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449B1 -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449B1
KR101983449B1 KR1020170091746A KR20170091746A KR101983449B1 KR 101983449 B1 KR101983449 B1 KR 101983449B1 KR 1020170091746 A KR1020170091746 A KR 1020170091746A KR 20170091746 A KR20170091746 A KR 20170091746A KR 101983449 B1 KR101983449 B1 KR 101983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de
unit
activator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659A (ko
Inventor
하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4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티베이터는 도어 감지장치가 감지한 도어의 이상 동작의 전송에 관한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리포팅 모드에서 다른 어느 하나의 리포팅 모드로 변경하는 모드 체인징부, 현재 실행 중인 리포팅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모드 체인징부가 변경한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에게 송신하는 송신부, 및 모드 체인징부, 표시부 및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ACTIVATOR, MOBILE DEVICE, AND CONTROL DEVICE OF ACTIVATING REPORTING MODE OF DOORE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댁내 보안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집안 내의 도어의 개폐는 거주자가 문을 열고 닫으면서 개폐를 설정할 수 있는데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혹은 닫은 것으로 거주자가 오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곧 보안의 해제 상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집안 내에 보안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전체적인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주택이 오래되거나 1인 가구가 거주하는 공간에 고가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보안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인 도어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어의 개폐 상태의 리포팅 모드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리포팅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티베이터는 도어 감지장치가 감지한 도어의 이상 동작의 전송에 관한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리포팅 모드에서 다른 어느 하나의 리포팅 모드로 변경하는 모드 체인징부, 현재 실행 중인 리포팅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모드 체인징부가 변경한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에게 송신하는 송신부, 및 모드 체인징부, 표시부 및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는 제어장치로부터 도어 감지장치의 이상 동작 메시지 및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어장치에게 이상 동작 메시지의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이상 동작 메시지 및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설정 정보의 변경을 입력받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부, 및 수신부와 송신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설정 정보는 제어장치가 배치된 공간의 보안 상태의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상 동작 메시지의 수신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는 모바일 장치에게 도어 감지장치의 이상 동작 메시지 및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도어 감지장치로부터 이상 동작 메시지를 수신하며 모바일 장치로부터 이상 동작 메시지의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현재 리포팅 모드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송신부, 수신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도어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리포팅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댁내의 보안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도어의 개폐 상태를 리포팅하도록 모드를 설정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댁내의 보안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별도의 보안 시스템의 설치 없이도 액티베이터와 모바일 장치, 그리고 도어 감지장치와 제어장치의 구성을 이용하여 문의 개폐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구성요소들 및 이들의 상호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 구성요소들의 상호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에에 의한 액티베이터가 도어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티베이터가 물리적 버튼 형태의 구성일 경우 구성 및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치형 액티베이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인터페이스에 연계하여 사용자가 외출하는 과정에서 현관문에 배치된 액티베이터를 누를 경우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에서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티베이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액티베이터(100c)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15의 구성인 액티베이터가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가 외출하거나 귀가하는 경우에 외출 모드 또는 귀가 모드 등 모드를 전환하거나 특정 모드를 실행시키는 장치를 액티베이터(Activator)라고 한다. 