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868B1 -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868B1
KR102306868B1 KR1020190112639A KR20190112639A KR102306868B1 KR 102306868 B1 KR102306868 B1 KR 102306868B1 KR 1020190112639 A KR1020190112639 A KR 1020190112639A KR 20190112639 A KR20190112639 A KR 20190112639A KR 102306868 B1 KR102306868 B1 KR 10230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ilding structure
drain
opening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1562A (en
Inventor
강예석
오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강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강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11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868B1/en
Publication of KR20210031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562A/en
Priority to KR1020210125935A priority patent/KR1023314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건축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누수로 인하여 유입된 물이 다른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으로서 건축구조물 내의 층별 공용공간 바닥에 형성된 배수로와, 배수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로를 차폐하되, 유입되는 물을 배수로로 배수시키는 복수개의 배수홀들이 관통 형성된 배수트렌치와, 배수로와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모듈과, 배수모듈에 설치되어 물의 유입여부를 감지하는 침수감지센서와, 건축구조물의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하여 급수를 차단하는 급수차단밸브와, 침수감지센서로부터 침수신호가 수신되면 급수가 차단되도록 급수차단밸브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침수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배수모듈과 차단모듈을 통하여 누수의 차수와 배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축구조물 층별 공용공간 내에 수도관 및 소방배관 파손 등에 의하여 발생된 누수가 승하강 설비공간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승하강설비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water in a building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a multi-storey building structure and prevents the water flowing in due to a leak from spreading to other spaces. Installed in the drain module to shield the drain, and including a drain trench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 draining the incoming water to the drain are formed, and a pipe connected to the drain to drain water to the outside; A flood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water has entered the building structure, a water supply shutoff valv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line of a building structure to block water supply by a control signal, and a water supply shutoff valve to block water supply when a floo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lood detection sensor It provides a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ooding of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lood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bov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water leakage can be stopped and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module and the blocking module, so that the leakage caused by damage to the water pipe and the fire pipe in the common space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structure is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elevating facility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flooding of the elevating equipment.

Description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층별 공용공간 내에 수도관 및 소방배관 파손 등에 의하여 발생된 누수가 승하강 설비공간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하강설비의 침수를 방지하고, 다른 층으로의 침수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ooding of a bui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by preventing water leakage caused by damage to water pipes and fire-fighting pipes in the common space of each building floor from flowing into the elevating facility space to prevent flooding of the elevating facilities. It relates to a flood prevention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that can prevent and prevent the spread of flood damage to other floors.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이나 업무시설 등의 승강기홀 공간은 천장에 스프링클러, 벽체 옥내소화전, 화장실(세대화장실 포함) 등이 인접해 있어 배관누수에 따른 침수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된다.In general, in elevator hall spaces such as apartment houses or business facilities, sprinklers, wall fire hydrants, and toilets (including household toilets) are adjacent to the ceiling, so flooding occurs frequently due to pipe leakage.

특히,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의 경우에는 복잡한 전기제어장치와 기계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침수가 발생하여 물이 유입되면 그 피해가 크고 강우량이 많은 장마철에 공동주택의 저층부 또는 지하층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 승강기로 유입된 빗물에 의해 침수되기 때문에, 이러한 침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elevator installed in an apartment building, it is composed of a complicated electric control device and a mechanical device. When water flows in due to flooding, the damage is large and rainwater enters the lower or basement floors of the apartment house during the rainy season when there is a lot of rainfall. Since it is flooded by rainwater flowing into the elevator when it flows,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flooding are necessary.

이에 종래에는 이러한 승강기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탑승구 앞에 모래주머니를 쌓아서 임시로 빗물을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모래주머니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가 매우 어렵고, 집중호우에 의해 빗물이 갑자기 불어난 경우 모래주머니를 쌓기 전에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prevent flooding of the elevator, a method of temporarily blocking rainwater by stacking sandbags in front of the boarding gate is used. There was a problem of flooding before sandbags were built when rainwater suddenly swelled by

한편, 상기한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승강기 내부의 침수차단장치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0285호는, 승강로의 각각의 소정경로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와, 얕은 깊이치수로 구성되어 카의 외측면에 설치된 권양기와, 승강로의 정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톱풀리와, 일단이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균형추의 풀리에 감겨져서 상승하며, 톱풀리에 감겨져서 하강하여 권양기에 감겨지고, 상승하여 타단은 승강로의 상단부에 연결된 메인케이블과, 권양기의 요부를 구성하고 회전축선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메인케이블이 감겨진 시브와, 카의 측면에 설치되어 권양기의 보수부위에 대응하여 개구하는 보수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of a technology for a flood blocking device inside an elevator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flooding,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30285 is composed of a car and a counterweight for elevating each predetermined path of the hoistway, and a shallow depth dimension. The hoisting machin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a top pulley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op of the hoistway, the axis of rotation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to descend, and is wound around the pulley of the counterweight to rise. , It is wound on the top pulley, it descends and is wound on the winding machine, and the other end rises and rises, the main cable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main part of the winding machine is formed and the rotation axis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main cable is wound, and the side of the car An elevator device having a repair means installed in the hoist a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repair portion of the hoisting machine has been disclosed.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침수차단장치는, 승강기 내부에서 승강기 내부의 침수만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승강기 설비공간으로 유입되는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다른 층으로의 침수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flood blocking device described above is a technology for preventing only the inside of the elevator from being flooded from inside the eleva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undamentally block the water leakage flowing into the elevator facility space from the outside.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prevent the spread of flood damag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0285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330285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층별 공용공간 내에 수도관 및 소방배관 파손 등에 의하여 발생된 누수가 승하강 설비공간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승하강설비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층으로의 침수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water leakage caused by damage to water pipes and fire pipes in the common space of each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from flowing into the elevating facility space to prevent flooding of elevating facilities, and water damage to other floors can be preven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ooding of building structures that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본 발명은, 다층건축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누수로 인하여 유입된 물이 승하강 설비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축구조물 내의 층별 공용공간 바닥에 형성된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를 차폐하되, 유입되는 상기 물을 상기 배수로로 배수시키는 복수개의 배수홀들이 관통 형성된 배수트렌치와, 상기 배수로와 연결되어 상기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모듈과; 상기 배수모듈에 설치되어 물의 유입여부를 감지하는 침수감지센서와, 상기 건축구조물의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하여 급수를 차단하는 급수차단밸브와, 상기 침수감지센서로부터 침수신호가 수신되면 급수가 차단되도록 상기 급수차단밸브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침수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water in a building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a multi-storey building structure and prevents the water flowing in due to a leak from spreading to an elevating facility space, the ,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ain to shield the drain, and includes a drain trench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through which the inflowing water is drained into the drain, and a piping part connected to the drain to drain the water to the outside. a drain module configured to; A flood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drainage module to detect whether water has flowed in, a water supply shutoff valve installed in a water supply line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block water supply by a control signal, and a flood water signal received from the flood detection sensor It provides a flooding prevention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lood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to block the water.

여기서, 상기 배관부는, 일단부가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어 상기 배수로의 물이 유출되는 입상관과, 일단부가 상기 입상관의 타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평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ipe part includes a rising pipe having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channel and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drain pipe,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standing pip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outsid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tube.

