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194A -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194A
KR20000037194A KR1020000019012A KR20000019012A KR20000037194A KR 20000037194 A KR20000037194 A KR 20000037194A KR 1020000019012 A KR1020000019012 A KR 1020000019012A KR 20000019012 A KR20000019012 A KR 20000019012A KR 20000037194 A KR20000037194 A KR 2000003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phone
internet
call
termina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희
민영태
Original Assignee
한태희
조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희, 조영민 filed Critical 한태희
Priority to KR102000001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194A/ko
Priority to EP20000112942 priority patent/EP1085734A3/en
Priority to JP2000187080A priority patent/JP2001103155A/ja
Publication of KR2000003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194A/ko
Priority to DE2000139402 priority patent/DE10039402A1/de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63Application servers providing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함에 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이루도록 하며, 전화기 대 전화기의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반전화 접속 인터페이스를 내장시킨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신호 값을 입력받아 해당 신호 값에 따른 착신 측 단말기로 연결시키는 인터넷 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인터넷에 서로 접속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져 인터넷 폰 서버에 등록되고; 상기 단말기는, 발신 측으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폰 서버로 송출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착신 측의 정보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압축된 음성신호를 해제하여 음성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 되며;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등록된 IP주소와 전화번호를 관리하고 단말기의 호 요구를 착신 측 단말기에 전달하며 등록되지 않는 착신 측 단말기를 등록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OF THE INTERNET PHONE SERVICE}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함에 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이루도록 하며, 전화기 대 전화기의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사용되는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 통화 서비스, 즉, 인터넷 폰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서 실시된다.
첫 번째는 인터넷 폰 프로그램 내장하여 이의 구동을 통해 이루는 컴퓨터와 전화기간의 통화를 이루는 인터넷 폰 서비스 방법이며, 두 번째는 전화기와 전화기간에 통화로를 직접 연결함으로서 통화를 이루는 인터넷 폰 서비스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 실시되는 인터넷 폰 서비스 방법의 경우 각각 다음과 같은 사용자의 사용상의 불편 문제 및 조작의 복잡함에 따른 여러 어려움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첫 번째 방식으로 제안된 PC 대 PC 간의 인터넷 폰 서비스 방법은 전화를 거는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고성능의 PC, 음성 통화 수행을 위한 사운드 카드 등의 부가 장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인터넷 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 앞서와 같은 장비를 구입해야 하는 비용의 증대 문제, 인터넷 망 그 고유의 특성상 발생되는 통화 채널 형성의 어려움에 따른 문제, 즉, 실 예로서 발신 측에서 전화를 걸시 착신 측은 항상 인터넷망에 접속된 상태로 있어야 하고 그 상태에 있어서도 상호간의 IP어드레스를 교환해야 하는 등의 그 조건이 만들어지기가 어려워 통화 채널 형성이 항상 어느 때나 이루어지기 곤란한 문제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PC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류가 다를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그 호환성을 보장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 또한 있다. 이는 PC대 PC 간의 인터넷 폰 서비스 방법에 있어 발생되는 문제만이 아니라 그와 유사하게 PC대 전화기간의 인터넷 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도 발생되는 문제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화기 대 전화기 방식의 인터넷 폰 서비스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적당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별정 통신 업체를 미리 선정하여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해당 별정 통신 업체를 통해 인터넷 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사용료를 상당히 높게 지불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있어서의 사용방법 또한 기존 전화기를 통한 전화 통화 수행과 대비하면 여러 불편함이 많게 되었다. 실 예로서, 서비스 이용자는 별정 통신 업체를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 수행을 위해 미리 정해진 식별 번호 입력을 추가로 수행하는 등의 문제이다. 그리고, 그러한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인터넷 폰 서비스 제공 업체는 인터넷폰을 위한 별도의 서버와 상기 인터넷 폰 서버에서 일반 전화기로 착신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를 별도로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또한 대용량의 음성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다시 해야 하는 등 서비스 구축비용의 증가가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 또한 가지고 있었다.
앞서의 문제들은, 인터넷 폰 서비스가 일반 전화 통화의 회선 스위칭과 달리 패킷 데이터 스위칭 동작을 기반으로 함에 발생되는 문제가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폰 서비스 그 자체가 주는 비용의 절감 효과 등에 따라 서비스의 필요성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그 발전의 계속은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참조로, 기존의 인터넷 폰 서비스 기술의 기술적 스펙을 설명하면, 인터넷 폰 서비스의 기본 기술은 ITU 기구를 통해 제안된 H.323 규약과, IETF의 SIP 방식을 만족하도록 하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H.323 규약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경우 상기 SIP 방식에 비해 보다 폭넓게 실시되고 있다. 통상 상기 H.323규약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을 이루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첨부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1a는 본 발명의 적용 및 통상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또한 된다.
이의 구성을 간략히 참조하면, 공중교환망(PSTN) 및 인터넷(IP) 망 상호간에 접속되어 음성 통화의 직접적 수행을 이루는 전화기 10을 구비하며, 상기 전화기 10을 인터넷 30으로 접속 인터페이싱하며, 그 결과로서 인터넷망을 통해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기 20의 구비를 이룬다. 그리고 누구나 자유로이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 전송 및 여러 컴퓨터 네트웍 서비스의 이용이 이루어지는 인터넷 30을 구성하며, 상기 인터넷 30에 접속된 상태로 있으며 접속 상태에 있어 그 고유의 IP어드레스를 가지고, 인터넷 폰 서비스의 중재 및 처리 역할을 하는 인터넷 폰 서버 40을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20은 통상 터미널 어댑터(Terminal Adapter;TA)라 칭하며, 이의 대표적 장치로서는 ISDN 단말기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폰 서버 40의 경우, 사용자 인증 및 허가, 호 라우팅(Routing), 과금(Charging) 및 단말기 주소와 IP 주소간의 변환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통상 게이트 키퍼(Gate Keeper) 기능이라 칭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폰 서버 40은 자체에 있어 게이트웨이(Gateway)를 구비하며, 이는 인터넷 폰 서비스 수행을 위해 비 H.323 망과 H.323 망을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싱을 행한다. 이를 실 예로서 살펴보면, 인터넷망에 접속된 PC가 공중교환망(PSTN) 상에 가입된 전화기로 호를 요구할 경우, 상기 게이트 키퍼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며 상기 전화기의 호 요구에 따라 발신 요구되는 호를 필요한 해당 게이트웨이로 중재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PSTN의 신호와 상기 H.323 망 신호간의 변환 처리, 즉 프로토콜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인터넷망을 통한 실시간 음성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게이트웨이의 경우 서로 다른 망의 음성 신호 형태를 변환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데이터 처리의 부하가 있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려면 상기 H.323 망의 다른 구성 요소를 구축하는 것 보다 해당 게이트웨이의 구축비가 보다 비싸지는 문제를 낳는다. 이를 반대 관점으로 해석하면, H.323 망 내에서의 음성 호 처리를 이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게이트웨이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면 상대적으로 상기 H.323망의 구축비용이 매우 저렴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될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본 개념으로서 적용된다.
결국 종래에 있어 제안되어 실시되는 인터넷 폰 서비스의 경우, 발신자에 있어서 사용상의 여러 불편 문제를 가져다주었고, 필요에 의해 호 발신을 요구할 경우 착신 측과 실시간으로 호를 연결하는 것 또한 매우 곤란한 문제를 낳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의 해소를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른 목적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공중교환망 전화기로서 인터넷 폰 서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새로이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인터넷 폰 서버의 적절한 제어 및 그에 따른 동작의 실시를 통해,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요구할 시 인터넷망의 이용 및 공중교환망의 이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요구되는 망으로의 전화 통화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고 인터넷망의 선택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시 발신자 및 착신자 상호간의 통화 연결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일환으로 발신 측 및 착신 측 상호간의 실시간 통화 연결, 발신 측에서 전달할 음성 메시지의 정확한 전달, 필요한 시간에 상기 발신 측 및 착신 측의 통화 연결들 다양한 상황에 적합하게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일반 PC 및 그의 주변 장비들을 별도 구입하지 않고서도 공중교환망 용 전화기를 이용 인터넷망을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른 목적은, 인터넷 망 및 공중교환망 상호간의 접속을 이루는 단말기의 구현과, 그러한 단말기를 이용 인터넷 폰 서비스를 통한 발신 측의 통화 시도 요구에 착신 측이 실시간으로 통화 응답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그러한 통화 응답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통화 품질의 향상과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른 목적은, 인터넷 망 접속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통해 발신 측의 통화 시도 요구가 있으면, 상기 요구에 착신 측이 실시간으로 통화 응답을 행할 수 있고 그러한 통화 응답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통화 품질의 향상과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5견지에 따른 목적은, 인터넷 망 접속을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 시, 발신 측의 통화 시도 요구에 착신 측의 응답이 없어 전화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발신 측이 착신 측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착신 측 또한 상기 전달된 음성 메시지를 인터넷 폰 서비스의 이용을 통해 정확히 확인하여 발신 측 및 착신 측 상호간의 필요한 음성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6견지에 따른 목적은, 인터넷 망 접속을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 시, 발신측의 통화 시도 요구에 착신 측의 응답이 없어 전화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추후 지정된 시간에 상기 발신 측과 상기 착신 측이 전화 통화를 실시간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시스템의 동작 절차도.
도 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에에 따른 인터넷 폰 시스템의 동작 절차도.
도 1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시스템의 동작 절차도.
도 1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에에 따른 인터넷 폰 시스템의 동작 절차도.
도 1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ISDN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1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버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버의 전체적인 작동 상태 흐름도,
도 2b, 도 2c, 도 2d, 도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ISDN 단말기의 전체적인 작동상태 흐름도,
도 3a, 3b, 3c는 상기 도 1c에 있어서 도시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 흐름도.
