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224A -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224A
KR20000036224A KR1019997002286A KR19997002286A KR20000036224A KR 20000036224 A KR20000036224 A KR 20000036224A KR 1019997002286 A KR1019997002286 A KR 1019997002286A KR 19997002286 A KR19997002286 A KR 19997002286A KR 20000036224 A KR20000036224 A KR 20000036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support member
side support
wall
wait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017B1 (ko
Inventor
찰스오스틴 앤젤
스콧더블유. 드마리스트
폴이. 퍼너
Original Assignee
프랭크 제이. 윌리엄 삼세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715,558 external-priority patent/US5802761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787,558 external-priority patent/US5960585A/en
Application filed by 프랭크 제이. 윌리엄 삼세,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프랭크 제이. 윌리엄 삼세
Publication of KR2000003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및 목표 곤충에 미끼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끼 스테이션(10)은 베이스(12)와, 베이스(12)에 결합된 커버(14)를 포함한다. 베이스(12)는 미끼 컵 벽을 갖는 미끼 컵(16)을 포함한다. 사이드 지지부재가 미끼 컵 벽의 높이 위에서 상부로 연장된다. 커버(14)는 쉘 벽(32)과 미끼 컵 벽(20) 사이에서 통로(34)를 한정한다. 또한, 쉘(30)은 쉘 벽(32)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는 루프(40)를 포함하고, 루프(40)는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일측이 한정되고, 쉘 벽에 의해 타측이 한정된다. 대기실 플로어는 통로 플로어와 연속적이다. 대기실 도어는 목표 곤충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대기실을 개방하고,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컵으로의 직선 접근은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쉘 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목표 곤충이 통로로 진입하는 것에 의해 사이드 지지부재를 피하면서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스테이션으로 진입하므로써, 미끼 컵에 담겨진 미끼로 접근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미끼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미끼 컵 내에 선택된 미끼를 제공하며, 목표 곤충이 기어 다니는 장소에 미끼 스테이션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Bait station for crawling insects}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로 알려진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은 다양한 지형적 형상과 미끼 스테이션을 둘러싸는 그러한 형상들을 연결하는 커버를 갖는 베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예들은 우드러프 등의 미국특허 제4,536,836호; 브랜들리의 미국특허 제4,894,947호 및 제5,048,225호; 모리스의 미국특허 제4,485,582호; 마레스의 미국특허 제Des.306,895호 및 제Des.326,890호; 위스만의 미국특허 제4,782,612호; 젠털의 미국특허 제4,793,093호; 데마레스트의 미국특허 제4,823,506호 및 제4,837,969호; 린의 미국특허 제5,357,709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록은 결코 포괄적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며 단순히 수집된 기술이다.
보통, 비록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이러한 미끼 스테이션들은 미끼 스테이션의 베이스의 부품으로서 단일 부재로 형성된 벽들이나 통로들과 같은 형상들을 채용한다. 이러한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는 이러한 구조들을 상당히 차단하지 않으면서 연결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우드러프 등의 미국특허 제4,563,836호는 이러한 구조의 한 예로서, 우드러프 등의 곤충 피딩 스테이션의 베이스부는 곤충들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들을 갖는 아우터 및 인너 벽들을 포함한다. 우드러프에서는, 이러한 모든 형상들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편평하고 변형가능한 시트(sheet)와 같은 단일 부재로 형성된다. 우드러프 등의 커버는 이러한 형상들을 연결한다. 커버의 모든 부분들은 벽내에 형성된 개구부들의 플로어(floor) 상부에서 상승된 웰(well)로 남고, 곤충들이 막힘없이 충분히 통과할 수 있도록 이러한 개구부들을 남겨둔다. 상대적으로 얕은 림을 제외하고, 우드러프 등의 커버 그 자체는 편평하고 특징없는 구조가 일반적인 것으로서, 상기된 미끼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자명한 배열이다.
데마레스트의 미국특허 제4,837,969호의 미끼 스테이션은 다른 접근을 이용한다. 데마레스트의 '969'에서는, 베이스는 상부로 돌출된 수 개의 형상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단순히 편평한 것 대신에 커버는 미끼 스테이션의 외측벽을 커버의 부분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데마레스트 '969'의 커버는 베이스의 하부 구조와 맞추어지고 상호작용하는 쉘(shell)을 구성한다. 데마레스트 '969'의 미끼 스테이션에서 곤충이 진입하는 도어는 베이스로부터 상승하는 벽들의 갭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대신에 커버의 쉘부내에 있는 구멍들이 된다.
데마레스트 '969'와 같은 미끼 스테이션의 커버는 소정의 상부 하중에 의해서 붕괴되지 않고 지탱될 수 있어야 한다. 미끼 스테이션의 비용 절감을 위해, 쉘을 이루는 얇은 벽들은 제조시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얇은 벽들은 그들의 강도와 분쇄 저항이 감소된다.
도 2의 도면부호 14로 도시된 데마레스트 '969'의 인너 벽들은 베이스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커버를 지지하는 용도로 제공된다. 데마레스트 '969'의 미끼 스테이션의 기하학적 형상은 이러한 벽들이 횡으로 연장되고 중앙의 웰(18:도 2에 도시됨)로부터 커버의 최외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은 데마레스트 '96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커버의 멀티-로브(multi-lobed) 형상에 적용된다. 따라서, 데마레스트 '969'의 커버는 얇으면서 상대적으로 신축적이어서, 미끼 스테이션의 미끼 웰을 적당한 폭으로 연결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커버의 각 로브를 다시 나누게 되고, 따라서 미끼 스테이션의 내부 주변을 배회하는 곤충의 이동을 막게 된다.
