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571A -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571A
KR20000068571A KR1019997002200A KR19997002200A KR20000068571A KR 20000068571 A KR20000068571 A KR 20000068571A KR 1019997002200 A KR1019997002200 A KR 1019997002200A KR 19997002200 A KR19997002200 A KR 19997002200A KR 20000068571 A KR20000068571 A KR 20000068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lic acid
acid
furan carboxylic
formulation
effectiv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281B1 (ko
Inventor
슈니트거스티븐에프
데클레르크리브
Original Assignee
카렌 에이. 로우니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렌 에이. 로우니,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렌 에이. 로우니
Priority to KR102006700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46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유효량의 3-푸란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국소 도포용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경우에 따라서 항자극 유효량의 페루린산과 항균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 또는 3-푸란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증 치료에 유용한 화장품 또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NOVEL ANTIMICROBIAL COSMETIC COMPOSITIONS}
수혼화성 화장품과 미용 제제는, 당해 제제의 높은 함수량과 그러한 제제에 함유되는 경우가 많은 구성 성분들의 특성에 기인하여 대개 미생물로 오염되기 쉽다. 특히 "천연" 화장품 성분들을 지향하는 경향에 따라 이러한 상황이 실로 문제가 되는데, 천연 성분들은 합성 성분들보다도 오염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화장품 제제에서 미생물 오염이 발생하면, 불쾌한 악취를 내거나 에멀젼을 불안정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제제를 재조합하거나 시판 제품을 리콜(recall)해야할 필요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서, 방부제나 살생물제와 같은 항균성 화학 약품을 제제에 첨가하여 제조 과정, 충전 과정 또는 제품 사용 과정중에 도입될 수 있는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할 필요가 종종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첨가제는 최근에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주로 다수의 방부제가 자극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인식되어 소비자들이 이제는 방부제가 없는 제품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당분야의 시장은 통상의 방부제 농도를 저하시키는 쪽으로, 그리고 통상의 방부제를 신규한 분자로 대체하는 쪽으로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자극성이 없고 통상의 방부제가 없지만, 소비자의 수중에서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오염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화장품 제제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제를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항균 유효량의 3-푸란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국소 도포용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제는 항자극 유효량의 페루린산(ferulic acid, 즉, 4-히드록시-3-메톡시신남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더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제는 항균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모든 제제는 방부제 없이 제조할 수 있으며,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소정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에 항자극 유효량의 페루린산 또는 이의 유도체나 유사체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제제의 자극 효과를 경감시키는 방법 및 페루린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제제를 피부에 국소 도포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자극을 경감시키거나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 3-푸란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염증을 경감시키거나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에 항균 유효량의 3-푸란 카르복실산을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에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 3-푸란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의 치료에 유용한 국소 화장품 및 의약 조성물,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염증 반응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유한 항균성 및 항자극성이 있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포스포리파제 A2활성에 미치는 페루린산의 억제 효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B는 포스포리파제 A2활성에 미치는 2-푸란 카르복실산(2-푸로인산)의 억제 효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C는 포스포리파제 A2활성에 미치는 3-푸란 카르복실산(3-푸로인산)의 억제 효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내피 세포에 대한 백혈구의 접착 억제에 미치는 2-푸란 카르복실산(2F) 및 3-푸란 카르복실산(3F)의 억제 효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푸란 카르복실산은 리그닌과 셀룰로오스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의 분해 생성물이다. 2-푸란 카르복실산은 종래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개시된 바 있으며, 특히 미코박테리아에 대해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5,387,605호 참조). 그러나, 3-푸란 카르복실산에 대한 항균 활성은 종래 개시된 바 없으며, 본 발명에 따라서 비로소 3-푸란 카르복실산이 강력한 항균성을 갖는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특히 의외의 사실은, 3-푸란 카르복실산이 2-푸란 카르복실산보다 항균 활성도가 더 높다는 사실이다. 2-푸란 카르복실산과는 대조적으로, 3-푸란 카르복실산은 광범위한 pH에 걸쳐서 화장품 제제내의 단일 항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항균 활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3-푸란 카르복실산은 장티푸스(Enterics), 슈도모나스(Pseudomonas),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및 곰팡이(Mold)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효모의 성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이에 반하여 2-푸란 카르복실산은 장티푸스, 슈도모나스 및 스타필로코커스를 억제하지 못하고, 곰팡이와 효모에 대해서도 활성이 매우 낮아서 그 자체만으로는 화장품 제제의 방부제로서 부적합하다. 목적하는 항균 효능을 얻기 위해서, 3-푸란 카르복실산은 단독으로 화장품 제제 총 중량의 약 0.05∼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2-푸란 카르복실산은 그 단독으로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데 불충분하지만, 2-푸란 카르복실산을 3-푸란 카르복실산의 활성을 보충하는 물질로서, 0.5∼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제에 있어서, 상기 2종의 산을 혼합해서 사용하며, 각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 범위 전반에 걸쳐 산이라는 용어를 언급하였을 때는, 유리된 형태의 산 및 그와 동일한 활성을 가진 산의 유도체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상기 화합물들은 예를 들면 시그마 케미칼 컴파니에서 시판하고 있다.