도 4a, 4b, 4c는 상기 도 1d에 있어서 도시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 흐름도.
도 5a, 5b, 5c는 상기 도 1e에 있어서 도시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 흐름도.
도 6a, 6b, 6c는 상기 도 1f에 있어서 도시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 흐름도.
상기 제1견지 및 제2견지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전화 접속 인터페이스를 내장시킨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신호값을 입력받아 해당 신호값에 따른 수신 측 단말기로 연결시키는 인터넷 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인터넷에 서로 접속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져 인터넷 폰 서버에 등록되고; 상기 단말기는, 발신 측으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폰 서버로 송출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수신 측의 정보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압축된 음성신호를 해제하여 음성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 되며;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등록된 IP주소와 전화번호를 관리하고 단말기의 호 요구를 수신 측 단말기에 전달하며 등록되지 않는 수신 측 단말기를 등록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상태에서 일반전화 접속 인터페이스를 내장시킨 단말기가 IP주소와 자신의 전화 번호를 인터넷 폰 서버에 등록하는 제1단계; 발신 측 단말기가 수신 측 전화 번호를 인터넷 폰 서버에 출력시켰을 때 인터넷 폰 서버가 수신 측 단말기에 발신 측 IP주소와 번호를 전송하여 인터넷폰이 연결되는 제2단계; 수신 측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응답하지 않을 때 인터넷 폰 서버가 발신 측 단말기에 의해 전화접속이 이루어지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견지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 망 및 공중교환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착신 측 전화번호 및 자신의 IP어드레스와 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착신 측의 연결 확인 신호 수신 및 IP어드레스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IP어드레스를 참조로 착신 측과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발신 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 측 단말기의 호 발신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의 해당 IP를 검색하여 상기 IP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로의 공중교환망 음성호 발신과 상기 음성호 발신에 따라 상기 착신 측으로의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 구동 명령식별 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 측의 인터넷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착신 측의 IP어드레스 및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발신 측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인터넷 폰 서버와; 공중교환망 음성호 착신과 미리 정해진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 구동 명령식별 번호가 수신되면, 내장된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의 구동과 자신의 IP어드레스 및 연결 확인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발신 측의 연결 확인 신호 수신 및 IP어드레스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IP어드레스를 참조로 발신 측과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착신 측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견지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착신 측 전화번호 및 자신의 IP어드레스와 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착신 측의 연결 확인 신호 수신 및 IP어드레스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IP어드레스를 참조로 착신 측과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발신 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 측 단말기의 호 발신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의 해당 IP를 검색하여 상기 IP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의 참조에 따른 PPP프로토콜의 구동을 통해 상기 착신 측으로 공중교환망 데이터 호 발신과 상기 데이터 호 발신에 따라 상기 착신 측으로의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 구동 명령 식별 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호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IP어드레스 및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발신 측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인터넷 폰 서버와; PPP프로토콜의 구동에 따른 공중교환망 데이터 호 착신과 미리 정해진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 구동 명령식별 번호가 수신되면, 내장된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의 구동과 자신의 IP어드레스 및 연결 확인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발신 측의 연결 확인 신호 수신 및 IP어드레스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IP어드레스를 참조로 발신 측과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착신 측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견지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착신 측 전화번호 및 자신의 IP어드레스와 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의 해당 착신 측 IP 어드레스가 인터넷 폰 서버에 미 등록된 상태에 있어 전송되는 음성 안내메시지 수신이 이루어지면, 음성 메시지 저장에 따른 음성 신호 입력을 처리한 후 호 발신을 종료 처리하는 발신 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 측 단말기의 호 발신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의 해당 IP를 검색하여 상기 IP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저장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저장 한 후, 상기 착신 측의 인터넷 접속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음성신호를 상기 착신 측으로 전송 처리하는 인터넷 폰 서버와; 인터넷 접속 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자신에 해당하여 저장된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가 수신되면 착신 벨을 발생하고, 상기 착신 벨 발생에 응답되어 혹 오프 감지가 있는 경우, 통화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한 후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착신 측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6견지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폰 동작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착신 측 전화번호 및 자신의 IP어드레스와 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측이 통화 불가 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면, 예약 통화 모드로 진입하여 예약 통화 시각의 지정과 예약 통화 지정 상태를 전송하며, 상기 지정된 예약 통화 시각의 경과에 따른 예약 통화 요구 메시지 및 착신 측의 IP어드레스, 그리고 상기 착신 측으로부터의 연결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IP어드레스를 참조로 상기 착신 측과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발신 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 측 단말기의 호 발신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의 해당 착신 측이 통화 불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 측 단말기로 예약 통화를 요구하고, 그에 응답되어 전송되는 예약 통화 시각으로서 예약 통화를 등록하며, 상기 예약 통화 시각의 경과에 따라 예약 통화 요구 메시지를 상기 발신 측 단말기 및 착신 측 단말기로전송처리 하는 인터넷 폰 서버와; 인터넷 접속 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자신에 해당하여 예약된 예약 통화 등록 정보가 있고 예약 된 시각의 경과에 따라 전송된 예약 통화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화 연결 확인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발신 측의 연결 확인 신호 수신 및 IP어드레스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IP어드레스를 참조로 발신 측과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착신 측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 구성되는 인터넷 망 및 공중교환망 상호 접속 단말기의 경우, H.323 규약을 만족함과 동시에 일반 전화기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상기 단말기의 경우 최근의 ISDN 단말기를 그 대표로 한다. 상기 ISDN 단말기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적용되는 경우, ISDN망의 접속을 통한 전화 통화 및 데이터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버의 경우 게이트 키퍼의 기능, 착신 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에 따라 인터넷 폰 관련 통화 처리를 지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 상기와 같은 인터넷 폰 서버로서 게이트웨이와 PC 없이 보다 저럼하고 그 사용이 용이한 인터넷 폰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버는 기존의 게이트 키퍼 기능을 갖춘 서버로서 기능하며, 필요에 의해서는 상기 게이트 키퍼를 별도의 장치로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를 나타내며,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버의 전체적인 작동 상태 흐름도, 도 2b, 도 2c, 도 2d, 도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ISDN 단말기의 전체적인 작동상태 흐름도이다. 이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및 제2견지에 따른 목적의 달성에 따른 제안된 구성의 특징이 된다.
이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 및 그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면, 상기 도 1a에 있어 복수개의 전화기(10)와, 상기 전화기(10)와 연결되는 단말기(TA)(2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이는 ISDN단말기(ISDN TA)로 사용되는 것이 적절할 것임-와, 상기 단말기(20)와 연결되는 인터넷(30) 및 인터넷 폰 서버(40)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20)는, 상기 전화기(10)에 각기 연결되며 인터넷(30)에 선택적으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20)가 ISDN으로 적용된 경우 ISDN 교환기를 통한 ISDN망과 TCP/IP 접속을 통한 PPP 프로토콜의 구동에 있어서는 인터넷 망의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사용자 및 외부의 요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일, 외부 및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인터넷(30)에 접속되는 경우 착신측의 전화번호와 자신의 IP주소, 자신의 전화번호 등 인터넷 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정보로서 인터넷 폰 서버(40)에 전송한다. 그리고 인터넷(30)을 통한 인터넷 폰 통화는 발신 및 착신 양측 단말기(20A)(20B)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여부에 따라 수행 내용이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전화를 거는 발신측과 받는 착신측이 인터넷(30)에 연결되어 있는 기본 상황일 때, 인터넷 폰 서버(40)는 미리 등록된 양측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맵핑(Mapping)시켜 각각 상대측 단말기(20A)(20B)의 IP 주소를 각각의 단말기(20A)(20B)에 전송 후 서로의 음성 신호를 인터넷(3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음성 신호는 미리 정해진 규약에 따라 압축 및 해제 처리되어 전송된다.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는, 단말기들의 IP주소와 전화번호를 관리하며, 착신측의 IP주소를 발신측으로 알려주는 기능과 인터넷 폰 착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인터넷 폰 착신호가 있으면 해당 단말기(20)에 그 호출 신호를 알리고 착신벨을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41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20)로부터 호 요구가 있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42단계에서 발신측으로 호시도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정보, 호시도음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착신측 단말기(20)로 호 시도를 수행하고 그 동작을 종료한다. 이때 43단계에서 착신측으로부터 인터넷 폰을 위한 인터넷 접속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44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20)의 IP주소와 수신측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상기 착신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45단계에서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호출 개시에 따른 확인 신호가 전송되면, 46단계에서 발신측에 호출개시 신호, 다시 말하면 발신측의 발신 요구에 의해 발생되어 전송된 발신 호 응답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20)는, 21단계에서 인터넷 폰 착신 호가 있는가 여부, 그리고 22단계에서 인터넷 폰 음성 메시지 착신 신호가 있는가 여부, 23단계에서 사용자의 인터넷 폰 발신 요구가 있는가 여부, 24단계에서 인터넷 폰 임을 알리는 ISDN 착신 호가 있는가 여부, 26단계에서 인터넷 연결 요구가 있는 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상기 각 판단 단계에 있어 해당 요구 신호가 없는 경우 그의 판단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23단계에서 사용자의 인터넷 폰 발신 요구가 있는 경우, 그러한 상태에 있어 26단계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27단계에서 인터넷(30)에 접속하여 인터넷 폰 서버(40)에 자신의 IP와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24단계에서 인터넷 폰 임을 알리는 ISDN 착신 호가 있고, 28단계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로 판단되면, 290단계에서 인터넷 폰 서버(40)에 자신의 IP주소와 전화번호 등을 재등록 한다.
