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618A -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618A
KR20090120618A KR1020080046513A KR20080046513A KR20090120618A KR 20090120618 A KR20090120618 A KR 20090120618A KR 1020080046513 A KR1020080046513 A KR 1020080046513A KR 20080046513 A KR20080046513 A KR 20080046513A KR 20090120618 A KR20090120618 A KR 2009012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ttery capacity
battery
door lock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훈
천범석
박희경
박재완
김계영
김승규
김유리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이씨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이씨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이씨앤코
Priority to KR102008004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618A/ko
Publication of KR2009012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에 설치된 도어락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현관에 구비되며, 현관문의 잠금/잠금해제 기능을 제공하도록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에 대한 배터리용량정보를 검출하는 도어락; 상기 도어락과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검출된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고,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로부터 예상되는 배터리 방전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잔여시간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입력에 의해 배터리 체크 기능이 온 설정 되면, 상기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중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에 대응되는 잔여용량이미지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와 상기 잔여시간설정정보에 의해 산출된 잔여시간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홈 네트워크, 도어락, 도어폰, 배터리, 잔여 용량

Description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WITH BATTERY CAPACITY DISPLAY FUNCTION OF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에 설치된 도어락 또는 도어폰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내의 개인용 단말기, 제어기기, 가전기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통합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외부의 공중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접속되어 댁내 혹은 댁외, 위치에 상관없이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통보받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현관에서 도어의 잠금/잠금해제 기능을 제공하며, 세대원 출입 통제기 능, 방범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도어락, 현관에 설치되며, 도어락과 연동하여 방문자와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 기능, 세대원 호출 기능, 도어락 제어를 통한 방범 및 댁내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도어폰, 실내에 마련되어 실내 및 실외 상황을 확인하며, 각종 장치(도어락, 도어폰 등)를 제어하며, 호출 기능 및 알림 기능 등을 제공하는 월패드 등을 구성한다.
이때, 도어락은 현관에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공급 라인을 마련하기 보다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충전 또는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장시간 사용된 배터리는 방전되어 충전 또는 교체를 해야하나, 장시간 집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도어락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잔여 용량이 일정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세대원이 현재 남은 배터리 잔여 용량을 항시 확인할 수 없어,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댁내의 세대원 등이 도어락의 배터리 잔여 용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고,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관에 구비되며, 현관문의 잠금/잠금해제 기능을 제공하도록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에 대한 배터리용량정보를 검출하는 도어락과, 상기 도어락과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검출된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고,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로부터 예상되는 배터리 방전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잔여시간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입력에 의해 배터리 체크 기능이 온 설정 되면, 상기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중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에 대응되는 잔여용량이미지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와 상기 잔여시간설정정보에 의해 산출된 잔여시간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현관에 구비되어 방문자와 통화/호출 기 능 및 도어락 제어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도어락과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상기 월패드에 전송하는 도어폰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월패드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배터리 잔여 용량에 대한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별 정지영상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로부터 예상되는 배터리 방전시간에 대한 방전시간설정정보를 저장하며, 외부입력에 의해 배터리 체크기능이 온 설정되면, 상기 단계별 정지영상정보 중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와 상기 방전시간설정정보에 의해 산출된 방전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월패드는 외부입력에 의해 상기 도어락의 배터리 잔여 용량별 알림을 위한 설정용량을 설정하는 용량알람설정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와 상기 용량알람설정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이 기설정된 설정용량에 도달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알림설정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 트워크 시스템은 도어락의 배터리 잔여용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며,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어, 방전에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도어락과 도어폰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월패드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1의 월패드로부터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이 구현된 일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어락(100), 도어폰(200), 월패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도어락(100)은 도어폰(200)과 무선 통신에 의해 도어폰(200)의 제어하에 도어의 잠금/잠금 해제 기능을 제공하며, 도어폰(200)은 월패드(300)와 유선통신에 의해 도어락 외출모드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어락(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 배터리용량검출부(120), 배터리(130), 키입력부(140), 메모리(150), RF통신부(160), 도어구동모 터(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10)는 도어구동모터(17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특히, 배터리용량검출부(120)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용량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하고, 배터리용량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도어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배터리용량검출부(120)는 배터리(130)와 연결되며, 배터리(130)로부터 현재 남은 배터리 용량이 주기적으로 검출되는 배터리용량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배터리용량정보는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배터리(130)는 도어락(100)을 구동하기 위한 충전형 또는 교체형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키입력부(140)는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 및 설정, 배터리(130)의 방전시 사용되는 비상키 등에 해당한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10)로부터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비밀번호 입력 및 설정정보를 저장하기도 한다.
