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1869A -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 Google Patents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1869A
KR20000051869A KR1019990002569A KR19990002569A KR20000051869A KR 20000051869 A KR20000051869 A KR 20000051869A KR 1019990002569 A KR1019990002569 A KR 1019990002569A KR 19990002569 A KR19990002569 A KR 19990002569A KR 20000051869 A KR20000051869 A KR 20000051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line
bar
dummy
cell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0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1869A/ko
Publication of KR2000005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8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오픈 비트라인 구조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 사이에 발생하는 차동-모드 노이즈에 의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워드라인과 교차하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를 센스 앰프의 양쪽으로 벌어져 있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셀이 연결되어 있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와 워드라인의 소정 위치에 더미 셀을 연결하여 구성한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 사이에 발생하는 차동-모드 노이즈(differental-mode noise)를 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OPEN BIT-LINE DRAM CELL ARRAY}
본 발명은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램 셀 어레이 구조에 있어서, 더미 셀(dummy cell)을 이용하여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 사이에 발생하는 차동-모드 노이즈(differental-mode noise)를 감쇄시키도록 하는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오픈 비트라인 구조는 센스 앰프(Sense Amp)의 양쪽으로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가 벌어져 있고, 한쪽 비트라인에서 워드라인에 의해 셀이 선택될 때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노이즈가 그 비트라인에 유입된다.
그러나, 접친 비트라인(Folded bit-line) 구조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가 나란히 있으므로, 선택되는 워드라인과 만나게 된다. 따라서 비트라인에 워드라인에서 승압에 의한 커플링 노이즈가 유입될 때 같은 양이 비트라인바에도 유입되어 공유-모드 노이즈(common-mode noise)는 차동 센스 앰프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오픈 비트라인 구조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 사이에 발생하는 차동-모드 노이즈에 의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더미 셀(dummy cell)을 이용하여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 사이에 발생하는 차동-모드 노이즈를 감쇄시키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스앰프 C : 커패시터
BL : 비트라인 /BL : 비트라인바
WL : 워드라인 DC1,DC2 : 더미 셀
CE1∼CE6 : 디램 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의 구성은, 워드라인과 교차하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를 센스 앰프의 양쪽으로 벌어져 있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셀이 연결되어 있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와 워드라인의 소정 위치에 더미 셀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드라인(WL)과 교차하는 비트라인(BL)과 비트라인바(/BL)를 센스 앰프(10)의 양쪽으로 벌어져 있도록 하고, 제1∼6 셀(CE1∼CE6)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비트라인(BL)과 비트라인바(/BL)와 워드라인(WL)의 소정 위치에 제1,2 더미 셀(DC1)(DC2)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라인(BL)을 프리차지(Precharge)하는 동안 제1,2 더미 셀(DC1)(DC2)을 온시켜 프리차지 전압을 저장하고, 만일 상기 비트라인(BL)과 교차하는 임의의 워드라인(WL)이 선택되면 비트라인바(/BL)의 제2 더미 셀(DC2)에 연결되어 있는 워드라인을 동시에 선택하여 승압시킨다.
