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045B1 -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045B1
KR100469045B1 KR1020030078907A KR20030078907A KR100469045B1 KR 100469045 B1 KR100469045 B1 KR 100469045B1 KR 1020030078907 A KR1020030078907 A KR 1020030078907A KR 20030078907 A KR20030078907 A KR 20030078907A KR 100469045 B1 KR100469045 B1 KR 100469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ertification
center
authentication
see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문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문 filed Critical 김달문
Priority to KR102003007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구직자,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인터넷을 통해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직원들의 경력 및 교육이수 사항에 대한 정보, 채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과 관련된 자격사항, 교육이수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구직자로부터 자신의 이력사항을 제공받은 후,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하여 인증항목을 정하고, 구직자의 이력 내용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필요한 구인의 채용 조건을 만족하는 구직자들의 이력사항을 인증센터의 인증을 통해 제공하도록 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킨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직자들에게는 능력에 대해 정당한 평가가 행해지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는 자사에 부합하는 우수한 인재채용을, 교육기관은 자사의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The system and method for certific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using certification qualification}
본 발명은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하여 인증항목을 정하고,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해 인증센터로부터 인증을 확인하여 객관적인 신뢰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의 채용 조건에 부합하는 구직자들을 선별하여 결과를 제시하여 구직자 또는 구인기관 및 구입기업체에서 구인/구직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구직자들은 자신의 능력을 인증센터의 인증을 통해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는 채용 조건에 부합하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기간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인해 취업의 문은 더 좁아지고, 기업체들도 수많은 구직자들 중 옥석을 가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최근들어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LAN(Local Area Network) 및 WAN(Wide Area Network) 등의 인터넷 서비스의 전송경로인 통신망의 보급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 취향에 맞게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도 카테고리별로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중 취업분야는 시간적 및 공간적인 제약없이 구직자인 사용자가 취직을 의뢰하기 위해 구인 웹사이트상에 자신의 신상정보 및 경력정보를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구인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경력정보를 참조하여 적정한 직장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취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온라인 취업알선전문기관으로는 업종별, 분야별, 지역별 등 다양한 형태의 구인/구직을 회원들로부터 위탁받아 인터넷 상에서 전문 사이트로 활동하는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잡코리아(www.jobkorea.co.kr), 스카우트(www.scout.co.kr), 리크루트(www.recruit.co.kr), 인크루트, 헬로우잡 등이 있다.
구직자가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에 구직자는 상기와 같은 구인/구직 정보를 비롯해 각종 취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조회하거나 구직 신청서를 제출하는데, 구직자는 일반적인 취업 판단의 기준이 되는 자신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기업체를 선정하고, 개인 고유 정보, 성별, 학력수준, 전공, 경력 등 기타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자격사항 등을 개별적으로 온/오프라인의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 가입 및 이력사항을 기재해야 했으므로,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직자는 자신의 취업 가능성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할 자료가 없기 때문에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기업체를 선정하고, 기존의 기업체에서의 채용 방식에 따라 구직자의 취업지원서(이력서)를 통해 서류심사를 거친 후에 인터뷰(면접)을 통한 후 취업 여부를 기다리게 된다.
따라서, 취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며, 기업체에서도 표준화되지 못한 이력서를 통해 우수한 인재채용을 위한 자격사항이 적힌 이력서의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며, 그로 인해 많은 차질이 생길 수도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온라인 구인/구직 사이트들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와구직자들의 단순한 만남의 매체로서 구직자로 하여금 표준화되지 않은 취업지원서(이력서)만을 입력하고 있어 객관적으로 인증받은 전문 인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실정이므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는 채용을 원하지만 만족할만한 인력이 부족하고, 자사에 맞는 인력을 채용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며, 구직자에서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일자리를 얻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헤드헌팅 전문기관과 같은 오프라인 기반의 취업알선 전문기관에서는 구직자의 확실한 자격사항을 직접 확인하여 구인을 위탁한 구인기관이나 구인기업체에 연결시키는 등 구인자는 만족한 인재채용을 위해 비싼 대가를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채용하고자 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정보를 인증센터로 제공하며, 교육기관에서 구직자(수강자)에 대한 자격사항 및 교육이수사항에 대한 정보를 인증센터로 제공함으로써,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인증센터를 통하여 인증이 가능하도록 DB화하여 구직자 및 취업알선 전문기관들이 인증센터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고 신뢰도 높은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 제공하거나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는 타 기업체가 제공한 구직자의 근무경력정보, 교육정보, 자격정보 등을 인증센터로부터 직접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재를 채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하여 인증항목을 정하고, 구직자의 이력 사항에 대한 객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필요한 인재 채용 조건에 부합하는 구직자를 발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필요한 업무에 알맞는 인재를 채용함에 있어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신뢰도 있는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제공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의 전체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의 세부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도시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도시한 실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도시한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구직자와 인증센터간에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구직자와 취업알선전문기관과 인증센터간에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와 인증센터간에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와 취업알선전문기관과 인증센터간에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교육기관과 인증센터간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터넷 12: 구직자
14: 교육기관 16: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18: 취업알선 전문기관 20: 웹 서버
22: 웹사이트부 24: 회원인증부
30: 인증센터 32: 정보 저장부
34: 인증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과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어 구직자의 자격인증을 통해 신뢰도 높은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제공하도록 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인증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원들과, 취업 관련 서비스에 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여 회원 대상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표준화된 이력서, 웹 상에서 인증, 인증조회, 인증확인 등의 회원 대상자에 따라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 콘텐츠 및 웹 화면들을 저장하고 있는 웹사이트부와, 상기 웹사이트에 가입하는 회원의 최소 개인 신상 및 기초 정보를 통해 진실 여부 확인 후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인증하는 회원인증부를포함하는 웹 서버와,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사이트부에 가입한 후, 상기 회원 가입자들이 해당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DB화한 후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조회 및 확인에 의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인증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이 제공되고,