또한, 23단계에서 인터넷 폰 발신 요구가 있고, 26단계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51단계에서 착신측의 전화번호 등의 호 요구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 폰 서버(40)에 전송하다. 이를 수행한 후, 52단계에서 인터넷 폰 서버(40)로부터 호시도 개시의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52단계에서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53단계에서 사용자에게 호시도 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54단계에서 착신측으로부터 호출 개시에 따른 소정 정보가 전송되면, 55단계에서 사용자에게 호출 음을 발생시킨다. 그런 후, 56단계에서 착신측으로부터 연결됨을 알리는 연결 확인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57단계에서 착신측에 연결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 인터넷 통화를 처리하도록 한다. 인터넷 통화에 있어 소정 규약에 따른 음성 압축, 해제, 변환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52단계에서 인터넷 폰 서버(40)로부터 호시도 개시에 따른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그리고 54단계에서 착신측으로부터 호출 개시에 따른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또한 56단계에서 착신측으로부터 연결됨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모두에 있어 신호를 종료 처리한다.
한편, 상기 21단계에서 인터넷 폰 착신 호가 있는 경우에는, 61단계에서 인터넷 폰 서버(40)에게 호출 시작을 알리고 착신벨을 울리도록 처리한다. 이때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어 응답을 하게 되는 것으로 62단계에서 판단되면, 63단계에서 상기 발신 측에 연결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 측으로부터 연결확인 신호가 수신됨이 64단계에서 감지되면, 65단계를 통해 인터넷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62단계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어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또는 64단계에서 연결확인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신호를 종료 처리한다.
상기 22단계에서 인터넷 폰 음성 메시지 수신 신호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71단계에서 인터넷 폰 서버에게 호출시작을 알리고 착신벨을 발생하도록 처리한다. 이때에 있어,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어 응답하는 것으로 72단계에서 판단되면, 73단계에서 인터넷 폰 서버(40)측에 연결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74단계에서 인터넷 폰 서버(40)측으로부터 연결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75단계에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 72단계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어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또는 74단계에서 인터넷 폰 서버(40)측으로부터 연결확인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호 신호를 종료 처리한다.
이상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를 이루는 본 발명은, 발신자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인터넷 접속을 위한 호 비용이 시도하려는 전화연결 비용보다 가격이 저렴할 경우 일반 공중교환망 및 ISDN망으로의 음성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즉, 발신자가 인터넷 폰 방식으로 전화를 걸었을 때, 단말기는 인터넷 폰 서버에게 음성 메시지를 저장한 후 추후에 착신자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인터넷 폰 서버에 자신의 전화번호와 IP주소를 등록하게 되면 착신자에게 인터넷 폰 기능으로 인터넷 폰 서버는 전화를 걸어 착신 측 단말기에 연결된 전화의 벨이 울리게 되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때 저장된 메시지를 들려주게 된다. 또한 착신자의 단말기에 인터넷 폰 서버는 ISDN망을 통한 PPP 데이터 호를 하여 착신 측 단말기에 IP주소를 할당하게 되며 착 발신 측 단말기간에 인터넷 폰 통화가 준비되면 발신 측 단말기는 연결된 전화기에 링백(RING BACK)톤을 그리고 착신 측 단말기는 착신벨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착신 측 사용자가 전화를 받게 되면 양측 단말기는 인터넷 폰 연결을 통한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착신자가 나중에 인터넷에 접속하게 되면 인터넷 폰 서버는 양측에 인터넷 폰 연결을 알리고 양측 전화기에 모두 착신벨을 울려 예약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신 단말기에 인터넷폰을 위한 특정한 번호를 사용자가 지정했을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호시도를 인터넷폰의 호로 가정하여 착신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을 하게 되고 발신 단말기와 인터넷 음성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신자의 인터넷 방식의 통화 시도는 중지되며 일반적인 ISDN 음성호로서 수신자와 연결된다.
한편, 단말기가 AO(ALWAYS ON)/DI(DYNAMIC ISDN)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발신자 및 수신자가 AO만연결되어 있는 경우 음성 통신에 필요한 속도를 위해 추가적인 채널을 할당하여 인터넷폰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인터넷 접속에 요금이 징수되지 않는 망이나 서비스일 경우에는 단말기는 켜지는 순간 인터넷에 PPP접속을 하여 IP주소를 할당받은 후 인터넷 폰 서버에 할당받은 IP주소와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그런 다음 PC에서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원할 경우 이미 받은 IP주소를 PC에 알려주며 이때 PC가 인터넷 폰 서버에 IP주소를 할당받는 절차와 같은 방식을 단말기가 수행해 주므로 PC는 일반 PPP접속과 동일한 방식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가 항상 인터넷에 접속될 수 없는 경우에는 PC가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진 후 단말기는 인터넷 폰 서버에 IP주소와 전화번호를 등록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의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 각 구성 및 사용되는 여러 명칭이 상기 설명에 있어 상이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지자라면 그 상이함이 본래 기능 및 동작의 상이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하 구체적인 설명에 따른 실시 상태는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개괄적인 내용에 있어 포함되는 내용이 된다.
먼저, 도 1b는 상기 도 1a에 있어 도시된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도 1b있어서의 단말기(20)는 ISDN단말기를 그 구체적 실시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실시자에 의해 PSTN 용 단말기로도 적용되어 실시 될 수 있다. 이의 사항은 이하 설명될 또 다른 도면들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이를 참조하면, 전화기(10)는 ISDN단말기(20)에 접속된다. 상기 전화기(10)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음성 통화를 위해 사용하는 수단으로 송화기와 수화기, 그리고 링발생기, DTMF 톤 발생기 등을 기본적으로 내장한다. 사용자는 상기 전화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이용, 그리고 선택적으로 ISDN 망을 통한 음성통화, 공중망을 통한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ISDN단말기(20)는 음성 및 비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하나의 디지털망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종합정보통신망으로 접속한다. 접속 시 제어채널로서의 D채널과 트래픽 채널로서 B채널을 사용하며, 상기 B채널은 두 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접속 및 그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 수행 시 PPP프로토콜을 통한 접속을 행한다. 상기 PPP프로토콜의 구동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기(20) 내부로 내장된다.
인터넷(30)은 개방된 컴퓨터네트워크 망으로서 어느 곳 및 어느 때나 자유로이 접속할 수 있는 망이다. 상기 인터넷(30)의 응용을 통해 인터넷 폰 서비스의 실시가 이루어진다. 이는 VoIP라는 기술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의 기술은 패킷망을 회선망과 같은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술로서, 실시간 통화를 이루도록 하는 기술이 된다.
인터넷 폰 서버(40)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제안된 서버이다. 이는 인터넷 폰 서비스 수행 및 요구에 있어 발신 측 단말기와 착신 측 단말기의 상호 연결을 중재한다. 중재는 착발신측 단말기간의 전화번호, IP어드레스 교환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은 ISDN교환기(50)와 연동되며, 그들간은 ISDN 방식에 따라 연결된다. 이는 2B+D 채널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은 인터넷(30) 과의 연결을 이룸과 동시에 ISDN 망과의 연결을 또한 이루는 것이다. 상기 ISDN 교환기(50)는 ISDN단말기(20)가 접속되어 ISDN단말기(20)의 통화 형성 및 데이터 전송로의 형성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ISDN교환기(50)를 대체하여 PSTN 교환기의 적용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PSTN 단말기의 사용이 이루어지며, 해당되는 데이터 전송 및 음성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첨부된 이하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시스템의 동작 절차도이며, 도 3a, 3b, 3c는 상기 도 1c에 있어 도시된 절차의 수행을 위한 착발신측 ISDN단말기(20)와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의 제어 흐름도이다. 그리고 상기 도 1c 및 도 3a, 3b, 3c는 앞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른 목적의 달성을 구체적으로 이룸에 있어 제안된 실시 상태이다.
이의 전반적 동작을 첨부된 도 1c의 참조로 간략히 설명하면, 발신 측 사용자의 호 시도 후(s1)에 수신 측의 정보가 인터넷 폰 서버에 등록되지 않아 발신 측에서 받은 전화번호로 인터넷 폰 정보가 포함된 호 시도를 하여 수신 측 단말기에게 인터넷 폰 요구가 있음을 알리고(s2), 이때 수신 측 단말기는 이 호를 해제 후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폰을 위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한다(s3). 그 이후는 인터넷에 연결된 두 단말기의 인터넷 폰 절차를 따르게 된다. 이의 절차는 발신 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를 착신 측으로 알리고(s4), 착신 측 단말기는 자신의 호임을 확인 후 발신 측으로 호의감지를 통보하고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알리는 동작(s5)과, 착신 측이 호에 대해 응답함을 발신 측 단말기로 통보 동작(s6), 착신 측과 발신 측의 연결 확인 신호 전송과 그에 따른 음성 신호 상호 전송 동작(s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언급한 인터넷 폰 정보가 포함된 호 시도는 단말기에 연결된 ISDN망을 통한 일반 음성 호 시도를 말하며,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에 등록된 전화번호, 즉 발신자 번호를 이용한, 또는 UUI(User To User Information)를 이용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는 ISDN의 D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그리고 인터넷 폰 서버에 등록된 발신자 번호를 사용할 경우 사전에 발신 측 단말기는 인터넷 폰 서버로의 전화번호 전송에 따른 저장이 필요하며, 상기 전송된 발신자 번호가 인터넷 폰 서버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일치할 경우 이 착신 호에 대해 인터넷폰을 위한 호 시도로 인지하여 인터넷 접속을 시도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상기 UUI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적은 양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특성이 상기 UUI에 있으므로, 이의 특성을 이용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는 UUI를 이용 단말기와 사전에 약속된 데이터를 UUI메시지에 실어 인터넷폰의 시도를 알릴 수 있고 이에 단말기는 인터넷 폰 접속을 위한 처리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 도 3c를 참조로 상기 ISDN 음성호를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발신 측 단말기의 제어 동작 흐름이며, 상기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버의 제어 동작 흐름이며, 상기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착신 측 단말기의 제어 동작 흐름이다.
