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152A -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152A
KR20000058152A KR1020000008731A KR20000008731A KR20000058152A KR 20000058152 A KR20000058152 A KR 20000058152A KR 1020000008731 A KR1020000008731 A KR 1020000008731A KR 20000008731 A KR20000008731 A KR 20000008731A KR 20000058152 A KR20000058152 A KR 2000005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ulley
hoistway
wound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30285B1 (en
Inventor
하시구치나오키
카토구니오
요시카와카즈히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8706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5815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0005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2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6Maintenan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Abstract

PURPOSE: An elevator device is provided to easily repair the winder by using a repairing means. CONSTITUTION: A car(2) and a balance weight(9)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a main cable. A main cable is wound on a winder(6),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2). A repairing means(19)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car(2). A worker opens a door(18) of the repairing means(19) and works in the car(2). The worker repairs the winder(6) in a checking member(17).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nder(6)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2), the damage of the winder is prevent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levator device, the winder is easily repaired by using the repairing means(19).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Elevator device {ELEVATOR SYSTEM}

이 발명은 카에 설치된 권양기에 의해 카 및 균형추를 연결한 메인케이블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driven by the main cable connecting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by a winch installed in the car.

도 22 및 도 23은, 예컨데 일본국 특개평 10-114481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22는 개념적 종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A부 확대도이다.22 and 23 show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hown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14481, FIG. 22 is a conceptu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도면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1)의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카이며, 하부에 형성된 서비스 오목부(3), 서비스 오목부(3)의 상면에 개구한 점검구(4) 및 서비스 오목부(3)의 상면에 점검구(4)를 덮어서 착탈자재로 배치된 쿠션부 시트판(5)이 설치되어있다.In the figure, 1 is a hoistway, 2 is a car which ascends and lowers a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1, and the service recess 3 formed in the lower part, the inspection opening 4 ope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rvice recess 3 and the service recess The cushion part seat plate 5 which covers the inspection opening 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3, and arrange | positions with detachable materials is provided.

6은 승강로(1) 저부의 서비스 오목부(3) 대응위치에 설치된 권양기이고, 케이블(7)을 통하여 카(2)를 승강시킨다.6 is a hoist provid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recess 3 at the bottom of the hoistway 1, and the car 2 is lifted and lifted through the cable 7.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양기(6)가 작동되어 케이블(7)을 통하여 카(2)가 승강로(1)의 소정경로를 승강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winch 6 is operated so that the car 2 moves up and down the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1 through the cable 7.

또, 카(2)를 최하강위치에 배치되고, 쿠션부 시트판(5)을 제거하여 카(2)내에서의 작업에 의해 점검구(4)에서 권양기(6)의 점검, 보수작업이 시행된다.In addition, the car 2 is placed in the lowest position, the cushion seat sheet 5 is removed, and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winch 6 are carried out at the inspection port 4 by work in the car 2. do.

또, 24는 예컨데 일본국 실공평 3-48142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2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conceptually displays the other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hown, for example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3-48142.

도면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1)의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6은 트랙션식의 권양기로, 카(2)의 상부빔의 아래쪽에 장착되고, 또 회전축선이 수평으로 배치된 시브(sheave)(8)가 설치되어있다.In the drawing, 1 is a hoistway, 2 is a car that elevates a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1, 6 is a traction-type winch, which is mounted below the upper beam of the car 2, and the rotation axis is horizontally disposed. Sheave 8 is installed.

9는 승강로(1)의 다른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균형추이고, 균형추풀리(10)가 설치되어있다.9 is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another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1, and a counterweight pulley 10 is provided.

11은 승강로(1)의 정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톱풀리(Top pully), 12는 메인케이블이고, 일단이 앵커(anchor)(13)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며, 균형추 풀리(10)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톱풀리(11)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시브(8)에 감겨지며, 상승하여, 타단은 앵커(14)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있다.11 is a top pully rotatably mount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axis of rotation i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12 is the main cable, and one end of the hoistway 1 by an anchor 13.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escending, wound up on the counterweight pulley (10) and ascended, wound on the top pulley (11) to be wound down on the sheave (8), and ascends, the other end of the hoistway by the anchor (14) 1)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6)가 작동되어 시브(8)가 회전하여 메인케이블(12)을 통하여 카(2) 및 균형추(9)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winch 6 is operated so that the sheave 8 rotates so that the car 2 and the counterweight 9 are lifted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the main cable 12.

또, 권양기(6)가 카(2)에 장착되어, 승강로(1)의 위쪽에 독립상태로 설치되는 기계실을 생략하여 건물(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용의 스페이스를 절감하도록 되어있다.Moreover, the winch machine 6 is attached to the car 2, and the machine room installed in the independent state above the hoistway 1 is abbreviate | omitted, and it saves the space for elevator apparatus in a building (not shown).

상기와 같은 도 22 및 도 23에 표시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카(2)내에서 작업원이 구부린 자세로, 권양기(6)의 점검, 보수작업이 시행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hown in FIG. 22 and FIG. 23 as described above,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winch machine 6 is performed in a posture bent by a worker in the car 2.

이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또 공구등을 잘못하여 승강로(1)에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어 보수작업 능률이 낮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workability is bad, and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not to drop a tool etc. accidentally on the hoistway 1, and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maintenance efficiency became low.

또, 승강로(1)하부에 침수한 경우에 권양기(6)에 손상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when submerged under the hoistway 1,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the wound | winding machine 6 was damaged.

또, 도 24에 표시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권양기(6)가 카(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좁은 카(2)의 상부에서 작업원이 카(2)위에 올라가고 구부려서 권양기(6)의 점검, 보수작업이 시행된다.Moreo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hown in FIG. 24, since the winch machine 6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r 2, the worker raises and bends over the car 2 in the upper part of the narrow car 2, and the winch machine ( 6) Inspection and repair work is carried out.

이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또 공구등을 잘못하여 승강로(1)에 낙하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어 보수작업능율이 낮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workability is bad, and it is necessary to pay careful attention not to drop a tool etc. to the hoistway 1 by mistake, and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work efficiency became low.

이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게 된 것이며 카에 권양기를 장착한 구성으로 권양기의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 elevator device that can be easily repaired by a winch lifter.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1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in a diagram showing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is suspended; FIG.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4는 도 1의 카내벽에서의 보수용수단의 도어를 연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repair means in the car inner wall of FIG. 1 is opened;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5 is a view showing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6 is a view showing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6 is suspended; FIG.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4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8 is a view showing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5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9 is a view showing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is suspended from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9; FIG.

도 11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11 is a view showing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12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7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12 is a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13은 도 1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in cable is suspended from an elevator device of FIG. 12; FIG.

도 14는 도 1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 횡단 평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2;

도 15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15 is a view showing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16은 도 15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 횡단 평면도FIG. 16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of the elevator device of FIG. 15; FIG.

도 17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9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FIG. 17 is a diagram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FIG.

도 18은 도 17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is suspended from the elevator device of FIG. 17.

도 19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19 is a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20은 도 19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FIG. 2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9 is suspended; FIG.

