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604A -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604A
KR20000041604A KR1019980057538A KR19980057538A KR20000041604A KR 20000041604 A KR20000041604 A KR 20000041604A KR 1019980057538 A KR1019980057538 A KR 1019980057538A KR 19980057538 A KR19980057538 A KR 19980057538A KR 20000041604 A KR20000041604 A KR 2000004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compressor
main frame
rotating
gra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018B1 (ko
Inventor
신창주
박진성
지유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0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운전시 열변형과 고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선회스크롤 변형이 베어링과 접촉하면서 마모를 발생 시키는데 따르는 압축기 신뢰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스크롤과 이 고정스크롤 랩이 가지는 곡선과 대응되는 랩을 갖는 선회스크롤이 서로 마주 보도록 맞물려서 압축실을 형성하고 고정스크롤에 대해 선회스크롤이 상대운동을 일으켜 압축실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압축기구부와, 상기 압축기구부를 축중심으로 지지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지지계통에 있어서, 압축실이 만드는 고열 고압축 포켓의 축방향 하중에 선회스크롤의 표면이 노출된 채로 그 하중으로 변형된 선회스크롤의 경판면이 임의의 구배면을 가질 때 해당 구배면에 주어지는 구배 각도를 메인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접선면을 통해 보상하기 위해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 스러스트면의 접선면을 임의의 구배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따라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 접촉면의 마찰저항과 마모를 줄인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전시 열변형과 고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선회스크롤 변형이 베어링과 접촉하면서 마모를 발생 시키는데 따르는 압축기 신뢰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의 주요부분은 도 1과 같이 상부격막(1)을 통해 토출실(2)과 흡입실(3)을 구분하기 위해 상.하부캡(4)(5)을 갖는 케이스(6), 회전자(7) 및 고정자(8) 그리고 주축(9)으로 된 전동기구부, 전동기구부에 연동하는 선회스크롤(10) 및 고정스크롤(11)로 이루어지고 상부격막(1)에 보호되는 형태로 압축실(12)을 형성하는 압축기구부 등으로 되어있고, 상부격막(1)을 중심으로 윗쪽은 토출실(2)이 되고 아래쪽은 흡입실(3)로 이루어지며 윗쪽이 압축기구부 아래쪽이 서브프레임 그리고 가운데는 전동기구부가 놓인다.
압축기구부는 인벌루트 형상의 랩을 갖는 고정스크롤(11)과 이 고정스크롤 랩이 가지는 인벌루트 곡선과 180°의 위상차를 가지는 인벌루트 형상의 랩을 갖는 선회스크롤(10)이 서로 마주보도록 맞물려서 압축실(12)을 형성하고 부동적으로 위치하는 고정스크롤(11)에 대해 선회스크롤(10)이 랩간의 상대운동을 일으켜 압축실(12)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압축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서 냉매를 압축 토출한다.
스크롤 압축기는 이같이 주축회전-선회스크롤회전-토출순으로 냉매를 유동시키기 위해 압축기구부 및 전동기구부로 이루어지는 구동계통을 축중심에 배치하고 지지계통을 통해 지지하며 지지계통은 다시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나누어서 케이스(6)에 지지 시킨다.
상부측 압축기구부 지지계통은, 도 2와 같이 고정스크롤(11)과 랩으로 결합되는 선회스크롤(10)을 메인프레임(13)을 통해 안내하여 주축(9)을 중심으로 지지 하는 형식이다.
선회스크롤(10)과 메인프레임(13)이 접하는 면에는 스러스트면이 있으며, 또 주축(9)에 끼워지는 구동부시(15)와 여기에 결합되는 선회스크롤(10)과의 접선면 사이에 저어널베어링을 두었고, 다시 주축(9)과 메인프레임(13)의 접촉운동면에는 저어널베어링을 끼워 전체적으로는 고정스크롤(11)을 뺀 압축기구부의 하중을 스러스트면을 통해 메인프레임(13)이 받으며 구동부품들 간은 베어링 윤활이 된다.
