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912A - 디이씨티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이씨티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912A
KR20000041912A KR1019980057929A KR19980057929A KR20000041912A KR 20000041912 A KR20000041912 A KR 20000041912A KR 1019980057929 A KR1019980057929 A KR 1019980057929A KR 19980057929 A KR19980057929 A KR 19980057929A KR 20000041912 A KR20000041912 A KR 2000004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andset
voice
hook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5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1912A/ko
Publication of KR2000004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9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home cordless telephone systems using the DECT standard

Abstract

본 발명은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Interface Module)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ECT 단말기에 인터페이스 모듈 간의 음성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에 일반 전화기를 연결하도록 한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ECT 시스템과의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핸드셋과; 상기 핸드셋과 접촉하여 데이터 및 음성을 스위칭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를 통해 일반 전화기와 상기 핸드셋 간의 데이터 및 음성을 교환하는 데이터/음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이씨티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Interface Module)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ECT 단말기에 인터페이스 모듈 간의 음성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에 일반 전화기를 연결하도록 한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ECT 단말기의 기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드셋(Handset)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전기(Charger)로 이루어져 있다.
해당 핸드셋에는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와, 해당 제어부(11)의 리셋 처리를 수행하는 리셋부(12)와, 해당 제어부(11)에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발생부(13)와, DECT 시스템의 기지국(Base Station)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처리부(14)와, 사용자가 응답하고 들을 수 있는 송수화기부(15)와, 단말기의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 처리부(16)와,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각종의 파라메타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8)와, 외부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해당 메모리부(18)에 다운로딩할 수 있고 단말기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딩 및 모니터링 처리부(19)와, 해당 충전기로부터 12(Vdc)의 전원을 인가받아 단말기에 필요로 하는 전원(Vdd)으로 변환시키고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전원부 및 충전 처리부(110)와, 사용자가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부(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해당 충전기에는 외부의 전원 아답터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아답터 잭(21)과, 해당 핸드셋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접속부(Charge Contact Unit; 22)와, 충전 상태를 표시해 주는 LED(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DECT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키폰 시스템의 주장치 백플레인(Backplane)과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처리부(14)에서는 데이터를 복조하거나 변조하여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며, 전원부 및 충전 처리부(110)에서는 단말기의 충전을 항상 유지시켜 주는데, 정상적인 충전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부(111)를 통해 다이얼링함에 따라 제어부(11)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통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해 준다.
먼저, 해당 무선 처리부(14)에서 수신한 신호가 인입 호(Incoming Call)인 경우에, 해당 제어부(11)에서는 알람 처리부(16)에 해당 인입 호의 신호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부(111)를 통해 통화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DECT 프로토콜에 알맞게 주장치와의 음성 신호를 상기 무선 처리부(14)를 통해 송수신하도록 제어해 준다.
여기서, 해당 DECT 프로토콜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개의 프레임(Frame)을 가지는 멀티 프레임(Multi-frame)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해당 각 프레임은 24개의 타임 슬롯(Time Slot)을 가지며, 해당 각 슬롯은 풀 슬롯(Full Slot)으로 480비트(Bit)를 가진다.
그런 후,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부(111)를 통해 통화를 종료하기 위하여 통화 종료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통화 종료의 제어 신호를 DECT 프로토콜에 따라 주장치의 CPU로 송출하여 통화 종료를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통화를 먼저 단말기에서 시도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인입 호와 동일하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부(111)를 통해 통화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DECT 프로토콜에 알맞은 제어 신호를 주장치의 CPU로 송신하며, 해당 주장치에서는 다이얼 톤(Dial Tone)을 단말기의 수화기부(15)로 들려주게 된다.
