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139B1 -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139B1
KR100210139B1 KR1019960035398A KR19960035398A KR100210139B1 KR 100210139 B1 KR100210139 B1 KR 100210139B1 KR 1019960035398 A KR1019960035398 A KR 1019960035398A KR 19960035398 A KR19960035398 A KR 19960035398A KR 100210139 B1 KR100210139 B1 KR 10021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lephone
controller
signal
external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916A (ko
Inventor
장정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3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139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차량용 전화장치는 단순히 외부와의 전화통화만을 가능하게 할 뿐이고, 근래 널리 사용되고 있는 HA(HOME AUTOMATION)의 개념을 이용한 자동화시스템을 적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부전화기(1)를 통해 원거리에서 차량용 전화기(40)에 연결되어 있는 VA 콘트롤러(100)를 작동시키고, 상기 VA 콘트롤러(100)의 작동에 의해 차량의 원격시동장치(110)를 구동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실내 온도센서(120)를 작동시켜 차량의 실내온도를 검출하여 전화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로 송신하기나, 유량검출센서(130)를 작동시켜 차량과 연료잔량을 검출하여 전화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를 통해 송신하거나, 도어록크 어셈블리(140)를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 있을 때에도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운전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화장치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소유자가 차량 외부에서 차량의 전화기로 전화를 걸고, 상기 차량의 전화기를 이용해 차량의 상태를 파악함과 더불어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전화장치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재한 전화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 겸용안테나(10)와, 무선기(20)와, 차량용 ECU(30)와 전화기(40) 및 클레이들(50)로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 겸용 안테나(10)는 무선기(20)로부터 발생된 송신신호를 무선기지국을 통해 차량외부의 전화기로 발신하는 송신차량과 차량 외부로 발신된 신호를 무선기지국을 통해 수신하여 무선기로 전달하는 수신작용을 하며, 상기 무선기(20)는 무선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수신 및 발신 기능을 갖고, 통화음성신호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기지국에서의 지시에 따른 무선회선제어(착호·발호 신호 처리 등)와 전화기의 신호수수기능 등의 제어회로도 갖는다.
또한 상기 차량용 ECU(30)는 전화기(40)로부터 전달된 송신신호를 변환하여 무선기(20)로 전달하고, 무선기(20)로부터 전달된 수신신호를 변환하여 전화기(4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화기(40)는 마이크로폰, 스피커, 전원스위치, 텐키와 펑션 키 등으로 구성되어 전화를 사용하는 사람이 직접 조작하는 것이며, 상기 클레이들(50)은 상기 전화기(40)를 수납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전화장치는 단순히 외부와의 전화통화만을 가능하게 할 뿐이고, 근래 널리 사용되고 있는 HA(HOME AUTOMATION)의 개념을 이용한 자동화시스템을 적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에서 상기 HA는 외부에서 가정의 전화기로 전화를 걸고, 상기 가정의 전화기에 연결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장치를 원격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시스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전화용 ECU에 VA(VEHICLE AUTOMATION) 콘트롤러를 연결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온 후 소정의 펑션키가 눌려지면 차량의 원격시동장치를 작동하거나, 실내온도센서를 작동시켜 차량과 실내온도를 검출하여 전화기를 통해 송신하거나, 유량검출센서를 작동시켜 차량의 연료잔량을 검출하여 전화기를 통해 송신하거나, 도어록크 어셈블리를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차량용 전화장치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차량용 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전화장치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전화기 10 : 송수신 겸용 안테나
20 : 무선기 30 : 전화기용 ECU
40 : 전화기 50 : 클레이들
100 : VA 콘트롤러 110 : 원격시동장치
120 : 실내온도센서 130 : 유량검출센서
140 : 도어록크 어셈블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겸용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전화신호를 전달받고 무선기지국으로의 무선회선제어 및 신호수수기능을 하는 무선기와, 상기 무선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일정한 신호처리를 하는 차량용 ECU와, 상기 차량용 ECU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와, 상기 차량용 ECU에 차량외부의 전화기로부터 일정한 펑션키가 입력된 경우 작동하는 VA 콘트롤러와, 상기 VA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원격시동장치와, 상기 VA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차량내부의 온도에 따른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실내온도센서와, 상기 VA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연료 잔량에 따른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유량검출센서와, 상기 VA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크 어셈블리로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화기(1)로부터 차량으로 전화를 걸면 송수신 겸용 안테나(10)는 외부전화기(1)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무선기지국을 통해 수신하여 무선기로 전달하는 수신작용을 하며, 무선기(20)로부터 발생된 송신신호를 무선기지국을 통해 외부전화기(1)로 발신하는 송신작용을 한다. 상기 무선기(20)는 상기 송수신 겸용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차량용 ECU(30)로 전달하고, 상기 차량용 ECU(30)에서는 차량용 전화기(40)에 호출신호를 울리게 하여 외부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리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전화기(1)에서 차량용 전화기(40)의 전화번호를 누른 후 펑션키(도시되지 않음)를 누르면 자동적으로 VA 콘트롤러(100)가 작동된다. 상기 VA콘트롤러(100)는 외부전화기(1)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음성정보를 전송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외부전화기(1)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VA 콘트롤러(10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한 후 일치하지 않으면 전화를 끊고, 일치하면 상기 VA 콘트롤러(100)는 원격동작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원격동작모드에서는 원격시동장치(110)의 작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1번, 실내온도센서(120)의 작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2번, 유량검출센서(130)의 작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3번, 도어록크 어셈블리(140)의 작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4번을 누르라는 음성정보를 차량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로 송신한다.