하부측 지지계통은, 주축(9) 지지를 위해 꾸며진 부분이다. 이것은 주축(9)을 케이스(6) 내벽에 지지하는 서브프레임(16), 주축(9)과 서브프레임(16)간 접촉운동면에 설치된 저어널베어링이 대표적이다.
지지계통외에 윤활시스템이 있다. 이 부분은 주축 및 지지계통 중심으로 나타나는 접촉운동면이나 압축기구부 까지 오일을 보내주기 위해 주축(9)의 아래에 공급통로(17)를 두고 여기서 부터 올라가면서 주축(9)의 상단 선회스크롤(10)과 만나는 지점까지 편심된 경사공급통로(18)와 그리고 몇 개의 출구를 가지며, 오일펌핑계통과 리턴계통을 따로 갖는다.
오일펌핑계통은, 서브프레임(16) 중심이고, 위치적으로는 오일 유면에 잠겨 있어서 주축(9) 중심의 공급통로를 포함하며, 그 밖에 서브프레임(16) 안에서 주축(9)에 따라 도는 펌프롤러(19), 펌프롤러(19)에 통로를 만들어 주는 유로가 있는 펌프커버(20)등으로 이루어진다.
오일리턴계통은, 구동부시(15)와 결합되는 선회스크롤(10)과 메인프레임(15)의 면부에 약간의 공간을 두고 이 공간의 옆쪽 외벽이 되는 메인프레임(13)의 두께를 따라 흡입실(3)로 통하는 오일리턴홀(21)과 각 지지계통 이나 오일유로에 나있는 리턴홀을 포함한다.
운전중 구동계통 및 지지계통에 대한 오일 할당 방식은 아래에서 위쪽으로의 방향성을 갖는다. 즉 주축(9)이 돌면 서브프레임(16)에 장착된 용적식 급유펌프인 펌프롤러(19)가 따라 돌면서 오일을 주축(9)의 공급통로(17)로 보낸다. 주축(9)안으로 유입되는 오일은 주축(9)의 원심력으로 연속적으로 유입되어 먼저 서브프레임(16)과 주축(9) 사이의 저어널베어링에 공급되고 나머지는 중력과 유로저항을 극복하여 일부는 더 위쪽의 경사공급통로(18)를 따라 올라가서 주축(9)과 메인프레임(13)의 접촉운동면에 있는 저어널베어링을 윤활하며, 이때 아래쪽 저어널베어링을 윤활한 오일은 밑으로 내려간다.
연속적으로 저어널베어링 윤활을 마친 오일중 일부는 급유공을 통해 스러스트면을 윤활하며 그 일부는 메인프레임(13)과 선회스크롤(10)의 선회축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공에서 급유공으로 유입되지 않은 나머지는 주축(9)의 끝단부로 올라와 일부는 선회스크롤(10)과 구동부시(15) 사이에 있는 저어널베어링을 윤활하고 나머지는 축핀부와 구동부시(15)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 저어널베어링과 선회스크롤(10)의 선회축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어 대부분은 오일리턴홀(21)을 통해 유면으로 돌아가고 그 나머지는 스러스트면을 윤활한 뒤 고정스크롤(11)과 선회스크롤(10)의 압축실(12)에 있는 유로를 따라 압축실(12)로 유입되어 냉매와 함께 토출되지 않으면 역시 유면으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은 스크롤 압축기의 주축 중심 지지계통 및 윤활시스템에서 선회스크롤(10)은 메인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며 선회스크롤(10)과 접촉하는 메인프레임(13) 상부는 스러스트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메인프레임(13)과 선회스크롤(10)의 선회축 사이에 공급되는 오일은 선회스크롤(10)의 반경방향 속도 성분에 의해 스러스트면으로 유도되고, 베어링면 틈새로 공급된 오일의 스큐징 효과(Squeezing effect)에 의해 고정스크롤(11)과 선회스크롤(10)의 압축실에 형성되는 축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선회스크롤(10)은 고속운전에서의 고압과 고열에 견디기 위해 취성이 없으면서 열에 대한 내력을 주기 위해 인성이 있는 소재의 적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특성상 고압과 고열이 작용하는 조건에서는 압력과 열적팽창에 의한 금속변형을 일으킨다.