먼저, 발신 측 단말기의 경우, 301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011단계에서 호 발신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012단계에서 상기 발신 측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을 행하고, 3013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착신 측 전화번호, 그리고 자신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3014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의 호 발신 여부를 확인한다. 호 발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3015단계에서 호 시도 음을 상기 전화기로 발생하도록 처리하고, 3016단계에서는 착신 측의 IP 및 발신 호의 전송에 다른 착신 측의 응답 상태 정보의 수신을 감지한다. 만일 상기 3014단계에서 서버의 호 발신 여부가 미확인되고, 상기 3016단계에서 착신 측의 IP 및 응답 상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반의 ISDN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는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의 ISDN 망을 통한 통화로 형성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3016단계에서 착신 측 IP와 발 신호에 따른 착신 측의 발 신호 응답 상태 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면, 3017단계에서 링백톤을 발생 처리하고, 3018단계에서 착신 측으로부터 전송된 호 연결에 따른 확인 신호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렇지 않을 시는 해당 연결 확인 신호의 응답 때까지 링백톤의 발생을 지속한다. 상기 3018단계에서 확인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3019단계에서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착신 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3020단계에서 착신 측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3021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음성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이룬다. 이 상태는 바로 음성 통화 상태이며, 상기 통화로는 인터넷망을 통한 통화로가 된다. 3022단계에서 통화 종료 여부를 감지하고, 그러한 경우 3023단계에서 통화 해제를 처리한다. 그리고 3024단계에서 인터넷 접속 해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하고, 3025단계에서 인터넷의 해제를 이룬다. 상기 3024단계의 동작은 통화 수행 중이던 단말이 통화 완료하였음의 통보 동작으로, 이를 수행함에 따라 이후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발신 측 단말기가 통화 완료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인터넷 폰 서버의 경우, 303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031단계에서 발신 측 단말기로부터 호 발신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발신 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측 전화번호, 발신 측 IP 및 전화번호 정보의 수신 여부로서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032단계에서 발신 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3030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착신 측 단말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측 IP의 등록 여부를 검색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발신 측 단말기에 호 발신 요구가 수신되었음의 확인으로 서보 호 발신 시도의 정보를 전송한다. 3034단계에서는 상기 검색에 따른 착신 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IP어드레스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3035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를 참조로 착신 측 단말기로 ISDN 음성 호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앞서 도 1c에 있어서 s2 절차에 있어 수행된다. 상기 발신은 ISDN의 D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인터넷망의 이용이 아니라 ISDN망의 이용을 통해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3036단계에서 상기 ISDN망을 통해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를 전송한다. 이의 전송 형태는 일반적인 발신자 번호 전송 형태로서 전송되며, 이의 번호는 상기 인터넷 폰 서버에 미리 등록되고 착신 측 단말기에 있어서는 인터넷 폰 구동 명령에 따른 번호로 인식 처리된다. 상기 번호는 실시자에 의해 정의되어 지정된다. 그리고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ISDN 음성호의 발신이 아니라 UUI에 따른 메시지의 전송으로 대치되어 실시 될 있다. 이 경우 또한 ISDN 망을 통한 착신 측으로의 인터넷 폰 구동 명령이 되는 것이다. 그런 후, 3037단계에서는 상기 식별 번호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 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에 따라 착신 측의 IP와 인터넷 폰 구동 정보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ISDN 음성 호에 응답하여 인터넷의 접속과 그에 따른 IP 어드레스 및 접속 정보를 상기 착신 측 단말기가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 3038단계에서 상기 착신 측 단말기로 앞서 전송되어 등록된 발신 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와 전송된 착신 측의 전화번호 전송을 이룬다. 상기 착신 측 전화번호의 전송은 착신 측 단말기가 자신에게 발신호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에 사용되며, 상기 발신 측 IP어드레스는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에 있어 상대측 IP어드레스를 알아야 수행 가능함에 따른 것이다. 3039단계에서는 상기 3038단계의 전송에 응답하여 착신 측으로부터 발신호에 따른 응답 정보의 전송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러한 경우 3040 단계에서 착신 측의 IP어드레스와 상기 전송된 발신호의 응답 상태 정보를 상기 발신 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자신의 통화 연결 중재 역할을 종료하고, 필요에 따라 3041단계에서 연결 및 형성된 통화로의 연결 상태 체크 처리를 행한다. 이로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의 통화 중재 동작은 종료된다.
착신 측 단말기의 경우, 305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051단계에서 ISDN 음성 호 착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052단계에서 발신자 번호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발신자 번호가 수신된 경우, 3053단계의 발신자 번호 디코딩 처리를 행하고, 305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발신자 번호가 인터넷 폰 구동 요구에 따른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가 맞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렇지 않을 시는 일반의 ISDN 착신호가 되므로 그에 따른 ISDN 호처리 동작을 행한다.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가 맞는 경우, 3055단계에서 ISDN호를 해제하고, 3056단계 및 3057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인터넷 접속 및 인터넷폰의 구동을 행한다. 그리고 3058단계에서 자신의 IP 및 전화번호, 그리고 인터넷 폰 구동 정보를 상기 ISDN 음성호를 발신한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한다. 그런 후, 3059단계에서 발신 측 IP어드레스의 전송과 자신의 전화번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맞는 경우, 3060단계에서 착신 벨을 발생한다. 이 때 착신 측 단말기에 접속된 전화기로 링 발생이 이루어진다. 즉, 전호가 걸려온 것이다. 3061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발신호의 응답에 따른 응답 정보를 전송처리하고, 3062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훅 오프가 있는지, 즉, 전화를 받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훅오프가 체크되면, 3063단계에서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발신 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3064단계에서 상기 발신 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연결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되면, 3065단계에서 발신 측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3066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음성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이룬다. 이 상태 또한 발신 측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 상태이다. 상기 통화로 또한 인터넷망을 통한 통화로가 된다. 3067단계에서 통화 종료 여부를 감지하고, 그러한 경우 3068단계에서 통화 해제를 처리한다. 그리고 3069단계에서 인터넷 접속 해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하고, 3070단계에서 인터넷 접속 해제를 이룬다. 상기 3069단계의 동작 또한 통화 수행 중이던 단말기가 통화 완료하였음의 통보 동작으로, 이를 수행함으로서 이후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착신 측 단말기가 통화 완료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시스템의 동작 절차도이며, 도 4a, 4b, 4c는 상기 도 1d에 있어 도시된 절차의 수행을 위한 착발신측 ISDN단말기(20)와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의 제어 흐름도이다. 그리고 상기 도 1d 및 도 4a, 4b, 4c는 앞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른 목적 달성을 구체적으로 이룸에 있어 제안된 실시 상태이다.
이의 전반적 동작은 첨부된 도 1d의 참조로 간략히 설명한다. 발신 측 단말기 사용자가 호 시도를 하여 발신 측 단말기는 착신 측 번호를 인터넷 폰 서버에 전송하게 되고,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발신 측 단말기에 서버가 발신 요구된 호를 인지하여 호 시도하고 있음을 상기 발신 측 단말기 사용자로 호 시도음의 발생 처리를 통해 알린다(s1). 그러나 상기 인터넷 폰 서버에 착신 측 전화번호의 해당 IP어드레스가 등록되지 않아 발신 측에서 받은 착신 측 전화번호로 PPP프로토콜을 통해 인터넷 폰 정보가 포함된 호 시도를 하여 착신 측 단말기에게 인터넷 폰 요구가 발신 측으로부터 있음을 알린다(s2), 이는 ISDN의 데이터 호를 통해 수행한다. 이때 착신 측 단말기는 자신의 호임을 확인 후, 호 처리 상황을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한다(s3). 상기 도면상에서는 상기 데이터호의 발신이 ISDN을 통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는 물리적인 연결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실제 논리적인 연결은 PPP 프로토콜 구동에 따른 인터넷망을 통한 착신 측 단말기로의 호 착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인 ISDN의 데이터 호 사용 여부를 명확히 하도록 함에 도시한 상태이다. 그리고 그 이후는 인터넷에 연결된 두 단말기의 인터넷 폰 절차를 따르게 된다. 이의 절차는 착신 측 단말기는 상기 PPP 프로토콜 구동에 따른 호 착신 과정을 통해 자신의 호임을 확인 후 호 처리 상황을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알리고(s3),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착신 측 단말기가 호에 대해 응답함과 착신 측 IP어드레스, 착신 측의 호처리 상황을 발신 측 단말기로 통보(s4)한다. 이때 착신 측 단말기의 착신 링 발생과, 발신측 단말기로의 링 백톤 발생이 이루어진다. 착신 측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어 응답하면, 착신 측 단말기는 발신 측 단말기로 연결이 되었음의 사실에 따른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발신 측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 측 단말기 또한 연결 확인 신호를 착신 측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서 상호간의 음성 신호 상호 전송(s5)에 따른 통화를 수행한다.
도 4a 및 도 4b, 도 4c를 참조로 상기 ISDN 데이터호에 따른 PP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발신 측 단말기의 제어 동작 흐름이며, 상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버의 제어 동작 흐름이며, 상기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착신 측 단말기의 제어 동작 흐름이다.
