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650A -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650A
KR20000063650A KR1020000043544A KR20000043544A KR20000063650A KR 20000063650 A KR20000063650 A KR 20000063650A KR 1020000043544 A KR1020000043544 A KR 1020000043544A KR 20000043544 A KR20000043544 A KR 20000043544A KR 20000063650 A KR20000063650 A KR 20000063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ability
evaluation
seeker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우식
이석곤
김윤회
홍석훈
배정현
손경민
Original Assignee
주진용
아이디어플라자 주식회사
이명원
비아이컨설팅네트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용, 아이디어플라자 주식회사, 이명원, 비아이컨설팅네트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진용
Priority to KR102000004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650A/ko
Publication of KR2000006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6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구직자의 능력을 평가하여 구직자 및 구인업체 모두가 만족하는 인력 중개가 가능하도록 한 인터넷 상에서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상에서 구직자의 능력을 세부 평가 항목(대인관계, 직장적응력, 사회관심도, 전문지식, 실무능력 등)별로 평가하여 관리하고, 구인업체의 구체적인 채용 조건에 따라 구직자에 대한 최종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구직자는 자신의 구직 목표와 일치하는 기업체에 취직하게 되고, 구인업체는 자사의 채용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를 채용하게 됨에 따라 인력 중개에 대한 적시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평가한 구직자의 능력이 실제 구직자가 희망하는 구직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구체적인 과제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직자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책 및 급여와 일치하는 기업체에 취직할 수 있도록 구직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Intermedi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Job-Offering/Job-Hunting On The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통해 구직자의 능력을 평가하여 구직자 및 구인업체 모두가 만족하는 인력 중개가 가능하도록 한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구직자들이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원을 모집하는 구인업체들도 늘어남에 따라 구직자와 구인업체를 서로 연결해 주는 인력중개업체들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인력중개업체들은 구인 및 구직 정보를 직접 소집해 두었다가 무료 또는 소정의 수수료를 받고 구인업체와 구직자를 서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구직자와 구인업체간의 구인 및 구직을 중개해 준다.
그리고, 온라인 상에서 행해지고 있는 구인/구직 방식은 게시판 형식으로 타 사이트와 링크되는 방식과, 멀티미디어 형식의 취업정보 제공 및 자체 정보수 집 및 제공 서비스 방식과, 해외-유료 회원제의 구인 및 구직 형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채팅 방식으로 면접하여 사원을 채용하는 방식도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인력중개업체는 구직자가 직접 작성한 검증되지 않은 구직 자료(직무 수행 능력, 전문 지식 정도 등)를 토대로 구인업체에 인력을 소개해 주고 있기 때문에 구직자의 능력에 대한 사후 책임 즉, 시간과 비용의 낭비 및 적절한 인력 수급의 문제가 중개업체 및 구인업체에 그대로 전가되는 실정이다.
또한, 해당 인력중개업체가 직접 수집한 구인 및 구직 정보를 바탕으로 구인업체와 구직자를 서로 연결시켜줌에 따라 구직자의 능력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구인업체게 인력을 소개해 주고, 구인업체에서는 소개받은 인력을 채용하게 됨에 따라 구인업체 및 구직자 입장에서 구인/구직 중개에 따른 사후 문제 발생의 가능성이 있었다.