도 21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21 is a view showing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도 2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념적 종단면도22 is a conceptu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도 23은 도 22의 A부 확대도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2;

도 24는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2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승강로 2: 카 6: 권양기1: hoistway 2: car 6: hoisting machine

9: 균형추 11: 톱풀리 12: 메인케이블9: counterweight 11: saw pulley 12: main cable

19: 보수용 수단 25: 시브 31: 디플렉터 휠19: Means for repair 25: Sheave 31: Deflector wheel

32: 제1하부풀리 33: 제2하부풀리32: first lower pulley 33: second lower pulley

34: 후부 서스펜션위치(서스펜션위치) 35: 제1측부풀리34: rear suspension position (suspension position) 35: first side pulley

36: 제2측부풀리 37: 오목부 38: 제어반36: second side pulley 37: recess 38: control panel

39: 조작반 40: 제1상부풀리 41: 제2상부풀리39: operation panel 40: first upper pulley 41: second upper pulley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각각의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와 얕은 깊이 치수로 구성되어 카의 외측면에 설치된 권양기와, 승강로의 정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톱풀리와,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권양기에 감겨지고, 상승하여 타단은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된 메인케이블과, 권양기의 요부를 구성하고,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메인케이블이 감겨진 시브와, 카의 측면에 설치되어 권양기의 보수부위에 대응하여 개구하는 보수용수단이 설치된다.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 lifting and lowering each predetermined path of a hoistway and a counterweight and a shallow depth dimension ar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r and rotatably mount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so that the rotation axis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Saw pulleys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descending, wound up on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wound up on the top pulley and wound down on the hoisting machine, the other end of the main cab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The main part of the winch machine is provided, and a rotation axis i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heave in which the main cable is wound, and a repair mean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r and open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pair part of the winch machine.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가 설치된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디플렉터 휠(deflector wheel)과, 카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권양기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제1하부풀리와, 카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하부풀리에 대향한 카의 가장자리부분 근처에 배치된 제2하부풀리가 설치되어, 메인케이블이,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디플렉터 휠에 감겨져서 서스펜션위치를 형성하여 권양기에 감겨지고, 하강하여 제1하부풀리 및 제2하부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타단은 디플렉터 휠측의 서스펜션위치에 대향하여 카의 하면에서의 대각선 방향으로 떨어진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매달아서 설치된다.Moreover,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WHEREIN: The deflector wheel rotatably mount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in which the hoist was installed, and the 1st rotatably mount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nch machine. A lower pulley and a second lower pulley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and disposed near the edge of the car opposite the first lower pulley are installed so that the main cable is lowered at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 Wound up on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wound up on the top pulley and down, wound up on the deflector wheel to form the suspension position, wound up on the hoisting machine, descending, wound up on the first bottom pulley and the second bottom pulley,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in a diagonal direction awa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facing the suspension position on the deflector wheel side.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에 설치된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디플렉터 휠과,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디플렉터 휠에 대응한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 제1측부풀리와,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측부풀리에서 떨어져서 배치된 제2측부풀리가 설치되어, 메인케이블이,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고, 권양기에 감겨져서 서스펜션위치를 형성하여 디플레턱 휠에 감겨지며, 하강하여 제1측부풀리 및 제2측부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타단은 권양기측의 서스펜션위치에 대향하여 카의 평면에서의 대각선 방향으로 떨어진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매달아서 설치된다.Moreover, 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deflector wheel rotatably mounted in the outer side of the car provided in the winch machine, and the 1st side pulley rotatably mounted in the outer side of the car, and arranged in the low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flector wheel And a second side pulley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and disposed away from the first side pulley, wherein the main cable is lower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wound up on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It is wound on the pulley and lowered, wound on the winch to form a suspension position, wound on the deflector wheel, and lowered, wound on the first side pulley and the second side pulley and raised, and the other end is in the suspension position on the winch side. It is installed by hanging at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which is diagonally opposite from the plane of the car.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권양기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제1상부풀리와, 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상부풀리에 대향한 카의 가장자리부분 근처에 배치된 제2상부풀리가 설치되어, 메인케이블이,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향하여 권양기에 감겨져서 서스펜션위치를 형성하고, 상승하여 제1상부풀리에 위쪽으로 부터 감겨지며, 제2상부풀리에 아래쪽으로 부터 감겨져서 상승하고, 타단은 권양기측의 서스펜션위치에 대향하여 카의 상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매달아서 설치된다.Moreover, 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1st upper pulley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nch machine, and the car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and opposing the 1st upper pulley The second upper pulley disposed near the edge of the main assembly is installe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descends, wound up on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wound up on the top pulley and wound downward on the hoist Form a position, ascend to wind up from the top to the first upper pulley, to wind up from the bottom to the second upper pulley, and the other end away from the top of the car diagonally opposite the suspension position on the lifter side. It is attached by hanging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균형추의 권양기와의 대향면에 수평투영면에서 권양기가 틈새를 끼우는 상태로 끼워 맞추는 오목부가 형성된다.Moreover, 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recessed part which fits in the state which pinched | interposed a winch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is formed in the opposing surface with the winch of a counterweight.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가 장착된 카의 벽에 설치되어 이 벽면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권양기에서 상하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된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카의 조작반의 적어도 한쪽이 설치된다.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an elevator control panel and a car operating panel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car on which the hoist is mounted a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wall surface and arranged apart from the hois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do.

실시의 형태 1Embodiment 1

도 1∼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카내벽에서의 보수용수단의 도어를 열은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1-4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tate which suspended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and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repairing means is opened on the inner wall of FIG. 1.

도면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1)의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카이며, 출입구(15), 출입구(15)에 대향한 내벽(16), 내벽(16)에 배치된 보강재(161)의 상호간에 형성된 개구부로 되는 점검구(17) 및 점검구(17)를 개폐하는 도어(18)가 설치되어있다.In the drawing, 1 is a hoistway, 2 is a car that elevates a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1, and the reinforcement 161 disposed on the doorway 15, the inner wall 16 facing the doorway 15, and the inner wall 16. The inspection opening 17 and the door 18 which open and close the inspection opening 17 which become opening parts formed mutually are provided.

또한, 19는 점검구(17) 및 도어(18)에 의해 구성된 보수용 수단이다.In addition, 19 is a maintenance means comprised by the inspection opening 17 and the door 18. As shown in FIG.

6은 얕은 깊이치수로 구성되어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점검구(17)위치에 설치된 트랙션식의 권양기이며, 점검구(17)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점검구(17)에 배치된 보강재(161)에 체결된 기체(20), 점검구(17)측에 배치되어 기체(20)와의 사이에 스페이스를 형성하여 가장자리부분이 기체(20)에 체결된 지지판(21) 및 양단이 기체(20)와 지지판(21)으로 지지되어 축선이 수평으로 배치된 축(22)이 설치되어있다.6 is a traction type hoist installed in the outer side of the car 2, which is composed of a shallow depth dimension, and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inspection opening 17, and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spection opening 17, and is disposed in the inspection opening 17.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both ends of which the edge portion is fastened to the base 20 b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base 20 and the inspection port 17 side which are fastened to the base 161 and the base 20 are formed. ) And a shaft 22,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axis line is arranged horizontally.