종래의 미끼 스테이션에서 추가로 요구되는 것은 미끼 스테이션내에서 쉘 내부에 형성된 도어를 통해 유입된 곤충들을 유인 위해서 미끼 스테이션이 계속 준비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해서, 적당한 분쇄 저항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큰 거리를 연결할 수 있는 쉘을 지지하는 횡으로 연장된 구조들을 갖는 베이스와 결합되는 용도로만 오직 사용되고 얇은 재질로 제작된 쉘을 갖는 커버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미끼 스테이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어 다니는 곤충용으로 적용되는 곤충 미끼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묶여진 커버를 포함하는 기어 다니는 곤충을 목표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으로 요약된다. 베이스는 선택된 미끼가 담겨진 미끼 컵을 포함하고, 미끼 컵은 중앙 플로어를 갖는데, 중앙 플로어는 그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곤충이 오를 수 있는 미끼 컵 벽에 의해 둘러싸인다. 또한, 베이스는 미끼 컵의 말단에 인접한 주변 플로어를 포함하는 주변 플랜지를 포함한다.
커버는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에 부착된 커버 플랜지를 갖고, 또한 베이스의 주변 플로어 높이로부터 상승하는 벽을 갖는 쉘도 갖는다. 쉘 벽의 내부 표면들은 미끼 컵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표면으로 목표된 곤충들이 배회하는 것을 충분히 허용하는 폭을 갖는 통로 플로어를 그들 사이에 갖는 통로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쉘은 컵 벽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쉘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는 루프를 포함하여, 목표 곤충들은 미끼 컵 벽을 타고 기어올라가서 그 내부에 담겨진 어떠한 미끼로 접근하는 것이 달성된다.
커버와 베이스 중의 하나에는 미끼 컵 벽을 따라 횡으로 연장되어 커버와 베이스간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최소한 하나의 사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루프는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쉘의 한 부분은 대기실의 쉘 벽을 구성하는 사이드 지지부재와 대향되면서 같이 연장되고, 사이드 지지부재와 대기실 쉘 벽은 그들 사이에서 대기실을 한정한다. 대기실은 통로 플로어와 이어진 대기실 플로어의 통로를 향해 개구된다.
대기실은 쉘 벽으로 개구된 최소한 하나의 대기실 도어를 갖고, 대기실 도어는 목표 곤충을 입장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대기실 도어는 사이드 지지부재와 연관되게 위치하여서, 대기실 도어를 통해서 미끼 컵으로 접근하는 직선 통로가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와 쉘 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목표 곤충이 사이드 지지부재를 피하여 통로로 진입하는 것에 의해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스테이션으로 진입하므로써, 미끼 컵 내의 어떠한 미끼로 접근하는 것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묶인 커버를 포함하는 목표 곤충들인 기어 다니는 곤충들용 미끼 스테이션으로 요약되고, 베이스는 선택된 미끼가 담겨진 미끼 컵을 포함하며, 미끼 컵은 중앙 플로어를 갖는데, 중앙 플로어는 그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곤충이 기어오를 수 있는 미끼 컵 벽으로 둘러싸인다. 또한, 베이스는 미끼 컵의 말단에 인접하는 주변 플로어를 포함하는 주변 플랜지를 포함한다. 최소한 하나의 사이드 지지부재가 미끼 컵 벽의 높이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미끼 컵 벽을 따라 횡으로 연장된다.
커버는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에 부착된 커버 플랜지를 포함하고, 또한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를 둘러싸면서 그 높이로부터 상승하는 쉘 벽을 갖는 쉘을 포함한다. 쉘 벽은 미끼 컵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표면으로 목표 곤충들이 배회하는 것을 충분히 허용하는 폭을 갖는 통로 플로어를 그들 사이에 갖는 통로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쉘은 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고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루프를 포함하고, 루프는 미끼 컵 상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서, 목표 곤충들은 미끼 컵 벽을 타고 기어올라가서 미끼 컵내에 담겨진 어떠한 미끼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미끼 스테이션은 최소한 사이드 지지부재 정도로 길면서,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일측이 한정되고, 쉘 벽의 내부 표면에 의해 타측이 한정되는 대기실을 포함한다. 대기실은 통로 플로어에 이어지는 플로어를 갖는다. 대기실을 개방하는 최소한 하나의 대기실 도어는 쉘 벽 내부에 위치하고, 목표 곤충이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대기실 도어는 사이드 지지부재와 연관되게 위치하여서,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컵으로의 직선 접근이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쉘 벽 사이에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목표 곤충이 사이드 지지부재를 피하여 통로로 진입하는 것에 의해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스테이션으로 진입하므로써, 미끼 컵 내의 어떠한 미끼로 접근하는 것이 달성된다.
사이드 지지부재의 소정 위치에서 쉘 벽의 한 부분은 대기실 쉘 벽을 구성한다. 대기실 쉘 벽의 한 부분이 대기실 쉘 벽의 일측상에 대기실 쉘 벽의 부분들과 상대적으로 멀게 대신 위치하여서, 대기실 쉘 벽이 추력 벽 구역(thrust-out wall section)을 한정하게 된다. 대향된 대기실 쉘 벽과 미끼 컵 벽 부분 사이의 공간이 대기실을 한정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또한 미끼 컵의 말단과 인접한 주변 플로어와, 이 주변 플로어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단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주변 플랜지를 포함하고, 단부 지지부재는 루프 멈춤쇠를 갖는다. 커버는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에 부착된 커버 플랜지를 가지면서 쉘을 포함한다. 쉘은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를 둘러싸면서 그 높이로부터 상승하는 쉘 벽을 포함하고, 쉘 벽은 배회하는 목표 곤충들의 진입을 허용할 정도의 충분한 폭으로 이루어진 통로 플로어를 그들 사이에 갖는 통로를 한정하도록 미끼 컵 벽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는 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고 미끼 컵 벽의 상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서, 목표 곤충들이 미끼 컵 벽을 타고 올라가서 미끼 컵내의 미끼에 접근하게 된다. 또한, 루프는 단부 지지부재에 대해서 루프를 이동시키지 않도록 단부 지지부재의 루프 멈춤쇠에 치합된 로케이터 리브(locator ri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기어 다니는 곤충들을 유인하는 미끼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요약되고, 상기된 미끼 스테이션에 따라 미끼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미끼 컵내에 선택된 미끼를 놓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목표 곤충들이 기어 다니는 소정의 장소에 미끼 컵을 위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곤충 미끼 스테이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베이스와 커버를 나타낸 도 1의 곤충 미끼 스테이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베이스의 저면을 나타내기 위해 가상적으로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에 대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과 비교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베이스를 사용하는 곤충 미끼 스테이션을 도 3의 우측면과 상응하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도면부호가 매겨지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곤충 미끼 스테이션은 도 1에서 도면부호 10으로 도시된다. 곤충 미끼 스테이션(10)은 바퀴벌레와 개미 등과 같은 기어 다니는 곤충용이지만, 반드시 바퀴벌레나 개미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기술될 부분들의 크기는 목표 곤충의 관점에서 기술되므로, 목표 곤충의 타입과 크기는 알려진 바대로 추정된다.
