이나 반 데르 발스 힘 등이 있다.
합성 고흡수능 고분자 재료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 및 알파-올레핀의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모르폴리논), 폴리(비닐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염 등이 있다. 흡수핵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른 중합체로는 천연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예를 들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그래프트 녹말, 아크릴산 그래프트 녹말, 메틸 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및 천연 검, 예를 들면 알기네이트, 크산툼 검, 로커스트 빈 검 등이 있다. 천연 흡수 중합체와 완전 또는 부분 합성 흡수 중합체의 혼합물도 본 발명에 유용할 수 있다. 그러한 고흡수능 재료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널리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흡수능 중합체의 예로는 미국 버지니아주 폴츠마우스에 위치한 훽스트 셀라니스(Hoechst Celanese)사에서 시판하는 SANWET IM 3900 중합체 및 미국 미시간주 미드랜드에 위치한 다우 케미칼사(Dow Chemical Co.)에서 시판하는 다우 드라이텍(DOW DRYTECH) 2035LD 중합체이다.
고흡수능 재료는 여러 종류의 기하학적 형태 중 하나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고흡수능 재료가 이산 입자(離散 粒子: discrete particle)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흡수능 재료는 섬유 형태, 플레이크 형태, 봉형 (rod), 구형, 침형 등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흡수능 재료는 흡수체 (36)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흡수체에 존재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티슈 포장시트 (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흡수체 (36)의 에어레이 처리된 (airlaid) 섬유 구조의 보존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티슈 포장시트는 흡수체에서 두 개의 주요 신체 접촉면에 걸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며, 크레이프 처리 속 (wadding) 또는 고습윤강력 티슈 등의 흡수성 셀룰로오스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티슈 포장시트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섬유 뭉치에 걸쳐 액체를 신속하게 분포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윅킹 층을 제공하는 모양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흡수성 섬유 뭉치의 한쪽의 포장시트 재료는 섬유 뭉치의 반대쪽에 위치한 포장시트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저귀 (20)은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샘방지 장벽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기저귀 (20)은 기저귀 (20) 상에 옆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배치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샘방지 장벽 (60)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각 샘방지 장벽 (60)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단일 장벽이거나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을 따라 배치된 종방향으로 연장된 2 개 이상의 장벽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 (20)의 각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의 양 곁단 (28)을 따라 배치된 1 내지 약 10 개의 개별 장벽 (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개별 장벽은 착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을 따른 임의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당한 형상에는 선형, 곡선형, 엇갈림형, 분기형, 수렴형 등, 및 상기의 조합이 포함된다.
샘방지 장벽 (60)은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므로써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의 누출을 줄이는 것을 돕도록 착용자의 엉덩이를 막도록 형상화한다. 또한, 샘방지 장벽 (60)은 사용시 샘방지 장벽 (60),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의 내압착성을 갖는다. 이 공간은 배설물을 수용하고 봉쇄하도록 형상화된다. 그 다음, 배설물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체 (36)에 의해 흡수 또는 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 (20)의 표적 대역에 고형 배설물 전부를 실질적으로 봉쇄하는 모양으로 형상화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표적 대역"이란 용어는 착용자의 배설물을 직접적으로 수용하도록 배치된 기저귀 (20)의 부위이며, 일반적으로 기저귀 (20)의 가랑이부에 위치한다. 특히, 이 표적 대역은 길이가 약 5 내지 약 10 cm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 길이의 약 1/3은 기저귀 (20)의 앞면 허리부 (22)를 향하는 기저귀의 횡방향 중앙선 (58)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나머지는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를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실시 형태에서, 2 개의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의 신체 접촉면 상에 옆으로 서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배치된다. 샘방지 장벽 (60)은 실질적으로 상면 시트 (34)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있거나 또는 접착제 등의 상기한 종래 수단을 사용하여 상면 시트 (34)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은 사용시에 샘방지 장벽 (60)을 안정화하고 곧추 선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면 시트 (34)에 고정된다. 이와 다르게는, 도 6 및 도 7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와 흡수체 (3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서는 샘방지 장벽 (60)이 기저귀 (20)의 흡수체 (36)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체 (36)은 두께 또는 높이가 더 큰, 옆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종방향으로 연장된 부위를 2 개 구비하여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의 샘방지 장벽 (60)을 제공할 수 있다. 샘방지 장벽이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와 흡수체 (36) 사이에 배치된 형상에서, 기저귀 (20)은 샘방지 장벽 (60)과 흡수체 (36) 사이에 추가 층 또는 시트 재료(나타내지 않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층으로는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상기한 것과 같은 당 업계에 공지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 (20)의 중앙부 (26)에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을 따라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종방향 (40)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적어도 기저귀의 표적 대역에 기저귀의 양 곁단 (28) 상에 배치된다. 특히, 기저귀 (20)의 각 양 곁단 (28)을 따라 배치되는 샘방지 장벽 (60) 또는 샘방지 장벽의 군은 길이의 약 1/3은 기저귀 (20)의 앞면 허리부 (22)를 향해 기저귀의 횡방향 중앙선 (58)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나머지는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기저귀 (20)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은 사용시 착용자와 접촉을 유지하여, 앉아있는 동안 착용자가 가하는 압착력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배설물의 갑작스럽게 옆으로 흐르는 것을 더 잘 막을 수 있도록 형상화된다. 착용자가 가하는 압착력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착용자가 기저귀를 착용할 경우,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의 샘방지 장벽 (60) 및 흡수체 (3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샘방지 장벽 (60)이 옆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배치된다. 공간의 크기는 샘방지 장벽 (60)의 높이 및 길이,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 사이의 거리, 샘방지 장벽 (60) 내의 임의의 공간의 크기, 및 사용시 샘방지 장벽 (60)의 내압착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엉덩이가 장벽 (60) 사이를 밀어 샘방지 장벽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고 그로인해 배설물에 압착력이 가해질 정도로 그다지 크지 않는 한, 샘방지 장벽 사이의 거리는 샘방지 장벽 (60) 사이의 공간이 배설물을 봉쇄하는데 충분하게끔 확고히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는 성능 개선을 위해 옆으로 약 2 내지 약 10 ㎝, 바람직하게는 약 8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이하의 거리 (70)를 두고 떨어질 수 있다. 샘방지 장벽 (60)이 비선형 또는 분기형으로 배치될 경우, 적어도 사용시 착용자의 엉덩이와 접촉하는 기저귀 (20) 부위에서 샘방지 장벽 (60) 사이의 거리 (70)을 유지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 부위는 통상적으로 기저귀의 횡방향 중앙선 (58)으로부터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약 5 내지 약 15 ㎝의 길이에 이를수 있다.
