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211A -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211A
KR20160016211A KR1020140099857A KR20140099857A KR20160016211A KR 20160016211 A KR20160016211 A KR 20160016211A KR 1020140099857 A KR1020140099857 A KR 1020140099857A KR 20140099857 A KR20140099857 A KR 20140099857A KR 20160016211 A KR20160016211 A KR 20160016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recor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lo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익
Original Assignee
지에스엠비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엠비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엠비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6211A/ko
Publication of KR2016001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는, 차량 구동부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구동 검출부; 상기 차량의 속도가 검출되면, 운동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동량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며, 차량 외부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부; 상기 차량의 속도가 검출되면, 상기 센서부와 각각 연동되어 해당 센서부 인근의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다수의 촬영부; 상기 다수의 센서부 각각에 인가된 충격량의 총합에 기반하여, 정상 상태의 충격량과 비교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대해 비정상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부 각각에서 검출된 충격량 및 상호 간의 비율에 따라 차량의 파손지점을 결정하고, 사고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부;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와 통신가능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고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A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 capable of monitoring and recording an event for vehicle during parking}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기록하며, 이를 무선통신으로 사용자 단말에 송신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의해, 차량과 관련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의 원인 규명과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해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소위 차량용 블랙박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고에 따른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저장된 영상물이 주된 증거로서 역할을 하는 등에 의해 그 수요는 더욱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는 사고 등의 긴급 이벤트 발생시 해당 데이터를 상기 영상녹화장치 내에서만 보유하도록 하고, 외부 기기와의 연동가능성에 한계가 있었을 뿐 아니라, 상기 영상녹화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측정된 운동량에 기반하여 긴급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검출하기에 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더구나 기존의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는 차량의 주정차시에 촬영부가 설치된 부근의 영상정보를 촬영하여 이를 저장할 뿐, 주장치되어 있던 시간 동안 차량운행자 부재시 접촉사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운행자가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을 일일히 확인하여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12513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주정차되어 있는 동안, 차량에 부착된 다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운동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벤트발생여부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이벤트 정보 중 주요한 이벤트에 대해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는, 차량 구동부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구동 검출부; 상기 구동 검출부에서 엔진 구동이 오프되었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에 대한 운동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동량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며, 차량 외부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부; 상기 다수의 센서부와 각각 연동되어 해당 센서부 인근의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다수의 촬영부 ― 상기 다수의 센서부 중 상기 차량에 대한 운동량을 감지하면, 상기 운동량을 감지한 센서부와 연동된 촬영부가 상기 운동량을 감지한 센서부 인근의 영상정보를 입력받음 ― ; 상기 다수의 센서부 각각에서 검출된 충격량에 대해, 제 n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부로부터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제 n 로그 데이터와 연관시키는 제어부 ― 상기 n은 상기 구동 검출부에서 엔진 구동이 오프되었다고 결정된 순간부터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정수임 ― ; 상기 제 n 로그 데이터 및 이에 관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제어부는, 제 k 로그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범위의 충격량보다 큰 경우, 상기 제 k 로그 데이터에 대해 알림신호값을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알림신호값은 상기 제 k 로그 데이터에 부가적인 비트로 저장(상기 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는 사전지정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부에 의한 속도값이 검출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체 로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의하면, 주정차 중인 차량, 즉 정지 상태에 있는 차량에 대해, 다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운동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다가 사고 발생시, 자동적으로 사고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에 즉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정차 중으로 차량운행자가 부재 중에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차량운행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즉시 알려줌으로써 사고 정보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이러한 사고발생정보는 로그 데이터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순차적으로 기록됨으로써 이를 추후에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로그 데이터의 일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이벤트 로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적용되는 802.11p 통신표준에 의한 데이터 프레임의 표현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통신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인 기능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이에 따른 예시적인 양상들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특징으로부터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특징, 구조, 기능 등은 단지 예시적인 것임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관계없이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에 대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인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가능성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태양의 구성요소가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라도, 단수임을 명백히 특정하지 않았다면, 복수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컴포넌트 또는 기능적 구성의 존재를 의미하나, 이들 특징, 컴포넌트 또는 기능적 구성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컴포넌트, 기능적 구성 및 이들의 조합의 존재가능성이나 추가될 수 있는 여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일 예, 경우, 또는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고, "예시적인" 양상이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승용차량(1)은 화살표의 표시가 없으며, 화물용 트럭(2)은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승용차량(1)은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것을 의미하며 화물용 트럭(2)이 승용 차량(1)에 접근하여 곧 충돌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의하면,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 승용차량(1)에 설치되어 승용차량운행자가 부재 중인 동안에 승용차량(1)에 대해 사고가 발생할지라도 이를 운행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는 임의의 차량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는 속도감지부(11), 센서부(12), 촬영부(13), 제어부(14), 데이터 저장부(15) 및 통신부(16)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감지부(11)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데, 차량의 엔진이나 모터와 연관될 수 있으며 차량속도를 검출가능하다면 차량 임의의 위치에 구축될 수 있다. 속도감지부(11)는 제어부(14)에 차량의 속도가 0 km/h로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초, 1분 등)감지되었음을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제어부(14)는 센서부(12) 및 촬영부(13)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센서부(12)는 차량 외부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설치된 부위를 통해 센서부(12)가 차량의 운동량을 감지하게 된다. 매 시각 변화하는 운동량(
Figure pat00001
)을 검출하고, 운동량의 변화량(
Figure pat00002
)으로부터 차량에 가해지는 각각의 충격량을 검출하게 된다. 이렇게 산출된 각각의 충격량은 제어부(14)로 전달되어 제어부(14)에서 합산된다.