미끼 스테이션(10)은 베이스(12)와 커버(14)를 가지며, 커버는 베이스에 결합된다. 베이스(12)와 커버(14)는 플라스틱을 열성형, 사출 성형, 또는 플라스틱의 얇은 벽을 제조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익숙한 다른 방법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12)는 도 2에 보다 용이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 컵(16)을 포함한다. 미끼 컵(16)은 선택된 미끼(미도시)용 컨테이너 용도로 제공된다. 미끼 스테이션(10)의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미끼들이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데, 보통 원하는 목표 곤충을 노출되도록 하는 살충제 또는 다른 재질을 포함한다.
미끼 컵(16)은 중앙 플로어(18)를 갖는다. 중앙 플로어(18)는 곤충이 기어오르는 것이 가능한 미끼 컵 벽(20)으로 둘러싸인다. 미끼 컵 벽(20)은 중앙 플로어(18)로부터 선택된 거리만큼 위로 연장된다.
또한, 베이스(12)는 주변 플랜지(22)를 포함한다. 주변 플랜지(2)의 부분은 주변 플로어(24)를 지정하기 위해서 미끼 컵(16)과 인접하면서 멀다. 미끼 컵(16)으로부터 외측으로 주변 플로어(24)의 폭은 낮게 한정된다.
최소한 하나의 사이드 지지부재(26)가 베이스로부터 미끼 컵 벽(20)의 최상 연장부 상의 어느 한 지점까지 연장된다. 사이드 지지부재(26)는 미끼 컵 벽(20)을 따라 횡으로 연장된다.
미끼 컵 벽(20)은 도면들에 도시된 원형을 포함하는 편리하고 차단된 기하학적 형상을 한정하는데, 이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 곡선 형상;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른 직선형 형상; 또는 직선과 곡선면이 결합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만일, 사이드 지지부재가 미끼 컵 벽으로부터 등거리 사이를 포함하거나 등거리 사이에서 변화하는 소정 방향으로 횡으로 연장되고, 미끼 컵 벽 방향으로 구부려지며, 사이드 지지부재의 길이 범위, 바람직하게는 길이 범위의 중간에서 취한 미끼 컵 벽의 구배와 평행하다면, 사이드 지지부재(26)가 횡으로 연장되었다는 것은 미끼 컵 벽(20)을 따라 연장되었다고 간주될 것이다.
커버(14)는 커버 플랜지(28)를 갖는다. 커버 플랜지(28)는 베이스(12)의 주변 플랜지(22)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은 아교, 열가소성 플라스틱 용접, 리벳팅, 스태플링, 다른 기구적 수단, 또는 당업자들 사이에 공지된 많은 예들로부터 선택된 다른 편리한 방법이 사용될 수가 있다.
커버(14)는 쉘(30)을 포함한다. 쉘(30)은 쉘 벽(32)을 포함한다. 쉘 벽(32)은 베이스(12)의 주변 플로어(24)를 둘러싸면서 그 높이로부터 상승한다. 따라서, 주변 플로어(24)는 미끼 컵 벽(20)과 쉘 벽(32) 사이로 연장된다.
쉘 벽(32)은 전술된 바와 같이 미끼 컵 벽(2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베이스(12)의 주변 플로어(24)를 포함하는 통로 플로어(36)를 쉘 벽(32)과 미끼 컵 벽(20) 사이에 갖는 통로(34)를 한정하게 된다. 통로(34)는 도 4 및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한 예로 도 5에서, 통로(34)는 가상으로 도시된 쉘 벽(32)의 부분과 밑에 있는 미끼 컵 벽(20) 사이의 공간을 점유한다.
통로(34)는 그 상부를 배회하는 목표 곤충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의 충분한 폭을 갖는다. 통로 플로어(36)는 편평하거나 또는 베이스(12)의 주변 플랜지 높이로부터 미끼 컵 벽(20)의 최상층 연장부 높이측으로 연결하는 다른 외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예로, 도면부호 10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램프(38:ramp)는 주변 플로어(24)에 포함되어 주변 플로어(24)의 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주변 플랜지(22)의 높이에서 미끼 컵 벽(20)의 최상층 연장부를 향해 위를 향하게 된다. 목표 곤충들이 미끼 컵 벽(20)을 기어 오를 수 있는 한도내에서, 통로 플로어의 정확한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램프(38)는 미끼 컵 벽(20)을 지탱하여 이 벽(20)에 원하는 강도를 부가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쉘(30)은 루프(40)를 포함한다. 루프(40)는 쉘 벽(3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면서 차단하고, 쉘 벽(32)과 함께 하나로 이루어진 연속적이 된다. 사이드 지지부재의 횡으로 연장된 부분 때문에, 루프(40)는 사이드 지지부재(26)에 지지될 수 있으면서, 약간 떨어진 위치보다 더 연장된 거리에서 지지를 받는다. 목표 곤충들이 미끼 컵 벽을 기어올라 미끼 컵(16)내에 담겨진 미끼에 도달할 수 있도록, 루프(40)는 미끼 컵 벽(20)의 최상층 연장부 상부와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대기실(42)이 사이드 지지부재(26)가 바람직한 방위를 향할 때 제공되는데, 최소한 사이드 지지부재(26)의 길이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실(42)은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대기실(42)의 일측은 사이드 지지부재(26)에 의해 한정되고, 타측은 쉘 벽(32)의 외측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대기실(42) 내부에서 차단된 주변 플로어(24)의 한 부분은 통로 플로어(36)와 연속적이 되는 대기실 플로어(44)를 형성한다.