액티베이터는 현관문에 버튼 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액티베이터는 모바일 장치의 앱 상에서 버튼과 같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액티베이터는 현관문에 배치된 센서가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는데, 이 센서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의 위치를 센싱하며 사용자가 외부로 이동하는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될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어 감지장치는 창문, 문 등에 부착되는 감지장치로 창문나 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변화가 발생할 경우, 혹은 열린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어 감지장치는 센싱된 정보를 제어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어 감지장치는 창문이나 문에 배치될 수도 있고, 액티베이터와 결합하여 현관문의 열림 혹은 닫힘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장치는 모바일 장치, 액티베이터, 도어 감지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특히, 액티베이터가 모드를 변경하면 해당 모드에 적합하게 도어 감지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에서 액티베이터를 실행한 경우, 액티베이터의 설정에 따라 도어 감지장치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더 이상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구성요소들 및 이들의 상호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티베이터가 현관문과 같이 댁내의 최외곽 출입문에 설치된 구성이다. 또한, 도어 감지장치는 댁내의 하나 이상의 창문에 배치된다. 액티베이터(100)는 최외곽 출입문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외출 혹은 귀가할 경우 액티베이터(100)를 누르거나 터치하여 특정한 모드(외출 모드 또는 귀가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액티베이터(100)를 누르거나 터치하면 액티베이터(100)는 누름 혹은 터치된 상황을 제어장치(200)에게 전송한다. 한편 댁내의 다수 창문과 문에 배치된 도어 감지장치(300)는 도어의 열리거나 닫히거나 혹은 열린 상태가 유지되는 등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일정한 간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액티베이터(100)에 의해 실행된 모드에 따라 도어 감지장치(300)가 제공하는 정보를 모바일 장치(500)에게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500)가 도어 감지장치(300)의 상태를 알림 메시지로 전송하는 횟수를 조절하거나 혹은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설정하면 이는 제어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 구성요소들의 상호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액티베이터(100)가 모바일 장치(500)에 설치된 앱 형태로 구현된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구성에서 모바일 장치(500)의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500)에 설치된 액티베이터(100)를 실행시켜 댁내 도어 감지장치(300)에 관련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댁내에 위치하면서도 모바일 장치(500)의 액티베이터(100)를 실행시켜 도어 감지장치(300)가 감지한 창문의 상황을 확인하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500)의 액티베이터(100)의 실행 결과는 제어장치(200)로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전달되며 제어장치(200)는 액티베이터(100)가 설정하는 모드에 따라 도어 감지장치(300)의 정보를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2와 같은 구성의 또다른 실시예로 제어장치(200)와 모바일 장치(500) 간에 통신 방식에 의해 액티베이터(100)를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혹은 리포팅 모드를 제어장치(200)가 변경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댁내에서 제어장치(200)와 모바일 장치(500)는 댁내통신의 일 실시예로 Wi-Fi와 같은 무선랜, 혹은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모바일 장치(500)가 외부로 이동하면 제어장치(200)와 모바일 장치(500)는 동일한 공유기를 이용한 Wi-Fi가 아닌 상이한 방식(예를 들어 유선 랜 혹은 이동통신 방식 등)으로 통신할 수 있는데, 제어장치(200)는 모바일 장치(500)와 통신하는 방식이 변경되거나 더이상 모바일 장치(500)와의 통신이 댁내 통신의 방식이 아닌 경우 제어장치(200)는 모바일 장치(500)에게 액티베이터(100)를 실행시킬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장치(200)는 모바일 장치(500)의 액티베이터(100)를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혹은 제어장치(200)는 모바일 장치(500)와의 통신 방식이 무선 랜 방식에서 이동 통신 방식으로 변경될 경우, 제어장치(200)가 보안 상태의 리포팅에 관한 리포팅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와 동일한 무선랜 장치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장치(500)가 댁내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여 귀가 모드라는 리포팅 모드를 제어장치(200)가 실행시키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와 동일한 무선랜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제어장치(200)가 확인되면 이 경우 모바일 장치(500)가 댁내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여 외출 모드라는 리포팅 모드를 제어장치(200)가 실행시키는 것을 또다른 실시예로 한다. 이는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의 위치에 따라 액티베이터 대신 리포팅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에에 의한 액티베이터가 도어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베이터(100c) 내에 도어 감지장치(300a)가 배치되어 있다. 현관문에 배치된 액티베이터(100c)는 현관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 감지장치(300a)를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출하는 과정에서 현관문에 배치된 액티베이터(100c)를 푸쉬하여 외출 모드로 설정할 수 있고, 귀가하는 과정에서 현관문에 배치된 액티베이터(100c)를 푸쉬하여 귀가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외출 모드가 된 경우, 도어 감지장치(300a)는 현관문이 열리고 닫히는 변화를 감지하여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메시지 형태로 제어장치(200)에게 전송한다.