RF통신부(160)는 도어폰(200) 또는 월패드(300)와 RF(Radio Frequency)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받아 도어폰(200)에 무선 전송한다.
도어구동모터(170)는 도어의 잠금/잠금해제시 잠금바(미도시)의 구동을 위한 모터이다.
한편, 도어폰(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로세서(210), 메모리(220), 키입력부(230), 전원부(240), 배터리체크모듈(250), 카메라모듈(260), 스 피커(270), 마이크(280), 도어락제어부(290), 유선통신부(291), RF통신부(292)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통신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메인프로세서(210)는 기본적으로 카메라모듈(260)로부터 촬상된 화상정보를 제공받아 월패드(300)에 화상정보를 전송하여 월패드(300)를 통한 화상 통화를 제공하거나 마이크(280) 및 스피커(270)를 통하여 음성 통화를 제어하며, 또한 도어락제어부(290)와 연동하여 도어락(100)의 잠금/ 잠금해제를 제어하거나 세대원 호출을 제어하며, 특히, 도어락(100)으로부터 무선 전송된 배터리용량정보를 제공받아 유선 통신에 의해 월패드(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통신부에서 무선통신에 의해 월패드(300)에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리(220)는 화상 또는 음성 통화시 녹화 또는 녹음 내용을 저장하며, 특히,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기도 한다.
키입력부(230)는 화상/음성 통화 버튼, 도어락 잠금/잠금해제 버튼, 호출 버튼, 녹화/녹음 버튼 등을 구성한다.
전원부(240)는 도어폰(200)을 구동하기 위한 충전형 또는 교체형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배터리체크모듈(250)은 별도의 독립 전원부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전원부(240)와 연결되어 전원부(240)로부터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을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배터리전원정보를 생성한다.
카메라모듈(260)은 도어폰 사용자(세대원 등)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로, 소형 카메라에 많이 사용되는 CCD 또는 CMOS 카메라 등이 될 수 있으며, 촬상에 의해 획득된 화상정보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월패드(300)에 전송할 수 있다.
스피커(270)는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마이크(280)는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시 도어폰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도록 한다.
도어락제어부(290)는 키입력부(230)로부터 외부입력받아 메인프로세서(210)의 제어하에 도어락 잠금/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선통신부(291)는 월패드(300)와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기본적으로 홈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RS232, RS422, RS485 통신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월패드(300)에 유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F통신부(292)는 도어락(100)과 RF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 특히,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상기 RF통신부(160)로부터 무선 전송받는다. 만일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월패드(300)에 무선전송하게 되는 경우, RF통신부(292)는 도어락(100)과의 RF무선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월패드(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일 수 있다. 또는 도어락(100)과의 RF무선통신을 수행하는 RF통신부(292)와 월패드(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별도의 무선통신부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월패드(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310), 메모리(320), 터치스크 린부(330), 전화제어부(340), 알람출력부(350), 배터리알림설정모듈(360), 배터리체크부(370), 유선통신부(38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통신부를 더 구비하여 도어폰(200)의 무선통신부(도시되지 않음) 또는 RF통신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CPU(310)는 월패드(300)와 연결된 도어락(100), 도어폰(200) 등의 제어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며, 특히, 도어폰(200)과 유선통신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량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메모리(3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배터리용량정보로부터 도어락(100)의 배터리 잔여 용량에 대한 잔여용량이미지정보 및 잔여시간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로부터 도어폰(200)의 배터리 잔여 용량에 대한 정지영상정보 및 방전시간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생성된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잔여시간정보, 정지영상정보, 방전시간정보를 터치스크린부(33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배터리알림설정모듈(360)로부터 도어락(100)에 대한 잔여 배터리 용량별 알림 설정에 따라 해당 설정된 알림시간(설정 용량에 도달)이 되면 알림요청정보를 전송받아 알람출력부(350)로부터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320)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잔여시간정보, 정지영상정보, 방전시간정보, 알림요청정보 등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터치스크린부(330)는 상기 CPU(310)의 제어하에 상기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잔여시간정보, 정지영상정보, 방전시간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도어락(100)의 배터리 잔여용량 디스플레이 온/오프 여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배터리 체크 온/오프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배터리 체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잔여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정지영상정보, 방전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락(100)의 배터리 잔여 용량에 대한 알림 설정인 용량알람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전화제어부(340)는 공중통신망(PSTN)을 통하여 전화기기(미도시)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월패드(300)와 연결된 개인컴퓨터와 화상 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알람출력부(35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330)를 통하여 외부 입력에 의해 용량알람설정정보가 입력된 후, 입력된 설정정보(용량알람설정정보)와 상기 배터리용량정보가 비교되어 상기 설정정보(용량알람설정정보)에 포함된 설정 용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배터리알림설정모듈(360)로부터 알림요청정보가 생성되면 전송받아 경보음을 출력한다.