상기 배수모듈은, 상기 배수트렌치에 관통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차폐 및 개방되는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패쇄하되, 침수가 발생될 시 상기 관통홀이 개방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배수트렌치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트리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ainage module is installed in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drainage trench and selectively shielded and opened to close the through hole, but is selectively removed so that the through hole is opened when flooding occurs, so that the drainage trench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rtridge unit for draining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평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수평방향 또는 하방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배수트렌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unit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flat cross-sectional area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and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drainage trench by an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downward.

상기 침수제어모듈은,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알람신호에 의하여 작동되어, 사용자에게 침수를 경고하는 알람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lood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that is operated by an alarm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to warn a user of flooding.

상기 알람유닛은, 상기 승강기홀 공간, 계단실 및 관리사무소를 포함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알람신호에 의하여 점등되는 알람램프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알람경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larm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including the elevator hall space, the stairwell and the management office, and may include an alarm lamp that is lit by the alarm signal or an alarm that outputs an alarm sound. have.

상기 침수감지센서는,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40mm 내지 60mm 범위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immersion senso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by 40 mm to 60 mm in the upper direction.

상기 급수차단밸브는, 상기 건축구조물 내에 설치된 급수미터기의 전방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water supply meter installed in the building structure.

상기 배수트렌치는, 하부바닥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 140mm 내지 160mm 및 깊이 90mm 내지 110mm로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age trench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loor, and may have a width of 140 mm to 160 mm and a depth of 90 mm to 110 mm.

상기 건축구조물의 침수방지시스템은, 상기 건축구조물에 설치된 승강기의 개폐도어 전방에 설치되고,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승강되어 침수 시 물이 상기 승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lood prevention system of the building structure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ning/closing door of the eleva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structure, and is lifted from the floor to a preset height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elevator when submerged. can be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개폐도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의 전방 하부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차단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차단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와이어와, 상기 승하강와이어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locking module includes a blocking member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ning/closing door to open or shiel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opening/closing door according to elevation and lowering,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member to lift the blocking memb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evating wire for descending, and a wire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wire and interlock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elevate and lower the elevating wire.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승강기의 개폐도어와 연동하여 작동되되, 상기 개폐도어의 차폐 시에는 하부바닥으로부터 승강되어 상기 승강기의 전방을 폐쇄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 시에는 하강되어 상기 승강기의 전방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module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door of the elevator,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closed, it is lifted from the lower floor to close the front of the elevator,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opened, it is lowered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It can be configured to open.

상기 와이어구동유닛은, 상기 개폐도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외측에 기어부가 형성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랙기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축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승하강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권취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ire driving un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pening/closing door,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an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a rack gear having a gear part formed on the outside thereof, and a rack gear meshing with the rack gear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ack gear A driving gear that rotates according to movement, a winding roller that is shaft-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and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wire is wound and move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wir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may be included.

상기 랙기어, 상기 구동기어, 상기 권취롤러 및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개폐도어 각각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rack gear, the driving gear, the winding roller, and the wire may be installed as a pair in each of the pair of opening/closing door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승강기의 프레임세트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module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set portion of the elevator.

나아가, 상기 건축구조물의 침수방지시스템은, 침수 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단부재를 승강시키는 잠금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lood prevention system of the build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and elevate the blocking member when submerged.

한편,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침수가 발생될 시 물과 반응하여 제거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rtridge un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 cartridge frame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water when submerged occur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rtridge that is removed by reaction.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는,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 천연재질로 형성되어, 침수발생 시 상기 물에 용해되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artridge is formed of a water-soluble natural material that dissolves in water,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emoved by dissolving in the water when submersion occurs.

상기 카트리지는, 당화합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may be formed of a sugar compound material.

상기 카트리지는, 염화계열 화합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may be formed of a chlorinated compound material.

상기 카트리지는,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omes thinner from the edge to the center.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flood diffusion prevention system of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배수모듈과 차단모듈을 통하여 수도관 및 소방배관 파손 등에 의하여 발생된 누수에 대한 차수(斷水와) 배수(排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축구조물 층별 공용공간 내에 발생된 누수가 승하강 설비공간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승하강설비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First, through the drainage module and the blocking module, the water pipe and fire-fighting pipe breakage, etc.,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shut off and drain the water, so that the leaks generated in the common space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structure are w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flow into the lowering facility space, thereby preventing flooding of the elevating facility.

둘째, 배수모듈과 침수제어모듈을 통하여 누수발생 시 침수에 대한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누수가 발생된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또는 침수발생지점으로부터 인접한 계단실이나 세대실내와 같은 공용공간으로의 침수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Second, through the drainage module and the flood control modul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tively respond to flooding in the event of a water leak.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flood damage.

셋째, 차단모듈이 승강기 개폐도어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갑작스러운 누수발생으로 인한 침수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 없이 기계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견고하고 경제적이다. Third, the blocking module is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ning/closing door, so that it can effectively cope with flooding caused by sudden leakage of water.

넷째, 물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평상시의 경우 배수모듈은 배수홀만 개방되어 배수로의 이물질유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되고, 침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가 제거되어 관통부분도 개방되어 있기 침수 시 배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Fourth, by using a cartridge that is selectively removed by water, in normal cases, only the drain hole is open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drain, and when submersion occurs, the cartridge is removed and the penetrating part is also opened. It can improve the drainage effect in case of submersion.

다섯째, 카트리지프레임을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카트리지유닛이 보행등으로 인한 외력에 대하여 내려앉지 않고 그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Fifth, the cartridge fram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downward, so that the cartridge unit can maintain its installation position without sinking against an external force due to walking.

여섯째, 카트리지를 물에 용해되고 친환경적인 수용성 천연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카트리지유닛의 분리 및 이탈이 방지되고, 카트리지가 용해되어 제거될 시에는 카트리지프레임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카트리지유닛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카트리지 교체가 용이하다.Sixth, by forming the cartridge with water-soluble and eco-friendly water-soluble natural material, the separation and separation of the cartridge unit is usually prevented, and when the cartridge is dissolved and removed, the cartridge frame is configured so that the cartridge unit can be removed from theft of the cartridge unit. of course, it is easy to replace the cart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에서 건축구조물의 하부바닥에 설치된 배수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에서 침수제어모듈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에서 배수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수모듈에서 물에 의하여 용해되는 카트리지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수모듈에서 카트리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수모듈에서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에서 배수모듈 및 차단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차단모듈에서 차단부재의 승하강작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차단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단모듈의 승하강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rainage module installed on a lower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in a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ooding of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flood control module in the flood diffusion prevention system of the building structure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inage module in the system for preventing flood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of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artridge dissolved by water in the drainage module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tridge unit in the drain module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tridge in the drain module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inage module and a blocking module in the flood prevention system of the building structure of FIG. 1 .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member in the blocking module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module of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vat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module of FIG. 9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이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이라한다)은, 다층건축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건축구조물 층별 공용공간 내에 수도관 및 소방배관 파손 등에 의하여 발생된 누수로 인하여 유입된 물이 승하강 설비공간으로 확산되는 것 방지하여 승하강설비의 침수를 방지하고,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설비공간은, 승하강홀을 주 공간으로 할 수 있으나, 상기한 승하강홀 뿐만 아니라 계단식복도 공간도 포함됨을 물론이다.The flood diffusion prevention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ter inundation diffusion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ulti-story building structure, and leaks caused by damage to water pipes and fire-fighting pipes in the common space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structure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from being diffused into the elevating facility space, thereby preventing flooding of the elevating facility and preventing it from spreading to other spaces. Here, the elevating facility space, the elevating hall may be the main space, but of course, not only the elevating hall but also the stepped corridor space is includ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침수확산방지시스템은, 차수 및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수모듈(100)과, 침수제어모듈(200)과, 차단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looding diffusion prevention system may include a drain module 100 , a flood control module 200 , and a blocking module 300 so that water can be flushed and drained.

