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477A -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 Google Patents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477A
KR20000045477A KR1019980062035A KR19980062035A KR20000045477A KR 20000045477 A KR20000045477 A KR 20000045477A KR 1019980062035 A KR1019980062035 A KR 1019980062035A KR 19980062035 A KR19980062035 A KR 19980062035A KR 20000045477 A KR20000045477 A KR 2000004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test pattern
contact holes
contact hol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남
이병렬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6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5477A/ko
Publication of KR2000004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4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 G03F7/70633Overlay, i.e. relative alignment between patterns printed by separate exposures in different layers, or in the same layer in multiple exposures or sti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에 관한 것으로, 소정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제1전도층 중앙부에 직사각형 형태의 제2전도층이 구비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전도층과 제2전도층의 경계부에 콘택홀이 구비되되, 다수의 콘택홀이 계단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콘택홀들이 직사각형 형태의 상기 제2전도층의 일측 장축과 타측 장축이 서로 대칭인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유관으로 오정렬정도를 관측할 수 있어 패턴의 리프팅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본 발명은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택홀의 디파인 ( define ) 시 하부층과의 오정렬 ( misalign ) 정도를 스코프 ( scope ) 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오정렬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마크 ( overlay mark ) 를 형성하고 오정렬을 체크할 수 있는 버니어 메터 ( vernier meter ) 를 형성하였다.
기존의 오정렬 체크용 테스트패턴인 버니어 메터는 등간격의 전도체 라인과 0.05 ㎛ 씩 간격이 넓어지는 콘택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상도는 0.05 ㎛ 이다.
기존의 버니어 메터는 바 패턴 ( bar pattern ) 의 크기가 작아 전도체 라인의 경우 리프팅 현상이 일어나며, 또한 전도체 라인과 콘택홀과의 정렬 위치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SEM 장비를 사용하여 인스펙션 ( inspection ) 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오정렬 현상여부를 판단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공정진행의 지연 요인 중 하나가 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정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버니어 메터를 도시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전도체(11)가 바아 패턴으로 구비되되, 0.05 ㎛ 의 간격으로 형성하하다.
그리고, 도시되지않았으나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바아 패턴의 전도체(11)와 같이 0.05 ㎛ 의 간격으로 콘택홀(13)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은, 작은 크기의 바아 패턴으로 형성되어 리프팅 현상이 쉽게 유발될 수 있어 중첩도를 측정하기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스코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오정렬 정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큰 전도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리프팅 현상을 방지하고 인 라인 ( in line ) 상에서도 쉽게 오정렬을 관측할 수 있는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는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을 오정렬 발생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9 : 콘택홀 13 : 도전체
21 : 제1전도층 23 : 제1절연층
25 : 제2전도층 27 : 제2절연층
ⓐ : 오정렬이 일어나는 부분
ⓑ : 오정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부분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은,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제1전도층 중앙부에 직사각형 형태의 제2전도층이 구비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전도층과 제2전도층의 경계부에 콘택홀이 구비되되, 다수의 콘택홀이 계단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계단 형태의 콘택홀이 직사각형 형태의 상기 제2전도층의 일측 장축과 타측 장축이 서로 대칭인 것과,
상기 제2전도층은 일자형 통 바아 형태인 것과,
상기 제1전도층이 반도체기판, 워드라인, 비트라인, 플레이트전극, 금속배선 등이고 제2전도층은 각각 바로 상부에 있는 전도층으로 구비되며, 상기 콘택홀은 상기 제2전도층 상부의 전도층 콘택홀인 것과,
상기 제1전도층이 제1금속배선인 경우, 상기 제2전도층은 제2금속배선이고 상기 콘택홀은 제3금속배선 콘택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단위 테스트 패턴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2b 는 도 2a 의 A-A' 의 절단면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하부절연층이 형성된 반도체기판(도시안됨) 상에 제1전도층(21)을 형성하되, 측정마크(도시안됨)의 일측에 20 ㎛× 60 ㎛ 의 크기를 갖는 제1전도층(21)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도층(21)패턴 상부에 제1절연층(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도층(21)패턴 상부 중앙부에 10 ㎛× 50 ㎛ 의 크기를 갖는 제2전도층(25)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체표면상부에 제2절연층(27)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전도층(25)패턴 및 제1전도층(21)패턴을 노출시키는 콘택홀(2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콘택홀(29)은 평면상으로 상기 제2전도층(25)패턴 일부와 제1전도층(21)패턴 일부를 노출시키며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택홀(29)은 제2전도층(25)패턴의 장축과 단축에 모두 형성되며, 단축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장축과 장축이 대칭인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콘택홀(29)은 3 ㎛× 6 ㎛ 의 크기로 1 ㎛ 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한편, 도 2b 의 ⓐ 부분은 오정렬이 일어나는 부분을 도시한다. (도 2a, 도 2b)
도 3 은 상기 도 2a 에 따른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형성후 오정렬이 유발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 부분에서와 같이 오정렬이 유발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때, 제2전도체(25)가 오정렬되어 윗쪽으로 이동한 것을 볼수 있는데 콘택홀(29) 간의 간격차이가 0.1 ㎛ 이므로 원으로 그려진 ⓑ 부분의 콘택홀(29)이 제2전도층(29)에 걸친 정도를 가지고 오정렬 정도를 판단한다.
또한, 좌우로 유발되는 오정렬 현상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은, 패턴의 모양 만으로 오정렬 효과를 판별할 수 있어 간편하고 전도층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도층 리프팅 현상으로 인한 패턴 불량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스코프 만으로 간단히 오정렬 현상을 관찰 할 수 있기 때문에 런 ( run ) 의 진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의 메인 칩 상부에 디파인 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칩 에서의 중첩 마진도 체크할 수 있다.