상기 VA콘트롤러(100)는 상기 외부전화기(1)로부터 1번이 입력된 경우 원격시동장치(110)를 작동시켜 차량의 시동을 걸고, 2번이 입력된 경우 실내온도센서(120)를 작동시켜 차량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차량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로 상기 실내 온도에 대한 음성정보를 전달하여, 3번이 입력된 경우 유량검출센서(130)를 작동시켜 차량 연료탱크에 남아 있는 연료와 잔량을 검출하여 차량용 ECU(30)을 통해 외부전화기(1)로 상기 연료잔량에 대한 음성정보를 송신하고, 4번이 입력된 경우 도어록크 어셈블리(140)를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연다.
또한, 상기 VA 콘트롤러(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기억장치(도시되지 않음)에는 차량실내의 온도를 섭씨 5ℓ 단위로 구분하는 온도에 대한 음성정보와, 차량의 연료잔량을 5도 단위로 구분하는 연료에 대한 음성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실내온도센서(120)와 유량검출센서(130)의 검출신호에 따른 음성정보를 차량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로 송신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전화장치를 이용한 차량자동차시스템은 외부전화기(1)를 통해 원거리에서 차량용 전화기(40)에 연결되어 있는 VA콘트롤러(100)를 작동시키고, 상기 VA콘트롤러(100)의 작동에 의해 차량의 원격시동장치(110)를 구동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실내온도센서(120)를 작동시켜 차량의 실내온도를 검출하여 전화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로 송신하거나, 유량검출센서(130)를 작동시켜 차량의 연료잔량을 검출하여 전화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를 통해 송신하거나, 도어록크 어셈블리(140)를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 있을 때에도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운전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용 자동화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전화기(1)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전화번호 및 차량용 전화기(40)의 전화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수신 겸용 안테나(10)와, 상기 송수신 겸용 안테나(10) 또는 차량용 ECU(30)의 전화신호를 전달받고 무선기지국으로의 무선회선제어 및 신호수수기능을 하는 무선기(20)와, 상기 무선기(20) 또는 차량용 전화기(40)의 신호를 전달받아 일정한 신호처리를 하는 차량용 ECU(30)와, 상기 차량용 ECU(30)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전화기(40)와, 상기 차량용 ECU(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전화기(1)로부터 일정한 펑션키가 입력된 경우 작동하는 VA 콘트롤러(100)와, 상기 VA 콘트롤러(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원격시동장치(110)와, 상기 VA 콘트롤러(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내부의 온도에 따른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실내온도센서(120)와, 상기 VA 콘트롤러(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연료잔량에 따른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유량검출센서(130)와, 상기 VA 콘트롤러(100)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크 어셈블리(1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A 콘트롤러(100)는 차량실내의 온도를 섭씨 5도 단위로 구분하는 온도에 대한 음성정보와, 차량의 연료잔량을 5ℓ 단위로 구분하는 연료에 대한 음성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원격시동장치(110)와, 실내온도센서(120)와, 연료검출센서(130) 및 도어록크 어셈블리(140)를 구동하는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실내온도센서(120)와 유량검출센서(130)의 검출신호에 따른 음성정보를 차량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3. 무선기(20) 또는 차량용 전화기(40)의 신호를 전달받아 일정한 신호처리를 하는 차량용 ECU(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전화기(1)로부터 일정한 펑션키가 입력된 경우 작동하는 VA 콘트롤러(100)가 외부전화기(1)로부터 전화번호와 펑션키가 입력되면 외부전화기(1)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음성정보를 전송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외부전화기(1)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VA 콘트롤러(100)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한 후 일치하지 않으면 전화를 끊게 되고, 일치하면 상기 VA 콘트롤러(100)는 원격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원격시동장치(110)의 작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1번, 실내온도센서(120)의 작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2번, 유량검출센서(130)의 작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3번, 도어록크 어셈블리(140)의 작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4번을 누르라는 메시지를 차량용 ECU(30)를 통해 외부전화기(1)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전화기(1)로부터 1번 내지 4번 중 하나의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번호에 해당하는 원격시동장치(110), 실내온도센서(120), 유량검출센서(130) 또는 도어록크 어셈블리(140)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960035398A 1996-08-24 1996-08-24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KR10021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398A KR100210139B1 (ko) 1996-08-24 1996-08-24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398A KR100210139B1 (ko) 1996-08-24 1996-08-24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16A KR19980015916A (ko) 1998-05-25
KR100210139B1 true KR100210139B1 (ko) 1999-07-15

Family

ID=1947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398A KR100210139B1 (ko) 1996-08-24 1996-08-24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1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16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598B2 (en) Remote control of a speaker phone device as a standalone device or as part of a security system
US4809316A (en) Method for identifying operation modes of an antitheft system
US20020098835A1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ellular telephone and associated methods
KR10048130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JPH0226907B2 (ko)
JP2000059866A (ja) 自動車用遠隔操作装置
KR100210139B1 (ko) 차량용 전화기를 이용한 차량자동화시스템
JP4539513B2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JPH10317748A (ja) 車載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JP3317887B2 (ja) 自動車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20040023923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1320497A (ja) 車載通信装置
KR20000074203A (ko) 차량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340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상태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281233Y1 (ko) 전화선을 이용한 무선방식의 양방향 원격제어 및감시장치.
KR200165647Y1 (ko) 무선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JPH1146255A (ja) 車載負荷制御装置
KR10047075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방범 도어 시스템
KR200339778Y1 (ko) 전화기로 자동차를 제어하는 장치
KR200238784Y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KR950022288A (ko) 이동 무선전화기에 의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
KR20030026130A (ko)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 상태확인 장치
KR930009383B1 (ko) 자동차 실내온도 도달 자동통보 장치 및 방법
KR100226547B1 (ko) 무선 원격제어장치
KR200273664Y1 (ko) 리모콘을 이용한 방범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