상기 배수모듈(100)은, 배수로(101)와, 배수트렌치(110)와, 배관부(120)와, 카트리지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ainage module 100 may include a drainage channel 101 , a drainage trench 110 , a piping unit 120 , and a cartridge unit 130 .

먼저, 상기 배수로(101)는, 상기 건축구조물 내의 층별 공용공간 바닥에 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이 유입되고(도 3참조),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로(101)는 설계되는 배수량에 따라 깊이와 평면적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drain 10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floor of the common space for each floor in the building structure, and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refer to FIG. 3 ) and drains the introduced water. The drainage conduit 101 may have a depth and a planar size according to the designed drainage amount.

상기 배수로(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발생 시 물이 승강기(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기(10)의 전방 이격된 위치의 하부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 101 may be formed on the lower floor of the elevator 10 spaced apart from the front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elevator 10 when flooding occurs, as shown.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수로(101)는, 침수가 예상되는 승강기홀 공간의 하부바닥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건축구조물의 구조 및 승강기의 위치 등에 따라 그 형성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However,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drainage channel 101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of the elevator hall space where flooding is expected, and the formation posi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have.

상기 배수트렌치(110)는, 상기 배수로(101)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로(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101)를 차폐하고, 상면이 하부바닥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보행 시 높이차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drainage trench 1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passage 101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drainage passage 101 to shield the drainage passage 101, and the upper surface is configured to coincide with the lower floor surface. It is configur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city height differences.

상기 배수트렌치(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배수로(101)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홀(111)들이 관통 형성된다. The drain trench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1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 a plate shape can be drained to the drain channel 101 .

도면에서, 상기 배수홀(111)들은, 장공의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평상 시 보행자의 보행이나 캐리어 등의 바퀴의 회전에 불편함이 없게 함은 물론, 배수로에 이물질 유입이 최대한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계된 배수량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배열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drawings, the drain holes 111 ar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slit and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to prevent inconvenience to pedestrians' walking or rotation of wheels such as carriers, as well as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drainage channel as much as possible. Of course you can.

한편, 상기 배수트렌치(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홀(111)들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로(101)의 이물질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배수량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구성 외, 공지의 메쉬형태의 트렌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ain trench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in which the drain holes 111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drain 101 as well as to secure the amount of drainage. However, this is an embodiment, and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known mesh type trench may be applied.

상기 배수트렌치(110)는, 폭 140mm 내지 160mm 및 깊이 90mm 내지 11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mm 폭과, 100mm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배수량과 보행자의 보행 및 동선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한 설정크기 보다 작은 경우에는 배수량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행자의 보행 및 동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The drainage trench 110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140 mm to 160 mm and a depth of 90 mm to 110 mm, preferably 150 mm wide and 100 mm deep.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drainage and the walking and movement of pedestrians, and if the size is smaller than the set siz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e amount of drainage, and if it is formed larger than this, it may affect the walking and movement of pedestrians.

도면에서, 상기 배수트렌치(110)는, 하부바닥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복수개가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다. In the drawing, the drainage trench 110 is formed in one configura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loor, but a plurality of them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n embodiment.

상기 배관부(120)는, 상기 배수로(101)와 연결되어 상기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ipe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drain 101 and serves to drain the water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상기 배관부(120)는, 일단부가 상기 배수로(101)의 바닥면과 연통되어 상기 배수로(101)의 물이 유출되는 입상관(121)과, 일단부가 상기 입상관(121)의 타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평관(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3참조). Specifically, the pipe part 120 includes a rising pipe 121 whose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101 and the water of the drain 101 flows out, and one end of the rising pipe 121 . I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pipe 122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outside (see FIG. 3 ).

여기서, 상기 입상관(121)과 수평관(122)은, 직경이 75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차 침수방지를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한 직경보다 작을 경우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2치 침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tube 121 and the horizontal tube 122 have a diameter of 75 mm or more. This is because, in consideration of secondary flooding prevention, if the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diameter, drainage is not smooth and two-dimensional flooding may occur.

상기 입상관(121)과 수평관(122)은 배수로(101)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배수배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riser pipe 121 and the horizontal pipe 12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drainage channel 101,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cause the configuration of a known drainage pipe can be applied. .

한편, 상기 배수모듈(100)은, 상기 배수트렌치(110)에 설치되어 침수발생 시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배수트렌치(110)의 배수유량을 증가시키는 카트리지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ainage module 100 may include a cartridge unit 130 installed in the drainage trench 110 and selectively removed when flooding occurs to increase the drainage flow rate of the drainage trench 110 .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은, 상기 배수트렌치(110)에 관통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차폐 및 개방되는 관통홀(112)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112)을 패쇄하되, 침수가 발생될 시 관통홀(112)이 개방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배수트렌치(110)의 상기 관통홀(112)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카트리지유닛(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cartridge unit 130 is formed through the drainage trench 110 and is installed in a through hole 112 that is selectively shielded and opened to close the through hole 112, but when submersion occurs, the through hole ( 112 is selectively removed so as to be opened so that drainage is made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of the drainage trench 110 . He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artridge uni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침수제어모듈(200)은, 침수감지센서(210)와, 급수차단밸브(220)와, 제어유닛(230)과, 알람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lood control module 200 may include a flood detection sensor 210 , a water supply shutoff valve 220 , a control unit 230 , and an alarm unit 240 . .

먼저 침수감지센서(210)는, 상기 배수모듈(100)에 설치되어 물의 유입여부를 감지하고, 물의 유입이 감지되면 침수신호를 상기 제어유닛(230)으로 송신한다.First, the submersion detection sensor 210 is installed in the drain module 100 to detect whether water is introduced or not, and when the inflow of water is detected, it transmits a submers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30 .

상기 침수감지센서(210)는, 상기 배수로(10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기 설정된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며, 하나 또는 배수로(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immersion sensor 2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101 in the upper direction, and may be installed at one or a plurality of poin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101 .

