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059A -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059A
KR20000039059A KR1019980054264A KR19980054264A KR20000039059A KR 20000039059 A KR20000039059 A KR 20000039059A KR 1019980054264 A KR1019980054264 A KR 1019980054264A KR 19980054264 A KR19980054264 A KR 19980054264A KR 20000039059 A KR20000039059 A KR 2000003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k plug
fuel injection
temperature
cooling wat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호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8005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9059A/ko
Publication of KR2000003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05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hot start or re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cold 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02D9/10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having a throttle positio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냉시동시, 예를 들어 가속페달의 조작 실수에 의해 시동이 꺼진 후 가속 페달을 재차 밟고 재시동하는 경우 플러딩(flooding) 방지를 위해 연료 분사를 막아 점화 플러그에 뭍어 있는 연료를 크랭킹 압력 등으로 소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재시동성을 확보토록 한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의 플러딩 방지방법에 있어서, 시동점화 스위치의 온(ON)시 냉각수온(a℃)을 인식하고 이때의 연료 분사량(b)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수온(a℃)이 소정의 제1 온도 미만이면,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냉각수온(a℃)를 차감하여 그 값이 소정의 제2 온도 미만이면 재시동으로 판단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 값(k)을 새롭게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료 분사량(b)에 상기 가중치 변수 값(k)을 곱해 새로운 연료 분사량 값(d)을 구하는 단계와; 스로틀 개도 센서(throttle position sensor)의 출력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하면 연료 분사량을 "0"으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연료 분사량 값(d)으로 연료분사 명령을 하여 재시동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
본 발명은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flooding)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엔진 냉시동시, 예를 들어 가속페달의 조작 실수에 의해 시동이 꺼진 후 가속 페달을 재차 밟고 재시동하는 경우 플러딩 방지를 위해 연료 분사를 막아 점화 플러그에 뭍어 있는 연료를 크랭킹 압력 등으로 소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재시동성을 확보토록 한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이 냉각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동을 걸 때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 실수 등에 의해 시동이 꺼진 경우 인젝터에 의해 분사된 연료는 완전히 소진되지 않고 남게 되어 점화 플러그를 젖게 만든다. 이와 같이 인젝터에 의해 분사된 연료가 완전히 소진되지 않고 점화 플러그를 젖게 하는 것을 플러딩(flooding)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플러딩이 생기면 점화 불능이 되어 엔진 시동이 되지 않게 된다. 이는 한번 연료에 의해 젖게 된 점화 플러그는 절연저항이 낮아져 엔진 시동시 적절한 화염핵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러딩으로 인해 재시동을 하는 경우 점화 플러그가 적절한 역할을 하지 못해 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시동시간이 길어지거나 재시동 횟수가 늘어나 연소실에 분사된 연료의 총량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연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연료는 점화 플러그의 플러딩 현상을 가중시킨다. 이와 같은 현상이 심해지는 경우, 점화 플러그를 탈거/청소/재 장착해야만 원활한 시동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점화 플러그에 플러딩이 생겨 엔진 재시동이 어렵게 되는 상황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시동점화 스위치를 온(ON)하면, 엔진 전자제어장치(ECU)는 냉각수온(a℃)를 인식하고 이 냉각수온에 따른 연료분사량(b)를 계산한다(S1)(S2). 그 다음, 상기 냉각수온(a℃)이 예를 들어 -15℃ 미만인지를 판단하여(S3), 냉각수온(a℃)이 -15℃미만이 아니면 엔진 전자제어장치(이하, 'ECU'라 약칭한다)는 정상시동으로 인식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를 "1"로 하여 연료 분사량을 WF*b로 한 다음 연료분사 명령을 내려 시동이 걸리도록 한다(S8)(S6)(S7).