먼저, 발신 측 단말기의 경우, 311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111단계에서 호 발신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112단계에서 상기 발신 측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을 행하고, 3113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착신 측 전화번호, 그리고 자신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3114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의 호 발신 여부를 확인한다. 호 발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3115단계에서 호 시도음을 상기 전화기로 발생하도록 처리하고, 3116단계에서는 착신 측의 IP 및 발신 호의 전송에 다른 착신 측의 응답 상태 정보의 수신을 감지한다. 상기 3114단계에서 서버의 호 발신 여부가 미확인되고, 상기 3116단계에서 착신 측의 IP 및 응답 상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반의 ISDN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는 상기 전송된 착신 측 전화번호의 ISDN 망을 통한 통화로 형성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3116단계에서 착신 측 IP와 발신호에 따른 착신 측의 발신호 응답 상태 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면, 3117단계에서 링백톤을 발생 처리하고, 3118단계에서 착신 측으로부터 전송된 호 연결에 따른 확인 신호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3118단계에서 연결 확인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3119단계에서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착신 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3120단계에서 착신측 단말기와 통화로를 "VoIP"기술로서 형성하고, 3121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음성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이룬다. 이 상태는 바로 음성 통화 상태이며, 음성 신호의 압축 및 해제가 지속하여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상기 통화로는 인터넷망을 통한 통화로가 된다. 3122단계에서 통화 종료 여부를 감지하고, 그러한 경우 3123단계에서 통화 해제를 처리한다. 그리고 3124단계에서 인터넷 접속 해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하고, 3125단계에서 인터넷의 해제를 이룬다. 상기 3124단계의 동작은 통화 수행 중이던 단말이 통화 완료하였음의 통보 동작으로, 이를 수행함에 따라 이후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발신 측 단말기가 통화 완료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인터넷 폰 서버의 경우, 313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131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호 발신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측 전화번호, 발신 측 IP 및 전화번호 정보의 수신 여부로서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132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3130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착신측 단말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착신측 IP의 등록 여부를 검색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호 발신 요구가 수신되었음의 확인으로 서보 호 발신 시도 정보를 전송한다. 3134단계에서는 상기 검색에 따른 착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IP어드레스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3135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착신측 전화번호를 참조로 착신측 단말기로 ISDN D채널의 이용을 통해 PPP 프로토콜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1d에 있어서 s2 절차에 있어 수행되는 동작이다. ISDN망의 이용으로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물리적 채널 형성 관점에 따른 것으로 실제로는 PPP 프로토콜의 구동에 따른 인터넷 연결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3136단계에서 상기 ISDN망을 통해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 즉 호 접속 요구를 전송한다. 이는 ISDN데이터 호를 통해 수행된다. 이 또한 그 전송 형태는 일반적인 발신자 번호 전송 형태로서 전송되며, 이의 번호는 상기 인터넷 폰 서버에 미리 등록되고 착신측 단말기에 있어서는 인터넷 폰 구동 명령에 따른 번호로 인식 처리된다. 상기 번호는 실시자에 의해 정의되어 지정된다. 그런 후, 3137단계에서는 상기 식별 번호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에 따라 착신측의 IP와 인터넷 폰 구동 정보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즉, 상기 ISDN 데이터 호에 응답하여 인터넷의 접속과 그에 따른 IP 어드레스 및 접속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 3138단계에서 상기 착신측의 IP어드레스와 상기 전송된 발신호의 응답에 따른 착신측의 호 처리 상태 정보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자신의 통화 연결 중재 역할을 종료하고, 필요에 따라 3139단계에서 연결 및 형성된 통화로의 연결 상태 체크 처리를 행한다.
착신측 단말기의 경우, 314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141단계에서 ISDN 데이터 호 착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142단계에서 발신자 번호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발신자 번호가 수신된 경우, 3143단계의 발신자 번호 디코딩 처리를 행하고, 314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발신자 번호가 인터넷폰 구동 요구에 따른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가 맞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렇지 않을 시는 일반의 ISDN 데이터호의 착신이 되므로 그에 따른 ISDN 데이터 호처리 동작을 행한다. 인터넷폰 구동 식별 번호가 맞는 경우, 3145단계에서 인터넷 접속과 그에 따른 인터넷폰의 구동을 행한다. 그리고 3147단계에서 자신의 IP 및 호 처리 상태를 상기 ISDN 데이터 호를 발신한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한다. 그런 후, 3148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훅 오프가 있는지, 즉, 전화를 받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훅 오프가 체크되면, 3149단계에서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3150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연결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되면 3151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3152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음성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이룬다. 이 상태 또한 발신측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 상태이다. 상기 통화로 또한 인터넷망을 통한 통화로가 된다. 3153단계에서 통화 종료 여부를 감지하고, 그러한 경우 3154단계에서 통화 해제를 처리한다. 그리고 3155단계에서 인터넷 접속 해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하고, 3156단계에서 인터넷 접속 해제를 이룬다. 상기 3155단계의 동작 또한 통화 수행 중이던 단말기가 통화 완료하였음의 통보 동작으로, 이를 수행함으로서 이후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착신측 단말기가 통화 완료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시스템의 동작 절차도이며, 도 5a, 5b, 5c는 상기 도 1e에 있어 도시된 절차의 수행을 위한 착발신측 ISDN단말기(20)와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의 제어 흐름도이다. 그리고 상기 도 1e 및 도 5a, 5b, 5c는 앞서 본 발명의 제5견지에 따른 목적의 달성을 구체적으로 이룸에 있어 제안된 실시 상태이다.
이의 전반적 동작을 첨부된 도 1e의 참조로 간략히 설명하면, 발신측의 호 시도에 있어(s1), 인터넷 폰 서버(40)는 착신측 단말기(2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착신측의 정보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발신측에 음성 메시지를 남기겠는가를 묻는 메시지를 발신측 단말기에 전송하고(s2), 이를 전송 받은 발신측 단말기는 발신 사용자에게 그 내용을 들려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인터넷 폰 서버에 전송하고(s3), 이에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여 등록한다. 이후 착신측 단말기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 폰 서버에 인터넷폰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였을 때(s4), 인터넷 폰 서버는 착신측 단말기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음을 통지하여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에게 자신에 해당하여 등록된 음성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고 단말기에 연결된 전화기의 벨을 발생 처리한다(s5). 사용자가 착신측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게 되면,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연결 신호를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하여(s6)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듣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 도 5c를 참조로 상기 음성 메시지 등록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발신측 단말기의 제어 동작 흐름이며, 상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버의 제어 동작 흐름이며, 상기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착신측 단말기의 제어 동작 흐름이다.
먼저, 발신측 단말기의 경우, 321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211단계에서 호 발신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212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을 행하고, 3213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착신측 전화번호, 그리고 자신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3214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음성 안내 메시지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경우는 상기 인터넷 폰 서버가 상기 호 발신 요구된 착신측 단말기로 여러 사정에 의해 통화 연결을 하지 못함에 따라 음성 메시지 저장을 요구함으로서 이루어지는 동작이다. 상기 3214단계에서 음성 안내 메시지 수신이 있는 경우, 3215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의 전화기를 통한 출력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그러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듣게 된다. 이의 내용은 착신측 사용자로 전달할 음성 메시지를 남기라는 내용이 될 것이다. 그러한 음성 안내 메시지 출력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의 입력이 있는 경우, 3216단계에서 입력된 음성을 음성 메시지로 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한다. 이는 바로 남기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의 녹음 과정이 된다. 그리고 3217단계에서 발신 종료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종료 처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신측 단말기로 남기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저장 등록시키게 된다. 이는 추후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로 전달되게 된다.
인터넷 폰 서버의 경우, 322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221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호 발신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착신측 전화번호, 발신측 IP 및 전화번호 정보의 수신 여부로서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222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32230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착신측 단말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착신측 IP의 등록 여부를 검색한다. 3224단계에서는 상기 검색에 따른 착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IP어드레스가 등록된 경우는 인터넷 폰 서비스에 따른 통화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그러하지 않은 경우, 3225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3226단계에서는 상기 전송된 음성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음성 신호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 즉,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3227단계에서 상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등록한다. 그리고 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3228단계에서 상기 등록된 음성 메시지의 해당되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3229단계에서 음성 메시지가 저장된 상태의 통보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3230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 전송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러한 경우 3231단계에서 상기 등록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로서 발신측 단말기가 저장한 음성 메시지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착신측 단말기의 경우, 324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241단계에서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3242단계에서 인터넷 접속과 그에 따른 인터넷 폰의 구동을 행한다. 그리고 3243단계에서 자신에게 음성 메시지 저장이 있는지에 대한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 정보의 전송이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244단계에서 착신벨의 발생을 처리하고, 3245단계에서 훅오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훅오프되면, 3246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음성 메시지 전송이 있는지 여부를 3247단게에서 판단한다. 음성 메시지 수신이 있는 경우, 3248단계에서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남겨진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도 1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시스템의 동작 절차도이며, 도 6a, 6b, 6c는 상기 도 1f에 있어 도시된 절차의 수행을 위한 착발신측 ISDN단말기(20)와 상기 인터넷 폰 서버(40)의 제어 흐름도이다. 그리고 상기 도 1f 및 도 6a, 6b, 6c는 앞서 본 발명의 제6견지에 따른 목적의 달성을 구체적으로 이룸에 있어 제안된 실시 상태이다.