도 3은 금속 계면 변화에 의해 생긴 선회스크롤(10)의 변형된 형상을 확대해서 표현한 것이다.
y축은 선회스크롤 중심이고, x축은 선회스크롤이 가지는 수평면이다. 변형전 선회스크롤의 모든 외형 조직은 x축으로 나란하다.
변형 후 선회스크롤은 y축을 중심으로 양대칭적으로 볼록하게 변형된 상을 만들어 x축을 벗어나는 t의 열구배로 나타난다. t로 나타나는 변형정도는 미세한 것이어서 무시될 정도이거나 아니면 더 발전된 기계적 결함을 야기할 수 도 있다. 중요한 것은 열적변형이 생기는 것이다.
원인은 고속운전에서 더 높아지는 토출온도와 선회스크롤 중심부에 작용되는 고압축 포켓의 축방향 하중이 동시에 작용해서 일어난다.
선회스크롤(10)의 열적변형은 결국 경판면(22)부가 평면적으로 나란하지 않고 어떤 구배 t를 만드는 것이어서 경판면(22)이 임의의 면에 면접촉 관계로 접촉 운동한다고 가정하면 국부적인 접촉으로 인한 들뜸 그리고 불안정한 접촉은 예측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선회스크롤(10)은 압축기구부의 한 요소이며 상부 지지계통의 요소중 하나로 제공된 스러스트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고압축 포켓이 만드는 하중에 의한 변형이 있으면 도 4와 같이 선회스크롤(10)의 경판면(22)은 스러스트면의 시트면(23)과 나란한 (A)의 상태에서 평행상태로 접촉되지 못하고 경판면(22) 안쪽이 스러스트면의 안쪽 모서리와 접촉하고 바깥쪽은 들떠 있는 (B) 상태를 만들어 결과적으로는 선회스크롤(10)을 통한 하중이 스러스트면의 모서리부에 응력을 집중 시키면서 지지밸런스가 흐트러진다.
또한 불안정한 상태에서 선회스크롤(10)의 운동은 점진적으로 스러스트면의 시트면(23) 모서리에 집중된 마모를 일으키면서 더 바깥쪽으로의 마모를 확산시켜 진행되며 이럴 때 선회스크롤(10)의 배면은 기계적 손상을 일으킨다.
선회스크롤(10)의 열변형은 고속운전에서 토출온도가 상당히 올라가 오일의 점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발생 가능성이나 정도는 급진전 되며, 이는 압축기구부의 전체 시스템적 운동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면서 타 부품들에 전가되거나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선회스크롤의 면부에 압축실의 고열 고압축 포켓이 만드는 축방향 하중에 의해 생기는 선회스크롤의 변형은 운전조건이 변화하는 가변속 스크롤 압축기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이와같은 스크롤 압축기의 주축 중심 지지계통 및 윤활시스템에서 선회스크롤은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선회스크롤과 접촉하는 메인프레임 상부는 스러스트면을 형성하여 지지되지만 선회스크롤은 압축실의 온도.압력조건에 따라 열적변형을 일으킨다. 선회스크롤의 열적변형은 스러스트면에 대한 판간접촉 균형이 상실되는 현상으로 가시화 된다. 이로인해 선회스크롤은 메인프레임 스러스트면과 간섭을 일으키면서 스러스트면에 마모입자를 발생시켜 마찰력 증가로 이어지며 이를 발단으로 스러스트면의 마모가 전영역으로 확산된다.
초기단계에서 이같은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의 접촉면 사이의 마모는 미세한 것이지만 반복운전이 계속되면서 축적된다.
그러나 선회스크롤의 열적변형을 감안하지 않고 메인프레임을 통해 선회스크롤을 지지하는 단순한 종래의 지지형태로는 메인프레임의 지지기반이 점진적으로 약화되는데 대한 대응책을 제시할 수 없는 상태에 있으며 이로인해 선회스크롤의 거동은 불안정한 상태를 만들어 전체적으로는 축계와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의 랩간 균형 등을 왜곡시켜 압축기의 신뢰도 저하의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구성요소인 선회스크롤이 가지는 열적변형 요인을 상쇄시켜 선회스크롤의 거동을 안정 시켜주기 위해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구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계통의 구성요소인 메인프레임과 선회스크롤의 접촉면 사이에서 생기는 마모를 줄여 선회스크롤의 거동을 안정 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스크롤 압축기 개략도.