S3 단계에서 냉각수온(a℃)이 -15℃미만이면, ECU는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c℃)을 인식하여 이때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온시의 냉각수온(a℃)를 뺀 값이 예를 들어 5℃미만인지를 판단한다(S4). S4 단계에서 상기 값이 5℃미만이면, ECU는 재시동으로 인식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를 "0.7"로 하여 연료분사량을 0.7*b로 한 다음 연료분사 명령을 내려 시동이 걸리도록 한다(S5)(S6)(S7). 그리고, S4 단계에서 상기 값이 5℃이상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S8->S6->S7 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연료 분사량 가중치 변수를 바꾸어 연료 분사량을 적게 하더라도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계속 잘못 조작하면 엔진 연소실로의 연료유입량이 많아져 점화 플러그의 플러딩이 더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러딩으로 인해 재시동을 하는 경우 연료 분사량 가중치 변수를 바꾸어 연료 분사량을 적게 하더라도 이미 연료에 의해 젖어 있는 점화 플러그가 적절한 역할을 하지 못해 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시동시간이 길어지거나 재시동 횟수가 늘어나 연소실에 분사된 연료의 총량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연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연료는 점화 플러그의 플러딩 현상을 가중시켜 심한 경우 점화 플러그를 탈거/청소/재 장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엔진 냉시동시, 예를 들어 가속페달의 조작 실수에 의해 시동이 꺼진 후 가속 페달을 재차 밟고 재시동하는 경우 플러딩 방지를 위해 연료 분사를 막아 점화 플러그에 뭍어 있는 연료를 크랭킹 압력 등으로 소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재시동성을 확보토록 한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의 제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의 제어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은,
시동점화 스위치의 온(ON)시 냉각수온(a℃)을 인식하고 이때의 연료 분사량(b)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온(a℃)이 소정의 제1 온도 미만이면,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냉각수온(a℃)을 차감하여 그 값이 소정의 제2 온도 미만이면 재시동으로 판단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 값(k)을 새롭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료 분사량(b)에 상기 가중치 변수 값(k)을 곱해 새로운 연료 분사량 값(d)을 구하는 단계;
스로틀 개도 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의 출력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하면 연료 분사량을 "0"으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연료 분사량 값(d)으로 연료분사 명령을 하여 재시동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온(a℃)이 소정의 제1 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냉각수온(a℃)를 차감하여 그 값이 소정의 제2 온도 이상이면 정상시동으로 판단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 값(k)을 "1"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15℃이고, 상기 제2 온도는 5℃이고, 상기 새롭게 설정되는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 값(k)은 "0.7"이고, 상기 스로틀 개도 센서의 출력전압의 소정 전압은 3.5볼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2의 제어 흐름도는 프로그램화되어 엔진 ECU의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동점화 스위치의 온(ON)시 냉각수온(a℃)을 인식하고 이때의 연료 분사량(b)을 계산하는 단계(S20)(S21)와, 상기 냉각수온(a℃)이 -15℃미만이면(S22),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냉각수온(a℃)를 차감하여 그 값이 5℃미만이면 재시동으로 판단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 값(k)을 "0.7"로 새롭게 설정하는 단계(S23)(S24)와, 상기 연료 분사량(b)에 상기 가중치 변수 값(0.7)을 곱해 새로운 연료 분사량 값(d)을 구하는 단계(S25)와, 스로틀 개도 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의 출력전압이 3.5볼트를 초과하면 연료 분사량을 "0"으로 하고(S26)(S27), 그렇지 않으면 상기 연료 분사량 값(d)으로 연료분사 명령을 하여 재시동이 되도록 하는 단계(S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각수온(a℃)이 -15℃이상이거나,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냉각수온(a℃)을 차감하여 그 값이 5℃이상이면 정상시동으로 판단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 값(k)을 "1"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의 작용을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시동점화 스위치를 온(ON)하면, ECU는 냉각수온(a℃)를 인식하고 이 냉각수온에 따른 연료분사량(b)를 계산한다(S20)(S21). 그 다음, 상기 냉각수온(a℃)이 -15℃ 미만인지를 판단하여(S22), 냉각수온(a℃)이 -15℃미만이 아니면 ECU는 정상시동으로 인식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를 "1"로 하여 연료 분사량을 WF*b로 한다(S29).
S22 단계에서 상기 냉각수온(a℃)이 -15℃미만이면, ECU는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c℃)을 인식하여 이때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온시의 냉각수온(a℃)를 뺀 값이 5℃미만인지를 판단한다(S23). S23 단계에서 상기 뺀 값이 5℃미만이면, ECU는 재시동으로 인식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를 "0.7"로 하여 연료분사량을 0.7*b로 한다(S24)(S25).
