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398B1 - 도어상태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상태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398B1
KR100668398B1 KR1020000006473A KR20000006473A KR100668398B1 KR 100668398 B1 KR100668398 B1 KR 100668398B1 KR 1020000006473 A KR1020000006473 A KR 1020000006473A KR 20000006473 A KR20000006473 A KR 20000006473A KR 100668398 B1 KR100668398 B1 KR 100668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ate
mode
door lock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262A (ko
Inventor
민병준
박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398B1/ko
Publication of KR2001008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 E04G21/063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making use of vibrating or jolting tools
    • E04G21/065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making use of vibrating or jolting tools acting upon the shut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상태를 계속해서 감시하여 이를 원격지의 사용자가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상태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자물쇠(L)의 잠김상태를 계속해서 감지하는 감지센서(10); 시간을 계속해서 경과시키는 타이머(20); 상기 감지센서(10)에 의해 감지된 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를, 고주파 신호형태로 목적지로 송신하는 블루투쓰 모듈(40); '모드설정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60); 상기 키패드(60)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시각적으로 출력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51, 52); 상기 LED(51, 52)를 구동시키는 LED 구동부(50); 및 사용자의 상기 키패드(60)를 통한 모드설정에 따른 처리와 상기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거주지의 도어자물쇠의 미잠금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실수로 도어를 잠그지 않고 외출한 경우나, 또는 외부인의 침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출시에도 도어자물쇠의 상태를 몰라 불안해 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인이 침입한 경우 그 피해를 최소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어 상태, 이동 전화기, 무선 호출기, 블루 투쓰, 고주파 신호

Description

도어상태 감시장치{An apparatus for watching door stat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상태 감시장치가 구현된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도1의 네트워크 구성 중 본 발명에 따른 도어상태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도1의 네트워크 구성 중 댁내전화기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4a 및 도4b는 도2의 도어상태 감시장치에 의해 감지된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미잠김) 상태와 도어 잠김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도어개폐부 HP : 이동전화기
L : 도어자물쇠 P : 무선호출기
10 : 감지센서 20 : 타이머
30, 220 : 제어부 40, 210 : 블루투쓰 모듈
50 : LED 구동부 51, 52 : LED
60, 240 : 키패드 100 : 본 발명에 따른 도어상태 감시장치
200 : 댁내전화기(TP) 221 : 롬
222 : 램 230 : DTMF신호 생성부
250 : DTMF신호 검출부 260 : 전화접속 인터페이스부
300 : 공중전화망(PSTN) 400 : 게이트 웨이
500 : CDMA 이동통신망 600 : 무선호출망
본 발명은, 도어상태를 계속해서 감시하여 이를 원격지의 사용자가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상태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물쇠 등과 같은 도어 잠금장치는 오직 도어를 잠그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도어의 잠김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거주자가 직접 자신의 거주지의 도어상태를 확인하는 방법밖에는 없었다.