이의 전반적 동작을 첨부된 도 1f의 참조로 간략히 설명하면, 발신측의 호 시도에 있어(s1), 인터넷 폰 서버(40)는 착신측 단말기(2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착신측의 정보를 갖고 있지 않거나, 혹은 착신측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에 있어 통화 불가 상태에 있는 경우, 이 상황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보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예약 통화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그의 사실을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통보하고(s2)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예약 통화를 등록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등록된 예약 통화시 까지의 시간을 카운트 하게 된다(s3). 그리고 추후에 있어 해당되는 착신측 단말기가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통화 중 상태의 호를 종료하면, 그러한 상태의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달한다(s4).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예약된 통화의 시작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착발신측 단말기 모두에게 전달하고(s5, s6), 그 결과로서 상기 착발신측 단말기는 착신벨을 동시에 발생한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상대 단말기로 이의 상태를 알리는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서 양측간의 통화로를 형성 처리한다(s7). 여기서의 예약 통화는 상호간의 시간 약속에 따른 예약 통화를 설명하고 있으나, 필용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실시가 된다. 이 경우에는 예약 통화 시간의 약속이나 지정이 없이 그 실시가 가능하다. 이의 실 예룰 설명하면, 발신자가 호 시도 할시 착신자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아 상호간의 통화가 불가할 시, 상기 발신자의 호 시도 사실을 인터넷 폰 서버로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자는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로 있게 되고-이는 무작정 통화를 기다리는 상태가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 혹은 인터넷 네비게이션 등의 동작을 행하고 있는 때 임-, 착신자가 인터넷으로 접속할 시 이의 예약 통화 사실을 알림으로 상호간의 통화가 즉시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
도 6a 및 도 6b, 도 6c를 참조로 상기 예약 통화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발신측 단말기의 제어 동작 흐름이며, 상기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버의 제어 동작 흐름이며, 상기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착신측 단말기의 제어 동작 흐름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는 시간 지정에 따른 예약 통화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 예로서는 발신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로 착신자의 인터넷 접속을 대기하는 상태에 있어, 착신자가 인터넷 접속할 시 즉시 통화를 연결하는 경우의 동작 또한 예약 통화로서 실시 실시된다.
먼저, 발신측 단말기의 경우, 331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311단계에서 호 발신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312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을 행하고, 3313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착신측 전화번호, 그리고 자신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3314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착신측 단말기의 통화 불가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이의 원인은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의 해당 IP어드레스가 상기 인터넷 폰 서버에 미등록된 경우, 또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에 있는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3315단계에서 예약 통화 모드 진입을 안내하고, 3316단계에서 예약 통화의 선택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약 통화를 선택한 경우, 3317단계에서 예약 통화 정보를 전송한다. 이는 시작 시각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3318단계에서는 상기 전송된 예약 통화 정보에 따라 등록된 예약 통화의 시작에 따른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의 예약 통화 시작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319단계에서 착신벨을 발생 처리하고, 3320단계에서 훅 오프 여부를 감지한다. 훅오프된 경우, 3321단계에서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3322단계에서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3323단계에서 착신측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3324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음성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이룬다. 이 상태는 바로 음성 통화 상태이며, 음성 신호의 압축 및 해제가 지속하여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상기 통화로는 인터넷 망을 통한 통화로가 된다. 3425단계에서 통화 종료 여부를 감지하고, 종료가 감지되면 3326단계에서 통화 해제를 처리한다. 별도 구체적 내용의 생략을 이루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인터넷 접속 해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하한 후 인터넷의 해제를 이루게 된다.
인터넷 폰 서버의 경우, 333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331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호 발신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착신측 전화번호, 발신측 IP 및 전화번호 정보의 수신 여부로서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332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3333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착신측 단말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착신측 IP의 등록 여부를 검색한다. 3224단계에서는 상기 검색에 따른 착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IP어드레스가 등록된 경우, 다시 착신측 단말기의 통화중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 중이 아닌 경우는 인터넷 폰 서비스에 따른 통화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상기 3334단계에서 착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가 미등록된 경우, 그리고 상기 3335단계에서 통화중 상태에 있는 경우, 3336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통화 불가 상태를 통보한다. 상기 통보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예약 통화 요구가 있는 경우, 3338단계에서 예약 통화를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예약된 시간이 되는지 여부, 또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또는 통화중 상태가 종료된 경우, 3340단계에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예약 통화 요구 안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통보한다. 그리고 예약 통화 시각 경과 여부를 3341단계에서 판단하고, 경과된 경우 3342단계에서 예약 통화의 시작 통보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 및 착신측 단말기 양측으로 전송한다. 여기서의 예약 통화 시작 통보는 상기 예약 통화 시각의 경과에 의해서도 가능할 것이지만, 단지 착신자의 인터넷 접속 여부에 따라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착신측 단말기의 경우, 3350단계의 대기상태에 있어 3351단계에서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3352단계에서 인터넷 접속과 그에 따른 인터넷 폰의 구동, 그리고 그에 따른 정보의 전송을 행한다. 그리고 3253단계에서 예약 통화 안내 통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러한 경우, 3354계에서 예약 통화 대기를 행한다. 3355단계에서 예약 통화 시작 통보가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통보가 감지되면, 3356단계에서 착신벨의 발생을 처리한다. 그리고 훅 오프 여부를 3357단계에서 체크하고, 3358단계에서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연결 확인 신호 전송이 있는지 여부를 3359단계에서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3360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3361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음성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이룬다. 이 상태 또한 바로 음성 통화 상태이며, 음성 신호의 압축 및 해제가 지속하여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상기 통화로는 인터넷 망을 통한 통화로가 된다. 3362단계에서 통화 종료 여부를 감지하고, 종료가 감지되면 3363단계에서 통화 해제를 처리한다. 여기에 있어서도 별도로 그 구체적 절차는 생략하였지만, 상기 통화 해제 처리에 있어 인터넷 접속 해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한 후 인터넷의 해제를 이루는 절차가 포함된다.
첨부된 도 1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ISDN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RAM(24)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메모리로서 기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송수신 및 발생되는 데이터 처리 메모리가 된다. 이는 통상 휘발성 메모리라 칭해진다.
ROM(25)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여러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이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구현되고, 시스템 정보 등 또한 저장한다.
POTS 인터페이스(21)는 POTS 인터페이스를 위한 코덱 및 가입자처리기(SLIC)의 기능 및 이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일반 전화기의 연결이 접속을 인터피이싱 한다.
중앙처리장치(22)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 수행의 동작 제어를 전반적으로 행한다. 이는 통상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어 그 자체는 연산, 누산 등의 기능을 신속히 처리한다.
ISDN 인터페이스(23)는 ISDN망의 접속을 이루고, ISDN교환기와 2B+D 채널 구조로서 접속된다. 이의 동작은 I.430 규약을 만족하며 그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ISDN 음성 호의 발신, ISDN데이터 호의 발신, 그리고 발신자 번호 등의 ISDN 망으로의 전송을 하위 레이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ISDN어플리케이션/프로토콜 처리부(260)는 본 발명에 따른 ISDN 망과의 ISDN 음성 호 발신, ISDN데이터 호 발신, 그리고 발신자 번호 등의 ISDN 망으로의 전송을 상위 레이어에서 처리한다. 이의 동작 상태는 규약 Q.921 및 Q.931에 의해 정해진다.
인터넷폰 어플리케이션/프로토콜 처리부(27)는 H.323 규약을 만족하도록 설계되며, 인터넷 폰의 구동 및 동작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PPP, TCP/IP 프로토콜 처리부(28)는 인터넷 접속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상기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레이어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의 접속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전송 처리가 이루어진다.
IP어드레스 및 ISDN전화번호 저장부(29)는 발신측 및 착신측 IP어드레스를 할당 받아 혹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는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로서 구현된다. 상기 저장된 IP어드레스와 전화번호를 통해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 인터넷 폰 정보의 저장 또한 이루게 된다.
도 1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버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RAM(44)는 상기 서버의 동작 메모리로서 기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송수신 및 발생되는 데이터의 임시 처리 메모리가 된다. 이는 통상 휘발성 메모리라 칭해진다.
ROM(45)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여러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이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구현되고, 시스템 운영 정보 등을 저장하기도 한다. 인터넷 인터페이스(43)는 인터넷과의 접속을 인터페이싱 하며, PPP는 TCP/IP 접속에 있어 PPP 프로토콜을 만족하도록 하여 그에 따라 데이터의 인터넷 전송 및 수신 처리를 행한다.
게이트 키퍼(49)는 H.323 규약에 따른 동작을 행하고, 이는 호 발신 시도, 사용자 인증 및 허가, 호 라우팅(Routing), 과금(Charging) 및 단말기 주소와 IP 주소간의 변환 등의 DNS 기능 등 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키퍼(49)의 기능을 통해 비 H.323 망과 H.323 망을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싱을 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키퍼(49)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며 상기 전화기의 호 요구에 따라 발신 요구되는 호를 필요한 해당 게이트웨이로 중재 처리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PSTN의 신호와 상기 H.323 망 신호간의 변환 처리, 즉 프로토콜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인터넷 망을 통한 실시간 음성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ISDN처리 인터페이스(42)는 I.430 및 Q.921, 그리고 Q.931 규약에 따른 ISDN 교??망으로의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 음성 및 데이터 호 발신 등의 동작 처리를 행한다. 이는 상기 인터넷 폰 서버와 ISDN 망의 상호 연동을 위해 적용된다.