예를 들어, 차량을 중심으로 여덟개의 방위(예컨대,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네 개의 방위의 중간 지점 등)에 각각 센서가 설치되고, 각각의 센서에서 임의의 시각에 측정된 충격량을
Figure pat00003
, ...
Figure pat00004
이라 한다면, 제어부(14)에서는 이들의 합을 구하여 총충격량을
Figure pat00005
으로 계산한다.
촬영부(13)는 센서가 부착된 부위에 설치되어 센서부 인근을 촬영함으로써 센서부 인근의 영상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에 센서부(12)가 설치되었다면, 촬영부(13)는 센서부(12)와 연동가능하도록 설체되어 차량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다.
다시, 센서부(12)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량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4)는 정상 상태의 총충격량(
Figure pat00006
)으로 일정한 범위의 값을 설정해놓을 수 있으며, 이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 자체를 통하여, 또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의 통신부(16)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재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사전설정된 '정상 상태 총충격량(
Figure pat00007
)'과 비교하여 특정 순간의 총충격량(
Figure pat00008
)이
Figure pat00009
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4)는 차량에 대해 비정상 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가 비정상 상태로 인지하는 범위는
Figure pat00010
의 120%, 150% 등으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 자체를 통하여, 또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의 통신부(16)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수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4)가 비정상 상태를 인식하면, 제어부(14)는 센서부(12) 각각에서 검출된 충격량과 다수의 센서부(12) 상호간의 비율에 따라 차량의 주된 파손 지점을 결정하고, 사고에 관한 정보로서, 사고 일시 정보, 충격량의 총합, 차량의 파손지점, 파손지점에 대한 영상정보, 사고 위치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를 해당 기능부로부터 수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충격량의 총합은 제어부(14)가 비정상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값으로 이미 결정되었으며, 차량의 주된 파손 지점 또한 제어부(14)에 의해 판단되었다. 또한, 결정된 파손지점이 해당 파손지점과 연관된 촬영부(13)로 전달되어 촬영부(13)에서 촬영된 파손순간의 영상정보를, 제어부(14)가 전달받게 된다.
데이터 저장부(15)는 사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일 수 있으며, 광학적으로 저장가능한 매체, EPROM, 플래시-EPROM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비일시적 저장매체일 수 있다.
통신부(16)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로부터 사고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설정값(즉, 정상 상태 총 충격량, 비정상상태로 인식되기 위한 총 충격량 대비 비율 등)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에 의하거나, 무선 인터넷 기능에 의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가 디스플레이부(17)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디스플레이부(17)는 사고에 관한 정보, 즉, 사고 일시 정보, 충격량의 총합, 차량의 파손지점, 파손지점에 대한 영상정보, 사고 위치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필요에 따라 차량용 영상녹화장치(10)가 설치된 차량 내부에서 출력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서 저장되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는 사고에 관한 정보의 일 예시이다. 사고에 관한 정보는 일시(51), 이벤트 정보(52), 위치(53), 차량정보(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부호 51은 일시 정보로, 예를 들어, 현재 일자 및 시각, 사고 일자 및 시각이 기록될 수 있는데, 이로부터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행 중인 차량에서 검출된 충격량에 따라 사고가 발생된 시각을 알 수 있다.
도면부호 52는 이벤트 정보에 관한 것으로, 총 충격량, 파손지점, 파손지점에 대한 영상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총충격량이란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제어부에서 비정상상태로 인지된 시점의 총 충격량(즉, 각각의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충격량의 총 합)을 의미하며, 파손지점은 다수의 센서부에서 검출된 충격량 정보에 따라 제어부에서 판단된, 사고로 인한 파손 지점을 의미한다. 이는 센서부가 부착된 지점을 위주로 기록될 수 있고, 또한 이에 대하여 촬영부에서 입력된 영상 정보가 파손지점에 대한 영상 정보로 기록될 수 있다.