또, 권양기(6)에는, 기체(20)의 지지판(21) 근처에 설치된 고정자권선(23), 지지축(22)에 볼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고정자권선(23)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전동기를 형성하는 전기자(24) 및 기체(20)의 내부쪽에 형성된 시브(25)가 구성된 회전체(26) 및 지지판(21)에 설치되어 전기자(24)개소의 내면에 도 3에 표시하는 공극(g)을 형성하여 대향한 브레이크 패드(27)를 갖는 전자브레이크(28)가 설치되어있다.Further, the winch machine 6 is rotatably supported by a ball bearing on the stator windings 23 and the support shaft 22 provided near the support plate 21 of the base 20, and is disposed to face the stator windings 23. An air gap shown in FIG. 3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rmature 24 and provided on the rotor 26 and the support plate 21 having the armature 24 forming the electric motor and the sheave 25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20. An electromagnetic brake 28 having a brake pad 27 which forms (g) and opposes is provided.

9는 승강로(1)의 다른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균형추이며 균형추풀리(10)가 설치되어있다.9 is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another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1, and a counterweight pulley 10 is provided.

11은 승강로(1)의 정상부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톱풀리, 12는 메인케이블이고, 일단이 앵커(13)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며, 균형추풀리(10)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톱풀리(11)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시브(25)에 감겨지며, 상승하여 타단은 앵커(14)에 의해 승강로 (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있다.11 is a top pulley having a rotation axi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at the top of the hoistway 1, 12 is a main cabl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an anchor 13 to descend. It is wound on the balance pulley (10) and ascends, wound on the top pulley (11) to descend and wound on the sheave (2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the anchor (14) have.

29는 카(2)내에서의 작업에 의해 보수용수단(19)을 통하여 권양기(6)을 점검하는 보수작업원이다.29 is a repair worker who checks the winch 6 through the repair means 19 by the work in the car 2.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장치에서, 권양기(6)가 작동되어 시브(25)가 회전하고, 메인케이블(12)을 통하여 카(2) 및 균형추(9)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한다.In the elevator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winch 6 is operated to rotate the sheave 25, and the car 2 and the counterweight 9 are lifted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the main cable 12.

또, 권양기(6)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Moreover, the winches 6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ar 2.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카(2)내에서의 작업에 의해 보수작업원(29)이 도어(18)을 열어서 점검구(17)에서 권양기(6)의 보수,점검작업이 시행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maintenance worker 29 opens the door 18 by the work in the car 2, so that the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of the winch machine 6 is performed at the inspection opening 17. Is implemented.

따라서, 보수,점검작업시에 보수작업원(29)이 구부릴 필요가 없고, 자연스러운 자세로 작업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er 29 does not need to bend during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and can work in a natural posture.

또, 공구등을 잘못하여 승강로(1)에 낙하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없고 보수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unnecessary to take great care not to accidentally drop a tool or the like into the hoistway 1, and the maintenanc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 권양기(6)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하부에 침수한 경우에 권양기(6)에 손상이 생기는 좋지않는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winch | winder 6 and the car 2, the bad condition which damages the winch | winder 6 when submerged under the hoistway 1 can be prevented beforehand.

실시의 형태 2Embodiment 2

도 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평면도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또한, 도 5에서 설명된 것이외는 상술의 도 1∼도 4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5 except for those described in FIG. 5, the elevator apparatus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 to 4 described above.

도면에서, 도 1∼도 4와 같은 부호는 상단부분을 표시하고, 30은 카(2)의 출입구(15)에 접속한 벽, 즉 측벽, 9는 승강로(1)에 설치되어 측벽(30)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균형추, 6은 카(2)에 설치되어 측벽(30)의 외면에 배치된 권양기, 19는 측벽(30)에 설치되어 권양기(6)에 대응하여 배치된 보수용 수단이다.In th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4 denote the upper portion, and 30 is a wall connected to the entrance 15 of the car 2, that is, a side wall, and 9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1 so that the side wall 30 Counterweight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6, a winch is provided on the car 2 and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0, 19 is a repair means installed on the side wall 30 and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winch 6 to b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machine 6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5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 5.

실시의 형태 3Embodiment 3

도 6 및 도 7도,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6 is suspended.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것 이외는 상술의 도 1∼도 4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is comprised like FIG. 1 thru | or 4 mentioned above except having demonstrated in FIG.

도면에서, 도 1∼도 4 및 도 5와 같은 부호는 상단부분을 표시하고, 31은 카(2)의 측벽(30)의 외면에 배치된 권양기(6)의 아래쪽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이 플렉터 휠, 32는 카(2)의 권양기(6)측의 아래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시브(25)대응위치에 배치된 제1하부풀리, 33은 권양기(6)으로부터 떨어진 타단에 가까운 카(2)의 하면의 다른쪽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제1하부풀리(32)보다도 카(2)의 앞쪽에 배치된 제2하부풀리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GS. 1 to 4 and 5 denote upper portions, and 31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winch 6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0 of the car 2. A first lower pulley, rotatably mounted to the lower side of the winch 6 side of the car 2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eave 25, 33 is a car close to the other end away from the winch 6. It is a 2nd lower pulley rotat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2), and arrange | positioned in front of the car 2 rather than the 1st lower pulley 32. As shown in FIG.

34는 디플렉터 휠(31)로부터 톱풀리(11)에 이르는 메인케이블(12)에 의한 카(2)의 후부 서스펜션위치이다.34 is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of the car 2 by the main cable 12 from the deflector wheel 31 to the top pulley 11.

12는 메인케이블이고, 일단이 앵커(13)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풀리(10)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11)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후부 서스펜션위치(34)를 형성하는 동시에 디플렉터 휠(31)으로부터 시브(25)에 감겨지고, 하강하여 제1하부풀리 및 제2하부풀리(33)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타단은 앵커(14)에 의해 카(2)의 앞쪽 근처에서의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있다.12 is the main cab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the anchor 13, descending, wound on the balance pulley (10) and ascended, wound on the top pulley (11) to descend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At the same time, it is wound around the sheave 25 from the deflector wheel 31, and is wound up and wound around the first lower pulley and the second lower pulley 33, and the other end is lifted by the anchor 14.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near the front of (2).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machine 6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도 6 및 도 7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S. 6 and 7.

또, 도 6 및 도 7의 실시의 형태에서, 카(2)가 제1하부풀리(32) 및 제2하부풀리(33)를 통하여 메인케이블(12)에 의해 매달려져서, 앵커(14)에 의해 앞쪽 근처가, 또는 뒤쪽근처는 후부 서스펜션위치(34)에 의해 매달아 보존된다.6 and 7, the car 2 is suspended by the main cable 12 via the first lower pulley 32 and the second lower pulley 33 and attached to the anchor 14. By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34 is preserved by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34.

즉, 디플렉터 휠(31)측의 서스펜션위치(34) 및 이 서스펜션위치(34)에 대하여 카(2) 의하면에서의 대각선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가 매달려져서, 카(2)의 중심(重心)가까이가 매달려진다.In other words, the suspension position 34 and the suspension position 34 on the deflector wheel 31 side are suspended from the car 2 in a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center of the car 2 is close. Hanging

이 때문에, 카(2), 카(2)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등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감소하여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nloading load which acts on the car 2, the rail which guides the lifting of the car 2, etc. is reduc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실시의 형태 4Embodiment 4

도 8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또한, 도 8에서 설명된 것이외는 상술의 도 1∼도 4, 도 6 및 도 7과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8 except for those described in FIG. 8, the elevator apparatus is configured as in FIGS. 1 to 4, 6, and 7.