또한, 상기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인증센터의 웹 서버의 웹사이트부에 접속하여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형식으로 작성된 회원 및 약관에 대한 동의하에 회원 가입하는 단계와, 상기 구직자가 인증센터에 회원가입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입력한 구인채용조건을 사전 검색 및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가입한 구직자는 인증센터로부터 제공되는 프리미엄 서비스의 동의하거나 상기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에 동의하지 않고 구직자가 직접 구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구직자의 직접 구직 여부 판단 결과, 직접 구직을 하고자 할 경우 구직자가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이력사항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력사항에 대한 인증항목을 인증받고자 인증센터에 인증 요청하거나 상기 구직자가 기타 인증항목을 인증받고자 추가인증항목에 대하여 인증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사전 검색 및 조회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제출하는 단계와, 상기 구직자가 구직진행상황 및 취업여부를 확인 요청에 의해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동의한 후, 직접 구직하지 않고 상기 구직자가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인증센터의 회원으로서 인증센터로 인증 요청을 하면, 인증센터는 자격사항, 학력사항의 인증인 경우 해당기관 또는 교육이수의 인증인 경우 교육기관, 경력사항의 인증인 경우 근무한 기업체가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 가입된 해당기관, 교육기관, 기업체로부터 해당 사항을 확인한 후,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이 인증센터를 통해 구인 채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인증센터를 통해 구인채용하고자 할 경우, 구인 채용 조건을 인증센터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센터는 회원가입된 구직자들의 인증항목 또는 비인증항목들을 구인 채용 조건에 따라 쿼리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구인채용을 위한 인증항목을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센터를 통해 구인 채용 여부 판단 결과,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직접 구인 여부를 판단하거나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구인 채용을 위탁하는 단계와, 상기 직접 구인 여부 판단 결과, 직접 구인 채용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인증센터로부터 프리미엄 서비스를 동의한 구직자의 이력사항 정보를 확인하거나,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직접 제출된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해 인증센터로 인증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 가입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부터 인증요청이 있으면, 인증센터에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인증방법에서 상기 구직자가 인증센터의 회원으로서 부여받은 고유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자신의 변동된 이력사항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것과 교육기관, 자격증 관련 해당기관, 경력자가 근무한 기업체가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된 경우에 인증항목으로서 인증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 동의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 가입하여 구인조건 및 구인대행을 위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의 전체블록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은 회원들과 웹서버(20), 인증센터(30)로 구성된다.
상기 회원들(12, 14, 16, 18)은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웹서버(20)는 취업 관련 서비스에 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여 회원 가입자가 모두 공통으로 사용하는 표준화된 전자이력서 양식 제공 및 홈페이지에 따라 인증, 인증조회, 인증확인 등을 회원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 콘텐츠 및 웹 화면들을 저장하고 있는 웹사이트부(22)와, 상기 웹사이트에 가입하는 회원의 개인 신상 및 기초 정보를 통해 진실 여부 확인 후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인증하는 회원인증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증센터(30)는 상기 웹 서버(20)에 접속하여 웹 사이트부(22)에 가입한 후, 회원 가입자인 구직자(12),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 교육기관(14), 취업알선 전문기관(18)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정보들을 DB화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32)와, 상기 정보 저장부(32)로부터 구인/구직으로 인해 회원가입자인 구직자(12),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 교육기관(14), 취업알선 전문기관(18)으로부터 인증 요청 및 조회, 확인이 있을 경우 인증하는 인증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원가입자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에는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의 취업 정보,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의 채용 조건 정보, 교육기관(14)의 교육 내용 정보 및 교육기관(14)의 구직자(수강자) 대한 교육 이수 정보, 구직자(12)의 이력사항 정보,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의 직무 경력 정보, 취업알선 전문기관(18) 해당 정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즉, 인터넷(10)을 통해 구직자(12),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 취업알선 전문기관(18), 교육기관(14)과 접속되며, 상기 구직자(12),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 취업알선 전문기관(18), 교육기관(14)에 해당하는 다수의 개인 및 기관, 기업체가 인터넷(10)을 통해 웹 서버(2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이 된 경우, 웹 서버(20)는 다양한 서비스 및 인증센터(30)로부터 인증을 통해 공증된 정보를 제공하며, 현재 직종별, 취업률, 업종별, 취업률 등의 구인/구직 정보 및 구직자의 이력사항 중 인증항목이 추가될 경우, 신속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신뢰성을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는 인재를 채용하고자 하는 기관 및 기업으로, 공공기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외국계 기업, 정부투자 공사 및 연구소 등을 포함하며, 상기 교육기관(14)으로는 정규기관으로서 대학, 대학원과 한국생산성본부, 능률협회, 기업정보화지원센터, 중소기업진흥공단, 무역협회, 한국정보통신연구원, 한국정보통신교육원, 무역정보통신 등의 정부산하 비정규 교육기관과, KTA, 이코퍼레이션, 카네기, 휴넷, 비트캠프, 박영만전산학원, 매경휴넷MBA, CyberMBA, Cyber KAIST 등의 민간 비정규교육과정을 교육하는 기관과, 대교, 웅진 등의 출판사와, 배움닷컴, 크레듀, 에듀세움, 아이빌소프트, 미래넷, 캠퍼스21. 영진닷컴, 이한디지터리, 인터니스 등의 온라인교육과정과, 한국오라클, 한국휴렛패커드, 한국IBM, 한국썬마이크로시스템즈, 마이크로소프트, 삼성멀티캠퍼스, LGCNS, 현대정보기술, 쌍용정보통신 등의 SI업체와, YBM시사영어, 정철영어, 이익훈영어, CES영어, 미친영어, 당근영어 등의 외국어 교육기관과, 한국정보처리학회, 한국컴퓨터산업교육학회, 한국정보공학회, 한국전자공학회, 한국통상정보학회, 한국이러닝산업협회, 사이버교육학회,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한국디지털경영인협회, 한국인터넷기업협회, 한국정보과학회, 한국통신학회,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등의 정부산하 학회 및 협회와, 대학부설 사회교육원, 평생교육원, IT교육원, 기타 교육센터, 사이버대학, 노동부지정교육기관, 정통부지정교육기관, 교육부지정평생교육원, 산업자원부지정교육기관, 전경련 국제경영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18)은 종합 취업정보 및 상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헤드헌팅 기관, 노동부, 온라인 취업전문 사이트, 국내/해외 인재파견기관 등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또는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예시된 항목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된 대상자에 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격인증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에서 구직자(12)는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인증센터(30)로 제공하고,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에서는 직원들의 근무 경력과 교육수강 및 교육이수 사항 등에 대한 정보 및 구인 채용 시에는 채용 조건 등을 인증센터(30)로 제공한다. 또한, 교육기관(14)에서는 구직자(수강자)에 대한 교육과 관련된 자격사항과 교육이수사항에 대한 정보를 인증센터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인증센터(30)는 취업알선 전문기관(18)과 밀접하게 연동되며,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18)에서의 인증항목에 대한 인증을 인증센터(30)로 위임하여 구인기관으로부터 신뢰있는 취업정보를 제공하고, 구직자는 인증센터(30)에 한번 가입함으로써, 인증센터(30)와 연동되는 취업알선 전문기관(18)이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취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재의 육성방안으로 교육과 자격을 우선적용하며, 학력보다 경력, 교육이수, 자격사항을 우선적용한다.