또한, 2-푸란 카르복실산과 3-푸란 카르복실산은 둘다 예외적으로 높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항염증 활성에 대한 표준 시험관내 분석법으로 시험하였을 때, 상기 2가지 화합물은 모두 염증 진행 과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강력한 억제제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2-푸란 카르복실산과 3-푸란 카르복실산은 둘다 활성 내피 세포에 대한 다형핵 백혈구(PMN)의 접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러한 접착 현상은 급성 염증보다는 오히려 만성 염증을 시사하는 인디케이터가 된다. 또한, 2종의 화합물은 모두 포스포리파제 A2효소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데, 이 효소는 아라키돈산 생성의 촉진제로서, 이러한 억제 활성은 염증 진행 과정의 초기 단계 중 하나의 억제제임을 시사하므로, 이들 화합물이 급성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별한 성질면에서, 3-푸란 카르복실산은 예외적으로 활성이 높아서 0.01 mg/ml의 농도에서 효소 활성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있어서,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화장품 또는 의약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이 조성물은 항염증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 3-푸란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화합물들의 유효량은 그 항균 활성에 대해 필요한 것과 동일한 범위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염증 양상, 예를 들면 건선, 습진,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한 피부 증상과 장애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제의 또 다른 유용한 성분은 페루린산 또는 이의 유도체이다. 페루린산도 역시 천연 물질인데, 이것은 식물에서 유리된 산으로서 발견되었으며, 식물의 종자, 잎, 껍질에서는 에스테르 형태로 존재한다.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고급 알코올, 스테롤 및 히드록시산과의 에스테르로 형성된 것이다. 종래, 페루린산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예를 들면 항산화성, 탈취성, 항염증성 및 항소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 바에 의하면, 페루린산이 항자극제로서 개시된 예는 전혀 없다. 본 발명에 따라서, 페루린산은 상당한 항자극성을 가짐으로써 화장품 제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피부 자극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활성 산 성분과 함께 사용하는 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페루린산의 항자극 효능은 자극성 물질에 피부를 노출시키기 직전에, 그러한 노출과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도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페루린산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민감하고 쉽게 자극을 받는 피부를 가라 앉힐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한 "페루린산"이라는 용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유리된 산 및 유리된 산과 활성이 동일한 에스테르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제제에서, 페루린산은 조성물 총 중량의 약 0.05∼2.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1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페루린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는 2-푸란 카르복실산 및 3-푸란 카르복실산과 함께, 각각의 성분에 대해 앞에 기재한 바와 같은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제는 통상의 화장품 또는 의약용 방부제의 사용을 피하는 데 충분한 항균 조절성을 나타낸다. "통상의" 방부제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된 방부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예로서는 파라벤, 프로피오네이트, 포름알데히드 방출 물질, 벤조에이트 및 크레졸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제로부터 얻어지는 또 다른 이점은, 상기 제제가 고유하게 비자극성일 뿐만 아니라 상기 제제가 도포되는 피부에 기존하는 자극을 경감시킨다는 점이다.
선택적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제제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바닐린, 바닐린산 또는 바닐린산 에스테르를 약 0.05∼1 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바닐린도 역시 천연 물질인데, 항균제로서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rinciples and Practice of Disinfection, Preservation and Sterlization, Russell et al., eds., Second Edi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Cerrutti et al., J. Food Sci. 62: 608-610, 1997.)
