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243A -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243A
KR20000055243A KR1019990003764A KR19990003764A KR20000055243A KR 20000055243 A KR20000055243 A KR 20000055243A KR 1019990003764 A KR1019990003764 A KR 1019990003764A KR 19990003764 A KR19990003764 A KR 19990003764A KR 20000055243 A KR20000055243 A KR 20000055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pitaxial layer
type epitaxial
pin diode
high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259B1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2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68PIN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9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of epitaxial layers by a deposition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된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 상에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을 형성하므로 순방향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기판, 핀 다이오드가 형성될 부위의 기판상에 전체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의 형상인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버퍼층과,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상에 제 1 오믹 도전체층을 형성하며,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상에 제 2 오믹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PIN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핀 다이오드(Pin Diode)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키는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 스위치(Switch)용 핀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Bias) 일 때는 단자 저항이 0이고 역 방향 바이어스 일 때는 단자 저항이 무한대가 된다.
즉, P형 층과 N형 층 사이에 순수 반도체층인 버퍼(Buffer)층을 갖는 핀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일 때는 캐리어(Carrier)가 상기 버퍼층에 주입되어 전체의 라디오 주파수(RF) 사이클 동안 매우 적은 저항을 갖게 되고 역 방향 바이어스 일 때는 모든 캐리어가 상기 버퍼층으로부터 상기 P형 층 또는 N형 층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손실이 적은 유전체 역할을 하게 되어 PN 접합 다이오드 보다 아주 큰 저항을 갖는다.
그러므로 핀 다이오드를 입/출력 사이의 전송선과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해 줌으로써 입/출력 사이의 스위치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고속 스위치용 핀 다이오드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핀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을 감소시켜 스위치를 통과한 입력신호의 감소를 방지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핀 다이오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이다.
종래의 핀 다이오드는 도 1에서와 같이, 핀 다이오드가 형성될 부위와 그 외 부위와의 단차를 갖는 기판(11), 상기 핀 다이오드가 형성될 부위의 기판(11)상에 형성된 고농도 n형 에피택셜(Epitaxial)층(12), 상기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12)상의 중앙부위에 차례로 형성되며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 버퍼층(13),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14)과, 상기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14)상에 형성된 고농도 p형 오믹(Ohmic) 금속층(15)과, 상기 노출된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12)상에 형성된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16)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이 노출된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상에 형성되므로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과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즉 순방향 저항의 길이가 길어져 순방향 저항이 증가되므로 스위치를 통과한 입력신호가 감소하여 핀 다이오드의 고주파 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노출된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 상에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을 형성하므로 순방향 저항을 감소시키는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핀 다이오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기판 32: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
33: 버퍼층 34: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
35: 고농도 p형 오믹 금속층 36: 제 2 감광막
37: 이미지 리버설 감광막 38: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
본 발명의 핀 다이오드는 기판, 핀 다이오드가 형성될 부위의 기판상에 차례로 형성되며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버퍼층과,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 상기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상에 형성된 제 1 오믹 도전체층과,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상에 형성된 제 2 오믹 도전체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기판상에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버퍼층과,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상의 제 2 도전형 오믹 도전체층이 형성될 부위에 제 1 오믹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오믹 도전체층을 중심으로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버퍼층과,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상에 제 2 오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는 도 2에서와 같이, 핀 다이오드가 형성될 부위와 그 외 부위와의 단차를 갖는 기판(31), 상기 핀 다이오드가 형성될 부위의 기판(31)상에 차례로 형성되며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32), 버퍼층(33),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34), 상기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34)상에 형성된 고농도 p형 오믹 금속층(35)과, 상기 노출된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32)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31)상에 형성된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38)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도 3a에서와 같이, 기판(31) 상에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32), 순수 반도체층인 버퍼층(33),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34)과, 제 1 감광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감광막을 고농도 p형 오믹 금속층이 형성될 부위에만 제거되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이어, 상기 노출된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34)을 포함한 제 1 감광막상에 제 1 오믹 금속층을 형성한 후, 리프트 오프(Lift-off)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 1 감광막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34)상에 고농도 p형 오믹 금속층(35)을 형성한다.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고농도 p형 오믹 금속층(35)을 포함한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34)상에 제 2 감광막(36)을 도포하고, 상기 제 2 감광막(36)을 핀 다이오드가 형성될 부위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 2 감광막(36)을 마스크로 상기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34), 버퍼층(33)과,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32)을 습식식각한다.