도면부호 53은 사고 당시의 위치로서, 이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부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위성 항법 장치(GNSS; 예컨대, GPS, GLONASS, GALLILEO 등)에 의해 검출된 해당 순간의 위치 정보를 좌표 형식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는 사고 당시의 위치를 기록함으로써 추후에 해당 사고의 목격자 위치를 결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4는 차량 식별 정보로, 차량등록번호, 제조자명 및 차량 모델, 차량등록 소유자명을 비록한 소유자 정보 등이 기록되어 제공될 수 있다. 차량등록번호, 제조자명 및 차량 모델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와 연동가능한 관리자 프로그램이나 사용자 단말에 설치가능한 다른 응용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사전에 또는 설치 이후에 업데이트의 형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이벤트 로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적용되는 IEEE 802.11p 통신표준에 의한 데이터 프레임의 표현하는 블록도로, 도 3에 표현된 복수의 로그 데이터 중 알림신호값이 할당된 로그 데이터가 차량용 영상녹화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프레임과 같은 표준을 따를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프레임은 일 예시일 뿐, 다른 데이터 통신 표준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형식에 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되듯이,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은, SP, LP, SF, 및 다수의 데이터(예, Data0, Data1, ... 등)로 구성되며, SP, LP, SF는 각각 Short Preamble, Long Preamble, Signal Field에 대한 약어이다. SP는 데이터 심볼 주기에서 16번 반복되는 S심볼, 그리고 S심볼과는 180°의 위상차를 갖는 IS 심볼로 구성된다. LP는 수신측에서 미세 주파수 오프셋 추정과 채널 추정에 이용되는데 시간 영역에서 LP는 데이터 심볼 주기의 길이를 갖고 2회 반복되는 L 심볼과 보호구간 길이의 2배 길이를 갖는 Long Cyclic Prefix로 구성된다. 이처럼 SP, LP, SF는 IEEE 802.11p 통신표준에 따라 지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로그 데이터는 데이터 영역(예, Data0, Data1, ... 등)에 매칭될 수 있으며, 알림신호값은 부가적인 데이터 비트의 형태로 또는 다수의 데이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밖에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프레임의 상세에 관하여는 IEEE 802.11p 통신표준에 의해 정의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의 구동부 여부를 판단한다(S51). 차량의 속도가 0km/h인 경우에 각각의 센서부는 설치된 부위의 운동량을 감지하고 운동량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충격량을 검출하게 된다(S52).
차량은 속도가 없이 정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센서부에서 차량에 대한 운동량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에 충돌 등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센서부에서 차량에 설치된 부위에서 운동량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또는 충격량이 검출된 경우), 센서부 인근의 영상정보를 촬영부에 의해 입력받게 된다(S53).
다음으로, 각각의 충격량에 대해 순차적으로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는 촬영부에서 입력받은 영상 정보와 연관된다(S54). 로그 데이터 및 이와 연관된 영상 정보가 로그 데이터로 생성되며,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정지상태로 인지된 순간부터 충격량이 검출되는 순서대로 제 1 로그 데이터, 제 2 로그 데이터와 같이 순차적으로 넘버링되어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로그 데이터 중, 미리 결정된 범위의 충격량보다 큰 충격량으로 기록된 제 k 로그 데이터(여기서 k는 1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정수임)에 대해 알림신호값을 할당하게 된다(S55). 알림신호값이란 로그 데이터에 대해 부가적으로 부여되는 비트 또는 비트 스트림로,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값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이라 함은 이동국, 사용자 기기, 가입자국, 사용자 장비 등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전화 단말기, 스마트폰,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 등을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차량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대해 사전 설정되어,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모두 지칭할 수 있다.
