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916B1 -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916B1
KR102233916B1 KR1020190062688A KR20190062688A KR102233916B1 KR 102233916 B1 KR102233916 B1 KR 102233916B1 KR 1020190062688 A KR1020190062688 A KR 1020190062688A KR 20190062688 A KR20190062688 A KR 20190062688A KR 102233916 B1 KR102233916 B1 KR 10223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cinic acid
skin
composition
present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37A (ko
Inventor
장윤희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06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91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64-Aminoquinolines; 8-Aminoquinolines, e.g. chloroquine, primaqu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Q1 숙신산(PQ1 succ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콜라겐, 탄력섬유 및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 피부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Improving Skin Wrinkle and Elasticity comprising PQ1 Succinic Acid}
본 발명은 PQ1 숙신산(PQ1 succ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주름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과 탄력 섬유의 감소가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콜라겐은 진피층 내의 수분 보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질 단백질로 이러한 기질 단백질이 수분을 흡착하며, 이들이 이루는 구조 내부에 수분 보유력을 높여 피부가 적정 수분을 함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를 통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탄력섬유는 피부 건조 중량의 3%를 차지하며, 피부에 탄력성을 제공한다. 탄력섬유는 옥시탈란(Oxytalan), 엘라닌(Elaunin), 탄성섬유(Elastic fiber)의 세 가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섬유소(Fibrillin) 와 엘라스틴(Elastin)의 조합에 의해 그 타입이 결정된다. 이러한 콜라겐과 탄력섬유는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과 탄력섬유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촉진 물질로는 비타민 C,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레티놀(retinol),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푸코이단, 클로렐라 등의 다양한 식물 추출물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외용제 조성물 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주름 방지 및 개선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피부 장벽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방어뿐만 아니라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방지하는 보호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유지될 수 있다. 표피의 각질층은 10% 내지 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과잉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10% 미만이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된다. 표피 각질형성세포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이라고 하는 표피층에서 수분을 잡아두는 중요 기질을 생성한다.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나이에 따른 피부 내 히알루론산 양의 감소는 피부에서의 주름 발생과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지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히알루론산 합성효소는 hyaluronan synthase-1 (HAS-1), hyaluronan synthase-2 (HAS-2), hyaluronan synthase-3 (HAS-3)의 세 가지 형태가 보고되었다. 피부 보습을 위한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피부 보습제로는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멕턴트나 NMF 성분 또는 이들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천연 수용성 성분들을 사용하였는데, 건조한 피부내에서 보습 성분의 합성을 근본적으로 촉진하기 보다, 외부에서 공급하는 형식으로 그 효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건조한 피부의 실제 보습인자의 생성을 촉진하는 안전한 보습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주름과 보습을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는 물질에 관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PQ1 숙신산(PQ1 Succinic Acid)이 콜라겐, 탄력섬유 및 히알루론산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 효능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6504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PQ1 숙신산(PQ1 succ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Q1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Q1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PQ1 숙신산(PQ1 succ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PQ1 숙신산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54796713-pat00001
또한, PQ1 숙신산은 화학명이 N1-[6-methoxy-4-methyl-5-[3-(trifluoromethyl)phenoxy]-8-quinolinyl]-1,3-propanediamine butanedioic acid(화학식C25H28F3N3O6, 분자량: 523.50 g/mol) 인 화합물이다.
상기 PQ1 숙신산은 갭 접합 촉진제(gap junction enhancer)로 알려진 물질이다. 갭 접합 촉진제는 물, 이온 1200Da 미만의 저분자 물질(Ca2+, IP3, 양분, 대사물질), 글루타메이트, 전기신호의 이동통로로 대부분의 세포는 갭 접합으로 이웃하는 세포와 연결되어 있어, 세포성장, 분화, 사멸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갭 접합의 기능 이상은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학적 질병, 부정맥, 암과 같은 질병에서 관찰되고 있어, 갭 접합 촉진제(gap junction enhancer)는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는 치료제 개발의 타겟이 되고 있다.