이때, 상기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34), 버퍼층(33)과,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32)의 습식식각 공정으로 그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게된다.
도 3c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감광막(36)을 제거하고, 전면에 이미지 리버설(Image Reverser) 감광막(37)을 도포한 후, 상기 이미지 리버설 감광막(37)을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이 형성될 부위에만 노광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도 3d에서와 같이, 상기 선택 노광된 이미지 리버설 감광막(37)을 현상한다.
이때, 상기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이 형성될 부위의 이미지 리버설 감광막(37)만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리버설 감광막(37)을 포함한 전면에 제 2 오믹 금속층(38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오믹 금속층(38a)을 직진성이 높은 이빔(E-beam) 증착 장비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 3e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오믹 금속층(38a)을 유기 용매인 아세톤에서 상기 잔존한 이미지 리버설 감광막(37)의 리프트 오프(Lift-off) 방법에 의해 선택 식각하여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38)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노출된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 상에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을 형성하므로, 상기 노출된 고농도 n형 에피택셜층상에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을 형성하는 종래 기술보다 고농도 n형 오믹 금속층과 고농도 p형 에피택셜층 사이의 거리가 짧아 순방향 저항을 감소시켜 스위치를 통과한 입력신호의 감소를 방지하므로 핀 다이오드의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판;
    핀 다이오드가 형성될 부위의 기판상에 차례로 형성되며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버퍼층과,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
    상기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상에 형성된 제 1 오믹 도전체층;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상에 형성된 제 2 오믹 도전체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
  2. 기판상에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버퍼층과,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상의 제 2 도전형 오믹 도전체층이 형성될 부위에 제 1 오믹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오믹 도전체층을 중심으로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버퍼층과,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측면부위와 그에 인접한 기판상에 제 2 오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을 순수 반도체층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믹 도전체층을 중심으로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 1 도전형 에피택셜층, 버퍼층과, 제 2 도전형 에피택셜층을 선택적으로 습식 식각함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10-1999-0003764A 1999-02-04 1999-02-04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5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64A KR100450259B1 (ko) 1999-02-04 1999-02-04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64A KR100450259B1 (ko) 1999-02-04 1999-02-04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43A true KR20000055243A (ko) 2000-09-05
KR100450259B1 KR100450259B1 (ko) 2004-09-30

Family

ID=1957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764A KR100450259B1 (ko) 1999-02-04 1999-02-04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38B1 (ko) * 2004-02-07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성능이 향상된 멀티 게이트 트랜지스터용 액티브 구조의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티브 구조 및 멀티 게이트트랜지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38B1 (ko) * 2004-02-07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성능이 향상된 멀티 게이트 트랜지스터용 액티브 구조의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티브 구조 및 멀티 게이트트랜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259B1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6332A (ko)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전력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H06326120A (ja) 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集積化受光回路
US3999281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gridded Schottky barrier field effect transistor
KR19980058393A (ko) 애벌런치 포토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50259B1 (ko) 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US5429953A (en) Method of forming solid state suppressors with concave and diffused substitution regions
KR930700878A (ko) 광통신부품
KR980006653A (ko)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EP0525762B1 (en) Microwav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and corresponding integrated circuit and fabrication methods
US5872391A (en)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having an increased safe operating area
CN115621125A (zh) 异质结双极晶体管结构的形成方法
US5541424A (en) Permeable base transistor having laminated layers
JP2001308312A (ja) Iii−v材料上にダブル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を製造する方法
JP3276836B2 (ja) 半導体導波路型受光器
CN117766388A (zh) 异质结双极型晶体管的形成方法
KR100236761B1 (ko) 반도체 장치의 정전방지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30743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US5780915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piral electrode pattern
KR920002092B1 (ko) 매립형 쇼트키 전극을 이용한 고속 수광소자
KR100379614B1 (ko)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opf et al. Dry-etch fabrication of reduced area InGaAs/InP DHBT devices for high speed circuit applications
CN115775731A (zh) 异质结双极晶体管结构及其形成方法
KR19990004939A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0226852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US5601687A (en) Mask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