상기 인증센터(30)는 인재를 채용하기에 적합한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하여인증항목을 정하고, 구직자(12)의 이력사항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인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의 채용 조건을 만족하는 구직자를 발굴하여 매핑한 후,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로 제공하는데, 상기 인증센터(30)에서는 구직자(12)가 가지고 있는 이력사항들을 인증센터에서 인증이 가능하도록 DB화하여 해당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구직자(12)와 취업알선 전문기관(18)은 인증센터(30)로부터 근무경력, 교육이수 정보를 조회, 확인하고, 인증센터(30)로부터 인증된 항목을 토대로 구직자(12)의 이력사항에 대해 취업지원자들간에 경력, 자격, 교육정도를 비교하여 인증항목 쿼리 이후 결과를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제공한다.
또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가 직접 구인을 할 경우, 구직자(12)가 제공한 이력사항에 대하여 인증센터(30)로부터 확인을 거친 후에 채용한다. 따라서, 구직자의 근무경력, 자격사항, 교육수강 및 교육이수사항 등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취업알선 전문기관, 구직자, 인증센터에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취업지원서 및 이력서를 제공할 때,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사용한다. 상기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사용하는 목적은 서류심사의 핵심요소와는 상관이 없는 이력서의 디지인등과 같은 불필요한 요소까지 고려하지 않도록 구직자들간의 경력, 자격, 교육정도를 정당하면서 공정하게 비교 평가를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의 형태를 실시예로 나타낸 것으로, 이력서의 형태, 모양 등에 구애받지 않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인증센터에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제공하며, 부가적으로 가족사항이나 자기소개서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기재된 항목 및 이력서의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도를 나타낸 것으로, 인증센터에서 정한 인증항목에 대해 인증센터로부터 인증을 거친 후,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제공한 구인 채용 조건에 따라 최종 쿼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4a 내지 도 9를 통해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서는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가입하지 않고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는 직접 구인을 추진하거나 인증센터를 통해 구인을 채용하거나 구직자는 인증센터를 통해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인증받거나 조회 또는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 구직자(12), 교육기관(14)이 인증센터(30)의 회원으로 가입되고, 구직자(12)는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이력사항을 입력하고, 이력사항에 대한 인증항목을 인증받고자 인증센터(30)에 인증요청하고, 구직자(10)가 인증센터(30)로 인증 요청을 하면, 인증센터는 자격사항, 학력사항의 인증인 경우 해당기관 또는 교육이수의 인증인 경우 교육기관(14), 경력사항의 인증인 경우 근무한 기업체로부터 확인을 거친 후, 구직자(10)에게 인증을 해준다.
또한, 구직자(12)가 이력사항에 대해 인증 조회할 경우 인증센터(30)는 이에 대해 인증을 확인해 준다.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에서 인증센터(30)를 통해 구인을 채용하고자 할 경우, 구인 채용 조건을 인증센터(30)로 입력하면, 인증센터(30)에서는 회원가입된 구직자들의 인증항목 또는 비인증항목들을 구인 채용 조건에 따라 쿼리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 제공해주며,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에서 직접 구인을 하고자 할 경우,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는 인증센터(30)로부터 프리미엄 서비스를 동의한 구직자의 이력사항 정보를 확인하거나,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직접 제출된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해 인증센터(30)로 인증 요청하면, 인증센터(30)는 이에 대해 인증 확인을 해준다.
상기 구인채용 조건에는 채용하고자 하는 신입직원, 경력직원 등 구직자에 대하여 인증센터에 가입한 타 기관(교육기관, 기업체, 정부산하 학회/협회 등)에서 제공한 근무경력, 자격사항(자격증, 면허증 등), 교육과정이수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 조회하고 구인채용조건에 입력하면 된다.
도 4b에서는 구직자 및 구인기관/구인기업체에서 모두 취업알선 전문기관으로 구인/구직을 위탁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16)는 구인 채용에 있어 구인 채용 조건을 취업알선 전문기관(18)에 제공하고, 구직자(12)는 자신의 이력사항을 취업알선 전문기관(18)에 제공한다.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18)은 구직자로부터 제공된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기재된 이력사항 중 인증센터(30)에서 정한 인증항목에 해당하는 이력사항에 대해서는 인증센터(30)로부터 인증 요청을 하고, 상기 인증센터(30)로부터 인증 확인을 한다.