PQ1 숙신산은 유방암세포에서 갭 접합 활성을 증가시켜 항암제와 병용처리 하면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높이며 국소빈혈(ischemia), 기생충감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 되었으나, 피부 개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 본 발명은 PQ1 숙신산을 이용한 피부 주름 및 피부 개선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름"은 크게 얼굴표정을 짓는데 쓰이는 표정근에 의한 표정 주름과 전반적 혹은 국소적으로 피부가 쇠하여 생기는 잔주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은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탄력섬유의 감소,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주름은 표정 주름 또는 잔주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보습"이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여 피부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균일한 각질 탈락을 유도하여 매끈한 표면을 유지하게 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하며, "건조"란 이러한 피부 보습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PQ1 숙신산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Q1 숙신산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및 도 1).
이를 통해,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PQ1 숙신산은 탄력섬유 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Q1 숙신산이 피브릴린 합성을 촉진하여 피브릴린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2).
구체적으로, 상기 PQ1 숙신산은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Q1 숙신산이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3 내지 표 4 및 도 3 내지 도 4).
상기 표 3 내지 표4 및 도 3 내지 도 4에서 사용된 HAS2 및 HAS3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히알루론산 (Hyaluronan, HA)는 피부와 세포외 기질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영양 성분과 이온의 이동을 촉진하고 세포외기질의 주요 성분으로 수분을 보유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세포간 간격 유지, 세포의 분열과 분화, 이동, 면역 조절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포유류의 체내에 존재하는 HA의 50%이상이 피부 특히 표피의 세포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고, 이러한 HA는 주로 표피 각질 형성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체 피부에서 HA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피부 세포 배양 상태에서 HA의 합성은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 등에 의해 증가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HA의 합성은 세포막의 안쪽 표면에서 Hyaluronan synthases(HAS)에 의해 진행되며, 합성되는 동안 세포막을 뚫고 나와 세포외기질에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HAS의 유전자는 염기서열의 유사성이 높은 Hyaluronan synthase-1(HAS1), Hyaluronan synthase-2(HAS2), Hyaluronoan synthase-3(HAS3)의 세가지 형태가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Q1 숙신산에 의해 표피세포에서 HAS2 및 HAS3의 mRNA의 발현이 증가시켰고 이는 히알루론산의 생성 증가로 이어져 보습, 주름개선, 탄력증진 등에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 및 건조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예방"은 주름 및 피부 건조 증상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주름 및 피부 건조 발생을 지연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지,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Q1 숙신산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01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Q1 숙신산이 총 조성물 중량대비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증가하는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의 증대가 기대되지 않아 비 경제적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PQ1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에 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PQ1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피부 건조 개선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PQ1 succinic acid", "주름", "보습", "건조", "예방" 및 "개선"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 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특성상,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피부에 도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2~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 치료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주름 또는 피부 주름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Q1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피부 보습 및 탄력증진 조성물은 콜라겐, 탄력섬유 및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증가 효과 제공하고,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PQ1 숙신산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PQ1 숙신산의 농도에 따른 피브릴린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PQ1 숙신산의 농도에 따른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HAS2)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PQ1 숙신산의 농도에 따른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3(HAS3)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및 피브릴린 발현 증가 시험
PQ1 숙신산의 콜라겐 및 피브릴린 발현 증가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Collagen) 및 피브릴린(Fibrillin) mRNA 발현량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ts)를 세포 배양 플레이트(6-well cell culture plate)에 각 4x105 씩 분주하여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동물 세포 배양용 배지(DMEM)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10%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동물 세포 배양용 배지(DMEM)로 교체한 후, PQ1 숙신산를 배지에 희석하여 24시간 처리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RNeasy mini kit (Qiagen, Germany)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를 cDNA Synthesis Kit (PhileKorea, Korea) 이용하여 역전사반응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cDNA는 정량 후 물로 희석하여 모든 반응에 동일량을 사용하였다. TaqMan® Universal Master Mix II와 TaqMan® Gene Expression Assays (Thermo Fisher, USA) collagen type 1(COL1)과 fibrillin(FBN)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StepOnePlus®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를 기준으로 ΔΔCt 방법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각 시료의 COL1 및 FBN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의 mRNA 발현량을 약 1.0으로 기준하여 수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1 내지 도 2 및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TGFb 10ng/ml (Peptrone, Korea) 을 사용하였으며, PQ1 숙신산은 100μM 및 200μM 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시험하였다.
