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643A - 인슐린 c-펩티드 - Google Patents

인슐린 c-펩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643A
KR20000048643A KR1019990702585A KR19997002585A KR20000048643A KR 20000048643 A KR20000048643 A KR 20000048643A KR 1019990702585 A KR1019990702585 A KR 1019990702585A KR 19997002585 A KR19997002585 A KR 19997002585A KR 20000048643 A KR20000048643 A KR 20000048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insulin
fragment
diabetes
pept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욘 바렌
보-레나르트 요한손
한스 외른발
Original Assignee
존 워렌
크리에이티브 펩티즈 스웨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워렌, 크리에이티브 펩티즈 스웨덴 아베 filed Critical 존 워렌
Publication of KR2000004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6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2Ins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61P5/5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for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insu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 ELGGGPGAG 또는 그의 단편, 또는 펩티드 서열 EGSLQ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고,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능력이 있는, 인간 인슐린 C-펩티드의 단편인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Na+K+ATP아제 활성화능 및(또는) 신장 세관 세포와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결합 특성을 상기에 명시된 펩티드 또는 단편이 발휘하는 수준 이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펩티드와 화합물은 당뇨병 및(또는)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거나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용도를 가진다.

Description

인슐린 C-펩티드 {Insulin C-Peptides}
본 발명은 인슐린 C-펩티드 단편과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치료에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제1형 당뇨병과 동의어인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IDDM)을 앓는 환자는 인슐린 요법 없이는 살 수 없다. IDDM은 당뇨병의 전형적인, 생명을 위협하는 형태이고, 이의 치료는 1922년 인슐린의 발견으로 획기적인 전기를 맞았다. 유럽, 북미 및 일본에서의 IDDM의 이환율은 인구의 0.25-0.4 %이다. IDDM의 발생률에는 가을과 겨울에 더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계절적 변동이 있다. 이 질환은 남성에게 약간 더 많이 발생하지만 이 차이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덜 두드러진다.
급성 상태에서의 IDDM의 전형적인 증상은 갈증, 소변량 증가, 피로와 체중 감소이다. 그보다 덜 빈번하고 덜 위험한 증상은 근육 경련, 피부 감염과 침침한 시각 등이다. 더 진전된 단계에서는 구역 및 구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것은 케토산혈증과 혼수가 임박했다는 것을 뜻할 수 있다. 증상의 존속 기간은 짧아서, 보통 2-3 주 이하이다. 환자는 혈액 및 소변 중에 고농도의 글루코스와 케톤체를 보이는 한편, 인슐린 농도는 낮거나 검출되지 않는다.
IDDM의 병인은 여러 원인에서 유래되지만, 대개는 자가 면역 반응성에 대한 유전적 소인이 아마도 바이러스 감염을 통한 환경적 계기와 복합작용하여 췌장 내 베타 세포의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파괴를 초래하는 경우일 것이다. 베타 세포의 파괴는 질환의 발병에 앞서 6-12 개월 동안 진행되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IDDM 급성 상태에서는 인슐린 결핍이 주된 병리생리학적 특징이다.
인슐린 치료를 시작한 후에는 많은 환자들이 단지 소량의 인슐린 투여로 양호한 혈당 조절 상태를 누린다. 이러한 초기 상태, "밀월 기간"은 몇 달에서 1년까지 지속될 수 있고 아마도 베타 세포 기능의 부분적 복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것은 일시적 단계이고, 궁극적으로는, 베타 세포의 점진적인 자가 면역 파괴는 외인성 인슐린에 대한 요구량을 증가시킨다.
IDDM의 급성 상태에서 인슐린 분비 감소증의 단기적 영향는 인슐린 투여에 의하여 잘 조절될 수 있는 반면, IDDM의 장기적 예후는 수많은 환자들에서 심각해질 수 있는 합병증의 출현에 의해 어두워진다. 합병증은 본질적으로 당뇨병성 문제점인 신병증, 망막병증 및 신경병증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는 미소혈관계 변질이 유일한 원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종종 미소혈관계 합병증으로 간주된다. 대동맥, 특히 관상 동맥과 하지 동맥의 아테롬성 경화증도 발생할 수 있다.
신병증은 IDDM 환자의 35 %, 특히 남성 환자 및 15세 이전에 본 질환이 발병한 환자에서 발병한다. 당뇨병성 신병증은 사구체 모세관 손상에 부차적인 지속적인 단백뇨증, 사구체 여과 속도의 점진적인 감소와 결국 말기 신부전을 특징으로 한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이환율는 젊을 때 발병한 IDDM 환자 층에서 가장 높고, 질병이 지속됨에 따라 증가한다. 증식성 망막병증은 일반적으로 발병 후 15년이 지난 환자의 약 25 %, 20 년이 지난 환자의 50 % 이상에서 관찰된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최초 병변은 모세관 기부 막이 비후해지는 것이고, 모세관 팽창 및 누출과 미소동맥류의 형성이 뒤따른다. 그 결과로, 망막 혈관의 폐색이 발생하여 망막의 부분적 관류저하, 부종, 출혈 및 새로운 혈관의 형성 뿐만 아니라 점진적인 시력의 상실을 야기한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다양한 신체 및 자율 신경 기능의 교란을 포함한다. 지각 신경병증은 감각의 점진적인 상실을 야기하거나 다른 것으로는, 다리 또는 발에 불쾌한 감각, 종종 통증을 일으킨다. 운동 신경병증은 보통 근육 쇠약 및 허약을 동반한다. 신경 생체검사에서는 대개 축삭 변성, 수초 제거와 신경혈관의 기형이 관찰된다. 신경생리학적 연구에서는 감소된 운동 및 지각 신경 전도 속도의 감소가 나타난다. 15년 이상 지속된 IDDM 환자의 40 %가 자율 신경병증으로 고생한다. 이것은 체온 조절 장애, 발기부전과 방광 기능 장애, 이어서 심장 혈관 반사 작용 이상을 통해 진전될 수 있다. 말기 징후로는 일반적인 발한 질환, 체위성 저혈압, 위장 장애 및 저혈당증의 자각 감소가 있다. 후자의 증상은 중대한 임상적 의미가 있다.