상기 인증센터(30)에서 인증 확인에 있어, 구직자(12)의 교육 이수 사항이 있을 경우, 교육기관(14)으로부터 교육이수 내용 확인을 거친 후에 인증확인한다.
상기 인증센터(30)로부터 인증 확인하고,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제공한 채용 조건에 부합하는 구직자를 선별하기 위해 인증항목 쿼리 이후 그 결과를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 제공한다.
따라서, 구직자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는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한번 회원 가입함으로써 구인/구직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구직자와 인증센터간에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구직자와 취업알선전문기관과 인증센터간에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직자는 인증센터의 웹사이트부에 접속하여 인증센터에 회원가입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입력한 구인채용조건을 사전에 검색 및 조회(S500)하고, 인증센터에 회원가입(S501)하는데 우선, 구직자는 인증센터의 웹 서버의 웹사이트부에 접속하여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형식으로 작성된 약관에 대한 동의하에 회원 가입(S501)하여 고유의 ID, 패스워드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구직자는 한번의 회원가입으로 자신의 이력사항에 대하여 자신의 경력 및 자격, 학력사항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수시로 인증을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는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인증센터로 회원 가입할 경우에도 적용된다.
상기의 소정의 형식으로 작성된 약관이라 함은 인증센터에서 소정의 규정에 의하여 가입된 회원들은 계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된 회원으로 등급을 올릴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은 또 다른 인증센터의 회원 대상인 교육기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취업알선 전문기관, 구직자등으로부터 인증이 가능하도록 회원 등급 구분에 대한 동의 여부, 회원 가입된 대상자들에 한하여 구직자들의 이력사항을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제공하는 사항에 대한 내용,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인증센터로부터 구직자 본인의 인증조회 또는 회원사가 구인을 목적으로 구인 위탁기관인 취업알선 전문기관 또는 직접 인증을 요청할경우 인증항목에 대하여 인증 및 확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업회원으로 가입하고,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자사에서 구직자가 재직시 수행한 근무경력, 자격사항, 교육과정이수에 대한 정보를 인증센터에 제공하거나 요청시 이를 확인하는 데 있어 동의한다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와 구직자의 조건에 대한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프리미엄 서비스(비인증항목에 대한 확인, 비회원 기업체에 대한 경력 확인 등)을 제공해야 함으로 인증센터의 기업회원으로 가입되어야 하며, 구인을 위탁받은 취업알선 전문기관도 인증센터에 기업회원으로 가입하여 구인에 대한 인증항목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채용의 신뢰도를 높인다.상기 프리미엄 서비스를 실시함에 있어서, 취업알선전문기관이나 서비스 제공자가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비인증항목뿐아니라 인증항목에 대한 인증센터의 인증을 위하여 요청하는 경우 제공하는 학력이나 교육수강 및 교육이수여부내역, 자격사항 등을 확인해 준다.
또한,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위탁받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의 채용 조건에 대해 보다 높은 신뢰도를 얻기 위하여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면, 상기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 인증항목 추가 또는 추가 서비스를 위한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한 구직자(S502)는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에 대한 동의(S504) 여부를 판단하고, 프리미엄 서비스 약관에 동의하지 않은 경우 인증센터를 통하여 직접 구직(S506) 여부를 판단하고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없이 직접 구직을 희망하는 경우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통해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입력(S508)하게 된다.
여기서,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란 구직자 본인이 인증센터에 입력된 정보를 인증센터를 포함한 취업알선전문기관 또는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정보를 조회 또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와 취업알선 전문기관으로부터의 부가서비스를 받거나 요구에 동의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며, 상기 구직자는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요구하는 학력사항, 교육과정(직무, 어학, 요리, 마케팅 등)의 이수사항, 자격사항(자격증, 면허증), 근무경력사항(회사, 근무기간, 담당업무 등), 프로젝트 수행경력사항, 직무능력 및 보유기술, 본인소개서 및 기타 개인 이력사항을 작성하면 된다.상기 부가서비스란,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인증항목 또는 비인증항목에 대한 인증센터에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것으로써, 학력, 근무경력, 교육수강 및 교육이수여부내역, 자격사항 등의 인증항목의 확인을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구직자(S502)의 경우, 자신의 이력사항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있는 인증을 제공하고자 회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하여 보다 많은 자신의 인증항목을 추가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 기업체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직자(S502)가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약관에 동의하고, 인증센터를 통해 직접구직을 하지 않고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구직을 위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취업알선 전문기관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구직을 의뢰할 수 있으며,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구직자의 요청에 의하여 인증센터에 구직자가 입력한 이력사항의 열람과 부가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직자(S502)는 인증센터를 통하여 직접구직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입력할 이력사항 중 교육이수사항이 있을 경우, 교육이수에 대한 인증을 인증센터에 요청(S510)한다.
상기 구직자(S502)로부터 교육이수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은 인증센터는 교육이수를 한 교육기관이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512)하고, 상기 교육기관이 회원으로 가입되었으면, 교육기관으로 구직자의 교육이수에 대한인증확인을 위한 정보를 요청(S514)하고, 교육기관은 교육이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인증센터로 제공하며, 인증센터에서는 이를 확인한 후, 인증항목으로 구직자의 교육이수내용을 추가(S516)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구직자(S502)가 자격증(면허증) 취득에 대한 인증을 인증센터로 요청(S520)하면, 인증센터는 자격증(면허증)에 관련된 해당기관이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522)한 후, 회원가입된 해당기관으로부터는 인증확인을 위해 정보를 요청(S524)하고, 상기 해당기관으로부터 이를 확인해주면 인증항목으로 자격증(면허증)취득을 인증 및 추가(S526)한다.