그 결과, 샘방지 장벽 (60)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저귀 (20)의 흡수체 (36) 상에 흡수체 (36)의 세로 측면 가까이에 배치된다. 또, 기저귀 (20) 중간부의 흡수체 (36)의 너비가 상당히 좁을 경우, 샘방지 장벽은 흡수체의 세로 측면을 넘어 옆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착용자의 신체와 기저귀 (20)의 샘방지 장벽 (60) 및 흡수체 (36) 사이의 공간 중에 봉쇄된 임의의 배설물이 흡수체 (36)에 흡수되거나 탈착되도록, 적어도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가 흡수체 (36)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신체와 샘방지 장벽 (60) 및 흡수체 (36) 사이의 충분한 공간을 유지하면서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 바깥으로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샘방지 장벽 (60)과 온화하게 밀봉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이 일정 압력을 유지하여 착용자가 앉아있을때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고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우수한 밀폐물로 기능하도록 배치한다. 샘방지 장벽 (60)의 신체 접촉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친화성이 있어 사용시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나, 신체와 맞물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샘방지 장벽 (60)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 (20)의 흡수체 (36) 사이에 원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는 어떠한 모양이라도 무방하다. 종방향으로 연장된 샘방지 장벽 (60)의 적당한 횡단면으로는 원형, 반원형, 달걀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의 신체 접촉 연부가 구부러져 자극을 줄이고 착용자에게 더 나은 편안함을 제공한다. 샘방지 장벽 (60)의 표면은 각진 형, 사인 곡선형, 또는 달걀판형과 같은 임의의 원하는 외형 또는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각 샘방지 장벽 (60)은 일반적으로 길이 (62), 너비 (64), 높이 (66), 및 안쪽 및 바깥쪽 연부 (72)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각 샘방지 장벽 (60)에 대한 "길이"라는 용어는 종방향으로의 장벽 또는 일련의 장벽의 총 길이를 말한다. 상기 논한 바와 같이, 샘방지 장벽 (60)의 길이 (62) 및 높이 (66)은 샘방지 장벽 (60) 사이의 옆으로 떨어진 공간과 함께 배설물을 봉쇄하도록 형성되는 공간을 규정하므로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의 높이 (66)을 최소화하면서 공간 영역을 최대화하여, 착용자에게 과도한 불편을 주지 않게끔하여 충분한 공간 부피를 제공한다.
샘방지 장벽 (60)의 길이 (62)는 배설물이 흘러나갈 수 있는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 통로를 적어도 대부분 차단하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의 길이 (62)는 적어도 기저귀 (20)의 표적 대역에서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에 충분하다. 예를 들어, 중간 크기의 유아가 착용하는 기저귀 용품에 있어, 샘방지 장벽 (60)은 약 3 ㎝ 이상의 길이 (62), 바람직하게는 약 7 ㎝ 이상의 종방향으로 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 (20)의 종방향 중앙선 (56)을 따라 측정한 기저귀 (20)의 길이의 약 15 % 이상이 되는 길이 (62)로 규정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샘방지 장벽 (60)은 성능 개선을 위해 기저귀 (20)의 종방향 중앙선 (56)을 따라 측정한 기저귀 (20)의 길이의 약 25 %의 길이에 상당하는 종방향으로 규정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샘방지 장벽 (60)은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곁단 (28)을 따라 그 길이의 약 1/3이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로부터 기저귀 (20)의 앞면 허리부 (22) 쪽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나머지는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쪽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성능 향상을 위해 샘방지 장벽 (60)의 길이 (62)의 약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80 %가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의 뒷쪽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뒷쪽"이라는 용어는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로부터 앞면 허리부 (24) 쪽으로 가는 방향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로부터 기저귀 (20)의 앞면 허리부 (22) 쪽으로 약 1 내지 약 5 ㎝의 길이 (74)로, 및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로부터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 쪽으로 약 5 내지 약 14 ㎝의 길이 (76)로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샘방지 장벽 (60)의 높이 (66)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 (20)의 흡수체 (36) 사이에 원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기저귀에 착용자의 압착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착용자의 신체를 막아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에 충분해야 한다. 그러나, 샘방지 장벽 (60)의 높이 (66)가 과도한 경우, 바람직하지 못하게도 과도한 자극 및 홍반 형성이 유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의 비압착된 높이 (66)은 약 0.3 내지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75 ㎝ 이상으로 규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특정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샘방지 장벽 (60)은 그의 안쪽 연부의 높이 (84)가 바깥쪽 연부의 높이 (66)보다 낮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라는 용어는 기저귀 (20)의 종방향 중앙선 (56)에 가장 가까운 샘방지 장벽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양 곁단을 말하고, 샘방지 장벽 (60)의 "바깥쪽 연부"라는 용어는 안쪽 연부로부터 옆으로 바깥으로, 안쪽 연부보다 기저귀 (20)의 종방향 중앙선 (56)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된 샘방지 장벽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양 곁단을 말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샘방지 장벽 (60)의 신체 접촉면을 경사지게하면 착용자의 엉덩이에 더 잘 맞아 착용자에게 향상된 편안함을 준다는 것을 알았다. 바람직하게는, 더 나은 성능을 위해서는 샘방지 장벽 (60)의 바깥쪽 연부의 높이 (66) 대 안쪽 연부의 높이 (84)비는 약 1.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5 이상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 (20)의 흡수체 (36) 사이에 원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의 높이 (84)가 약 0.5 ㎝ 이상인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샘방지 장벽 (60)의 너비 (64)는 사용시 접혀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샘방지 장벽 (60)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더 나은 성능을 위해서는 샘방지 장벽 (60)이 약 0.5 내지 약 2.5 ㎝, 바람직하게는 약 0.6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의 너비 (64)로 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을 따라 측정한 기저귀 (20)의 너비의 약 7 % 이상의 너비 (64)로 규정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더 나은 성능을 위해서는 샘방지 장벽 (60)이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을 따라 측정한 기저귀 (20)의 너비의 약 16 %의 너비 (64)로 규정된다. 상기 언급한 너비보다 더 넓으면 바람직하지 못하게 정합성과 성능에 역효과를 미칠 수도 있는 가랑이 부위가 넓은 기저귀가 형성되는 반면, 상기 언급한 것보다 너비가 더 좁으면 샘방지 장벽이 불안정하게 되고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는 불쾌한 결과를 낳는다.