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메시지를 일부 가공하거나 혹은 그대로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액티베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지, 그리고 액티베이터가 어떤 장치와 결합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액티베이터는 현관문, 창문 등에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액티베이터는 각각 설치된 문의 열림과 닫힘 상황을 제어장치(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3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외출 및 귀가 시 현관에 부착된 액티베이터를 물리적으로 눌러 외출모드(알림 설정 On) 및 귀가모드(알림 설정 Off)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사용자는 댁내/댁외 어디에서도 액티베이터를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댁내의 도어 감지장치(300)와 제어장치(200)가 외출모드(알림 설정 On) 및 귀가모드(알림 설정 Off)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하면 제어장치(200)는 문이나 창문이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3분, 5분, 30분 등) 이상 열려있으면 지속적으로 특정한 간격(3분, 5분 혹은 1시간 등)에 따라 문이 열려있음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도 3과 같이 액티베이터와 도어 감지장치가 결합된 구성에서는 보다 쉽게 액티베이터를 동작시킬 수 잇다. 현관문 혹은 창문에 부착된 액티베이터의 위치와 활용도를 고려하여 실 생활에서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주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 및 모바일 장치(500)는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정보와 적극적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댁내 도어들의 상태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 감지장치의 단순한 모니터링 및 센싱 정보를 그대로 제공하는 방식 외에도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정보로 가공하여 적극적인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어 감지장치(300)가 감지하는 도어가 열린 거리에 비례해서 제어장치(200)가 메시지의 중요도 혹은 긴급도를 달리 설정하여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5cm가 열린 경우에는 제어장치(200)가 문이 열렸다는 이상 동작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로 전송하는 반면, 30cm가 열린 경우에는 긴급 혹은 경보음과 함께 이상 동작 메시지가 모바일 장치(500)에서 표시되도록 별도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동작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로는, i) 이상 동작하는 도어의 식별정보, ii) 이상 동작이 발생한 시점, iii) 이상 동작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않은 경우 유지된 시간, iv) 긴급함의 종류 등이 될 수 있다. 긴급함의 종류란, 도어에 따라 보안의 중요도를 두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문이 열리는 것은 가장 긴급한 것으로 설정하고, 사람이 드나들기 어려운 창문이 열리는 것은 긴급하지 않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어의 특성에 따라 창문인 경우 사람이 통과할 수 없는 작은 간격으로 열리는 경우에는 긴급하지 않은 것으로 설정하고, 사람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 큰 간격으로 열리는 경우 긴급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티베이터가 물리적 버튼 형태의 구성일 경우 구성 및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액티베이터(100a)를 버튼 방식으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액티베이터(100a)의 동작 상황, 즉 리포팅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110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LED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액티베이터(100a)를 누를 경우 LED가 켜지고, 다시 한번 누를 경우 LED가 꺼지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액티베이터(100a)가 눌러짐으로 인해 액티베이터(100a)를 통한 모드 변경이 제어장치(200)에게 전달되고, 제어장치(200)는 변경된 모드(외출 모드 또는 귀가 모드 등)에 따라 도어 감지장치(300)로부터 감지된 문/창문 등의 상황을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액티베이터(100a)가 현관문(1) 또는 창문(2)에 배치된 구성이다. 현관문(1)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외출 및 귀가 과정에서 현관문(1)에 배치된 액티베이터(100a)를 물리적으로 눌러서 외출 모드(알림 설정 On) 및 귀가 모드(알림 설정 Off)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창문(2)에 배치된 액티베이터(100a)를 물리적으로 눌러서 창문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개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배치된 액티베이터(배치형 액티베이터)(100a)를 특정한 상황에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제어장치(200)에게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메시지 형태로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에서 살펴본 액티베이터(100a)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치형 액티베이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내지 도 5의 배치형 액티베이터(100a)와 제어장치(200) 및 모바일 장치(500) 사이의 상호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리포팅 모드의 일 실시예로 외출 모드와 귀가 모드로 나뉘어지는데, 외출 모드인 경우 도어 감지장치(300)가 감지한 도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리포팅 모드는 둘 이상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외출 모드, 귀가 모드, 취침 모드가 될 수 있으며, 취침 모드인 경우 도어가 열리면 모바일 장치(500)에 설치된 앱이 경고음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리포팅 모드로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등을 감지하면 이를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하는 외출 모드와 전송하지 않는 귀가 모드로 나누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출 또는 귀가 외에도 취침 모드(경고음의 크기를 높이는 경우), 방범 모드(밤에 모바일 장치로 알리는 경우) 등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액티베이터(100a)가 눌려져서(S10) 귀가 모드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송신한다(S11). 