대기실(42)은 하기와 같이 변경될 수도 있다. 여하튼 사이드 지지부재(26)의 폭 정도로 최소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쉘 벽(32)의 한 부분이 대기실 쉘 벽(54)을 구성한다. 사이드 지지부재(26) 위치에서의 미끼 컵 벽(20)과 대기실 쉘 벽(54)이 그들 사이에서 대기실(42)을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대기실 쉘 벽(54)의 부분들이 대기실(42)의 일측 상에 인접하게 쉘 벽(32)의 부분들과 상대적으로 멀게 대신 위치되어, 대기실 쉘 벽(54)이 추력 벽 구역을 포함한다. 그밖에, 대기실 쉘 벽(54)과 사이드 지지부재(26) 사이의 대기실(42)내로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서 사이드 지지부재(26)를 포함하는 요구 공간에 적합하면서 사이드 지지부재의 방위에 의존하는 구조를 제공한다면, 이 형상은 위로부터 인가되는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쉘 벽(32)내의 횡적 기복이 도입되는 잇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대기실(42)을 개방하는 대기실 도어(46)는 대기실 쉘 벽(54)을 구성하는 쉘 벽(32) 부분내에 제공된다. 대기실 도어(46)는 목표 곤충의 진입을 허용할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사이드 지지부재(26)가 바람직한 위치에 있을 때, 대기실 도어(46)는 사이드 지지부재(26)와 관련되게 위치되어서, 대기실 도어(46)를 통해서 미끼 컵(16)으로 향하는 직선 진입이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차단 또는 최소한 제한된다. 이러한 방향으로 사이드 지지부재(26)가 위치하고 있으면, 대기실(42)은 사이드 지지부재(26)로부터 대기실 쉘 벽(54)으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대기실 챔버(46)를 통해 미끼 스테이션(10)으로 진입하는 목표 곤충이 통로(34)를 진입하면서 사이드 지지부재를 피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미끼 컵 벽(20)을 타고 오르는 것에 의해 미끼 컵 벽(16)에 담겨진 미끼에 접근하는 것이 달성된다.
도면들에서, 사이드 부재(26)는 미끼 컵(16)의 양측으로 대향,배치된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끼 컵 벽(20)에 대해서 사이드 지지부재(26)의 정확한 위치와 수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미끼 스테이션(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이드 지지부재(26)는 미끼 컵(16) 측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미끼 컵 벽(20)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서, 미끼 컵(16)을 향하는 사이드 지지부재(26)의 표면들이 미끼 컵 벽의 내측 표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이 된다. 그러나, 사이드 지지부재(26)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미끼 컵 벽(16) 내부, 측부, 또는 분리되어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사이드 지지부재(26)의 위치는 베이스(12)를 제조하는데 편리한 잇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 위치가 주형으로부터 사출된 복잡하지 않은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배열은 사이드 지지부재(26)의 일측 하부에서 연속적이고 일반적인 수직 부재를 제공하는 미끼 컵 벽(20)을 허용하여, 위로부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으로부터 분쇄에 대한 원하는 저항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이드 부재(26)는 곤충 미끼 스테이션(10)의 중심에서 더욱 벗어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도시된 위치가 대향되는 사이드 부재(26)들간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하부로부터의 지지없이 루프(40)로만 연결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루프(40)는 최소한 하나의 단부 지지부재(4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지지부재(48)는 사이드 지지부재(26)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베이스(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서 루프(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미끼 스테이션(10)은 서로 다른 위치, 바람직하게는 미끼 컵(16)의 측부에 대향,배치된 2개의 사이드 지지부재(26)를 가지면서, 미끼 컵(16)은 사이드 부재에 결합되고. 사이드 부재는 2개의 대기실(42)를 가지며, 각 대기실은 대기실 도어(46)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소한 하나의 단부 지지부재(48)가 사이드 지지부재(46)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사이드 지지부재(26) 사이에서 대향되게 이격배치된 2개의 단부 지지부재(48)가 포함되어서, 루프(40)는 단부 지지부재(48)들과 사이드 지지부재(46)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부재(26)와 단부 지지부재(48)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 컵(16)의 가장자리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미끼 컵 내부 또는 미끼 컵으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었건 간에, 미끼 컵 벽(20)에 대해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가 있다. 단부 지지부재(48)용으로 도시된 위치가 갖는 잇점은 사이드 지지부재(26)용으로 도시된 위치에 대해 논의된 잇점과 일치한다.
곤충 미끼 스테이션(10)의 입체적 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목적으로, 루프(40)는 사이드 지지부재(26)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향으로 연장되어서 사이드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로케이터 리브(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지지부재(26)에 대한 로케이터 리브(50)의 관계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고, 도 4로부터 쉽게 식별된다.