사용시 샘방지 장벽 (60)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샘방지 장벽 (60)의 너비 대 높이비는 약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75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이다. 상기 언급된 것보다 너비 대 높이비가 더 낮으면 샘방지 장벽 (60)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굽혀지거나 접혀지게 되어, 착용자의 신체와 흡수체 (36) 사이에 공간이 줄어들어 배설물이 옆으로 샘방지 장벽 (60)을 넘어 더 많이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샘방지 장벽의 신체 접촉면 상에 연장되어 있고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 또는 흡수체 (36)에 접착될 수 있는, 부직 재료 또는 발포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재료의 시트를 사용하여 샘방지 장벽 (60)을 정해진 자리에 고정하거나 붙여서 샘방지 장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샘방지 장벽을 소정 위치에 붙임으로써 샘방지 장벽의 안정성 유지를 위한 필요 너비 대 높이비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재료는 샘방지 장벽 (60)의 모양 및 외형에 맞아서 시트 재료와 샘방지 장벽 (60) 사이에 임의의 틈이 생기는 것을 막는다. 예를 들면, 시트 재료는 이러한 틈을 없애기 위해 샘방지 장벽의 외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안정성 개선을 위해, 샘방지 장벽 (60)의 3 개 이상의 측면에 시트 재료를 둘러싸서 고정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시트 또는 시트 재료는 비교적 부드럽고 샘방지 장벽 (60)을 제자리에 고정하기에 강하며 장벽 (60)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쿠션을 제공하는 임의의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재료는 시트가 샘방지 장벽 (60)의 위를 넘어 배설물을 끌어내는 것을 돕지 않도록 형상화되는 소수성 재료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샘방지 장벽 (60)은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로부터 바깥쪽 연부쪽으로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홈 (78)도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예시된 바와 같은, 상기 각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는 기저귀 (20)의 종방향 (40)의 너비 (80) 및 종방향 중앙선 (56)으로부터의 횡방향 (38)의 깊이 (82)로 규정되는 다수의 홈 (78)로 규정된다. 상기 홈 (78)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 (20)의 샘방지 장벽 (60) 및 흡수체 (36) 사이에 추가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된다. 특히 바람직한 형상에서, 더 나은 성능을 위해서는 샘방지 장벽 (60)은 그의 길이에 걸처 약 2 내지 약 10 개의 홈을 갖는다.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는 홈 (78)을 기저귀 (20)의 공간 및 가요성이 증가되도록 임의의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적당한 모양으로는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것과 같은 사인 곡선형, 계단형, 사다리형, 및 V 자형이 있다. 각 샘방지 장벽 (60)에 다수의 개별 장벽이 포함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샘방지 장벽은 충분한 공간을 유지하는 동시에 목적하는 바람직한 내압착성 및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C"형을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는 다수의 홈 (78)을 제공하는 사인 곡선 형태로 규정할 수 있다. 또, 도 3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는 각 홈 (78)을 제공하는 사다리 형태로 규정할 수 있다. 사다리 형태는 각 샘방지 장벽 (60)의 안쪽 연부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잘라 만들 수 있다. 착용자의 엉덩이가 홈 또는 공간을 채우도록 너무 넓거나 깊지 않은 목적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홈 (78)의 너비 (80)은 약 5.0 이상, 통상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2 ㎝이고, 홈의 깊이 (82)는 약 0.5 ㎝ 이상, 통상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1.5 ㎝이다.
또한, 샘방지 장벽 (60)은 착용자의 엉덩이의 모양 및 외형에 쉽게 맞도록 가요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샘방지 장벽의 가요성이 너무 낮으면 샘방지 장벽은 착용자의 신체에 효과적으로 맞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한 누출 및 착용자의 피부에 홍반 및 자극을 야기할 수 있다.
추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샘방지 장벽 (60)에는 샘방지 장멱의 안쪽 연부로부터 샘방지 장벽 내로 옆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터널이 추가로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각 샘방지 장벽에는 배설물의 봉쇄를 향상시키기 위한 1 내지 약 5 개의 구멍 및 터널이 구비되어 있다. 구멍 또는 터널은 샘방지 장벽 (60)의 높이 (66)의 약 25 내지 약 75 %의 직경으로 규정할 수 있고, 이는 샘방지 장벽 (60)의 너비를 관통하여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샘방지 장벽 (60)은 사용시 그의 모양을 유지하여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 (20)의 흡수체 (36) 사이에 공간이 효과적으로 제공되고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도록 형상화된다. 예를 들어 샘방지 장벽 (60)은 착용시 사용자가 가한 임의의 z-방향 압착력을 견딜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샘방지 장벽 (60)은 z-방향 내압착성이 약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0 %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5 % 이상이다. 예를 들면, 샘방지 장벽 (60)은 내압착성이 약 50 내지 약 95 %일 수 있다. 샘방지 장벽이 상기한 값보다 낮은 내압착성을 갖는다면, 샘방지 장벽은 사용시에 접혀서 원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장벽의 성능에 역효과를 주게 된다. 반면에 샘방지 장벽의 내압착성이 너무 큰 경우에는 샘방지 장벽이 착용자의 피부에 바람직하지 못한 홍반 형성 및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샘방지 장벽 (60)이 약 350 g/㎠의 압착 하중을 받을 때에 장벽 (60)의 높이 (66)이 약 0.3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5 ㎝ 이상으로 유지될 만큼 샘방지 장벽 (60)의 내압착성이 충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의 샘방지 장벽 (60)은 원하는 모양 및 내압착성 수준을 갖춘 임의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적당한 재료에는 발포체, 천연 섬유 도는 합성 섬유의 섬유웹이나 이들의 혼방 섬유웹, 및 다른 섬유웹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샘방지 장벽은 매사추사츠주의 하이니스에 소재하는 센티넬 폼스 (Sentinel Foams)사로부터 등록상표 EMR NAT로 시판되는 가교 폴리에틸렌 발포체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상기 기재된 샘방지 장벽 (60)은 본 발명의 기저귀 (20)의 흡수체로서 적당한 상기 언급된 흡수성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샘방지 장벽 (60)은 샘방지 장벽 (60)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적층 재료 또는 합성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5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샘방지 장벽 (60)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접하도록 형상화된 제1층 (86) 및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 또는 흡수체 (36)일 수 있는 기저귀 (20)의 신체 접촉면 상에 배치된 제2층 (88)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서, 제1층 (86)이 착용자의 엉덩이에 부드럽고 유연한 접촉감을 주도록 형상화되는 반면, 제2층 (88)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기저귀 (20)의 흡수체 (36) 사이에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바람직한 내압착성을 부여하고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도록 형상화된다. 예를 들면, 제1층 (86)의 높이 또는 두께는 약 0.1 내지 약 0.5 ㎝이고 착용자에게 부드러운 접촉감을 주도록 약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0 % 이하의 내압착성을 갖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제2층 (88)의 높이 또는 두께는 약 0.1 내지 약 2.0 ㎝이고 착용자에게 부드러운 접촉감을 주도록 약 7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5 % 이상의 내압착성을 갖도록 형상화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제1층 (86)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상면 시트 또는 유사한 재료로 적당한 부직 재료 또는 발포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반면, 제2층 (88)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샘방지 장벽 (60)으로 적당한 바람직한 내압착성을 갖는 임의의 적당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의 기저귀 (20)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샘방지 날개 (90)도 또한 구비한다. 샘방지 날개 (90)은 최소한 기저귀 (20)의 중간부 (96)에서 곧추 선 수직 배열을 유지하도록 형상화되어 신체 분비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추가 샘방지 장벽으로서 기능한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한쌍의 샘방지 날개 (90)은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을 따라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에 접착된다. 샘방지 날개 (90)의 적당한 배열 및 구조는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을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4,704,116호 (1987년 11월 3일 허여, K. Enloe)에 기재되어 있다.