IP어드레스 및 ISDN 전화번호 DB(46)는 착발신측의 IP어드레스와 ISDN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이들은 전달 및 미리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되는 인터넷 폰 구동 요구 명령식별 발신자 번호 또한 상기 DB(46)에 저장된다. 음성메시지 및 예약 통화 DB(47)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전달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예약 통화 상태 및 해당 시각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가 전화통화시 단말기가 인터넷 서비스 이용요금이 일반전화 접속보다 저렴한 경우에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도록 하고 인터넷 서비스 이용요금이 일반전화 접속보다 비쌀 경우에는 일반전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른 효과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요구할 시 인터넷 망의 이용 및 공중교환망의 이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통화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수행되는 전화 통화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망의 선택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 시 발신측 및 착신측 상호간의 실시간 통화 연결, 발신측에서 전달할 음성 메시지의 정확한 전달, 필요한 시간에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의 통화 연결 등 다양한 상황에 적합하게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효과이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효과는, 사용자가 일반 PC 및 그의 주변 장비들을 별도 구입하지 않고서도 공중교환망 용 전화기를 이용 상대적으로 저렴한 사용료를 갖는 인터넷 망을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이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른 효과는, 인터넷 망 및 공중교환망 상호간의 접속을 이루는 단말기의 구현과, 그러한 단말기를 이용 인터넷 폰 서비스를 통한 발신측의 통화 시도 요구에 착신측이 실시간으로 통화 응답을 행할 수 있고, 그러한 통화 응답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터넷 망을 통한 전화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화 품질의 향상과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효과이다.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른 효과는, 인터넷 망 접속에 따른 인터넷 폰 서비스를 통해 발신측의 통화 시도 요구가 있으면, 상기 요구에 착신측이 실시간으로 통화 응답을 행할 수 있고 그러한 통화 응답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터넷 망을 통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통화 품질의 향상과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효과이다.
본 발명의 제5견지에 따른 효과는, 인터넷 망 접속을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 시, 발신측의 통화 시도 요구에 착신측의 응답이 없어 전화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발신측이 착신측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착신측 또한 상기 전달된 음성 메시지를 인터넷 폰 서비스의 이용을 통해 정확히 확인 하여 발신측 및 착신측 상호간의 필요한 음섬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는 효과이다.
본 발명의 제6견지에 따른 효과는, 인터넷 망 접속을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의 수행시, 발신측의 통화 시도 요구에 착신측의 응답이 없어 전화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추후 지정된 시간 또는 착신측이 인터넷에 접속될 시 상기 발신측과 상기 착신측이 전화 통화를 실시간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증대시키는 효과이다.

Claims (63)

  1. 인터넷 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전화 접속 인터페이스를 내장시킨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신호값을 입력받아 해당신호값에 따른 수신측 단말기로 연결시키는 인터넷 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인터넷에 서로 접속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져 인터넷 폰 서버에 등록되고;
    상기 단말기는, 발신측으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인터넷 폰 서버로 송출하여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수신측의 정보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압축된 음성신호를 해제하여 음성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 되며;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등록된 IP주소와 전화번호를 관리하고 단말기의 호 요구를 수신측 단말기에 전달하며 등록되지 않는 수신측 단말기를 등록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시스템 및 그 방법.
  2.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상태에서 일반전화 접속 인터페이스를 내장시킨 단말기가 IP주소와 자신의 전화 번호를 인터넷 폰 서버에 등록하는 제1단계;
    발신측 단말기가 수신측 전화 번호를 인터넷 폰 서버에 출력시켰을 때 인터넷 폰 서버가 수신측 단말기에 발신측 IP주소와 번호를 전송하여 인터넷 폰이 연결되는 제2단계;
    수신측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응답하지 않을 때 인터넷 폰 서버가 발신측 단말기에 의해 전화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된 전화 번호로 인터넷 폰 서버와 일반전화 연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응답이 없을 경우 인터넷 폰 서버가 수신측 단말기에 PPP접속을 하여 인터넷 폰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를 인터넷 폰 서버에 전달하여 수신측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응답하지 않을 때 인터넷 폰 서버가 수신 단말기와의 교신에 따라 음성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통화하려는 상대측 IP주소를 알고 있을 때 인터넷 폰 서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전화기로 IP주소를 입력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응답하지 않을 때 추후 수신측 단말기가 인터넷 폰 서버에 IP주소와 전화 번호를 등록할 때 인터넷 폰 서버는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연결을 위한 신호를 보내고 양쪽 단말기는 링신호가 전화기에 울리도록 하여 음성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수신측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응답하지 않을 때 인터넷 폰 서버에 발신측 사용자의 메시지를 저장 추후 수신측 단말기가 인터넷 폰 서버에 IP주소와 전화 번호를 등록할 때 인터넷 폰 서버는 수신측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고 수신측 단말기는 링신호가 전화기에 울리도록 하여 음성 메시지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전화 접속방법.
  9.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인터넷 폰 구동과 그에 따른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 및 연결 확인 신호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참조로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호 발신 요구 및 인터넷 폰 접속 정보의 전송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를 검색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중교환망을 통해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요구하고,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 결과에 따라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 하는 인터넷 폰 서버와;
    인터넷 폰 구동 요구에 따른 공중교환망 호 착신의 감지 결과로서, 인터넷 폰 구동과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전송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 및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연결 확인 신호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참조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착신측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는,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접속 정보는,
    발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전송에 따라, 상기 인터넷 폰 서버의 호 발신 시도 확인에 따른 응답 정보 수신을 감지하면, 미리 정해진 종류의 호 시도음을 접속된 전화기로 발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전송에 따라, 상기 인터넷 폰 서버의 호 발신 시도 확인에 따른 응답 정보 수신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호 발신 요구된 착신측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공중교환망의 호 처리 동작 수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전송에 응답되어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호 발신 요구된 착신측 전화번호에 해당하여 공중교환망의 호 처리 동작 수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전송에 응답되어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접속된 전화기로의 링백톤 발생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사용자의 통화 종료 요구에 따라, 통화로 해제와, 인터넷 폰 접속 해제의 통보에 따른 인터넷 폰 접속 해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에 있어,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 검색 결과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IP어드레스의 등록 여부를 검색함으로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저장 등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의 수신에 따라, 호 발신 시도 확인에 따른 응답 정보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 검색 결과에 따라, ISDN음성 호 발신 및 미리 저장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의 전송을 통해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는,
    ISDN 음성호 발신에 따른 발신자 번호 형태로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는,
    ISDN 음성호 발신에 따른 UUI 형태로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 검색 결과에 따라, PPP 프로토콜에 따른 ISDN데이터 호 발신 및 미리 저장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의 전송을 통해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에 따라 전송되는 착신측 IP어드레스 및 인터넷 폰 구동 정보 수신을 감지하면, 상기 호 발신 요구에 따라 미리 등록된 발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는,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호의 응답이 전송되면, 상기 착신측의 인터넷 접속 정보 및 발신호에 대한 응답 상태 정보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인터넷 폰 구동 요구에 따른 공중교환망 호 착신이 감지되면, 상기 공중교환망 호를 해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미리 정해진 발신자 번호의 수신 여부를 통해 인터넷 폰 구동 요구에 따른 호 착신임을 확인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는,
    착신측 단말기의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전송된 인터넷 폰 접속 정보에 응답되어 전송되는 발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참조로, 자신의 착신 호 확인과 그 확인에 따라 착신 벨 발생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벨 발생에 응답하여 훅 오프가 감지되면,
    인터넷 폰 연결에 따른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3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전송된 인터넷 폰 접속 정보에 응답되어 전송되는 발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참조로, 자신의 착신 호 확인과 그 확인에 따라 발신 호의 응답 정보를 전송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3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 및 착신측 단말기는,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연결 확인 신호 수신에 따라 상대측 단말기로 자신의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33. 인터넷 폰 구동에 따른 인터넷 접속을 이루는 발신 및 착신측 단말기를 구비하며, 상기 두 단말기간의 통화로 연결을 중재하는 인터넷 폰 서버를 구비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있어,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인터넷 폰 구동과 그에 따른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인터넷 폰 서버에 있어,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호 발신 요구 및 인터넷 폰 접속 정보의 전송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를 검색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중교환망을 통해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요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 있어,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요구에 따른 공중교환망 호 착신의 감지 결과로서, 인터넷 폰 구동과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 있어, 상기 각 단말기로부터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 및 연결 확인 신호 수신이 상기 인터넷 폰 서버를 중재로 상호간에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참조로 상기 각 단말기간의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통한 착신측 단말기 전화번호, 발신측 단말기 IP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부터 전송되는 착신측 단말기 전화번호의 해당 IP어드레스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착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로의 공중교환망을 통한 호 발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호 발신에 따라 미리 지정된 인터넷 폰 구동 요구 발신자 번호를 상기 공중교환망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ISDN음성 호 발신 및 미리 저장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의 전송을 통해 인터넷 폰 구동을 요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는,
    ISDN 음성호 발신에 따른 발신자 번호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는,
    ISDN 음성호 발신에 따른 UUI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PPP 호 시도에 따른 ISDN 데이터 호 발신 및 미리 저장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의 전송을 통해 인터넷 폰 구동을 요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는,
    ISDN 데이터 호 발신에 따른 발신자 번호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번호는,
    ISDN 데이터 호 발신에 따른 UUI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공중교환망 호 착신에 따라 수신되는 발신자 번호와 미리 등록 저장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발신자 번호를 상호 비교하는 과정과,
    동일한 발신자 번호로 판단되면, 인터넷 폰 구동에 따른 인터넷 접속과,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단말기 어느 한 측의 통화 종료 요구에 있어,
    상기 두 단말기간의 음성 통화로를 해제한 후, 인터넷 접속 해제 정보를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인터넷 폰 구동과 그에 따른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음성 안내메시지 수신이 이루어지면, 음성 메시지 저장에 따른 음성 신호 입력을 처리한 후 호 발신을 종료 처리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호 발신 요구 및 인터넷 폰 접속 정보의 전송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미리 저장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저장 하고,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음성신호를 상기 착신측으로 전송 처리하는 인터넷 폰 서버와;
