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146B1 -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146B1
KR100748146B1 KR1020050015882A KR20050015882A KR100748146B1 KR 100748146 B1 KR100748146 B1 KR 100748146B1 KR 1020050015882 A KR1020050015882 A KR 1020050015882A KR 20050015882 A KR20050015882 A KR 20050015882A KR 100748146 B1 KR100748146 B1 KR 10074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user
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027A (ko
Inventor
박정균
정성칠
유재창
문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1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14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격감시장치는, 차량의 도어잠금센서 및 충격센서에 연결되어 그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감지부 및 상기 차량상태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태를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격감시장치, 이동통신모듈, 지피에스, 차량.

Description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CA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원격감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나아가 그 위치를 파악하여, 그 정보를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의 원격감시장치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격감시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센서(100)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200)와, 차량의 도어잠금장치 및 시동장치와 같은 회로에 연결되는 연결단(300)을 포함하는 본체(400)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리모콘(600)과 무선으로 접속되는 무선안테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격센서(10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본체(400)로 전달한다. 본체(400)는 충격센서(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일정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경보음을 스피커(20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콘(600)을 이용하여 도어잠금장치를 기동시키거나 시동장치를 기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60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잠금 또는 시동을 입력하면, 리모콘(600)은 무선으로 그 신호를 출력하고, 본체(400)에 연결된 무선안테나(500)가 그 신호를 수신한다. 본체(400)는 무선안테나(500)를 통해 도어잠금 또는 시동 명령이 입력되면, 연결단(300)을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거나 시동장치를 기동시킨다.
근래에는 본체와 리모콘이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하여,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도어의 잠금상태가 강제로 해제되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의 리모콘으로 전송하여 통보하도록 구성된 원격감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원격감시장치는 본체와 리모콘이 정해진 주파수의 무선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일정한 거리 내에서만 동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정한 거리 이상 차량으로부터 떨어지면 원격감시나 원격제어가 전혀 불가능하였다. 더욱이, 차량이 도난당한 경우에는 원격감시장치로는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거리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차량의 상태를 화상으로 촬영하여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지피에스(GPS) 수신기를 더 구비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는, 차량의 도어잠금센서 및 충격센서에 연결되어 그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감지부 및 상기 차량상태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태를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감지된 상태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차량의 도어잠금장치 및 시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잠금장치 및 상기 시동장치를 기동시키는 기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 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기동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도어잠금장치 또는 상기 시동장치를 기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촬영된 화상을 상기 이동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화상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지피에스(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지피에스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위치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도어의 강제 해제 또는 충격이 발생한 때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원격감시장치(1)는, 차량의 도어잠금센서(12) 및 충격센서(14)에 연결되어 그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감지부(10), 및 차량상태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상태를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 기(2)로 통보하기 위한 이동통신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상태 감지부(10)와 이동통신모듈(20)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각각 별개의 케이스로 형성되고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통신모듈(20)은 예컨대 CDMA 모듈이다. 이동통신모듈(20)은 감지된 상태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문 메시지로 발송하는 것은,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해당하는 상태가 감지된 때에 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상태에 대한 코드를 발송하고,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서버에서 이에 대응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단문 메시지의 발송은 SMSC(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가 행할 수 있다.
도어잠금센서(12)는 차량 내의 컨트롤 박스의 해당 선로에 연결함으로써 도어 개폐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충격센서(14)는 아직까지 차량 자체에 이를 내장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어잠금센서(12) 및 충격센서(14)는 차량의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들 센서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상태 감지부(10)는 이들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예컨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거나, 충격이 가해졌거나 한 경우에, 이를 이동통신모듈(20)에게 통보하고, 이동통신모듈(20)은 각 상태에 해당하는 코드 또는 단문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 때,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보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가 아무리 멀리 있어도 그 거리에 관계없이 이동통신망의 서비스가 미치는 범위 내에서는 그 상태를 통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상태 감지부(10) 및 이동통신모듈(20)의 구성은 상기 도 2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도어잠금장치(22) 및 시동장치(24)에 연결되어 도어잠금장치(22) 및 시동장치(24)를 기동시키는 기동제어부(30)를 더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듈(20)은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기동제어부(30)로 하여금 도어잠금장치(22) 또는 시동장치(24)를 기동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장치(1)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차량의 상태를 언제 어디서든 통보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전화 단말기(2)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잠금장치(22) 및 시동장치(24)를 기동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별도의 리모콘없이 이동전화 단말기(2)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통보받고, 또 도어잠금장치(22) 및 시동장치(24)를 기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기동제어부(30)도 차량상태 감지부(10) 및 이동통신모듈(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의 케이스로 설치되고 케이블 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장치(1)는, 차량상태 감지부(10), 이동통신모듈(20), 및 기동제어부(30)의 구성 및 기능은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설치되어 촬영된 화상을 이동통신모듈(20)로 전달하는 카메라(40)를 더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듈(20)은 카메라(40)로부터 전달받은 화상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상태 감지부(10)가 카메라(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이동통신모듈(2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카메라(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이동통신모듈(20)로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카메라(40)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특히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전화 단말기(2)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를 카메라(40)를 통해 직접 그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장치(1)에서 차량상태 감지부(10), 기동제어부(30), 이동통신모듈(20) 및 카메라(40)는 상기 도 4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이동통신모듈(20)로 전달하는 지피에스(GPS) 수신기(50)를 더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듈(20)은 지피에스 수신기(50)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위치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 전송한다.
지피에스 수신기(50)는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출력한다. 이동통신 모듈(20)은 이 지피에스 수신기(50)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거쳐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 전송하여 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장치(1)에서 차량상태 감지부(10), 기동제어부(30), 이동통신모듈(20), 및 지피에스 수신기(50)는 상기 도 5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강제 해제 또는 충격이 발생한 때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60)를 더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듈(20)은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장치(1)는 충격센서(14) 또는 도어잠금센서(12)로부터 충격 또는 도어잠금해제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여 스피커(60)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한다.
아울러, 이동통신모듈(20)은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각각의 최선의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지만, 예컨대, 기동제어부(30), 지피에스 수신기(50) 및 카메라(40)를 포함하지 않고, 차량상태 감지부(10)와 스피커(60)를 가지고 원격감시장치(1)를 구성할 수도 있고, 또, 차량상태 감지부(10)와 지피에스 수신기(50)를 가지고 원격감시장치(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를 임의로 조합하여 원격감시장치(1)를 구 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차량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든 차량의 상태를 이동전화 단말기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면, 차량의 도어해제나 충격뿐 아니라, 그 주변상황을 화상으로 직접 볼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지피에스 수신기를 구비하여 연동시킴으로써, 차량의 도난시에도 그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차량의 도어잠금센서 및 충격센서에 연결되어 그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감지부 및
    상기 차량상태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태를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한 강제 해제 또는 충격이 발생한 때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9. 차량의 도어잠금센서 및 충격센서에 연결되어 그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감지부와,
    상기 차량상태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태를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촬영된 화상을 상기 이동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한 강제 해제 또는 충격이 발생한 때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화상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감지된 상태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잠금장치 및 시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잠금장치 및 상기 시동장치를 기동시키는 기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기동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도어잠금장치 또는 상기 시동장치를 기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지피에스(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상기 지피에스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위치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KR1020050015882A 2005-02-25 2005-02-25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KR10074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882A KR100748146B1 (ko) 2005-02-25 2005-02-25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882A KR100748146B1 (ko) 2005-02-25 2005-02-25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27A KR20060095027A (ko) 2006-08-30
KR100748146B1 true KR100748146B1 (ko) 2007-08-09

