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924B1 -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 Google Patents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924B1
KR101503924B1 KR1020080046303A KR20080046303A KR101503924B1 KR 101503924 B1 KR101503924 B1 KR 101503924B1 KR 1020080046303 A KR1020080046303 A KR 1020080046303A KR 20080046303 A KR20080046303 A KR 20080046303A KR 101503924 B1 KR101503924 B1 KR 101503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skin
acid
production
feru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328A (ko
Inventor
송혜진
김청택
이상화
한종섭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4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92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루릭산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페루릭산은 인체 세포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HAS)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으며, 따라서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수분 함유 저하 및 피부장벽 강화와 피부 탄력 저하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HAS, 페루릭산

Description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CONTAINING FERULIC ACID}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루릭산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섬유아세포(fibroblast)와 기타 피부세포의 원형질막(plasma membrane)에서 합성되는 황산기가 부착되지 않은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nonsulfated glycosaminoglycan)의 일종으로 200~10,000개의 반복되는 디사카라이드 단위체(disaccharide unit)인 글루쿠로닉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잔기가 반복적으로 사슬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1×105~5×106 Da 크기의 선형 고분자 다당류 물질이다. 특히 피부는 체내 히알루론산의 50% 이상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히알루론산은 세포외 기질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수분 보유, 세포간 간격 유지, 세포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과 확산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열과 분화, 이동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피부세포 배양상태에서 히알루론산의 합성은 여러 종류의 성장 인자, 트랜스 레티노인산, N-메틸세린 등에 의해 증가된다는 보고(Biochem . J. 258, 919-922; Biochem . J. 283, 165-170; Biochem . J. 307, 817-821; J. Biol . Chem . 272, 4787-4794; J Invest Dermatol 92, 326-332; Biol Pharm Bull 17, 361-364; 및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2, 276-283 참조)와, 피부에 도포된 여성호르몬(estradiol) 및 그 유사물질이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Steroids 16, 1-3; J Invest Dermatol 87, 668-673; 및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5, 175-183 참조)가 있었으나, 히알루론산 대사에 대한 자세한 기작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단지, 히알루론산의 합성은 세포막의 안쪽 표면에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HAS)에 의해 진행되며, 합성되는 동안 세포막을 뚫고 나와 세포외 기질에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J. Biol . Chem . 272, 13997-14000 참조).
포유동물에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유전자는 서열상의 유사성이 높은 HAS1, HAS2 및 HAS3의 세가지 형태가 보고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를 표피세포 배양액 속에 첨가하였을 때 HAS2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음이 보고된 바 있다 (J. Biol . Chem . 276, 20428-20435 참조). 그러나, 히알루론산의 세포 및 조직에서의 분포, 히알루론산과 관련된 각종 인자 및 효소,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또는 히알루론산 활성을 조절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유류의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의 50% 이상이 피부, 특히 표피의 세포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고, 이러한 히 알루론산은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간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노화에 따른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지고 있다 (Biochem Biophys Acta 279, 265-275; Carbohydr Res 159, 127-136; 및 Int J Dermatol 33, 119-122 참조).
또한 히알루론산은 주로 진피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표피층에서도 발견되고 있으며 각질층의 구조 유지와 피부장벽 기능을 유지하는데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J Cosmet Dermatol . 2007 Jun;6(2):75-82 참조).
따라서 히알루론산의 위와 같은 피부 적용가능성에 주목하여, 히알루론산을 효과적으로 생산 또는 주입하거나, 또는 인체 내의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괄목한 만한 연구 결과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내에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피부 탄력 개선, 피부의 수분 함유량 개선 및 피부 장벽 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건조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본 발명의 목적은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를 포함하는 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제의 효능 및 자유 라디칼 소거제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페루릭산의 새로운 효능, 즉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snthase)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페루릭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히알루론산과 관련된 피부 탄력 개선, 피부의 수분 유지 기능 향상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페루릭산의 함량은 총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를 포함하는 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히알루론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페루릭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이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히알루론산의 생성이 촉진되고 세포 내 히알루론산의 양이 증가하므로, 히알루론산의 유용성을 이용하는 각종의 용도, 예를 들면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수분 함유량 증가 및 피부 건조 방지 및 피부 장벽 강화와 같은 피부 개선용 물질로 이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촉진 효능을 갖는 페루릭산은 식물의 세포벽을 형성하는 리그닌의 전구체로써 페루릭산에는 수퍼옥사이드 이온(superoxide anion), 산화질소(nitric oxide),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과 같은 활성산소를 중화하는 항산화 작용이 있으며, 그 효과는 활성산소의 독성으로부터 생체를 방어하는 SOD(super oxide dismutase)와 같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세포에 있어서 지질의 산화에 대한 억제작용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효능으로 인해 피부 주름 및 노화 방지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항산화력이 매우 강해 멜라닌 색소를 제거하고 기미, 주근깨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미용효과가 좋으며 혈당강하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페루릭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으며 분자량은 약 194 정도이다.