이 과정에서 액티베이터(100a)의 표시부는 리포팅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LED가 꺼질 수 있다. 액티베이터(100a)와 제어장치(200)는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혹은 Wifi와 같은 무선랜을 이용한 통신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장치(200)는 리포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리포팅 모드를 변경한다(S12). 이 과정에서 제어장치(200)는 선택적으로 모드 변경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한다(S12a). 예를 들어 "리포팅 모드가 귀가 모드로 변경됩니다"라는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 팝업시키도록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도어 감지장치(300)가 도어의 변화된 상태, 즉 도어 감지장치(300)가 감지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 메시지를 도어 감지장치(300)가 제어장치(200)에게 전송한다(S13). 도어 감지장치(300) 역시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혹은 Wifi와 같은 무선랜을 이용한 통신을 을 이용하여 제어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 전송하지 않는데, 앞서 S12에서 리포팅 모드 변경이 귀가 모드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사용자가 집을 나서면서 액티베이터(100a)를 누를 경우(S14), 외출 모드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송신한다(S15). 이 과정에서 액티베이터(100a)의 표시부는 리포팅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LED가 반짝이거나 켜질 수 있다. 액티베이터(100a)와 제어장치(200)는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혹은 Wifi와 같은 무선랜을 이용한 통신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보았다.
한편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장치(200)는 리포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리포팅 모드를 변경한다(S16). 외출 모드로 변경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장치(200)는 선택적으로 모드 변경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한다(S16a). 예를 들어 "리포팅 모드가 외출 모드로 변경됩니다"라는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 팝업시키도록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도어 감지장치(300)가 도어의 변화된 상태, 즉 감지장치(300)가 감지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도어 감지장치(300)가 제어장치(200)에게 전송한다(S17). 도어 감지장치(300) 역시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혹은 Wifi와 같은 무선랜을 이용한 통신을 을 이용하여 제어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 전송하는데(S18), 앞서 S16에서 리포팅 모드 변경이 외출 모드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모바일 장치(500)는 수신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표시하고, 리포팅 모드를 바꾸거나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의 알림 간격을 조절하는 등 앱을 통하여 리포팅 모드에 대응한다(S19).
S18 과정에서 제어장치(200)는 이상 동작 메시지를 즉시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혹은 일정 간격(5분 혹은 30분 등)을 누적한 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는 도어 감지장치(300)의 식별정보도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모바일 장치(500)는 어떠한 창문 혹은 문이 열린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모바일 장치(50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501)는 현재 액티베이터(100a)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보여주는 영역(21), 설정된 모드에 따라 문이나 창문이 열리면 알림 메시지를 받을 것인지를 설정하는 영역(22), 문이나 창문이 닫히면 알림 메시지를 받을 것인지를 설정하는 영역(23), 그리고, 액티베이터(100a)의 기능인 리포팅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모바일 장치(500)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24)으로 구성된다. 24 영역은 도 2의 실시예를 구현한 것으로 모바일 장치(500)에서 액티베이터를 동작시키는 인터페이스이다.
도 7에서 사용자는 현관문에 배치된 액티베이터(100a)를 실제 누름으로써 리포팅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24 영역을 제어하여 외출 및 귀가 모드와 같이 리포팅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인터페이스에 연계하여 사용자가 외출하는 과정에서 현관문에 배치된 액티베이터(100a)를 누를 경우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01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출하며 현관문에 배치된 액티베이터(100a)를 누를 경우, 502와 같은 팝업이 뜨면서 액티베이터(100a)를 누름으로 인해 리포팅 모드가 외출 모드로 변화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리고 60초 후 외출모드가 실행되었다는 메시지가 503과 같이 팝업메시지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귀가하며 액티베이터(100a)를 누를 경우 504와 같이 귀가 모드로 전환된다는 메시지가 팝업 메시지로 표시된다.