상기 침수감지센서(210)의 설치 높이는, 생활 유입수가 아닌 누수로 인하여 침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배수로(101)의 바닥면이 아닌 배수로(10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lood detection sensor 210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drain 101, not the bottom of the drain 101,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flooding has occurred due to water leakage, not living water. it is preferable

이에, 상기 침수감지센서(210)는, 상기 배수로(101)의 바닥면으로부터 40mm 내지 60mm 범위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mm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수감지센서(210)는, 공지의 물감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의 세부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ccordingly, the water immersion sensor 21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101 by 40 mm to 60 mm, and preferably installed at a height spaced apart by 50 mm. The water immersion sensor 210, a known water sensor may be applied, and a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급수차단밸브(220)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23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하여, 급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220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line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30 to cut off the water supply.

상기 급수차단밸브(220)는, 세대별 급수를 효과적으로 차단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건축구조물 내에 설치된 급수미터기(급수분지관)의 전방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22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water supply meter (water supply branch pipe) installed in the building structure to effectively block and control the water supply for each household.

상기 급수차단밸브(220)는, 공지의 전자식 차단밸브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220, a known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may b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유닛(230)은, 상기 침수감지센서(210)로부터 침수신호가 수신되면 급수가 차단되도록 상기 급수차단밸브(220)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23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220 so that water supply is cut off when a immers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mmersion detection sensor 210 .

또한, 상기 제어유닛(230)은, 상기 침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람유닛(240)이 작동되도록 신호를 송신하여 외부에서 침수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Also, when the submersi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230 transmits a signal to activate the alarm unit 240 to notify the submersion state from the outside.

상기 제어유닛(230)은, 건축구조물의 관리사무소의 컴퓨터단말기에 설치되어 관리사무소에서 급수차단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 등을 통하여 관리자가 급수차단밸브(22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30 may be installed on the computer terminal of the management office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220 in the management office, or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administrator's mobile terminal, etc.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220).

상기 알람유닛(240)은, 상기 제어유닛(230)으로부터 수신된 알람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며, 관리사무소를 비롯한 상기 승강기홀 공간, 계단실 및 관리사무소를 포함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침수를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The alarm unit 240 is operated by the alarm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30, and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including the management office, the elevator hall space, the stairs, and the management office. It serves as a warning of flooding.

상기 알람유닛(240)은, 관리사무소의 컴퓨터단말기에 침수경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알람신호에 의하여 점등되는 알람램프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알람경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등 상기한 침수경보를 알릴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The alarm unit 240 may display a flood warning on the computer terminal of the management office or include an alarm alarm that outputs an alarm lamp or an alarm sound that is turned on by the alarm signal.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can be notified.

이하에서는, 상기한 카트리지유닛(1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artridge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건축구조물에서 배관파손 등으로 인한 누수는 극히 드물게 발생되지만, 이례적으로 누수가 발생되기도 하며, 이렇게 누수가 발생되면 전자제어기기를 포함하는 승강기로 물이 유입되어 피해가 확산되는 등 이에 대한 피해는 상당히 크다. First of all, leakage due to pipe breakage in building structures occurs very rarely, but leaks occur exceptionally. is quite large.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배수트렌치(110a,110b)에 배수홀(111)과 관통홀(112,112a)을 구분하여 각각 형성하고 평상시에는 카트리지유닛(130)을 통하여 관통홀(112,112a)이 차폐되어 배수홀(111)만 관통되게 하고, 누수발생 시에는 배수홀(111)과 관통홀(112,112a)을 모두 개방시켜 배수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누수발생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holes 111 and the through holes 112 and 112a are separately formed in the drain trenches 110a and 110b, respectively, and the through holes 112 and 112a are shielded through the cartridge unit 130 in normal times. By allowing only the drain hole 111 to pass through, and to improve the drainage effect by opening both the drain hole 111 and the through holes 112 and 112a when a water leak occur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lood damage due to water leakage. .

이에 상기한 카트리지유닛(130)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은, 상기 배수트렌치(110a)에 설치되고 침수발생 시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배수트렌치(110a)의 배수유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Accordingly, looking at the cartridge unit 130 described above, the cartridge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drainage trench 110a and is selectively removed when flooding occurs to increase the drainage flow rate of the drainage trench 110a.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은, 상기 배수트렌치(110a)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112)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112)을 차폐하되, 침수가 발생되는 경우 제거되어 상기 관통홀(112)이 개방되게 하고, 이렇게 침수발생 시 관통홀(112)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배수트렌치(110a)의 배수유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cartridge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112 penetrating through the drain trench 110a to shield the through hole 112 , but is removed when submersion occurs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 The hole 112 is opened, and the through hole 112 is opened when flooding occurs in this way to increase the drain flow rate of the drain trench 110a.

여기서, 상기 관통홀(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트렌치(110a)의 배수홀(111)들 사이에 형성되고,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형성위치 및 형상 등은 배수트렌치(110a)의 크기와 배수홀(11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ere,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between the drain holes 111 of the drain trench 110a as shown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is is an example of a formation location and shape, etc.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ain trench 110a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drain hole 111 .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은, 카트리지프레임(131)과, 카트리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Looking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artridge unit 130 , the cartridge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rtridge frame 131 and a cartridge 132 .

먼저,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은, 상기 관통홀(1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12)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카트리지(13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First, the cartridge frame 1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2 and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112 , and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cartridge 132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은, 수직한 관형태의 프레임구조를 갖도록 수용공간의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카트리지(132)가 제거되면 수용공간이 배수로(101)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cartridge frame 13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ceiving space are penetrated to have a vertical tubular frame structure, so that when the cartridge 132 is removed, the receiv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drain 101 . .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은, 상기 관통홀(1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트리지(132)의 교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artridge frame 131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112 to facilitat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cartridge 132 .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의 착탈은, 카트리지(132)가 제거되어 수용공간이 관통 형성되면, 사용자가 관통홀(112)을 통하여 착탈할 수 있다. Here, when the cartridge 132 is removed and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rough the cartridge frame 131 ,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cartridge frame 131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은, 카트리지(132)가 카트리지프레임(131)에 삽입된 평상시의 경우에는 관통홀(112)로부터 분리가 어려워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침수가 발생되어 카트리지(132)가 제거되면 관통형성된 수용공간을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cartridge unit 13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ft, etc.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cartridge 132 from the through hole 112 when the cartridge 132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frame 131 in normal times, and flooding occurs. When the cartridge 132 is removed,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it through the through-formed receiving space.

즉,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은, 평소에는 분리가 어려워 도난이 방지되도록 구성되고, 침수 후에는 카트리지(132)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cartridge unit 13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ft because it is usually difficult to separate, and is configured to be easily separated when replacement of the cartridge 132 is required after submersion.

다음으로 상기 카트리지(132)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cartridge 132 will be described.

상기 카트리지(132)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침수가 발생될 시 물과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성된다.The cartridge 132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s configured to react with water and selectively remove when submersion occurs.

구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132)는,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 재질로 형성되어, 침수발생 시 상기 물에 용해되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rtridge 132 may be formed of a water-soluble material soluble in water,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emoved by dissolving in the water when submersion occurs.

한편, 상기 카트리지(1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침수발생 시에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물에 용해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나아가 배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물에 용해 시 이물질 발생이 적어야하며, 실온에서 상변화가 적고, 수평방향 또는 하방의 외력에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체(경화)상태에서 경도(강도)가 설정된 크기로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artridge 132,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dissolves in water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removed when submersion occurs, and furthermore, when dissolved in water so as not to affect drainage, the occurrence of foreign substances should be small, and at room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strength) in a solid (hardened) state in a size set in a solid (hardened) state so that the phase change is small and the shape can be maintained even in the horizontal or downward external force.