하기 표 1 및 도 1은 콜라겐 mRNA 발현량을 비교한 표이다.
시료 Collagen(COL1)의 mRNA 증가량
무처리 대조군(untreated control) 1.00
양성 대조군 (TGFb 10ng/ml) 2.57
PQ1 숙신산 100μM 1.79
PQ1 숙신산 200μM 3.24
하기 표 2 및 도 2는 피브릴린 mRNA 발현량을 비교한 표이다.
시료 Fibrillin(FBN)의 mRNA 증가량
무처리 대조군(untreated control) 1.00
양성 대조군(TGFb 10ng/ml) 2.91
PQ1 숙신산 100μM 2.13
PQ1 숙신산 200μM 4.60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면, PQ1 숙신산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음성 대조군(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된 콜라겐 및 피브릴린 mRNA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PQ1 숙신산 200μM 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도 현저하게 증가된 발현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PQ1 숙신산은 콜라겐 및 피브릴린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등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내지 도 2).
실시예 2: 인간 각질형성세포에서의 HAS(hyaluronan synthase)2 및 HAS(hyaluronan synthase)3 발현 증가 시험
다음으로, PQ1 숙신산의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발현 증가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AS) 증가는 히알루론산(HA)의 생성 증가로 이어져 보습, 주름개선, 탄력증진 등에 효과를 낼 수 있다. 히알루론산 합성효소로서 HAS2 및 HAS3를 이용하였다.
상기 HAS2 및 HAS3는 세포막의 안쪽표면에 위치하여 히알루론산 합성을 진행하는 합성효소로 HAS2 및 HAS3의 mRNA증가는 피부와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성분인 히알루론산 생성으로 이어져 보습, 주름개선, 탄력증진 등에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인간 각질형성세포(HaCaT)를 세포 배양 플레이트 (6-well cell culture plate)에 각 2x105씩 분주하여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10% 우혈청과 칼슘(Ca2+)이 포함되지 않은 동물 세포 배양용 배지(DMEM)로 교체한 후, PQ1 숙신산 (PQ1 succinic acid(Sigma, USA))를 배지에 희석하여 24시간 처리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RNeasy mini kit (Qiagen, Germany)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를 cDNA Synthesis Kit (PhileKorea, Korea) 이용하여 역전사반응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cDNA는 정량 후 물로 희석하여 모든 반응에 동일량을 사용하였다. TaqMan® Universal Master Mix II와 TaqMan® Gene Expression Assays (Thermo Fisher, USA) HAS2, HAS3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StepOnePlus®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를 기준으로 ΔΔCt 방법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각 시료의 HAS2 및 HAS3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의 mRNA 발현량을 약 1.0으로 기준하여 수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3 내지 도 4 및 표 3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Ca2+ 1.8mM 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3 및 도 3은 HAS2 mRNA 발현량을 비교한 표이다.
시료 HAS2의 mRNA 증가량
무처리 대조군(untreated control) 1.00
양성 대조군(Ca2+ 1.8mM 대조군) 2.70
PQ1 숙신산 100μM 2.37
PQ1 숙신산 200μM 3.83
하기 표 4 및 도 4는 HAS3 mRNA 발현량을 비교한 표이다.
시료 HAS3의 mRNA 증가량
무처리 대조군(untreated control) 1.00
양성 대조군(Ca2+ 1.8mM) 2.50
PQ1 숙신산 100μM 1.87
PQ1 숙신산 200μM 2.95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면, PQ1 숙신산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된 HAS2 및 HAS3 mRNA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PQ1 숙신산 200μM 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도 현저하게 증가된 발현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PQ1 숙신산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등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내지 도 4).