또한, 상기 구직자(S502)가 경력사항에 대한 인증을 인증센터로 요청(S534)하면, 인증센터는 상기 구직자(S502)가 근무한 기업체가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532)한 후, 가입된 기업체로 상기 구직자(S502)의 경력사항에 대한 인증을 위해 구직자의 경력인증확인요청(S534)을 하고, 상기 기업체로부터 확인을 받은 후에 인증항목으로 경력사항을 인증 및 추가(S536)한다.
여기서, 상기 교육기관, 해당기관, 근무한 기업체가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가입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비인증항목으로서 각 항목들을 이력사항에 추가(S518, S528, S538)해준다.
또한, 상기 구직자(S502)로부터 기타 다른 이력사항에 대한 인증항목을 추가(S540)하고자 인증센터로 요청하면, 인증센터는 추가 인증항목을 확인하고, 이를 해당기관에 확인요청(S542)하여 추가인증항목을 인증(S544)해준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직자(S502)의 이력사항에 대해 인증센터로부터 인증을마친 후, 표준화된 전자이력서 입력을 저장하고 종료(S546)한 후, 인증센터로부터 사전에 구인채용 조건을 검색하고 조회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제출(S547)한다.
상기 구직자(S502)가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입력한 항목들을 인증센터에서는 각 해당 DB에 저장할 수 있도록 DB화(S548)하여 구직자가 인증센터의 회원으로서, 부여받은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변동된 이력사항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상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시킨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필요한 시기에 구직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직자는 인증센터를 통해 직접구직을 한 경우, 인증센터로부터 채용진행여부를 요청(S550)할 수 있으며, 상기 구직자(S502)로부터 채용진행여부 요청이 있을 경우 인증센터는 진행 정보를 제공(S552)해준다.
상기 구직자(S502)가 인증센터에 회원가입한 취업알선전문기관에 대하여 자신의 이력사항을 열람할 수 있도록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에 동의하거나 인증센터를 통해 직접 구직하지 않은 경우 취업알선 전문기관(S600)에 위탁 또는 구직자의 구직정보의 열람에 동의하게 됨으로,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한 취업알선 전문기관을 선택하는 상기 구직자(S502)는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의 입력내용을 중복입력할 필요없이 회원가입(S602)만 하면 된다.
이 때, 구직자는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프리미엄 서비스 내용만을 입력(S601)하게 된다.
상기 구직자(S502)는 회원가입한 후 구직자 프리미엄 서비스를 확인하고(S603), 또한 구직자 이력사항 및 구직정보를 확인하여(S604) 인증항목과 비인증항목을 분류하고(S605), 추가로 인증항목을 요청(S606)하면,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부터 추가 인증항목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607)한 후, 추가 인증 항목이 없는 경우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입력된 인증항목 및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S608)하고, 추가인증항목이 있을 경우, 구직자의 인증항목 또는 비인증항목에 대하여 추가인증항목 서비스를 제공하고(S611), 상기 구직자(S502)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의 정보를 업데이트(S609)하고 이를 상기 구직자에게 통보한다.
그런 후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제공(S610)주고, 상기 구직자가 회원가입한 취업알선전문기관이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구직자가 프리미엄 서비스에 동의하였더라도 취업알선전문기관은 상기 구직자(S502)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 내용 열람이 제한되거나 열람할 수 없으며, 그로 인해 구직자의 이력사항은 비인증항목(S612)으로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제공(S610)되는 것이다.
즉, 인증센터로부터 인증을 통한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하여 정확성 및 신뢰성이 부각되는 것이며, 인증센터에 회원가입된 취업알선전문기관에 회원가입한 구직자는 취업알선전문기관에 한번 가입함으로써 구직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구인 채용에 대해 인증센터와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 것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와 인증센터간에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와 취업알선전문기관과 인증센터간에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인증센터에 회원가입(S700)하는데 우선,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인증센터의 웹 서버의 웹사이트부에 접속하여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형식으로 작성된 약관에 대한 동의하에 회원 가입(S700)한다.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S702)는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에 대한 동의(S704)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센터를 통해 구인채용(S706)을 하고자 할 경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희망하는 업종 또는 분야의 구인내용(신상정보, 학력사항, 근무경력사항, 직무능력 및 보유기술, 자격사항, 사내교육과정의 이수사항 등) 중 구직자의 인증이 필요한 항목(학력사항, 근무경력사항, 자격사항, 교육과정이수 등), 또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인채용 조건을 입력(S708)한다.
만약,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다른 구직자가 근무했던 기업체일 경우에 상기 다른 구직자의 경력사항 인증을 위해 인증센터에서 요청하면, 그에 따른 재직 또는 경력정보를 제공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인증센터로 제공한 채용 조건에 따라 인증센터는 인증항목 또는 비인증항목으로서 저장되어 있는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통해 인증항목 또는 비인증항목에 따라 구직자를 쿼리(S710~S712)한다.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추가인증항목 요청(S714)이 있을 경우 인증항목의 추가 요청(S718)하여 재확인을 위한 쿼리를 수행하고 쿼리된 결과를 확인(S716)한다.
따라서, 구직자의 인증항목, 비인증항목으로서 구분되어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는 인증항목에 대해서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구인채용조건의 입력, 쿼리 및 확인(S708~S716)을 한 후, 직접구인채용을 판단(S800)한 결과, 직접구인을 추진하고자 할 경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직접 제공된 구직자의 이력사항 정보를 조회(S801)하고, 상기 조회된 구직자의 이력사항들 중 인증하고자 하는 항목에 대해 인증센터로부터 인증을 요청(S802)한다.
상기 인증요청을 받은 인증센터는 인증항목에 대해 인증을 확인(S804)한 후,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제공하면, 이를 토대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는 구직자의 최종 채용(S806)을 결정한다.