배터리알림설정모듈(360)은 상기 터치스크린부(330)와 연동하여 상기 용량알람설정보가 입력되어 메모리(320)에 저장되면, 기저장된 용량알람설정정보에 포함된 설정 용량과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에 포함된 도어락(100)의 현재 배터리 잔여 용량을 비교하여 설정 용량에 도달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설정 용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CPU(310)에 전송한다.
배터리체크부(370)는 체크화면생성모듈(371)과 잔여시간환산모듈(372)을 더 포함한다.
체크화면생성모듈(371)은 도어락(100)의 배터리 용량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체크화면설정모듈은 상기 배터리용량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에 포함된 도어락(100)의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에 따라 상기 저장된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중 해당하는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부(330)에 전송하거나,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에 따라 상기 저장된 단계별 정지영상정보 중 해당하는 정지영상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부(33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잔여시간환산모듈(372)은 도어락(100) 배터리(130)에 대한 용량의 단계별 잔여시간설정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320)로부터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도어락(100)의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을 상기 잔여시간설정정보에 의해 현재 방전까지 남은 시간인 잔여시간정보를 산출한다.
유선통신부(380)는 도어폰(200)과 유선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RS232, RS232, RS422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를 구비하여 도어폰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어락(102), 월패드(302)로 구성된다. 앞서 언급된 실시예에서의 월패드의 기능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의 이해를 방해하지 않는고 할 것이다.
도어락(102)은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배터리용량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배터리용량정보는 무선 통신에 의해 월패드(302)에 전송한다. 월패드(30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390)를 구비하여 도어락(102)과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월패드(302)는 상기 도어락(102)의 배터리 용량에 따라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 생성하고, 잔여시간설정정보를 외부 입력받아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월패드(302)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터치스크린부(330)로부터 외부 입력에 의해 배터리 체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로부터 도어락(102) 배터리의 현재 잔여 배터리용량에 따라 상기 저장된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중 해당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도어락(102) 배터리의 현재 잔여 배터리용량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방전시간설정정보를 근거로 잔여시간정보를 산출하여 터치스크린부(3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 5에서의 월패드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월패드(302)는 도 3에서와 달리 무선통신부(390)를 구비하여 도어락(102)과 배터리용량정보에 대한 통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기 기능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월패드(300)에 구비된 배터리 체크 온/오프 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배터리 체크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00).
이때, 배터리 체크 온/오프 키는 도어락(100) 또는 도어폰(200)별로 따로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체크 기능이 활성화되면 도어락(100) 또는 도어폰(200)의 배터리로부터 현재 배터리 잔여 용량을 검출한다(S102).
검출된 배터리용량정보는 도어폰(200)에 무선 전송되고, 도어폰(200)은 월패드(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월패드(300)에 제공한다(S104).
월패드(300)는 도어락(100)의 배터리 용량에 대한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미리 설정 및 저장하며, 또한, 배터리의 잔여시간설정정보도 미리 설정받아 저장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의 현재 배터리 잔여 용량을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중 해당하는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잔여시간설정정보를 근거로 잔여시간정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06,S108).
