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239A - 자동차의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239A
KR20000039239A KR1019980054512A KR19980054512A KR20000039239A KR 20000039239 A KR20000039239 A KR 20000039239A KR 1019980054512 A KR1019980054512 A KR 1019980054512A KR 19980054512 A KR19980054512 A KR 19980054512A KR 20000039239 A KR20000039239 A KR 20000039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t
vehicle
driv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분도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8005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9239A/ko
Publication of KR2000003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varying hardness or support of upholstery, e.g. for tuning seat comfort when driving curved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Abstract

개시된 자동차의 시트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에 직상방으로 연결되어 운전자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 백; 및 상기 시트 백의 상단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헤드 레스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에는 홀딩 장치가 마련되어,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주행시 급선회시 운전자의 양측으로 홀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의 곡선도로를 급선회하여 주행할 때, 감지수단이 자동차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감지하여 홀딩부재를 회동시켜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함으로써, 운전자가 한쪽으로 쏠려서 운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곡선도로를 안전하게 주행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급커브로 된 도로를 급선회하여 주행할 때, 탑승자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한 탑승자의 쏠림 방지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노면으로부터 진동을 흡수하며 탑승자의 피로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것으로, 이 시트들은 차 실내의 플로어에 설치된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쿠션(2), 시트쿠션(2)에 착석한 탑승자의 등을 받쳐 주는 시트 백(10), 이 시트 백(10)의 상단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트쿠션(2)의 밑에는 시트(1)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레버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시트 쿠션(2)과 시트 백(10)은 힌지 고정되어 있다. 이 시트쿠션(2)과 시트 백(10)의 연결부분에는 시트 백(10)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레버가 마련되어 있다.
시트 백(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이나 직물로 이루어지는 외피(11), 이 외피(11)의 내에 마련되는 스펀지(12), 외피(11) 내에 상하로 고정되어 시트 백(10)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시트 프레임(13)에는 수 개의 스프링(14)이 고정되어 있어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탄력지지하기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시트에 의하면, 자동차가 곡선 도로에서 급선회하여 주행할 때 운전자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운전자의 운전이 매우 불편하고,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백의 양측에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수단이 마련되어 운전자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의 홀딩장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홀딩장치의 감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시트 21; 시트쿠션
22; 시트백 22a; 외피
22b; 스폰지 22c; 시트프레임
22d; 프레임 22e; 스프링
23; 헤드 레스트 30; 감지수단
31; 몸체 32; 연동바
32a; 첩점추 33; 접점단자
40; 홀딩수단 41; 홀딩부재
42; 공기주머니 50; 구동수단
51; 공기탱크 51a; 압력센서
51b; 스위치 52; 공기펌프
53; 모터 60; 솔레노이드 밸브
61; 배터리 62; 체크밸브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에 직상방으로 연결되어 운전자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 백; 및 상기 시트 백의 상단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헤드 레스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에는 홀딩 장치가 마련되어,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주행시 급선회시 운전자의 양측으로 홀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 장치는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주행시 급선회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시트 백의 양측에 고정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하여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하는 홀딩수단과,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홀딩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마련되고 그 일단에 접점추가 마련되어 자동차의 급선회시 좌우로 연동되는 연동바와, 그리고 상기 몸체 내의 단부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접점추가 접촉되는 접점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수단은 시트백 내에 마련된 시트프레임에 브라켓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와 시트백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의 유입과 배출로 팽창 및 수축으로 상기 홀딩부재를 회동시키는 공기주머니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탱크, 상기 공기탱크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공기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탱크에는 압력센서와 스위치가 마련되어, 그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스위치가 온(ON) 되고, 상기 모터와 공기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공기탱크 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됨으로써, 공기탱크에는 공기가 가득 채워지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탱크와 공기펌프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연결되어, 상기 공기펌프의 공기가 공기탱크로는 이동되고, 상기 공기탱크의 공기가 상기 공기펌프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된다.
