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700A - 차량용 컵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700A
KR20000047700A KR1019990052155A KR19990052155A KR20000047700A KR 20000047700 A KR20000047700 A KR 20000047700A KR 1019990052155 A KR1019990052155 A KR 1019990052155A KR 19990052155 A KR19990052155 A KR 19990052155A KR 20000047700 A KR20000047700 A KR 2000004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ainer holder
cam
cup holder
hol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186B1 (ko
Inventor
호시마사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0004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용기홀더부재의 회동전환작동이 원활하게 되고, 슬라이드 접촉에 기인한 마모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덮개(20)가 케이스(10)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대략 수평한 개방위치로 회동전환 가능하게 부착되며, 2개의 용기홀더부재(30,40)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전환작동에 연동하여 겹쳐진 수납상태에서 사용상태가 되는 케이스 외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프링수단(70)의 탄지력에 의해서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폭보다도 넓게 이간되는 컵홀더장치에 있어서, 덮개(20) 위에 설치된 수직지지부(50)와, 수직지지부(50)의 상측에 연결되어 용기홀더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부(60)와, 수평지지부(60)의 케이스(10)내에서의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가이드수단(15,68)과, 수평지지부(60)의 좌우 단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좌우 단부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된 캠(80)을 구비하고 있다. 캠(80)은 덮개(20)의 개방위치에서 용기홀더부재(30,40)의 외측둘레에 누름접촉하여 케이스(10)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대한 용기홀더부재(30,40)의 접촉을 규제하고, 덮개(20)가 폐쇄위치로 이행될 때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서 내측면으로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장치{CUP HOLD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등의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깡통(이하, 이것을 '컵류'라 총칭한다)을 유지하는 개폐식 차량용 컵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컵홀더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35342호에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에 대하여 컵받이판을 겸하는 덮개가 폐쇄위치 및 대략 수평한 개방위치로 회동전환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2개의 용기홀더부재가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전환작동에 연동하여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스프링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폭보다도 넓게 이간(離間)되도록 한 것이 있다. 이 구조에서는 2개의 용기홀더부재를 가지는 경우에도 수납용 케이스를 작게 하여 생공간화(省空間化)를 실현가능하게 한 것이므로, 설치공간이 제약된 차량의 실내용으로서 매우 적합한 것이 된다.
그러나, 상기한 컵홀더장치의 구조에서는, 각 용기홀더부재가 덮개의 개폐동작에 연동하는 리턴스프링의 작동에 의해서 케이스 내부에 넣어지는 수납상태와 케이스 외부로 이동되는 사용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람의 힘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전환작동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또, 2개의 용기홀더부재는 각각 전용의 스프링수단에 의해서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덮개의 개방위치에서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 그 탄지력에 대응한 강도로 맞닿게 된다. 따라서, 반복해서 사용하게 되면,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가 용기홀더부재와의 접촉에 의해서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외관적으로 좋지않게 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들을 해소한 것이다. 그 목적은 조립성을 더욱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용기홀더부재의 회동전환작동이 더 원활하게 되고, 또한 케이스측에 마모등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그리고,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 중에서 순차 명확하게 밝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컵홀더장치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컵홀더장치를 위에서 본 일부 파단도
도 3은 도 1의 컵홀더장치를 앞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으로 단면한 컵홀더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컵홀더장치를 수납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컵홀더장치의 요부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부재간의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
도 8은 도 6의 컵홀더장치의 요부를 사용상태에서의 작동을 나타낸 일부 파단도
