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182A - 전문인력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문인력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182A
KR20210063182A KR1020200003056A KR20200003056A KR20210063182A KR 20210063182 A KR20210063182 A KR 20210063182A KR 1020200003056 A KR1020200003056 A KR 1020200003056A KR 20200003056 A KR20200003056 A KR 20200003056A KR 20210063182 A KR20210063182 A KR 2021006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raining
certificate
course
man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264B1 (ko
Inventor
강오순
Original Assignee
강오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오순 filed Critical 강오순
Publication of KR2021006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은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교육 과정에 대한 교육비가 결제되면 상기 교육 과정에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장 실습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비를 해당 실습 제휴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 처리하고, 상기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상기 교육 과정의 종류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하고,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제공하는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업 단말로부터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업의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에 제공하는 헤드 헌팅 중개 서버 및 자격증 발급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비용을 입금받고 현장 실습을 진행한 후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결과를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에 제공 하는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HEAD HUNTING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취업센터, 구직사이트와 연계되어 채용기업이 원하는 인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채용기업의 구인공고에 적합한 인력을 제공할 수 있고, 자체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즉 구직 인력을 채용기업에 소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격증을 취득함과 동시에 취업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는 전문화되면서 다양화되는 추세를 가지고 있으므로 직업의 양태와 필요로 하는 인력의 조건이 세분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구직을 희망하는 많은 사람들의 경우 자신의 능력에 따른 합당한 보수와 조건의 직장을 선택하고자 하는 성향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인터넷 속도의 고속화와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구인자 및 구직자를 위한 구인/구직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통상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시스템은 회사가 필요로 하는 직원에 대한 최종 학력, 전공분야, 나이 등의 구인직원 정보를 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시스템에 등록하여 개시하고, 구직자는 자신의 이력서를 등록 시스템에 등록하고 개시된 구인정보들 중 자신에게 맞는 구인정보를 검색하여 찾은 후 검색된 회사를 선택하면 기등록된 이력서를 해당 회사의 담당자 이메일로 발송한다.
또한, 다른 형태의 구인/구직 서비스 시스템으로는 프리랜서 전문가들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경매 방식을 통해 연결하고 있는 경매방식을 이용한 프리랜서 중계 시스템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은 단순히 구인 및 구직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 그 이후 과정에 대해서는 구인자 및 구직자가 개별적으로 진행해야 하고, 이후 과정에서는 종래 오프라인 구인/구인 구직 방식과 동일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구인/구직 시스템은 구직자의 전문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없어 검증된 인력을 채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전술한 온라인 구인/구직 시스템과 대비하여 오프라인 형태로는 헤드헌터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때, 헤드 헌팅의 주체는 서치펌(헤드헌팅 업체)에 근무하는 헤드헌터이며, 서치펌은 헤드헌터들이 근무할 수 있는 공간적인 측면과 약간의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헤드헌팅 시장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매우 활발하며, 특히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기업채용에서 헤드헌터의 입지가 상당한 위상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헌팅 방식은 업체가 독자적으로 구축한 오프라인의 네트워크를 통해 인력을 의뢰하는 구인기업에게 필요한 인력을 소개하고 수수료를 받는 형태이다.
그러나, 기존의 헤드헌팅 방식은 기업에서 우수 인재의 소싱을 위해 서치펌에 의뢰하여, 해당 서치펌에서 적합한 담당자를 선정한 후 채용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구인기업에서는 원하는 인재채용에 적합한 헤드헌터가 선정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치펌의 주체인 헤드헌터는 헤드헌팅을 통해 인재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을 찾기 위해서 별도의 영업활동을 진행해야 하므로, 다수의 고객 확보가 어렵고 본인의 전문 분야에 대한 커리어 컨설팅을 진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기업에서 우수인력 채용 희망 시, 해당 전문 인력을 찾아 추천할 수 있는 헤드헌터를 찾을 수 있는 온라인 매개체가 없고, 해당 분야의 경험이 없는 헤드헌터와의 채용진행으로 업무 효율이 저하되고, 우수 인력 또한, 좋은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기업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 헤드헌터가 필요한 경우, 국/내외 헤드헌팅 업체에 의뢰하여 해당 분야에 특화된 전문 헤드헌터의 선정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나, 전문 분야의 매칭 및 검증이 쉽지 않아 성공확률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헤드헌팅 마켓에서 구인기업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기 거래중인 제한된 수의 헤드헌팅 업체와 거래를 하거나, 인터넷 서칭 또는 지인의 소개 등 신뢰할 수 없는 방식으로 신규 헤드헌팅 업체를 발굴하고 있으며, 헤드헌팅 업체 역시 구인기업의 확보 등이 제한된 범위와 방식으로만 가능하였다.