즉, 구인업체의 입장에서는 소개받은 인력을 채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한 결과 자사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지 못할 수 있으며,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소개받은 업체에서 근무해 본 결과 자신이 원하는 근무조건이나 급여를 충족하지 못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인력중개업체에 의해 서비스되는 구인/구직 중개는 구인업체와 구직자가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드물었으며, 이로 인해 구인업체 및 구직자의 시간과 비용을 낭비할 뿐 아니라, 인력 중개에 대한 적시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인터넷 상에서 구직자의 능력을 세부 평가 항목(대인관계, 직장적응력, 사회관심도, 전문지식, 실무능력 등)별로 평가하여 관리하고, 구인업체의 구체적인 채용 조건에 따라 구직자에 대한 최종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구직목표와 일치하는 기업체에 취직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인업체의 입장에서는 자사의 채용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를 채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 중개에 대한 적시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상에서 평가한 구직자의 능력이 실제 구직자가 희망하는 구직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구체적인 과제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직자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책 및 급여와 일치하는 기업체에 취직할 수 있도록 구직자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상에서 구직자의 능력을 평가해서 저장 및 관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구직자 20 : 인력 중개 서버
21 : 회원 관리부 22 : 인력 중개부
23 : 구직자 능력 평가부 24 : 구직자 정보 저장부
25 : 평가 정보 저장부 26 : 구인업체 정보 저장부
30 : 구인업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은, 구직을 희망하는 구직자와 구인을 희망하는 구인업체간의 인력 중개 서비스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하는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의 신상 및 이력 정보와, 희망 구직 정보와, 세부 평가 항목별로 평가한 구직자 능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저장부와; 상기 구직자의 능력 평가를 위해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저장하고 있는 평가 정보 저장부와; 상기 구인업체의 기본적인 사업자 정보와 구인 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구인업체 정보 저장부와; 상기 평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따라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여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구인업체에 소개하고,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최종 평가를 수행하여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력 중개 서버는, 상기 평가 정보 저장부로부터 판독한 세부평가 항목별 질문에 대한 답변을 구직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되는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며,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구직자 능력 평가를 완료한 구직자들에 대해 최종 평가를 수행하는 구직자 능력 평가부와; 상기 구직자 정보 저장부 및 구인업체 정보 저장부를 관리하고,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부의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구직자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급여와의 차이를 제시하여 구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 후, 해당되는 과제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회원 관리부와;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부의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구인업체의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를 구인업체에 소개한 후,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부에서 평가한 최종 평가 결과를 해당되는 구인업체에 제시하여 자사의 채용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를 채용하도록 인력을 중개하는 인력 중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은, 구직자 능력 평가를 위해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작성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구직자로부터 상기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아 각 항목별로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구인업체의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를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최종 평가를 수행하여 인력을 중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항목별로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여 관리하는 과정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구직자로부터 신상 및 이력 정보와 희망 구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과; 현재 접속한 구직자의 능력 평가에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판독하여 구직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아 각 항목별로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는 과정과;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를 구직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인터넷을 통해 구직자에게 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직자의 능력을 평가한 결과 실제 구직자가 희망하는 구직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구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과정과; 제시한 대안에 대한 과제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구직 목표에 도달하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술한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에서,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최종 평가를 수행하여 인력을 중개하는 과정은, 구인업체로부터 입력받은 구인 조건과 기평가한 구직자 능력을 차례로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구인업체의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 명단을 해당되는 구인업체에 소개하는 과정과; 상기 구인업체로부터 제시된 채용 조건에 따라 해당되는 구직자의 능력에 대한 최종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과; 최종 평가 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구인업체에 제시하여 자사의 채용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를 채용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직을 희망하는 구직자(10)와, 구인을 희망하는 구인업체(30)를 인력 중개 서버(20)에서 관리하여 인터넷을 통해 연동하는 구조를 갖는데,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가 구직자(10)의 구직 목표에 따라 세부 평가 항목(대인관계, 직장적응력, 사회관심도, 전문지식, 실무능력 등)별 질문을 통해 해당되는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여 관리함으로써, 해당 구직자(10)와 구인업체(30)가 인터넷을 통해 인력 중개 서버(20)의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해당 구직자(10)는 일반적인 구직 신청서에 기재하는 신상 및 이력정보와 희망 구직 정보(구직자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급여 등에 대한 정보)이외에 구직자 능력 평가를 위해 인력 중개 서버(20)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답변하여 자신의 능력을 평가받아 맞춤형 구직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구직 희망자를 의미하며, 해당 구인업체(30)는 자사의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 명단을 검색한 후,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채용 조건에 대한 최종 평가를 인력 중개 서버(20)에 의뢰하여 맞춤형 구인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구인 희망업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는 구직자(10)와 구인업체(30)에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회원으로 가입한 구직자(10)의 신상 및 이력정보와, 희망 구직 정보(기업체의 규모, 업종, 업무 및 직급, 급여 등)와, 세부 평가 항목별로 평가한 구직자 능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저장부(24)와, 구직자 능력 평가를 위해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저장하고 있는 평가 정보 저장부(25)와, 회원으로 가입한 구인업체(30)의 기본적인 사업자 정보(업종, 대표자, 규모, 경영상태, 사원수, 위치 등)와 구인 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구인업체 정보 저장부(26)를 관리한다.