이와 같이 되어, 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하다가 곡선도로에서 급선회할 때, 감지수단이 자동차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감지하여 홀딩부재로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함으로, 자동차의 급선회시 운전자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곡선도로의 주행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시트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의 운전자 홀딩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 홀딩장치의 감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부호 은 시트를 보인 것으로, 이 시트(20)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쿠션(21), 이 시트쿠션(21)에 직상방으로 연결되어 운전자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 백(22) 및 이 시트백(22)의 상단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헤드 레스트(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 백(22)은 가죽이나 직물로 이루어진 외피(22a), 이 외피(22a)의 내에 마련되어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스폰지(22b) 및 시트 백(22)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시트프레임(22c)으로 이루어진다.
시트 백(22)에는 시트쿠션(21)에 착석한 운전자가 곡선도로의 주행시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홀딩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주행시 급선회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30), 시트 백(22)의 양측에 고정되고 소정 각도로 선회하여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수단(40), 이 감지수단(30)에 의하여 작동되어 홀딩수단(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감지수단(30)은 박스 형태의 몸체(31), 이 몸체(31) 내에 마련되고 그 일단에 접점추(32a)가 마련되어 자동차의 급선회시 좌우로 연동되는 연동바(32), 몸체(31) 내의 단부 양측에 마련되어 연동바(32)의 접점추(32a)가 접촉되는 접점단자(33)로 이루어진다.
홀딩수단(40)은 시트 백(22) 내에 설치된 시트 프레임(22c)에 프레임(22d)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부재(41), 시트 백(22)과 홀딩부재(41) 사이에 연결되며 공기에 의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공기주머니(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홀딩부재(41)는 구동수단(50)에 의하여 회동된 후에, 시트프레임(22c)과 이에 설치된 프레임(22d)에 연결되는 스피링(22e)에 의하여 반대로 회동되어 원상 복귀되도록 된 것이다.
구동수단(50)은 상기 공기주머니(42)로 공급되는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탱크(51), 이 공기탱크(51)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52), 이 공기펌프(52)를 구동하는 모터(53)로 이루어진다.
공기탱크(51)와 공기주머니(42) 사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 밸브(60)는 공기탱크(51)의 공기를 공기주머니(42)로 공급하거나, 공기주머니(4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솔레노이드 밸브(60)는 배터리(61)와 감지수단(30)에 연결되고, 접점단자(33)에 연동바(32)의 접점추(32a)가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배터리(61)의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탱크(51)에는 압력센서(51a)와 스위치(51b)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센서(51a)는 공기탱크(51) 내의 압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스위치(51b)는 압력센서(51a)와 배터리(61)와 연결되어 모터(53)를 구동시킨다.