[화학식1]
Figure 112008035384511-pat00001
본 발명은 페루릭산이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HAS2)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서는 페루릭산의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페루릭산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에 처리했을 때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HAS)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고, 또한 히알루론산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즉, 페루릭산을 12시간 동안 처리한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는 이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히알루론산 헙성효소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페루릭산을 무모 생쥐의 등 피부에 패치를 통해 1일 2회 4주간 1%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표피와 진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이 약 1.8~3.2배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페루릭산은 피부 내에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각종 피부 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탄력 증진, 피부 건조의 방지, 및 피부 장벽 강화 등을 위한 피부 외용제에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알루론산이 유용한 여러 가지 다른 질환 또는 증상의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화장학적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보조제, 착색제, 안정화제, 착향제, 계면활성제, 유분, 보습제, 알코올, 점증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자외선 차단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피부외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때에는 액상, 유상, 크림상, 연고, 스틱상, 팩, 파스타제, 산제 등 외피에 적용할 수 있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겔, 팩, 비누, 에센스시트, 하이드로겔패치 또는 마스크의 제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 페루릭산이 0.00001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성분이 0.00001 중량% 미만의 농도에서는 그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의 농도에서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화장료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형제, 활택제, 붕해제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자의 연령, 성별, 체중, 증상,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0.01 내지 1000 mg/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할 수도 있 고, 수회 나누어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연령, 성별, 체중, 질병의 정도, 투여경로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페루릭산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를 포함하는 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품이라 함은 통상의 가공식품, 천연 식품을 포함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청량음료, 주스, 우유, 요구르트, 유산균 음료, 홍차 등의 음료인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페루릭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어 결과적으로 히알루론산의 생성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 생성촉진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 저하, 피부 수분 함유량 감소를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예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 실시예 1>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의 HAS2 발현증가 평가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다시 12시간 동안 동일배지를 처리하여 우혈청의 영향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다시 페루릭산 (제조사 : Sigma - aldrich ) 을 각각 1 ug/ml, 2ug/ml, 5ug/ml 또는 10 ug/ml의 농도로 우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DMEM 배지에 첨가한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12시간 처리하였다.
12시간 경과 후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RNA 분리 키트(Tri-reagent, Gibco BRL) 1 ㎖을 첨가하여 총 RNA를 추출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정량적인 역전사 PCR을 수행하였다. 1 ug의 총 RNA를 역 전사 시스템(Promega사, 미국)을 이용하여 역전사하여 cDNA를 얻었다. 이후 역전사 반응용액 2 ㎕를 50 mM KCl, 10 mM tris-HCl (pH 8.3), 5 mM MgCl2 및 0.16 mM dNTP의 PCR 반응 완충액 50 ㎕에 섞고, 20 pmol의 프라이머와 1.25 U의 Taq DNA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94℃에서 60초, 60℃에서 120초, 72℃에서 120초의 30사이클을 수행하였다. HAS2 및 GAPDH의 PCR 수행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정량적인 역전사 PCR 반응을 위한 HAS2와 GAPDH의 프라이머
프라이머 이름 서열 서열번호
HAS-2 forward primer 5'-CTGTGAAAAGGCTGACCTAC-3' 1
HAS-2 reverse primer 5'-TCAGTAAGGCACTTGGACCG-3' 2
GAPDH forward primer 5'-CTGATGCCCCCATGTTCGT-3' 3
GAPDH reverse primer 5'-TGTGAGGAGGGGAGATTCA-3' 4
PCR 산물을 아가로스 젤에 전기영동하고 이를 Fluoro-S MultiImager(BioRad)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1, 도 2 및 표 2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페루릭산을 각각 0.5ug/ml, 1ug/ml, 2ug/ml, 5ug/ml, 10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에 따른 HAS2 유전자의 발현정도(HAS2 mRNA의 양)를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GAPDH는 유전자 발현변화를 정량적 역전사 PCR 방법으로 확인할 때 내부 지표 유전자(internal control)로 사용하는 유전자로서, GAPDH의 변화에 대한 특정 유전자, 여기에서는 HAS2의 상대적 양을 나타냄으로써 시료간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다. 하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결과를 살펴보면, 0.5ug/ml, 1ug/ml, 2ug/ml, 5ug/ml, 10ug/ml의 농도에서 각각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0%, 35%, 53%, 59%, 89% 합성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표 2]
페루릭산 농도 (ug/ml) 0.5 1 2 5 10
발현증가률(%) 20 35 53 59 89
< 실시예 2> 무모생쥐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 평가
본 실험을 위한 생쥐로는 체중이 25∼39 g 정도되는 30주령의 암컷 무모 생쥐(hairless mouse; Skh:HR-1)를 Charles River Laboratories(Wilmington, MA, 미 국)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쥐들을 일주일 동안 동물사육실에서 적응시킨 후 그룹당 5마리씩 정상군, 시료처치군으로 나누어 실험기간 동안 사육하였다.