샘방지 날개 (90)은 접착된 말단 (94)를 따라 상면 시트 (34)에 접착된다. 샘방지 날개 (90)은 적어도 기저귀 (20)의 중간부 (26)에 기저귀 (20)의 다른 요소가 부착되지 않은 채로 유리되도록 형상화된다. 샘방지 날개 (90)의 유리 연부 (92)는 개별 탄성 재료의 띠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 날개 탄성부 (96)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적당한 탄성띠는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사로부터 시판되는 470 데시텍스 (decitex) LYCRA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 (96)은 탄성부 (96)이 수축함으로써 유리 연부 (92)가 모아지도록 탄성적 수축 상태로 유리 연부 (92)에 연결된다. 그 결과, 샘방지 날개의 유리 연부 (92)는 통상적으로 약간 수직으로 곧추 선 모양으로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로부터 떨어진 공간, 특히 기저귀 (20)의 중간부 (26)에 배치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샘방지 날개 (90)은 신체 분비물, 특히 배설물의 봉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샘방지 장벽 (60)의 옆에 바깥쪽에 기저귀 (20)의 양 곁단 (28)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에서, 형태에는 제한없이 신체 분비물의 봉쇄를 개선시키기 위해, 샘방지 날개 (90)를 샘방지 장벽 (60) 위로 통상적인 수직적 방식으로 약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 이상의 거리 (98)로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저귀에 샘방지 장벽 (60)이 있으면, 이 샘방지 장벽 (60)은 샘방지 날개 (90)이 내부로 접히거나 서로 겹쳐지는 것을 막으므로, 샘방지 날개 (90)이 종래의 샘방지 날개보다 더 긴 거리 (98)로 뻗게 된다. 샘방지 날개 (90)은 샘방지 장벽 (60) 옆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샘방지 날개 (90)과 샘방지 장벽 (60)의 바깥쪽 연부 사이에 추가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서, 샘방지 날개는 상면 시트 (34)에 적당하다고 기재된 재료와 유사한 섬유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중합체 필름과 같은 다른 종래의 필름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샘방지 날개 (90)은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구성되며 기본 중량이 약 25 g/㎡인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재료로 제작된다.
도 6 및 도 7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샘방지 장벽 (60)은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와 흡수체 (36) 사이에 배치될 것이다. 이러한 형상에서, 상면 시트 (34)는 샘방지 장벽 (60)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배설물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개구부 (110)를 구비한다. 이 개구부 (110)은 배설물이 개구부 (110)을 통과하여 샘방지 장벽 (6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한다.
상면 시트 (34) 내의 개구부 (110)은 통상적으로 종방향 (40)의 길이 및 횡방향 (38)의 너비로 정해진다. 개구부 (110)의 길이 및 너비는 배설물이 통과하여 샘방지 장벽 (6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충분해야 한다. 개구부 (110)를 둘러싼 상면 시트 (34)의 영역으로 기저귀 (20) 내에 봉쇄된 신체 분비물과 착용자의 피부가 과도하게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개구부 (110)의 크기는 너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구부 (110)의 면적은 착용자의 피부 양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조절할 수 있다.
상면 시트 (34)의 개구부 (110)은 기저귀 (20)의 표적 대역의 크기와 비슷하다. 예를 들면, 개구부 (110)의 노출 면적은 약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50 ㎠이다. 유아가 착용하는 중간 크기의 기저귀 용품에서, 기저귀 (20)의 종방향 중앙선 (56)에 따른 개구부의 길이는 약 4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 ㎝ 이상이고,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에 따라 측정한 개구부의 너비는 약 1.0 내지 약 10 ㎝,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7.5 ㎝이다. 더 나은 성능을 위해서는 개구부의 길이 (110)은 기저귀 (20)의 종방향 중앙선 (56)을 따라 측정한 기저귀 (20)의 길이의 20 % 이상이고, 개구부의 너비는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을 따라 측정한 기저귀 (20)의 너비의 약 20 % 이상이다.