반면,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직접 구인을 추진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S800)한 결과,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직접 구인을 추진하지 않고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가입하여 구인을 위탁(S808)하였으면,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인증센터에 회원가입한 내용에 대하여 취업알선 전문기관(S900)으로 중복하여 기업의 프로필을 입력할 필요없이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가입을 한 후, 구인채용에 대한 프리미엄 서비스 내용을 입력(S901)한다.
상기 취업알선전문기관(S900)이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902)하고,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되었으면, 구직자가 프리미엄 서비스를 동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904)한 후, 프리미엄 서비스를 동의한 구직자들의 인증센터에 입력된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 및 상기 취업알선전문기관에 회원가입된 구직자의 추가 이력사항 정보를 취합(S906)한다.
그런 후에, 구직자의 취합된 정보를 통해 인증항목과 비인증항목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인증항목에 대해 인증센터로부터 인증을 조회하거나 요청(S908)하고, 상기 회원가입된 취업알선 전문기관으로부터 인증항목에 대해 인증 요청이 있으면, 인증센터는 이에 대해 인증(S910)하고, 확인해 준다.
또한, 인증센터는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또는 취업알선 전문기관으로부터 추가 인증항목이 발생시 구직자에게 추가인증항목의 정보입력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에 동의한 구직자는 추가정보를 입력하여 구인기관의 구인을 위한 채용조건 정보요청에 따라 구직자의 사전 동의하에 추가 제공되며, 인증센터의 회원이 구인/구직에 직접 참여하여 제공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갖도록 인증 프로세스와 보안 프로세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확인된 정보를 토대로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프리미엄 서비스 내용을 업데이트하여 작성한 후,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의 채용조건에 부합하는 구직자를 선별(S912)하고, 선별한 결과 및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제공(S914)해준다.
또한,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된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가입된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위탁한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되지 아니하였으며,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비인증항목으로 작성된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S916)를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 제공(S914)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인 교육기관과 인증센터간 수행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교육기관은 인증센터에 회원가입(S100)하는데 우선, 교육기관은 인증센터의 웹 서버의 웹사이트부에 접속하여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형식으로 작성된 약관에 대한 동의하에 회원 가입(S100)한다.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된 교육기관(S102)은 인증센터로부터 구직자의 교육이수 내용에 대해 확인 요청(S104)을 받으면, 교육을 수강(S106)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육을 수강하였으면 교육기관은 교육이수 내용을 확인(S108)해 준다.
상기 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이수 확인을 통해 인증항목으로 구직자의 교육이수 사항을 인증(S110)하며,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구직자들은 교육이수내용 항목 없음 또는 공란으로 표시한다.
상기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구직자는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을 수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교육을 수강하고자 할 경우, 인증센터에 회원가입된 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을 수강한다.
이는 상기 회원 가입된 교육기관으로부터 수강을 하면,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된 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을 수강한 구직자의 교육 이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인증센터로 제공하거나, 인증센터로부터 확인 요청에 정보를 제공하여 인증항목으로써 인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교육기관은 교육 수강자의 자격여부, 교육이수여부 등의 인증을 위하여 인증센터에 기업회원으로서 가입되어야 하며, 교육기관은 인증센터에 가입함으로써, 약관의 명시에 따라 인증의 대가로 연회비를 납부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수강자)는 본인의 자격사항 및 교육이수사항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된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수강하여야만 인증이 되며, 우선, 교육기관은 수강자의 인증항목에 대한 정보제공을 위하여 수강신청서상에 약관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동의를 구하여야 한다.
또한,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가입된 교육기관(학회나 협회 등)에서 개최하는 각종 컨퍼런스, 세미나 등에 참가하는 수강생에 대하여 교육이수내용을 인증센터에 제공하여 수강자들의 구직인증항목으로 이력사항에 추가하며,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한 정통부, 교육부 등 정부부처에서 추진하는 각종 공모전, 평가전에 수상한 구직자에 대하여 인증항목으로 이력사항에 추가한다.상기 교육기관이란, 학회나 협회 뿐만 아니라 공인된 교육기관을 포함하며 그 외에도 기업체 및 정부기관의 교육 단체 등 교육을 수행하는 단체를 말하며, 인증센터로부터의 자격사항이나 교육이수내용 등의 인증요청을 받아 개인의 교육이력 또는 수강내역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회원의 요구에 의하여 학력, 개인연봉, 보유기술 및 직무능력 등에 대하여 인증을 추가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DB를 구성하고, 인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회원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변경된 인증내용에 대한 즉각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하며, 기업체 및 교육기관에 대해서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할인된 회비를 적용할 수 있으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기업회원으로 연회비를 받을 수 있고, 구직자는 개인회원으로 연회비를 받되 할인을 하며, 개인의 이력사항의 인증항목 추가의 범위에 따라 실버회원, 골드회원으로 업그레이드하며, 골드회원으로 등록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제휴파트너로서 우수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세션을 제공하며, 실버회원 이상의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요청에 의하여 인증항목을 추가 또는 수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세션이 제공되는 등의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도 5내지 도 9에서의 각 단계들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원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원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증센터로부터 인증을 통해 고급 인적 자질을 갖춘 구직자의 근무경력, 자격사항, 교육수강 및 교육이수내역 등에 대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구인기관 및 취업알선전문기관에서는 구직자의 구인조건에 대하여 구직자가 제공한 신뢰성이 확보된 인증항목에 대한 취업지원자들간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입력된 경력, 자격, 교육정도를 비교하여 우수한 이력을 갖춘 인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인증 시스템을 자동화함으로써 구직자들의 능력을 통하여 정당한 평가를 하고, 구인업체는 자사의 조건에 부합한 우수한 인재채용을 할 수 있으며, 교육기관에서는 자사의 교육과정에 대해 사회적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을 통해 구인업체의 인사담당자는 필요한 인력의 원하는 사항에 대한 정확한 이력의 쿼리를 통해 구인업체의 채용조건에 집중시킬 수 있으며, 구직자간의 경력을 분야별 가중치 점수를 두어 표준화된 기준으로 