만일 미끼 스테이션(10)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사이드 지지부재(26),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부 지지부재(48)를 포함한다면, 로케이터 리브(50)는 각 사이드 지지부재와 각 단부 지지부재에 매우 인접하게 통과하여 이러한 구조물에 대해서 루프(40)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케이터 리브(50)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40)내에 형성된 채널(51)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된 연속적인 단일물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터 리브(50)는 미끼 스테이션(10)의 중간을 향해 내측이 마주보는 사이드 지지부재(26)와 단부 지지부재(48)의 측부상에 배치된 연속적인 단일 구조물이다. 이러한 배치는, 미끼 스테이션(10)이 조립될 때, 사이드 및 단부 지지부재(26,48)에 대해 쉘(30)의 중심을 자동적으로 잡는데 있어서 부가적 잇점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범주에 속하는 범위에서는, 로케이터 리브(5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이드 지지부재(26)나 단부 지지부재(48)에 매우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오직 요구된다. 따라서, 로케이터 리브(50)는 도면들에 도시된 연속적인 채널(51)이거나, 또는 다른 대안으로 명기된 위치들에서 하부로 연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들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로케이터 리브(50)는, 만일 로케이터 리브가 사이드 지지부재와 단부 지지부재 사이의 루프내에서 단순히 중앙의 내리누르는 영역이었다면, 도면들에 도시된 채널(51) 대신으로 달성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드 지지부재 또는 단부 지지부재 또는 그것의 표면이나 부분과 같이 다른 구조물의 "측부에", "바로 옆에", "인접하게", 또는 "매우 인접하게" 위치되었다고 언급된 로케이터 리브는 그 구조, 표면, 또는 부분과 접촉되거나, 또는 곤충 트랩을 사용하는 성인의 손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쉘이 구부러질 때 접촉이 일어날 정도로 충분히 인접하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로케이터 리브(50)는 루프(40)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로케이터 리브(50)는 다른 대안으로 미끼 스테이션(10)의 내부를 향해 하향으로 개구된 그루브(미도시)로 나타내어지도록,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사이드 지지부재(26) 또는 단부 지지부재(48)의 부분들이 그루브의 내측을 구속하기 위해 하부로 연장하는 한, 이러한 다른 배치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로케이터 리브"란 용어는 양측 방안 모두를 포함한다고 이해될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고로 하여, 미끼 스테이션이 대향되는 단부 지지부재(48)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는 대향되는 사이드 지지부재(26)를 포함할 때,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 또는 단부 지지부재와 결합된 로케이터 리브(50)는 미끼 컵(16)을 향해 마주보는 사이드 지지부재와 단부 지지부재의 표면들에 인접하게 배치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배치는 베이스(12)에 대해 소정 방향으로 루프(40)의 횡적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한다. 더욱이, 이러한 배치는 조립중에 베이스(12:그리고 구체적으로 사이드 및 단부 지지부재(26,28))상에 커버(14:그리고 구체적으로 쉘(30))을 직접 위치시켜서 중심이 자동적으로 일치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다른 방안으로, 로케이터 리브(50)는 미끼 컵(16)으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표시되는 사이드와 단부 지지부재의 표면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이러한 2개의 다른 배치 결합들도 또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단부 지지부재(48)의 강도를 위해 매우 바람직한 단부 지지부재(48)의 실시예 2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과 직접적으로 상응하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형상들에 유사한 도면부호가 주어질 것이고 또한 별도로 기술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단부 지지부재(48)의 구현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는 관계에서 로케이터 리브(50)를 수용하도록 적용된 루프 멈춤쇠(49)를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로케이터 리브(50)의 구현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루프 멈춤쇠(49)는 로케이터 리브를 수용하도록 적용된 상부가 개구된 노치이다. 만일 로케이터 리브(50)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된 대안 배치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그루브를 나타낸다면, 루프 멈춤쇠(49)는 하부가 개구된 그루브를 구속하도록 적용된 상부로 돌출된 구조가 될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루프(4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단부 지지부재(26)에 대해 루프(40)의 횡적 이동을 제한한다. 만일, 도면드에 도시된 채널(51)과 같이 로케이터 리브(50) 자체가 횡으로 연장되었다면, 이때의 로케이터 리브(50)는 루프(4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들보(beam)로 작용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곤충 미끼 스테이션의 구현은 본 발명을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사이드 지지부재(26)의 다른 구현은 보다 큰 곤충 미끼 스테이션용으로 특히 잇점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현은 사이드 지지부재(26)가 미끼 컵 벽(20)을 따라 횡으로 연장되지 않는 다른 방안이 채용된다. 즉, 사이드 지지부재(26)는 쉘 벽(32)을 향해, 바람직하게는 대기실(42)내에서, 미끼 컵의 근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위로 배치된 사이드 지지부재(26)는 쉘 벽(32)의 마주보는 내측 표면들과, 로케이터 리브(50)의 마주보는 외측 표면들, 또는 모두에 접촉될 것이고, 이는 루프(40)를 양쪽에서 지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사이드 지지부재에 대해 쉘(30)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효과도 있다. 만일 대기실(46)이 포함된다면,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26)의 일측에 위치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미끼 컵(16)은 라운드, 타원, 정사각형, 또는 곡선면 또는 직선면 또는 곡선면과 직선면 모두를 갖는 다른 편리한 기하학적 형상이다. 유사하게, 쉘(30)도 언급된 형상들의 어떠한 변형으로 추정될 수 있다. 미끼 컵(16)과 쉘(30)은 일반적으로 중심이 일치하고 상응하는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을 갖는다. 오직 예를 통해서 일반적으로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쉘이 라운드 또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미끼 컵에 다른 대안으로 사용될 수가 있는데, 다만 미끼 컵의 폭에 대한 길이의 비율이 쉘의 폭에 대한 길이의 상응하는 비율과 달라야 한다.
따라서, 도면들에 도시되고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이드 지지부재(26)와 단부 지지부재(48)는 베이스(12)의 형상에 따라 단위별로 형성된다. 그러나, 좀더 일반적으로 이해한다면, 이러한 구조들은, 커버(14)의 단일 특징적 형상과 같이, 커버에서 베이스(12)측으로 하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이드 지지부재(26)와 단부 지지부재(48)는 커버(14) 또는 베이스(12)의 특징적 형상으로 좀더 일반적으로 기술될 수 있다. 이 특징적 형상이란 커버와 베이스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고, 루프(40)가 지지부재들에 의해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앞서 정의된 "일반적으로 따라서"란 용어와 같이 미끼 컵 벽(20)을 따라 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사이드 지지부재를 갖는다는 것을 말한다. 커버(14)로부터 하향 연장되었다면, 이러한 특징적 형상은 베이스에 대해서 커버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미끼 컵 벽(20) 또는 램프(38)와 같이 베이스(12)에서 상부로 연장된 구조물들에 매우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베이스의 구조물들은 앞서 기술되고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케이터 리브(50)의 구조들과 상응하는 방법으로 또한 작용하게 된다.