도 9는 도 8의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이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6의 컵홀더장치의 요부의 측면도 및 종단면도
도 11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덮개를 케이스측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추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기 컵홀더장치의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전면측 하부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수평지지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홀더장치 10 - 케이스
15 - 안내홈{돌기(68)와 함께 가이드수단을 구성한다}
20 - 덮개 30,40 - 용기홀더부재
50 - 수직지지부 60 - 수평지지부
70 - 토션 스프링(스프링) 75 - 토션 스프링(스프링수단)
80 - 캠 85 - 링크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에 대하여 덮개가 폐쇄위치 및 대략 수평한 개방위치로 회동전환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2개의 용기홀더부재가 상기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전환작동에 연동하여 케이스내에서 일부 겹쳐진 수납상태에서 사용상태가 되는 케이스 외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프링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폭보다도 넓게 이간되도록 한 컵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 위에 설치된 수직지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양 내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홀더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케이스내에서의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수평지지부의 좌우 단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 단부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된 캠을 구비하고, 상기 캠이 상기 덮개의 개방위치에서 용기홀더부재의 외측둘레에 누름접촉하여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대한 용기홀더부재의 접촉을 규제하고, 상기 덮개가 폐쇄위치로 이행될 때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서 내측면으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컵홀더장치에 있어서는, 사용할 경우에는, 덮개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회동전환조작하면, 덮개 및 수평지지부가 가이드수단(예를 들면, 청구항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돌기와 안내홈)의 가이드작용에 따라서 용기홀더부재를 연행하면서 개방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 연행과정에서 각 용기홀더부재가 케이스의 양 내측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지지부에 의해서 수납상태에서 사용상태인 케이스 외부로 이동되고, 스프링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케이스의 전면 개방의 폭보다도 넓게 이간된다. 따라서, 탑승자등은 각 용기홀더부재에 대하여 2개의 컵류를 각각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덮개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전환조작하면, 덮개 및 수평지지부가 가이드수단의 가이드작용에 따라서 용기홀더부재를 연행하면서 폐쇄위치에 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각 용기홀더부재가 수납상태인 케이스내로 스프링수단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겹쳐지면서 이동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용기홀더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수평지지부가 가이드수단의 존재에 의해서 덮개의 폐쇄위치로의 전환작동에 연동하여 케이스내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기홀더부재의 수납상태 및 사용상태로의 전환작동이 확실하고 또한 항상 안정한 것이 된다. 또, 이 구조에서는, 용기홀더부재가 캠의 존재에 의해서 덮개의 개방위치에서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직접 맞닿지 않기 때문에, 그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의 마모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이 캠은 용기홀더부재가 전환작동할 때나 수납상태에서 용기홀더부재의 요동이나 이것에 의한 소음을 없게 한다. 또한, 다른 이점으로서는 케이스에 대한 조립 및 구성부재의 취급이나 반송이 개선되는 것이다. 즉,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수직지지부에 대하여 수평지지부를 부착하고, 2개의 용기홀더부재, 스프링수단, 캠을 수평지지부에 조립함으로써 주요 부재가 유니트화 된다. 최종공정에서는 이 유니트화 된 구성품을 덮개에 수직지지부를 개재하여 부착한 후, 이것을 케이스에 가이드수단과 함께 조립하는 등, 그 조립 및 취급 등이 합리화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더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첫째로, 상기 캠이 링크암을 통해서 상기 스프링수단의 탄지력을 받고 있는 용기홀더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조에서는, 캠을 탄지하는 수단으로서 용기홀더부재를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수단을 겸용할 수 있으며, 또 이와 같이 링크암을 개재시킨 링크방식을 이용하면, 상기한 캠의 작동을 양 용기홀더부재의 이간작동에 연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간소화가 도모된다. 