그 결과, 헤드헌팅 업체에 소속되지 않은 헤드헌터는 구인기업과 접촉할 수 있는 방법의 한계점이 들어날 수 밖에 없으며, 구인기업 역시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헤드헌터에 헤드헌팅 의뢰를 직접 의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각 헤드헌터의 조건을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헤드헌팅 업체에 높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되는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격증을 취득함과 동시에 취업할 수 있도록 중개하며,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를 기업에 제공할 수 있는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격증 종류에 해당하는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교육 과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격증을 취득함과 동시에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교육 과정에 대한 교육비가 결제되면 상기 교육 과정에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장 실습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비를 해당 실습 제휴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 처리하고, 상기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상기 교육 과정의 종류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하고,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제공하는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업 단말로부터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업의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에 제공하는 헤드 헌팅 중개 서버; 및 자격증 발급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비용을 입금받고 현장 실습을 진행한 후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결과를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에 제공 하는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헌팅 중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과 상기 모집 분야 및 상기 자격 조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점수를 각각을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헌팅 중개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최종 학력, 경력 및 전공 각각과 상기 사용자가 이수한 교육 과정 및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이 상기 자격 조건 중 최종 학력, 경력, 전공 및 자격증 종류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매칭되는 정보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및 미리 결정된 점수를 반영하고, 상기 매칭되지 않은 정보 각각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는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 자격증 종류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수신하고, 상기 교육 과정 각각은 단계가 할당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단계부터 어느 정도의 단계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이 조합되는지 여부에 따라 일반 가정, 중간 과정, 고급 과정 및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과정 종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교육 과정 종류가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인 경우,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제공하고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통해 교육 과정을 선택받고, 낮은 단계의 교육 과정의 선택 없이 높은 단계의 교육 과정이 선택된 경우, 교육 과정 재선택 절차를 제공하거나 낮은 단계의 교육 이수 증명서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교육 이수 증명서를 발급한 타 자격증 발급 기관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교육 이수 증명서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교육 이수 증명서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 및 미리 결정된 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해당 교육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상기 교육 과정에 대한 교육비가 결제되면 상기 교육 과정에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장 실습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비를 해당 실습 제휴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 처리하는 단계;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이 자격증 발급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비용을 입금받고 현장 실습을 진행한 후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결과를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에 제공 하는 단계;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상기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상기 교육 과정의 종류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하고,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헤드 헌팅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헤드 헌팅 중개 서버가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 헌팅 중개 서버가 기업 단말로부터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업의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과 상기 모집 분야 및 상기 자격 조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점수를 각각을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최종 학력, 경력 및 전공 각각과 상기 사용자가 이수한 교육 과정 및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이 상기 자격 조건 중 최종 학력, 경력, 전공 및 자격증 종류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매칭되는 정보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및 미리 결정된 점수를 반영하고, 상기 매칭되지 않은 정보 각각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 자격증 종류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 과정 각각은 단계가 할당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단계부터 어느 정도의 단계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이 조합되는지 여부에 따라 일반 가정, 중간 과정, 고급 과정 및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과정 종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교육 과정 종류가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인 경우,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제공하고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통해 교육 과정을 선택받는 단계; 낮은 단계의 교육 과정의 선택 없이 높은 단계의 교육 과정이 선택된 경우, 교육 과정 재선택 절차를 제공하거나 낮은 단계의 교육 이수 증명서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 이수 증명서를 발급한 타 자격증 발급 기관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교육 이수 증명서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교육 이수 증명서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 및 미리 결정된 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해당 교육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격증을 취득함과 동시에 취업할 수 있도록 중개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이 원하는 인력을 추천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격증 종류에 해당하는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교육 과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격증을 취득함과 동시에 기업에서 취업할 수 있도록 중개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헌팅 중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 기업 단말(300),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 및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50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를 통해 교육 과정을 이수하거나 교육 과정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 받은 후에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로부터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수신하면,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름, 최종 학력, 경력, 전공 등), 자격증 종류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 종류를 입력하여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에 제공한다.