도 6 및 도 7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시트에서의 개구부 (110)은 그의 약 1/3이 기저귀 횡방향 중앙선 (58)로부터 이 기저귀 (20)의 앞면 허리부 (22) 쪽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나머지는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를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은 성능을 위해서는 개구부 (110)의 길이의 약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70 %가 기저귀 (20)의 횡방향 중앙선 (58)의 뒷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 (110)은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모양을 할 수 있다. 적당한 모양에는 원형, 달걀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이 포함된다. 도 6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특정 실시 형태에서, 개구부 (110)의 횡방향 양 말단은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에서 바깥쪽으로 서로 옆으로 갈라진다. 이러한 형상은 착용자의 엉덩이에 더 잘 맞고, 배설물의 수용 및 봉쇄를 개선시킨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도 6 및 도 7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형상의 상면 시트 (34)는 각 탄성 재료의 띠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 탄성부 (112)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당한 탄성띠는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사로부터 시판되는 470 데시텍스 LYCRA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 (112)는 탄성부 (112)가 수축됨으로써 상면 시트 (34)가 모아지도록 탄성적 수축 상태로 상면 시트 (34)의 개구부 (110)의 연부에 연결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시트 (34)는 적어도 상면 시트 (34)에서의 개구부 (110)의 횡방향 양 곁단 모두에 그를 따라 탄성부 (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으로, 탄성부 (112)는 상면 시트 (34)와 착용자의 엉덩이 사이에 거의 꼭맞을 수 있게 되므로 착용자의 항문 아래로 개구부의 배치가 향상되어 배설물을 더 잘 수용하게 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도 1, 2, 6 및 7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의 기저귀 (20)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샘방지 댐 (100)을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샘방지 댐 (100)은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와 같은 영역 내로 배설물이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막거나 흐름을 느리게 하여 기저귀 내에 이러한 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봉쇄되도록 기저귀 (20)의 말단 (30)을 따른 누출 감소를 돕도록 형상화된다. 샘방지 댐 (100)은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의 샘방지 장벽 (60)이 기저귀 (20)의 표적 대역 내에 실질적으로 고상 배설물 모두를 봉쇄하도록 형상화된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단일 샘방지 댐 (100)은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에서의 횡방향 중앙선 (58)과 말단 (30) 사이의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 또는 흡수체 (36)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샘방지 댐 (100)은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로부터 배설물 누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지 못할 경우 누출이 최소한 감소되도록 형상화한다. 종래의 기저귀에서 뒷면 허리부 (24)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은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였으며, 소비자에게 특히나 바람직하지 못한 점이었다.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의 기저귀 (20)은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한 샘방지 댐을 추가로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샘방지 댐 (100)은 상면 시트 (34)에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거나, 접착제와 같은 상기 기재된 종래의 수단을 사용하여 상면 시트 (34)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샘방지 댐 (100)은 샘방지 댐 (100)을 안정화하고 착용시 곧추 선 상태로 샘방지 댐 (100)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상면 시트 (3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는 도 6 및 도 7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샘방지 댐 (100)은 기저귀 (20)의 상면 시트 (34)와 흡수체 (3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샘방지 댐 (100)은 기저귀 (20)의 흡수체 (36)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체 (36)은 샘방지 댐 (100)을 제공하기 위해 두께 및 높이가 더 큰 종방향 연장부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샘방지 장벽 (60)에 대해 기재된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시트 재료로 샘방지 댐 (100)을 제자리에 고정하거나 또는 붙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샘방지 댐 (100)은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 또는 중간부 (26)에 위치하여 횡방향 (38)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가 평평한 바닥에 앉을때 기저귀가 접히는 경우에 착용자 엉덩이의 뒷부분과 평평한 바닥 사이의 분리선에 가깝게 샘방지 댐 (100)이 위치하도록 샘방지 댐 (100)을 배치한다. 그러한 위치에서는 샘방지 댐 (100)이, 착용자가 앉아있는 동안 가한 압착력으로 인해 착용자의 둔주름을 따라서 일어날 수 있는 배설물이 갑작스럽게 옆으로 흐르는 것을 더 잘 방지할 수 있다. 샘방지 댐 (100)은,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의 말단 (30)에서 기저귀 (20)의 앞면 허리부 (22) 쪽으로 약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 이상의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거리는 일반적으로 용품 전체 길이의 약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의 거리에 상응한다. 예를 들면, 샘방지 댐 (100)이 말단 (30)으로부터 안쪽으로 놓여진 거리는 용품 전체 길이의 약 10 % 내지 약 45 % 일 수 있다.
샘방지 댐 (100)과 착용자 신체 사이에서 샘방지 댐 (100)을 넘어 통과하는 임의의 배설물을 뒷면 허리부 (24) 내에 봉쇄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두면서 기저귀 (20)의 뒷면 허리부 (24) 내로 배설물이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샘방지 댐 (10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샘방지 댐 (100)이 말단 (3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가 너무 작다면, 배설물은 압력이 가해졌을 때 댐 (100)의 위로 넘겨질 만큼 충분한 운동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 거리 (72)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댐 (100)이 착용자가 앉아 있을 때 착용자의 엉덩이와 밀접히 접촉한 채 유지될 수 없어서 착용자의 신체를 최적으로 봉할 수는 없게 된다. 바람직한 것은 착용자가 앉아있을 때 착용자의 신체와 샘방지 댐 (100)이 압축 접촉을 유지하여 배설물이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잘 봉쇄할 수 있도록 샘방지 댐 (100)이 배치되는 것이다.
샘방지 댐 (100)의 모양은 배설물이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원하는 정도로 억제하는 샘방지 장벽 (60)에 대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임의의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샘방지 댐 (100)은 원형 횡단면도를 갖는 관 모양일 수 있다.
샘방지 댐 (100)의 길이는 배설물이 흘러나갈 수 있는 경로의 적어도 대부분을 차단할 만큰 충분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샘방지 댐 (100)의 길이는 기저귀 (20)의 수평 중심선 (58)을 따라 측정된 기저귀 (20)의 너비의 약 10 % 이상이다. 기저귀 (20)이 종방향으로 연장된 샘방지 날개 (90)를 구비하고 있는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서는 샘방지 댐 (100)의 길이가, 성능 향상을 위한 그러한 샘방지 날개 사이의 기저귀 (20)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샘방지 댐 (100)의 높이는 착용자가 압착력을 기저귀에 가할 때에도 배설물이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원하는 정도로 막아내기에 충분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샘방지 댐 (100)의 높이는 약 0.5 c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75 cm 이상이다.
사용시 샘방지 댐 (100)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샘방지 댐 (100)의 너비 대 높이비는 약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이다. 너비 대 높이비가 상기한 것보다 작은 경우에는 샘방지 댐 (100)이 굽거나 접히게 되어 배설물이 댐 (100)을 넘어 종방향으로 흐르는 양이 증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샘방지 장벽 (60)과 유사하게, 샘방지 댐 (100)으로 배설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시 그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배치한다. 예를 들면, 샘방지 댐 (100)은 사용시 착용자가 가한 임의의 z-방향 압착력을 견딜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샘방지 댐 (60)은 z-방향 내압착성이 약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5 % 이상이다. 바람직한 것은 샘방지 댐 (100)이 약 350 g/㎠의 압착 하중을 받을 때에 댐 (100)의 높이가 약 0.3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5 cm 이상으로 유지될 만큼 샘방지 댐 (100)의 내압착성이 충분한 것이다. 샘방지 댐 (100)은 샘방지 장벽 (60)으로 적당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원하는 모양 및 내압착성 수준을 제공하는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샘방지 댐은 센티넬 폼스사가 상표명 EMR NAT로 시판하는 가교 폴리에틸렌 발포재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은 신체 분비물, 특히 배설물을 더 잘 봉쇄하고 통제하는 흡수 용품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샘방지 장벽은 내압착성이면서 가요성이 있어서 착용자의 엉덩이와 용품의 흡수체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고 배설물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흡수 용품은 용품의 다리부에서 누출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누출의 발생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샘방지 날개 및 측면 샘방지 장벽과 조합된 허리 샘방지 댐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용품의 상면 시트 또는 신체 접촉 안감은 착용자의 엉덩이에 잘 맞아서 착용자로부터 신체 분비물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형상화된다. 이러한 형상에서 용품의 상면 시트는 배설물이 상면 시트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엉덩이와 용품의 샘방지 장벽 및 흡수체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내압착성 시험〉
이 시험은 본 발명에 따른 샘방지 댐으로 사용하기 위한 내압착성 재료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재료의 내압착성은 사용시 그 형상을 유지하는 재료의 능력을 나타낸다.