여러가지 당뇨병 합병증의 발인에 관련된 가능한 메커니즘(들)에 관하여 몇가지 이론들이 창도되었다 (1). 신진 대사 요인은 중요할 수 있으며, 최근의 연구들은 신진 대사 조절이 양호한 때 모든 형태의 합병증의 발병률이 상당히 감소되는 것을 보여준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7-10년간 양호한 신진 대사 조절 후에도 15-25 %의 환자들이 초기 신병증의 징후, 10-25 %는 망막병증의 증상, 그리고 15-20 %는 신경병증의 징조인 지연 신경 전도 속도를 보인다. 질병의 계속기간이 더 길어지면 합병증의 발병률이 더 증가한다.
C-펩티드는, 그 자체가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형성되는 인슐린에 대한 전구체인 프로인슐린 분자의 일부분이다. 인간 C-펩티드는 서열이 EAEDLQVGQVELGGGPGAGSLQPLALEGSLQ (SED ID. NO. 1)인 31개 아미노산 펩티드이다. 유럽 특허 제EP 132 769호에서는 C-펩티드를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그리고 스웨덴 특허 제SE 460334호에서는 C-펩티드와 인슐린을 당뇨병의 치료와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에 투여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최근에 제1형 당뇨병은 일부 조직, 그 중에서도 신장 사구체, 망막, 말초 신경계, 심장 및 골격 근육에서 효소 Na+K+ATP아제 활성의 일관된 감소를 수반하는 것이 명백해 졌다 (3, 4, 5). Na+K+ATP아제는 세포막에 집중되어 있으며 모든 포유류 세포에서 Na+와 K+의 세포간 이동을 위한 에너지 뿐만 아니라 모든 공동 또는 역 이동되는 기질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효소이다. 그러므로 이 효소의 활성은 정상적인 세포 기능에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임이 명백하다. 신경 조직, 사구체와 망막에서 불충분한 Na+K+ATP아제 활성은 당뇨병성 신경병증, 신병증과 망막병증의 병인에 중요하게 기여하는 요인일 것이다. Na+K+ATP아제 활성은 Na+농도와 호르몬 작용으로 조절되며, 몇몇 호르몬이 효소의 활성을 자극하거나 (갑상선 호르몬, 노르아드레날린, 앤지오텐신, 신경펩티드 Y, 인슐린) 억제한다 (도파민, ANF) (6). 양호한 혈당 조절을 얻기에 충분한 인슐린 치료에도 불구하고, 제1형 당뇨병 환자들은 장기적으로는 불충분한 Na+K+ATP아제 활성의 징후를 보인다.
본 발명은 C-펩티드 분자의 중간 부분 및 C-말단 부분에서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현저한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군을 발견한 데 기초를 둔다. 이러한 펩티드는 모두 C-펩티드 분자의 작은 단편이다. C-펩티드 그 자체는 G-단백질의 활성화, 세포내 Ca2+농도의 증가와 단백질 포스파타제 2B의 활성화에 의하여 Na+K+ATP아제를 자극할 수 있다 (7). 그러나, Na+K+ATP아제 활성에 대한 단편 펩티드의 자극 효과는 C-펩티드 그 자체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크다. 이러한 펩티드 중 하나를 보통의 인슐린 치료와 함께 투여할 때, 신장 기능이 향상되고, 망막병증의 초기 징후가 퇴화하고, 신체 및 자율 신경 기능이 향상하는 것을 나타내는 생체내 및 시험관내 증거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정 펩티드를 사용하는 치료는 통상적 인슐린 요법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말기 당뇨병 합병증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실질적으로 저지하는 데 유용하다. 단편 펩티드가 C-펩티드에 대하여 지니는 가능한 장점은 C-펩티드와 인슐린의 경우와 같이 주사로 투여하지 않고 경구 투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일면으로는, 본 발명은 이리하여 인간 인슐린 C-펩티드의 단편이고, 서열 ELGGGPGAG (SEQ ID NO. 2) (하기에서는 "펩티드 A") 또는 그의 단편, 또는 서열 EGSLQ (SEQ ID NO. 3) (하기에서는 "펩티드 E")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고,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능력이 있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서열 ELGGGPGAG (SEQ ID NO. 2) 또는 EGSLQ (SEQ ID NO. 3) 또는 그들의 단편을 가지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치료에, 특히 당뇨병과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는데 사용되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은 그의 단편을 제약상 허용되는 1종 이상의 캐리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당뇨병과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는 의약 제조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은 그의 단편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처하는"은 치료 및 예방 모두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두 C-펩티드의 단편인 다음 펩티드, 펩티드 A (아미노산 서열 ELGGGPGAG) (SEQ ID NO. 2) 또는 그의 성분, 예컨대 펩티드 B (ELGG) (SEQ ID NO. 4), 펩티드 C (ELGGGP) (SEQ ID NO. 5) 또는 펩티드 D (GGPGA) (SEQ ID NO. 6)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펩티드 E (EGSLQ (SEQ ID NO. 3) 및 그의 부분, 예컨대 펩티드 F (GSLQ) (SEQ ID NO. 7)을 포함한다. 이들 모두는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의약의 제조용으로 예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편들은 Na+K+ATP아제 활성을 다양한 범위로 자극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므로, 시험관내 조건 하에서 신장 세관 세포와 관련된 연구는 펩티드 A-D가 전체 C-펩티드 분자에 대한 활성에 필적하는 정도로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것을 나타낸다. 90 %의 효과를 3 분 안에 얻는다. 게다가, 펩티드 E 및 F는 전체 분자에 대한 활성에 필적하거나 더 큰 정도로 신장 세포의 Na+K+ATP아제에 대한 자극 효과를 지닌다. 펩티드 A-D와 펩티드 E 또는 F의 조합은 각각의 펩티드 단독일 때보다 더 큰 효소 활성을 자극한다. 상기 펩티드의 자극 효과의 상세한 예는 하기 실시예 1을 참고한다.