도면에서, 도 1∼도 4, 도 5, 도 6 및 도 7과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9는 승강로(1)에 설치되어 측벽(30)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균형추, 6은 카(2)에 설치되어 측벽(30)의 외면에 배치된 권양기이다.1 to 4, 5, 6, and 7 denote a substantial portion, and 9 is a counterweight provided at the hoistway 1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30, 6 Is a hoist provided on the car 2 and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machine 6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8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 8.

또, 도 8의 실시의 형태에서, 카(2)가 제1하부풀리(32) 및 제2하부풀리(33)를 통하여 메인케이블(12)에 의해 매달려져서, 앵커(14)에 의해 카(2)의 앞쪽근처가, 또 뒤쪽근처는 후부 서스펜션위치(34)에서 메인케이블(12)에 의해 매달려진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car 2 is suspended by the main cable 12 through the first lower pulley 32 and the second lower pulley 33, and the car 14 is suspended by the anchor 14. Near the front of 2) and near the rear are suspended by the main cable 12 at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34.

즉, 디플렉터 휠(31)측의 서스펜션위치(34) 및 이 서스펜션위치(34)에 대하여 카(2)의 하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가 매달려져서, 카(2)의 중심(重心)근처가 매달려진다.That is, the suspension position 34 on the deflector wheel 31 side and th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2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spension position 34 are suspended, and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r 2 is near. Is hanging.

이 때문에 카(2), 카(2)의 승강은 안내하는 레일등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감소하여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as for the lifting of the car 2 and the car 2, the unloading load which acts on a guide rail etc. can be reduced, a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실시의 형태 5Embodiment 5

도 9 및 도 10도,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nd FIG. 10 is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9 is suspended.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된 것이외는 상술의 도 1∼도 4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is comprised like FIG. 1 thru | or FIG. 4 except having demonstrated in FIG. 9 and FIG.

도면에서, 도 1∼도 4, 도 6 및 도 7과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31은 카(2)의 외면에 설치되고, 내벽(16)의 외면에 배치된 권양기(6)의 위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디플렉터 휠(deflector wheel), 35는 카(2)의 내벽(16)에 접속한 측벽(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디플렉터 휠(31)에 대응하여 측벽(30)의 아래쪽 근처에 배치된 제1측부풀리, 36은 측벽(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측부풀리(35)보다도 카(2)의 앞쪽에 배치된 제2측부풀리이다.1 to 4, 6 and 7 denote the same parts, and 3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winding machine 6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wall 16. A deflector wheel rotatably mounted upwardly, 35 is rotatably mounted on a sidewall 30 connected to the inner wall 16 of the car 2, corresponding to the deflector wheel 31. The first side pulley disposed near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ide pulley, 36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ide wall 30 and is the second side pulley disposed in front of the car 2 than the first side pulley 35.

12는 메인케이블이고, 일단이 앵커(13)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풀리(10)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11)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시브(25)측의 후부 서스펜션위치(34)를 형성하고, 시브(25)에서 디플렉터 휠 (31)에 감겨지며, 하강하여 제1측부풀리(35) 및 제2측부풀리(36)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타단은 앵커(14)에 의해 카의 앞쪽 가까이에서의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있다.12 is a main cabl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the anchor 13 and descends, wound up by being wound on the balance pulley 10 and wound around the top pulley 11 to descend, the sheave 25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34 on the side) is wound, wound on the deflector wheel 31 at the sheave 25, lowered and wound around the first side pulley 35 and the second side pulley 36, The other end is connected by the anchor 14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near the front of the ca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machine 6 is provided i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9 및 도 10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S. 9 and 10.

또, 도 9 및 도 10의 실시의 형태에서, 카(2)가 제1측부풀리(35) 및 제2측부풀리(36)을 통하여 메인케이블(12)에 의해 매달려져서, 앵커(14)에 의해 앞쪽근처가, 또 뒤쪽 가까이는 후부서스펜션위치(34)에 의해 매달려진다.9 and 10, the car 2 is suspended by the main cable 12 via the first side pulley 35 and the second side pulley 36, and is attached to the anchor 14. By this, near the front and near the rear are suspended by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34.

즉, 시브(25)측의 서스펜션위치(34) 및 이 서스펜션위치(34)에 대하여 카(2)의 하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가 매달려져서, 카(2)의 중심(重心)근처가 매달려진다.That is, the suspension position 34 on the sheave 25 side and th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2 with respect to the suspension position 34 are suspended, so that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r 2 is near. Hanging

이 때문에, 카(2), 카(2)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 등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감소하여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nloading load which acts on the car 2, the rail which guides the lifting of the car 2, etc. is reduced, a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카(2)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제1측부풀리(35) 및 제2측부풀리(36)의 하단부가 설치되므로, 승강로(1)의 피트를 얇게 또 승강로(1)의 상부에서의 카(2)의 상승여유를 적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irst side pulley 35 and the second side pulley 36 are provid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2, the pit of the hoistway 1 is thinned and the car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is provided. The upward margin in (2) can be reduced.

즉, 승강로(1)에서의 카(2)의 최상 정지위치 또는 최하 정지위치로부터의 상하방향의 여유공간을 감소하여 승강로(1)를 단축할 수 있고, 승강로(1)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That is, the elevator 1 can be shortened by reducing the free space in the up-down direction from the highest stop position or the lowest stop position of the car 2 in the hoistway 1,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또한, 실시의 형태 5에서, 권양기(6)와 디플렉터 휠(31)을 교환하여 역으로 배치하여도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명백하다.In addition, in Embodiment 5, it is clear that the same effect is acquired even if it arrange | positions reversely by replacing the winch | winder 6 and the deflector wheel 31. FIG.

실시의 형태 6Embodiment 6

도 11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이다.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도 11에서 설명한 것이외는 상술의 도 1∼도 4, 도 9 및 도 10과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Except as explained in Fig. 11, the elevator apparatus is configured as in Figs. 1 to 4, 9 and 10 described above.

도면에서, 도 9 및 도 11과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9는 승강로 (1)에 설치되어 측벽(30)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균형추이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s. 9 and 11 denote a substantial portion, and 9 is a counterweight provided in the hoistway 1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3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 winder 6 is install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도 11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작용 및 도 9 및 도 10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작용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and the embodiment of FIGS. 9 and 10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 11.

실시의 형태 7Embodiment 7

도 12∼도 14도,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 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 횡단 평면도이다.12-14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FIG. 13 shows the state which suspended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n conceptually. FIG. 14 is a principal part cross 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또한, 도 12∼도 14에서 설명한 것이외는 상술의 도 1∼도 4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is comprised like FIG. 1 thru | or 4 mentioned above except having demonstrated in FIGS.

도면에서, 도 1∼도 4와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9는 균형추이며, 카(2)의 내벽(16)과 승강로(1)의 측벽사이에 배치되어 수평투영면에서, 카(2)의 내벽(16)의 외면에 배치된 권양기(6)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37)가 설치되어있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GS. 1 to 4 denote substantial portions, 9 is a counterweigh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wall 16 of the car 2 and the side wall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car 2 A concave portion 37 to which the winches 6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wall 16 of the crankcase is fitted.

10은 균형추(9)의 수평투영면에서의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균형추풀리, 101은 균형추(9)의 수평투영면에서의 다른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 균형추풀리이다.10 is a first counterweight pulley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9, and 101 is a second counterweight pulley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9.