또한,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는 세부 평가 항목별로 구직자 능력을 평가한 후, 이를 토대로 구직자(10) 및 구인업체(30)를 각각에 소개하고, 구인업체(30)의 채용 조건에 따라 최종 평가를 수행하여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구직자(10)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급여와의 차이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회원 관리부(21)와 인력 중개부(22) 및 구직자 능력 평가부(23)를 포함한다.
해당 회원 관리부(21)는 구직자(10) 및 구인업체(30)를 회원으로 가입받아 구직자(10)의 신상 및 이력 정보와 희망 구직 정보를 구직자 정보 저장부(24)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구인업체(30)의 기본적인 사업자 정보(업종, 대표자, 규모, 경영상태, 사원수, 위치 등)와 구인 조건을 구인업체 정보 저장부(26)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회원으로 가입한 구직자(10)의 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구직자(10)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급여와의 차이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 차이를 극복하여 구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해당 인력 중개부(22)는 구직자 능력 평가부(23)의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구인업체의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10)를 구인업체(30)에 소개한 후, 해당 구인업체(30)의 구체적인 채용 조건에 따라 구직자 능력 평가부(30)에서 평가한 최종 평가 결과를 해당되는 구인업체(30)에 제시하여 자사의 채용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를 채용하도록 인력을 중개한다.
해당 구직자 능력 평가부(23)는 평가 정보 저장부(25)로부터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판독한 후, 판독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대한 답변을 구직자(10)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되는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며, 구인업체(30)의 구체적인 채용 조건에 따라 구직자 능력 평가를 완료한 구직자(10)들에 대해 최종평가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이때, 인력 중개 서버(20)의 구직자 능력 평가부(23)는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직자 능력 평가에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 즉, 대인관계, 직장적응력, 사회관심도, 전문지식, 실무능력 등의 항목별 능력 평가를 위한 질문을 작성하여 평가 정보 저장부(25)에 저장해서 관리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구직자(10)의 능력을 평가해서 저장 및 관리하는 절차를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직을 희망하는 구직자(10)가 인터넷을 통해 인력 중개 서버(20)에 접속하게 되면(스텝 S20),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의 회원 관리부(21)는 현재 접속한 구직자(10)로부터 신상 및 이력 정보와 희망 구직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으로 가입하게 한 후, 입력받은 신상 및 이력 정보와 구직 희망 정보를 구직자 정보 저장부(24)에 저장하게 된다(스텝 S21).
그리고,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의 구직자 능력 평가부(23)는 현재 접속한 구직자(10)의 능력 평가에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평가 정보 저장부(25)로부터 판독한 후(스텝 S22), 판독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인터넷을 통해 현재 접속한 구직자(10)의 단말기에 표시하게 된다(스텝 S23).
이후, 해당 구직자(10)가 단말기에 표시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하게 되면,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의 구직자 능력 평가부(23)는 구직자(10)의 답변을 입력받아 각 항목별로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게 되는데(스텝 S24), 이때, 해당 구직자(10)의 능력 평가는 공통적인 평가항목과, 구직자(10)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업무에 따른 전문지식이나 실무능력을 평가하는 전문지식 평가항목 및 실무능력 평가항목으로 구분하여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여기서, 공통적인 평가항목으로는 구직자(10)와 지인관계인(경력자인 경우 관련 업무 고객명단)을 기록하고 그 자료를 직접 확인하여 평가하는 대인관계 평가항목과, 직장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평가하는 직장적응력 평가항목과, 현재의 경제, 문화 등 전반적인 관심도를 측정하는 사회관심도 평가항목이 포함된다.