이때, 교육 과정 종류는 일반 과정, 중간 과정, 고급 과정 및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을 포함하며, 일반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교육 과정을 포함하고, 중간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교육 및 오프라인을 통해 교육을 포함하고, 고급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교육, 오프라인을 통한 교육 및 현장 실습 과정을 포함하고,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교육, 오프라인을 통한 교육 및 현장 실습 과정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교육을 포함한다.
만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을 선택하는 경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로부터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수신하고,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통해 교육 과정을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낮은 단계의 교육 과정의 선택 없이 높은 단계의 교육 과정이 선택된 경우, 교육 이수 증명서를 입력하여 낮은 단계의 교육 과정이 다른 기관을 통해 이수하였음을 증명한 후 높은 단계의 교육 과정을 등록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100)은 교육 과정에 대한 교육비 결제 절차를 통해 교육비를 결제하며, 교육 과정을 모두 이수한 후 교육 과정의 종류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받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기업 단말(300)로부터 인력 채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력 채용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해당 기업의 입사를 결정하여 결과 메시지를 기업 단말(3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기업에 입사할 수 있다.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특정 자격증 취득 요청 또는 취업 대상 기업의 취업에 필요한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교육 과정을 제공한 후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자격증을 발급하는 기관의 서버이다.
먼저,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가 특정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교육 과정을 제공한 후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자격증을 발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한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이때,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름, 최종 학력, 경력, 전공 등), 자격증 종류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 종류를 입력하는 절차이다.
이때, 교육 과정 종류는 일반 과정, 중간 과정, 고급 과정 및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을 포함하며, 일반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교육 과정을 포함하고, 중간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교육 및 오프라인을 통해 교육을 포함하고, 고급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교육, 오프라인을 통한 교육 및 현장 실습 과정을 포함하고,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교육, 오프라인을 통한 교육 및 현장 실습 과정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교육을 포함한다.
상기의 교육 과정 각각은 단계가 할당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단계부터 어느 정도의 단계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이 조합되는지 여부에 따라 교육 과정 종류가 결정된다.
즉, 교육 과정 종류 별로 서로 다른 단계의 교육 과정이 선택적으로 그룹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을 통한 교육 과정은 제1 단계가 할당되어 있고, 오프라인을 통한 교육 과정은 제2 단계가 할당되어 있고, 현장 실습 과정은 제3 단계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교육 과정 종류가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인 경우,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제공하고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통해 교육 과정을 선택받는다.
이때,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통해 교육 과정이 선택되면, 낮은 단계의 교육 과정의 선택 없이 높은 단계의 교육 과정이 선택된 경우, 교육 과정 재선택 절차를 제공하거나 낮은 단계의 교육 이수 증명서의 입력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과정 선택 절차를 통해 온라인 과정이 선택되지 않고 현장 실습 과정이 선택되면, 교육 과정 재선택 절차를 제공하거나 자격증 종류에 해당하는 온라인 과정을 이미 이수한 온라인 교육 이수 증명서의 입력을 요청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사용자가 자격증 종류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을 다른 기관에서 이수했을 수 있거나 일반 과정을 통해 온라인 교육을 이수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교육 이수 증명서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교육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이수 증명서를 수신한 경우, 교육 이수 증명서를 발급한 타 자격증 발급 기관 단말(미도시됨)과 연동하여 교육 이수 증명서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을 수신하고, 교육 이수 증명서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 및 미리 결정된 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해당 교육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이수 증명서의 종류가 온라인 교육 이수 증명서인 경우, 온라인 교육 이수 증명서를 발급한 기관 단말과 연동하여 온라인 교육 이수 증명서에 해당하는 온라인 교육 내용을 수신하고, 온라인 교육 내용 및 미리 결정된 온라인 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온라인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온라인 교육 내용 및 미리 결정된 온라인 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비율에 따라 특정 온라인 이수 시간만큼 이수한 것으로 판단한 후 나머지 이수 시간만큼 교육 과정을 더 이수하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이수 증명서의 종류가 오프라인 교육 이수 증명서인 경우, 오프라인 교육 이수 증명서를 발급한 타 자격증 발급 기관 단말(미도시됨)과 연동하여 오프라인 교육 이수 증명서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교육 내용을 수신하고, 오프라인 교육 내용 및 미리 결정된 오프라인 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오프라인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오프라인 교육 내용 및 미리 결정된 오프라인 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비율에 따라 특정 오프라인 이수 시간만큼 이수한 것으로 판단한 후 나머지 이수 시간만큼 교육 과정을 더 이수하도록 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이수 증명서의 종류가 현장 실습 이수 증명서인 경우, 현장 실습을 실행한 가맹점이 실습 제휴 가맹점인지 여부에 따라 현장 실습을 이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현장 실습을 실행한 가맹점이 실습 제휴 가맹점이면 현장 실습을 이수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장 실습을 실행한 가맹점이 실습 제휴 가맹점의 종류 및 자격증의 종류에 해당하는 현장 실습을 실행하는 가맹점의 종류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현장 실습을 이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이수 증명서를 기초로 현장 실습 시간이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요구되는 현장 실습 시간을 만족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나머지 이수 시간만큼 교육 과정을 더 이수하도록 한다.
