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470A -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5470A KR20000055470A KR1019990004112A KR19990004112A KR20000055470A KR 20000055470 A KR20000055470 A KR 20000055470A KR 1019990004112 A KR1019990004112 A KR 1019990004112A KR 19990004112 A KR19990004112 A KR 19990004112A KR 20000055470 A KR20000055470 A KR 200000554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rope
- spring
- driving
- pulle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3467 diminish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10—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by car or cage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프링의 초기길이 및 인장길이 등이 차지하는 공간이 도어 내측의 대부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경우에 종방향으로 진동을 할 경우에 스프링과 도어의 맞대임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걸림으로 카도어와 함께 열림방향으로 운행되는 구동도어와 상기 구동도어의 운행에 의해 함께 열림방향으로 운행되는 종속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도어 및 종속도어의 상부측에는 일측에 로프풀리를 갖는 행거가 랜딩도어 오퍼레이터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랜딩도어 오퍼레이터에는 로프연결용 브라켓이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구동도어의 안쪽 상부측에 로프의 일측단을 고정하고, 타측단은 행거의 로프풀리를 거쳐 랜딩도어 오퍼레이터에 설치된 로프연결용 브라켓에 고정하되, 상기 로프풀리와 구동도어의 안쪽 상부측 사이의 로프 상에 이동이 자유롭고 하부측에 연결고리를 갖는 자유단 풀리를 걸쳐 놓는 식으로 구비하며, 구동도어의 중간부에는 고정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스프링을 일측단은 상기 자유단 풀리의 연결고리에 고정하고 타측단은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함으로써 로프와 스프링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시스템의 진동에 영향을 주는 시스템의 길이는 줄어들고, 강성이 증가하여 기존에 발생하던 진동과 스프링이 도어와 맞대임에 따른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장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는 카를 고층건물의 승강로 상에 설치하여 상기 카의 상.하이동으로 각 층의 승객을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카와 건물의 각 층의 승강장에는 각각 승객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승강측 도어는 카도어의 열림시 상기 카도어와의 걸림으로 함께 열리고, 닫힘시에는 카도어가 먼저 닫히면서 걸림이 해제된 후 자력으로 닫히도록 되어 있다. 이같이 상기 승강측 도어를 자력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은 카가 정지하지 않은 층에서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대비함에 있다. 이렇게 상기 승강측 도어를 자력으로 닫히도록 하는 방법에는 물체의 중력을 이용하는 중력식과 복원력이 우수한 스프링을 이용하는 스프링식이 사용된다. 한편, 승강측 도어(1)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층에 카가 정지했을 때, 걸림으로 카도어와 함께 열리는 구동도어(2)와, 상기 구동도어(2)의 동작에 의해서 함께 열리는 종속도어(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카도어와 함께 열린 구동도어(2) 및 종속도어(3)가 걸림 해제후, 자력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자력닫힘 구조로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을 일측단은 구동도어(2) 밑단에 고정하고 타측단은 상기 구동도어(2)의 상부측 랜딩도어 오퍼레이터(5)에 취부된 로프(6)에 연결되어 구동도어(2)가 움직인 만큼 상기 스프링(4)이 인장되는 1:1 로핑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함께 상기 로프(6)는 구동도어(2)의 상부측 행거(7)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로프풀리(8)에 걸어지면서 랜딩도어 오퍼레이터(5)에 취부된 로프연결용 브라켓(9)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7A는, 구동도어(2)의 상부측 행거(7)의 반대쪽 행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는 먼저, 그 층에 카가 정지하여 카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측 구동도어(2)가 상기 카도어와의 걸림으로 함께 열리게 되고, 상기 구동도어(2)의 동작에 따라 종속도어(3)도 함께 열리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4)은 구동도어(2)가 움직인 만큼 인장된다. 그런 다음 다시 카도어가 닫히면서 구동도어(2)와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에서와 같이 구동도어(2)가 움직인 만큼 인장된 스프링(4)의 탄성력으로 구동도어(2)는 다시 닫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도어(2)와 함께 종속도어(3)도 함께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승강측 도어(1)가 자력으로 닫혀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로프(6)를 반대쪽 행거(7A)에 취부할 경우 스프링(4)의 부가인장길이(스프링 총 인장길이=초기인장길이+부가인장길이)는 구동도어 운행거리의 2배이고, 랜딩도어 오퍼레이터(5)에 취부할 경우는 구동도어의 운행거리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는 스프링이 도어 운행거리만큼 초기인장보다 더 늘어나야 하는 부담이 있어 도어와의 간섭이 문제가 된다. 즉, 스프링의 초기길이 및 인장길이 등이 차지하는 공간이 도어 내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어 공간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이 로프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횡방향 진동은 소음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비정상적인 경우에 종방향으로 진동을 할 경우에 스프링과 도어의 맞대임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스프링의 인장길이가 길어야 하고 진동폭도 작아야 하는 상반된 두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길이를 길게 하면서 진동폭이 작게 나타나도록 하여 도어 내측 공간의 점유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닫힘 상태도.
