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565A -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565A
KR20000037565A KR1019980052182A KR19980052182A KR20000037565A KR 20000037565 A KR20000037565 A KR 20000037565A KR 1019980052182 A KR1019980052182 A KR 1019980052182A KR 19980052182 A KR19980052182 A KR 19980052182A KR 20000037565 A KR20000037565 A KR 20000037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ing
pattern
opening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2168B1 (ko
Inventor
이윤동
김원식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1998-005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1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초기 설치시에 도어의 운행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An automatically setting method of door's movement pattern for elevator)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초기 설치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도어의 1회 운행으로 최적의 운행 패턴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시 작업 속도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도어의 운행 패턴의 조정 범위를 세분화하여 다양한 형태의 운행 패턴 출력이 가능해지며, 신속하고 부드럽게 도어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초기 설치시에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에 관련된 운행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개폐 동작시 도어 폭 및 전체 운행거리 등을 측정하여 이를 통해 도어의 최적 운행패턴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를 비롯하여 상가나 사무실이 고층화되면서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다. 사람이나 물건을 원하는 층수까지 끌어 올려주는 엘리베이터는 초기 설치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미리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을 설정해 두어야 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 도어의 크기에 따라 그 개폐 동작에 따른 운행 거리 및 속도 변경 구간이 달라지므로 도어의 크기에 따른 최적의 운행 패턴을 설정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운행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설정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드웨어 변경없이 사용자가 회로 기판 상에서 기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온/오프(ON/OFF) 스위치인 복수 개의 딥-스위치(DIP-Switch, Dual In-line Package Switch)와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도어의 크기, 최고속도, 제어력, 최저속도구간 등의 조정값을 설치 작업자가 일일이 설정한 후에, 설정된 값을 기준 입력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도어의 운행 패턴을 생성, 저장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지시하는 외부명령신호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이미 저장된 운행 패턴에 따라 도어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운행 패턴에 따라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도어 구동용 모터(Motor)가 동작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초기에 의해 복수 개의 딥-스위치와 가변저항의 값을 하나씩 바꾸면서 반복적으로 도어의 개폐 운행을 수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도어 크기나 설치 장소에 적합한 도어의 운행패턴 조정값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이 추출되게 되면 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저장시키고,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 작업은 마무리되게 된다.
이때, 도어의 개폐를 지시하는 외부명령신호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도어의 운행 패턴으로 도어 구동용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도어의 개폐 운행이 실시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설치 작업자가 도어 크기, 운행 속도, 제어력, 구간설정 등의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들은 복수의 딥-스위치와 가변저항의 값들을 계속적으로 일일이 바꾸어가면서 설정하기 때문에 조정값 설정 및 설치 작업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운행 패턴 설정에 설치 작업자의 능력차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초기 설치 및 보수 작업시 도어의 운행 패턴 설정에 미숙함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의 운행 패턴의 조정값에서 변경 가능한 항목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도어의 운행패턴이 고정적이고 다양하지 못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들이 잘못 설정되거나 설치 작업자의 미숙함 등의 원인에 의해 도어가 신속하고 부드럽지 못한 운행 패턴으로 구동되게 되면 이로 인하여 충격음이 발생될 수 있고, 급격한 속도 변화에 의한 도어의 흔들림 등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초기 설치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도어의 1회 운행으로 최적의 운행 패턴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작업시 작업 속도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도어의 운행 패턴의 조정 범위를 세분화하여 다양한 형태의 운행 패턴 출력이 가능해지며, 신속하고 부드럽게 도어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장치의 구성이 회로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한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과 그에 따른 도어의 운행 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들의 최대치와 최소치에 따른 각 도어의 운행 패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5 : 메모리부
20 : 주제어장치 21, 22 : 제1 및 제2 센서
25 : 인터페이스부 30 : 키조작부
35 : 표시부 40 : 전원공급부
45 : 정류부 46 : 전압검출부
50 : 모터 51 : 모터구동부
52 : 전류검출부 53 : 로터리인코더
54 : 위치검출부 D1, D2 : 제1 및 제2 다이오드