C-펩티드는 일부 세포 형태, 특히 신장 세관 세포와 섬유아세포의 표면에 특이적인 결합을 나타낸다. 형광 표지된 C-펩티드를 세포와 함께 배양할 때 이것은 세포 표면에 결합한다. 결합 특이성은 표시되지 않은 C-펩티드로 전배양을 하면 형광 표지된 C-펩티드의 결합을 방지한다는 사실로 예증된다. 본 발명의 단편, 특히 단편 E 또는 F 중 하나로 전배양시킬 때, 단편은 형광 표지된 C-펩티드의 결합을 방지하는 것으로 밝혀지며, 이것은 단편이 C-펩티드 그 자체와 동일한 세포 표면 상 결합 위치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증명한다. 단편 E의 결합의 상세한 예에 대해서는 하기 실시예 28을 참고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단지 펩티드 A 및 E 뿐만 아니라 그들의 단편의 서열도 포함하는 펩티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노나펩티드 A의 경우에서는, 이 단편들은 길이가 8 내지 2 아미노산일 수 있다. 펜타펩티드인 펩티드 E의 경우에서는, 이 단편들의 길이가 4 내지 2 아미노산일 수 있다. 전형적인 단편 B, C 및 D (펩티드 A에 대하여) 및 F (펩티드 E에 대하여)는 상기에 명시되어 있지만, 다른 단편들도 포함한다.
펩티드 A의 경우에서는, 신장 세관 단편의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펩티드 단편의 능력을 연구하는 Na+K+ATP아제 활성에 대한 특정 연구에서 중앙 트리-글리신 잔기 중 하나 이상이 중요할 수 있고, 펩티드 A에 관해서는 바람직한 펩티드 단편이 중앙 트리-글리신 잔기 중 하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상기에 언급된 펩티드 B, C 및 D 외에도, 대표적인 펩티드 단편의 예로는 GGGPGAG (SEQ ID NO. 8), GGGPG (SEQ ID NO. 9), GGGP (SEQ ID NO. 10), GGP 및 GGPG (SEQ ID NO. 11)가 있다.
더욱이, 비천연의 펩티드 D-LG 또는 D, L-LG 등을 비롯하여 D-아미노산 이성체를 함유한 펩티드도 활성일 수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천연" L-아미노산 C-펩티드 서열의 "비천연" 이성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펩티드 A에 관한 한, 중앙 트리-글리신 잔기 중 하나 이상 (D-펩티드라면) 또는 둘 이상 (L-펩티드라면)의 존재가 9 아미노산 또는 그 이하의 펩티드 단편에 중요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펩티드 E의 경우에서는, 대표적 단편의 예로는 테트라펩티드인 펩티드 F 뿐만 아니라 SLQ와 LQ등도 있다. C-말단 Q 잔기는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여기서도,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와 같은 펩티드의 비천연 이성체 또는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펩티드 A 및 E의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펩티드 A 및 C의 서열에 N 및(또는) C-말단 연장부, 또는 플랭킹 서열을 가진 펩티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이러한 펩티드는 천연 인간 인슐린 C-펩티드 내의 해당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또는 다른 아미노산일 수 있는 추가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완전한 인슐린 C-펩티드를 재구성하는 가능성은 당연히 배제함). 이러한 "연장된" 펩티드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길이는 25 또는 20 아미노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또는 10 아미노산 이하이다. 펩티드의 예로는 LALEGSLQ (SEQ ID NO. 12), ALEGSLQ (SEQ ID NO. 13)과 LEGSLQ (SEQ ID NO. 14)와 같은 펩티드 E의 서열을 포함하는 옥타-, 헵타- 및 헥사- 펩티드가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당뇨병과 당뇨병 합병증, 그 중에서도 특히 제1형 당뇨병과 그의 합병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당뇨병 합병증"은 그러므로 다양한 형태의 당뇨병과 관계된 당업계에 알려진 모든 합병증을 포함한다. 이론에 구속받으려는 것은 아니지만, 펩티드의 유용성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그들의 능력과 관련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은 대상체에서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서 사용하기 위한 펩티드와 그들의 용도를 포함한다.
Na+K+ATP아제 활성은 당업계에 알려지고 문헌에 설명된 기술을 사용하여 쉽게 분석할 수 있으므로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펩티드의 효과는 쉽게 측정될 수 있다 (예, 문헌 7 참조).
그러므로, 망막병증의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고, 신병증의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고, 신경병증의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고, 말기 당뇨병 합병증의 발병을 저지하기 위하여 Na+K+ATP아제 활성의 자극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 본 발명의 펩티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의약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제시된 적응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제약 조성물 또는 의약은 하나 이상의 펩티드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되 바와 같이, 펩티드 A 또는 펩티드 A를 기재로 하거나 펩티드 A로부터 유도된 펩티드 ("펩티드 A 군")와 펩티드 E 또는 펩티드 E를 기재로 하거나 펩티드 A로부터 유도된 펩티드 ("펩티드 E 군") 사이에서 상긍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펩티드 A 군으로부터의 펩티드와 펩티드 E 군으로부터의 펩티드와의 상승적인 조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펩티드는 당뇨병 및(또는) 그의 합병증을 치료하는데 활성이거나 효과적인 다른 약제와 함께, 또는 연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활성제는 예컨대 인슐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병용" 요법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들)과 제2의 활성제는 동일 조성물로, 또는 별도 조성물로 개별적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일면은 이렇게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그의 단편과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이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는데 효과적인 추가 활성제를 당뇨병 및(또는)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는데 동시적, 개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합된 제제로 함께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추가 활성제는 인슐린이다.