그리고,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의 구직자 능력 평가부(23)는 구직자(10)로부터 세부 평가 항목별 답변을 입력받아 평가한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를 구직자 정보 저장부(24)에 저장함과 동시에 인터넷을 통해 구직자(10)에게 제시하게 되는데(스텝 S25), 이때, 해당 구직자(10)가 자신의 능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직자 능력에 대한 평가 결과와 실제 구직자(10)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급여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게 된다.
또한, 해당 구직자(10)의 능력을 평가한 결과 실제 구직자(10)가 희망하는 구직 목표 즉, 직종의 직급 및 급여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회원 관리부(21)에서 이를 극복하여 구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스텝 S26, S27), 제시한 대안에 대한 구체적인 과제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한 후(스텝 S28), 해당 구직자(10)의 능력을 재평가하여 구직 목표에 도달하게 한 후에 구직자(10)와 구인업체(30)간의 인력 중개를 수행함으로써(스텝 S29),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에서 구직자(10)들의 능력과 구직 목표를 관리하여 구직자(10)가 실제 희망하는 직종의 직책 및 급여와 일치하는 기업체에 취직할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력 중개 서버(20)에서는 상술한 절차에 의해 구직자(10)들의 능력을 평가해서 구직자 정보 저장부(24)에 저장하여 관리함에 따라 구인업체(30)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구직자(10)를 소개하여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을 첨부한 도면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의 회원 관리부(21)가 구인업체(30)로부터 기본적인 사업자 정보(업종, 대표자, 규모, 경영상태, 사원수, 위치 등)와 구인 조건을 입력받게 되면(스텝 S31), 입력받은 사업자 정보 및 구인 조건을 구인업체 정보 저장부(26)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그러면,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의 인력 중개부(22)는 구인업체(30)의 구인조건과 기평가한 구직자(10)들의 구직자 능력을 차례로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스텝 S32), 해당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 명단을 해당되는 구인업체(30)에 소개하게 된다(스텝 S33).
이로써, 해당 구인업체(30)에서는 소개된 구직자 명단을 보고 소정 인원의 구직자(10)를 선발한 후, 자사의 구체적인 채용 조건(예를들어, 특정 프로그램의 숙련도, 관련업무 인지도 등)을 인력 중개 서버(20) 측으로 제시하게 되면(스텝 S34),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의 구직자 능력 평가부(23)는 구체적인 채용 조건을 제시한 구인업체(30)를 구직자(10)에게 소개함과 아울러 해당 구인업체(30)로부터 제시된 구체적인 채용 조건에 따라 해당되는 구직자(10)의 능력에 대한 최종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스텝 S35).
이에, 해당 인력 중개 서버(20)의 인력 중개부(22)에서는 구직자 능력 평가부(23)에서 평가한 최종 평가 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구인업체(30)에 제시함으로써(스텝 S36), 해당 구인업체(30)의 입장에서는 자사의 구체적인 채용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10)를 채용할 수 있게 되며, 해당 구직자(10)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구직목표와 일치하는 기업체에 취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구직자의 능력을 세부 평가 항목(대인관계, 직장적응력, 사회관심도, 전문지식, 실무능력 등)별로 평가하여 관리하고, 구인업체의 구체적인 채용 조건에 따라 구직자에 대한 최종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구직 목표와 일치하는 기업체에 취직할 수 있게 되고, 구인업체의 입장에서는 자사의 채용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를 채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력 중개에 대한 적시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평가한 구직자의 능력이 실제 구직자가 희망하는 구직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구체적인 과제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직자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책 및 급여와 일치하는 기업체에 취직할 수 있도록 구직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구직을 희망하는 구직자와 구인을 희망하는 구인업체 간의 인력 중개 서비스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하는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의 신상 및 이력 정보와, 희망 구직 정보와, 세부 평가 항목별로 평가한 구직자 능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직자 정보 저장부와;
    상기 구직자의 능력 평가를 위해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저장하고있는 평가 정보 저장부와;
    상기 구인업체의 기본적인 사업자 정보와 구인 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구인업체 정보 저장부와;
    상기 평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따라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여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구인업체에 소개하고,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최종 평가를 수행하여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중개 서버는, 상기 평가 정보 저장부로부터 판독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대한 답변을 구직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되는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며,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구직자 능력 평가를 완료한 구직자들에 대해 최종 평가를 수행하는 구직자 능력 평가부와;