11은 승강로(1)의 정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균형추풀리(10)의 위쪽대응위치에 배치된 제1톱풀리, 111은 승강로 (1)의 정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에, 또한 제1톱풀리 (11)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시브(25)의 위쪽 대응위치에 배치된 제2톱풀리, 112는 승강로(1)의 정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한쪽이 제2균형추풀리(101)의 위쪽 대응위치에, 다른쪽이 시브(25)의 위쪽 대응위치에 배치된 제3톱풀리이다.1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op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rotation axis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top pulley disposed in the upper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balance weight pulley 10, 111 is the top of the hoistway 1; A second top pulley, 112 rotatably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top pulley 11, and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bove the sheave 25, 112 of the hoistway 1; The third top pulley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op portion, and the rotation axis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at the upper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cond balance weight pulley 101 and the other at the upper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heave 25.

12는 복수본의 메인케이블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중 메인케이블이고, 일단이 앵커(13)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제1균형추풀리(10)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제1톱풀리(11) 및 제2톱풀리(111)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시브 (25)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타단은 앵커(14)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있다.12 is a first main cable which forms part of a plurality of main cabl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an anchor 13 and descends, wound up on the first balance weight pulley 10 and raised. It is wound on the first top pulley (11) and the second top pulley (111) and descends, wound on the sheave (2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the anchor (14). .

121은 복수본의 메인케이블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제2종 메인케이블이고, 일단이 앵커(131)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제2균형추풀리 (101)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제3톱풀리(112)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시브(25)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타단은 앵커(14)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있다.121 is a second type main cable which forms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main cabl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an anchor 131, and is lowered and wound around the second balance weight pulley 101. Ascending, wound on the third top pulley 112, descending, wound on the sheave 25,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the anchor (14).

상기와 같이 구성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 winder 6 is provided i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12∼도 14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 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S. 12 to 14.

또, 도 12∼도14의 실시의 형태에서, 균형추(9)의 측면에 오목부(37)가 설치되어, 이 오목부(37)에 수평투영면에서 권양기(6)가 끼워맞춤상태로 배치된다.12-14, the recessed part 37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9, and the winding machine 6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at the recessed part 37 in the fitted state. .

따라서, 승강로(1)의 횡단면에서의 치수를 축소할 수 있고, 승강로(1)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mens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실시의 형태 8Embodiment 8

도 15 및 도 16도,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 횡단 평면도이다.15 and 1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nd FIG. 16 is a main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5.

또한,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하는 것 이외는 상술의 도 1∼도 14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is comprised like FIG. 1 thru | or 14 mentioned above except having demonstrated in FIG.

도면에서, 도 1∼도 4, 도 12∼도 14와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며, 9는 균형추이고, 카(2)의 측벽(30)과, 승강로(1)의 측벽사이에 배치되어 수평투영면에서, 카(2)의 외면에 설치되어 측벽(30)의 외면에 배치된 권양기(6)가 끼워맞추는 오목부(37)가 설치되어있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GS. 1 to 4 and 12 to 14 denote a substantial portion, 9 is a balance weigh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30 of the car 2 and the side wall of the hoistway 1. I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there is provided a concave portion 37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fitted with the winches 6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s for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 winder 6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15 및 도 16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S. 15 and 16.

또, 도 15 및 도 16의 실시의 형태에서, 균형추(9)의 측면에 오목부(37)가 설치되어, 이 오목부(37)에 수평투영면에서 권양기(6)가 끼워맞춤상태로 배치된다.15 and 16, the concave portion 37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9, and the winches 6 are fitted in the concave portion 37 on a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

따라서, 승강로(1)의 횡단면에서의 치수를 축소할 수 있고 승강로(1)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비율을 저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mens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ratio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실시의 형태 9Embodiment 9

도 17 및 도 18도,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도 17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17 and 18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nd FIG. 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7 is suspended.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또한, 도 17 및 도 18에서 설명하는 것 이외는 상술의 도 1∼도 4, 도 5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is comprised like FIG. 1 thru | or 4 and FIG. 5 mentioned above except having demonstrated in FIG. 17 and FIG.

도면에서, 도 1∼도 4, 도 5와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38은 권양기(6)등의 엘리베이터용의 제어반으로, 카(2)의 측벽(30)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하고, 권양기(6)의 위쪽에 배치되어있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s. 1 to 4 and 5 denote substantial parts, and 38 is an elevator control panel for the winch 6 and the like, which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30 of the car 2 and protrudes outward. And the upper side of the winch machine 6.

39는 카(2)의 조작반으로, 카(2)의 측벽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하고, 권양기(6)의 아래쪽에 배치되어있다.39 is an operation panel of the car 2, which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ar 2, protrudes outward, and is disposed below the winch 6.

이와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 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in this way, the winch | winder 6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도 17 및 도 18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S. 17 and 18.

또, 도 17 및 도 18의 실시의 형태에서, 카(2)의 측벽(30)에 설치된 권양기(6)의 위쪽에, 수평투영면에서 제어반(38)이 겹쳐서 배치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7 and FIG. 18, the control panel 38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in the upper part of the winch | winder 6 provided in the side wall 30 of the car 2, and is arrange | positioned.

또, 권양기(6)의 아래쪽에 수평투영면에서 조작반(39)이 겹쳐서 배치된다.Moreover, the operation panel 39 overlaps and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under the winch | winder 6.

따라서, 승강로(1)의 횡단면적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승강로(1)의 횡단면에서의 치수를 축소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1)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1 can be used effectively, and the dimens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can do.

실시의 형태 10Embodiment 10

도 19 및 도 20도,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19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메인케이블의 매달아 설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19 and 20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9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nd FIG. 20 is a state in which the main cab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9 is suspended.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또한, 도 19 및 도 20에서 설명하는 것이외는 상술의 도 1∼도 4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is comprised like FIG.1 thru | or FIG.4 except the thing demonstrated in FIG.19 and FIG.20.

도면에서, 도 1∼도 4 및 도 5와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며, 40은 카(2)의 권양기(6)측의 천정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시브(25) 대응위치에 배치된 제1상부풀리, 41은 카(2)의 반권양기(6)측의 천정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상부풀리(40)보다도 카(2)의 앞쪽에 배치된 제2상부풀리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GS. 1 to 4 and 5 denote substantial parts, and 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winch 6 side of the car 2 and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heave 25. The first upper pulley 4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half-winder 6 side of the car 2 and is a second upper pulley disposed in front of the car 2 than the first upper pulley 40.

34는 시브(25)로부터 톱풀리(11)에 이르는 메인케이블(12)에 의한 카(2)의 후부 서스펜션위치이다.34 is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of the car 2 by the main cable 12 from the sheave 25 to the top pulley 11.

12는 메인케이블이고, 일단이 앵커(13)에 의해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풀리(10)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11)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후부 서스펜션위치(34)를 형성하여 시브에 감겨지고, 상승하여 제1상부풀리(40)의 위쪽 및 제2상부풀리(41)의 아래쪽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타단은 앵커(14)에 의해 카(2)의 앞쪽 근처에서의 승강로(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있다.12 is the main cab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by the anchor (13) and descends, wound around the balance pulley (10) and ascended, wound on the top pulley (11) to descend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A 34 to be wound around the sheave, and asc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pulley 4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pulley 41, and the other end is raised by the anchor 14 to the car 2.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near the front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서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prepar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machine 6 is provided i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19 및 도 20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S. 19 and 20.