그 후,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과정 종류에 따라 해당 교육 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교육비 결제 절차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교육비 결제 절차를 통해 교육비가 결제되면 사용자가 자격증을 발급받기 위한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비 결제 절차를 통해 교육비가 결제되면, 교육 과정에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현장 실습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비를 해당 실습 제휴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 처리한다.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교육 과정의 종류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가 이수한 교육 과정 종류가 일반 과정인 경우, 별도의 자격증을 발급하지 않고 온라인 교육 이수 증명서를 발급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가 이수한 교육 과정 종류가 고급 과정인 경우, 자격증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가 이수한 교육 과정 종류가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교육 과정의 종류, 이전에 이수한 교육 과정 여부 및 타 자격증 발급 기관을 통한 교육 과정 이수 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교육, 오프라인을 통해 교육 및 현장 실습 과정을 모두 이수한 경우, 자격증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가 취업 대상 기업의 취업에 필요한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교육 과정을 제공한 후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자격증을 발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취업 대상 기업 선택 절차를 통해 취업 대상 기업을 수신하고, 미리 구축된 기업 별 자격증 데이터베이스에서 취업 대상 기업에 해당하는 필수 자격증 종류 및 선호 자격증 종류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취업 대상 기업에 해당하는 필수 자격증 종류 및 선호 자격증 종류 중 특정 자격증 종류가 선택되면, 특정 자격증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을 위한 교육비 결제 절차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교육비 결제 절차를 통해 교육비가 결제되면 사용자가 자격증을 발급받기 위한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이때,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취업 대상 기업에 해당하는 필수 자격증 종류 및 선호 자격증 종류 별로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데이터베이스 구축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별도의 교육 과정을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과정 종류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자격증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그런 다음,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에 제공한다.
또한,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500)로부터가맹점 종류 및 계좌를 포함하는 실습 가맹점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실습 가맹점 가입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해당 실습 가맹점의 회원 가입을 승인한다.
그 후,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의 교육 과정에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현장 실습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비를 해당 실습 제휴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 처리하여 해당 실습 가맹점에 현장 실습 과정을 의뢰할 수 있는 것이다.
기업 단말(300)은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로부터 인력 정보를 수신하여 인력을 채용하는 기업의 단말이다.
기업 단말(300)은 회원 등급(예를 들어, 일반 등급 또는 프리미엄 등급)을 포함하는 회원 가입 요청 메시지를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에 제공하고,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에 의한 회원 가입 승인 여부에 따라 회원 등급에 해당하는 비용을 결제한 후 회원 가입한다.
그 후, 기업 단말(300)은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에 제공하고,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로부터 인력 추천 메시지에 해당하는 인력 정보를 수신한 후, 인력 정보를 기초로 인력을 채용한다.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기업 단말(300)로부터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기업 단말(300)에 제공하는 서버이다.