이러한 배합된 요법에서, 인슐린을 사용하는 경우, 용어 "인슐린"은 활성 인간 인슐린 서열의 합성된, 변형되거나 절단된 변체와 같이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인슐린의 모든 형태, 모든 종류와 모든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하, 근육내 또는 정맥내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C-펩티드 분자의 활성 단편/펩티드 (예, 펩티드 A-F)를 이를 위한 제약상 허용되는 캐리어와 임의적으로는 인간 인슐린과 같은 다른 치료상 성분과 함께 포함한다. 조성물 중의 활성 성분의 총량은 99.99 내지 0.01 중량%에서 변화한다. 캐리어는 조성물이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고 그의 수용체에 해롭지 않은 정도로 허용되어야 한다.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지고 문헌에 널리 설명된 기술과 방법에 따라서 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글루코스, 마니톨, 소르비톨 등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수용체의 혈액과 등장으로 제조된 제약상 활성 성분 (예, 펩티드 A-F)의 살균 수용액 및(또는) 현탁액을 편리하게는 포함한다. 더욱이, 조성물은 완충액, 방부제, 분산제, 활성의 신속한 개시 또는 활성의 장기 지속을 촉진하는 약제 등과 같은 다수의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위장 내에서 활성 펩티드의 분해 (탈카르복실화 또는 가수분해)로부터 보호하여 그 안의 물질들이 잇몸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도록 하는 바람직하게는 엔벨로프 또는 엔벨로프들 (엔테로캡슐)로 쌓여진 살균 정제된 원료 분말 형태인 C-펩티드 분자의 활성 단편/펩티드 (예, 펩티드 A-F)를 포함한다. 엔벨로프(들)은 완충액, 방부제, 본 발명에서 조성물의 최적 생체이용율을 제공하는 연장되거나 신속한 방출을 촉진하는 약제 등과 같은 다수의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C-펩티드 유도된 대응부가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자극 효과를 보이는 비펩티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연적으로 생기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활성을 모방할 수 있는 모방 펩티드 또는 "단편 분자"는 그들의 증가된 화학적 안정성 때문에 예컨대 경구 전달에 보다 적합할 것 같다 (8, 9).
치료상 펩티드와 같은 펩티드 또는 단백질 기재의 활성제를 기능상 동등한 활성을 가지는 모방 펩티드로 대체하는 것으 당업계에 흔한 일이다. 다양한 분자 자료와 조합 화학 기술이 존재하고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이러한 화합물을 확인, 선택 및(또는) 합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방 펩티드 화합물, 특히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펩티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Na+K+ATP아제 활성 및(또는) 세포 결합 특성을 나타내는 모방 펩티드 유기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은 화합물이 상기에 명시된 본 발명의 펩티드와 펩티드 단편으로 나타나는 정도 이상으로 Na+K+ATP아제 활성 및(또는) 신장 세관 세포 및 섬유아세포에 세포 결합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기재로 하는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Na+K+ATP아제 활성과 도면에 관한 세포 결합에 대한 특정 펩티드의 자극 효과를 나타내는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테트라메틸로다민으로 표지된 인간 C-펩티드의 분취 역상 정제로부터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칼럼을 20 분 동안 20 내지 40 % 아세토니트릴 구배 (0.1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중의 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한다. 피크 A는 C-펩티드의 미반응 단편에 해당한다. 피크 B 및 C는 테트라메틸로다민으로 표지된 C-펩티드에 해당한다. B 및 C 피크의 분리는 활성화제에 2개의 테트라메틸로다민 이성체의 존재에 해당한다. 추가 연구에는 C-피크로부터의 물질을 사용한다. 실선은 흡광계수 220 nm (펩티드)에 해당하고 점선은 흡광계수 555 nm (테트라메틸로다민)에 해당한다.
<실시예 1>
쥐 신장 세관 세포의 Na+K+ATP아제 활성에서 펩티드 A-F의 자극 효과를 시험하였다. 단일 기부 회선상 세관을 현미 해부로 쥐 신장으로부터 준비하였다. 세관을 펩티드 A-F 또는 쥐 C-펩티드 1으로 실온에서 30 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관을 저혈압 쇼크에 노출시키고 아우바인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32P-ATP를 함유하는 매질 중에 15 분 동안 배양한 후에 Na+K+ATP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5-10-7M 쥐 C-펩티드 1의 자극 효과를 100 %로 정하였다. 펩티드 A-F의 동일한 농도에 대하여 다음의 상대적인 활성을 얻었다:
펩티드 A 88±3 %
펩티드 B 36±2 %
펩티드 C 46±3 %
펩티드 D 65±4 %
펩티드 E 110±3 %
펩티드 F 96±2 %
펩티드 B + C 86±3 %
본 발명의 특정 제약 조성물의 예는 아래 실시예에 제공되었다.