C : 커패시터 T : 트랜지스터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에 관한 운행 패턴이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결과에 따라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을 설정하기 위해 도어폭의 측정 여부를 결정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도어폭 측정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이 입력되면 도어가 완전히 개방 또는 폐쇄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도어의 완전 개방 또는 폐쇄가 확인되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서 도어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에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완료되면 도어의 구동 및 모터의 회전수 측정을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측정한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도어폭 및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을 연산하여 최적의 운행 패턴으로 자동 설정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과정에서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이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자동 운행모드, 수동 운행 모드, 조정값 설정모드 중에서 어느 모드로 설정 구동되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모드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드설정단계에서 조정값 설정모드인 경우에는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 동작되도록 일정한 제어력 및 속도 변경 구간을 사용자가 임의로 재설정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과정 또는 제3 과정에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이 계속적으로 유지되지 않거나 도어가 완전히 개방 또는 폐쇄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 측정에 에러가 발생됨을 알리는 에러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4 과정에서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 설정은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펄스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의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결과로 도어 폭 및 도어의 전체 운행 거리를 연산함으로써 자동으로 최적의 운행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장치의 구성이 회로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한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과 그에 따른 도어의 운행 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들의 최대치와 최소치에 따른 각 도어의 운행 패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을 제어하여 그 제어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5)와, 주제어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 신호나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완료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센서(21, 22)의 각 감지 신호나 사용자의 도어 개방 또는 폐쇄 명령 신호와 같은 외부 입력을 받아들여 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부(25)와,
도어의 자동 운행, 개방 또는 폐쇄 운행, 조정값 설정과 같은 운행 상태에 대한 각종 명령을 지시하기 위한 키조작부(30)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의한 현재 도어의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5)와, R상, S상, 단상 전원을 시스템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와, 상기 전원공급부(4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고 상기 정류된 전원을 평활함으로써 직류전원을 시스템에 전달하는 정류부(45)와, 상기 정류부(45)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46)와, 도어를 개폐 동작시키는 모터(5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도어의 개폐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제어신호가 생성 출력되면 이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50)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51)와,
상기 모터(50)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52)와, 상기 모터(50)의 회전에 따라 펄스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53)와, 상기 로터리 인코더(53)의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도어의 전체 운행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 상기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검출부(54)가 포함된다.
도 1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D1 및 C는 상기 정류부(45)를 이루는 제1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D2와 T는 상기 모터구동부(51)를 이루는 제2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40)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정류부(45)에서 정류 및 평활 작용을 수행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게 되고, 전압검출부(46)에서는 상기 직류전원을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전달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메모리부(15)를 검색하여 도어의 운행 패턴을 결정하게 되는데, 도어의 운행 패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의 전체 운행거리를 측정해야 한다. 그러면, 설치 작업자는 키조작부(30) 및 표시부(35)를 통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나 조정값 설정, 자동 또는 수동 운행 등의 도어 구동 명령을 시스템에 직접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 신호가 인터페이스부(25)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도어를 개폐 동작시키기 위해 모터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51)로 출력시키고, 상기 모터구동부(51)는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모터(5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50)의 회전에 따라 펄스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로터리 인코더(53) 및 위치검출부(54)를 통해 도어의 1회 운행에 대한 펄스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제1 및 제2 센서(21, 22)를 통해 도어의 개방 완료나 폐쇄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펄스 신호의 카운트를 중지하는 한편, 상기 카운트된 펄스 신호에 의해 도어의 전체 운행 거리 및 도어의 크기 등을 측정하여 그 측정결과에 따른 도어의 전체 운행 거리에 대한 최적의 운행 패턴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된다.
또한, 설치 작업자가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을 변경할 경우에는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동 운행모드, 자동 운행모드, 조정값 설정모드 중에서 시스템을 조정값 설정모드로 진행시킨 후에 키조작부(30) 및 표시부(35)를 통해 직접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들을 재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시스템은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을 설정 또는 재설정한 후에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도어의 운행 모드를 확인하면서 구동되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이동 경로에 대한 속도 패턴은 초기저속구간→가속구간→최고속도구간→감속구간→저속구간→정지구간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도어의 폐쇄 운행시에는 도어가 최초로 운행을 시작할 때 부드럽게 다음 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초기저속구간(A), 도어의 폐쇄 속도가 저속에서 최고속도로 증가되는 구간 거리를 설정하는 폐쇄가속구간(B), 도어의 최고 운행 속도를 설정하는 폐쇄최고속도구간(C), 도어가 최고 속도에서 저속으로 운행속도가 감소하는 감속구간의 구간거리를 설정하는 폐쇄감속구간(D), 저속구간의 구간거리를 설정하는 폐쇄저속구간(E), 도어의 폐쇄 운행시 저속구간에서 도어를 정지시킬 때의 정지 시간을 설정하는 저속구간정지시간(F), 도어 폐쇄가 완료된 후에 도어의 강제 열림을 방지하는 폐쇄유지력, 도어가 최고 속도록 운행하던 중에 도어를 정지시킬 때의 정지 시간을 설정하는 고속구간정지시간(G), 도어 제어시 도어 운행에 필요로 하는 힘을 설정하는 도어 제어력이 도어의 폐쇄 운행 패턴을 이루게 된다.