따라서, 거주자가 원거리로 외출한 경우에 외부인 침입여부 또는 자신의 실수로 거주지의 도어를 잠그지 않은 것으로 의심되어 거주지의 도어상태를 확인하고자 하여도, 가족구성원이 모두 외출하여 거주지가 비어있는 경우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거주자를 매우 불안하게 하고, 이로 인해 거주자가 직접 거주지까지 와서 도어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거주자가 원거리에서도 자신의 거주지의 도어상태를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도어상태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상태 감시장치는, 도어 잠김상태를 감지하고 보고하는 노멀모드, 감시모드, 오프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 설정하는 모드 설정수단;상기 도어의 잠김상태 변화를 계속해서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설정된 모드별 해당 경과시간의 진행을 확인하는 시간경과수단; 및 상기 설정수단이 노멀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시간 경과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 할 때마다 상기 감지수단이 도어 잠김해제 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상기 댁내 중계기에 송신하며, 상기 설정수단이 감시모드로 설정되고, 도어잠김이 해제된 시점부터 상기 시간 경과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감지수단이 도어 잠김해제 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상기 댁내 중계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상태 감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상태 감시장치가 구현된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감시하여 도어상태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하나인 블루투쓰(Bluetooth) 방식에 따른 고주파(RF) 신호 형태로, 댁내 중계기로 전송하는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와, 댁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로 부터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를 수신해석하고, 이에 따른 도어자물쇠(L)의 상태정보를 기 설정저장된 이동전화번호 또는 무선호출번호에 해당하는 이동단말기로 송신하는 댁내전화기(TP)(200)와, 상기 댁내전화기(200)와 전화선을 통해 유선연결되는 공중전화망(PSTN)(300)과, 게이트웨이(Gate way)(400)를 통해 상기 공중전화망(300)에 연결접속되어, 상기 공중전화망(300)을 통해 제공받은 도어상태에 관한 음성 안내메세지를 해당 이동전화기(HP)로 무선송신하는 CDMA 이동통신망(500)과, 그리고 상기 공중전화망(300)에 연결접속되어, 상기 공중전화망(300)을 통해 제공받은 도어자물쇠(L)의 상태에 관한 특정번호를 해당 무선호출기(P)로 무선송신하는 무선호출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 중 본 발명에 따른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어자물쇠(L)의 잠김상태를 계속해서 감지하는 감지센서(10); 시간을 계속해서 경과시키는 타이머(20); 상기 감지센서(10)에 의해 감지된 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를, 고주파 신호형태로 목적지로 송신하는 블루투쓰 모듈(Bluetooth Module)(40); 모드설정을 위한 '모드설정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60); 상기 키패드(60)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시각적으로 출력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51, 52); 상기 LED(51, 52)를 구동시키는 LED 구동부(50); 및 사용자의 상기 키패드(60)를 통한 모드설정에 따른 처리와 상기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구성은 자물쇠(L)의 내부 또는 별도 모듈로 자물쇠(L)에 인접하여 도어에 부착 고정된다.
도3은 도1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 중 중계기 기능을 갖는 댁내전화기(TP)(200)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1의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의 블루투쓰 모듈(40)로 부터 전송되는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쓰 모듈(Bluetooth Module)(210);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에 관한 음성안내 메세지 등이 기 저장되어 있는 롬(ROM)(221); 이동전화번호 또는 무선호출번호 등을 입 력설정하기 위한 키패드(240); 상기 입력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호출번호 등을 저장하기 위한 램(RAM)(222); 상기 입력설정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호출번호 등에 상응하는 DTMF신호를 생성출력하는 DTMF신호 생성부(230); 통화로 상의 신호중 DTMF신호를 검출하는 DTMF신호 검출부(250); 전화선을 통해 외부 공중전화망(300)에 유선연결되어, 상대측 전화기와 전화통화를 가능토록 하는 전화접속 인터페이스부(PSTN i/F)(260); 및 상기 전화접속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한 도어자물쇠(L)의 상태정보 제공 및 상기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이동전화기 또는 무선호출기)를 통해 거주지의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중계기 기능을 갖는 상기 댁내전화기(200)의 키패드(240)를 통해, 소지하고 있는 이동전화기(HP)의 이동전화번호 또는 무선호출기(P)의 무선호출번호를 입력설정하게 되는데, 무선호출번호의 입력설정시에는 추가로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미잠김) 상태를 나타내는 특정번호(예를 들어, 123-0000)를 입력설정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무선호출기(P)를 통해 123-0000번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 번호로 부터 현재 도어상태, 즉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잠김해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입력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호출번호를 상기 램(222)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의 키패드(60) 상에 구비된 '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원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하지 않고 거주지에 위치하고 있어 이동단말기를 통해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드설정 