    인터넷 접속시 자신에 해당하여 저장된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가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전송되면, 착신벨 발생과 상기 착신 벨 발생에 응답하여 혹 오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착신측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5.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호 발신 요구에 따라 인터넷 폰 구동과 그에 따른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되어 착신측 단말기의 통화 불가 상태가 확인되면, 예약 통화 모드로 진입하여 예약 통화 대상의 지정과 예약 통화 서비스 등록을 요구하고, 이후 예약 통화 요구 메시지 수신에 따라 예약 통화 대상 착신측 단말기와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호 발신 요구 및 인터넷 폰 접속 정보의 전송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 및 통화중 상태 여부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예약 통화를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응답되어 예약 통화 서비스 등록이 있은 후, 상기 지정된 예약 통화 대상의 인터넷 접속에 따라 발신측 및 착신측 단말기 양 측으로 예약 통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터넷 폰 서버와,
    인터넷 접속시 상기 인터넷 폰 서버로부터 자신에 해당하여 예약된 예약 통화 등록 정보가 있고 예약 통화 요구 메시지의 전송이 있는 경우, 예약된 해당 발신측 단말기와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착신측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6.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호발신 요구 및 미리 지정된 특정 발신자 번호의 호 착신에 따라 인터넷 폰의 구동을 이루는 인터넷 폰 구동부와,
    인터넷 폰의 구동에 따라 통화 상대측 및 자신의 인터넷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전송부와,
    수신된 통화 상대측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참조로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통화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인터넷 폰 접속 정보의 수신 상태에 따라, 인터넷 폰을 통한 음성 통화로 형성 및 공중 교환망을 통한 음성 통화로 형성을 선택하여 처리하는 인터넷 폰/공중 교환망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부는,
    ISDN 음성호의 착신여부와, 그에 따라 수신되는 발신자 번호가 미리 지정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발신자 번호로 판독되면, 내장된 인터넷 폰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부는,
    ISDN 음성호의 착신여부와, 그에 따라 수신되는 UUI가 미리 지정된 인터넷 폰 구동 UUI로 판독되면, 내장된 인터넷 폰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부는,
    PPP 호 시도에 따른 ISDN 데이터호의 착신과, 그에 따라 수신되는 발신자 번호가 미리 지정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발신자 번호로 판독되는 경우, 내장된 인터넷 폰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1. 인터넷 및 공중교환망 상호 접속 단말기의 인터넷 폰 서비스 수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호발신 요구 및 미리 지정된 특정 발신자 번호의 호 착신에 따라 인터넷 폰의 구동을 이루는 인터넷 폰 구동 과정과,
    인터넷 폰의 구동에 따라 통화 상대측 및 자신의 인터넷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전송 과정과,
    수신된 통화 상대측의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참조로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음성 통화로 형성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통화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인터넷 폰 접속 정보의 수신 상태에 따라, 인터넷 폰을 통한 음성 통화로 형성 및 공중 교환망을 통한 음성 통화로 형성을 선택하여 처리하는 인터넷 폰/공중교환망 선택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과정은,
    ISDN 음성호의 착신여부와, 그에 따라 수신되는 발신자 번호가 미리 지정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발신자 번호로 판독되면, 내장된 인터넷 폰 구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과정은,
    상기 ISDN 음성호의 착신여부와, 그에 따라 수신되는 UUI가 미리 지정된 인터넷 폰 구동 UUI로 판독되면, 내장된 인터넷 폰 구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과정은,
    PPP 프로토콜에 따른 ISDN 데이터호의 착신과, 그에 따라 수신되는 발신자 번호가 미리 지정된 인터넷 폰 구동 식별 발신자 번호로 판독되는 경우, 내장된 인터넷 폰 구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인터넷 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터넷 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소정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폰 구동에 따른 호발신 요구 및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수신부와,
    상기 인터넷 폰 접속 정보에 있어 포함된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정보 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인터넷 접속 정보 검색부와,
    상기 인터넷 접속 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공중교환망을 통한 호 발신과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 요구를 위해 미리 지정한 발신자 번호를 전송하는 인터넷 폰 구동 제어부와,
    상기 수신된 발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정보와 상기 발신자 번호 전송에 응답하여 인터넷 폰 구동된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정보로서 상기 두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로 형성을 중재하는 인터넷 폰 통화로 형성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접속 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ISDN 음성호를 통한 호 발신과,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위해 미리 지정된 발신자 번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제어부는,
    상기 ISDN 음성호를 통한 호 발신과,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위해 미리 지정된 UUI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제어부는,
    PPP 프로토콜에 따른 ISDN 데이터 호의 발신과,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위해 미리 지정된 발신자 번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60. 인터넷 폰 서버의 서비스 수행 방법에 있어서,
    소정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폰 구동에 따른 호발신 요구 및 인터넷 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넷 폰 접속 정보 수신과정과,
    상기 인터넷 폰 접속 정보에 있어 포함된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정보 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인터넷 접속 정보 검색과정과,
    상기 인터넷 접속 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공중교환망을 통한 호 발신과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 요구를 위해 미리 지정한 발신자 번호를 전송하는 인터넷 폰 구동 제어과정과,
    상기 수신된 발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정보와 상기 발신자 번호 전송에 응답하여 인터넷 폰 구동된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정보로서 상기 두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로 형성을 중재하는 인터넷 폰 통화로 형성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제어과정은,
    상기 인터넷 접속 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ISDN 음성호를 통한 호 발신과,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위해 미리 지정된 발신자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제어 과정은,
    상기 ISDN 음성호를 통한 호 발신과,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위해 미리 지정된 UUI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 구동 제어 과정은,
    PPP 프로토콜에 따른 ISDN 데이터 호의 발신과, 착신측 단말기의 인터넷 폰 구동을 위해 미리 지정된 발신자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19012A 1999-09-09 2000-04-11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012A KR20000037194A (ko) 1999-09-09 2000-04-11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EP20000112942 EP1085734A3 (en) 1999-09-09 2000-06-20 Internet telephony system and method using public telephone network terminal adapters
JP2000187080A JP2001103155A (ja) 1999-09-09 2000-06-22 公衆交換網端末機を利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ホーン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DE2000139402 DE10039402A1 (de) 1999-09-09 2000-08-11 System und Verfahren zur Internettelefonie unter Verwendung von Terminaladaptern im öffentlichen Fernsprechnetz, Terminaladapter und in diesem verwendetes Verfahren sowie Internettelefonie-Server und in diesem verwendetes Verfah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367 1999-09-09
KR19990038367 1999-09-09
KR1020000019012A KR20000037194A (ko) 1999-09-09 2000-04-11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166A Division KR100348798B1 (ko) 1999-09-09 2000-04-29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194A true KR20000037194A (ko) 2000-07-05

Family

ID=2663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012A KR20000037194A (ko) 1999-09-09 2000-04-11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19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1994A1 (en) * 2000-03-20 2001-09-27 Intercon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mmunication
KR20020025449A (ko) * 2000-09-29 2002-04-04 박종덕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KR20030010996A (ko) * 2001-07-28 2003-02-06 이일민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387705B1 (ko) * 2001-06-04 200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2 시그널링과 h.323 시그널링의 정합 방법
US7586885B2 (en) 2004-02-18 2009-09-08 Nec Corporation VoIP wire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utilizing wireless LAN
KR100942469B1 (ko) * 2008-05-02 2010-02-12 (주)인에이지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24391B1 (ko) * 2020-05-18 2021-11-11 (주)누리보이스 발신자 단말기의 등록전화번호정보를 사용해 ip 폰에서 전화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1994A1 (en) * 2000-03-20 2001-09-27 Intercon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mmunication
KR20020025449A (ko) * 2000-09-29 2002-04-04 박종덕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KR100387705B1 (ko) * 2001-06-04 200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2 시그널링과 h.323 시그널링의 정합 방법
KR20030010996A (ko) * 2001-07-28 2003-02-06 이일민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7586885B2 (en) 2004-02-18 2009-09-08 Nec Corporation VoIP wire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utilizing wireless LAN
KR100942469B1 (ko) * 2008-05-02 2010-02-12 (주)인에이지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24391B1 (ko) * 2020-05-18 2021-11-11 (주)누리보이스 발신자 단말기의 등록전화번호정보를 사용해 ip 폰에서 전화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9031B2 (ja) 通話者情報表示方式
KR100466736B1 (ko) 컴퓨터네트워크전화시스템의서버
JP3453139B2 (ja) 通信を支援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643498B2 (en) Private dialing plan for voice on a packet-based network
EP1589739B1 (e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calling method
US9264544B2 (en) Automated attendant multimedia session
US20050232250A1 (en) Scalable voice over IP system providing independent call bridging for outbound calls initiated by user interface applications
US72125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of station group i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exchange system
JP2001504314A (ja) 第2端末の識別信号をインターネットを介して与える2段階ダイヤル接続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RU225248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онального сигнала вызова
US20050143057A1 (en) Method for forwarding call from cellular phone to IP phone
US7289618B2 (en) Method for performing external call forwarding between internet and telephone network in web-phone system
KR20000037194A (ko)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48798B1 (ko) 공중교환망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폰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US74746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lsively receiving multi-calls over internet protocol phones i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
EP1054569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across a telephone network and an IP network
JP4864999B2 (ja) 発信者情報通知要請サービスシステム、セッション制御サーバ、呼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19327B1 (ko) IP망 발신 유선망 착신 VoIP 서비스의 음성메시지전달방법
KR101190347B1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1103155A (ja) 公衆交換網端末機を利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ホーン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190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feature
JP4135466B2 (ja) 通信システム
JP2004129157A (ja) 電話装置
JP2843335B2 (ja) 不在内線加入者による外部端末からの加入者呼出方法
JP3193932B2 (ja) 構内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