미끼 스테이션(10)은 앞서 기술된 특징적 형성과 간섭되지 않거나 또는 일치하는 다른 특징적 형상들을 포함할 것이다. 한 예로, 통로(34)와 이어지고 목표 곤충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로 큰 크기를 갖는 부가된 도어(58)가 쉘 벽(32)내의 편리한 위치에 포함되는데, 이 도어(58)는 사이드 지지부재(26) 또는 단부 지지부재(48)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대기실들이 부가된 도어(58)에 제공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미끼 스테이션(10)으로 진입한 곤충은 미끼 컵 벽(20)을 직접 타고 올라가므로 차단 구조물을 피하기 위해 횡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부가된 도어(58)가 쉘 벽(32)의 다른 지점에 충분히 위치한다면, 각 대기실(42)에 대기실 도어(46)가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것에 따라 제작된 미끼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단계와, 이어서 목표 곤충이 노출되는 소정의 표면에 미끼 스테이션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어 다니는 곤충을 유인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식들은 도면들에 도시되었고 전술되었지만, 다양한 변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도시되고 기술된 특정 형식들로 제한된다고 해석되지 않는다. 대신에, 본 발명은 하기의 청구범위의 관점에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고 제조하는 실제적인 방법은 앞서 기술되었다. 기어 다니는 곤충을 유인하는 살충제와 다른 미끼를 제공하는 미끼 스테이션을 효과적이면서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상업적 용도로 매우 잘 수립되어 있다.

Claims (39)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a. 선택된 미끼가 담겨지고, 곤충이 기어 오를 수 있는 미끼 컵 벽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미끼 컵 벽은 중앙 플로어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미끼 컵;
    b. 상기 미끼 컵 벽에서 멀면서 인접한 주변 플로어를 포함하는 주변 플랜지; 및
    c. 상기 미끼 컵 벽의 높이 위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미끼 컵 벽을 따라 횡으로 연장된 최소한 하나의 사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에 부착된 커버 플랜지와, 쉘을 포함하고,
    상기 쉘은
    a. 상기 베이스의 주변 플로어를 둘러싸면서 그 높이로부터 상승되고, 상기 미끼 컵 벽으로부터 이격되어서 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통로는 통로 플로어를 갖고, 상기 통로 플로어는 그 상부를 배회하는 목표 곤충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의 충분한 폭으로 이루어진 쉘 벽;
    b. 상기 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미끼 컵내에 담겨진 미끼로 목표 곤충이 상기 미끼 컵 벽을 타고 올라가서 도달하도록 상기 미끼 컵 벽 상부와 충분히 이격된 루프;
    c. 최소한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의 길이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일측이 한정되며, 타측은 상기 쉘 벽의 내부 표면들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통로 플로어와 이어진 플로어를 갖는 대기실; 및
    d. 상기 쉘 벽에 형성되어 상기 대기실을 개방하고, 목표 곤충의 진입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큰 크기를 갖는 대기실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실 도어는 그를 통해 상기 미끼 컵으로의 직선 접근이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차단되도록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와 관련되게 배치되고,
    상기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쉘 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목표 곤충이 통로로 진입하는 것에 의해 사이드 지지부재를 피하여 대기실 도어를 통해서 미끼 스테이션으로 진입하여, 미끼 컵에 담겨진 미끼로의 접근이 달성되는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루프는 하향으로 연장된 로케이터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사이드 지지부재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이드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베이스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단부 지지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컵의 다른 측부에 배치된 2개의 사이드 지지부재와, 대기실 도어를 각각 갖는 2개의 대기실을 가지며, 상기 대기실 중 하나는 상기 각 사이드 지지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로부터 하향 연장된 로케이터 리브를 가지며,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각 사이드 지지부재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이드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단부 지지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로부터 하향 연장된 로케이터 리브는 각 사이드 지지부재와 단부 지지부재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이드 및 단부 지지부재에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8. 제 7 항에 있어서, 대향되거나 또는 옆으로 대향되는 상기 단부 지지부재와 결합된 로케이터 리브는 미끼 컵 방향으로 또는 반대로 마주보는 사이드 또는 단부 지지부재의 표면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대향하는 측부들과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각 측부에 사이드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각 단부에 단부 지지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10.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a. 상기 베이스는
    ⅰ. 선택된 미끼가 담겨지고, 곤충이 기어 오를 수 있는 미끼 컵 벽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미끼 컵 벽은 중앙 플로어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미끼 컵; 및
    ⅱ. 상기 미끼 컵 벽에서 멀면서 인접한 주변 플로어를 포함하는 주변 플랜지를 포함하고,
    b. 상기 커버는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에 부착된 커버 플랜지와, 쉘을 포함하고,
    상기 쉘은
    ⅰ. 상기 베이스의 주변 플로어 높이로부터 상승되고, 상기 미끼 컵 벽으로부터 이격되어서 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통로는 통로 플로어를 갖고, 상기 통로 플로어는 그 상부를 배회하는 목표 곤충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의 충분한 폭으로 이루어진 쉘 벽; 및
    ⅱ. 상기 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미끼 컵내에 담겨진 미끼로 목표 곤충이 상기 미끼 컵 벽을 타고 올라가서 도달하도록 상기 미끼 컵 벽 상부와 충분히 이격된 루프를 포함하며,
    c. 상기 커버와 베이스 중 하나는 커버와 베이스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미끼 컵 벽을 따라 횡으로 연장된 최소한 하나의 사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는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와 대향되면서 같이 연장된 상기 쉘 벽의 한 부분은 대기실 쉘 벽을 구성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와 대기실 쉘 벽은 그들 사이에 대기실을 한정하며, 상기 대기실은 통로 플로어와 연속적인 대기실 플로어를 갖는 통로측으로 개구되고 또한 대기실 쉘 벽을 통해 개방하는 최소한 하나의 대기실 도어를 가지며, 상기 대기실 도어는 목표 곤충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큰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와 연관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컵으로의 직선 접근이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쉘 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목표 곤충이 통로로 진입하는 것에 의해 사이드 지지부재를 피하여 대기실 도어를 통해서 미끼 스테이션으로 진입하여, 미끼 컵에 담겨진 미끼로의 접근이 달성되는 미끼 스테이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실 쉘 벽은 대기실의 일측상에 쉘 벽 부분과 상대적으로 멀게 대신 위치하여 상기 대기실 쉘 벽이 추력 벽 구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단부 지지부재를 갖고,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베이스와 커버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커버와 베이스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상기 루프는 단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컵의 다른 측부에 배치된 2개의 사이드 지지부재와, 대기실 도어를 각각 갖는 2개의 대기실을 가지며, 상기 대기실 중 하나는 상기 각 사이드 지지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단부 지지부재를 갖고,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베이스와 커버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커버와 베이스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상기 루프는 단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와 사이드 지지부재는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루프로부터 하향 연장된 로케이터 리브가 상기 각 사이드 지지부재와 각 단부 지지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사이드 및 단부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미끼 컵과 마주보는 사이드 및 단부 지지부재의 표면들과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컵은 대향되는 측부들과 단부들을 가지고, 상기 각 측부에 사이드 지지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각 단부에 단부 지지부재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18. a. 청구항 1에 따른 미끼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미끼 컵내에 선택된 미끼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목표 곤충이 기어 다니는 장소에 상기 미끼 스테이션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표 곤충에 미끼를 제공하는 방법.