<실시예 2>
인간 인슐린: 펩티드 A 단독 또는 펩티드 B, C, D, E 및 F와의 등몰량 혼합물 (100 단위 M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A 단독 - 16.8 mg
M-크레오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10 ml의 조성물 용량과 최종 pH 7.0-7.8을 만들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과 또는
펩티드 A - 16.8 mg
펩티드 B - 8.8 mg
펩티드 C - 13.6 mg
펩티드 D - 10 mg
펩티드 E - 12.4 mg
펩티드 F - 9.2 mg
M-크레오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의 배합물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염산 10 % 또는 수산화나트륨 10 %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3>
인간 인슐린: 펩티드 B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B - 8.8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4>
인간 인슐린: 펩티드 C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C - 13.6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5>
인간 인슐린: 펩티드 D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5)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D - 10.0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6>
인간 인슐린: 펩티드 E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E - 12.4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7>
인간 인슐린: 펩티드 F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F - 9.2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8>
인간 인슐린: 펩티드 D 단독 또는 펩티드 B, C, D, E 및 F 단편과와 등몰량 혼합물 (100 단위 M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A - 4.2 mg
M-크레오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과 또는
펩티드 A - 4.2 mg
펩티드 B - 2.2 mg
펩티드 C - 3.4 mg
펩티드 D - 2.5 mg
펩티드 E - 3.1 mg
펩티드 F - 2.3 mg
M-크레오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의 배합물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염산 10 % 또는 수산화나트륨 10 %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9>
인간 인슐린: 펩티드 B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B - 2.2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0>
인간 인슐린: 펩티드 C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C - 3.4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1>
인간 인슐린: 펩티드 D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D - 2.5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2>
인간 인슐린: 펩티드 E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E - 3.1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3>
인간 인슐린: 펩티드 E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28 U/mg) - 1000 U
펩티드 F - 2.3 mg
M-크레솔 - 25 mg
글리세롤 - 16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4>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A 단독 또는 펩티드 B, C, D, E 및 F 단편과와 등몰량 혼합물 (100 단위 M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A - 16.8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 또는
펩티드 A - 16.8 mg
펩티드 B - 8.8 mg
펩티드 C - 13.6 mg
펩티드 D - 10 mg
펩티드 E - 12.4 mg
펩티드 F - 9.2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의 배합물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0-7.8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염산 10 % 또는 수산화나트륨 10 %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5>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B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펩티드 B - 8.8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6>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C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펩티드 C - 13.6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7>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D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D - 8.8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8>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E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펩티드 E - 12.4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9>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F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4)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B - 9.2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0>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A 단독 또는 펩티드 B, C, D, E 및 F 단편과와 등몰량 혼합물 (100 단위 M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A - 4.2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 또는
펩티드 A - 4.2 mg
펩티드 B - 2.2 mg
펩티드 C - 3.4 mg
펩티드 D - 2.5 mg
펩티드 E - 3.1 mg
펩티드 F - 2.3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의 배합물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염산 10 % 또는 수산화나트륨 10 %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1>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B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B - 2.2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2>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C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C - 3.4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3>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D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D - 2.5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4>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E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E - 3.1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5>
인간 아연 인슐린: 펩티드 F (100 단위 (U) 인슐린/ml에서 몰 기준으로 1:1)
조성물 10 ml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0 U/mg) - 1000 U
인간 인슐린 변형 무정형 300 U 및 변형 결정체 700 U (28 U/mg) - 1000 U
펩티드 F - 2.3 mg
아연 - 1.3 mg
염화나트륨 - 70 mg
아세트산나트륨 - 16 m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즈 - 10 mg
조성물 용량 10 ml와 최종 pH 7.1-7.4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물과 10 % 염산 또는 10 %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6>
펩티드 A
인슐린 1000 U와 등몰량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엔테로캡슐 또는 설하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펩티드 A - 0.42 mg
락토스 - 30 mg
부형제 - 충분량
을 혼합하거나
또는 펩티드 A : 펩티드 B : 펩티드 C : 펩티드 D : 펩티드 E : 펩티드 F (몰 기준으로 1:1:1:1:1:1)의 경우에는
인슐린 1000 U와 등몰량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엔테로캡슐 또는 설하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펩티드 A - 0.42 mg
펩티드 B - 0.22 mg
펩티드 C - 0.44 mg
펩티드 D - 0.31 mg
펩티드 E - 0.31 mg
펩티드 F - 0.23 mg
락토스 - 30 mg
부형제 - 충분량
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7>
펩티드 A
인슐린 1000 U와 등몰량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엔테로캡슐 또는 설하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펩티드 A - 1.67 mg
락토스 - 30 mg
부형제 - 충분량
을 혼합하거나
펩티드 A : 펩티드 B : 펩티드 C : 펩티드 D : 펩티드 E : 펩티드 F (몰 기준으로 1:1:1:1:1:1)의 경우에는,
인슐린 1000 U와 등몰량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엔테로캡슐 또는 설하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펩티드 A - 1.68 mg
펩티드 B - 0.88 mg
펩티드 C - 1.36 mg
펩티드 D - 1.0 mg
펩티드 E - 1.24 mg
펩티드 F - 0.92 mg
락토스 - 30 mg
부형제 - 충분량
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28>
펩티드 E의 세포 표면에 특이 결합은 다음과 같이 예시된다. 인간 생합성 C-펩티드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주 소재의 Eli Lilly, Inc.)를 활성화된 약제 테트라메틸로다민 숙시니미딜 에스테르 (FluoReporter (등록상표) 단백질 표지 키트, 기술 제 F-6163; 분자 시험 유럽 BV, 네덜란드 라이덴)를 사용하여 테트라메틸로다민으로 표지하였다. 커플링 반응을 C-펩티드에 활성화제의 5 배 화학량론적 과량으로 pH 8.3 (0.1 M NaHCO3완충액)에서 수행하였다. 테트라메틸로다민기는 555/580 nm에서 각각 흡수/방출 최대값을 가지고 C-펩티드의 N-말단에 혼입되었다. 표지된 C-펩티드를 NAP-5 칼럼 (스웨덴 웁살라 소재의 Pharmacia Biotech)에서 겔 크로마토그래피 (50 mM 인산염 완충액, 0.1 M NaCl, pH 7.4에 대하여 탈염)로 이어서 1090 휴렛 패커드 HPLC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프랑스 그르노블 소재) (도 1)을 사용하는 분취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250 mm Kromasil C8 칼럼, 직경 4.6 mm, 7 μm 입자 크기, 10 nm 공극 크기, 스웨덴 수르테 소재 Eka-Nobel)로 정제하였다. 용출된 물질을 암모니아를 가하여 pH 8로 즉시 조절하고 나서 동결 건조하였다.