Claims (4)

  1.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제1전도층 중앙부에 직사각형 형태의 제2전도층이 구비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전도층과 제2전도층의 경계부에 콘택홀이 구비되되, 다수의 콘택홀이 계단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계단 형태의 콘택홀이 직사각형 형태의 상기 제2전도층의 일측 장축과 타측 장축이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층은 일자형 통 바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층이 반도체기판, 워드라인, 비트라인, 플레이트전극, 금속배선 등이고 제2전도층은 각각 바로 상부에 있는 전도층으로 구비되며, 상기 콘택홀은 상기 제2전도층 상부의 전도층 콘택홀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층이 제1금속배선인 경우, 상기 제2전도층은 제2금속배선이고 상기 콘택홀은 제3금속배선 콘택홀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KR1019980062035A 1998-12-30 1998-12-30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KR20000045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035A KR20000045477A (ko) 1998-12-30 1998-12-30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035A KR20000045477A (ko) 1998-12-30 1998-12-30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477A true KR20000045477A (ko) 2000-07-15

Family

ID=1956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035A KR20000045477A (ko) 1998-12-30 1998-12-30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54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476A (ko) * 1998-12-30 2000-07-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테스트 패턴
KR100425163B1 (ko) * 2001-06-27 2004-03-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배선의 신뢰성 평가 패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476A (ko) * 1998-12-30 2000-07-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테스트 패턴
KR100425163B1 (ko) * 2001-06-27 2004-03-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배선의 신뢰성 평가 패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503B1 (ko)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패턴의 오정렬 검출 마크
KR20000060452A (ko) 패드 주위에 더미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소자
JP2008218921A (ja) 位置ずれ量の測定用パターンおよび測定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
KR101047460B1 (ko) 마이크로 동축 케이블 타입 프로브 카드
KR20000045477A (ko) 중첩도 측정용 테스트 패턴
JP2890442B2 (ja)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ホールの目ずれ検査方法
US6392252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26196A (ko) 최소 영역 디자인 룰 측정을 위한 테스트 구조 및 그 방법
KR20000045476A (ko) 반도체소자의 테스트 패턴
KR100575619B1 (ko) 테스트 패턴
KR100787745B1 (ko) 반도체 제조용 pcm 테스트 패턴
KR100440071B1 (ko)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패턴
KR100242991B1 (ko) 반도체 웨이퍼의 오버레이 얼라인 키
KR100192578B1 (ko) 비아 저항 체크 패턴 형성 방법
KR20120078971A (ko) 오버레이 모니터링 패턴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정렬도 측정방법
KR20180075277A (ko) 인쇄회로기판
KR100262015B1 (ko) 테스트 패턴
KR100268516B1 (ko) 반도체소자의측정용패턴
KR20020017746A (ko) 반도체소자의 테스트 패턴 형성방법
KR100293711B1 (ko) 미세 게이트 선폭을 갖는 모스트랜지스터의 특성검사를 위한 모스트랜지스터 테스트 패턴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KR20040046194A (ko) 회로기판의 패턴검사구조
KR100370956B1 (ko) 누설전류 측정용 테스트 패턴
KR100425163B1 (ko) 배선의 신뢰성 평가 패턴
KR20010057335A (ko) 테스트 패턴
KR200325089Y1 (ko) 미세회로기판의 단선검사를 위한 비접촉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