    상기 구직자 정보 저장부 및 구인업체 정보 저장부를 관리하고,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부의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구직자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급여와의 차이를 제시하여 구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 후, 해당되는 과제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회원 관리부와;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부의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구인업체의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를 구인업체에 소개한 후,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부에서 평가한 최종 평가 결과를 해당되는 구인업체에 제시하여 자사의 채용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를 채용하도록 인력을 중개하는 인력 중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3. 구직자 능력 평가를 위해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작성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구직자로부터 상기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아 각 항목별로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구인업체의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를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최종 평가를 수행하여 인력을 중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항목별로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여 관리하는 과정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구직자로부터 신상 및 이력 정보와 희망 구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과;
    현재 접속한 구직자의 능력 평가에 필요한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을 판독하여 구직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세부 평가 항목별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아 각 항목별로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는 과정과;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를 구직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인터넷을 통해 구직자에게 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의 능력을 평가한 결과 실제 구직자가 희망하는 구직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구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과정과;
    제시한 대안에 대한 과제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구직 목표에 도달하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
  6.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의 능력 평가는, 대인관계, 직장적응력, 사회관심도를 평가하는 공통적인 평가항목과, 구직자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업무에 따른 전문지식이나 실무능력을 평가하는 전문지식 평가항목 및 실무능력 평가항목으로 구분하여 구직자 능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능력 평가 결과를 구직자에게 제시하는 과정은, 구직자가 자신의 능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직자 능력에 대한 평가 결과와 실제 구직자가 희망하는 직종의 직급 및 급여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업체의 채용 조건에 따라 최종 평가를 수행하여 인력을 중개하는 과정은, 구인업체로부터 입력받은 구인 조건과 기평가한 구직자 능력을 차례로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구인업체의 구인 조건과 일치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 명단을 해당되는 구인업체에 소개하는 과정과;
    상기 구인업체로부터 제시된 채용 조건에 따라 해당되는 구직자의 능력에 대한 최종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과;
    최종 평가 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구인업체에 제시하여 자사의 채용 조건과 일치하는 구직자를 채용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방법.
KR1020000043544A 2000-07-27 2000-07-27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544A KR20000063650A (ko) 2000-07-27 2000-07-27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544A KR20000063650A (ko) 2000-07-27 2000-07-27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650A true KR20000063650A (ko) 2000-11-06

Family

ID=1968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544A KR20000063650A (ko) 2000-07-27 2000-07-27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650A (ko)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362A (ko) * 2000-08-31 2000-12-05 서정규 추천인 보상을 이용한 구인광고중개방법
KR20010008121A (ko) * 2000-11-09 2001-02-05 김진문 통신을 이용한 연봉측정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 시스템을이용한 구인/구직방법