이를 위해, 상기 카트리지(132)는, 물에 용해됨은 물론 천연재질로 용해 시 이물질 발생이 없으며, 고체상태에서는 설정 강도를 갖는 당화합물 또는 염화계열 화합물의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artridge 132 is not only soluble in water, but also does not generate foreign substances when dissolved in a natural material, and in a solid state, a material of a sugar compound or a chlorinated compound having a set strength can be applied.

먼저, 상기 당화합물 재질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132)는, 사탕수수, 사탕무, 사탕단풍 및 사탕옥수수 등을 포함하는 당원료 천연재료로부터 추출된 진액을 가공하여 제조된다.First, when the sugar compound material is applied, the cartridge 132 is manufactured by processing the extract extracted from natural sugar raw materials including sugar cane, sugar beet, sugar maple, and sugar corn.

이때, 상기 당원료 진액을 가공하는 방법은, 상기한 카트리지(132)의 형태 및 원하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sugar raw material essence may be processed in various ways so as to have the shape and desired strength of the cartridge 132 described above.

이러한 가공방법에 대한 실시예로, 상기 카트리지(132)는, 상기 당원료 진액을 분말형태로 가공된 후 설정된 형태 및 강도를 갖도록 압축 가공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카트리지(132)는, 상기 당원료 진액에 첨가물을 첨가한 후 가공하여 설정된 형태 및 강도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is processing method, the cartridge 132 may be compressed to have a set shape and strength after the sugar raw material essence is processed into a powder form.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the cartridge 132 may be processed to have a set shape and strength by processing after adding an additive to the sugar raw material essence.

한편, 상기한 당화합물의 예로 설탕 또는 사탕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sugar compound may be variously applied, such as sugar or candy.

다음으로, 상기 염화계열 화합물 재질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132)는, 염화계열 화합물이 상기한 카트리지(132) 형태 및 강도를 갖도록 가공되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염화계열 화합물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슘 등과 같은 염화계열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Next, when the chlorinated compound material is applied, the cartridge 132 may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the chlorinated compound to have the above-described cartridge 132 shape and strength. Here, as the chloride-based compound, a chloride-based compound such as sodium chloride or calcium chloride may be applied.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132)는, 물에 용해되고 설정된 강도를 갖는 당화합물 재질 또는 염화계열 화합물 재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중 당화합물 재질로 형성된 경우 환경에 무해하여 친환경적이고 부식을 유발하지 않는 특성이 있으나 물에 용해되는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cartridge 132 can be made of a sugar compound material or a chlorinated compound material that is soluble in water and has a set strength, and among them, when formed of a sugar compound material,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orrosion-resistant because it is harmless to the environment. It has properties that do not cause it, but the rate of dissolution in water may be somewhat slow.

반면, 염화계열 화합물 재질로 형성된 경우 카트리지(132)는, 물에 대한 용해성은 뛰어나 용해속도가 높아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부식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렇게 염화계열 화합물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수라인의 재질을 부식성이 없는 금속을 적용하거나, 이미 부식성이 있는 배수라인이 형성되었다면 염화계열 화합물 재질 사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formed of a chlorinated compound material, the cartridge 132 has excellent water solubility and a high dissolution rate, so rapid drainage can be made, but since it causes corrosion, when using a chlorinated compound material, the material of the drain line must be changed. If a non-corrosive metal is applied, or if a corrosive drain line is already form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a chlorinated compound material.

나아가, 상기 카트리지(1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당화합물 또는 염화계열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물에 용해되는 녹말(전분)과 같은 재료를 가공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외 수용성수지 또는 수용성고분자화합물 또는 수용성펄프 등과 같은 재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urthermore, the cartridge 132 may be composed of a sugar compound or a chloride-based compound as described above, but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may be applied by processing a material such as water-soluble starch (starch).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material such as a water-soluble resin, a water-soluble polymer compound, or a water-soluble pulp can be applied.

도 4는 침수발생 시 상기한 카트리지유닛(130)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cartridge unit 130 when the submergence occurs.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32)는, 침수발생 시 유입되는 물에 용해되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cartridge 132 is configured to be removed by dissolving in water flowing in when submersion occurs.

이에, 도 4의 (a)에 도시된 평상시의 경우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은, 카트리지(132)가 카트리지프레임(131)에 삽입된 상태로 그대로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된 관통홀(112)을 차폐하고 있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normal case shown in (a) of Figure 4, the cartridge unit 130, the cartridge 132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frame 131 as it is, and thus the installed through hole 112 is shielded. are doing

이에 따라 평상시 상기 배수모듈(100)은, 배수트렌치(110a)의 배수홀(111)만 배수로(101)와 연통되어 이물질 등이 배수로(101)로 투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normally, the drain modul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drain hole 111 of the drain trench 110a communicates with the drain 101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drain 101 as much as possible.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침수가 발생되어 물이 유입되면, 상기 카트리지유닛(130)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물에 의하여 카트리지(132)가 용해되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수용공간이 그대로 노출되면서 관통홀(112)이 배수로(101)와 연통하도록 개방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immersion occurs in the above state and water flows in, the cartridge unit 130 is removed by dissolving the cartridge 132 by the inflowing water as shown in (b) of FIG. Accordingly, as the receiving space is exposed as it is, the through hole 112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101 .

따라서 상기 배수모듈(100)은, 침수발생 시 카트리지(132)가 선택적으로 제거되게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배수홀(111)만 개방되게 구성되고, 침수발생 시에는 배수홀(111)뿐만 아니라 관통홀(112)도 개방되게 하여 배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배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drainage modul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drain hole 111 is normally opened by allowing the cartridge 132 to be selectively removed when flooding occurs, and when flooding occurs, not only the drain hole 111 but also the through hole ( 112) can also be opened to increase the amount of drainage, thereby improving the drainage effect.

한편, 상기 카트리지유닛(130a,130b)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rtridge units 130a and 130b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먼저, 상기 카트리지유닛(130a)은, 다양한 형상의 카트리지프레임(131a)으로 구성될 수 있다. First, the cartridge unit (130a) may be composed of a cartridge frame (131a) of various shapes.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a)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평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cartridge frame 131a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ize of the flat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유닛(130a)은, 사용자의 보행이나 캐리어의 끌림 등으로 인한 수평방향 또는 하방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a)이 관통홀(112a)로부터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게 되어 관통홀(112a)에 대한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rtridge unit (130a), the cartridge frame (131a) does not slide downward from the through hole (112a) even if the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downward due to the user's walking or the dragging of the carrier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stallation position for the hole (112a).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a)의 상면은, 보행자로 하여금 보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치 바닥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관통홀(112a)에 설치된다.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cartridge frame (131a)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112a) to form the same surface as the installation floor so as not to affect pedestrians walking.

그리고 상기 관통홀(112a)은, 상기한 카트리지프레임(131a)의 형상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a)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평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미설명부호 110b는 배수트렌치를 나타낸다.And the through hole 112a is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cartridge frame 131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artridge frame 131a, and the size of the flat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 In this case, an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10b denotes a drainage trench.