도 1b는 열림 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닫힘 상태도.
도 2b는 열림 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자유단 풀리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구동도어 12:종속도어
13:랜딩도어 오퍼레이터 14,14A:행거
15:로프풀리 16:로프연결용 브라켓
17:로프 18:자유단 풀리
18A:연결고리 19:고정용 브라켓
20:스프링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걸림으로 카도어와 함께 열림방향으로 운행되는 구동도어와 상기 구동도어의 운행에 의해 함께 열림방향으로 운행되는 종속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도어 및 종속도어의 상부측에는 일측에 로프풀리를 갖는 행거가 랜딩도어 오퍼레이터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랜딩도어 오퍼레이터에는 로프연결용 브라켓이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구동도어의 안쪽 상부측에 로프의 일측단을 고정하고, 타측단은 행거의 로프풀리를 거쳐 랜딩도어 오퍼레이터에 설치된 로프연결용 브라켓에 고정하되, 상기 로프풀리와 구동도어의 안쪽 상부측 사이의 로프 상에 이동이 자유롭고 하부측에 연결고리를 갖는 자유단 풀리를 걸쳐 놓는 식으로 구비하며, 구동도어의 중간부에는 고정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스프링을 일측단은 상기 자유단 풀리의 연결고리에 고정하고 타측단은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자유단 풀리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는 통상에서와 같이 그 층에 카가 정지했을 때, 걸림으로 카도어와 함께 열리는 구동도어(11)와, 상기 구동도어(11)의 동작에 의해서 함께 열리는 종속도어(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도어(11) 및 종속도어(12)의 상부측에는 각각 랜딩도어 오퍼레이터(13)와 연결된 행거(14)(14A)가 설치되고, 일측 행거(14)에는 로프풀리(1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랜딩도어 오퍼레이터(13)에는 로프(17)의 단부측이 고정되는 로프연결용 브라켓(16)이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에 있어, 본 발명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 로핑을 위해 로프(17)의 일측단을 구동도어(11)의 안쪽 상부측에 고정시키고, 타측단은 구동도어(11)의 상부측 행거(14)에 설치된 로프풀리(15)를 거쳐 랜딩도어 오퍼레이터(13)에 설치된 로프연결용 브라켓(16)에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로프(17)의 일측단이 고정된 구동도어(11)의 안쪽 상부측과 행거(14)의 로프풀리(15) 사이의 로프(17) 상에는 이동이 자유로운 자유단 풀리(18)가 걸쳐지는 식으로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자유단 풀리(18)의 하부측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18A)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도어(11)의 중간부에는 고정용 브라켓(19)을 취부시켜 상기 고정용 브라켓(19)과 자유단 풀리(18) 사이에 스프링(20)을 일측단은 자유단 풀리(18)의 연결고리(18A)에 고정하고 타측단은 상기 구동도어(11)의 고정용 브라켓(19)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랜딩도어 오퍼레이터(13)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도어(11) 및 종속도어(12)가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도어(11)의 상부측 행거(14)에 설치된 로프풀리(15)도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랜딩도어 오퍼레이터(13)에 설치된 고정용 브라켓(19)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스프링(20)의 일측단과 연결된 로프(17)를 밀어 당기게 되고, 상기 로프(17)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을 인장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프링(20)을 인장시키면서 구동도어(11) 및 종속도어(12)가 개방된 후, 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도어(11) 및 종속도어(12)에 작용하는 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된 스프링(20)이 자체 탄성력으로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서 구동도어(11) 및 종속도어(12)는 자력으로 닫히도록 하고 있다.