국소 투여하기 위해서, 활성 성분을 각종의 화장품 산업 및/또는 의약 산업 분야에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제화할 수 있다. "화장품 산업 및/또는 의약 산업 분야에서 허용되는 담체"란 의약 또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부형제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부형제는 활성 성분을 목적하는 표적 부위에 전달하며 인체 또는 기타 수용자인 유기체에는 유해한 효과를 전혀 일으키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한, "의약" 또는 "화장품"이라는 용어는 인체용 및 동물용 의약 또는 화장품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파악하여야 한다. 유용한 담체로서는, 예컨대 물, 아세톤,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3-디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또는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화장품과 의약 조성물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방법과 성분들은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Eighteenth Edition, A.R. Gennaro,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ennsylvania, 1990]에 개시되어 있다. 담체는 투여 방식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로, 예를 들면 용액, 콜로이드질 분산액, 에멀젼(수중유 또는 유중수), 현탁액, 크림, 로숀, 겔, 포옴, 무스, 스프레이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에 대한 pH는 약 3 내지 약 8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4∼7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6 범위일 수 있다.
제제는 담체와 항균/항자극 성분 이외에도 기타 임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임의 성분은 담체 및/또는 제제의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으로서는, 수용성 착색제(예: FD&C Blue #1), 지용성 착색제(예: D&C Green #6), 수용성 일광 차단제(예: Eusolex 232), 지용성 일광 차단제(예: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미립자 일광 차단제(예: 산화아연), 항산화제(예: BHT), 킬레이트제(예: 이나트륨 EDTA), 에멀젼 안정화제(예: 카보머), 방부제(예: 메틸 파라벤), 방향제(예: 피넨), 향료(예: 소르비톨), 흡습성 물질(예: 글리세린), 방수제(예: PVP/아이코센 공중합체), 수용성 필름 형성제(예: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지용성 필름 형성제(예: 수소 첨가된 C-9 수지), 양이온성 중합체(예: Polyquaternium 10), 음이온성 중합체(예: 크산탄 고무), 비타민(예: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균/항자극/항염증 성분은 국소 도포용으로 사용되는 기타 활성 성분과 함께 사용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특히, 페루린산은 제제 중의 다른 활성 성분의 자극 효과를 경감시키도록 도모할 수 있다. 국소 치료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공지의 자극 물질의 예로서는 레티노이드, 예를 들면 레티놀과 레티노인산 및 히드록시 산, 예를 들면 글리콜산, 락트산 또는 살리실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활성 성분으로서는, 노화 반점, 각질 및 주름을 개선시키거나 근절하는 성분, 진통제, 마취제, 여드름 치료제, 항박테리아제, 항효모제, 항진균제, 항비루스제, 비듬 치료제, 피부염 치료제, 항소양제, 진토제, 운동 장애 치료제, 항염증제, 각질 용해제, 피부 건조 방지제, 항발한제, 항건선제, 항지루제, 모발 콘디쇼너 및 모발 치료제, 노화 방지제, 주름 방지제, 항천식제 및 기관지 확장제, 일광 차단제, 항히스타민제, 피부 광택제, 탈색소제, 외상 치료제, 비타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갈색화제, 선스크린 또는 호르몬을 들 수 있다. 유용한 활성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레티노이드, 국소 심혈관 약제, 클로트리마졸, 케토코나졸, 미코노졸, 그리세오풀빈, 히드록시진, 디페닐히드라민, 프라목신, 리도카인, 프로카인, 메피바카인, 모노벤존, 에리트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클린다마이신, 메클로사이클린, 히드로퀴논, 미노사이클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테오필린, 크로몰린, 알부테롤, 레티놀, 레티노인산, 13-시스 레티노인산, 히드로코르티존, 히드로코르티존 21-아세테이트, 히드로코르티존 17-발레에이트, 히드로코르티존 17-부티레이트, 베타메타손 발레에이트,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플루오시노나이드, 클로베타졸 프로피오네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크로타미톤, 프로파놀롤, 프로메타진,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비타민 E 아세테이트, DHEA 및 이들의 유도체, 알파-히드록시산 또는 베타-히드록시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주어진 제제에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통상의 투약법에 따라 용이하게 결정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보습용 크림 또는 로숀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항균제/항자극제 성분을 보습제, 연화제 또는 흡습성 물질과 배합한다. 유용한 배합물의 예를 들면, 오일, 지방, 왁스, 에스테르,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톡실레이트, 글리콜, 당, 히알루론산 및 히알루론산염, 디메티콘, 시클로메티콘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배합의 예에 관해서는 문헌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CTFA, Sixth Edition, 1995]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완제품의 궁극적인 용도와 특성에 따라서 도포한다. 예를 들면 보습용, 세정용 또는 피부 완화용 제제를 매일, 필요에 따라서는 그보다 더 자주 또는 그보다 더 적은 회수로 사용할 수 있다. 제제가 의약 또는 미용 활성이 있는 성분을 함유할 경우에, 제제는 그 활성 성분에 대해 권장되는 섭생에 따라서 도포한다. 기타 적합한 투여 섭생은 통상의 최적화 방법에 따라 결정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화장품 제제내의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는 데 있어서 3-푸란 카르복실산의 효능을 입증하는 실시예이다.