한편,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같도록 형성되어 내부의 수용공간이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평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카트리지프레임(131a)은, 수용공간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따라 카트리지(132a)의 형상도 변경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artridge frame (131a)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shown, so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therein is formed to have a smaller flat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However, this is an embodiment of the cartridge frame (131a),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orm various shapes of the receiving space, and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cartridge (132a) can also be changed.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유닛(130a)은, 카트리지프레임(131a)의 형상을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평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보행등으로 인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하방으로 내려앉지 않고 그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설치 바닥면과의 높이차로 인한 보행의 불편 및 이물질의 끼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rtridge unit 130a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ze of the flat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as the shape of the cartridge frame 131a goe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stallation position without the need to walk,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walking and the trapping of foreign substances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installation floor.

다음으로, 상기 카트리지유닛(130b)은, 카트리지(132b)의 형상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cartridge unit (130b), the shape of the cartridge (132b)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132b)는, 설정된 부분의 상하방향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artridge 132b may be formed such that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set portion is reduced.

구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13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얇아지도록 중앙부 단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cartridge 132b is preferably formed in a spherical surface having a relatively thin central section thickness so that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omes thinner from the edge to the center as shown.

이는 카트리지 재료량을 최소화하면서 하부면이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부의 외력에 대하여 저항력이 향상된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용해 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카트리지(132) 중앙부에 관통부분이 먼저 형성되고, 형성된 관통부분을 따라 배수유로가 형성되므로 배수되는 유체(물)의 유속에 의해 관통부분이 신속하게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to minimize the amount of cartridge material and form the lower surface in an arcuate shape to have a structure with improved resistance to the external force of the upper part, and a penetrating portion is firs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rtridge 132, which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t the time of dissolution. , because the drain passage is formed along the formed penetrating portion, so that the through-portion can be rapidly expanded by the flow rate of the drained fluid (water).

한편, 상기한 카트리지유닛은, 상기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가 물에 용해되어 관통부분이 자동으로 생기게 할 수 있지만, 관리자가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artridge unit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cartridge is dissolved in water so that the penetrating portion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ut it is of course that an administrator can manually remove it.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배수모듈(100)은, 배수트렌치(110a,110b)에 배수홀(111)과 관통홀(112,112a)을 구분하여 각각 형성함으로써, 평상시의 경우에는 배수홀(111)만 관통되고 관통홀(112112a)은 차폐되도록 하여 배수로(101)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수발생 시에는 카트리지(132,132a,132b)가 물에 용해되어 자동으로 제거됨으로써 배수홀(111)과 관통홀(112,112a)이 모두 관통되어 누수발생 시 신속하게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drain module 100 separates the drain hole 111 and the through hole 112 and 112a in the drain trenches 110a and 110b, respectively, so that only the drain hole 111 is normally formed. The through-hole (112112a) is penetrated and shield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drain 101, and when a water leak occurs, the cartridges 132, 132a, 132b are dissolved in water and automatically removed, thereby draining the drain hole 111. and through-holes 112 and 112a are penetrated, so that when water leakage occurs, drainage efficiency can be quickly improved.

이하에서는 차단모듈(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blocking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모듈(300)은, 침수발생 시 물이 승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건축구조물에 설치된 승강기의 개폐도어(30) 전방에 설치되고, 하부바닥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승강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7 , the blocking module 30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ning/closing door 30 of the eleva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structur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elevator when flooding occurs, and is installed from the lower floor. It is raised to a set height and configured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모듈(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의 개폐도어(30)와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작동되되, 상기 개폐도어(30)의 차폐 시에는 승강되어 상기 승강기의 전방을 차폐하고, 상기 개폐도어(30)의 개방 시에는 하강되어 상기 승강기의 전방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the blocking module 300 is mechanically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door 30 of the elevator. and is descende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30 is opened to open the front of the elevator.

또한 상기 차단모듈(300)은, 건축구조물의 구조변경 없이 상기 승강기의 프레임세트(20)에 설치되어, 다른 건축구조물에 대한 적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module 300 is installed in the frame set 20 of the elevator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building structures.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모듈(300)은, 차단부재(310)와, 승하강와이어(320)와, 와이어구동유닛(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blocking module 300 may include a blocking member 310 , an elevating wire 320 , and a wire driving unit 330 .

상기 차단부재(310)는, 상기 개폐도어(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승하강하고, 이러한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30)의 전방 하부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blocking member 31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ning/closing door 30 to ascend and descend, and serves to open or shiel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30 according to the elevation.

상기 차단부재(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가 승강기 입구의 양측벽면까지 설치되어 물이 승강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The blocking member 310 is configured to shield water from flowing into the elevator by installing both sides of the blocking member 310 up to both side wall surfaces of the elevator entrance as shown.

상기 차단부재(310)는, 상기 배수모듈(100)의 배수량 및 예측되는 침수 유량을 고려하여 설정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승강기 프레임세트(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차단부재(310)가 하강하여 삽입 설치되도록 설정된 깊이의 설치공간(311)이 형성된다. The blocking member 310 may be formed at a height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drainage of the drainage module 100 and the predicted flooding flow rate. According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frame set 20, an installation space 311 of a depth set so that the blocking member 310 is inserted and installed is formed.

상기 차단부재(310)는, 와이어구동유닛(330)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도록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바닥면과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차단부재(310)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목재 또는 강판 플레이트의 표면에 고무나 실리콘이 감싸여져서 형성될 수 있다. The blocking member 310 is preferably formed of a light material to reduce the load on the wire driving unit 330,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airtightness with the floor surface. Accordingly, the blocking member 310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 material, and may be formed by wrapping rubber or silicon on the surface of a wood or steel plate.

상기 승하강와이어(320)는, 일단부가 상기 차단부재(3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와이어구동유닛(33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31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elevating wire 320,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member 310, is erected vertically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wire driving unit 330, and the b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is vertical movement (310) serves to elevate.

상기 승하강와이어(32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승강기 프레임세트(20) 내에 설치된다. The elevating wire 320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frame set 2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승하강와이어(320)는, 승하강 시 상기 차단부재(31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차단부재(3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The elevating wire 32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locking member 310 to maintain the horizontal level of the blocking member 310 during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상기 승하강와이어(320)는, 상기 차단부재(3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도를 갖고 있으며, 공지의 와이어를 적용할 수 있다.The elevating wire 320 has strength to support the load of the blocking member 310, and a known wire may be applied.

상기 와이어구동유닛(330)은, 승강기 개폐도어(30)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와이어(32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도어(30)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와이어(32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wire driving unit 330 is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ning/closing door 30,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lowering wire 320 to lif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30. It serves to elevate the descending wire 320 .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구동유닛(330)은, 모터를 포함하여 전자식 작동구성이 아닌, 기계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전자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driving unit 330, including a motor, is configured to operate mechanically, not electronically,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compared to the electronic typ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reby obtaining an economical effect. .