도 2는 압축기구부의 지지계통 부분 단면도.
도 3은 선회스크롤 열변형 모식도.
도 4의 (A)(B)는 선회스크롤 변형에 따른 간섭을 보인 도면.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 및 선회스크롤 변형 모식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선회스크롤 변형에 대한 지지면 접선구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토출실 3:흡입실
6:케이스 9:주축
10:선회스크롤 11:고정스크롤
12:압축실 13:메인프레임
16:하부프레임 17:공급통로
18:경사공급통로 19:펌프롤러
20:펌프커버 21:오일리턴홀
22:경판면 23:시트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고정스크롤과 이 고정스크롤 랩이 가지는 곡선과 대응되는 랩을 갖는 선회스크롤이 서로 마주 보도록 맞물려서 압축실을 형성하고 고정스크롤에 대해 선회스크롤이 상대운동을 일으켜 압축실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압축기구부와, 상기 압축기구부를 축중심으로 지지하기 위해 메인프레임과 선회스크롤이 접하는 면부에 스러스트면을 형성한 스크롤 압축기의 지지계통에 있어서;
압축실이 만드는 고열 고압축 포켓의 축방향 하중에 선회스크롤의 표면이 노출된 채로 그 하중을 받으며 그 하중에 의해 변형된 선회스크롤의 경판면이 임의의 구배면을 가질 때 해당 구배면에 주어지는 구배 각도를 메인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접선면을 통해 보상하기 위해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의 접선면에 임의의 구배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메인프레임의 시트면을 축 중심 방향으로 내려가는 형태로 구배면을 형성하여 선회스크롤의 구배면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선회스크롤의 배면 경판면에 임의의 구배면을 두어 선회스크롤의 열적변형이 있을 때 메인프레임 시트면과 구배평형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선회스크롤을 지지계통인 메인프레임상의 시트면을 통해 축 중심으로 지지하는데 있어서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의 판간 접촉면에 선회스크롤의 열적변형을 감안하여 임의의 구배 접촉면을 형성하면 선회스크롤 변형에 의해 나타나는 메인프레임 시트면과의 마찰저항과 마모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선회스크롤의 변형에 대한 메인프레임 접촉면의 구배평형 도식도이고, 도 6은 선회스크롤에 의한 열적변형 보상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는, 고정스크롤(11)과 선회스크롤(10)로 이루어지는 압축기구부를 축중심으로 지지하기 위해 메인프레임(13)과 선회스크롤(10)이 접하는 면부에 스러스트면을 형성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지지계통에 적용된다.
즉 압축실이 만드는 고열 고압축 포켓의 축방향 하중에 선회스크롤(10)의 표면이 노출된 채로 그 하중을 받을 때 일어나는 선회스크롤(10)의 열적변형이 있을 때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그 형태는 선회스크롤(10)의 열적구배를 타측 지지부를 통해 보상하거나 아니면 선회스크롤(10)에 직접 열적구배에 상당하는 역구배면을 두는 것이다.
도 5는 선회스크롤(10)의 배면과 닿는 스러스트면의 표면 시트면(23)을 임의의 구배면으로 처리한 것이다. 구배면의 정도는 선회스크롤(10)의 열적변형을 감안하는 정도의 기울기로 한다.
도 6은 선회스크롤(10)의 경판면(22)에 미리 구배면을 두어 변형 뒤 선회스크롤(10)과 스러스트면의 접선면이 서로 구배평형으로 나란해지도록 하는 형태이다. 마찬가지로 기울기는 선회스크롤(10)의 열적구배를 기준으로 정한다.