3-푸란 카르복실산 0.473%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수중유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이 제제를 5등분하고, 각각의 분획에 다음의 미생물 배양액, 즉, (1) 장티푸스, (2) 슈도모나스, (3) 스타필로코커스, (4) 효모 및 (5) 곰팡이 중 1종을 0일째 접종한 다음, 3주 후에 다시 접종을 실시하였다. 각 제제내의 미생물 농도를 접종한 날에 계산하고, 이어서 2일째, 그리고 1주, 2주, 3주(재접종하기 전) 및 4주의 종료점에서, 다양한 pH 값하에 계산하였다. 또한, 2-푸란 카르복실산과 동일한 계열의 미생물을 함유하는 제제 및 푸란 카르복실산을 첨가하지 않은 산 pH 대조용 에멀젼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a 내지 표 3c에 기재하였다. "〈10"으로 기재한 것 이외의 모든 수는 로그의 밑을 10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6.6"은 8백만개의 박테리아가 존재하는 것과 동등하다. 〈10이라고 기재된 것은 최저 검출 한계인 10 이하의 콜로니 형성 단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0.473% 3-푸란 카르복실산, pH 3.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10 〈10 〈10 〈10 〈10
2 6.3 〈10 〈10 〈10 〈10 〈10
3 6.3 〈10 〈10 〈10 〈10 〈10
4 5.7 〈10 〈10 〈10 〈10 〈10
5 5.2 〈10 〈10 〈10 〈10 〈10
0.473% 3-푸란 카르복실산, pH 4.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10 〈10 〈10 〈10 〈10
2 6.3 〈10 〈10 〈10 〈10 〈10
3 6.3 〈10 〈10 〈10 〈10 〈10
4 5.7 2.5 〈10 〈10 〈10 〈10
5 5.2 〈10 〈10 〈10 〈10 〈10
0.473% 3-푸란 카르복실산, pH 5.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10 〈10 〈10 〈10 〈10
2 6.3 〈10 〈10 〈10 〈10 〈10
3 6.3 〈10 〈10 〈10 〈10 〈10
4 5.7 2.5 2.7 1.7 2.0 1.8
5 5.2 〈10 〈10 〈10 〈10 〈10
0.375% 2-푸란 카르복실산, pH 3.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10 〈10 〈10 〈10 〈10
2 6.3 〈10 〈10 〈10 〈10 〈10
3 6.3 〈10 〈10 〈10 〈10 〈10
4 5.7 〈10 〈10 〈10 〈10 〈10
5 5.2 〈10 〈10 〈10 〈10 〈10
0.375% 2-푸란 카르복실산, pH 4.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10 〈10 〈10 〈10 〈10
2 6.3 〈10 〈10 〈10 〈10 〈10
3 6.3 〈10 〈10 〈10 〈10 〈10
4 5.7 3.7 3.7 〈10 〈10 〉5.7
5 5.2 1.6 〈10 〈10 〈10 〈10
0.375% 2-푸란 카르복실산, pH 5.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6 〉6 〈10 〈10 〈10
2 6.3 〉6 〈10 〈10 〈10 〈10
3 6.3 2.9 〈10 〈10 〈10 〈10
4 5.7 〉5.7 〉5.7 〉5.7 〉5.7 〉5.7
5 5.2 5.2 5.2 5.2 3.0 〉5
대조용 에멀젼, pH 3.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3.7 〈10 〈10 〈10 〈10
2 6.3 〉6 〈10 〈10 〈10 〈10