KR20020032898A (ko) * 2000-10-27 2002-05-04 홍철 인터넷을 통한 구인구직
KR20020061068A (ko) * 2001-01-12 2002-07-22 주식회사 한경닷컴 직업경로설정방법과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20020065680A (ko) * 2001-02-07 2002-08-14 김성훈 인터넷을 통한 선수 정보 제공 방법
KR20020067755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비전캐리어 전문가 추천 구인구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통한구인구직 서비스 방법
KR20020071303A (ko) * 2001-03-06 2002-09-12 주식회사 타임인포테크놀로지 추천인 제도를 이용한 구인/구직 방법
KR20020086060A (ko) * 2001-05-11 2002-11-18 유종연 일반인과 대학 ·전문학원을 네트워크한 검증된가사도우미의 알선 중개업
KR20020088254A (ko) * 2001-05-21 2002-11-27 주식회사 에치알파워 인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020089829A (ko) * 2001-05-24 2002-11-30 (주) 에스아이디 인재 인큐베이팅 시스템
KR20020096839A (ko) * 2001-06-19 2002-12-31 고민정 선수와 기업간의 온오프라인에 의한 통합 선수 관리 시스템
KR20030013946A (ko) * 2001-08-10 2003-02-15 동우정보시스템(주) 사이버 리소스 거래 시스템
KR20030030635A (ko) * 2001-10-12 2003-04-18 이영길 인터넷 이력서 공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66258A (ko) * 2002-02-05 2003-08-09 정인형 음식비법 전수 중개 사이트
KR20030084059A (ko) * 2002-04-24 2003-11-01 주식회사 오노프써치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3370A (ko) * 2002-07-02 2004-01-13 박재건 자동응답시스템과 인터넷을 연계한 구직자 직업소개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7927A (ko) * 2002-07-12 2004-01-28 유종연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자율형 인력 평가서비스
KR100422310B1 (ko) * 2000-08-01 2004-03-10 주식회사 가이던스 심리 검사를 이용한 회원 분류 및 맞춤 정보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423838B1 (ko) * 2000-07-01 2004-03-24 (주)제이앤쓰리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방법
KR100441659B1 (ko) * 2000-12-08 2004-07-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신망을 통한 인력풀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450235B1 (ko) * 2001-07-25 2004-09-30 류태호 인터넷을 통한 구직자를 추천하는 헤드헌터방법 및 그 장치
KR100469045B1 (ko) * 2003-11-08 2005-01-29 김달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06057519A1 (en) * 2004-11-24 2006-06-01 Joong-Yang Jeon Game method and game system for recruiting and entering a school of higher grade
KR100716506B1 (ko) * 2006-11-15 2007-05-09 이형남 인터넷망을 이용한 사용자 상시 진로안내방법
KR100732723B1 (ko) * 2006-10-16 2007-06-27 경기공업대학 산학협력단 미취업 여성의 교육/취업설계 및 취업관리 방법
KR100782346B1 (ko) * 2006-06-09 2007-12-11 서동범 학원 신용보증 시스템 및 그 신용관리 방법
KR100849434B1 (ko) * 2007-12-27 2008-07-30 주식회사 크릭앤리버코리아 전문가들을 근무 경력과 노력을 평가하여 프로모션하는에이전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32359B1 (ko) * 2008-04-22 2011-05-03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블렌디드러닝 종합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KR20190062928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장애인진로 제안시스템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838B1 (ko) * 2000-07-01 2004-03-24 (주)제이앤쓰리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방법
KR100422310B1 (ko) * 2000-08-01 2004-03-10 주식회사 가이던스 심리 검사를 이용한 회원 분류 및 맞춤 정보 제공 장치 및방법
KR20000072362A (ko) * 2000-08-31 2000-12-05 서정규 추천인 보상을 이용한 구인광고중개방법
KR20020032898A (ko) * 2000-10-27 2002-05-04 홍철 인터넷을 통한 구인구직
KR20010008121A (ko) * 2000-11-09 2001-02-05 김진문 통신을 이용한 연봉측정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 시스템을이용한 구인/구직방법
KR100441659B1 (ko) * 2000-12-08 2004-07-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신망을 통한 인력풀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61068A (ko) * 2001-01-12 2002-07-22 주식회사 한경닷컴 직업경로설정방법과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20020065680A (ko) * 2001-02-07 2002-08-14 김성훈 인터넷을 통한 선수 정보 제공 방법
KR20020067755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비전캐리어 전문가 추천 구인구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통한구인구직 서비스 방법
KR20020071303A (ko) * 2001-03-06 2002-09-12 주식회사 타임인포테크놀로지 추천인 제도를 이용한 구인/구직 방법
KR20020086060A (ko) * 2001-05-11 2002-11-18 유종연 일반인과 대학 ·전문학원을 네트워크한 검증된가사도우미의 알선 중개업
KR20020088254A (ko) * 2001-05-21 2002-11-27 주식회사 에치알파워 인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020089829A (ko) * 2001-05-24 2002-11-30 (주) 에스아이디 인재 인큐베이팅 시스템