버튼'을 이용하여 현재의 모드를 '오프모드(Off Mode)'로 설정하게 되고, 만약 사용자가 외출시에 외부인의 침입여부를 우려하여 원격지에서 도어자물쇠(L)가 잠김해제 상태로 감지될 때마다 이를 보고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멀모드(Normal Mode)'로 설정하게 되고, 또 만약 사용자가 외출시에 깜박잊고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자물쇠(L)를 잠그지 않을 경우를 우려하여 잠김상태 해제 후 소정시간 경과후에도 도어자물쇠(L)의 상태가 잠김해제 상태로 감지되면 이를 보고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모드를 '감시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0)가 도어의 상태(On/Off)를 계속해서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노멀모드'와 '감시모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60)를 통해 '노멀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LED 구동부(50)를 제어하여 녹색 LED(51)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설정모드가 '노멀모드'임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드설정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타이머(20)에 의해 진행되는 시간 확인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모드설정한 시간부터 소정시간(예를 들어, 5분)이 경과하였는지를 계속해서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사용자의 모드설정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도어개폐부(H)의 회전된 상태를 감지하는 상기 감지센서(10)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 부터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계속해서 감시하게 되고, 상기 감시결과 현재 도어상태가 도4a에서와 같은 잠김해제 상태, 즉 사용자가 외출하면서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약속된 데이터를 상기 블루투쓰 모듈(40)로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쓰 모듈(40)은 상기 제어부(30)로 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상응하는 고주파신호를, 블루투쓰 방식에 따라 중계기, 즉 상기 댁내전화기(20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의 상기 댁내전화기(200)에의 도어자물쇠(L)의 상태보고는 상기 제어부(30)가 도어개폐부(H)에 의해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잠김해제 상태로 판단할 때마다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상기 감시결과 현재 도어자물쇠(L)의 상태가 도4b에서와 같은 잠김상태, 즉 사용자가 외출하면서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자물쇠(L)를 잠근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댁내전화기(200)에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보고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만약,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60)를 통해 '감시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LED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적색 LED(52)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설정모드가 '감시모드'임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드설정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지센서(10)에 의해 감지되는 도어자물쇠(L)의 상태가 잠김상태에서 잠김해제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계속해서 확인하고, 도어자물쇠(L)가 잠김해제 상태로 전환되면 그 시점부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타이머(20)에 진행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소정시간(예를 들어, 3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 확인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다시 상기 감지센서(10)에 의해 감지되는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여전히 도어자물쇠(L)의 상태가 도4a와 같은 잠김해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외출하기 위해 거주지 내에서 도어개폐부(H)를 회전시켜 도어를 연 뒤, 거주지 밖을 나선 다음 열쇠를 이용하여 자물쇠(L)를 잠그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30)는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약속된 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신호 형태로, 중계기 기능을 갖는 상기 댁내전화기(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소정시간 경과한 다음 현재 도어자물쇠(L)의 상태가 도4b에서와 같은 잠김상태, 즉 사용자가 외출하면서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자물쇠(L)를 잠근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댁내전화기(200)에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보고하지 않게 된다.
상기 댁내전화기(200)의 블루투쓰 모듈(210)은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의 블루투쓰 모듈(40)로 부터 전송되는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22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20)는 현재의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잠김해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램(222)에 기 설정저장되어 있는 이동전화번호 또는 무선호출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번호에 상응하는 다이얼 키값을 상기 DTMF신호 생성부(230)에 인가하고, 동시에 상기 전화접속 인터페이스부(260)가 후크 오프(hook-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DTMF신호 생성부(230)는 상기 제어부(220)로 부터 인가되는 다이얼 키값에 상응하는 DTMF신호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전화접속 인터페이스부(260)는 상기 생성출력되는 DTMF신호를 유선연결된 공중전화망(300)으로 송출하여 호접속을 요청한다.