3 6.3 2.0 〈10 〈10 〈10 〈10
4 5.7 5.7 5.7 5.7 4.5 〉6
5 5.2 5.2 5.2 5.2 5.2 〉5
대조용 에멀젼, pH 4.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6 〉6 3.2 〈10 〉6
2 6.3 〉6 〉6 〈10 〈10 〈10
3 6.3 〉6 2.0 2.0 〈10 〈10
4 5.7 〉6 〉6 〉6 〉6 〉6
5 5.2 5.2 5.2 5.2 3.3 〉5
대조용 에멀젼, pH 5.0
미생물번호 0일 2일 1주 2주 3주 4주
1 6.6 〉6 〉6 〉6 2.0 〉6
2 6.3 〉6 〉6 〈10 〈10 〈10
3 6.3 〉6 〉6 〉6 4.2 〈10
4 5.7 〉6 〉6 〉6 〉6 〉6
5 5.2 〉5.2 5.2 5.2 3.0 〉6
2종의 푸란 카르복실산의 항균 효과를 비교한 결과, 3-푸란 카르복실산이 곰팡이와 효모의 성장을 지연시키는 능력면에서 2-푸란 카르복실산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조군은 이들 2종의 산의 항균 효과가 산 pH 또는 사용된 부형제가 아닌 특이적인 산의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는 사실을 입증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성분의 항자극 효과를 입증하는 실시예이다.
페루 발삼에 대해 피부 민감성을 나타낸 병력이 있는 7인의 지원자를 연구용으로 선별하였다. 연구된 시험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즉, 페루린산(1:1 히드로알코올 중 0.1%), 2-푸란 카르복실산(1:1 히드로알코올 중 0.1%) 및 3-푸란 카르복실산(1:1 히드로알코올 중 0.1%).
시험 화합물을 지원자의 전박 복면에 도포하였다. 이 물질을 20분 동안 흡수시킨 후에, 자극 물질인 페루 발삼을 시험 부위에 도포하였다. 피부 적색도의 증가에 따라 피부 자극을 측정하였다. 적색도는 미놀타 비색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였는데, 양성 대조군은 페루 발삼만으로 처리한 피부이고, 음성 대조군은 10% 콜라 용액(공지의 항자극제)으로 처리한 후에 시험 생성물과 같은 방식으로 자극한 피부 부위이다.
페루린산은 자극의 개시를 억제하는 효율이 72%이었다. 이는 억제 효율이 69%인 콜라 용액과 비교될 만한 것이다. 중요한 결과는, 2-푸란 카르복실산과 3-푸란 카르복실산이 둘 다 자극 개시를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그 효율이 각각 49%와 48%라는 사실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염증 진행 과정의 2가지 상이한 측면에서 2-푸란 카르복실산과 3-푸란 카르복실산의 항염증 효능을 입증하는 실시예이다.
A. PLA2(포스포리파제 A2) 억제
효소 반응은 인산염 완충 염수 2 ml를 함유하는 크벳에서 수행하였다. 형광성 기질 NBD-C6-HPC를 EtOH에 1mM 농도로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를 10μM로 만들었다. 사독으로부터 얻은 PLA2효소를 1 ㎕당 0.001 단위로 첨가하여 분석을 개시하였다. 효소 활성은 억제제의 존재하에 또는 부재하에 모니터하였다. 시험된 물질은 다음과 같이 용해시켰다. 페루린산과 2-푸란 카르복실산은 EtOH에 10 mg/ml로 용해시켰으며, 3-푸란 카르복실산은 EtOH에 100 mg/ml로 용해시켰고, 각각의 시료를 적절히 희석하여 분석 농도를 0.01 mg/ml, 0.1 mg/ml 및 1 mg/ml로 만들었다. 효소를 첨가하기 전에, 시료를 형광 분석법에 따라 470 nm 여기 파장 및 570 nm 발광 파장으로 측정하여 형광의 기준도를 결정하였다. 효소를 첨가한 후에, 시료를 60분의 기간에 걸쳐 15분마다 모니터하였다.