구배평형에 이르는 구조로는 선회스크롤(10)의 경판면(22) 또는 스러스트면의 시트면(23)에 단일 구배면을 선택적으로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복합 형태로 하거나 부분적인 보상체의 형성과 추가도 구배평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렇게 선회스크롤이 가지는 열적변형에 상당하는 구배면을 메인프레임 스러스트면과의 접선면에 두면 선회스크롤의 변형이 생길 때 해당 접선면이 가지는 구배면을 보상해 줌으로서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 접선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저항과 마모를 낮추는 작용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스크롤 압축기는 축이 돌면 선회스크롤(10)이 따라 돌면서 고정스크롤(11)과 스크롤 랩간의 상대운동을 일으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한 특성을 갖는다. 압축기구부는 상부 지지계통에 의해 지지되며 이때 압축기구부의 요소인 선회스크롤(10)은 메인프레임(13)에 지지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스러스트면에 지지된다. 즉 메인프레임(13)과 선회스크롤(10)의 선회축 사이로는 오일이 공급되어 선회스크롤(10)의 반경방향 속도 성분에 의해 스러스트면으로 유도되고, 베어링면 틈새로 공급된 오일의 스큐징효과에 의해 고정스크롤(11)과 선회스크롤(10)의 압축실에 형성되는 축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고정스크롤(11)과 선회스크롤(10)은 서로간의 랩의 상대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고 또한 랩이 만드는 챔버가 곧 압축실이 되며 압축방향은 스크롤 랩 중앙으로 모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로인해 압력분포는 바깥 보다는 안쪽 중앙으로 갈 수록 커진다. 압력과 온도는 비례하며 운전속도에 따라 증감한다. 따라서 압축실 중앙은 고압축 포켓을 만들고 이는 선회스크롤(10)의 표면에 하중으로 전가된다. 이럴 때 선회스크롤(10)이 가지는 내력범위 이상이면 변형이 시작된다. 그 변형은 압축실(12)에서 조성되어진 고압축 포켓 하중 작용선을 축으로 전방위로 일어나며 포켓축 중심으로 변형이 크고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변형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들어 운전중 선회스크롤이 변형요인(고압축 포켓의 축방향 하중)이 작용되어 수평 x축에서 어긋나는 대략 t에 해당하는 구배변형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도 5와 같이 메인프레임 스러스트면의 시트면(23)에 선회스크롤(10)이 가지는 구배변형 t에 해당하는 구배면 t1을 두면 선회스크롤(10)과 스러스트면의 접선면은 구배면상으로 접촉되지만 이들 각 구배면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두면이 나란한 안정된 접촉면을 이룬다. 여기서 선회스크롤 변형전은 (A), 변형후는 (B)이다.
마찬가지로 선회스크롤(10)이 변형요인에 의해 수평 x축으로 부터 어긋나는 t2에 해당하는 구배면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도 6과 같이 t2에 상당하는 구배변형 만큼의 역구배면 t2를 미리 선회스크롤(10)의 경판면(22)을 따라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두면 선회스크롤(10)의 축방향 구배변형이 있은 후 스러스트면과 접하는 구배 접선면은 수평으로 나란한 안정된 접촉을 형성한다. 여기서 선회스크롤 변형전은 (A)이고 변형후는 (B)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선회스크롤의 변형을 예측하고 그 양을 지지면의 유격으로 정하는 것은 가정이다. 왜냐하면 선회스크롤(10)의 열적변형 정도와 시기를 미리 정하여 이를 보상 또는 상쇄구배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선회스크롤(10)의 중심부와 바깥쪽 변형량의 차이는 대략 5~10㎛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를 고려하여 높이차나 구배면을 주는 것은 선회스크롤(10)과 스러스트면 유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선회스크롤(10)의 열적변형 상태는 일정한 값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평균적 변화량의 추정은 가능하다. 보다 중요한 것은 선회스크롤의 변형 방향성이다. 즉 축중심으로 부터 바깥 방향을 가지는 선회스크롤(10)의 열적구배를 지지계통에 반영하는 자체는 선회스크롤(10)의 변형에 대한 지지면의 최적 설계에 기초가 될 수 있으며, 압축기구부의 지지면이 되는 선회스크롤(10) 또는 메인프레임의 스러스트면 시트면이 서로 마찰저항과 마모를 일으켜 나타나는 이상현상은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 접촉면 조정을 통해 왜곡된 접촉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선회스크롤이 열적변형을 가지는 경우 그 변형성분을 미리 감안해서 지지면을 통해 보상하므로서 지지면의 일정한 유격 까지는 이르지 못하지만 방향성 변형을 기초로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의 접선면을 안정된 상태로 조정해 줌으로서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간 간섭을 회피시켜 판간 마찰저항을 줄이고 마모를 줄여 전체적으로는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고정스크롤과 이 고정스크롤 랩이 가지는 곡선과 대응되는 랩을 갖는 선회스크롤이 서로 마주 보도록 맞물려서 압축실을 형성하고 고정스크롤에 대해 선회스크롤이 상대운동을 일으켜 압축실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압축기구부와, 상기 압축기구부를 축중심으로 지지하기 위해 메인프레임과 선회스크롤이 접하는 면부에 스러스트면을 형성한 스크롤 압축기의 지지계통에 있어서;