상기 공중전화망(300)에서는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DTMF신호의 전치번호(prefix)로 부터 이동전화기(HP) 또는 무선호출기(P)에 요청된 호임을 인식하게 되는데, 만약 이동전화기(HP)에 요청된 호로 인식되면, 상기 DTMF신호에 해당하는 착신지 전화번호를 게이트웨이(400)를 경유하여 상기 CDMA 이동통신망(500)에 제공함으로써, 호를 요청한 발신측, 즉 댁내전화기(200)와 상기 이동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전화기(HP)간에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와 같은 호접속 요청후에 상기 이동전화기(HP)와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롬(221)에 기 저장되어 있는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에 관한 음성 안내메세지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전화접속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상기 이동전화기(HP)로 출력하는데, 즉 상기 음성 안내메세지는 "이 전화는 귀하의 댁내전화기로 부터 걸려온 전화입니다. 현재 귀하의 거주지 도어는 잠겨져 있지 않습니다"로서, 이동전화기(HP) 소지자로 하여금 도어자 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고, 적절한 조치, 예를 들어 가족구성원 중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가족구성원에게 도어상태를 알리거나, 거주지에서 멀어진 거리가 얼마되지 않으므로 되돌아와 직접 도어를 잠그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댁내전화기(200)의 상기 롬(221)에 음성 안내메세지 대신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알리는 미리 약속된 특정 소리음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음성 안내메세지 대신 특정 소리음을 통해 알릴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만약, 상기 공중전화망(300)에서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DTMF신호의 전치번호(prefix)로 부터 무선호출기(P)에 요청된 호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상기 DTMF신호에 해당하는 착신지 무선호출번호를 상기 무선호출망(600)에 제공함으로써, 무선호출기(P)에 호출요청한 발신측, 즉 댁내전화기(200)에서 상기 무선호출번호에 해당하는 무선호출기(P)의 호출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댁내전화기(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램(222)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전화번호(123-0000)를 독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다이얼 키값을 상기 DTMF신호 생성부(230)에 인가하여, 상기 무선호출망(600)을 통해 연결상태에 있는 해당 무선호출기(P)로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무선호출기(P) 소지자는 소지하고 있는 무선호출기(P) 상에 표시되는 특정번호(123-0000)로 부터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를 인식하게 되고, 상기에서와 같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가 모드에 따라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즉 미잠김 상태 감지시에 이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자동으로 알릴 수도 있으나, 또한 사용자가 상기 댁내전화기(200)에 전화를 걸어 이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전화기(200)에 전화를 걸게되면, 상기 댁내전화기(200)에서는, 상기 롬(221)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음성 안내메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음성 안내메세지로 부터 다이얼 버튼을 눌러 도어자물쇠(L)의 상태확인 서비스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DTMF신호 검출부(250)에서 검출되는 다이얼 버튼값으로 부터 요청된 내용을 파악한 뒤,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에서의 보고여부에 따라 현재 확인된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음성 안내메세지 형태로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댁내전화기(200)의 제어부(220)에서는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로 부터 가장 최근에 보고된 도어자물쇠(L)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만약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의 제어부(30)로 부터 도어자물쇠(L)의 상태에 대해 보고된 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20)는 현재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잠김상태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잠김상태로 제공하거나,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에 현재의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문의한 다음, 보고되는 내용에 따라 도어자물쇠(L)의 상태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만약 상기 도어상태 감시장치(100)의 제어부(30)에서 상기 댁내전화기(200) 에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 보고시에 상기 타이머(20)에 의해 진행된 현재시각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댁내전화기의 제어부(220)는 도어자물쇠(L)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안내메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시에, 도어자물쇠(L)의 잠김해제 상태인 경우에는 이를 확인한 시각까지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도어자물쇠(L)의 상태가 잠김해제, 즉 미잠김 상태로 확인되었는지 까지도 알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에서 돌아온 경우에는 상기 키패드(60) 상의 '모드설정 버튼'을 이용하여 '오프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거주지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노멀모드' 또는 '감시모드'를 자유롭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상태 감시장치는,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또는 외출 직후에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거주지의 도어자물쇠의 미잠금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실수로 도어를 잠그지 않고 외출한 경우나, 또는 외부인의 침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출시에도 도어자물쇠의 상태를 몰라 불안해 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인이 침입한 경우 그 피해를 최소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도어 잠김상태를 감지하고 보고하는 노멀모드, 감시모드, 오프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 설정하는 모드 설정수단;
    상기 도어의 잠김상태 변화를 계속해서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설정된 모드별 해당 경과시간의 진행을 확인하는 시간경과수단; 및
    상기 설정수단이 노멀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시간 경과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 할 때마다 상기 감지수단이 도어 잠김해제 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상기 댁내 중계기에 송신하며, 상기 설정수단이 감시모드로 설정되고, 도어잠김이 해제된 시점부터 상기 시간 경과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감지수단이 도어 잠김해제 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상기 댁내 중계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상태 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감지된 잠김해제 상태를 블루투쓰(Blue Tooth)방식에 의한 고주파신호 형태로 상기 댁내 중계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상태감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이 오프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감시수단이 감지한 상태를 상기 댁내 중계기에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상태 감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현재의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상태 감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도어에 부착된 보조 자물쇠의 개폐 손잡이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상태 감시장치.