상기 비트라인바(/BL)에는 프리차지 전압으로 저장된 셀 데이터와 연결되므로, 신호의 변화는 없으면서 상기 워드라인(WL)과 비트라인(BL)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노이즈를 상기 비트라인(BL)에서와 같은 양을 유입받는다. 이렇게 상기 비트라인(BL)과 비트라인바(/BL)에 유기된 공유모드 노이즈는 차동 센스앰프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바에 더미 셀을 여러개 규칙적으로 배열시킨 후, 프리차지 시 모두 프리차지 전압으로 저장하여 임의의 워드라인이 선택될 때 선택되지 않은 워드라인의 더미 셀만 빼고, 나머지 더미 셀을 온시켜 상기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에서 같은 수의 워드라인이 승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외되는 더미 셀과 선택된 더미 셀의 주소를 같게하여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에서- 커플링 노이즈를 유발하는 커패시터의 위치를 동일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는 더미 셀을 이용하여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 사이에 발생하는 차동-모드 노이즈(differental-mode noise)를 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워드라인과 교차하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를 센스 앰프의 양쪽으로 벌어져 있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셀이 연결되어 있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와 워드라인의 소정 위치에 더미 셀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2. 워드라인과 교차하는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를 센스 앰프의 양쪽으로 벌어져 있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셀이 연결되어 있는 워드라인과 비트라인바에 복수개의 더미 셀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지 시 더미 셀들을 프리차지 전압으로 저장하여 임의의 워드라인이 선택될 때 선택되지 않은 워드라인의 더미 셀만 빼고, 나머지 더미 셀을 온시켜 상기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에서 같은 수의 워드라인이 승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외되는 더미 셀과 선택된 더미 셀의 주소를 같게하여 비트라인과 비트라인바에서 커플링 노이즈를 유발하는 커패시터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KR1019990002569A 1999-01-27 1999-01-27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KR20000051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569A KR20000051869A (ko) 1999-01-27 1999-01-27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569A KR20000051869A (ko) 1999-01-27 1999-01-27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869A true KR20000051869A (ko) 2000-08-16

Family

ID=1957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569A KR20000051869A (ko) 1999-01-27 1999-01-27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18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036B2 (en) 2005-02-15 2007-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having open bit line architecture for improving repairability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US8964449B2 (en) 2011-05-11 2015-02-24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6591A (en) * 1980-10-13 1982-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Memory circuit
JPS59203298A (ja) * 1983-05-04 1984-11-17 Nec Corp 半導体メモリ
JPS6190391A (ja) * 1984-10-08 1986-05-08 Nec Corp 半導体メモリ
JPS6271090A (ja) * 1985-09-24 1987-04-01 Nec Corp 半導体メモリ
KR19980039606A (ko) * 1996-11-28 1998-08-17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비트라인과 워드라인간 커플링 노이즈 감소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6591A (en) * 1980-10-13 1982-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Memory circuit
JPS59203298A (ja) * 1983-05-04 1984-11-17 Nec Corp 半導体メモリ
JPS6190391A (ja) * 1984-10-08 1986-05-08 Nec Corp 半導体メモリ
JPS6271090A (ja) * 1985-09-24 1987-04-01 Nec Corp 半導体メモリ
KR19980039606A (ko) * 1996-11-28 1998-08-17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비트라인과 워드라인간 커플링 노이즈 감소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036B2 (en) 2005-02-15 2007-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having open bit line architecture for improving repairability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US8964449B2 (en) 2011-05-11 2015-02-24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0025B2 (en) Multi-port memory architecture
JPH02177193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EP0264929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bit line arrangement
EP1398787A1 (en) Memory device having memory cell units each composed of a memory and complementary memory cell and reading method
JP3440335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US20060285420A1 (en) Three Dimensional Twisted Bitline Architecture for Multi-Port Memory
KR20140079447A (ko) 감소된 노이즈 dram 센싱
US6304479B1 (en) Shielded bit line architecture for memory arrays
KR19980058196A (ko) 잡음특성을 개선한 셀 어레이 및 센스앰프의 구조
JP5072429B2 (ja) セルアレイにビットライン均等化部を備えたメモリ装置及びビットライン均等化部をセルアレイに配置する方法
US6307768B1 (en) Bitline twist with equalizer function
US6717839B1 (en) Bit-line shielding method for ferroelectric memories
KR100403612B1 (ko) 비트라인 프리차아지 시간(tRP)을 개선하는 메모리 셀어레이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개선 방법
US5862072A (en) Memory arra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dynamic cell plate sensing
US7778104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20000051869A (ko) 오픈 비트라인 디램 셀 어레이
KR100702841B1 (ko) 더미 센스앰프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에따른 데이터 센싱 방법
US7324396B2 (en) Sense amplifier organization for twin cell memory devices
US6917549B2 (en) Integrated memory and method for operating it
KR100206917B1 (ko) 메모리 셀의 양방향성 글로벌 비트라인 센싱회로
US6621752B2 (en) Refreshing scheme for memory cells a memory array to increase performance of integrated circuits
JPH01185896A (ja) 半導体記億装置
KR20010101712A (ko) 집적 메모리 및 상응하는 작동 방법
KR19990085673A (ko) 트위스트된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070201271A1 (en) Memory device with hierarchy bit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