Family

ID=3760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882A KR100748146B1 (ko) 2005-02-25 2005-02-25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1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677A (ko) * 1994-07-27 1996-02-23 구자홍 셀룰라 폰에 의한 차량제어장치
KR19990064987A (ko) * 1997-12-30 1999-08-05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290A (ko) * 2000-06-21 2000-11-06 송우범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KR20020007635A (ko) * 2000-07-18 2002-01-29 류정열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20030012832A (ko) * 2002-12-06 2003-02-12 조현제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관리장치 및 차량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677A (ko) * 1994-07-27 1996-02-23 구자홍 셀룰라 폰에 의한 차량제어장치
KR19990064987A (ko) * 1997-12-30 1999-08-05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290A (ko) * 2000-06-21 2000-11-06 송우범 차량 진단 원격 통보 장치
KR20020007635A (ko) * 2000-07-18 2002-01-29 류정열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20030012832A (ko) * 2002-12-06 2003-02-12 조현제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관리장치 및 차량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27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0745B1 (en) Anti-theft system and anti-theft device for vehicle detecting radio wave jamming
US7046147B2 (en) Integrated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6950020B2 (en) Surveillance system,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sensor apparatus, and surveillance remote controller
US20070135978A1 (en) Vehicle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8093987A1 (en)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WO2004079684A1 (en) A security system
JP4155374B2 (ja) 移動者安全確認装置
JP2007019568A (ja) 車載監視カメラ装置
KR100748146B1 (ko)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원격감시장치
KR100925721B1 (ko) 차량 도난 경보 시스템
KR20060099207A (ko)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352B1 (ko)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KR101441507B1 (ko)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20040022124A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6053645A (ja) 車両監視装置、車両監視システム、車両監視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5311995A (ja) 異常・緊急事態検知手段としての携帯電話機
KR20040031836A (ko) 자동차용 화상 안전 시스템
JPH11139252A (ja) 車両通信装置
CN201397565Y (zh) 3g视频手机防盗系统
KR200431480Y1 (ko) 무선도난경보 장치
KR20160016211A (ko)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JP2002170178A (ja) 自動車用防犯装置
JP3228938U (ja) スマートフォン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KR101662059B1 (ko)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KR2012001048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경보 및 원격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