KR20020096839A (ko) * 2001-06-19 2002-12-31 고민정 선수와 기업간의 온오프라인에 의한 통합 선수 관리 시스템
KR100450235B1 (ko) * 2001-07-25 2004-09-30 류태호 인터넷을 통한 구직자를 추천하는 헤드헌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13946A (ko) * 2001-08-10 2003-02-15 동우정보시스템(주) 사이버 리소스 거래 시스템
KR20030030635A (ko) * 2001-10-12 2003-04-18 이영길 인터넷 이력서 공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66258A (ko) * 2002-02-05 2003-08-09 정인형 음식비법 전수 중개 사이트
KR20030084059A (ko) * 2002-04-24 2003-11-01 주식회사 오노프써치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3370A (ko) * 2002-07-02 2004-01-13 박재건 자동응답시스템과 인터넷을 연계한 구직자 직업소개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7927A (ko) * 2002-07-12 2004-01-28 유종연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자율형 인력 평가서비스
KR100469045B1 (ko) * 2003-11-08 2005-01-29 김달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06057519A1 (en) * 2004-11-24 2006-06-01 Joong-Yang Jeon Game method and game system for recruiting and entering a school of higher grade
KR100782346B1 (ko) * 2006-06-09 2007-12-11 서동범 학원 신용보증 시스템 및 그 신용관리 방법
KR100732723B1 (ko) * 2006-10-16 2007-06-27 경기공업대학 산학협력단 미취업 여성의 교육/취업설계 및 취업관리 방법
KR100716506B1 (ko) * 2006-11-15 2007-05-09 이형남 인터넷망을 이용한 사용자 상시 진로안내방법
KR100849434B1 (ko) * 2007-12-27 2008-07-30 주식회사 크릭앤리버코리아 전문가들을 근무 경력과 노력을 평가하여 프로모션하는에이전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32359B1 (ko) * 2008-04-22 2011-05-03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블렌디드러닝 종합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KR20190062928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장애인진로 제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3650A (ko)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8352311B2 (en) Internet based achievement and skills management process and method
Wright et al. Human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a resource-based perspective
Maurer et al. Continuous learning skill demands: Associations with managerial job content, age, and experience
US6742002B2 (en) Computer-implemented and/or computer-assisted web database and/or interaction system for staffing of personnel in various employment related fields
US200800159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orkforce management
US200601788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connections between job seekers and employers
US20120030127A1 (en) Computerized Apparatus for Identifying Industries for Potential Transfer of a Job Function
Huffman et al. The impact of operations tempo on turnover intentions of army personnel
US20040064329A1 (en) Computer network based employment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00205025A1 (en) Innovation management
KR20000049681A (ko) 구인 구직 쌍방의 가치평가에 의한 인력채용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Riesen et al. Employer views of customized employment: A focus group analysis
JP2001142939A (ja) 求職求人情報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arl et al. Take a job, any job: Exploring the importance of matched interests to career paths and work satisfaction
KR20070096090A (ko) 인력 채용관리 시스템
JP2022037826A (ja) 人材マッチングシステム、人材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人材マッチング方法
Newburry et al. Multi-level impacts on perceived career opportunity from global integration: human capital development within internal institutional environments
Rasooli Knowledge management in call centers
Rao Comprehensive Hrm
Masselink Toward a framework on the technology affordances for HRM of gig workers
Mohamoud HR’s supports and develop for the team leaders
Geshkov APPLICATION OF DIGITTAL TECHNOLOGIES IN RECRUITMENT PROCESS.
Kazemi et al.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ices Compensation System on Employee Performance in Forensic of Kohgiluyeh and Boyerahmad Province.
SRISUCHAT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ecrui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