종래에 제공하는 서비스는 시스템에 등록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DECT 단말기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단지 단말기를 가지고 음성 통화만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단순한 무선 전화기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사무실에서 업무를 볼 경우에 DECT 단말기로 통화를 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에 관한 것으로, 해당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간의 음성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에 일반 전화기를 연결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DECT 단말기를 충전기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DECT 단말기에서 핸드셋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DECT 단말기에서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일반적인 DECT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에 있어 핸드셋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4에 있어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4에 있어 데이터/음성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 중 데이터/음성 모듈 측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 중 핸드셋 측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핸드셋 40 : 충전기
50 : 데이터/음성 모듈 31, 51 : 제어부
32 : 리셋부 33 : 클럭 발생부
34 : 무선 처리부 35 : 알람 처리부
36 : 다운로딩 및 모니터링 처리부
37 : 디스플레이부 38, 54 : 메모리부
39 : 송수화기부 310 : 전원부 및 충전 처리부
311 : 키패드부 312, 42 :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
313 : 스위치 314 : 데이터 처리부
41 : 아답터 잭 43 : LED
44, 58 : 데이터/음성 연결부 52 : 링 발생부
53 :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검출 및 훅 감지부
55 : 데이터 처리부 56 : 모듈 잭
57 : 전화기 인터페이스부 59 : 전원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ECT 시스템과의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핸드셋과; 상기 핸드셋과 접촉하여 데이터 및 음성을 스위칭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를 통해 일반 전화기와 상기 핸드셋 간의 데이터 및 음성을 교환하는 데이터/음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은 핸드셋으로부터 인가되는 포울 데이터에 따른 포울 데이터 응답을 전송하여 해당 핸드셋과의 정상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포울 데이터에 따른 인입 데이터를 수신하여 링 신호를 일반 전화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전화기의 오프-훅을 감지해 상기 링 신호 전송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오프-훅 명령을 상기 핸드셋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전화기에 루프 피딩시켜 상기 일반 전화기와 핸드셋을 연결시켜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전화기의 온-훅 또는 상기 포울 데이터의 인가없음을 확인해 상기 핸드셋 측으로 온-훅 명령을 전송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입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일반 전화기의 오프-훅을 확인하여 오프-훅 명령을 상기 핸드셋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전화기의 DTMF 신호를 디지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핸드셋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은 데이터/음성 모듈에 상기 포울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포울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음성 모듈과의 정상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과; DECT 시스템의 인입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여 상기 인입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의 오프-훅 명령을 수신하여 오프-훅 상태를 DECT 시스템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과 교환하도록 스위치를 전환시켜 상기 일반 전화기와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의 온-훅 명령 수신 또는 상기 포울 데이터 응답의 인가없음을 확인하여 상기 DECT 시스템 측으로 온-훅 명령을 전송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입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의 오프-훅 명령 수신을 확인하여 오프-훅 상태를 DECT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의 디지트 신호 수신을 확인하여 무선 전파로 변환시켜 DECT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ECT 단말기가 충전기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을 설치하고 여기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면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에 일반 전화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즉 사무실에 앉아 있을 때에는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고 이동 시에는 DECT 단말기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다가 이동할 때에는 DECT 단말기로 전환하여 DECT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4에 있어 핸드셋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4에 있어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4에 있어 데이터/음성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 중 데이터/음성 모듈 측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 중 핸드셋 측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CT 시스템의 기지국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핸드셋(30)과, 해당 핸드셋(30)과 접촉하여 충전 전원뿐만 아니라 데이터 및 음성도 전달해 주는 충전기(40)와, 일반 전화기에 접속하여 데이터 및 음성을 해당 충전기(40)를 통해 해당 핸드셋(30)과 교환하는 데이터/음성 모듈(5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핸드셋(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와, 해당 제어부(31)의 리셋 처리를 수행하는 리셋부(32)와, 해당 제어부(31)에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발생부(33)와, DECT 시스템의 기지국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처리부(34)와, 단말기의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 처리부(35)와, 외부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해당 메모리부(38)에 다운로딩할 수 있고 단말기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딩 및 모니터링 처리부(36)와,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7)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각종의 파라메타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38)와, 사용자가 응답하고 들을 수 있는 송수화기부(39)와, 상기 충전기로부터 12(Vdc)의 전원을 인가받아 단말기에 필요로 하는 전원(Vdd)으로 변환시키고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전원부 및 충전 처리부(110)와, 사용자가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부(311)와, 상기 충전기에 접촉시켜 주는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312)와, 해당 송수화기부(39) 또는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312)를 선택하여 음성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스위치(313)와,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과의 데이터를 상기 충전기를 통해 송수신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 아답터에서 인입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아답터 잭(41)과, 상기 핸드셋과 접속하는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42)와, 충전 상태를 표시해 주는 LED(43)와,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에 연결시켜 주는 데이터/음성 연결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모듈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1)와, 해당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전화기에 링 신호를 공급하는 링 발생부(52)와, 전화기에서 발생한 DTMF 톤을 감지하고 훅을 감지하여 해당 제어부(51)에 인가하는 DTMF 검출 및 훅 감지부(53)와, 해당 제어부(51)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의 파라메타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를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의 메모리부(54)와, 해당 제어부(51)와 상기 핸드셋(30) 간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55)와, 외부의 일반 전화기를 연결시켜 주는 모듈 잭(56)과, 해당 모듈 잭(56)을 통해 전화기와의 인테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 인터페이스부(57)와, 상기 충전기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인터페이스하고 음성을 해당 전화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페이스하는 데이터/음성 연결부(58)와, 외부에서 전원(AC220V)을 공급받아 해당 모듈에 필요한 전원(Vdd, 24Vdc)을 생성하는 전원부(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을 도 8과 9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드셋(3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313)와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312)가 충전기(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42)와 데이터/음성 연결부(44)를 통해 데이터/음성 모듈(5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음성 연결부(58)와 데이터 처리부(5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당 핸드셋(3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31)와 해당 데이터/음성 모듈(5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51)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첫 번째로, 도 8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51)가 상기 데이터 처리부(55)를 통해 상기 핸드셋(30)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살펴 본다.