KR1020000006473A 2000-02-11 2000-02-11 도어상태 감시장치 KR100668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473A KR100668398B1 (ko) 2000-02-11 2000-02-11 도어상태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473A KR100668398B1 (ko) 2000-02-11 2000-02-11 도어상태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262A KR20010081262A (ko) 2001-08-29
KR100668398B1 true KR100668398B1 (ko) 2007-01-12

Family

ID=1964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473A KR100668398B1 (ko) 2000-02-11 2000-02-11 도어상태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7209B2 (en) 2011-10-28 2015-06-16 Joseph Eichenstein Low-cost door key with switch sensor indicator to detect dead bolt lock status
KR20200053982A (ko)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아모센스 봉인 장치 및 이의 상태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660B1 (ko) * 2001-10-19 2004-07-21 김영수 방범, 방재 기능을 갖는 무선 도어락 시스템
KR101983449B1 (ko) * 2017-07-19 2019-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35B1 (ko) * 1995-08-28 1998-12-15 김광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도어개/폐기능 구현방법
JPH1131282A (ja) * 1997-07-10 1999-02-02 Hasegawa Kagaku Kenkyusho:Kk 簡易警備システム
KR19990060587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장치
KR19990083847A (ko) * 1999-08-19 1999-12-06 정지운 도어록 장치
KR200177560Y1 (ko) * 1999-10-28 2000-04-15 천국성 침입자 자동 통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35B1 (ko) * 1995-08-28 1998-12-15 김광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도어개/폐기능 구현방법
JPH1131282A (ja) * 1997-07-10 1999-02-02 Hasegawa Kagaku Kenkyusho:Kk 簡易警備システム
KR19990060587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장치
KR19990083847A (ko) * 1999-08-19 1999-12-06 정지운 도어록 장치
KR200177560Y1 (ko) * 1999-10-28 2000-04-15 천국성 침입자 자동 통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7209B2 (en) 2011-10-28 2015-06-16 Joseph Eichenstein Low-cost door key with switch sensor indicator to detect dead bolt lock status
KR20200053982A (ko)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아모센스 봉인 장치 및 이의 상태 감지 방법
KR102519906B1 (ko) 2018-11-09 2023-04-10 주식회사 아모센스 봉인 장치 및 이의 상태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262A (ko)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919B2 (en) Automatic picture and text alerting camera, with inbuilt smoke and motion detectors
AU672174B2 (en) Alarm installation
KR100668398B1 (ko) 도어상태 감시장치
US7096001B2 (en) Security system with telephone controller
KR200234152Y1 (ko) 원격 경보/인터폰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KR100668391B1 (ko) 댁내 상태보고 전화기
KR1006323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KR100714921B1 (ko) 가스밸브 상태 감시장치
KR980010923A (ko) 무인 안전 관리 시스템
KR19990053611A (ko) 가정자동화시스템의경보장치및방법
EP1087602A2 (en) Alarm system
KR200199006Y1 (ko)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한 방범장치
KR200306156Y1 (ko) 방범 전화 시스템
KR200234153Y1 (ko) 원격 인터폰/경보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KR20090120618A (ko)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KR100576231B1 (ko) 침입 감지 경보 장치
JPH09212778A (ja) パーソナ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phsの端末器
KR200163241Y1 (ko) 도난경보장치일체형전화기
KR100621689B1 (ko)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출입정보 알림 장치
KR20000041878A (ko) 경보/호출 전화기 및 이를 사용한 경보/호출 방법
KR200409812Y1 (ko) 인터폰 시스템
JP2642259B2 (ja) 集合住宅通話システム
KR20000043713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AU2002300449B2 (en) A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KR100277455B1 (ko) 가정범죄자동신고장치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