다음에, 도어의 개방 운행시에는 초기저속구간(A'), 저속에서 최고 속도로 도어 개방 속도가 증가되는 구간의 거리를 설정하는 개방가속구간(B'), 최고 운행속도를 설정하는 개방최고속도구간(C'), 최고속도에서 저속으로 운행 속도가 감소하는 감속구간의 구간거리를 설정하는 개방감속구간(D'), 저속구간의 구간거리를 설정하는 개방저속구간(E'), 저속구간정지시간(F'), 도어 제어력이 도어의 개방 운행 패턴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방과 폐쇄 동작을 상호 비교해 보면, 이동속도, 시간 및 가속/감속 패턴이 서로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일반적으로 개방시간이 폐쇄시간 보다 짧은 운행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운행 패턴 조정값을 최고치, 중간치, 최소치로 각각 변경시켰을 경우에, 각각의 조정값에 따른 도어의 개폐 운행 패턴이 (가), (나), (다)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정값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도어의 운행 패턴으로 변경 가능하며, 조정 가능 변수가 많은 만큼 도어의 운행 패턴의 세부적인 조정이 가능해지게 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을 살펴보면, 제1 단계에서는 전원공급부(40)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정류부(45) 및 전압검출부(46)를 통해 직류전원을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에 대한 운행 패턴에 관하여 메모리부(15)의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S1 참조) 그리고,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계(S1)에서 메모리부(15)를 검색한 결과가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 참조)
그런데,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제2 단계(S2)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도어의 운행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도어폭 측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주제어장치에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 신호가 인터페이스부(25)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초기 설치시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설치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개방 명령이 시스템에 입력되게 된다.(S3 참조)
그 다음으로,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제3 단계(S3)의 확인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도어를 정지시키게 되고(S4 참조), 제5 단계에서는 상기 제3 단계(S3)의 확인 결과가 '예'인 경우에 도어의 상기 제2 단계(S2)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에 따른 도어 구동을 수행하게 된다.(S5 참조)
즉,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모터구동부(51)에 모터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모터구동부(51)는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해 모터(50)를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제6 단계에서는 상기 제5 단계(S5)에서 제1 및 제2 센서(21, 22)를 통해 도어가 완전히 폐쇄 또는 개방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6 참조) 그리고, 제7 단계에서는 상기 제6 단계(S6)의 확인 결과가 '예'인 경우에 도어 폭이나 전체 운행거리 등을 연산할 수 있도록 상기 제5 단계(S5)의 도어 개폐 동작을 등속으로 계속 수행하면서 상기 모터(50)의 회전에 따라 펄스 신호가 생성되어 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전달하는 로터리 인코더(53) 및 위치검출부(54)를 통해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게 되지만, 그와 달리 제8 단계에서는 상기 제6 단계(S6)의 확인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도어의 폭 측정에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펄스 신호의 카운트를 중지하게 된다.(S7 및 S8 참조)
다음에, 제9 단계에서는 도어 폭을 측정하기 위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9 참조) 따라서, 상기 제9 단계(S9)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상기 제8 단계(S8)로 되돌아가게 되고, 제10 단계에서는 상기 제9 단계(S9)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에 도어가 완전히 개방 또는 폐쇄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10 참조)
또한, 상기 제10 단계(S10)의 확인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상기 제7 단계(S7)로 되돌아가 계속적으로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게 되지만, 제11 단계에서는 상기 제10 단계(S10)의 확인 결과가 '예'인 경우에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펄스 신호의 카운트도 중지되게 된다.(S11 참조)
이렇게 해서, 제12 단계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가 상기 제10 단계(S10)에서 카운트된 펄스 신호에 따라 도어 폭이나 도어의 전체 운행거리를 연산하게 되는 동시에 그 연산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의 도어 운행 패턴의 조정값을 설정하게 된다.(S12 참조) 그리고, 제13 단계에서는 상기 제12 단계(S12)에 따른 도어의 운행 패턴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부(15)에 저장시키게 된다.(S13 참조)
한편, 제14 단계에서는 상기 제2 단계(S2)의 판단결과가 '예'인 경우에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을 재설정하기 위한 조정값 설정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4 참조) 그리고, 제15 단계에서는 상기 제14 단계(S14)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을 재설정하게 되지만, 제16 단계에서는 상기 제14 단계(S14)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도어의 운행 패턴이 수동 운행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15 및 S16 참조)
이때, 제17 단계에서는 상기 제16 단계(S16)의 확인 결과가 '예'인 경우에 시스템을 수동 운행모드로 동작시키게 되는 한편, 제18 단계에서는 상기 제16 단계(S16)의 확인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도어의 운행 패턴이 자동 운행모드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구동시키게 된다.(S17 및 S18 참조)