이제, 터치스크린부(330)를 통하여 외부 입력에 의해 기설정받은 상기 용량알람설정정보가 있는지 판단한다(S110).
용량알람설정정보가 설정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용량알람설정정보에 포함된 설정용량과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의 현재 잔여 용량을 비교하여, 설정용량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112,S114).
판단결과 설정용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출력부(350)를 통하여 알람(경보음)을 출력한다(S116).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도어락과 도어폰의 세부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월패드의 세부적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월패드로부터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이 구현된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월패드의 세부적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기 기능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100, 102, 103 : 도어락 110 : 제어부
120 : 배터리용량검출부 130 : 배터리
140 : 키입력부 150 : 메모리
160 : RF통신부 170 : 도어구동모터
200 : 도어폰 210 : 메인프로세서
220 : 배터리 230 : 키입력부
240 : 전원부 250 : 배터리체크모듈
260 : 카메라모듈 270 : 스피커
280 : 마이크 290 : 도어락제어부
291 : 유선통신부 292 : RF통신부
300. 302 : 월패드 310 : CPU
320 : 메모리 330 : 터치스크린부
340 : 전화제어부 350 : 알람출력부
360 : 배터리알림설정모듈 370 :배터리체크부
371 : 체크화면생성모듈 372 : 잔여시간환산모듈
380 : 유선통신부 390 : 무선통신부

Claims (4)

  1. 현관에 구비되며, 현관문의 잠금/잠금해제 기능을 제공하도록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에 대한 배터리용량정보를 검출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검출된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고,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로부터 예상되는 배터리 방전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잔여시간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입력에 의해 배터리 체크 기능이 온 설정 되면, 상기 단계별 잔여용량이미지정보 중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에 대응되는 잔여용량이미지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와 상기 잔여시간설정정보에 의해 산출된 잔여시간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현관에 구비되어 방문자와 통화/호출 기능 및 도어락 제어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도어락과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상기 월패드에 전송하는 도어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월패드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를 전송받아 배터리 잔여 용량에 대한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별 정지영상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배터리용량정보로부터 예상되는 배터리 방전시간에 대한 방전시간설정정보를 저장하며, 외부입력에 의해 배터리 체크기능이 온 설정되면, 상기 단계별 정지영상정보 중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와 상기 방전시간설정정보에 의해 산출된 방전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월패드는,
    외부입력에 의해 상기 도어락의 배터리 잔여 용량별 알림을 위한 설정용량을 설정하는 용량알람설정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배터리용량정보와 상기 용량알람설정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잔여 배터리 용량이 기설정된 설정용량에 도달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알림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80046513A 2008-05-20 2008-05-20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KR20090120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13A KR20090120618A (ko) 2008-05-20 2008-05-20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13A KR20090120618A (ko) 2008-05-20 2008-05-20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962U Division KR20100005528U (ko) 2010-04-15 2010-04-15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618A true KR20090120618A (ko) 2009-11-25

Family

ID=4160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513A KR20090120618A (ko) 2008-05-20 2008-05-20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6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572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의식주컴퍼니 비대면 세탁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11662722B2 (en) * 2016-01-15 2023-05-30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2722B2 (en) * 2016-01-15 2023-05-30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WO2020130572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의식주컴퍼니 비대면 세탁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11930429B2 (en) 2018-12-18 2024-03-12 Lifegoeson Company Corp. Non-contact laundry service system, and service-provid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1536A1 (en) Monitoring integrated cordless phone and alarm system
US9679460B2 (en) Monitoring system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US20050128072A1 (en) Security system for a building
KR20090120618A (ko)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KR20100005528U (ko)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77428A (ko) 무선충전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AU2013237595A1 (en) Phone
KR101441507B1 (ko)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200234152Y1 (ko) 원격 경보/인터폰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644200B1 (ko)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JP201117649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668398B1 (ko) 도어상태 감시장치
JP200705866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6005530A (ja) 独居人安否確認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独居人用住居監視方法
KR100555029B1 (ko) 전화라인 및 전원라인을 통한 방범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495706B1 (ko)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100576231B1 (ko) 침입 감지 경보 장치
KR101083225B1 (ko) 보안기능 및 방문자 알림 기능을 가진 유무선전화기
JP2005176092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910577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