제조예 1: PQ1 숙신산 0.1%을 함유한 화장료 제조
하기 표 5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PQ1 숙신산을 포함한 실험군 및 PQ1 숙신산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의 크림 제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실험군 대조군
PQ1 숙신산 0.1 0
정제수 잔량 잔량
글리세린 8.0 8.0
부틸렌글리콜 4.0 4.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5.0
베타글루칸 7.0 7.0
카보머 0.15 0.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8.0
스쿠알란 5.0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세테아릴 알코올 2.0 2.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실험예 1: PQ1 숙신산을 함유한 화장료 적용 전후의 피부 수분량 변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PQ1 숙신산을 함유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실험군과 PQ1 숙신산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료를 도포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2주 후 수분함유량 변화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가대상은 20세 내지 30세의 건강한 여성 20명을 선정하여, PQ1 숙신산을 함유한 화장료를 실험군에 PQ1 숙신산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료를 대조군에 나누어 주고 왼쪽 및 오른쪽 뺨에 각각 실험군와 대조군을 사용하게 한 후 2주 후에 피부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안면을 비누로 씻은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20±2℃, 상대습도 40±2%)에서 피부를 적응시켰다.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5)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 전기용량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하기 표 6은 피부 수분 함유량의 변화율을 비교한 표이다.
2주 후 수분함유량 변화율(%)
실험군 31.4
대조군 9.3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PQ1 숙신산을 포함한 화장료를 사용한 실험군이 PQ1 숙신산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료를 사용한 대조군 보다 피부의 수분 함유량이 유의하게 개선되고 증가한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PQ1 숙신산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수분함유량을 증가시켜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PQ1 숙신산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탄력섬유 및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의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PQ1 숙신산(PQ1 succ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Q1 숙신산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0001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Q1 숙신산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Q1 숙신산은 탄력섬유 합성을 촉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Q1 숙신산은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PQ1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의약외품 조성물.
  9. PQ1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개선 또는 탄력 증진 방법.
KR1020190062688A 2019-05-28 2019-05-28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223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88A KR102233916B1 (ko) 2019-05-28 2019-05-28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88A KR102233916B1 (ko) 2019-05-28 2019-05-28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37A KR20200136737A (ko) 2020-12-08
KR102233916B1 true KR102233916B1 (ko) 2021-03-30

Family

ID=7377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88A KR102233916B1 (ko) 2019-05-28 2019-05-28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9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60768A1 (en) 2014-12-02 2017-12-21 60 Degrees Pharmaceuticals Llc Novel Regimens of Tafenoquine for Prevention of Malaria in Malaria-Naive Subjec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60014T3 (es) * 2006-12-21 2011-05-31 Pfizer Products Inc. Sal succinato de 2-((4-(1-metil-4-(piridin-4-il)-1h-pirazol-3-il)-fenoxi)metil)quinolina.
KR101086504B1 (ko) 2009-01-22 2011-11-25 김선옥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CN103097355A (zh) * 2010-07-08 2013-05-08 惠氏有限责任公司 用于治疗皮肤病的新的喹啉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60768A1 (en) 2014-12-02 2017-12-21 60 Degrees Pharmaceuticals Llc Novel Regimens of Tafenoquine for Prevention of Malaria in Malaria-Naive Su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37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885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Rehmannia glutinosa, licorice, coicis semen, hordei fructus, chaenomelis fructus, Acanthopanacis cortex or Puerariae Radix
KR20130022471A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504299A (ja) マトリプターゼ発現を刺激する活性剤の化粧上での使用
KR20130028548A (ko) 피부재생, 항염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20120139222A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01649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233916B1 (ko)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8217074B2 (en) Use of sargachromenol
KR20170121468A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 재생용 조성물
US8637093B2 (en)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KR101261731B1 (ko) 콜라겐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17891A (ko)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플라센타를 함유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180108253A (ko)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1727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0547975B (zh) 包含表松脂酚的化妆材料组合物
JP7485336B2 (ja) MSX-2 mRNA発現促進剤、まつ毛の育毛剤、及びまつ毛の育毛用外用剤組成物
KR20180108255A (ko) 파리신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1A (ko) ligustroflavone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167042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保湿剤及び皮膚外用剤
JP5405782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7034A (ko) 항산화, 미백, 항염증, 피부보호 등의 기능을 갖는 락토페린 유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치료용 연고 및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