또한, 시스템은 상기 제13 단계(S13) 또는 제18 단계(S18)에서 바로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4 단계(S14)로 되돌아가 게속적으로 시스템의 운행 모드를 확인하면서 구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은 엘리베이터의 초기 설치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도어의 1회 운행으로 최적의 운행 패턴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작업시 작업 속도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도어의 운행 패턴의 조정 범위를 세분화하여 다양한 형태의 운행 패턴 출력이 가능해지며, 신속하고 부드럽게 도어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에 관한 운행 패턴이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결과에 따라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을 설정하기 위해 도어폭의 측정 여부를 결정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도어폭 측정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이 입력되면 도어가 완전히 개방 또는 폐쇄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도어의 완전 개방 또는 폐쇄가 확인되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서 도어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에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완료되면 도어의 구동 및 모터의 회전수 측정을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측정한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도어폭 및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을 연산하여 최적의 운행 패턴으로 자동 설정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이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자동 운행모드, 수동 운행 모드, 조정값 설정모드 중에서 어느 모드로 설정 구동되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모드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단계에서 조정값 설정모드인 경우에는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 동작되도록 일정한 제어력 및 속도 변경 구간을 사용자가 임의로 재설정할 수 있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 또는 제3 과정에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명령이 계속적으로 유지되지 않거나 도어가 완전히 개방 또는 폐쇄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도어의 운행 패턴에 관한 조정값 측정에 에러가 발생됨을 알리는 에러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행 패턴 자동 설정방법.
KR10-1998-0052182A 1998-12-01 1998-12-01 엘리베이터도어의운행패턴자동설정방법 KR10034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182A KR100342168B1 (ko) 1998-12-01 1998-12-01 엘리베이터도어의운행패턴자동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182A KR100342168B1 (ko) 1998-12-01 1998-12-01 엘리베이터도어의운행패턴자동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565A true KR20000037565A (ko) 2000-07-05
KR100342168B1 KR100342168B1 (ko) 2003-04-23

Family

ID=1956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182A KR100342168B1 (ko) 1998-12-01 1998-12-01 엘리베이터도어의운행패턴자동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413A (ko) * 2017-11-29 2020-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수 계획 시스템 및 보수 계획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413A (ko) * 2017-11-29 2020-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수 계획 시스템 및 보수 계획 방법
CN111386540A (zh) * 2017-11-29 2020-07-07 三菱电机株式会社 维护计划系统和维护计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2168B1 (ko)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5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control values for a control device
CA2194380C (en) Movable barrier operator having force and position learning capability
JP3883611B2 (ja)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
KR10037753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KR100342168B1 (ko) 엘리베이터도어의운행패턴자동설정방법
US20180345861A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mirror assembly
JP65303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579768B1 (ko) 제어장치
US4915045A (en)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JPH0513964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355520B1 (ko) 러닝머신 구동전류를 사용한 사용자 몸무게 감지 장치 및방법
EP1087279A3 (de) Verfahren zur automatischen Bestimmung der Auftreffgeschwindigkeit einer Aufzugtür auf einem Hindernis und Antriebseinrichtung für die Aufzugtür
JP2000170444A (ja) 自動ドア制御装置
KR200217285Y1 (ko) 러닝머신 구동전류를 사용한 사용자 몸무게 감지 장치
JPH0570089A (ja) 誘導電動機用制御装置
KR20140101144A (ko) 자동문 제어방법 및 자동문 컨트롤러
JPH047598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950005674Y1 (ko) 세탁기 모터정지 장치
JP2006083526A (ja) 自動ドア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接触検知装置
JPS60236952A (ja) 紙葉体供給装置
KR100239509B1 (ko) 모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6056548A (ja) 自動ドア装置
KR20050015512A (ko) 업소용 반죽기 및 그 제어방법
JP6130632B2 (ja)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および開閉制御方法
JPH07208017A (ja) 被駆動物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