이에, 상기 와이어구동유닛(330)은, 랙기어(331)와, 구동기어(332)와, 권취롤러(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re driving unit 330 may include a rack gear 331 , a driving gear 332 , and a winding roller 333 .

먼저, 상기 랙기어(331)는, 전면 또는 후면이 상기 개폐도어(30)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30)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면에 기어부가 형성된다.First, the rack gear 331 has a front or rear surface fixed to the opening/closing door 30 and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30, and on the upper surface A gear portion is formed.

상기 구동기어(3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331)와 치합하고, 상기 랙기어(331)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driving gear 332 is configured to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mesh with the rack gear 331 , and to rotate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ack gear 331 .

여기서, 상기 랙거이와 구동기어(332)는, 공지의 랙기어(331)와 피니언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rack gear and the driving gear 332 can be configured with a known configuration of the rack gear 331 and the pin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권취롤러(333)는, 연결축(335)을 통하여 상기 구동기어(332)와 축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33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The winding roller 333 is axi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332 through a connecting shaft 335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332 .

상기 권취롤러(333)는, 외주면으로 상기 승하강와이어(320)가 권취되며, 회전 따라 상기 승하강와이어(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winding roller 333, the elevating wire 32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oves the elevating wire 3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한편, 상기 랙기어(331)와 구동기어(332)는, 각각 차단부재(310)의 승하강 높이와 개폐도어(30)의 수평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그 기어수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롤러(333)는, 상기 구동기어(332)의 회전 수 및 상기 승하강와이어(320)의 상하방향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직경을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ack gear 331 and the driving gear 332 can each set the number of gears in consideration of the elevation height of the blocking member 310 and the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30 . In addition, the winding roller 333 may set a diameter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ing gear 332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elevating wire 320 .

여기서, 상기 랙기어(331), 상기 구동기어(332), 상기 권취롤러(333) 및 상기 와이어는, 도면에서는 차단부재(310)의 일측에 결합된 하나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부재(310)의 양측 및 상기 한 쌍의 개폐도어(30) 각각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rack gear 331, the driving gear 332, the winding roller 333, and the wire are shown as a single configura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blocking member 310 in the drawing, but are configured as a pair A pair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locking member 310 and the pair of opening/closing doors 30 .

도 10은 승강기 개폐도어(30)의 개폐작동 시 상기 차단모듈(300)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차단모듈(3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0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module 300 when the elevator opening/closing door 30 is opened and close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0의 (a)는 개폐도어(30)가 개방되는 경우 이에 따른 차단모듈(300)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개폐도어(30)가 개방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기어(331)는 우측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332)와 권취롤러(3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승하강와이어(320)는 권취롤러(33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권취롤러(333)로부터 풀려지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310)는 하강하게 된다.First, (a) of FIG. 10 shows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module 300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opening/closing door 30 is opened. Looking at this,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30 is opened, the rack gear 331 moves in the right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and accordingly, the driving gear 332 and the winding roller 333 are halfway as shown. will rotate clockwise. Then, the elevating wire 320 moves downward while being released from the winding roller 333 as the winding roller 333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us the blocking member 310 descends.

반면, 개폐도어(30)가 차폐되는 도 10의 (b)를 살펴보면, 개폐도어(30)가 차폐되면서 상기 랙기어(331)가 좌측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상기 구동기어(332)와 권취롤러(3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와이어(320)는 권취롤러(333)에 권취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차단부재(310)는 승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b) of FIG. 10 in which the opening/closing door 30 is shielded, the rack gear 331 moves in a left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opening/closing door 30 is shielded. Accordingly, the driving gear 332 and the winding roller 333 rotate clockwise as shown, and accordingly, the elevating wire 32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333 to move upward. Then, the blocking member 310 is raised and lowered.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모듈(300)은, 승강기의 개폐도어(30)가 개방되면 차단부재(310)가 하강하여 보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개폐도어(30)가 차폐되면 차단부재(310)가 승강하여 물이 승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blocking module 300,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30 of the elevator is opened, the blocking member 310 descends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walking,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30 is blocked, the blocking member 310 is configured to lift and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elevator.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차단모듈(300)은, 승강기 개폐도어(30)의 작동에 연동하여 승하강 되기 때문에, 이용자로 하여금 사용상 불편함이 없고, 승강기 개폐도어(30)의 완전한 개방시까지 사용자의 승강기 탑승 및 하차를 방지하여 안전한 승강기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locking module 300 is raised and lower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ning/closing door 30,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use, and the user until the elevator opening/closing door 30 is completely opened. It can help the saf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preventing passengers from getting on and off the elevator.

또한, 상기 차단모듈(3000은, 갑작스러운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작업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물의 유입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모듈(300)은, 개폐도어(30)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기계식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자오작동으로 인한 작동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module 3000 can quickly and effectively block the inflow of water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an operator even when a sudden water leak occurs. In addition, the blocking module 300 include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0 and Since it is composed of a mechanical structure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peration error due to an electromagnetic malfunctio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simple structure.

한편, 상기 건축구조물의 침수방지시스템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침수 시 상기 제어유닛으(2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단부재(310)를 승강시키는 잠금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flood prevention system of the build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30 and elevate the blocking member 310 during flooding.

상기 잠금모듈은, 상기 승강기 개폐도어(30)의 작동과 상관없이 상기 차단부재(310)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누수 감지 시 상기 차단부재(310)를 승강시켜 승강기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cking module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blocking member 310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ning/closing door 30. When water leakage is detected, the blocking member 310 is raised and lowered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elevator hole. can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모듈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일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차단부재(310)에 결합하고 타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차단부재(210)와 분리되어, 작동 시 상기 차단부재(310)의 승강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모듈의 구성은 공지의 솔레노이드밸브와 로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pecifically, the locking module includes a solenoid valve operat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and sliding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coupled to the blocking member 310 when moving in one direction, and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blocking member It is separated from the 210 and may include a fixing rod for fixing the lifting position of the blocking member 310 during operation. Her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module, a configuration of a known solenoid valve and a rod may b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20 : 승강기 프레임세트 30 : 개폐도어
100 : 배수모듈 101 : 배수로
110,110a,110b : 배수트렌치 111 : 배수홀
112,112a : 관통홀 120 : 배관부
121 : 입상관 122 : 수평관
130,130a,130b : 카트리지유닛 131,131a : 카트리지프레임
132,132a,132b : 카트리지 200 : 침수제어모듈
210 : 침수감지센서 220 : 급수차단밸브
230 : 제어유닛 240 : 알람유닛
300 : 차단모듈 310 : 차단부재
311 : 설치공간 320 : 승하강와이어
330 : 와이어구동유닛 331 : 랙기어
332 : 구동기어 333 : 권취롤러
335 : 연결축
20: elevator frame set 30: opening and closing door
100: drainage module 101: drainage channel
110, 110a, 110b: drainage trench 111: drainage hole
112, 112a: through hole 120: pipe part
121: standing tube 122: horizontal tube
130, 130a, 130b: cartridge unit 131, 131a: cartridge frame
132,132a,132b: cartridge 200: flood control module
210: flood detection sensor 220: water supply shutoff valve
230: control unit 240: alarm unit
300: blocking module 310: blocking member
311: installation space 320: elevating wire
330: wire driving unit 331: rack gear
332: drive gear 333: winding roller
335: connecting shaft