또한, 이와 같은 캠은, 덮개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용기홀더부재의 기단부측 외측둘레에 누름접촉하는 평판형상의 캠부와, 상기 덮개가 폐쇄위치로 이행될 때에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대략 원통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캠부를 가진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로, 상기 수평지지부는 수직지지부에 대하여 상하 소정범위만큼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용기홀더부재의 사용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조는, 예를 들면 가이드수단으로서 안내홈 및 돌기를 채용하는 경우, 덮개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에 안내홈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의 회동범위내에서 대략 수평형상의 짧은 수평홈부 및 대략 원호형상의 긴 원호홈부로 형성하는 등 변형가능하게 함으로써, 용기홀더부재에 대한 케이스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실현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매우 적합한 예로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가지 한정이 부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에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상기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를 위에서 본 일부 파단도, 도 3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컵홀더장치의 수납상태에서의 측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그 요부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부재간의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 도 8과 도 9는 상기 컵홀더장치의 요부를 위에서 본 작동도, 도 10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요부의 측면 및 종단면한 작동도, 도 11은 케이스에 대하여 덮개를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추는 부분을 위에서 본 도면, 도 12는 케이스의 구성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수평지지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 베이스의 표면과 이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컵홀더장치(1)는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된 구성부재로서 피부착부(2)에 부착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대략 수평한 개방위치로 전환가능한 덮개(20)와, 컵류가 삽입가능한 구멍을 가지는 용기홀더부재(30,40)와, 덮개(20) 위에 세워진 수직지지부(50)와, 수직지지부(50)에 연결되어 용기홀더부재(30,40)를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부(60)와, 수직지지부(50)에 대하여 수평지지부(60)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으로서의 토션 스프링(70)과, 양 용기홀더부재(30,40)를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수단으로서의 토션 스프링(75)과, 수평지지부(60)의 좌우 단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캠(80)과, 각 캠(80)과 이것에 대응하는 각 용기홀더부재(30, 40)의 기단부(35,45)를 연결하는 링크암(8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케이스(10), 덮개(20), 용기홀더부재(30,40), 수직지지부(50), 수평지지부(60), 캠(80) 및 링크암(85)은 모두 수지성형품이다.
이하의 각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조립요령도 포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납용 케이스(10)는 양 측벽(11)과 후벽(12)과 상하벽(13,14)에 의해서 구획되며, 전면이 대략 장방형상으로 개방된 개방부로 되어 있다.
양 측벽(11)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플랜지(11a)와, 전방 하측 부분을 잘라낸 절결부(11b)와, 절결부(11b) 상측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용 부착구멍과,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안내홈(15)을 가지고 있다. 안내홈(15)은 전방측 중간에 위치하는 대략 수평형상의 수평홈부(15a)와 이 수평홈부(15a)의 후단에서 연속하여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원호홈부(15b)로 이루어진다.
상벽(13)은 전방측이 평탄벽(13a)으로 되어 있고, 이 평탄벽(13a)의 후측이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벽(13b)으로 되어 있다. 평탄벽(13a)의 전방측 중간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3c)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벽(13b)의 중앙부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16a)을 가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융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벽(13)에는 상기 개구부(13c)에 대응하여 래치(17)가 부착되어 있다. 이 래치(17)는 덮개(20)측의 걸어맞춤부(21)를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것으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벽(13b)에 형성된 구멍(13e)측에서 개구부(13c) 아래로 끼워지며, 래치(17)를 구성하는 1쌍의 탄성돌기부(17a)를 개구부(13c)에 대응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하벽(14)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 부분을 별도의 판부재(19)로 구성하고 있으나, 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 판부재(19)는 후단부가 하측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전단부에는 양측을 일부 잘라낸 절결부(19a)가 형성되며, 이 절결부(19a)의 측단면에 덮개용 부착구멍(19b)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9a)에 근접한 양측 상면에는 지지부(19c)가 한 단(段) 높게 형성되며, 이 지지부(19c)에 부착구멍(19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판부재(19)는 양 측벽(11)에 형성된 절결부(11b)에 배치됨과 아울러, 각 측벽(11)의 부착구멍 및 지지부(19c)의 부착구멍(19d)에 삽입된 나사(18)에 의해서 부착된다. 