각각 1% 농도로 용매(1.3 부틸렌 글리콜(Buthylene Glycol):에탄올 = 7:3)에 녹인 페루릭산을 시료처치군에 1일 2회 4주간 처치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용매만 같은 방법으로 처치하였다. 처치 완료 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등쪽 피부를 떼어내어 필터 페이퍼에 편평하게 부착한 후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시켰다. 그 후 파라핀에 임베드하여 얇은 절편으로 잘랐다. 파라핀 제거 후 각 절편은 메탄올에 희석된 0.3% 과산화수소 용액에 담그어 30분간 방치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씻은 후 1% 우혈청알부민으로 처리하였다. 피부조직내 히알루론산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퍼옥시다제가 결합된 히알루론산 결합단백질(Corgenix, 미국)을 처리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방치한 후, 3,3-디아미노벤지딘(diaminnobezidine)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시약을 5분간 상온에서 처리하여 발색시켰다. 그 후 조직상태 관찰을 위하여 헤마톡실린(Hematoxylin) 염색을 실시하였다. 면역염색된 히알루론산은 Image Pro(Media Cybernetics)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용매만을 처리한 대조군에 비하여, 페루릭산을 처리한 군의 피부조직 내 히알루론산의 양이 약 180~320%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
페루릭산 농도 1ug/ml 2ug/ml 5ug/ml 10ug/ml
생성된 히알루론산 증가량(%) 180% 210% 250% 320%
<제조예 1>
페루릭산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피부 외용연고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페루릭산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피부 외용연고제를 제조하였다.
[표 4]
성분 제조예 1
(중량%)
비교예 1
(중량%)
페루릭 산 1 -
디에틸 세바케이트 8 8
경납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바셀린 to 100 to 100
<제조예 2 >
페루릭산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페루릭산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5]
성분 제조예 2
(중량%)
비교예 2
(중량%)
페루릭산 1.0 -
스테아린산 15.0 15.0
세탄올 1.0 1.0
수산화칼륨 0.7 0.7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 글리콜 3.0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제조예 3
페루릭산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6]
조성물 제조예 3 비교예 3
(중량%) (중량%)
페루릭산 1.0 -
에탄올 10 10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 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글리세린 5 5
1,3-부틸렌 글리콜 6 6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제조예 4>
페루릭산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7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페루릭산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7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 를 제조하였다.
[표 7]
성분 제조예 4 비교예 4
(중량%) (중량%)
페루릭산 1 -
바셀린 2.0 2.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적량 적량
프로펠렌글리콜 5.0 5.0
에탄올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18.0
수산화칼륨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제조예 5>
추출예 3로부터 얻은 하고초 추출물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8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8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표 8]
성분 제조예 6
(중량%)
비교예 6
(중량%)
페루릭산 5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히알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5.0
에탄올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0.1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3>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피부 외용연고제,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에 의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발명의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사람 피부에 적용시기 위해 22℃ 및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제조예 5 및 비교예 5의 에센스를 건강한 성인 30명의 목가에 4주간 도포한 후 도표 전,후의 탄력을 측정하여 피부탄력 개선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피검자의 목가 왼쪽 부위에는 제조예 5 에센스를, 오른쪽 부위에는 비교예 5 에센스를 1일 2회씩 아침ㆍ저녁으로 세안 후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C+K,Germany)를 이용하여 각 부위에서의 탄력의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개선 정도는 Ur/Uf를 parameter로 사용하였다.