배양된 인간 신장 세관 세포 (기부 회선상 세관, PCT)를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이 합성된 로다만 표지된 C-펩티드로 배양하였다. 세포를 부신종 때문에 외과적으로 제거된 인간 신장의 건강한 부분으로부터 준비하였다. 외부 신장 피질 150 μm를 마이크로톰에서 제거하고 37℃에서 15 분 동안 콜라게나제 용액 (0.05 %) 중에 배양시켰다. 조직 현탁액을 원심분리하고 콩 트립신 억제 용액 (미국 뉴욕주 그랜드 아일랜드, Gibco Laboratories) 0.01 %로 2회 세척하고 PCT 단편 및 PCT 세포의 농축액을 유리 커버 슬립 위에 놓았다. 세포를 37℃에서 95 % O2와 5 % CO2로 이루어진 세균 배양기에서 10 % 소 태아 혈청 (Gibco)을 사용하여 Dulbecco 변형된 독수리 매질 [DMEM, 20 mmol/l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 황산 (Hepes), 24 mmol/l NaHCO350,000 IU/l 페니실린과 50 mg/l 스트렙토마이신, pH 7.4] 중에 배양시켰다. 배양의 28 시간 후에 매질이 1 % 소 태아 혈청으로 DMEM으로 변화되었다. 세포를 대략 18-36 시간 후에 시험하였다.
세관 세포의 C-펩티드와 세포 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을 형광성 상관 분광학을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11). C-펩티드 농도 5 nM을 사용하여 펩티드 92 %가 50 분 안에 세포 표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는 다르게, 세포가 펩티드 E의 5 μm로 전배양시킬 때, 50 분 후에 결합한 C-펩티드는 12 % 이하였다. 이와 같이, C-펩티드가 50 분 동안 세포에 결합되고, 펩티드 E를 그 후에 가할 때, 이는 4 시간 안에 큰 비율의 C-펩티드가 그의 결합 위치의 전이를 야기시키고, 단지 14 %만이 결합을 유지하였다. 펩티드 F에 대하여 유사한 조건을 얻었다. 이 결과는 C-펩티드와 유사한 펩티드가 세포 표면 상에 특이 결합 위치에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1. Biochemical Basis of Microvascular Disease, C. J. Mullarkey and M. Brownlee, p 534-545, in Textbook of Diabetes, Volume 2, editors J. Pickup and G. Williams. Blackwell, Oxford 1991.
2.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DCCT group. N Engl J Med 1993; 329: 977-983.
3. K. Kjeldsen, H. Brandgaard, P. Sidenius, J. Stenfatt Larsen and A. Nergaard. Diabetes decreases Na+K+pump concentration in skeletal muscles, heart ventricular muscle, and peripheral nerves of rat. Diabetes 1987; 36: 842-848.
4. L.C. MacGregor and F.M. Matschinsky. Experimental diabetes impairs the function of the retinal pigmented epithelium. Metab Clin Exp 1986; 35: suppl 1, 28-34.
5. D.A. Greene and S.A. Lattimer. Impaired rat sciatic nerve sodium potassium adenosine triphosphatase in acute streptozocin diabetes and its correction by dietary myo-inositol supplementation. J Clin Invest 1983; 72: 1058-1063.
6. T. Clausen and M. E. Everts. Regulation of the Na,K-pump in skeletal muscle. Kidney International 1989; 35: 1-13.
7. Y. Ohtomo, A. Aperia, B.L. Johansson and J. Wahren. C-peptide stimulates renal Na+K+ATPase activity in synergism with neuropeptide Y. Diabetologia 1996; 39: 199-205.
8. T. Clackson and J. Wells. In vitro selection from protein and peptide libraries. Trends in Biotechnology 1995, 12: 173-184.
9. H. Nakanishi, S Ramurthy, A. Raktabutr, R. Shen and M. Eahn. Peptidomimetics of the immunoglobulin supergene family - a review. Gene 1993, 137: 51-56.
10. T. Kieber-Emons, R. Murali and M.I. Greene. Therapeutic peptides and peptidomimetics.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1997, 8: 435-441.
11. R. Rigler. Journal of Biotechnology 1995, 41: 177-186.

Claims (16)

  1. 펩티드 서열 ELGGGPGAG (SEQ ID NO. 2) 또는 그의 단편, 또는 펩티드 서열 EGSLQ (SEQ ID NO. 3)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고,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능력이 있는, 인간 인슐린 C-펩티드의 단편인 펩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서열이 ELGGGPGAG (SEQ ID NO. 2) 또는 EGSLQ (SEQ ID NO. 3), 또는 그들의 단편인 펩티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편이 ELGG (SEQ ID NO. 4) (펩티드 B), ELGGGP (SEQ ID NO. 5) (펩티드 C), GGPGA (SEQ ID NO. 6) (펩티드 D) 및 GSLQ (SEQ ID NO. 7) (펩티드 F)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
  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길이가 2 내지 25 아미노산인 펩티드 또는 단편.
