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290A -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290A
KR20000063290A KR1020000034297A KR20000034297A KR20000063290A KR 20000063290 A KR20000063290 A KR 20000063290A KR 1020000034297 A KR1020000034297 A KR 1020000034297A KR 20000034297 A KR20000034297 A KR 20000034297A KR 20000063290 A KR20000063290 A KR 2000006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ecu
transmitt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송우범
디비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범, 디비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우범
Priority to KR102000003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290A/ko
Publication of KR2000006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29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때 센서를 통하여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어주고, 또한 휴대폰을 통하여 원격 시동을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여 이를 음성으로 알려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기화 단계에서 차량 상태를 진단하여 충격정도가 기준치보다 큰가 또는 주행거리가 기준치보다 많은가 또는 오일 사용 정도가 기준치보다 많은가 등을 판단하여 각각의 경우 기준치를 초과할 때 차량(100)에서 휴대폰(200)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S6), 휴대폰에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출력하게 되며, 휴대폰(200)을 사용하여 차량(100)을 원격제어하는 경우, 휴대폰(200)의 버튼입력상태를 판단하여 *버튼을 누르면 제1신호가 발생하여 차량의 시동키를 제어하여 시동이 걸리게 하고, #버튼을 누르면 제2신호가 발생하여 차량의 도어개폐제어를 하여 도어개폐를 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remocon notify device of a car condition}
본 발명은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때 센서를 통하여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어주고, 또한 휴대폰을 통하여 원격 시동을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여 이를 음성으로 알려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 원격으로 시동을 걸거나 끌 수 있으며 또한 트렁크를 열거나 도어를 열 수 있는 수단이 제안되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수단에 있어서는 차량에 별도의 설치를 해야 하며 원격 시동기를 항상 휴대하고 있어야 사용 가능하다.
또한, 차량에 경보장치를 설치하여 사람이나 차량가 일정 충격이상으로 접촉할 경우 자동적으로 벨이 울리면서 경보하도록 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의 원격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원격 시동기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차량이 훼선되어 경보가 발생하여도 운전자가 멀리 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처리할 수 없었으며, 경보수단 등을 별도로 설치하므로 설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ECU를 통하여 경보 기능, 원격 시동 기능, 자가 진단 기능, 음성 통보 기능 등을 제어하도록 하고 이를 휴대폰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상태 원격 통보를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을 사용한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충격감지센서 2:주행감지센서
3:오일감지센서 4:ECU
5,18:송신부 7,11:수신부
12:코덱 13:음성 변환부
14:음성 출력부 17:마이컴
100:차량 200:휴대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여부를 감지하여 일정레벨 이상일 때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충격센서, 차량의 주행거리를 판단하여 일정거리이상 주행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감지 센서, 차량의 오일사용상태를 감지하여 일정한 오일 사용기간이 지나면 이를 감지하는 오일 감지 센서, 상기 각 센서들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ECU, 상기 ECU의 제어에 따라 송신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ECU의 제어에 의해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ECU의 제어에 의해 시동을 걸거나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시동키 및 도어개폐부를 포함하는 차량과; 상기 차량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신호를 디코딩하는 코덱, 상기 코덱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음성 변환부, 상기 음성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특정 신호를 입력하여 해당되는 신호를 원격으로 송신하기 위한 특정신호 송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부호 100은 차량을 나타낸 것이고, 200은 휴대폰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차량(100)은 충격여부를 감지하여 일정레벨 이상일 때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와, 차량의 주행거리를 판단하여 일정거리이상 주행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주행 감지 센서(2)와, 차량의 오일사용상태를 감지하여 일정한 오일 사용기간이 지나면 이를 감지하는 오일 감지 센서(3)와, 상기 각 센서(1-3)들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ECU(4)와, 상기 ECU(4)의 제어에 따라 송신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5)와, 상기 ECU(4)의 제어에 의해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6)와, 휴대폰으로부터의 원격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7)와, 상기 ECU(4)의 제어에 의해 시동을 거는 시동키(8)와, 상기 ECU(4)의 제어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부(9)로 구성된다.