또, 도 19 및 도 20의 실시의 형태에서, 카(2)가 제1상부풀리(40) 및 제2상부풀리(41)를 통하여 메인케이블(12)에 의해 매달려져서, 앵커(14)에 의해 앞쪽근처가, 또 뒤쪽근처는 후부 서스펜션위치(34)에 의해 매달려진다.19 and 20, the car 2 is suspended by the main cable 12 via the first upper pulley 40 and the second upper pulley 41, and is attached to the anchor 14. By the front suspension and near the rear is suspended by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34).

즉, 시브(25)측의 서스펜션위치(34) 및 이 서스펜션위치(34)에 대하여 카(2)의 상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가 매달려져서 카(2)의 중심(重心)근처가 매달려진다.That is, the suspension position 34 on the side of the sheave 25 and the position separ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2 with respect to the suspension position 34 are suspended so that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r 2 is suspended. Lose.

이 때문에, 카(2), 카(2)의 승강은 안내하는 레일 등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감소되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as for the lifting of the car 2 and the car 2, the unloading load which acts on a guide rail etc. can be reduced, a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카(2)의 천정위에 제1상부풀리(40) 및 제2상부풀리(41)가 설치되므로, 승강로(1)의 피트를 얕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1st upper pulley 40 and the 2nd upper pulley 41 are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car 2, the pit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hallow.

따라서, 승강로(1)를 단축할 수 있고, 승강로(1)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hoistway 1 can be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실시의 형태 11Embodiment 11

도 21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적 횡단 평면도이다.2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또한, 도 21에서 설명하는 것 이외는 상술의 도 1∼도4,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is comprised like FIG. 1 thru | or FIG. 4, FIG. 19, and FIG. 20 except having demonstrated in FIG.

도면에서, 도 1∼도 4, 도 19 및 도 20과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9는 승강로(1)에 설치되어 측벽(30)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균형추, 6은 카(2)에 설치되어 측벽(30)의 외면에 배치된 권양기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GS. 1 to 4, 19, and 20 denote a substantial portion, 9 is a counterweight provided at the hoistway 1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30, and 6 is a car ( It is a hoist provided in 2) and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권양기(6)가 카(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벽에 보수용수단(19)이 설치된다.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inch machine 6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2, and the repair means 19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ar 2.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 21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도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Therefor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can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FIG. 21.

또, 도 21의 실시의 형태에서, 카(2)가 제1상부풀리(40) 및 제2상부풀리(41)를 통하여 메인케이블(12)에 의해 매달려져서 앵커(14)에 의해 앞쪽근처가, 또 뒤쪽근처는 후부 서스펜션위치(34)에 의해 매달려진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21, the car 2 is suspended by the main cable 12 through the first upper pulley 40 and the second upper pulley 41 so that the front side is anchored by the anchor 14. And near the rear is suspended by the rear suspension position 34.

즉, 시브(25)측의 서스펜션위치(34) 및 이 서스펜션위치(34)에 대하여 카(2)의 상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가 매달려져서, 카(2)의 중심(重心)근처가 매달려진다.In other words, the suspension position 34 on the sheave 25 side and th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suspension position 34 in the diago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2 are suspended so that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r 2 Hanging

이 때문에, 카(2), 카(2)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등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감소하여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nloading load which acts on the car 2, the rail which guides the lifting of the car 2, etc. is reduced, a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카(2)의 천정위에 제1상부풀리(40) 및 제2상부풀리(4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피트를 얕게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1st upper pulley 40 and the 2nd upper pulley 41 are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car 2, the pit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hallow.

따라서, 승강로(1)를 단축할 수 있고, 승강로(1)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hoistway 1 can be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로의 각각의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 얕은 깊이치수로 구성되어 카의 외측면에 설치된 권양기와, 승강로의 정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톱풀리와,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권양기에 감겨지고 상승하여 타단은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된 메인케이블과, 권양기의 요부를 구성하고,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메인케이블이 감겨진 시브와, 카의 측면에 설치되어 권양기의 보수부위에 대응하여 개구하는 보수용수단을 설치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ar, a balance weight, and a shallow depth dimension to elevate each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and a hoist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ist,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top of the hoistway so that the rotation axis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aw pulleys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descended, wound up on the pulley of the balance weight, and wound up and wound down on the top pulley, wound up on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The main body of the winch is formed, and the rotation axis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heave on which the main cable is wound is provided, and a repair mean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r and ope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pair part of the winch.

이와같이, 권양기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의 벽에 보수용수단이 설치된다.In this way, the winch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and a repair means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ar.

그리고, 보수작업원이 보수용수단의 도어를 열어서 카내에서의 작업에 의해 점검구에서 권양기의 보수작업을 한다.Then, the maintenance worker opens the door of the repairing means and repairs the hoisting machine at the inspection opening by working in the car.

따라서, 보수작업시에 보수작업원이 구부릴 필요가 없고, 자연스러운 자세로 작업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er does not need to bend during the maintenance work, and can work in a natural posture.

또, 공구등을 잘못하여 승강로에 낙하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없고, 보수작업능률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unnecessary to take great care not to accidentally drop a tool or the like on the hoistway, thereby improving the maintenance work efficiency.

또, 권양기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므로, 승강로 하부에 침수한 경우의 권양기에 생기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ch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to the winch when the submerg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또,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권양기가 설치된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디플렉터 휠과, 카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권양기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제1하부풀리와, 카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하부풀리에 대향한 카의 가장자리부분 근처에 배치된 제2하부풀리를 설치하며, 메인케이블을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고, 디플렉터 휠에 감겨져서 서스펜션위치를 형성하며 권양기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제1하부풀리 및 제2하부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타단은 디플렉터 휠측의 서스펜션위치에 대향하여 카의 하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매달아 설치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flector wheel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provided with the hoist, the first lower pulley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ist, The second lower pulley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and is disposed near the edge of the car opposite the first lower pulley. The main cabl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lowered. It is wound up and rolled up and wound up on the top pulley, and it is wound up on the deflector wheel to form the suspension position, it is wound up on the winch, and it is lowered up and wound up on the 1st bottom pulley and the 2nd bottom pulley. It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in a diagonal direction awa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to hang.

이에 따라, 권양기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의 벽에 보수용수단이 설치된다.Thereby, the winch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and the repair means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ar.

그리고, 보수작업원이 보수용수단의 도어를 열어서 카내에서의 작업에 의해 점검구에서 권양기의 보수작업을 한다.Then, the maintenance worker opens the door of the repairing means and repairs the hoisting machine at the inspection opening by working in the car.

따라서, 보수작업시에 보수작업원이 구부릴 필요가 없고, 자연스러운 자세로 작업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er does not need to bend during the maintenance work, and can work in a natural posture.

또, 공구등을 잘못하여 승강로에 낙하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없고, 보수작업능률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unnecessary to take great care not to accidentally drop a tool or the like on the hoistway, thereby improving the maintenance work efficiency.

또, 권양기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므로, 승강로 하부에 침수한 경우의 권양기에 생기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ch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to the winch when the submerg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또, 카가 제1하부풀리 및 제2하부풀리를 통하여 메인케이블에 의해, 디플렉터 휠의 서스펜션위치 및 이 서스펜션위치에 대하여 카의 하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의해 매달려진다.In addition, the car is suspended by the main cable through the first lower pulley and the second lower pulley by the suspension position of the deflector wheel and the position diagonally awa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with respect to the suspension position.