샘방지 댐으로 사용하기 위한 재료 샘플을 얻었다. 재료의 내압착성은 영업소를 메릴랜드주 게이터스버그에 둔 프라지어 프리시즌 인스트루먼트 캄파니(Frazier Precision Instrument Company)에서 시판하는 표준 압착계기로 시험하였다. 우선, 이 압착계기의 눈금을 정하였다. 그 다음 샘플 재료를 이 압착계기에 놓으며, 이 압착계기는 직경이 7.62 cm (3.0 인치)인 기부를 갖추고 있다. 이 기부는 샘플 재료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고, 재료의 본래 높이를 측정 및 기록하였다. 이어서 재료에 대한 압력이 703.07 kg/m2(1.0 lb/in2)이 될 때까지 기부를 낮추었다. 재료의 압착된 높이를 즉시 측정 및 기록하였다. 재료 샘플의 내압착성 값은, 본래의 높이로 압착된 높이를 나누고, 그 결과를 100%로 곱하여 얻는다.
본 발명이 매우 상세하게 설명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한 변화 및 변형은 모두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47)

  1.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 상에 옆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고 착용자의 엉덩이와 상기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 사이에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형상화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내압착성 샘방지 장벽을 포함하되, 상기 샘방지 장벽이 소정의 길이, 너비, 높이, 약 0.5 이상의 너비 대 높이비, 및 약 50 % 이상의 내압착력을 갖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너비 대 높이비가 약 0.75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내압착력이 약 70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장벽의 상기 너비가 상기 흡수 용품의 횡방향 중앙선을 따라 측정한 상기 흡수 용품의 너비의 약 7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장벽의 상기 높이가 약 0.5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길이가 상기 흡수 용품의 길이의 약 15 % 이상이고,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길이의 약 50 % 이상이 상기 흡수 용품의 횡방향 중앙선의 뒷쪽에 배치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장벽이 옆으로 약 8 ㎝ 이하의 거리의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이 안쪽 연부 및 바깥쪽 연부를 갖고, 상기 바깥쪽 연부에서의 상기 샘방지 장벽의 상기 높이보다 안쪽 연부에서의 상기 샘방지 장벽의 상기 높이가 더 낮은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이 발포재를 포함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이 착용자의 엉덩이와 접촉되도록 형상화된 제1층과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신체 접촉면 상에 배치되는 제2층을 갖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내압착력이 약 60 % 이하이고, 상기 제2층의 내압착력이 약 70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안쪽 연부가 상기 흡수 용품의 종방향 중앙선으로부터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바깥쪽 연부쪽으로 옆으로 일정 깊이의 다수의 홈을 갖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이 약 2 내지 약 10 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홈의 상기 깊이가 약 0.5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홈의 너비가 약 0.5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 상에 배치되고 배설물이 상기 흡수 용품의 신체 접촉면에 따라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도록 형상화된 내압착성 샘방지 댐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댐이 상기 흡수 용품의 뒷면 허리부 말단으로부터 길이로 안쪽에 상기 흡수 용품의 길이의 약 10 % 이상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댐의 내압착성이 약 50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댐의 높이가 약 0.5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0. 앞면 허리부, 뒷면 허리부, 앞면 허리부와 뒷면 허리부를 연결하는 중간부, 종방향의 양 말단 한쌍, 및 측면의 양 곁단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a) 후면 시트층,
    b) 상기 후면 시트층 위에 포개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층,
    c) 상기 상면 시트층과 상기 후면 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체,
    d)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상면 시트층 상에 옆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고, 착용자의 엉덩이와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상면 시트 사이에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형상화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샘방지 장벽, 및
    e) 상기 샘방지 장벽으로부터 옆으로 바깥으로 상기 흡수 용품의 양 곁단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흡수 용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양 곁단에 부착되는 접착 말단, 적어도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중간부의 상기 양 곁단에 부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유리 연부, 및 통상적으로 상기 중간부에서 상기 흡수 용품의 양 곁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지도록 상기 유리 연부를 유지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로 되어 있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샘방지 날개를 포함하는 1회용 흡수 용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날개의 상기 유리 연부가 상기 샘방지 장벽 위에 통상적으로 수직 방식으로 약 0.2 ㎝ 이상의 거리로 연장되도록 형상화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이 소정의 길이, 너비, 높이, 약 0.5 이상의 너비 대 높이비, 및 약 50 % 이상의 내압착력을 갖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너비가 상기 흡수 용품의 횡방향 중앙선을 따라 측정한 상기 흡수 용품의 너비의 약 7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높이가 약 0.5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길이가 상기 흡수 용품의 길이의 약 15 % 이상이고,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길이의 50 % 이상이 상기 흡수 용품의 횡방향 중앙선의 뒷쪽에 배치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장벽이 옆으로 8 ㎝ 이하의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상면 시트 상에 배치되고 배설물이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상면 시트층에 따라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도록 형상화된 내압착성 샘방지 댐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댐이 상기 흡수 용품의 뒷면 허리부 말단으로부터 길이로 안쪽에 상기 흡수 용품의 길이의 약 10 % 이상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댐의 높이가 약 0.5 ㎝ 이상이고, 내압착력이 약 50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0. 앞면 허리부, 뒷면 허리부, 앞면 허리부와 뒷면 허리부를 연결하는 중간부, 종방향의 양 말단 한쌍, 및 측면의 양 곁단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a) 후면 시트층,
    b) 상기 후면 시트층 위에 포개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상면 시트층,
    c) 상기 상면 시트층과 상기 후면 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체, 및
    d) 착용자의 엉덩이와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상면 시트 사이에 옆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고 착용자의 엉덩이와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흡수체 사이에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형상화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샘방지 장벽을 포함하는 1회용 흡수 용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이 소정의 길이, 너비, 높이, 약 0.5 이상의 너비 대 높이비, 및 약 50 % 이상의 내압착력을 갖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너비가 상기 흡수 용품의 횡방향 중앙선을 따라 측정한 상기 흡수 용품의 너비의 약 7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높이가 약 0.5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상기 높이가 상기 흡수 용품의 길이의 약 15 % 이상이고, 상기 샘방지 장벽의 상기 길이의 약 50 % 이상이 상기 흡수 용품의 횡방향 중앙선의 뒷쪽에 배치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장벽이 옆으로 약 8 ㎝ 이하의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이 안쪽 연부 및 바깥쪽 연부를 갖고 상기 바깥쪽 연부에서 상기 샘방지 장벽의 높이보다 상기 안쪽 연부에서 상기 샘방지 장벽의 높이가 더 낮은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안쪽 연부가 상기 흡수 용품의 종방향 중앙선으로부터 상기 각 샘방지 장벽의 바깥쪽 연부 쪽으로 옆으로 일정 깊이의 다수의 홈을 갖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홈의 상기 깊이가 약 0.5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시트층에서의 상기 개구부의 길이가 상기 흡수 용품의 길이의 약 20 % 이상이고, 상기 개구부의 상기 길이의 약 50 % 이상이 상기 흡수 용품의 횡방향 중앙선의 뒷쪽에 배치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시트층이 사용시 개구부가 착용자의 엉덩이와 접촉되게 유지되도록 형상화된,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탄성 부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시트층이 사용시 상기 개구부가 착용자의 엉덩이와 접촉되게 유지되도록 형상화된, 적어도 상기 개구부의 각 종방향 말단의 일부에 인접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시트층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뒷면 허리부에서 바깥쪽으로 옆으로 갈라지는 횡방향의 양 말단 한쌍을 갖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시트층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횡방향 중앙선에 따른 상기 흡수 용품의 너비의 약 20 % 이상인 상기 흡수 용품의 횡방향 중앙선에 따른 너비를 갖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면적이 약 10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뒷면 허리부에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상면 시트층 사이에 배치되고 배설물이 종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도록 형상화된, 내압착성 샘방지 댐을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댐이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뒷면 허리부의 말단으로부터 길이로 안쪽에 상기 흡수 용품의 길이의 약 10 % 이상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댐의 높이가 약 0.5 ㎝ 이상이고 내압착력이 약 50 % 이상인 것인 1회용 흡수 용품.