EC-50 값을 계산하였으나, 단 최적의 직선 회귀 결과를 나타내는 시료에만 국한시켰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 가능한 것 중에서, 2-푸란 카르복실산은 0.5 mg/ml의 값을 나타내었다(도 1A 참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푸란 카르복실산에 대해서는 EC50 값을 계산할 수 없었지만, 이는 0.1 mg/ml의 용량하에 효소 활성을 차단함으로써 최대의 억제 효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페루린산은 다소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지만, 시험한 3종의 물질 중에서는 가장 약한 것이었다(도 1C).
B. 림프구 접착 억제
내피 세포를 성장시켜 융합시키고, 시험에 앞서 기본 배지로 충분히 세척하여 모든 송아지 태아 혈청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시험 화합물을 내피 세포 배양 웰에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항온 처리하였다. 림프구를 첨가하기 전에 IL-1β를 내피 세포상의 접착 분자의 모의 형질 발현을 위해 첨가하였다.
림프구를 성인 피검체로부터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분리시켜서 내피 세포 배양 웰에 첨가하였다. PHA를 첨가하여 림푸구내 접착 분자의 형질 발현을 촉진하고 배양액을 밤새 항온 처리하였다. 간단한 세척 절차를 거친 후에, 세포를 로즈 벵골(Rose Bengal)로 항온 처리하고,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접착 분자의 수를 분석하였다.
도 2는 2-푸란 카르복실산과 3-푸란 카르복실산이 둘다 0.5%와 1% 농도에서 림프구 접착에 대한 매우 강력한 억제제임을 보여준다. 첫번째 막대는 촉진되지 않은 조건하에서 내피 세포와 임의의 접착 림프구의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두번째 것은 PHA로 밤새 항온 처리한 후에 흡광도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그 다음 4개의 막대는 상기 2종의 산을 0.5% 또는 1% 농도로 사용하여 미리 항온 처리한 배양액에서 흡광도가 다시 촉진되지 않은 조건으로 감소함을 보여준다.

Claims (33)

  1. 항균 유효량의 3-푸란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국소 도포용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항균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항자극 유효량의 페루린산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항균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과 항자극 유효량의 페루린산을 포함하는 것인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이 유리된 산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산이 유리된 산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바닐린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제.
  8. 제4항에 있어서, 바닐린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보습용 제제인 것인 제제.
  10. 제4항에 있어서, 보습용 제제인 것인 제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의 양이 약 0.5∼5%인 것인 제제.
  12. 제4항에 있어서, 유리된 2-푸란 카르복실산과 3-푸란 카르복실산을 각각 0.5∼5%의 양으로 포함하고, 유리된 페루린산을 0.5∼2.5%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제제.
  13. 항균 유효량의 3-푸란 카르복실산과 2-푸란 카르복실산, 그리고 항자극 유효량의 페루린산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무방부제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
  14.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산이 유리된 산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제제.
  15.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에 항균 유효량의 3-푸란 카르복실산을 첨가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에서 미생물의 성장을 지연시키는 방법.
  16. 제1항에 기재된 제제의 유효량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특징인, 피부상의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는 방법.
  17. 제4항에 기재된 제제의 유효량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특징인, 피부상의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는 방법.
  18. 제12항에 기재된 제제의 유효량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특징인, 피부상의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는 방법.
  19. 피부에 유효량의 페루린산을 도포하는 것이 특징인, 피부에 도포된 자극 물질에 의해 유발된 자극을 경감시키거나 방지하는 방법.
  20. 항자극 유효량의 페루린산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국소 도포용 화장품 또는 의약 제제.
  21. 제20항에 있어서, 자극성이 있는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제.
  22. 제21항에 있어서, 항균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과 3-푸란 카르복실산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제.