  19. a. 청구항 10에 따른 미끼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미끼 컵내에 선택된 미끼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목표 곤충이 기어 다니는 장소에 상기 미끼 스테이션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표 곤충에 미끼를 제공하는 방법.
  20.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a. 선택된 미끼가 담겨지고, 곤충이 기어오를 수 있는 미끼 컵 벽으로 둘러싸인 중앙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미끼 컵 벽은 중앙 플로어부터 상부로 연장된 미끼 컵;
    b. 상기 미끼 컵과 멀면서 가까운 주변 플로어를 포함하는 주변 플랜지; 및
    c. 상기 주변 플로어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루프 멈춤쇠를 갖는 단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에 부착된 커버 플랜지와, 쉘을 포함하고,
    상기 쉘은
    a. 상기 베이스의 주변 플로어를 둘러싸면서 그 높이로부터 상승된 쉘 벽; 및
    b. 상기 쉘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단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목표 곤충이 상기 미끼 컵 벽을 타고 올라가서 미끼 컵내에 담겨진 미끼에 도달되도록 상기 미끼 컵 벽의 상부와 충분히 이격되고, 상기 단부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구속하는 단부 지지부재의 루프 멈춤쇠와 치합된 로케이터 리브를 갖는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멈춤쇠는 상부가 개구되고,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루프로부터 하향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루프를 넘어서 루프내의 고정 들보를 형성하는 상기 단부 지지부재의 일측으로 연장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23. 제 20 항에 있어서,
    a. 상기 커버와 베이스 중 하나는 단부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커버와 베이스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는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b.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의 위치에서 쉘 벽의 한 부분은 대기실 쉘 벽을 구성하고, 상기 상드 지지부재와 대기실 쉘 벽 위치에서 상기 미끼 컵 벽은 그들 사이에 대기실을 한정하며, 상기 대기실 쉘 벽은 대기실의 일측상에 쉘 벽 부분과 상대적으로 멀게 대신 위치하여 상기 대기실 쉘 벽이 추력 벽 구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24. 제 23 항에 있어서,
    a.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는 미끼 컵 벽을 따라 횡으로 연장되고,
    b. 상기 쉘 벽은 미끼 컵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통로는 통로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통로 플로어는 그 상부를 배회하는 목표 곤충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의 충분한 폭으로 이루어지며,
    c. 상기 대기실은 통로 플로어와 연속적인 대기실 플로어를 갖는 통로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대기실은 쉘 벽을 통해 대기실을 개방하는 대기실 도어를 가지며, 상기 대기실 도어는 목표 곤충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로 큰 크기를 가지면서 사이드 지지부재와 연관되게 위치되어서, 상기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컵으로의 직선 접근이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쉘 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목표 곤충이 통로로 진입하는 것에 의해 사이드 지지부재를 피하여 대기실 도어를 통해서 미끼 스테이션으로 진입하여, 미끼 컵에 담겨진 미끼로의 접근이 달성되는 미끼 스테이션.
  25.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a. 선택된 미끼가 담겨지고, 곤충이 기어오를 수 잇는 미끼 컵 벽으로 둘러싸인 중앙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미끼 컵 벽은 중앙 플로어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미끼 컵;
    b. 상기 미끼 컵과 멀면서 가까운 주변 플로어를 포함하는 주변 플랜지; 및
    c. 상기 미끼 컵 벽의 높이에서 상부로 연장된 사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에 부착된 커버 플랜지와, 쉘을 포함하고,
    상기 쉘은
    a. 상기 베이스의 주변 플로어를 둘러싸면서 그 높이로부터 상승된 쉘 벽;
    b. 상기 쉘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를 받고, 목표 곤충이 미끼 컵 벽을 타고 올라가서 미끼 컵내의 미끼에 도달하도록 상기 미끼 컵 벽 상부와 충분히 이격된 루프;
    c.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일측이 한정되고, 상기 쉘 벽의 내측 표면들에 의해 타측이 한정된 대기실; 및
    d. 상기 대기실을 개방하고 목표 곤충의 진입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큰 크기를 갖는 대기실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실 도어는 사이드 지지부재와 연관되게 위치되어서, 상기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컵으로의 직선 접근은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차단되고, 목표 곤충이 대기실 도어를 통해 미끼 스테이션으로 진입되도록 상기 대기실은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쉘 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쉘 벽은 미끼 컵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통로는 목표 곤충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의 충분한 폭을 갖는 통로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는 미끼 컵 벽을 따라 횡으로 연장되고, 상기 대기실은 통로 플로어와 연속적인 플로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루프는 사이드 지지부재의 바로 옆에 위치한 로케이터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사이드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는 단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루프 멈춤쇠를 갖고, 상기 미끼 스테이션은 루프로부터 연장되어 단부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구속하는 루프 멈춤쇠와 치합된 로케이터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멈춤쇠는 상부가 개구되고,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루프로부터 하향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루프 멈춤쇠를 넘어서 루프내의 고정 들보를 형성하는 단부 지지부재의 일측상으로 연장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2. 제 28 항에 있어서, 2개의 단부 지지부재와 2개의 사이드 지지부재를 갖고, 루프로부터 하향 연장된 로케이터 리브는 각 사이드 지지부재와 단부 지지부재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사이드 및 단부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3.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a. 상기 베이스는