이 부착상태에서는 판부재(19)가 하벽(14)에 대하여 한 단(段) 높게 배치되며, 부착구멍(19b)이 양 측벽(11)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납용 케이스(10)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착부(2)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용 돌기에 의해서 임시로 부착되고, 융기부(16)의 부착구멍(16a)에 끼워지는 나사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부착구멍(16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2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며, 큰 구멍측에서 부착 오차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피부착부(2)는 본 실시형태의 컵홀더장치(1)를 부착하는 부위이고, 예를 들면 차량의 실내를 구성하는 도어 트림이나 인스트러먼트 패널, 좌석의 배면, 실내 장비품 등에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콘솔을 상정하고 있으며, 그 배면측에 설정된 피부착부(2)에 장착하는 설정이다. 또한, 케이스(10) 자체의 부착방법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적절한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덮개(20)는 컵받이판을 겸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 개방부에 대응한 장방형의 판형상을 이루며, 케이스(10)에 대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회동전환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형상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개방위치에 있어서, 전방 상측의 대략 중간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래치(17)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21)와, 전방측의 외측면을 단면 오목형상으로 형성한 손잡이부(22)와, 후방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지는 부착부(23)와, 상측 중간의 양측에 돌출형성되며 혀모양의 고무판(26)이 내측에 수납되도록 배치가능한 보강겸용 리브(24)와, 리브(24)에 일부를 연결한 상태로 형성된 직선형상의 리브(25)와, 후방 상측의 중간에 돌출형성된 부착대(27)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덮개(20)는 케이스(10)에 있어서의 판부재(19)의 양측 절결부(19a)에 대하여 대응하는 부착부(23)가 외측에서 밀착되게 끼워짐과 아울러, 스프링 핀등의 축(28)을 상기 부착부(23)의 관통구멍 및 판부재 (19)의 부착구멍(19b)에 삽입함으로써 케이스(10)의 전면 개방부에 부착된다. 이 부착상태에서는 덮개(20)가 케이스(10)에 대하여 축(28)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되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0)의 후단부(29)가 판부재(19)의 하면에 맞닿아서 대략 수평하게 유지되는 개방위치와 도 5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21)가 래치(17)의 1쌍의 탄성돌기부(17a)에 걸어맞춰지는 폐쇄위치와의 범위에서 회동된다. 고무판(26)은 리브(24)에 의해서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면일치되게 장착되며, 용기홀더부재(30,40)의 링(31,41)내로 끼워지는 컵류의 바닥면을 안정하게 받치는 것이다.
수직지지부(50)는 덮개(20)의 부착대(27)에 고정된 것으로, 도 4 및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가 기둥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전방측 중간부분에 절결부(51)을 형성하고, 이 절결부(51)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한 부착구멍(52)과, 본체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2개의 돌편(53)을 가지고 있다. 각 돌편(53)은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그 대향면에 통형상부(54)가 각각 돌출되고, 이 통형상부(54)와 연통하는 관통구멍(54a)을 형성하고 있다. 양 돌편(53) 사이에 있어서의 하부측에는 후술하는 토션 스프링(70)의 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벽(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의 수직지지부(50)는 본체가 부착대(27)에 얹어 놓여지고, 절결부(51)을 따라서 나사(56)를 부착구멍(52)에서 부착대(27)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부착구멍으로 나사결합함으로써 덮개(20)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지지부(50)의 본체를 횡단면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서 경량화하고, 이 ㄷ자형상의 내측에 복수개의 보강용 리브(57)를 돌출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직지지부(50)는 별도의 부재로 하지 않고 덮개(2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부착대(27) 후방에 작은 핀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핀을 수직지지부(50)의 하부측에 형성한 작은 구멍에 끼움으로써 양 부재간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기홀더부재(30,40)는 도 2 및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의 