  23. 피부에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 3-푸란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것이 특징인,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3-푸란 카르복실산을 도포하는 것인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2-푸란 카르복실산을 도포하는 것인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페루린산을 더 도포하는 것인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유리된 2-푸란 카르복실산, 유리된 3-푸란 카르복실산 및 유리된 페루린산을 도포하는 것인 방법.
  28. 피부에 유효량의 2-푸란 카르복실산, 3-푸란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것이 특징인, 염증성 성분에 의한 피부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애가 건선, 습진, 알레르기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유리된 3-푸란 카르복실산을 도포하는 것인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유리된 2-푸란 카르복실산을 도포하는 것인 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유리된 페루린산을 더 도포하는 것인 방법.
  33. 제27항에 있어서, 유리된 2-푸란 카르복실산,유리된 3-푸란 카르복실산 및 유리된 페루린산을 도포하는 것인 방법.
KR1019997002200A 1997-07-17 1998-07-15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KR100757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336A KR100771460B1 (ko) 1997-07-17 1998-07-15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96,194 US6114377A (en) 1997-07-17 1997-07-17 Antimicrobial cosmetic compositions
US8/896,194 1997-07-17
US08/896,194 1997-07-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336A Division KR100771460B1 (ko) 1997-07-17 1998-07-15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71A true KR20000068571A (ko) 2000-11-25
KR100757281B1 KR100757281B1 (ko) 2007-09-11

Family

ID=254057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200A KR100757281B1 (ko) 1997-07-17 1998-07-15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KR1020067004336A KR100771460B1 (ko) 1997-07-17 1998-07-15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336A KR100771460B1 (ko) 1997-07-17 1998-07-15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6114377A (ko)
EP (1) EP0966245B1 (ko)
JP (1) JP3739803B2 (ko)
KR (2) KR100757281B1 (ko)
AT (1) ATE251443T1 (ko)
AU (1) AU746937B2 (ko)
CA (1) CA2265993C (ko)
DE (1) DE69818806T2 (ko)
ES (1) ES2212319T3 (ko)
HK (1) HK1024422A1 (ko)
IL (1) IL128969A (ko)
WO (1) WO19990034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274800A (en) * 1999-07-26 2001-02-13 Unilever Plc Stabilization of ferulic acid in cosmetic compositions
US20020127256A1 (en) * 2001-03-01 2002-09-12 Howard Mura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ermatological disorders
WO2002089743A2 (en) 2001-05-09 2002-11-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Use of compositions for treating rosacea
US8246969B2 (en) 2001-11-16 2012-08-21 Skinmedica, Inc. Compositions containing aromatic aldehydes and their use in treatments
US20030180377A1 (en) 2002-02-12 2003-09-25 Ramirez Jose A. Enhanced activity hydrogen peroxide disinfectant
US20080305182A1 (en) 2002-11-15 2008-12-11 Ramirez Jose A Hydrogen peroxide disinfectant containing a cyclic carboxylic acid and/or aromatic alcohol
US7629399B2 (en) * 2004-02-27 2009-12-08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Thickening systems and aqueous-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564763C (en) 2004-05-14 2012-08-07 Virox Technologies Inc. Hydrogen peroxide-based skin disinfectant
CA2580659C (en) * 2004-09-15 2013-02-26 Ivx Animal Health, Inc. Corticosteroid having low systemic absorption
GB0506141D0 (en) * 2005-03-24 2005-05-04 Transphase Ltd A topical compostion and its uses
GB0506139D0 (en) * 2005-03-24 2005-05-04 Transphase Ltd A transdermal topical composition and its uses
DE102006017879A1 (de) * 2006-04-13 2007-10-25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Flavonoiden
EP3381445B1 (en) 2007-11-15 2023-10-25 Amgen Inc. Aqueous formulation of antibody stablised by antioxidant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KR101503924B1 (ko) * 2008-05-19 2015-03-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JP5449703B2 (ja) * 2008-06-04 2014-03-19 三省製薬株式会社 美白用皮膚外用剤