이에 따라, 카의 중심(重心)근처가 매달려지므로, 카,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등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감소되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since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r is suspended, the unloading load acting on the car, th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car, and the like can be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권양기가 설치된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디플렉터휠과,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디플렉터휠에 대응한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 제1측부풀리와,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측부풀리에서 떨어져서 배치된 제2측부풀리를 설치하여, 메인케이블을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고, 권양기에 감겨져서 서스펜션위치를 형성하며, 디플렉터 휠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제1측부풀리 및 제2측부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타단은 권양기측의 서스펜션위치에 대향하여 카의 평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하며 매달아 설치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flector wheel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provided with the winch, and the first side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and disposed in a low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flector wheel By installing the pulley and the second side pulley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and disposed away from the first side pulley, one end of the main cable is lower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wound up on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It is wound on the top pulley and lowered, wound on the winch to form a suspension position, wound on the deflector wheel and lowered, wound on the first side pulley and the second side pulley and raised, and the other end is opposed to the suspension position on the winch side. It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which runs diagonally from the plane of the car.

이에 따라, 권양기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의 벽에 보수용수단이 설치된다.Thereby, the winch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and the repair means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ar.

그리고, 보수작업원이 보수용수단의 도어를 열어서 카내에서의 작업에 의해 점검구에서 권양기의 보수작업을 한다.Then, the maintenance worker opens the door of the repairing means and repairs the hoisting machine at the inspection opening by working in the car.

따라서, 보수작업시에 보수작업원이 구부릴 필요가 없고, 자연스러운 자세로 작업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er does not need to bend during the maintenance work, and can work in a natural posture.

또, 공구등을 잘못하여 승강로에 낙하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없고, 보수작업능률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unnecessary to take great care not to accidentally drop a tool or the like on the hoistway, thereby improving the maintenance work efficiency.

또, 권양기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므로, 승강로 하부에 침수한 경우의 권양기에 생기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ch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to the winch when the submerg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또, 카가 제1측부풀리 및 제2측부풀리를 통하여 메인케이블에 의해, 권양기측의 서스펜션위치 및 이 서스펜션위치에 대하여 카의 평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의해 매달려 진다.In addition, the car is suspended by the main cable via the first side pulley and the second side pulley by the suspension position on the side of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position spaced diagonally from the plane of the car with respect to the suspension position.

이에 따라, 카의 중심(重心)근처가 매달려지므로, 카,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등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감소되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since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r is suspended, the unloading load acting on the car, th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car, and the like can be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 카의 측면에 제1측부풀리 및 제2측부풀리가 설치되므로, 승강로에서의 카의 최상 정지위치 또는 최상 정지위치로부터의 상하방향의 여유공간을 감소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1st side pulley and the 2nd side pulley are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a car, the clearance space of the uppermost direction or the up-down direction from the highest stopping position of a car in a hoistway can be reduced.

따라서, 승강로를 단축할 수 있어 승강로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비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hoistway can be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또,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권양기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제1상부풀리와, 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상부풀리에 대향한 카의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된 제2상부풀리를 설치하여, 메인케이블을,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권양기에 감겨져서 서스펜션위치를 형성하고, 상승하여 제1상부풀리에 위쪽으로 부터 감겨지고, 제2상부풀리에 아래쪽으로 부터 감겨져서 상승하며, 타단은 권양기측의 서스펜션위치에 대향하여 카의 상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매달어 설치한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pper pulley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a car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winch, and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r so as to face the first upper pulley. By installing a second upper pulley disposed near the edge of the car, one end of the main cable is lower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wound up by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wound up by the saw pulley, and lowered by the hoisting machine. Forming a position, ascending and wound up from the top to the first upper pulley, and wound up from the bottom to the second upper pulley, the other end being spaced diagon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opposite the suspension position on the winch side It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hung.

이에 따라, 권양기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카의 벽에 보수용수단이 설치된다.Thereby, the winch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and the repair means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ar.

그리고, 보수작업원이 보수용수단의 도어를 열어서 카내에서의 작업에 의해 점검구에서 권양기의 보수작업을 한다.Then, the maintenance worker opens the door of the repairing means and repairs the hoisting machine at the inspection opening by working in the car.

따라서, 보수작업시에 보수작업원이 구부릴 필요가 없고, 자연스러운 자세로 작업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er does not need to bend during the maintenance work, and can work in a natural posture.

또, 공구등을 잘못하여 승강로에 낙하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없고, 보수작업능률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unnecessary to take great care not to accidentally drop a tool or the like on the hoistway, thereby improving the maintenance work efficiency.

또, 권양기가 카의 외측면에 설치되므로, 승강로 하부에 침수한 경우의 권양기에 생기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ch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to the winch when the submerg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또, 카가 제1상부풀리 및 제2상부풀리를 통하여 메인케이블에 의해, 권양기측의 서스펜션위치 및 이 서스펜션위치에 대하여 카의 평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의해 매달려진다.Further, the car is suspended by the main cable via the first upper pulley and the second upper pulley by the suspension position on the side of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position diagonally away from the plane of the car with respect to the suspension position.

이에 따라, 카의 중심(重心)근처가 매달려지므로, 카,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등에 작용하는 편하중이 감소되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since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r is suspended, the unloading load acting on the car, th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car, and the like can be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균형추의 권양기와의 대향면에 수평투영면에서 권양기가 틈새에 끼워지는 상태로 끼워맞추는 오목부를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ncave portion to be fitted in a state where the winches are fitted in the gap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to the winches.

이에따라, 수평투영면에서 균형추의 오목부에 권양기가 끼워맞춤상태로 배치되므로, 승강로의 횡단면에서의 치수를 축소할 수 있고, 승강로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설치비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since the hoist is fitt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lance weight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the dimension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and the elevator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또,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권양기가 장착된 카의 벽에 설치되어 이 벽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권양기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및 카의 조작반의 저어도 한쪽을 장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on the wall of the car on which the hoist is mounted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wall surface, and at least one of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nd the operation panel of the car disposed away from the hoist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equipped.

이와같이, 카의 벽에 설치된 권양기의 상하방향에 수평투영면에서 권양기와 제어반, 조작반이 서로 겹쳐서 배치된다.In this way, i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inch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ar, the winch, the control panel, and the operation panel are arranged overlapping each other.

따라서, 승강로의 횡단면적을 유효하게 사용하고 승강로의 횡단면에서의 치수를 축소할 수 있으며, 승강로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비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can be effectively used, the dimension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Claims (3)