결국,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에 의하면, 차량의 속도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어 정지 상태임을 인식하고, 충격량이 검출되면 충격량과 그에 대한 영상 정보를 로그 데이터로 기록하고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큰 충격량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에 즉시 알림으로써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해 불가피한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시, 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모든 로그 데이터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기록되기 때문에 추후에 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언제든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별도로 백업 데이터로 보존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가 통신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인 기능적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은 전원부(601)와 각각 연결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602),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603)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온 칩(60)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60)은 이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시스템 온 칩 외부의 디스플레이/터치스크린(618), USB 포트(605), 진동 센서(621), 헤드셋(622)과도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 상에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602)와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603)를 중심으로 다른 기능적 구성의 전원이 전원부(601)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602) 및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603)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을 위해 다양한 컴포넌트와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602)는 전원부(601) 외에 USB 제어기(604), 메모리(606), SIM(607), 카메라(608), 비디오 CODEC(614), 터치스크린 제어기(616), 디스플레이 제어기(617)과 연결될 수 있는데, 여기서 메모리(606) 및 카메라(608)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데이터저장부 및 촬영부와 기능적으로는 유사하나 서로 상이한 객체를 지칭함에 유의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602)는 물론,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603)와 연동가능하며,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603)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트랜시버(609), 오디오 CODEC(611)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CODEC(614) 및 오디오 CODEC(611)은 각각 비디오 증폭기(615), 그리고 오디오 증폭기(612) 및 마이크로폰 증폭기(613)과 추가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 양상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장치의 구성 또는 설명된 방법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의 형태로 메모리(606)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602)를 중심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장치 또는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관한 예시적인 모듈, 구성, 로직 블록, 수단,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코딩 등에 의해 설계되는 디지털 설계),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는지는 사용자 단말에 부여되는 설계상의 제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기능은 하나 이상의 명령이나 코드로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라 함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를 총괄적으로 지칭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몇 가지 예시적인 양상으로 기재되었지만, 다양한 수정, 변경, 변형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범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10: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11: 속도 감지부 12: 센서부
13: 촬영부 14: 제어부
15: 데이터 저장부 16: 통신부
17: 디스플레이부

Claims (3)

  1.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구동부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구동 검출부;
    상기 구동 검출부에서 엔진 구동이 오프되었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에 대한 운동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동량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며, 차량 외부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부;
    상기 다수의 센서부와 각각 연동되어 해당 센서부 인근의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다수의 촬영부 ― 상기 다수의 센서부 중 상기 차량에 대한 운동량을 감지하면, 상기 운동량을 감지한 센서부와 연동된 촬영부가 상기 운동량을 감지한 센서부 인근의 영상정보를 입력받음 ― ;
    상기 다수의 센서부 각각에서 검출된 충격량에 대해, 제 n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부로부터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제 n 로그 데이터와 연관시키는 제어부 ― 상기 n은 상기 구동 검출부에서 엔진 구동이 오프되었다고 결정된 순간부터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정수임 ― ;
    상기 제 n 로그 데이터 및 이에 관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k 로그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범위의 충격량보다 큰 경우, 상기 제 k 로그 데이터에 대해 알림신호값을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알림신호값은 상기 제 k 로그 데이터에 부가적인 비트로 저장되고, 상기 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에서 사전지정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부에 의한 속도값이 검출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체 로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KR1020140099857A 2014-08-04 2014-08-04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KR20160016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857A KR20160016211A (ko) 2014-08-04 2014-08-04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857A KR20160016211A (ko) 2014-08-04 2014-08-04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211A true KR20160016211A (ko) 2016-02-15

Family

ID=5535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857A KR20160016211A (ko) 2014-08-04 2014-08-04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2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73873A1 (en) * 2019-09-06 2021-03-11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remaining value
CN114842630A (zh) * 2021-02-02 2022-08-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信息通知系统和信息通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73873A1 (en) * 2019-09-06 2021-03-11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remaining value
US11514482B2 (en) * 2019-09-06 2022-11-29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remaining value
CN114842630A (zh) * 2021-02-02 2022-08-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信息通知系统和信息通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350B1 (ko)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US10937105B1 (en) Telematics based on handset movement within a moving vehicle
CN103568945B (zh) 车辆碰撞事故通报系统及方法
CN102667886B (zh) 用于车辆意外情况检测的驾驶员辅助装置和系统以及用于检测车辆意外情况的方法
US98868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parking space
EP2530651B1 (en) Method for operating a camera system of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s well as system with a motor vehicle and a separate computing device
CN108401426B (zh) 用于盗窃识别的装置和方法
KR101157864B1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CN109844828B (zh) 用于生成用于车辆的紧急呼叫的方法和设备
JP6655318B2 (ja) 車両防犯システム
US20100070140A1 (en) Vehicle safety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accident reporting
ITMO20080176A1 (it) Apparato e metodo di segnalazione per sistemi antifurto di autoveicoli o simili
US85701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r when reversing motor vehicle
KR20160016211A (ko) 주정차 중인 차량에 대한 이벤트 발생의 감지 및 기록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KR100394091B1 (ko) 차량 정보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101413409B1 (ko)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99088A (ja) 車輌事故情報伝達装置および車輌事故情報伝達方法
KR20160118397A (ko) 차량의 사고 신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90071043A1 (en) Advanced collision detection and enhanced automotive crash notification
KR20130119751A (ko) 통신모듈을 이용한 주행안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0409673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KR20160016210A (ko) 주행 중 긴급 상황을 기록하는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EP2863616A1 (en) Emergency call device for vehicles
KR101683368B1 (ko) 자동차용 영상수집장치
JP2018160085A (ja) 車載装置および車両情報収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