CA2734309C (en) * 2008-09-11 2015-11-10 Qingdao Qiyuan Bio-Technologies Co., Ltd. Preparation and usag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ulic acid and matrine compounds
FR2950884B1 (fr) * 2009-10-01 2011-11-11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de vanilline comme conservateur, procede de conservation, composes et composition
SG191879A1 (en) 2011-01-07 2013-08-30 Allergan Inc Melanin modific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10450535B2 (en) 2017-10-18 2019-10-22 Virox Technologies Inc. Shelf-stable hydrogen peroxide antimicrobial compositions
KR102419005B1 (ko) * 2019-10-07 2022-07-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보존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71136A2 (ko) * 2019-10-07 2021-04-1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보존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0133A (en) 1962-02-08 1967-05-16 Toyo Koatsu Ind Inc Preparation of a face lotion with a pearly luster
DE2404072A1 (de) * 1974-01-29 1975-08-14 Henkel & Cie Gmbh Hautpflege- und hautschutzmittel mit einem gehalt an haut-feuchtthaltemitteln
JPS5967211A (ja) * 1982-10-12 1984-04-16 Kazuo Suga 化粧品組成物
DE4225794C2 (de) * 1992-07-31 1994-12-08 Schuelke & Mayr Gmbh Tb-wirksame Carbonsäuren
JPH06256137A (ja) * 1993-03-01 1994-09-13 Chugai Pharmaceut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
DE19615575A1 (de) * 1996-04-19 1997-10-23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Glucosiden und Ferulasäure als antiirritativer Wirkstoff in kosmetischen und topischen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US5824326A (en) * 1997-06-27 1998-10-20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Activity enhancement of ferulic acid with dimethyl isosorbride in cosmetic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04137A (ja) 2001-03-27
DE69818806D1 (de) 2003-11-13
WO1999003446A3 (en) 1999-08-12
IL128969A0 (en) 2000-02-17
CA2265993C (en) 2008-04-22
ES2212319T3 (es) 2004-07-16
KR100771460B1 (ko) 2007-10-31
AU8405898A (en) 1999-02-10
US6114377A (en) 2000-09-05
WO1999003446A2 (en) 1999-01-28
CA2265993A1 (en) 1999-01-28
JP3739803B2 (ja) 2006-01-25
HK1024422A1 (en) 2000-10-13
KR100757281B1 (ko) 2007-09-11
ATE251443T1 (de) 2003-10-15
AU746937B2 (en) 2002-05-09
US6387947B1 (en) 2002-05-14
IL128969A (en) 2005-11-20
EP0966245A2 (en) 1999-12-29
DE69818806T2 (de) 2004-08-05
KR20060027870A (ko) 2006-03-28
EP0966245B1 (en)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81B1 (ko)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US7182963B2 (en) Cosmetic and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skin prone to acne
JPH10509437A (ja) 防臭、抗菌及び保存剤組成物並びにそれらを使用する方法
JPS6330884B2 (ko)
US5811083A (en) Tocopherol derivatives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JP2009530365A (ja) マグノリアシャンパカ油、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
KR20060020630A (ko) 피지 관련 피부 질환의 국소 치료방법
JP2001097888A (ja) 外用組成物
JP2003531845A (ja) No合成酵素阻害剤としてのリポクロマン−6とその使用
US20170151299A1 (en) Extracts of santolina chamaecyparissus
JPH0255404B2 (ko)
JPH10167957A (ja) 細胞間接着抑制剤
JP2009191019A (ja) 皮膚若しくは毛髪用化粧料
JP3385293B2 (ja) アルトカルピン含有抗菌・防腐剤及び化粧料
WO2008044636A1 (fr) Agent anti-rides et préparation pour la peau pour un usage externe
CA2547745C (en) Antiirritant or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s
CN104284588A (zh) 益生菌/抗氧化剂组合物
JP3660822B2 (ja) リパーゼ阻害剤
JPH1171260A (ja) γ−リノレン酸からなる酸化ストレス防止剤
US20230092216A1 (en) Active principle comprising a particular extract of punica granatum and uses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cne
EP1642566A1 (en) Retinoid-containing compositions having reduced irritation effect
JP2017031133A (ja) フコキサンチンによるかゆみ抑制
JP2024504330A (ja) ホーリーバジルの頂部成長部の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用組成物または皮膚用組成物
FR3094218A1 (fr) Utilisation de dianhydrohexitol pour éliminer les effets cosmétique des pellicules
JP2020002027A (ja) 毛髪の成長を促進させ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