또한, 휴대폰(200)은 상기 차량(200)의 송신부(5)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와, 상기 수신부(11)의 신호를 디코딩하는 코덱(12)과, 상기 코덱(12)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음성 변환부(13)와, 상기 음성변환부(13)에 의해 변환된 음성신호를 스피커(15)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4)와, 원격 제어를 하기 위한 버튼부(16)와, 상기 버튼부(16)의 버튼 입력에 따라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17)과, 상기 마이컴(17)의 제어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하고 집에 들어간 경우 다른 차량이나 사람이 차량(100)을 훼손하거나 충격을 가할 경우 이러한 충격이 일정레벨 이상이 되면 차량(10)에 부착된 충격감지센서(1)에서 이를 감지하여 ECU(4)로 보내게 된다.
따라서, ECU(4)에서는 차량(100)에 충격이 가해진 것을 인식하여 송신부(5)를 통하여 소정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휴대폰(200)의 수신부(11)에서는 상기 차량(100)의 송신부(5)로부터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코덱(12)으로 보내게 되므로 코덱(12)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음성변환부(13)로 보내게 된다.
또한, 음성변환부(13)에서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이를 음성으로 변환시켜 음성 출력부(14)를 통하여 스피커(15)로 출력시키게 된다.
즉, 차량 접촉이나 사람이 차량을 훼손한 경우 자동적으로 차량(100)에서 휴대폰(200)으로 신호를 보내어 휴대폰(200)에서 예를 들어, "차량이 훼손되었습니다"라는 기저장된 음성을 발생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집에 있을지라도 차량의 훼손시 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100)에는 주행감지센서(2)가 스티어링 휠에 부착되어 있어 주행시 이를 감지하게 되는데 차량(100)이 일정거리 이상을 주행하게 되면 주행감지센서(2)에서 이를 감지하여 ECU(4)로 신호를 보내게 되므로 ECU(4)에서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도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송신부(5)를 통하여 휴대폰(200)으로 신호를 전송하므로 휴대폰(200)을 통하여 차량이 일정거리를 주행했음을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일 감지센서(3)를 통하여 차량(100)의 오일상태를 항상 파악하여 오일을 일정시간이상 사용하여 바꾸어 줄 필요가 있을 경우 이를 휴대폰(200)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알려 줄 수 있는 것이다.
즉, 오일감지센서(3)에 의해 감지된 오일 상태신호를 ECU(4)에서 인식하여 기준치보다 많이 사용한 경우 ECU(4)에서 송신부(5)를 통하여 소정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운전자의 휴대폰(200)을 통하여 음성으로 현재 차량(100)의 오일상태를 알려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이와 같은 차량(100)과 휴대폰(200)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로, 초기화 단계(S1)에서 차량 상태를 진단하여(S2) 충격정도가 기준치보다 큰가 또는 주행거리가 기준치보다 많은가 또는 오일 사용 정도가 기준치보다 많은가 등을 판단한다(S3-S5).
그리고 각각의 경우 기준치를 초과할 때 차량(100)에서 휴대폰(200)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S6), 휴대폰에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출력하게 되는 것이다(S6,S7).
한편, 본 발명은 휴대폰(200)을 통하여 차량(100)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휴대폰(200)의 버튼부(16)에서 예를 들어, 시동을 걸기 위해 *버튼을 누르면 마이컴(17)에서 이를 인식하여 송신부(18)를 통하여 소정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차량(100)의 수신부(7)에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ECU(4)로 보낸다.