502, 503, 504 메시지는 제어장치(200)가 전송하는 푸쉬(push) 알림 메시지로 수신하여 확인할 수 모바일 장치(5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어가 열렸다는 이상 동작 메시지(S17)가 제어장치(200)에게 전송되고, 열린 상태라는 이상 동작 메시지가 5분동안 지속하여 제어장치(200)에게 전송된 경우, 제어장치(200)는 5분간 문이나 창문이 열렸음을 팝업 메시지(508)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500)의 터치형 디스플레이부의 팝업을 닫거나 혹은 반복 알림을 해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509는 특정한 도어가 열렸다는 이상 동작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다. 각 도어 감지장치(300)는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도어가 열린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문이나 창문이 5분 이상 열려있을 시 지속적으로 5분 간격으로 문이 열려있음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에서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의 510은 액티베이터에 의해 현재 리포팅 모드가 외출 혹은 귀가 모드 중 어느 하나인 상태에서 도어 감지장치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간격을 511에서 조정하는 것을 보여준다. 511 영역을 터치하여 도 11의 512와 같이 반복 알림을 설정할 경우, 5분마다 문이나 창문의 열림 상태를 알려주도록 설정한다. 511과 같이 반복 알림을 오프인 상태에서 511 영역을 터치하여 도 11의 512와 같이 반복 알림으로 설정하면 이후 도어 감지장치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제어장치(200)가 일정한 간격으로 모바일 장치에게 송신하거나 혹은 모바일 앱이 자체적으로 알림 상태를 팝업 메시지로 표시한다.
도 12는 팝업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이며, 사용자는 팝업 메시지의 "반복 알림 끄기"를 선택하여 알림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알림 끄기를 선택한 경우, 도 13의 510의 513 영역과 같이 반복 알림이 꺼진 상태가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티베이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현관문 혹은 각각의 창문 등에 배치되는 액티베이터(100a)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드 체인징부(120a)는 도어 감지장치가 감지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의 전송에 관한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리포팅 모드에서 다른 어느 하나의 리포팅 모드로 변경한다. 모드 체인징부(120a)는 일종의 버튼과 같이 외부에서 누르거나 터치할 경우에 리포팅 모드를 변경시킨다. 만약 리포팅 모드가 외출 모드와 귀가 모드와 같이 두 개라면, 두 개의 리포팅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리포팅 모드가 외출/귀가/취침 모드라면 모드 변경의 순서에 따라 리포팅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출 모드에서 모드 체인징부(120a)가 눌러질 경우 귀가 모드로 변경하며, 이 상태에서 모드 체인징부(120a)가 눌러질 경우 다시 취침 모드로 변경하며, 다시 모드 체인징부(120a)가 눌러질 경우 외출 모드가 될 수 있다. 액티베이터(100a)는 선택적으로 메모리를 일 실시예로 하는 저장부(130a)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저장부(130a)는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현재 실행 중인 리포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30a)가 없이 액티베이터(100a)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모드 체인징부(120a)가 눌러지면, 송신부(140a)에서 눌러졌다는 정보를 제어 장치(200)에게 전송하면 제어 장치(200)가 현재 리포팅 모드에서 다른 리포팅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표시부(110a)는 현재 실행 중인 리포팅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외출 모드는 빨간색, 귀가모드는 파란색으로 표시하거나 혹은 외출모드는 점멸, 귀가모드는 꺼짐으로 표시하는 등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액티베이터(100a)가 별도의 리포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110a)는 모드 체인징부(120a)가 눌러졌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눌러질 경우에 점멸하거나 불이 켜지거나 혹은 꺼질 수 있다.