또한, 공기탱크(51)와 공기펌프(52)의 사이에는 체크밸브(62)가 연결되어 있다. 이 체크밸브(62)는 공기펌프(52)의 공기가 공기탱크(51)로 공급되지만, 공기탱크(51)의 공기가 공기펌프(52)로는 공급되지 않도록 일방향용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의 작용을 도 5를 참고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주행시 급선회하게 되면, 감지수단(30)에 마련된 연동바(32)의 접점추(32a)가 접점단자(33)에 접촉되어 진다. 그러면, 솔레노이드 밸브(60)에서 공기 탱크(51)와 공기주머니(42) 측의 포트가 개방되어 공기탱크(51)의 공기가 공기주머니(42)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공기주머니(42)는 팽창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홀딩부재(41)가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운전자의 양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주행에서 직선도로를 주행하게 되면, 감지수단(30)에 마련된 연동바(32)의 접점추(32a)가 접점단자(33)에서 떨어진다. 그러면, 솔레노이드 밸브(60)에서 공기탱크(51) 측의 포트는 폐쇄되고, 공기주머니(42)는 외부로 통하는 포트와 연결된다. 그러면, 공기주머니(4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어 수축하게 된다. 공기주머니(42)와 연결된 홀딩부재(41)는 그 내에 마련되어 시트 프레임(22c)에 고정된 스프링(22e)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양측이 홀딩된 것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어,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주행시 급선회할 때, 감지수단(30)에 의하여 홀딩부재(41)가 작동되어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하여 주기 때문에, 운전자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에 의하면, 곡선도로를 급선회하여 주행할 때, 감지수단에서 자동차가 급선회하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시트백의 양측에 마련된 홀딩부재가 회전하여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곡선도로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에 직상방으로 연결되어 운전자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 백; 및 상기 시트 백의 상단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헤드 레스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에는 홀딩 장치가 마련되어,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급선회하여 주행할 때 운전자의 양측으로 홀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는 자동차가 곡선도로의 주행시 급선회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시트 백의 양측에 고정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하여 운전자의 양측을 홀딩하는 홀딩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홀딩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몸체;
    상기 몸체 내에 마련되고 그 일단에 접점추가 마련되어 자동차의 급선회시 좌우로 연동되는 연동바;
    상기 몸체 내의 단부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접점추가 접촉되는 접점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시트 백 내에 마련된 시트프레임에 브라켓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와 시트 백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의 유입과 배출로 팽창 및 수축으로 상기 홀딩부재를 회동시키는 공기주머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탱크;
    상기 공기탱크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탱크에는 압력센서와 스위치가 마련되어, 그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스위치가 온(ON) 되고, 상기 모터와 공기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공기탱크 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탱크와 공기펌프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연결되어, 상기 공기펌프의 공기가 공기탱크로는 이동되고, 상기 공기탱크의 공기가 상기 공기펌프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KR1019980054512A 1998-12-11 1998-12-11 자동차의 시트 KR20000039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12A KR20000039239A (ko) 1998-12-11 1998-12-11 자동차의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12A KR20000039239A (ko) 1998-12-11 1998-12-11 자동차의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239A true KR20000039239A (ko) 2000-07-05

Family

ID=1956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512A KR20000039239A (ko) 1998-12-11 1998-12-11 자동차의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92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190A (zh) * 2021-08-24 2021-10-22 艾福迈汽车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图形识别技术的汽车座椅侧翼支撑调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190A (zh) * 2021-08-24 2021-10-22 艾福迈汽车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图形识别技术的汽车座椅侧翼支撑调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8684B2 (ja) 調節可能な車輛用シート
KR100611570B1 (ko) 탑승자가 전방 또는 후방을 보면서 여행할 수 있게 해주는차량 시트
US6030036A (en) Vehicle seat with gas bag located in the back rest
CN109895726B (zh) 车辆用安全气囊
JP2002542100A (ja) 自動車用の少なくとも1つのバックシート用エアバッグを有する安全装置
CN110949209A (zh) 车辆用座椅及车辆用座椅配置结构
EP1368210B1 (en) Safety headrest for a motor vehicle
WO2007049536A1 (ja) 乗員拘束装置及び座席
US5524962A (en) Tilt forward seat base for integrated infant seat
JP2020063004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EP0999770B1 (en) Pop-up headrest for a vehicle
JP4751530B2 (ja) 自動車両の乗員用の膨張可能な頭部保護装置
JP2004217109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KR20000039239A (ko) 자동차의 시트
JPS60174334A (ja) リヤシ−ト
JP3147759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30160944A (ko) 차량 시트를 구비한 차량
CN114954162A (zh) 车辆用乘坐人员约束装置
US11607978B2 (en) Seat accessory to enable a sleep and rest surface
JPH05301551A (ja) 車両用シートの安全装置
JPH079696Y2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KR200200652Y1 (ko) 차량용 시트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880003663Y1 (ko) 자동차 의자의 머리 받이 겸용 충격 방지 장치
JPH04106033U (ja)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ツク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