링 (31,41)과 이 링(31,41)의 외측둘레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혀모양의 기단부(32,42)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링(31) 및 링(41)을 측방(도 2에서의 좌우 외측)에서 각각 누루면, 링(31) 위에 링(41)이 겹쳐진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양 링(31,41)에는 통형상의 일부를 높이적으로 낮게 되도록 잘라낸 절결부(33,43)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절결부(33,43)의 외측둘레에 돌편(34,44)을 서로 겹쳐지도록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 외부에 배치된 사용상태에서는 돌편(34,44)의 일부가 약간 겹쳐질 때까지 이간됨과 아울러,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내에 넣어진 수납상태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일측 링의 두께가 된다. 기단부(32,42)의 후단측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단(段) 낮게 된 단차부(35,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차부(35,45)의 상면에 부착축(36, 46)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축(36,46)의 상단에는 부착축의 지름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된 걸어맞춤부(36a,4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35,45)의 하면에도 작은 축형상의 걸어맞춤부(36b,46b)를 동일 축선상에 돌출형성하고 있다. 또, 링(31,41)측으로는 ㄷ자형상의 단차면(35a,45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단차면(35a,45a)에 근접하여 링크암 연결용 관통구멍(37,47)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지지부(60)는 도 7 및 도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61) 및 상부 베이스(65)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베이스(61)의 상면에는 전방 중간부에 돌출형성된 단면 대략 장방형상의 유지틀(62)과, 유지틀(62)의 양측 외면에 형성된 리브 및 유지틀(62)의 측벽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63)과, 좌우 측부에 돌출형성된 좌우 규제편(64)을 가지고 있다. 유지틀(62)의 전면은 하부 베이스 (61)의 하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분(62a)은 상기한 수직지지부(50)의 돌편(53)의 상측을 앞에서 차단하여 외관상의 볼품을 좋게 유지하는 작용과 그 내면측에 토션 스프링(70)의 중간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훅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베이스(61)는 각 규제편(64)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캠(80)의 부착나사용 관통구멍(61a)과, 상기한 단차부(35,45)의 하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36b,46b)가 끼워지는 걸어맞춤구멍(61b)과, 후방 중간부에 상부 베이스 부착용 관통구멍(61c)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부 베이스(65)는 하부 베이스(61)와 거의 같은 크기의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형상적으로는 도 13(b)에 나타낸 내면측과 같이 후부 중간부에 비교적 크게 형성된 높이 규제용 리브(66)와, 리브(66)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한 관통구멍(61c)에 대응하는 부착구멍(66a)과, 좌우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한 규제편(64)의 외측에 배치되는 규제편(67)과, 양 규제편(67)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며 케이스(10)의 안내홈(15)에 끼워맞춰지는 돌기(68)와, 각 용기홀더부재(30,40)에 있어서의 부착축(36,46)의 걸어맞춤부(36a,46a)가 끼워맞춰지는 2개의 걸어맞춤구멍(65a)과, 상기한 관통구멍(61a)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통형상축(69)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3(b)에 있어서, 도면부호 3은 필요에 따라서 덧붙여지는 부직포등의 쿠션 시트재이다.
캠(80)은 도 1 및 도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가 되는 평판형상의 캠부(81)와 이 캠부(81)의 선단측에 일체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캠부(84)로 이루어진다. 평판형상 캠부(81)는 그 기단부(82)측이 선단부(83)측{반원통형상 캠부(84)가 형성되어 있는 측}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82)에는 상기 통형상축(69)이 두께방향으로 끼워지는 구멍(82a)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83)에는 링크암 연결용 관통구멍(83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면의 내측 코너부가 만곡되게 형성되고, 선단면의 외측 코너부에 반원통형상 캠부(84)가 돌출되어 있다. 반원통형상 캠부(84)는 평판형상 캠부(81)의 두께 또는 상기 링(31,41)의 높이보다도 상하로 길게 또한 그 만곡면을 외측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링크암(85)은 캠(80)의 평판형상 캠부(81)와 용기홀더부재(30,40)의 기단부 (32,42)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상면의 양 단부측에 돌출형성된 축(86,87)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링크암(85)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의 축(86)이 캠(80)의 관통구멍(83a)에 끼워짐과 아울러 내측의 축(87)이 기단부(32)의 관통구멍(37)에 각각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짐으로써 용기홀더부재(30)와 캠(80)을 링크결합한다.