또한, 송신부(140a)는 모드 체인징부(120a)가 변경한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송신한다. 이 과정에서 모드 체인징부(120a)가 단순히 눌러졌다는 정보만을 송신부(140a)가 제어장치(200)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어떠한 리포팅 모드로 변경했는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a)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액티베이터(100a)는 제어장치(20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신부(1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140a)가 제어장치(200)에게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 수신부(150a)는 제어장치(200)로부터 모드의 변경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a)는 전술한 확인하는 메시지를 수신부(150a)가 수신한 후, 표시부(110a)의 리포팅 모드를 변경하여 리포팅 모드의 변경이 제어장치(200)에게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가 확인된 후 표시부(110a)를 통해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티베이터(100a)는 제어장치(200)와 리포팅 모드의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모바일 장치(500)가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모바일 장치 감지부(1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a)는 모바일 장치 감지부(160a)가 모바일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면 모드 체인징부(120a)가 리포팅 모드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a)는 모바일 장치 감지부(160a)가 모바일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면 송신부(140a)가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부(110a)를 통해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표시할 수 있다.
액티베이터(110a)에서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실행시키는 것은 모드 체인징부(120a)이다. 변경이 제어장치(2000에게 전송되어 리포팅 모드가 변경될 수도 있고, 액티베이터(110a)가 리포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30a)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액티베이터(100c)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액티베이터(100c)는 도어 감지장치(300a)를 내재하고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15의 구성 중 동일한 지시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들은 모두 도 14와 중복되므로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액티베이터(100c)는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장치(300a)를 포함한다. 이 경우 액티베이터(100c)는 설치된 현관문, 창문 혹은 기타 다양한 문의 열림 혹은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40c)는 앞서 도 14에서 살펴본 송신부(140a)의 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리포팅 모드에 따라 감지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상 동작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14와 달리, 도 15의 송신부(140c)는 도어 감지장치(300a)가 감지한 정보를 추가로 제어장치(2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액티베이터(!00c)는 각 도어 별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이상 동작 메시지는 어느 도어가 열리거나 닫혔는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15의 구성인 액티베이터(100c)가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액티베이터(100c)가 도어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어 감지장치가 도어의 이상 상태(열림 혹은 닫힘 등)를 감지하면 이에 대한 이상 동작 메시지를 전송할 지 여부를 액티베이터(100c)가 결정할 수 있다.
리포팅 모드의 일 실시예로 외출 모드와 귀가 모드로 나뉘어지는데, 외출 모드인 경우 도어 감지장치(300)가 감지한 도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리포팅 모드는 둘 이상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외출 모드, 귀가 모드, 취침 모드가 될 수 있으며, 취침 모드인 경우 도어가 열리면 모바일 장치(500)에 설치된 앱이 경고음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리포팅 모드로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등을 감지하면 이를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하는 외출 모드와 전송하지 않는 귀가 모드로 나누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출 또는 귀가 외에도 취침 모드(경고음의 크기를 높이는 경우), 방범 모드(밤에 모바일 장치로 알리는 경우) 등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액티베이터(100c)가 눌려져서(S30) 귀가 모드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송신한다(S31). 이 과정에서 액티베이터(100c)의 표시부는 리포팅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LED가 꺼질 수 있다. 액티베이터(100c)와 제어장치(200)는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혹은 Wifi와 같은 무선랜을 이용한 통신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장치(200)는 리포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리포팅 모드를 변경한다(S32). 이 과정에서 제어장치(200)는 선택적으로 모드 변경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한다(S32a). 예를 들어 "리포팅 모드가 귀가 모드로 변경됩니다"라는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 팝업시키도록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집을 나서면서 액티베이터(100c)를 누를 경우(S34), 외출 모드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송신한다(S35). 이 과정에서 액티베이터(100c)의 표시부는 리포팅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LED가 반짝이거나 켜질 수 있다. 액티베이터(100c)와 제어장치(200)는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혹은 Wifi와 같은 무선랜을 이용한 통신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보았다.