KR1019997005107A 1996-12-10 1997-12-05 입체의 길이로 놓인 샘방지 장벽을 갖는 흡수 용품 KR20000069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63,960 1996-12-10
US08/763,960 US6017336A (en) 1996-12-10 1996-12-10 Absorbent article having three dimensional longitudinal containment barri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378A true KR20000069378A (ko) 2000-11-25

Family

ID=2506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107A KR20000069378A (ko) 1996-12-10 1997-12-05 입체의 길이로 놓인 샘방지 장벽을 갖는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17336A (ko)
EP (1) EP0954270A1 (ko)
JP (1) JP2001505803A (ko)
KR (1) KR20000069378A (ko)
AU (1) AU5594498A (ko)
BR (1) BR9713694A (ko)
CA (1) CA2272414A1 (ko)
WO (1) WO1998025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2766C2 (sv) * 1997-05-26 2000-05-0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produkt och sätt att bilda en barriär mellan ett toppskikt och en absorbtionskropp i en sådan produkt
US5957907A (en) 1997-08-13 1999-09-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close to the body liner
JP3406205B2 (ja) * 1997-10-08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440117B1 (en) * 1998-04-02 2002-08-27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having upstanding walls for improving leakage prevention
WO1999060975A1 (en) * 1998-05-29 1999-1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bm containment
US6280426B1 (en) 1999-02-19 2001-08-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ap and biasing spacer
JP3541144B2 (ja) * 1999-05-31 2004-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便処理用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6764477B1 (en) * 1999-10-01 2004-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reusable frame member
EP1244404A4 (en) 1999-10-15 2005-01-05 Drypers Corp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CONFINEMENT STRUCTURE
US7247152B2 (en) 1999-10-15 2007-07-24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containment structure
US20040122410A1 (en) * 2000-02-01 2004-06-24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having upstanding walls for improving leakage prevention
US6478786B1 (en) * 2000-02-24 2002-11-12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Protective underwear
JP3734691B2 (ja) * 2000-07-21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811001B2 (ja) * 2000-12-06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6548732B2 (en) 2001-03-23 2003-04-15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hydrophobic leak protection zones
US6837879B2 (en) * 2001-10-31 2005-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ment flaps for absorbent article
JP3754351B2 (ja) * 2001-11-09 2006-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30120249A1 (en) * 2001-12-20 2003-06-26 Wulz Andrea Sus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nsert providing for improved fluid distribution
WO2004030567A2 (en) * 2002-09-30 2004-04-15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Performance index for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leakage performance
JP4298377B2 (ja) * 2003-05-22 2009-07-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US20050124952A1 (en) * 2003-10-07 2005-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outer covers adapted to attain 3-D configurations
US20050074584A1 (en) * 2003-10-07 2005-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ner composites adapted to attain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s
JP4395045B2 (ja) * 2004-10-21 2010-01-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60137079A1 (en) * 2004-12-29 2006-06-29 Goodrich Kellie M Calibrated fastener system
US20070078424A1 (en) * 2005-09-30 2007-04-05 Wu Lanying Z Curved absorbent article
JP4870971B2 (ja) * 2005-11-04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80243100A1 (en) * 2007-03-29 2008-10-02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having fluid transfer layer
US20080275415A1 (en) * 2007-05-04 2008-11-06 Wheeler Katherine C Gender-specific, disposable, adult-incontinence articles
US8079994B2 (en) * 2008-04-18 2011-12-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gender-specific containment flaps
US20100108554A1 (en) * 2008-11-04 2010-05-06 Shannon Kathleen Melius Gender-specifi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3156818U (ja) * 2009-11-02 2010-01-21 和代 小川 使い捨ておむつ
BR112018070715B1 (pt) 2016-04-27 2022-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RU2690561C1 (ru) 2016-07-29 2019-06-04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улучшенными герметичными отворотами для удержания каловых масс
WO2018183651A1 (en) * 2017-03-31 2018-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KR102164191B1 (ko) * 2017-03-31 2020-10-1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삼출물 관리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GB2574985B (en) 2017-03-31 2022-09-07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US11963856B2 (en) 2018-11-28 2024-04-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123A (en) * 1904-06-10 1906-01-16 American Absorbent Fiber Company Absorbent bandage.
US810122A (en) * 1904-06-10 1906-01-16 American Absorbent Fiber Company Absorbent bandage.
US810125A (en) * 1904-06-10 1906-01-16 American Absorbent Fiber Company Absorbent bandage.
US810130A (en) * 1904-06-13 1906-01-16 American Absorbent Fiber Company Absorbent bandage.