Claims (16)

다층건축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누수로 인하여 유입된 물이 승하강 설비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축구조물 내의 층별 공용공간 바닥에 형성된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를 차폐하되, 유입되는 상기 물을 상기 배수로로 배수시키는 복수개의 배수홀들이 관통 형성된 배수트렌치와, 상기 배수로와 연결되어 상기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모듈과;
상기 배수모듈에 설치되어 물의 유입여부를 감지하는 침수감지센서와, 상기 건축구조물의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하여 급수를 차단하는 급수차단밸브와, 상기 침수감지센서로부터 침수신호가 수신되면 급수가 차단되도록 상기 급수차단밸브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유닛; 그리고
상기 건축구조물에 설치된 승강기의 개폐도어 전방에 설치되고,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승강되어 침수 시 물이 상기 승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개폐도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의 전방 하부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차단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차단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와이어; 그리고
상기 승하강와이어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In the flood diffusion prevention system of a building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a multi-story building structure and prevents the water flowing in due to leakage from spreading to the elevating facility space,
a drainage passage formed on the floor of the common space for each floor in the building structure, a drainage trench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passage to shield the drainage passage, and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 draining the inflowing water into the drainage passage; a drain module connected to and configured to include a pipe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outside;
A flood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drainage module to detect whether water has flowed in, a water supply shutoff valve installed in a water supply line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block water supply by a control signal, and a flood signal received from the flood detection sensor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water supply shut-off valve so as to be blocked; and
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ning/closing door of the eleva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structure, and is raised to a preset height from the floor and includes a blocking modul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elevator when submerged:
The blocking module is
a blocking member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ning/closing door to open or shiel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opening/closing door according to the elevation;
an elevating wir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member to elevate the blocking member; and
The flooding prevention system of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wire and configured to include a wire driving uni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wir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일단부가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어 상기 배수로의 물이 유출되는 입상관과, 일단부가 상기 입상관의 타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ipe part,
A vertical pipe having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channel and the water out of the drain pipe, and a horizontal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standing pip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outside. A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ooding of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모듈은,
상기 배수트렌치에 관통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차폐 및 개방되는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패쇄하되, 침수가 발생될 시 상기 관통홀이 개방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배수트렌치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트리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 module is
It is formed through the drainage trench and installed in a selectively shielded and opened through hole to close the through hole, but is selectively removed so that the through hole is opened when flooding occurs, and drain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drainage trench Inundation diffusion prevention system of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rtridge unit to be ma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평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수평방향 또는 하방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배수트렌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artridge unit,
The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ooding of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that the size of the flat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and is configur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drainage trench by an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down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렌치는,
하부바닥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 140mm 내지 160mm 및 깊이 90mm 내지 110mm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age trench,
I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loor,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of 140 mm to 160 mm and a depth of 90 mm to 110 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승강기의 개폐도어와 연동하여 작동되되, 상기 개폐도어의 차폐 시에는 하부바닥으로부터 승강되어 상기 승강기의 전방을 폐쇄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 시에는 하강되어 상기 승강기의 전방을 개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ing module is
It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door of the elevator,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closed, it is lifted from the lower floor to close the front of the elevator,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opened, it is lowered to open the front of the elevator. Flood diffusion prevention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with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구동유닛은,
상기 개폐도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외측에 기어부가 형성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랙기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축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승하강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권취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ire driving unit,
a rack gea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has a gear part formed on the outside;
a driving gear which meshes with the rack gear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ack gear;
A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a winding roller that is shaft-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and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and the elevating wire is wound and moves the elevating wir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lood prevention 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 상기 구동기어, 상기 권취롤러 및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개폐도어 각각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ack gear, the driving gear, the winding roller, and the wire are installed in a pair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each of the opening/closing door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승강기의 프레임세트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locking module is
The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ooding of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frame set part of the elev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구조물의 침수방지시스템은,
침수 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단부재를 승강시키는 잠금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침수확산방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od prevention system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system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ooding of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when submerged and elevate the blocking member.
KR1020190112639A 2019-09-11 2019-09-11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KR102306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39A KR102306868B1 (en) 2019-09-11 2019-09-11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KR1020210125935A KR102331454B1 (en) 2019-09-11 2021-09-23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public z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39A KR102306868B1 (en) 2019-09-11 2019-09-11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935A Division KR102331454B1 (en) 2019-09-11 2021-09-23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public z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562A KR20210031562A (en) 2021-03-22
KR102306868B1 true KR102306868B1 (en) 2021-09-30

Family

ID=752230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39A KR102306868B1 (en) 2019-09-11 2019-09-11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KR1020210125935A KR102331454B1 (en) 2019-09-11 2021-09-23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public zo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935A KR102331454B1 (en) 2019-09-11 2021-09-23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public z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686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885A (en) * 2003-09-24 2005-04-14 Hitachi Zosen Corp Waterproof door device
KR100623426B1 (en) * 2005-12-19 2006-09-13 씨엠엔지니어링(주) Box structure installed at road
KR101217009B1 (en) * 2012-11-28 2013-01-02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Apartment house elevator flooding cut-off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560A (en) 1999-02-26 200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885A (en) * 2003-09-24 2005-04-14 Hitachi Zosen Corp Waterproof door device
KR100623426B1 (en) * 2005-12-19 2006-09-13 씨엠엔지니어링(주) Box structure installed at road
KR101217009B1 (en) * 2012-11-28 2013-01-02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Apartment house elevator flooding cut-off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216A (en) 2021-10-08
KR20210031562A (en) 2021-03-22
KR102331454B1 (en)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268B2 (en) Floo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and assembly therefor
JPWO2008012887A1 (en) Tide protection device and tide protection structure
JP5416292B1 (en) Float type water stop door
JP5746948B2 (en) Evacuation building
KR102331454B1 (en)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of public zone
JP5645439B2 (en) Elevator flood prevention device with smoke shielding structure attached to the landing
JP2001032621A (en) Waterproof door
JP5713863B2 (en) Evacuation shelter
ITUD20090238A1 (en) ANTI-FLOODING DEVICE
KR101563886B1 (en) Water gate system for underground tunnels considered an upper protrusion height minimize
JP2009161288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7204178A (en) Car for elevator
JP7246621B2 (en) No power supply automatic sideways water stop gate
JP2015158117A (en) Flood cut-off device
KR101622904B1 (en) Pump gate with vibration measuring device
JP2023016248A (en) Elevator and submergence management system of elevator
KR101797469B1 (en) Self-float type hydronephrosion prevention avalanche installation method
JP2001241261A (en) Movable waterproofing equipment
JP2020037768A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installed in underground of building or the like
KR101096794B1 (en) Apparatus for draining underground water having a sight glass
KR101705257B1 (en) Opening and shutting system of floodgate
CN217655468U (en) Intelligent flooding prevention system for underground fire control pump room
KR102640244B1 (en) Apparatus for flood protection in parking lot
JP2010101139A (en) Tide prevention apparatus and structure
KR102609434B1 (en) Elevator flood prevention device using elevator structure and contro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