한편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장치(200)는 리포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리포팅 모드를 변경한다(S36). 외출 모드로 변경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장치(200)는 선택적으로 모드 변경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한다(S36a). 예를 들어 "리포팅 모드가 외출 모드로 변경됩니다"라는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 팝업시키도록 제어장치(200)가 모바일 장치(500)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도어 감지장치(300a)가 도어의 변화된 상태, 즉 도어 감지장치(300a)가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을 감지하면(S37) 액티베이터(100c)의 송신부(140c)가 이상 동작 메시지를 제어장치(200)에게 전송한다(S38).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500)에 전송하는데(S39), 앞서 S36에서 리포팅 모드 변경이 외출 모드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모바일 장치(500)는 수신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표시하고, 리포팅 모드를 바꾸거나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의 알림 간격을 조절하는 등 앱을 통하여 리포팅 모드에 대응한다(S40).
S39 과정에서 제어장치(200)는 이상 동작 메시지를 즉시 모바일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혹은 일정 간격(5분 혹은 30분 등) 동안 감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누적한 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는 액티베이터(100c)의 식별정보도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모바일 장치(500)는 어떠한 창문 혹은 문이 열린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모바일 장치(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장치(200)로부터 도어 감지장치의 이상 동작 메시지 및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550), 제어장치(200)에게 이상 동작 메시지의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560), 그리고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이상 동작 메시지 및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설정 정보의 변경을 입력받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부(570)와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부(590)를 포함한다. 설정 정보란 제어장치(200)가 배치된 공간의 보안 상태의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하나 혹은 이상 동작 메시지의 수신 간격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500)에 리포팅 모드를 변경하는 액티베이터 기능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590)는 이상 동작 메시지의 설정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터치형 디스플레이부(570)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어부(590)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부(570)에서 입력된 설정 정보를 송신부(560)가 제어장치(200)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장치(200)는 수신부(210), 송신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송신부(220)는 모바일 장치(200)에게 도어 감지장치의 이상 동작 메시지 및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 수신부(210)는 도어 감지장치(300)로부터 이상 동작 메시지를 수신하며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이상 동작 메시지의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도어 감지장치(300a)가 액티베이터(100c)에 포함된 구성인 경우 수신부(210)는 전술한 이상 동작 메시지를 액티베이터(100c)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현재 리포팅 모드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전술한 이상 동작 메시지가 모바일 장치(200)에게 전송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제어부(290) 또는 송신부(220)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9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설정 정보란 제어장치(200)가 배치된 공간의 보안 상태의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하나 혹은 이상 동작 메시지의 수신 간격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리포팅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모바일 장치(200)에서 이루어질 경우 수신부(210)는 리포팅 모드에 대한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반대로 액티베이터(100)가 리포팅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수신부(210)는 액티베이터(100)로부터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8의 제어장치는 일종의 홈 오토메이션 서버(Home Automation Server) 혹은 WiFi 무선랜 게이트웨이(공유기), TV 등 가정 내에 배치되는 다양한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싱예에 의한 액티베이터 및 모바일 장치, 제어장치를 구현할 경우, 사용자는 외출이나 귀가 시 현관에 부착된 액티베이터(100)를 한번 눌러 자동으로 모든 알림 설정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치를 통해서도 이러한 액티베이터 기능을 제공하므로, 물리적 액티베이팅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액티베이터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프로토콜의 변경에 따라 리포팅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액티베이터의 누름 없이도, 제어장치가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패킷이 동일한 공유기의 WiFi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경우, 제어장치는 모바일 장치가 집안 내에 배치된 것으로 제어장치의 제어부(290)가 판단하여 리포팅 모드를 귀가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제어장치가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패킷이 동일한 공유기의 WiFi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별도의 액티베이터 설정이 없어도 모바일 장치가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리포팅 모드를 외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제어장치가 모바일 장치의 위치에 따라 집안 내의 리포팅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방범 시스템을 간단하게 액티베이터와 제어장치, 그리고 각 도어에 설치하는 도어 감지장치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창문을 열고 외출하거나 취침 시 문이 열려있는 것을 잊어버린 사용자에게 문단속 할 수 있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오래된 건물의 경우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문 열림 반복 알림이 방범의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액티베이터 200: 제어장치
300: 도어 감지장치 500: 모바일 장치

Claims (9)

  1. 창문 또는 문이 열리거나 닫히거나 열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 감지장치가 감지한 도어의 이상 동작의 전송에 관한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리포팅 모드에서 다른 어느 하나의 리포팅 모드로 변경하는 모드 체인징부;
    상기 현재 실행 중인 리포팅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모드 체인징부가 변경한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에게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모드 체인징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감지장치는 도어가 열린 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도어 감지장치가 감지하는 도어가 열린 거리에 비례해서 중요도 또는 긴급도가 달리 설정된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를 생성하는, 액티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베이터는 상기 송신부가 상기 제어장치에게 상기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모드의 변경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하는 메시지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후, 상기 표시부의 리포팅 모드를 변경하는, 액티베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베이터는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리포팅 모드의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모바일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모바일 장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 감지부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모드 체인징부가 상기 리포팅 모드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액티베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베이터는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기 도어 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리포팅 모드에 따라 감지된 도어의 이상 동작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를 상기 제어장치에게 송신하는, 액티베이터.