먼저, 상기 핸드셋(30)의 제어부(31)로부터 포울 데이터(Poll Data)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한 후(단계 S1), 해당 수신받은 포울 데이터에 따라 포울 데이터 응답(Response)을 함으로써 상기 핸드셋(30)과의 정상적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S2).
그리고, 상기 포울 데이터에 따른 인입 데이터(Incoming data)가 상기 핸드셋(30)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단계 S3), 해당 제3단계(S3)에서 인입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제어부(51)에서는 링 발생부(52)를 제어하여 링 신호를 발생시켜 전화기 인터페이스부(57)로 해당 링 신호를 인가시켜 주고 해당 전화기 인터페이스부(57)를 통해 모듈 잭(56)에 연결되어 있는 일반 전화기에 링을 울리게 해 준다(단계 S4).
이에, 상기 일반 전화기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드는 경우, 즉 일반 전화기를 오프-훅(Off-hook)하는 경우, DTMF 검출 및 훅 감지부(53)가 해당 오프-훅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1)에 알려 주게 되고 상기 제어부(51)에서는 해당 DTMF 검출 및 훅 감지부(53)를 통해 일반 전화기의 오프-훅을 확인한다(단계 S5).
그리고, 상기 제어부(51)에서는 상기 링 발생부(52)를 인에이블시켜 더 이상 링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어함과 동시에(단계 S6) 오프-훅 명령을 생성시켜 데이터 처리부(55)와 데이터/음성 연결부(58)를 제어하여 해당 생성시킨 오프-훅 명령을 상기 충전기(40)를 통해 상기 핸드셋(30) 측으로 송신한다(단계 S7).
또한, 상기 제어부(51)에서는 상기 전화기 인터페이스부(57)를 제어하여 일반 전화기에 루프 피딩(Loop Feeding)을 시키게 되어 데이터/음성 연결부(58)의 음성 신호를 일반 전화기에 연결시켜 주므로써 상기 핸드셋(30) 측과 일반 전화기의 통화가 형성되도록 한다(단계 S8).
그런 후, 상기 제어부(51)에서는 상기 DTMF 검출 및 훅 감지부(53)를 통해 일반 전화기의 온-훅(On-hook) 또는 상기 포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다(단계 S9). 만약, 해당 제9단계(S9)에서 온-훅을 감지 못하거나 포울 데이터가 존재하면 계속해서 통화가 형성되도록 해 주며, 반면에 해당 제9단계(S9)에서 온-훅을 감지하거나 상기 포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상기 핸드셋(30) 측으로 온-훅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통화를 종료시킨다(단계 S10).
한편, 일반 전화기로부터의 전화를 할 경우에, 즉 상기 제3단계(S3)에서 상기 인입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1)에서는 상기 DTMF 검출 및 훅 감지부(53)를 통해 일반 전화기의 오프-훅을 확인한다(단계 S11).