  5. 제4항에 있어서, 길이가 2 내지 9 아미노산인 펩티드 또는 단편.
  6. Na+K+ATP아제 활성화능 및(또는) 신장 세관 세포와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결합 특성을 제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단편이 발휘하는 수준 이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
  7.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단편, 또는 제6항에 따른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당뇨병 및(또는)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는데 사용하거나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기 위한 펩티드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
  9. 제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1종 이상의 캐리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는데 효과적인 1종 이상의 추가 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추가 활성제가 인슐린인 제약 조성물.
  12.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과 대처하거나 Na+K+ATP아제 활성을 자극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의 용도.
  13. 제12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함께 사용하는 용도.
  14. 제12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이 신병증, 신경병증 또는 망막병증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하거나 말기 당뇨병 합병증의 발병을 지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용도.
  15.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을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는데 효과적인 1종 이상의 추가 활성제를 당뇨병 및(또는) 당뇨병 합병증에 대처하는데 동시적, 개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합된 제제로 함께 포함하는 제품.
  16.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생체 모방 유기 화합물을 인간 또는 인간 이외의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과 대처하는 방법.
KR1019990702585A 1996-09-27 1997-09-26 인슐린 c-펩티드 KR20000048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3533-2 1996-09-27
SE9603533A SE520392C2 (sv) 1996-09-27 1996-09-27 Specifika peptider för behandling av diabetes melli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643A true KR20000048643A (ko) 2000-07-25

Family

ID=2040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2585A KR20000048643A (ko) 1996-09-27 1997-09-26 인슐린 c-펩티드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6610649B2 (ko)
EP (1) EP0938503B1 (ko)
JP (1) JP2001500893A (ko)
KR (1) KR20000048643A (ko)
AT (1) ATE347562T1 (ko)
AU (1) AU741901B2 (ko)
BG (1) BG103362A (ko)
BR (1) BR9711573A (ko)
CA (1) CA2266416C (ko)
CZ (1) CZ108599A3 (ko)
DE (1) DE69737065T2 (ko)
DK (1) DK0938503T3 (ko)
ES (1) ES2278394T3 (ko)
HU (1) HUP0000432A3 (ko)
IL (1) IL129143A0 (ko)
IS (1) IS5008A (ko)
NO (1) NO991483L (ko)
NZ (1) NZ335231A (ko)
PL (1) PL332494A1 (ko)
RU (1) RU2206336C2 (ko)
SE (1) SE520392C2 (ko)
SK (1) SK39499A3 (ko)
TR (1) TR199900694T2 (ko)
WO (1) WO19980133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035A (ko) * 2014-12-30 2016-07-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인슐린의 면역학적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2342D0 (en) 2000-09-12 2000-10-25 Creative Peptides Sweden Ab Reduction of the electrocardiographic QT interval
DE10055857A1 (de) * 2000-11-10 2002-08-22 Creative Peptides Sweden Ab Dj Neue pharmazeutische Depotformulierung
US20030198666A1 (en) * 2002-01-07 2003-10-23 Richat Abbas Oral insulin therapy
JP5452843B2 (ja) * 2003-01-06 2014-03-26 エミスフィアー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夜間の経口インスリン治療
US20050026826A1 (en) * 2003-01-17 2005-02-03 Margarethe Hoenig Feline proinsulin, insulin and constituent peptides
US20050203001A1 (en) * 2004-03-05 2005-09-15 Emisphere Technologies, Inc. Oral insulin therapies and protocol
GB0323979D0 (en) 2003-10-13 2003-11-19 Creative Peptides Sweden Ab Therapeutic applications for c-peptide
US7557081B2 (en) * 2004-05-27 2009-07-07 Essential Skincare, Llc Alpha-1-acid glycoprotei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US7833513B2 (en) 2004-12-03 2010-11-16 Rhode Island Hospital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GB0601950D0 (en) * 2006-01-31 2006-03-15 Creative Peptides Sweden Ab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diabetes
EP2054437A2 (en) * 2006-08-07 2009-05-06 Teva Biopharmaceuticals USA, Inc. Albumin-insulin fusion proteins
US20100292132A1 (en) * 2007-09-11 2010-11-18 Dorian Bevec Use of insulin c-peptid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glp-1, as a therapeutic agent
GB0723250D0 (en) * 2007-11-28 2008-01-09 Univ Lee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diabetic patients
US8680263B2 (en) 2008-09-19 2014-03-25 Nektar Therapeutics Carbohydrate-based drug delivery polymers and conjugates thereof
EP2334338A2 (en) * 2008-09-19 2011-06-22 Nektar Therapeutics Polymer conjugates of c-peptides
US8410049B2 (en) * 2009-10-28 2013-04-02 Cebix Methods and kits for preventing hypoglycemia
CN103119055A (zh) 2010-05-17 2013-05-22 塞比克斯公司 聚乙二醇化c肽
CA2827029C (en) 2011-02-11 2019-07-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Tri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4220086A (zh) 2011-11-17 2014-12-17 塞比克斯股份公司 Peg化的c-肽
RU2522897C1 (ru) * 2013-04-16 2014-07-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АРМ-ХОЛДИНГ" Твердая кишечнорастворим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с-пептида проинсулина для перораль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CN104888201B (zh) * 2015-06-29 2018-04-27 齐锦生 用于防治糖尿病及其慢性并发症的肽类药物