  5. 제어장치로부터 도어 감지장치의 이상 동작 메시지 및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장치에게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의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 및 상기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설정 정보의 변경을 입력받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어장치가 배치된 공간의 보안 상태의 둘 이상의 리포팅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의 수신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감지장치는 창문 또는 문이 열리거나 닫히거나 열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감지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감지장치가 감지하는 도어가 열린 거리에 비례해서 중요도 또는 긴급도가 달리 설정된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모바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의 설정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형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형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송신부가 상기 제어장치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
  7. 모바일 장치에게 도어 감지장치의 이상 동작 메시지 및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도어 감지장치로부터 이상 동작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의 리포팅 모드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현재 리포팅 모드 및 상기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송신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감지장치는 창문 또는 문이 열리거나 닫히거나 열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감지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도어 감지장치가 감지하는 도어가 열린 거리에 비례해서 상기 이상 동작 메시지의 중요도 또는 긴급도를 달리 설정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하는,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액티베이터로부터 리포팅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리포팅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장치.
KR1020170091746A 2017-07-19 2017-07-19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 KR101983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46A KR101983449B1 (ko) 2017-07-19 2017-07-19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46A KR101983449B1 (ko) 2017-07-19 2017-07-19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59A KR20190009659A (ko) 2019-01-29
KR101983449B1 true KR101983449B1 (ko) 2019-05-28

Family

ID=6532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746A KR101983449B1 (ko) 2017-07-19 2017-07-19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660B1 (ko) * 2020-09-24 2021-09-07 주식회사 한결산업 추락방망 정상 설치 감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47B1 (ko) * 2002-04-15 2010-01-19 파나소닉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398B1 (ko) * 2000-02-11 2007-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도어상태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47B1 (ko) * 2002-04-15 2010-01-19 파나소닉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660B1 (ko) * 2020-09-24 2021-09-07 주식회사 한결산업 추락방망 정상 설치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59A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013B2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using same
CA2894838C (en) Security panel communication system
KR101025963B1 (ko) 자체 감시 무선 네트워크
CN105125088A (zh) 智能提示电饭锅信息的方法及装置
US20160004231A1 (en)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device, managing system, electrical device, operation terminal, and program
KR101983449B1 (ko) 도어 감지장치의 리포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액티베이터, 모바일 장치 및 제어장치
US11631309B2 (en) Security system communicator and keypad device
JP5030497B2 (ja) 警備システム
JP6289031B2 (ja) 通信システム
CN110969825A (zh) 工业遥控器及采用工业遥控器的检测方法
JP2005025434A (ja) セキュリティ装置
JP5170749B2 (ja) 住宅監視システム
KR201901297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05866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106003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sensor configuration
US20150142135A1 (en) Door/window sensor
JP4345469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208256077U (zh) 一种警报通知系统
KR100969206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p형 수신기
JP616147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コントローラ
TWM482811U (zh) 無線安防存取裝置以及自動設定的安防系統
JP5925072B2 (ja) 火災受信機
WO2020086575A1 (en) Proxy nodes for expanding the functionality of nod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JP2019159565A (ja) 模擬装置、模擬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見守りシステム
JP2001136132A (ja) 無線送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