상기와 같이 해서 연료분사량 값이 정해졌으면, ECU는 시동상태에서 TPS의 출력전압이 3.5볼트 이상인지, 즉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조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6). S26 단계에서 TPS의 출력전압이 3.5볼트 이상이면, 이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이므로 연료분사량을 "0"으로 하여 점화플러그의 플러딩을 방지하고, 점화 플러그에 이미 플러딩이 되어 있는 경우 엔진 크랭킹 압력으로 연소실내에 남아 있는 연료와 점화 플러그 묻어 있는 연료를 완전히 소진시킨다(S27). S26단계에서 TPS의 출력전압이 3.5볼트 이상이 아니면, ECU는 연료분사 명령을 내려 전술한 단계에서 설정된 연료분사량에 의해 시동이 걸리도록 한다(S28).
이로써, 본 발명은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으면서 시동을 걸 때 점화 플러그의 플러딩을 방지토록 하며, 점화 플러그에 플러딩되어 있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재시동이 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은, 엔진 냉시동시, 예를 들어 가속페달의 조작 실수에 의해 시동이 꺼진 후 가속 페달을 재차 밟고 재시동하는 경우 플러딩 방지를 위해 연료 분사를 막아 점화 플러그에 뭍어 있는 연료를 크랭킹 압력 등으로 소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재시동성을 확보토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서술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정신과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Claims (6)

  1.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의 플러딩(flooding) 방지방법에 있어서,
    시동점화 스위치의 온(ON)시 냉각수온(a℃)을 인식하고 이때의 연료 분사량(b)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온(a℃)이 소정의 제1 온도 미만이면,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냉각수온(a℃)를 차감하여 그 값이 소정의 제2 온도 미만이면 재시동으로 판단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 값(k)을 새롭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료 분사량(b)에 상기 가중치 변수 값(k)을 곱해 새로운 연료 분사량 값(d)을 구하는 단계;
    스로틀 개도 센서(throttle position sensor)의 출력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하면 연료 분사량을 "0"으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연료 분사량 값(d)으로 연료분사 명령을 하여 재시동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온(a℃)이 소정의 제1 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시동점화 스위치 오프(OFF)시의 냉각수온에서 상기 냉각수온(a℃)을 차감하여 그 값이 소정의 제2 온도 이상이면 정상시동으로 판단하여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WF; weighting factor) 값(k)을 "1"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는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롭게 설정되는 연료분사량 가중치 변수 값(k)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개도 센서의 출력전압의 소정 전압은 3.5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 방지방법.
KR1019980054264A 1998-12-10 1998-12-10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방지방법 KR20000039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264A KR20000039059A (ko) 1998-12-10 1998-12-10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264A KR20000039059A (ko) 1998-12-10 1998-12-10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059A true KR20000039059A (ko) 2000-07-05

Family

ID=1956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264A KR20000039059A (ko) 1998-12-10 1998-12-10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90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0334A (zh) * 2020-10-14 2022-04-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混动车辆的发动机清理方法、清理系统及混动车辆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0334A (zh) * 2020-10-14 2022-04-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混动车辆的发动机清理方法、清理系统及混动车辆
WO2022078335A1 (zh) * 2020-10-14 2022-04-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混动车辆的发动机清理方法、清理系统及混动车辆
CN114370334B (zh) * 2020-10-14 2023-09-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混动车辆的发动机清理方法、清理系统及混动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64997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システム
JP3620228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588496B1 (ko) 차량의 초기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28320B1 (ko) 엘피아이 엔진이 채용된 차량의 시동성 제어방법
KR101003218B1 (ko) 아이들 스톱 & 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00039059A (ko) 엔진 냉간시 재시동성 확보를 위한 점화 플러그 플러딩방지방법
KR100279463B1 (ko) 고온 재시동성 향상 장치 및 그 방법
US5515831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control system with fuel supply compensated for high-temperature re-starts
JP2921304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427066B1 (ko) 냉시동성 개선 방법
KR100337355B1 (ko) 디젤 차량의 냉시동 제어 방법
JPS63189628A (ja) 内燃機関の始動時燃料噴射量制御方法
JP3334403B2 (ja) 内燃機関の始動判定装置
JP4258077B2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427416B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저온시동시 엔진제어방법
KR100624227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시동지연 및 탄화수소 저감 제어방법
JP3630034B2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KR100588543B1 (ko) 엔진의 가속 연료량 제어방법
KR100226642B1 (ko) 연료분사제어장치
JPH07119517A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KR100444057B1 (ko) 엔진의 재시동시 연료량 보정방법
JPH0233436A (ja) 車両用燃料供給量制御装置
KR100251907B1 (ko) 대기가 고온일때 엔진시동제어방법
JPH01271637A (ja) 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JPH0742585A (ja) 始動時燃料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