먼저,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수신하면,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저장하여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하에서는,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가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과 상기 모집 분야 및 상기 자격 조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점수를 각각을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사용자 정보 중 최종 학력, 경력 및 전공 각각과 상기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이 상기 자격 조건 중 최종 학력, 경력, 전공 및 자격증 종류에 매칭되는 경우, 특정 가중치를 미리 결정된 점수에 반영하여 상기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사용자 정보 중 최종 학력, 경력 및 전공 각각과 상기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이 자격 조건 중 필수 조건에 해당하는 항목 각각과 매칭되는 경우, 필수 항목 가중치를 미리 결정된 점수에 반영하여 상기 필수 조건에 해당하는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최종 학력, 경력 및 전공 각각과 상기 사용자가 이수한 교육 과정 및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이 상기 자격 조건 중 우대 조건에 해당하는 항목 각각과 매칭되는 경우, 우대 항목 가중치를 미리 결정된 점수에 반영하여 상기 우대 조건에 해당하는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필수 항목 가중치는 기업의 자격 조건 중 필수 조건을 만족하는 인력을 추출하기 위해 필수 조건에 해당하는 항목의 미리 결정된 점수를 증가시켜 해당 인력의 평가 점수가 높게 산출되도록 사용되는 값이며, 우대 항목 가중치는 기업의 자격 조건 중 우대 조건을 만족하는 인력을 추출하기 위해 우대 조건에 해당하는 항목의 미리 결정된 점수를 증가시켜 해당 인력의 평가 점수가 높게 산출되도록 사용되는 값이다. 이때, 상기의 필수 항목 가중치는 우대 항목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사용자 정보 중 최종 학력 및 자격 조건 중 필수 조건의 최종 학력과 매칭되는 경우, 미리 생성된 최종 학력 별 점수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중 최종 학력에 해당하는 점수를 추출한 후 최종 학력에 해당하는 점수에 필수 항목 가중치를 반영하여 최종 학력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사용자 정보 중 최종 학력, 경력 및 전공 각각과 상기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이 자격 조건 중 필수 조건 및 우대 조건에 해당하는 항목 각각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매칭되지 않은 정보 각각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기업 단말(300)로부터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을 포함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업의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3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기업의 회원 등급이 일반 등급이면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3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기업의 회원 등급이 프리미엄 등급이면,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갱신한 후 사용자의 평가 점수에 따라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30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헌팅 중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한다(단계 S210).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과정에 대한 교육비가 결제되면(단계 S215), 상기 교육 과정에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단계 S220) 상기 현장 실습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비를 해당 실습 제휴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 처리한다(단계 S225).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500)은 자격증 발급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비용을 입금받고 현장 실습을 진행한 후,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결과를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에 제공한다(단계 S230).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는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단계 S235), 상기 교육 과정의 종류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하고(단계 S240),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에 제공한다(단계 S245).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단계 S250).
헤드 헌팅 중개 서버(400)는 기업 단말(300)로부터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255), 기업의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260).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
300: 기업 단말
400: 헤드 헌팅 중개 서버
500: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

Claims (6)

  1.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교육 과정에 대한 교육비가 결제되면 상기 교육 과정에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장 실습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비를 해당 실습 제휴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 처리하고, 상기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상기 교육 과정의 종류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하고,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제공하는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업 단말로부터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업의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에 제공하는 헤드 헌팅 중개 서버; 및
    자격증 발급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비용을 입금받고 현장 실습을 진행한 후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결과를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에 제공 하는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헌팅 중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과 상기 모집 분야 및 상기 자격 조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점수를 각각을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는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 자격증 종류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수신하고,
    상기 교육 과정 각각은 단계가 할당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단계부터 어느 정도의 단계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이 조합되는지 여부에 따라 일반 가정, 중간 과정, 고급 과정 및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과정 종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헌팅 중개 시스템.