상기한 수평지지부(60)는 수직지지부(50)에 대하여 토션 스프링(7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탄지된 상태로 연결되어 지지되며, 동시에 상기한 링크암(85)을 통해서 링크결합되는 용기홀더부재(30,40)와 캠(80)이 토션 스프링(75)과 함께 조립된다. 여기서, 토션 스프링(70)으로서는 양 단부 및 중간부에 부하가 걸리는 암을 가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단부가 상기한 돌편(53,54) 사이에 형성된 걸림벽(55)에 걸려 고정되고, 중간부가 상기한 유지틀(62)의 훅부에 걸려 고정된다. 즉, 조립작업의 요령으로서는, 우선 하부 베이스(61)를 수직지지부(50)에 연결한다. 이 연결과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토션 스프링(70)을 양 돌편(53)의 통형상부(54)에 배치한 상태에서 양 돌편(53)을 유지틀(62)내에 끼워넣은 후, 머리부를 가지는 샤프트(58)를 관통구멍(6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끼우고, 이 샤프트(58)의 돌출단부를 빠짐방지용 E링(59)으로 걸어서 고정한다. 그리고, 유지틀(62)내의 토션 스프링(70)은 일단부가 걸림벽(55)에 걸려 고정되고 중간부가 유지틀(62)의 훅부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하부 베이스(61)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틀(62)내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70)에 의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회동되며, 돌편(53)이 유지틀(62)의 후측 하단부 및 리브 (66)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맞닿음으로써 도면에 나타낸 사용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부 베이스(61)는 그 사용상태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나,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의 힘(F)이 작용하면, 그 탄지력에 대항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즉 도 10(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소정범위만큼 회동하게 된다. 이것은 용기홀더부재(30,40)가 케이스(10)내로 이동되어 수납상태로 될 때에 기능하나, 예를 들면 용기홀더부재(30,40)의 사용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그 외력을 흡수하여 파손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작용한다.
또, 하부 베이스(61)에는 상부 베이스(66)가 부착되는데, 그 전처리 공정에서 상부 베이스(66)에는 상기한 링크암(85)을 통해서 연결된 용기홀더부재(30,40)와 캠(80)이 토션 스프링(75)과 함께 배치된다. 이 경우의 요령은, 예를 들면 상부 베이스(66)를 도 13(b)에 나타내 바와 같이 뒤집어 놓은 상태로 하고, 각 용기홀더부재(30,40)의 부착축(36,46)에 토션 스프링(75)을 각각 장착해 둔다. 또한, 토션 스프링(75)의 일단부는 단차부(35,45)의 단차단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그리고, 캠(80)의 관통구멍(82a)을 대응하는 통형상축 (69)에 끼워맞추고, 상기 부착축(36,46)의 걸어맞춤부(36a,46a)를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65a)에 끼워맞춘다. 토션 스프링(75)의 타단부는 리브(66)의 대응부분에 걸어 고정한다. 그 후, 상기한 수직지지부(50)에 연결된 하부 베이스(61)를 그 규제편(64)이 상기 규제편(67)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면서 상측에서 상부 베이스(65) 위에 얹어 놓고, 하부 베이스(61)에 형성된 2개의 관통구멍(61a) 및 1개의 관통구멍(61c)에 합계 3개의 나사(90,91)를 끼워 나사결합함으로써 하부 베이스 (61)가 상부 베이스(65)에 부착된다(도 8 참조). 또한, 관통구멍(61a)에 끼워지는 나사(90)는 캠(8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베이스(65)의 통형상축(69)내에 고정되고, 관통구멍(61c)에 끼워지는 나사(91)는 상부 베이스(65)의 부착구멍 (66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요 부재가 한 개의 유니트화 된 구성품으로서 조립된다. 이 유니트와 된 구성품은 상술한 조립요령에 따라서 덮개(20)에 부착됨과 아울러, 케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다만, 덮개(20)에 부착된 수평지지부(60)의 돌기(68)가 케이스(10)의 전면 개방부의 폭보다도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양 용기홀더부재(30,40)를 토션 스프링(75)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겹쳐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덮개(20)를 기울이는 등의 조작을 하여 케이스(10)의 양 측벽(11)에 형성된 안내홈(15)에 대하여 대응하는 돌기(68)가 각각 끼워맞춰지도록 하면 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컵홀더장치(1)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탑승자등이 상기 컵홀더장치(1)에 컵류를 유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5의 상태에서 손잡이부(22)에 손가락등을 걸어서 덮개(20)를 외측으로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덮개(20)는 걸어맞춤부(21)와 래치(17)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축(28)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도 1 등에 나타낸 사용상태로 된다. 즉, 이 과정에서는 덮개(20)가 돌기(68)와 안내홈(15)의 가이드 작용에 따라서 수평지지부(60) 및 용기홀더부재(30,40)를 연행하면서 개방위치에 도달한다. 