이같이 본 발명은 스프링의 인장길이가 기존 스프링의 인장길이보다 절반정도이어서 도어 내측 공간의 점유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스프링보다 2배의 복원력이 요구되는 2:1 로핑으로 되어 있어 스프링 상수를 크게할 수 있고, 이로인해 본 발명은 인장길이는 길고 진동폭이 작아야 되는 2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로프와 스프링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시스템의 진동에 영향을 주는 시스템의 길이는 줄어들고, 강성이 증가하여 기존에 발생하던 진동과 스프링이 도어와 맞대임에 따른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 걸림으로 카도어와 함께 열림방향으로 운행되는 구동도어와 상기 구동도어의 운행에 의해 함께 열림방향으로 운행되는 종속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도어 및 종속도어의 상부측에는 일측에 로프풀리를 갖는 행거가 랜딩도어 오퍼레이터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랜딩도어 오퍼레이터에는 로프연결용 브라켓이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구동도어의 안쪽 상부측에 로프의 일측단을 고정하고, 타측단은 행거의 로프풀리를 거쳐 랜딩도어 오퍼레이터에 설치된 로프연결용 브라켓에 고정하되, 상기 로프풀리와 구동도어의 안쪽 상부측 사이의 로프 상에 이동이 자유롭고 하부측에 연결고리를 갖는 자유단 풀리를 걸쳐 놓는 식으로 구비하며, 구동도어의 중간부에는 고정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스프링을 일측단은 상기 자유단 풀리의 연결고리에 고정하고 타측단은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4112A KR20000055470A (ko) | 1999-02-06 | 1999-02-06 |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4112A KR20000055470A (ko) | 1999-02-06 | 1999-02-06 |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5470A true KR20000055470A (ko) | 2000-09-05 |
Family
ID=1957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4112A KR20000055470A (ko) | 1999-02-06 | 1999-02-06 |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55470A (ko) |
-
1999
- 1999-02-06 KR KR1019990004112A patent/KR2000005547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20927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3363711B2 (ja) |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 |
EP1081085B1 (en) |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 |
JP5579159B2 (ja) |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機構 | |
CN100379674C (zh) | 电梯门装置 | |
KR20000055470A (ko) | 엘리베이터의 승강측 도어 자력닫힘 구조 | |
JPWO2005123563A1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
JP2012012226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00211859A (ja) | エレベ―タドア装置 | |
JP2007217084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クローザー装置 | |
KR100271023B1 (ko) |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 |
JP2000289955A (ja) |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 |
JP2001348177A (ja) |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 |
US20220324677A1 (en) | Clamping device and elevator system | |
WO2019180976A1 (ja) |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 |
JP2023176063A (ja) | エレベーターの乗場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 |
JP2005200139A (ja) |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 |
KR100351276B1 (ko) |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 |
JP2005225578A (ja) |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 |
JPH11171441A (ja) | エレベーター用上開き引き戸装置 | |
JP2024141553A (ja) | エレベータの床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 |
JPH05201666A (ja) | エレベータ | |
JP2023090128A (ja) | 遮煙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 |
JPH05330770A (ja) | エレベーターのかごの戸ロック装置 | |
JPS6344541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