US4257418A (en) * 1979-01-22 1981-03-24 Mo Och Domsjo Aktiebolag Device for absorbing urine with incontinent persons
US4681577A (en) * 1983-09-23 1987-07-21 Personal Products Company Disposable urinary and fecal waste containment product
FR2561078A1 (fr) * 1984-02-21 1985-09-20 Lefebvre Serge Procede d'evacuation des urines et des excrements pour les couches de bebes et d'adultes incontinents
US5176668A (en) * 1984-04-13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designed for absorbing body fluids
AU568944B2 (en) * 1984-08-02 1988-01-14 Johnson & Johnson Diaper with facing raised above absorbent pad
US4778459A (en) * 1985-03-08 1988-10-18 Fuisz Richard C High absorbency diaper with composite absorbent layer
CA1294119C (en) * 1985-11-04 1992-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panding overwrap
US4762521A (en) * 1986-04-11 1988-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garment with quilted and conformable absorbent pad
US4950262A (en) * 1987-09-29 1990-08-21 Koyo Disposable Goods Co., Ltd. Excretion absorbing-and-holding device
US4798603A (en) * 1987-10-16 1989-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hydrophobic transport layer
US4895568A (en) * 1988-08-18 1990-01-23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 liner with selectively elasticized portions
US4892536A (en) * 1988-09-02 1990-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 strands
US4990147A (en) * 1988-09-02 1991-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liner for waste material isolation
US5342337A (en) * 1989-05-16 1994-08-30 Molnlycke Ab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hich comprises a hose-like absorption body
US5062840B1 (en) * 1989-05-22 1995-01-03 John N Holt Disposable diapers
JP2824859B2 (ja) * 1989-12-20 1998-11-18 王子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176672A (en) * 1990-11-13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cket-like diaper or absorbent article
DK0565606T3 (da) * 1991-01-03 1995-05-22 Procter & Gamble Absorberende artikel med hurtigt absorberende flerlagskerne
JPH084020Y2 (ja) * 1991-04-10 1996-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5207663A (en) * 1991-05-03 1993-05-04 Mcneil-Ppc, Inc. Urinary and bowel incontinency control undergarment
CA2073849C (en) * 1991-07-23 1997-12-23 Clems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luid handling structur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CA2073815C (en) * 1991-07-23 1998-05-05 Clems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Absorbent articles, especially catamenials, having improved fluid directionality, comfort and fit
US5192606A (en) * 1991-09-11 1993-03-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liner which exhibits improved softness and dryness, and provides for rapid uptake of liquid
ZA92308B (en) * 1991-09-11 1992-10-28 Kimberly Clark Co Thin absorbent article having rapid uptake of liquid
US5366453A (en) * 1991-09-11 1994-11-22 Kimberly-Clark Corporation Newborn's growth adjustable absorbent diaper having variable overlapping and non-overlapping ears
US5300053A (en) * 1991-11-04 1994-04-05 Henry Dreyfuss Associates Absorbent brief
US5451442A (en) * 1991-12-17 1995-09-19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panel structure for a disposable garment
US5171236A (en) * 1991-12-20 1992-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core spacers
CA2072689A1 (en) * 1991-12-31 1993-07-01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lushable insert
JP3130367B2 (ja) * 1992-04-17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の肌当て上面シートに弾性開口部を形成する方法
JP3157598B2 (ja) * 1992-04-21 2001-04-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3130365B2 (ja) * 1992-04-30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肌当て上面シートに弾性開口部を有する使い捨てオムツ及びその弾性開口部を形成する方法
US5269775A (en) * 1992-06-12 1993-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section topsheet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trisection topsheets
US5330598A (en) * 1992-08-14 1994-07-19 Paragon Trade Brand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garment with target region and end caps
US5306266A (en) * 1992-12-21 1994-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spacers for use i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3012423B2 (ja) * 1993-03-05 2000-0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330459A (en) * 1993-06-23 1994-07-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nflatable spacer
CA2165287C (en) * 1993-06-23 1999-09-14 Gary Dean Lav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lectively expandable or inflatable components
FR2707482B1 (fr) * 1993-07-12 1995-09-29 Peaudouce Article d'hygiène absorbant jetable à double barrière d'étanchéit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US5409476A (en) * 1993-08-11 1995-04-25 Coates; Fredrica Reusable diaper having gusseted pad insert
SE508261C2 (sv) * 1993-12-13 1998-09-21 Moelnlycke Ab Blöja
FR2713475B1 (fr) * 1993-12-13 1996-03-01 Peaudouce Article d'hygiène absorbant jetable avec voile de surface pourvu d'une ouverture pour recevoir les selles.
SE502419C2 (sv) * 1993-12-13 1995-10-16 Moelnlycke Ab Blöja
CA2123329C (en) * 1993-12-17 2005-01-11 Mary Eva Garvie Weber Liquid absorbent material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SE502548C2 (sv) *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sidobarriärer i form av längsgående flikar förbundna med ett inre vätskegenomsläppligt höljeskikt
JP3182040B2 (ja) * 1994-04-07 2001-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US5578025A (en) * 1994-07-06 1996-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stiffening side stabilizers
EP0692231A1 (en) * 1994-07-12 1996-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cushion protected from liquids by a barrier
US5776122A (en) * 1994-12-21 1998-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providing improved fecal containment
US5649918A (en) * 1995-02-10 1997-07-22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containment gaskets
USH1630H (en) * 1995-03-01 1997-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plural upstanding leg cuffs
US5575785A (en) * 1995-06-07 1996-1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iquid containment beams and leakage barriers
US5624426A (en) * 1996-05-03 1997-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n improved leg cu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13694A (pt) 2000-10-24
AU5594498A (en) 1998-07-03
CA2272414A1 (en) 1998-06-18
EP0954270A1 (en) 1999-11-10
WO1998025563A1 (en) 1998-06-18
US6017336A (en) 2000-01-25
JP2001505803A (ja) 200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378A (ko) 입체의 길이로 놓인 샘방지 장벽을 갖는 흡수 용품
KR100499290B1 (ko) 샘방지 댐을 갖춘 흡수 용품
KR100609374B1 (ko) 상면시트에 배설물을 위한 개구를 갖는 흡수 용품
US6022338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ed containment barrier
EP0869756B1 (en) Absorbent article using extensible leg cuffs
US6264639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selectively elasticized waist flap
CA2626664C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barrier leg cuff structure and absorbent core with superabsorbent material
KR100665459B1 (ko) 흡수성 물품
US5902297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llection conduit
AU661084B2 (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US6121510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containment flaps
CA2256505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it panel
IE57317B1 (en) Disposable diapers with unitary waistshield and elastically expansible waistbands
KR20040066858A (ko) 이중 억제 플랩을 갖춘 흡수성 의류
JP3585499B2 (ja) 体に接触する液体コントロールメンバーをもつ吸収製品
JP2002224162A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02200116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23043410A (ja) 吸収性物品
GB2340403A (en) Absorbent article for collection and containment of fecal matter
MXPA00004499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ed containment barriers
MXPA98009433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colecc duct
MXPA00001555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opening for feces in the topsheet
MXPA99001393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ntainment d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