EP3570875B1 (en) 2017-02-06 2022-07-06 Biotempt B.V. Peptide modulators of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c-peptide and human elastin receptor for therapeutic us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166913B (ko) * 1972-05-15 1975-06-28
JPS5210872B2 (ko) * 1973-07-14 1977-03-26
JPS55105653A (en) * 1978-10-02 1980-08-13 Shionogi & Co Ltd Tyrosyl c-peptides
CA1176158A (en) 1981-08-27 1984-10-16 Ronald E. Chanc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mprising human insulin and human c-peptide
DE3326473A1 (de) 1983-07-22 1985-01-31 Hoechst Ag, 6230 Frankfurt Pharmazeutisches mittel zur behandlung des diabetes mellitus
US4581165A (en) * 1984-06-14 1986-04-08 Eli Lilly And Company Anti-diabetic compounds
US5104854A (en) 1989-02-01 1992-04-14 Washington University Antiviral peptides
NZ232375A (en) 1989-02-09 1992-04-28 Lilly Co Eli Insulin analogues modified at b29
US5364757A (en) 1990-05-21 1994-11-15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Methods of supporting a diagnosis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L99699A (en) * 1990-10-10 2002-04-21 Autoimmune Inc Drug with the option of oral, intra-intestinal, or inhaled dosing for suppression of autoimmune response associated with type I diabetes
JPH05268982A (ja) 1992-03-27 1993-10-19 Hoechst Japan Ltd 骨形成作用を有する新規な蛋白質およびその製造法
DE69327239T2 (de) 1992-04-13 2000-05-11 Oklahoma Med Res Found Methoden and reagentien zur diagnose von autoantikörpern
WO1994025071A1 (en) 1993-05-05 1994-11-10 Keith Rose Polyoxime compounds and their preparation
AT400723B (de) 1993-08-27 1996-03-25 Biomay Prod & Handel Rekombinante alternaria alternata allergene
WO1996001846A1 (en) 1994-07-08 1996-01-25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Proinsulin peptide compounds for detecting and treating type i diabetes
US6309853B1 (en) * 1994-08-17 2001-10-30 The Rockfeller University Modulators of body weight, corresponding nucleic acids and proteins,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GB9422175D0 (en) 1994-11-03 1994-12-21 Univ Dundee Indentification of the p21 waf1-pcna interaction site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of
GB9509164D0 (en) 1995-05-05 1995-06-28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compounds
AU728186B2 (en) 1996-03-15 2001-01-04 Corixa Corporation Compounds and methods for immunotherapy and immunodiagnosis of prostate cancer
US6150500A (en) 1996-07-12 2000-11-21 Salerno; John C. Activators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035A (ko) * 2014-12-30 2016-07-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인슐린의 면역학적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S5008A (is) 1999-03-23
DE69737065T2 (de) 2007-06-28
RU2206336C2 (ru) 2003-06-20
IL129143A0 (en) 2000-02-17
JP2001500893A (ja) 2001-01-23
CZ108599A3 (cs) 1999-08-11
BR9711573A (pt) 2000-01-18
SE9603533L (sv) 1998-03-28
CA2266416A1 (en) 1998-04-02
WO1998013384A1 (en) 1998-04-02
TR199900694T2 (xx) 1999-06-21
NO991483D0 (no) 1999-03-26
AU741901B2 (en) 2001-12-13
BG103362A (en) 2000-05-31
CA2266416C (en) 2008-04-29
DE69737065D1 (en) 2007-01-18
US20020107175A1 (en) 2002-08-08
AU4391597A (en) 1998-04-17
PL332494A1 (en) 1999-09-13
HUP0000432A3 (en) 2000-10-30
SE9603533D0 (sv) 1996-09-27
ATE347562T1 (de) 2006-12-15
US6610649B2 (en) 2003-08-26
NO991483L (no) 1999-05-18
DK0938503T3 (da) 2007-04-10
ES2278394T3 (es) 2007-08-01
NZ335231A (en) 2000-11-24
SK39499A3 (en) 1999-10-08
HUP0000432A2 (hu) 2000-08-28
EP0938503B1 (en) 2006-12-06
EP0938503A1 (en) 1999-09-01
SE520392C2 (sv) 200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8643A (ko) 인슐린 c-펩티드
AU634954B2 (en)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CN102197049B (zh) 胰岛淀粉样多肽衍生物
US5939387A (en) Method of treating insulin resistance
US5175145A (en)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with amylin agonists
CN104395338B (zh) 人胰岛淀粉样多肽类似物
JPH10330397A (ja) サイトカイン調節剤およびサイトカインレベルの変化に関連する病状および状態における使用方法
EA004269B1 (ru) Способ сайт-специфичного получения конъюгатов рилизинг-фактора гормона роста человека и полиэтиленгликоля, конъюгаты, полученные данным способом,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производстве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TW201143793A (en) Oxyntomodulin peptide analogue
Swope et al. Bombesin stimulates insulin secretion by a pancreatic islet cell line.
JP2019534248A (ja) アミリン類似体
CN107567459A (zh) 胰淀素类似物
CA2686803A1 (en) Unacylated ghrelin as therapeutic agent in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WO2018202870A1 (en) Peptides for treatment of diabetes
Weiss et al. ADME Investigations of Unnatural Peptides: Distribution of a 14C‐Labeled β 3‐Octaarginine in Rats
US20110152183A1 (en) Derivatised hybrid peptides of amylin and salmon calcitonin
Fahrenkrug et al. Characterization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peptides derived from the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precursor in the normal human brain
CN111032685A (zh) 新型酰化胰岛素类似物及其用途
EP0433074B1 (en) Method for treating cardiac malfunction
MXPA99002734A (en) Insulin c-peptides
EP0651651A1 (en) Amylin antagonists and agonists
JP2017532292A (ja) ミリストイル化レプチン関連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CN101223189A (zh) 作为glp-i激动剂的新颖化合物
Mirmira Importance of the COOH-terminal B-chain domain of insulin in insulin-receptor inter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