그리고, 상기 제어부(51)에서는 오프-훅 명령을 상기 핸드셋(30) 측으로 전송함과 동시에(단계 S12) 오프-훅 명령을 상기 핸드셋(30) 측으로 전송함과 동시에(단계 S12) 상기 DTMF 검출 및 훅 감지부(53)를 제어하여 일반 전화기로부터의 송출받은 DTMF 신호를 상기 DTMF 검출 및 훅 감지부(53)에서 감지하고(단계 S13) 해당 감지된 DTMF 신호를 디지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데이터 처리부(55)와 데이터/음성 연결부(58)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기(40)를 통해 상기 핸드셋(30) 측으로 송신한다(단계 S14).
이에, 상기 핸드셋(30)의 제어부(31)에서는 DECT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처리부(34)를 통해 무선 전파를 출력하게 된다.
두 번째로, 도 9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상기 핸드셋(3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31)가 상기 스위치(313)와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312)를 통해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살펴 본다.
먼저, 상기 핸드셋(30)의 제어부(31)에서 포울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해당 포울 데이터에 따른 포울 데이터 응답을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로부터 수신받았는지를 확인한 후(단계 S15),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과의 정상적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S16).
그리고, 무선 처리부(34)를 통해 인입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며(단계 S17), 해당 제17단계(S17)에서 인입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제어부(31)에서는 스위치(313)와 데이터 처리부(314)를 제어하여 해당 인입 데이터를 상기 충전기(40)를 통해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 측으로 송신한다(단계 S18).
그러면,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로부터 송출되는 전화기의 오프-훅에 따른 오프-훅 명령을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단계 S19), 상기 제어부(31)에서는 무선 처리부(34)를 통해 DECT 프로토콜에 따라 오프-훅 상태를 DECT 시스템의 기지국 측으로 송신한다(단계 S20).
또한, 상기 제어부(31)에서는 스위치(313)를 전환시켜 음성 신호를 송수화기부(39) 측으로 보내지 않고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312)를 통해 상기 충전기(40)를 거쳐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 측으로 송신함으로써(단계 S21), 일반 전화기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2).
그런 후, 상기 제어부(31)에서는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온-훅 명령 또는 상기 포울 데이터 응답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다(단계 S23). 만약, 해당 제23단계(S23)에서 온-훅 명령을 감지 못하거나 상기 포울 데이터 응답이 존재하면 계속해서 통화가 형성되도록 해 주며, 반면에 해당 제23단계(S23)에서 온-훅 명령을 감지하거나 상기 포울 데이터 응답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상기 무선 처리부(34)을 통해 DECT 시스템의 기지국 측, 즉 키폰 시스템 측으로 온-훅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통화를 종료시킨다(단계 S24).
한편, 일반 전화기로부터의 전화를 할 경우에, 즉 상기 제17단계(S17)에서 상기 인입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1)에서는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로부터 송출되는 전화기의 오프-훅에 따른 오프-훅 명령을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5).
그리고, 상기 제어부(31)에서는 오프-훅 상태를 키폰 시스템 측으로 전송함과 동시에(단계 S26)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 측으로부터 디지트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단계 S27), DECT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무선 처리부(34)를 통해 무선 전파로 변환시켜 출력시켜 준다(단계 S28).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에 일반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핸드셋(30)의 자체로만 사용할 시에는 제어부(31)에서는 키패드부(311에서 입력된 온-훅/오프-훅, 다이얼 디지트 신호 등을 감지하여 기존의 DECT 단말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스위치(310)를 송수화기부(39)에만 보내고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50) 측으로는 전송하지 않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DECT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단말기의 충전부와 일반 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음성 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기존의 DECT 단말기를 사용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서, 특히 사무실 자리에서 내선 번호를 이용하여 일반 전화기 사용을 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기로 전화 통화하다가 DECT 단말기로 전환하여 일반 전화기의 통화는 종료하고 DECT 단말기를 기존처럼 사용할 수 있고 DECT 단말기에서 일반 전화기로의 전환도 가능하다.