[표 9]
        탄력 개선율(%, n=30)
제조예 5             27.07
비교예 5              4.35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5 따라 제조된 페루릭산이 함유된 화장료는 피시험자들에서 피부탄력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피부 내에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4>
또한 본 발명의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 수분량 증가 효과를 사람 피부에 적용시기 위해 22℃ 및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제조예 5 및 비교예 5의 에센스를 건강한 성인 30명의 하박 안쪽에 일정량을 도포하고 도포 전, 도포 1시간 후 및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아 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 피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수분 보유능 측정은 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구분 제조예 5 비교예5 대조군
도포전 피부 전기도 54 54 54
도포 1시간 후 피부 전기도 95 81 55
도포 2시간 후 피부 전기 전도도 89 67 52
<실시예 5>
또한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본발명의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장벽 기능 회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팔의 상박 부위에 테이프 스트리핑 (tape stripping)을 실시하여 피부의 방어막을 약화시킨 후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실험자에게 화장료를 도포한 후 수분 증발량 측정기인 Tewameter TM 210 (courage + Khazaka, Cologne, Germany)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 손실량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경과 후 측정하여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장벽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표 11]
표피 수분 손실량(%)
구분 제조예 5 비교예 5 대조군
1시간 후 56 82 92
2시간 후 50 77 83
4시간 후 33 68 79
8시간 후 26 60 71
상기 실시예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페루릭산를 함유하는 제조예 5는 비교예 5에 비해서 피부 전기 전도도가 높고 피부 장벽 기능 회복 효과도 더 우수해 뛰어난 보습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페루릭산을 투여한 인체 섬유 아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발현증가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페루릭산의 처리농도에 따른 HAS2 유전자의 발현정도(HAS2 mRNA의 양)를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11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120>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CONTAINING FERULIC ACID <130> DPP20080461KR <160> 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2 forward primer <400> 1 ctgtgaaaag gctgaccta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2 reverse primer <400> 2 tcagtaaggc acttggaccg 20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3 ctgatgcccc catgttcgt 19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4 tgtgaggagg ggagattca 19

Claims (8)

  1. 페루릭산(Ferulic acid)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피부 건조 방지 또는 피부 장벽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루릭산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페루릭산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겔, 팩, 비누, 에센스시트, 하이드로겔패치 또는 마스크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5. 페루릭산(Ferulic acid)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피부 건조 방지 또는 피부 장벽 회복용 의약 조성물.
  6. 페루릭산(Ferulic acid)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피부 건조 방지 또는 피부 장벽 회복용 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가공식품, 천연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첨가제인 것인 식품 조성물.
  8. 삭제
KR1020080046303A 2008-05-19 2008-05-19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KR10150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303A KR101503924B1 (ko) 2008-05-19 2008-05-19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303A KR101503924B1 (ko) 2008-05-19 2008-05-19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328A KR20090120328A (ko) 2009-11-24
KR101503924B1 true KR101503924B1 (ko) 2015-03-18

Family

ID=4160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303A KR101503924B1 (ko) 2008-05-19 2008-05-19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735B1 (ko) * 2010-03-09 2016-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0028A1 (en) 2000-06-23 2002-10-31 Hyeong-Bae Pyo Ferulic ester derivative, 3,9-diferulylcoumestrol and cosmetic product containing same
KR20060027870A (ko) * 1997-07-17 2006-03-28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KR20070057831A (ko) * 2004-09-14 2007-06-07 아지노모토 옴니쳄 에스.에이. 포스포릴화된 폴리페놀류를 함유하는 국소용 조성물
KR20070067364A (ko) *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히알루론산의 생성촉진을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870A (ko) * 1997-07-17 2006-03-28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항균성 화장품 조성물
US20020160028A1 (en) 2000-06-23 2002-10-31 Hyeong-Bae Pyo Ferulic ester derivative, 3,9-diferulylcoumestrol and cosmetic product containing same
KR20070057831A (ko) * 2004-09-14 2007-06-07 아지노모토 옴니쳄 에스.에이. 포스포릴화된 폴리페놀류를 함유하는 국소용 조성물
KR20070067364A (ko) *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히알루론산의 생성촉진을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328A (ko) 200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628B1 (ko)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EP1938867A2 (en) Compounding ingredients for basic cosmetics and basic cosmetics
KR101427572B1 (ko)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67936B1 (ko) 지속적인 보습효능을 가진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US20100323983A1 (en) Pharmaceutical or cosmetic preparations for topical and/or parenteral application, preparation methods thereof, and uses thereof
KR101810226B1 (ko) 연어 유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2633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 리포좀 및 성장인자 복합물이 함유된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343882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アクアポリン合成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2814003B2 (ja) 皮膚外用剤
KR101503924B1 (ko) 페루릭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제
KR101777544B1 (ko) 요놀(Ionol)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CN112932988B (zh) 一种含多聚脱氧核糖核酸的抗衰老护肤品
KR20190047582A (ko) 식물성 소재의 2단계 순차적 효소처리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220114763A (ko) 화장료용 멀티 보습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640735B1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9848A (ko) 에피프리델라놀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69935B1 (ko) 마리골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233916B1 (ko)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EP416292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regentide-034 and regentide-041 for skin care or wrinkle reduction
WO2021235275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0890068B1 (ko)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
KR101640736B1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801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