    압축실이 만드는 고열 고압축 포켓의 축방향 하중에 선회스크롤의 표면이 노출된 채로 그 하중으로 변형된 선회스크롤의 경판면이 임의의 구배면을 가질 때 해당 구배면에 주어지는 구배 각도를 메인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접선면을 통해 보상하기 위해 선회스크롤과 메인프레임의 접선면을 임의의 구배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의 시트면을 축중심 방향으로 내려가는 형태로 구배면을 형성하여 변형된 선회스크롤의 구배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선회스크롤의 배면 경판면에 임의의 역구배면을 두어 선회스크롤의 열적변형이 있을 때 메인프레임 시트면과 구배평형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KR10-1998-0057538A 1998-12-23 1998-12-23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KR100523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538A KR100523018B1 (ko) 1998-12-23 1998-12-23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538A KR100523018B1 (ko) 1998-12-23 1998-12-23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604A true KR20000041604A (ko) 2000-07-15
KR100523018B1 KR100523018B1 (ko) 2005-12-30

Family

ID=1956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538A KR100523018B1 (ko) 1998-12-23 1998-12-23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0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662A (ko) * 2001-08-03 2003-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마모 방지 구조
KR20030051089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크롤 압축기의 스크롤 간섭방지구조
KR100581567B1 (ko) * 2004-10-06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회베인 압축기의 용량 가변방법
KR100677271B1 (ko) * 2005-04-18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선회스크롤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539B1 (ko) * 2014-10-07 2019-10-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압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0630B2 (ja) * 1992-01-09 199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6346871A (ja) * 1993-06-14 1994-1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8312541A (ja) * 1995-05-19 1996-11-26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662A (ko) * 2001-08-03 2003-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마모 방지 구조
KR20030051089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크롤 압축기의 스크롤 간섭방지구조
KR100581567B1 (ko) * 2004-10-06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회베인 압축기의 용량 가변방법
KR100677271B1 (ko) * 2005-04-18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선회스크롤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3018B1 (ko) 200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225B1 (ko)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KR0122313B1 (ko) 스크롤 압축기
US4502852A (en) Oil feeding device for scroll fluid apparatus
US5127809A (en) Scroll compressor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orbiting scroll
KR890000628B1 (ko) 스크롤 유체기계
JPS6119803B2 (ko)
JP2740622B2 (ja) スクロールコンプレッサ及びその旋回スクロールラップ及び固定スクロールラップを摩耗させる方法
KR960001626B1 (ko) 스크롤유체기계의 급유장치
US5383772A (en) Scroll compressor stabilizer ring
KR10052301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JPH0372840B2 (ko)
KR920003593B1 (ko) 스크롤 유체기계
US4579512A (en) Scroll-type fluid machine with radial clearance between wraps
JP2001153070A (ja) スクロール式機械、スクロール部材及びスクロール部材製作法
JP3154623B2 (ja) 密閉形圧縮機
JPH1022036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CN111788394A (zh) 压缩机
JPH0831995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5332355A (ja) ティルテングパッド型ジャーナル軸受
JPH0735062A (ja) 密閉形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615629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3252687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15797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CN214742079U (zh) 轴系组件及具有其的涡旋压缩机
JPH07233790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の油膜潤滑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