따라서, ECU(4)에서는 시동키(8)를 제어하여 시동을 걸므로 차량(100)에 시동이 걸려 운전 가능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휴대폰(200)을 통하여 차량(100)의 도어를 개폐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휴대폰(200)의 버튼부(16)의 #버튼을 누르면 마이컴(17)에서 이를 인식하여 송신부(18)를 통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100)의 수신부(7)에서는 상기 휴대폰(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ECU(4)로 보내게 되므로 ECU(4)에서는 도어 개폐부(9)를 제어하여 도어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이와 같은 휴대폰(200)을 사용하여 차량(100)을 원격제어하는 관계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로, 휴대폰(200)의 버튼입력상태를 판단하여 *버튼을 누른 경우 제1신호가 발생하여 차량의 시동키를 제어하여 시동이 걸리게 하고(S11-S15), 또한 #버튼을 누른 경우 제2신호가 발생하여 차량의 도어개폐제어를 하여 도어개폐를 하도록 한다(S16-S18).
즉, 본 발명은 차량(100)의 상태를 자가 진단하여 이를 원격으로 운전자의 휴대폰(200)으로 보내어 현재 차량(100)의 상태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때 센서를 통하여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어줌으로써 차량의 훼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휴대폰을 통하여 원격 시동을 걸 수 있는 등의 차량 제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여 이를 휴대폰을 통하여 음성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차량 내부에서 음성으로 알려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충격여부를 감지하여 일정레벨 이상일 때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충격센서, 차량의 주행거리를 판단하여 일정거리이상 주행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감지 센서, 차량의 오일사용상태를 감지하여 일정한 오일 사용기간이 지나면 이를 감지하는 오일 감지 센서, 상기 각 센서들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ECU, 상기 ECU의 제어에 따라 송신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휴대폰으로부터 원격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ECU의 제어에 의해 시동을 걸거나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시동키 및 도어개폐부를 포함하는 차량과,
    상기 차량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신호를 디코딩하는 코덱, 상기 코덱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음성 변환 및 출력부와, 특정 신호를 입력하여 해당되는 신호를 원격으로 송신하기 위한 특정신호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KR1020000034297A 2000-06-21 2000-06-21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KR20000063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97A KR20000063290A (ko) 2000-06-21 2000-06-21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97A KR20000063290A (ko) 2000-06-21 2000-06-21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290A true KR20000063290A (ko) 2000-11-06

Family

ID=1967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297A KR20000063290A (ko) 2000-06-21 2000-06-21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2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78A (ko) * 2001-07-04 2003-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는방법
KR100748146B1 (ko) * 2005-02-25 2007-08-09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78A (ko) * 2001-07-04 2003-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는방법
KR100748146B1 (ko) * 2005-02-25 2007-08-09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6113B2 (ja) 携帯型通信装置、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携帯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監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携帯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監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369777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시스템,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 장치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00063290A (ko)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JP2014177188A (ja) 開閉体作動報知装置及び開閉体作動報知システム
KR20020022166A (ko)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장치
KR100461797B1 (ko) 텔레매틱스장치가 구비된 차량도난방지장치
KR100668398B1 (ko) 도어상태 감시장치
KR1002340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상태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KR200195775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자동차 원격조작장치
JP3546109B2 (ja) 不正使用自動通報装置
KR200180095Y1 (ko)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KR200362297Y1 (ko) 주차 차량의 상황 인식장치
KR0171831B1 (ko) 버스방식을 이용한 집합주택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및 방법
KR100193071B1 (ko) 양방향 페이저를 이용한 차량의 도난경보장치
KR0143753B1 (ko)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자동차구동 제어장치
KR100210139B1 (ko)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KR20010039103A (ko) 휴대폰을 통한 차량상태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KR200247663Y1 (ko) 음성을 이용한 차량 도난 경보장치
KR100372450B1 (ko) 차량 조명 시스템
RU22991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ароля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пособ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ы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KR20100020236A (ko)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무선통신장치 및 차량 제어시스템
KR20060117509A (ko) 경보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64230Y1 (ko) 장애인용 경보 장치
KR19990031107A (ko) 차내의 과열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