이것에 연동하여 각 용기홀더부재(30,40)는 케이스(10)의 양 내측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지지부(60)에 의해서 수납상태에서 사용상태인 케이스(10) 외부로 이동되며, 또한 토션 스프링(75)의 탄지력에 의해서 케이스(10)의 전면 개방부의 폭보다도 가로측으로 크게 이간된다. 따라서, 탑승자등은 컵류를 각 용기홀더부재(30,40)의 링(31,41)내로 끼워넣기만 하면 된다. 즉, 링(31,41)에 끼워진 컵류는 덮개(20)의 고무판(26) 위에 놓여짐과 아울러 그 주위가 링(31,41)에 의해서 규제된 안정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사용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80)의 반원통형상 캠부(84)가 케이스(10)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 즉 측벽(11)의 플랜지(11a) 전방에 위치하고, 평판형상 캠부(81)의 선단면의 내측 코너부가 용기홀더부재(30,40)의 기단부(32,42) 외면에 누름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0)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의 마모등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외관이 양호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 이 컵홀더장치(1)를 수납상태로 하고자 할 때에는, 덮개(20)를 축(28)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조작하기만 하면 된다. 즉, 이와 같이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되는 회동조작을 하면, 덮개(20)는 돌기(68)와 안내홈 (15)의 가이드작용에 따라서 수평지지부(60) 및 용기홀더부재(30,40)를 연행하면서 폐쇄위치에 도달하게 되며, 각 용기홀더부재(30,40)가 토션 스프링(75)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케이스(10)내로 겹쳐지면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는, 덮개(20)의 회동초기단계에 있어서, 반원통형상 캠부(84)가 케이스(10)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와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내측면으로 이행하고, 이 때 케이스(10)측의 반력에 의해서 링크암(85)이 이동하여 양 용기홀더부재(30,40)를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도 9는 이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각 용기홀더부재 (30,40)는 걸어맞춤구멍(61b,61b)에 끼워맞춰져 있는 부착축(36,46)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상태에서는, 캠(80)의 반원통형상 캠부(84)가 케이스(10)의 내측면에 누름접촉되기 때문에, 이 누름접촉에 의해서 용기홀더부재(30,40)의 링(31,41)이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이 구조에서는 용기홀더부재(30,40)의 사용상태 및 수납상태 어느 경우에도 케이스(10)와 용기홀더부재(30,40) 및 수평지지부(60)의 사이에 요동이나 이 요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동시에 전용 캠(80)에 의해서 각부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마모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이것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가지로 변형시킬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용기홀더부재(30,40)의 링(31,41)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이 링(31,41)의 내측둘레의 형상에 대하여 원형과 장방형을 조합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원통형상이나 직육면체 형상의 컵류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또, 덮개(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거나, 댐퍼기구로 제동하면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덮개(20)의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착탈가능한 소위 푸시 걸림기구를 채용하는 것등이다. 또, 가이드수단 중 일측의 안내홈(15)에 대해서는 형상적인 면에 한정하지 않고, 측벽(11)의 내면측에 오목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컵홀더장치에서는 종래 장치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1에서는, 수평지지부가 가이드수단의 존재에 의해서 덮개의 폐쇄위치로의 전환작동에 연동하여 케이스내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기홀더부재의 전환작동을 확실하게 또한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 용기홀더부재가 캠의 존재에 의해서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직접 맞닿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에 있어서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의 마모등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외관의 향상이 도모되고, 동시에 캠에 의해서 용기홀더부재의 수납상태등에 있어서, 용기홀더부재등의 요동 및 이것에 의한 소음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캠의 작동이 양 용기홀더부재의 이간작동에 연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합리적이고, 또 캠 전용의 탄지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간소화된다.