분류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구직자들을 무제한 검색 및 비교 검색이 가능하며, 높은 신뢰도가 확보된 이력사항을 통해 많은 구직자들을 채용조건에 맞추어 줄여나감으로써 필요한 업무에 알맞은 구직자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인의 추측으로 인해 구인 채용하였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교육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구인채용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구직자들이 구직을 하기 위해서는 온/오프라인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개별적으로 이력서를 작성하고, 회원가입해야 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인증센터에 한번 가입함으로써,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된 기업 또는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구직자의 편리성을 증대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사의 교육과정 등을 인증항목으로 등록시킴으로써 공인된 과정으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자사를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과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어 구직자의 자격인증을 통해 신뢰도 높은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제공하도록 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원들과;
    취업 관련 서비스에 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여 회원 대상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표준화된 전자이력서, 웹상에서 인증·인증조회·인증확인 등의 회원 대상자에 따라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 콘텐츠 및 웹 화면들을 저장하고 있는 웹사이트부와, 상기 웹사이트에 가입하는 회원의 개인신상 및 기초정보 확인 후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인증하는 회원인증부를 포함하는 웹 서버와;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웹사이트부에 가입한 후, 상기 회원들이 해당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정보저장부로부터 사용자의 조회 및 확인에 의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인증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된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 등은 인증센터가 제공하는 소정의 약관에 의하여 등급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시스템
  2. 삭제
  3.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과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어 구직자의 자격인증을 통해 신뢰도 높은 구직자의 이력사항을 제공하도록 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인증센터의 웹 서버의 웹사이트부에 접속하여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형식으로 작성된 회원 및 약관에 대한 동의하에 회원 가입하는 단계와;
    (b) 상기 구직자가 인증센터에 회원가입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입력한 구인채용조건을 사전 검색 및 조회하는 단계와;
    (c) 상기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가입한 구직자는 인증센터로부터 제공되는 프리미엄 서비스의 동의하거나 상기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에 동의하지 않고 구직자가 직접 구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구직자의 직접 구직 여부 판단 결과, 직접 구직을 하고자 할 경우 구직자가 인증센터의 회원으로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 이력사항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e) 상기 이력사항에 대한 인증항목을 인증받고자 인증센터에 인증 요청하거나 상기 구직자가 기타 인증항목을 인증받고자 추가인증항목에 대하여 인증 요청하는 단계와;
    (f) 상기 사전 검색 및 조회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 표준화된 전자이력서를 제출하는 단계와;
    (g) 상기 구직자가 구직진행상황 및 취업여부를 확인 요청에 의해 확인하는 단계와;
    (h) 상기 인증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동의한 후, 직접 구직하지 않고 상기 구직자가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i)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인증센터의 회원으로서 인증센터로 인증 요청을 하면, 인증센터는 자격사항, 학력사항의 인증인 경우 해당기관에, 또는 교육이수의 인증인 경우 교육기관에, 경력사항의 인증인 경우 근무한 기업체가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구직자가 인증요청한 항목에 대한 해당기관이 비회원이거나 확인 불가능할 경우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직접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j) 상기 회원으로 가입된 해당기관, 교육기관, 기업체로부터 해당 사항을 확인한 후, 인증하는 단계와;
    (k) 상기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인증센터를 통해 구인 채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l) 상기 판단 결과, 인증센터를 통해 구인채용하고자 할 경우, 구인 채용 조건을 인증센터로 입력하는 단계와;
    (m) 상기 인증센터는 회원으로 가입된 구직자들의 인증항목 또는 비인증항목들을 구인 채용 조건에 따라 쿼리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 제공하는 단계와;
    (n)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구인채용을 위한 인증항목을 추가하는 단계와;
    (o) 상기 인증센터를 통해 구인 채용 여부 판단 결과,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직접 구인 여부를 판단하거나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구인 채용을 위탁하는 단계와;
    (p) 상기 직접 구인 여부 판단 결과, 직접 구인 채용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는 인증센터로부터 프리미엄 서비스에 동의한 구직자의 이력사항 정보를 확인하거나,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직접 제출된 구직자의 이력사항에 대해 인증센터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q) 상기 회원가입된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부터 인증요청이 있으면, 인증센터에서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방법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는 교육기관, 자격증 관련 해당기관, 경력자가 근무한 기업체가 인증센터에 회원으로 가입된 경우에 인증항목으로서 인증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o) 단계에서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직접 구인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구인 채용을 위탁한 경우는,
    상기 취업알선 전문기관이 인증센터에 회원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 가입 여부 판단 결과, 회원가입된 취업알선 전문기관은 인증센터에 회원가입된 구직자의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해 동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프리미엄 서비스에 동의하거나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회원가입된 구직자의 이력사항 정보를 취합하는 단계와;
    상기 취합한 이력사항을 통해 인증항목과 비인증항목을 분류하여 인증센터로부터 인증 조회 및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조회 및 요청을 받은 인증센터는 인증을 확인하여 취업알선 전문기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구직자,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가 인증항목 추가를 요청한 경우 추가항목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통해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에서 이력인증내용을 업데이트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 작성된 표준화된 전자이력서와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에서 입력한 채용조건을 취업알선 전문기관에서 공유하여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의 채용조건에 부합하는 구직자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구직자의 표준화된 전자이력서 및 결과를 구인기관 및 구인기업체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방법.