Claims (8)

  1. DECT 시스템과의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핸드셋과;
    상기 핸드셋과 접촉하여 데이터 및 음성을 스위칭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를 통해 일반 전화기와 상기 핸드셋 간의 데이터 및 음성을 교환하는 데이터/음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은 상기 충전기에 접촉시켜 데이터 및 음성을 교환하는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와;
    상기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 또는 상기 핸드셋의 송수화기부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해 주는 스위치와;
    상기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핸드셋과 접촉시켜 데이터 및 음성을 교환하는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와;
    상기 충전 접속 및 데이터/음성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핸드셋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 간의 데이터 및 음성을 인터페이스하는 데이터/음성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은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체의 전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일반 전화기를 연결시키는 모듈 잭과;
    상기 모듈 잭을 통해 일반 전화기와 인테페이스를 수행하는 전화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핸드셋 간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핸드셋과 음성은 상기 전화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고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인터페이스하는 데이터/음성 연결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링 신호를 상기 전화기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하는 링 발생부와;
    상기 전화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일반 전화기의 DTMF 톤 및 훅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알리는 DTMF 검출 및 훅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필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
  5. 핸드셋으로부터 인가되는 포울 데이터에 따른 포울 데이터 응답을 전송하여 해당 핸드셋과의 정상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포울 데이터에 따른 인입 데이터를 수신하여 링 신호를 일반 전화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전화기의 오프-훅을 감지해 상기 링 신호 전송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오프-훅 명령을 상기 핸드셋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전화기에 루프 피딩시켜 상기 일반 전화기와 핸드셋을 연결시켜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전화기의 온-훅 또는 상기 포울 데이터의 인가없음을 확인해 상기 핸드셋 측으로 온-훅 명령을 전송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일반 전화기의 오프-훅을 확인하여 오프-훅 명령을 상기 핸드셋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전화기의 DTMF 신호를 디지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핸드셋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데이터/음성 모듈에 상기 포울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포울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음성 모듈과의 정상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과;
    DECT 시스템의 인입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여 상기 인입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의 오프-훅 명령을 수신하여 오프-훅 상태를 DECT 시스템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과 교환하도록 스위치를 전환시켜 상기 일반 전화기와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의 온-훅 명령 수신 또는 상기 포울 데이터 응답의 인가없음을 확인하여 상기 DECT 시스템 측으로 온-훅 명령을 전송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의 오프-훅 명령 수신을 확인하여 오프-훅 상태를 DECT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음성 모듈의 디지트 신호 수신을 확인하여 무선 전파로 변환시켜 DECT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ECT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방법.
KR1019980057929A 1998-12-24 1998-12-24 디이씨티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및 방법 KR20000041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929A KR20000041912A (ko) 1998-12-24 1998-12-24 디이씨티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929A KR20000041912A (ko) 1998-12-24 1998-12-24 디이씨티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912A true KR20000041912A (ko) 2000-07-15

Family

ID=1956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929A KR20000041912A (ko) 1998-12-24 1998-12-24 디이씨티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191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5088A2 (en) * 1991-11-05 1993-06-09 Nec Corporation Radio telephone system with data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H0951579A (ja) * 1995-08-09 1997-02-18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WO1998001988A1 (en) * 1996-07-08 1998-01-15 Omnipoint Corporation Wireless local loop system and method
WO1998047300A1 (en) * 1997-04-11 1998-10-22 Moh Jin Chew Telephone adaptor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5088A2 (en) * 1991-11-05 1993-06-09 Nec Corporation Radio telephone system with data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H0951579A (ja) * 1995-08-09 1997-02-18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WO1998001988A1 (en) * 1996-07-08 1998-01-15 Omnipoint Corporation Wireless local loop system and method
WO1998047300A1 (en) * 1997-04-11 1998-10-22 Moh Jin Chew Telephone adapto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0761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57173B1 (ko) 무선 전화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GB2253119A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JPH0278348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20046772A (ko)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KR0162828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선택적 이동국 호출방법 및 그 장치
KR0149155B1 (ko)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일반 전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
KR20000041912A (ko) 디이씨티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처리 시스템및 방법
JPH0813063B2 (ja) コードレスホームテレホン方式
US658092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EP0433166B1 (en) Cordless telephone
JPH08251641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JP348731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354350B2 (ja) 携帯電話機
KR20020090488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20026740A (ko) 인터넷 전화와 국선 전화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동시접속 전화망 교환 장치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JPH07154506A (ja) 通信システム
KR20010069233A (ko)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시스템
KR200177448Y1 (ko) 키폰형 유/무선전화장치
JPH0669881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id番号登録装置
JP3331959B2 (ja) 通信装置
KR950012596B1 (ko) 바테리 교환시에도 연속 통화 가능한 무선전화기의 통화수행방법
JP3482726B2 (ja) 簡易型携帯電話機
KR19980026629A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국선 접속 상태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