청구항 3에서는, 평판형상의 캠부가 용기홀더부재의 기단부측 외측둘레에 누름접촉되고, 원통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캠부가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에서 내측면으로 슬라이드 접촉되기 때문에, 접촉되는 부위의 부하를 적게 하여 마모등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함으로써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5에서는, 용기홀더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수평지지부가 케이스내에 대하여 안내홈을 따라서 확실하게 이동되는 것이므로, 안내홈을 덮개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변형하여 용기홀더부재의 수납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케이스의 경박화(輕薄化) 내지는 소형화를 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5)

  1.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에 대하여 덮개가 폐쇄위치 및 대략 수평한 개방위치로 회동전환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2개의 용기홀더부재가 상기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전환작동에 연동하여 케이스내에서 일부 겹쳐진 수납상태에서 사용상태가 되는 케이스 외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프링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폭보다도 넓게 이간되도록 한 컵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 위에 설치된 수직지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양 내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홀더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케이스내에서의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수평지지부의 좌우 단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 단부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된 캠을 구비하고,
    상기 캠이 상기 덮개의 개방위치에서 용기홀더부재의 외측둘레에 누름접촉하여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대한 용기홀더부재의 접촉을 규제하고, 상기 덮개가 폐쇄위치로 이행될 때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서 내측면으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이 링크암을 통해서 상기 스프링수단의 탄지력을 받고 있는 용기홀더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용기홀더부재의 기단부측 외측둘레에 누름접촉하는 평판형상의 캠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의 둘레가장자리에서 내측면으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대략 원통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비직선상의 안내홈과, 상기 수평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수직지지부에 대하여 상하 소정범위만큼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용기홀더부재의 사용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KR1019990052155A 1998-12-22 1999-11-23 차량용 컵홀더장치 KR100352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64756A JP2000185587A (ja) 1998-12-22 1998-12-22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364756 1998-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700A true KR20000047700A (ko) 2000-07-25
KR100352186B1 KR100352186B1 (ko) 2002-09-12

Family

ID=1848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155A KR100352186B1 (ko) 1998-12-22 1999-11-23 차량용 컵홀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185587A (ko)
KR (1) KR100352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5935A (zh) * 2013-05-20 2014-12-03 日本富拉司特株式会社 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447B2 (ja) * 2001-07-13 2011-08-31 株式会社ニフコ 容器ホルダー
DE20204882U1 (de) * 2002-03-27 2003-07-31 Fischer Automotive Sy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KR20040048024A (ko) * 2002-12-02 2004-06-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컵홀더 구조물
JP7052440B2 (ja) * 2018-03-13 2022-04-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ドリンクホルダ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5935A (zh) * 2013-05-20 2014-12-03 日本富拉司特株式会社 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85587A (ja) 2000-07-04
KR100352186B1 (ko)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623A (en) Latch for vehicle overhead storage bin
US5680974A (en) Articulating cupholder assembly
US6883680B2 (en) Lid opening device
US7017956B2 (en) Lock mechanism and opening-closing device
JP2001246976A (ja) 乗物用テーブル
KR100352186B1 (ko) 차량용 컵홀더장치
JP4855612B2 (ja) 物品収容装置
JP3011649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3049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3650833B2 (ja) 乗物用の容器保持装置
KR100352141B1 (ko) 차량용컵홀더장치
JP7498090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50042741A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KR0140658Y1 (ko) 크기가 다양한 컵을 수용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JP4415262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8155766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JPS6346275Y2 (ko)
JP3837349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H0755162Y2 (ja) グラブボックス
JPH061179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H079916A (ja) 車両用収納箱機構
JPH06115392A (ja) 容器支持装置
JP2002337594A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JPH0431151Y2 (ko)
JPH08324322A (ja) 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