  4.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상기 교육 과정에 대한 교육비가 결제되면 상기 교육 과정에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장 실습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비를 해당 실습 제휴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 처리하는 단계;
    실습 제휴 가맹점 단말이 자격증 발급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비용을 입금받고 현장 실습을 진행한 후 현장 실습 과정에 대한 결과를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에 제공 하는 단계;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상기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상기 교육 과정의 종류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하고,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헤드 헌팅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헤드 헌팅 중개 서버가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 헌팅 중개 서버가 기업 단말로부터 모집 분야 및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인력 추천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업의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인력 추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헌팅 중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 및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교육 과정 히스토리 및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각각과 상기 모집 분야 및 상기 자격 조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점수를 각각을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미엄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별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취득한 자격증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일반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헌팅 중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자격증 발급 기관 서버가 자격증 취득 요청에 따라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자격증 취득 신청 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 자격증 종류 및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교육 과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 과정 각각은 단계가 할당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단계부터 어느 정도의 단계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이 조합되는지 여부에 따라 일반 가정, 중간 과정, 고급 과정 및 사용자 선택 교육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과정 종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헌팅 중개 방법.
KR1020200003056A 2019-11-22 2020-01-09 전문인력 중개 시스템 KR102311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1546 2019-11-22
KR1020190151546 2019-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82A true KR20210063182A (ko) 2021-06-01
KR102311264B1 KR102311264B1 (ko) 2021-10-13

Family

ID=7637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056A KR102311264B1 (ko) 2019-11-22 2020-01-09 전문인력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352B1 (ko) * 2022-02-14 2023-03-31 최진권 O2o 기반 무인 꽃자판기를 이용한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2504B1 (ko) * 2022-07-07 2023-04-17 정병식 e-스포츠의 아카데미 및 경기 운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45B1 (ko) * 2003-11-08 2005-01-29 김달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3929A (ko) * 2007-07-05 2009-01-12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주문식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1672A (ko) * 2008-04-22 2009-10-27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블렌디드러닝 종합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KR101894958B1 (ko) * 2016-12-08 2018-09-05 김미란 광고를 포함한 취업연계 직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45B1 (ko) * 2003-11-08 2005-01-29 김달문 자격인증을 통한 인재관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3929A (ko) * 2007-07-05 2009-01-12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주문식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1672A (ko) * 2008-04-22 2009-10-27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블렌디드러닝 종합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KR101894958B1 (ko) * 2016-12-08 2018-09-05 김미란 광고를 포함한 취업연계 직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352B1 (ko) * 2022-02-14 2023-03-31 최진권 O2o 기반 무인 꽃자판기를 이용한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2504B1 (ko) * 2022-07-07 2023-04-17 정병식 e-스포츠의 아카데미 및 경기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64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gemen et al. A framework for contractors to reach strategically correct bid/no bid and mark-up size decisions
AlGhamdi et al. Factors Influencing e‐commerce Adoption by Retailers in Saudi Arabia: a qualitative analysis
KR101809624B1 (ko) 온라인을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80162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aggregating rankings of people, companies and products based on social network acquaintances and authoristies' opinions
Ye et al. The Value of Reciprocity in Online Barter Markets
Nazari et al. Fuzzy AHP model for prequalification of engineering consultants in the Iranian public procurement system
KR20180093326A (ko) 구인기업을 직접 연결하는 헤드헌팅 플랫폼 시스템
KR102311264B1 (ko) 전문인력 중개 시스템
JP2004524622A (ja) 商品満足度を適用した電子商取引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00000264A (ko) 온라인 또는 모바일에 의한 시공업체 선정 시스템 및 시공업체 선정 방법
KR101588025B1 (ko) 대리인 선임을 위한 온라인 경매 시스템
Al-Humaidi Construction projects bid or not bid approach using the fuzzy 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FTOPSIS method
Shalwani et al. Differentiation of evaluation criteria in design-build and construction manager at risk procurements
US201301514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buying and renting real properties
CN110443502A (zh) 基于工人能力测评的众包任务推荐方法和系统
KR101944062B1 (ko) Ipo 팀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CA2931470A1 (en) Online real estate services matching system
Shane et al. Legal challenge to a best-value procurement system
KR20200069724A (ko) 그룹헤드헌팅 및 기업소개가 가능한 헤드헌팅중개서비스 방법
KR20010084717A (ko) 건설관련 거래의 인터넷 공개경쟁 입찰 중개처리 방법
KR20220051963A (ko) 각종 사건 사고에 대한 전문가 역경매 시스템
Hawlitschek Trust in the Sharing Economy: A Behavioral Perspective on Peer-to-Peer Markets
KR20090026912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문가 경매 시스템 및 그 경매방법
Yankah Marketing practices of quantity surveying consultancy firms
KR2005001543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정보 및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