  7. 삭제
KR1020030078907A 2003-11-08 2003-11-08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46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907A KR100469045B1 (ko) 2003-11-08 2003-11-08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907A KR100469045B1 (ko) 2003-11-08 2003-11-08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045B1 true KR100469045B1 (ko) 2005-01-29

Family

ID=3722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907A KR100469045B1 (ko) 2003-11-08 2003-11-08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04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91B1 (ko) * 2006-10-10 2008-02-25 황보의 그릇
KR100912172B1 (ko) * 2007-06-28 2009-08-14 이종원 경력인증시스템 및 방법, 기록매체
KR101400951B1 (ko) * 2013-11-25 2014-05-30 주식회사 나리지식앤컴퍼니 지식정보 유료 거래 시스템
KR101488593B1 (ko) 2013-04-15 2015-01-30 노영희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한 웰니스 서비스 및 제품의 품질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KR20160114488A (ko) 2015-03-24 2016-10-05 주식회사 티멤버스 미용 관련 자격증 소유자를 정회원으로 하는 고객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관리 서비스 처리 방법
KR20180115067A (ko) 2017-04-12 2018-10-22 김용욱 핸디형 안마장치
KR20180115068A (ko) 2017-04-12 2018-10-22 김용욱 안마장치
KR20190024066A (ko) 2017-08-31 2019-03-08 (주)제스파 안마장치
KR20190065630A (ko) 2017-12-04 2019-06-12 안광분 안마장치
KR102034303B1 (ko) * 2018-08-24 2019-10-18 김보언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23259A (ko) * 2018-08-24 2020-03-04 김보언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63182A (ko) * 2019-11-22 2021-06-01 강오순 전문인력 중개 시스템
WO2022045844A1 (ko) * 2020-08-28 2022-03-03 한화생명보험 (주) 파이낸셜 플래너 모집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451230B1 (ko) * 2021-12-31 2022-10-06 박지성 다차원 역량 평가 및 매칭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50A (ko) * 2000-07-27 2000-11-06 주진용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07690A (ko) * 2000-04-24 2001-02-05 하세용 취업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020004799A (ko) * 2000-06-30 2002-01-16 김진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6501A (ko) * 2001-02-12 2002-08-19 황선길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사업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30635A (ko) * 2001-10-12 2003-04-18 이영길 인터넷 이력서 공증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690A (ko) * 2000-04-24 2001-02-05 하세용 취업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020004799A (ko) * 2000-06-30 2002-01-16 김진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650A (ko) * 2000-07-27 2000-11-06 주진용 인터넷 상에서 맞춤형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6501A (ko) * 2001-02-12 2002-08-19 황선길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사업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30635A (ko) * 2001-10-12 2003-04-18 이영길 인터넷 이력서 공증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91B1 (ko) * 2006-10-10 2008-02-25 황보의 그릇
KR100912172B1 (ko) * 2007-06-28 2009-08-14 이종원 경력인증시스템 및 방법, 기록매체
KR101488593B1 (ko) 2013-04-15 2015-01-30 노영희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한 웰니스 서비스 및 제품의 품질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KR101400951B1 (ko) * 2013-11-25 2014-05-30 주식회사 나리지식앤컴퍼니 지식정보 유료 거래 시스템
KR20160114488A (ko) 2015-03-24 2016-10-05 주식회사 티멤버스 미용 관련 자격증 소유자를 정회원으로 하는 고객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관리 서비스 처리 방법
KR20180115067A (ko) 2017-04-12 2018-10-22 김용욱 핸디형 안마장치
KR20180115068A (ko) 2017-04-12 2018-10-22 김용욱 안마장치
KR20190024066A (ko) 2017-08-31 2019-03-08 (주)제스파 안마장치
KR20190065630A (ko) 2017-12-04 2019-06-12 안광분 안마장치
KR102034303B1 (ko) * 2018-08-24 2019-10-18 김보언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23259A (ko) * 2018-08-24 2020-03-04 김보언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319869B1 (ko) 2018-08-24 2021-11-01 (주)엔터랩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63182A (ko) * 2019-11-22 2021-06-01 강오순 전문인력 중개 시스템
KR102311264B1 (ko) * 2019-11-22 2021-10-13 강오순 전문인력 중개 시스템
WO2022045844A1 (ko) * 2020-08-28 2022-03-03 한화생명보험 (주) 파이낸셜 플래너 모집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451230B1 (ko) * 2021-12-31 2022-10-06 박지성 다차원 역량 평가 및 매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62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leveraging the power of one's social network in an online marketplace
Krause et al. The board chair effect across countries: An institutional view
Pantazopoulou et al. Microstructural aspects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plain concrete
Oluokun Prediction of concrete tensile strength from its compressive strength: an evaluation of existing relations for normal weight concrete
KR100469045B1 (ko)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Gardner et al. Creep and shrinkage revisited
Otter et al.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under cyclic load
US8712816B2 (en) Computerized apparatus for identifying industries for potential transfer of a job function
US10747713B2 (en) Vendor/client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
US20050278205A1 (en) Network-Employing Matching System in Providing Information on Positions/Help Wanted and Related Information
US20050261956A1 (en) Network-Employing System for Evaluating Anonymous Information in Providing Information on Positions/Help Wanted and Related Information
US20060085480A1 (en) Human resource sourcing exchange
Harajli et al. Response of externally post-tensioned continuous members
West et al. From traditional to virtual HR: Is the transition occurring in local government?
US20130275512A1 (en) Life experiences certification process
Povey et al. Where we’re going, not where we’ve been: Indigenous leadership in Canadian higher education
Krstulovic-Opara et al. Use of conventional and high-performance steel-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bridge deck overlays
Shahawy et al. Analytical and field investigation of lateral load distribution in concrete slab-on-girder bridges
McDonald et al. Early-age transverse deck cracking
Kater et al. Getting to shared governance: New perspectives for implementing governance
Karihaloo et al. Orthotropic Damage Model for Plain Concrete inTension
KR20020066501A (ko)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사업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Scripture et al. Floor aggregates
Fahmi et al. Prediction of creep of concrete at variable temperatures
Sisavath Journey from higher education to employment among returnee graduates in La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