승강로의 각각의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와, 얕은 깊이치수로 구성되어 상기 카의 외측면에 설치된 권양기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톱풀리와, 일단이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상기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상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상기 권양기에 감겨지고, 상승하여 타단은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된 메인케이블과, 상기 권양기의 요부를 구성하고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메인케이블이 감겨진 시브와, 상기 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권양기의 보수부위에 대응하여 개구하는 보수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A saw having a car and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each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and a hois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r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top of the hoistway, the rotation axis being arranged horizontally. Pulleys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descending, wound up by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wound up and wound around the top pulley and wound around the winch, the other end is the main cab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an elevator device having a main portion of the winch, the main shaft of which is wou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circulation mean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r and open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part of the winch of the winch.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권양기가 설치된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디플렉터 휠과, 상기 카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권양기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제1하부풀리와, 상기 카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하부풀리에 대향한 상기 카의 가장자리부분근처에 배치된 제2하부풀리를 구비하고, 메인케이블을,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고, 상기 디플렉터 휠에 감겨져서 서스펜션위치를 형성하여 상기 권양기에 감겨지며, 하강하여 상기 제1하부풀리 및 제2하부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타단은 상기 디플렉터 휠측의 서스펜션위치에 대향하여 상기 카의 하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매달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 deflector wheel rotatably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r on which the winch is installed, a first lower pulley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r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nch, and rotatably on a lower surface of the car Equipped with a second lower pulley mounted near the edge of the car opposite the first lower pulley, the main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lowered, wound up on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Wound around the top pulley, wound around the deflector wheel to form a suspension position, and wound around the hoisting machin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ing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facing the Lee cultivator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권양기가 설치된 카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디플렉터 휠과, 상기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디플렉터 휠에 대응한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 제1측부풀리와, 상기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측부풀리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제2측부풀리를 구비하고, 메인케이블을,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고, 상기 권양기에 감겨져서 서스펜션위치를 형성하여 상기 디플렉터 휠에 감겨지며, 하강하여 상기 제1측부풀리 및 제2측부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고, 타단은, 상기 권양기측의 상기 서스펜션위치에 대항하여 상기 카의 평면에서의 대각선방향으로 떨어진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매달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 deflector wheel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r on which the hoist is installed, a first side pulley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side and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flector wheel, and rotatably on the outer side A second side pulley mounted and disposed away from the first side pulley, the main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lowered, wound up on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wound up on the top pulley, It is wound on the hoist to form a suspension position, wound on the deflector wheel, descends, wound on the first side pulley and the second side pulley, and rises, and the other end is opposed to the suspension position on the hoist side.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ing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in the plane of the diagonally separated.
KR1020000008731A 1999-02-26 2000-02-23 Elevator system KR1003302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050864 1999-02-26
JP11050864A JP2000247560A (en) 1999-02-26 1999-02-26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52A true KR20000058152A (en) 2000-09-25
KR100330285B1 KR100330285B1 (en) 2002-03-27

Family

ID=1287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731A KR100330285B1 (en) 1999-02-26 2000-02-23 Elevator syst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31528B1 (en)
JP (1) JP2000247560A (en)
KR (1) KR100330285B1 (en)
CN (1) CN1104370C (en)
DE (1) DE60003475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9104A1 (en) * 2000-04-17 2001-10-2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in-car maintenance
ES2231529T3 (en) * 2000-07-29 2005-05-16 Alpha Getriebebau Gmbh ELEVATOR CABIN WITH A DRIVE PULLEY DRIVING MACHINE INTEGRATED IN THE SAME.
ES2263443T3 (en) * 2000-08-07 2006-12-16 Space Lift Srl CABLE LIFT WITH MACHINERY IN THE HOLLOW.
EP1215156A1 (en) * 2000-12-13 2002-06-19 Inventio Ag Elevator with machine mounted on the car
FR2819796B1 (en) * 2001-01-19 2003-04-11 Emile Kadoche MOTORIZATION ON BOARD UNDER AN ELEVATOR CAB
DE10104351A1 (en) * 2001-02-01 2002-08-22 Ingenieurgesellschaft Foerder Lift (elevator) with drive and control units traveling with cabin has these units mounted on cabin roof
KR100391381B1 (en) * 2001-02-24 2003-07-12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pairing controller of elevator
CN1270957C (en) * 2001-05-24 2006-08-23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apparatus
EP1433734B1 (en) * 2001-06-15 2011-10-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chine-room-less elevator
EP1564176A4 (en) * 2002-04-26 2010-05-05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FR2845366A1 (en) * 2002-10-07 2004-04-09 Emile Kadoche On-board lift machinery comprises hydraulic actuator connected to hydraulic machinery located under cabin, all operating units being accessible from inside cabin
US7503433B2 (en) * 2003-04-07 2009-03-17 Chiu Nan Wang Elevator
FI116562B (en) 2003-11-17 2005-12-30 Kone Corp A method of installing a lift
FI119769B (en) 2003-11-17 2009-03-13 Kone Corp Procedure for mounting a lift and lift
ATE359228T1 (en) * 2004-02-19 2007-05-15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ENGINE ROOM-LESS DRIVING DISC ELEVATOR
FI116461B (en) * 2004-03-18 2005-11-30 Kone Corp Method of installing the lift and delivery of the lift
CH699369B1 (en) * 2006-12-20 2010-02-26 Henseler H Ag Elevator car with maintenance window.
JP2012025581A (en) * 2010-07-28 2012-02-09 Hitachi Ltd Elevator
ITFI20110112A1 (en) * 2011-05-27 2012-11-28 A R E S R L TRACTION DEVICE FOR ELEVATORS
JP5767573B2 (en) * 2011-11-24 2015-08-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maintenance equipment
EP2690050A1 (en) * 2012-07-27 2014-01-29 Inventio AG Lift cabin with maintenance window
JP6316662B2 (en) * 2014-05-30 2018-04-2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US20180086604A1 (en) * 2015-04-09 2018-03-29 Nicolas Fonteneau Elevator car wall for access to hoistway
US10633222B2 (en) 2015-06-19 2020-04-28 Otis Elevator Company Removable elevator car door panel
EP3328770B1 (en) 2015-07-28 2022-05-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intenance from inside elevator car
EP3210926B1 (en) 2016-02-23 2020-01-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panel
WO2017157468A1 (en) * 2016-03-18 2017-09-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ing an elevator system
CN106629288B (en) * 2016-12-27 2018-12-04 廖忠民 With can folding and unfolding maintenance platform lifting device
CN106584408A (en) * 2016-12-30 2017-04-26 廖忠民 Stepless distance adjusting maintenance working table of lifting device
EP3747818B1 (en) 2019-06-05 2024-01-17 Otis Elevator Company Detachable panel for an elevator panel assembly
KR102306868B1 (en) 2019-09-11 2021-09-30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300A (en) * 1996-12-20 1999-05-04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for an elevator traction machine
JPH10231074A (en) * 1997-02-19 1998-09-02 Hitachi Ltd Small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1528B1 (en) 2003-06-25
CN1104370C (en) 2003-04-02
KR100330285B1 (en) 2002-03-27
CN1264678A (en) 2000-08-30
DE60003475D1 (en) 2003-07-31
JP2000247560A (en) 2000-09-12
EP1031528A1 (en) 2000-08-30
DE60003475T2 (en)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285B1 (en) Elevator system
KR100330286B1 (en) Elevator system
KR100326109B1 (en) Elevator having governor
JP2000247560A5 (en)
KR100444936B1 (en) Elevator device
JP2004504239A (en) Elevator equipment using the smallest building space
JP2000229772A5 (en)
JP3991657B2 (en) elevator
EP1396457B1 (en) Elevator device
JP484943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403142B2 (en) Elevator apparatus drive unit, elevator apparatus, elevator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and elevator apparatus maintenance and inspection method
JP3961718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108454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1097649A (en) Elevator device
KR100697487B1 (en) Elevator equipment
EP1724229A1 (en) Elevator apparatus
JP2000095461A (en) Traction elevator
CN108883898B (en) Elevator device
JP2001048445A (en) Elevator
JP4493759B2 (en) Elevator equipment
EP1571112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617383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JP4091218B2 (en) elevator
KR200288350Y1 (en) Elevator
JP2000238971A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