    ⅰ. 선택된 미끼가 담겨지고, 곤충이 기어오를 수 있는 미끼 컵 벽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미끼 컵 벽은 중앙 플로어로부터 연장된 미끼 컵; 및
    ⅱ. 상기 미끼 컵과 멀면서 가까운 주변 플로어를 포함하는 주변 플랜지를 포함하며,
    b. 상기 커버는 베이스의 주변 플랜지에 부착된 커버 플랜지와, 쉘을 포함하고,
    상기 쉘은
    ⅰ. 상기 베이스의 주변 플로어 높이로부터 상승된 쉘 벽; 및
    ⅱ. 상기 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연결하고, 목표 곤충이 미끼 컵 벽을 타고 올라가서 미끼에 도달되도록 상기 미끼 컵 벽 상부와 충분한 공간을 두고 이격된 루프를 포함하며,
    c. 상기 커버와 베이스 중 하나는 베이스와 커버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는 사이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d.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의 위치에서 상기 쉘 벽의 한 부분은 대기실 쉘 벽을 구성하고, 상기 대기실 쉘 벽의 한 부분은 대기실의 일측상에 쉘 벽 부분과 상대적으로 멀게 대신 위치하여 상기 대기실 쉘 벽이 추력 벽 구역을 한정하며, 상기 미끼 컵 벽의 부분과 대기실 쉘 벽 사이의 공간이 대기실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단부 지지부재를 갖고,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베이스와 커버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그들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루프는 단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로케이터 리브는 단부 지지부재와 사이드 지지부재의 표면들 바로 옆에서 루프로부터 연장되어, 사이드 및 단부 지지부재에 대해 루프의 횡적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컵은 대향되는 측부들과 단부들을 갖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대향되는 사이드 지지부재들은 상기 측부들에 배치되고, 대향되는 단부 지지부재들은 상기 단부들에 배치되며, 로케이터 리브는 대향되는 각 사이드 및 단부 지지부재들과 결합되고, 각 로케이터 리브는 미끼 컵을 향해 마주보는 대향되는 측부와 단부 지지부재의 표면들 옆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스테이션.
  37. 청구항 20에 따른 미끼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미끼 컵에 선택된 미끼를 제공하는 단계; 및
    목표 곤충이 기어 다니는 소정의 장소에 상기 미끼 스테이션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어 다니는 목표 곤충에 미끼를 제공하는 방법.
  38. 청구항 25에 따른 미끼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미끼 컵에 선택된 미끼를 제공하는 단계; 및
    목표 곤충이 기어 다니는 소정의 장소에 상기 미끼 스테이션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어 다니는 목표 곤충에 미끼를 제공하는 방법.
  39. 청구항 33에 따른 미끼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미끼 컵에 선택된 미끼를 제공하는 단계; 및
    목표 곤충이 기어 다니는 소정의 장소에 상기 미끼 스테이션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어 다니는 목표 곤충에 미끼를 제공하는 방법.
KR1019997002286A 1996-09-18 1997-09-18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KR100332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15,558 1996-09-18
US08/715,558 1996-09-18
US08/715,558 US5802761A (en) 1996-09-18 1996-09-18 Bait station for crawling insects
US08/787,558 1997-01-22
US8/787,558 1997-01-22
US08/787,558 US5960585A (en) 1996-09-18 1997-01-22 Bait station for crawling inse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224A true KR20000036224A (ko) 2000-06-26
KR100332017B1 KR100332017B1 (ko) 2002-04-10

Family

ID=2710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286A KR100332017B1 (ko) 1996-09-18 1997-09-18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EP (1) EP0933988B1 (ko)
JP (1) JP3805793B2 (ko)
KR (1) KR100332017B1 (ko)
CN (1) CN1092481C (ko)
AP (1) AP996A (ko)
AR (1) AR008840A1 (ko)
AT (1) ATE228758T1 (ko)
AU (1) AU708465B2 (ko)
BR (1) BR9711497A (ko)
CA (1) CA2265599C (ko)
CZ (1) CZ92799A3 (ko)
DE (1) DE69717657T2 (ko)
EG (1) EG21102A (ko)
ES (1) ES2184133T3 (ko)
HR (1) HRP970496A2 (ko)
HU (1) HU219738B (ko)
ID (1) ID21871A (ko)
IN (1) IN192594B (ko)
MY (1) MY130942A (ko)
NZ (1) NZ334603A (ko)
PE (1) PE106098A1 (ko)
PL (1) PL186311B1 (ko)
PT (1) PT933988E (ko)
RU (1) RU2183060C2 (ko)
TR (1) TR199901376T2 (ko)
TW (1) TW360491B (ko)
UA (1) UA48250C2 (ko)
UY (1) UY24719A1 (ko)
WO (1) WO19980117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545B1 (ko) * 2000-10-31 2004-05-10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8714B (zh) * 2006-11-21 2011-11-16 地球制药株式会社 害虫捕获器
GB2457103B (en) * 2008-01-31 2010-11-03 Brandenburg An insect trap
US8745917B2 (en) * 2010-04-16 2014-06-10 Wing-kin HUI Ant trap
MX2013002433A (es) * 2010-08-31 2013-08-01 Fmc Corp Dispositivo de verificacion de chinche de las camas.
JP2013544514A (ja) * 2010-11-08 2013-12-19 エフ エム 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垂直面に対するトコジラミのモニター装置
US9451761B2 (en) * 2011-01-28 2016-09-27 James D. Messina Pest management system
EP3183862B1 (en) 2014-08-22 2021-04-07 Disruptive Technologies Research AS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network devices
US10412952B2 (en) * 2015-02-19 2019-09-17 Ecolab Usa Inc. Insect pest monitor and product transfer station
US10123522B2 (en) 2015-02-19 2018-11-13 Ecolab Usa Inc. Insect pest monitor and product transfer station
CN108207847B (zh) * 2018-01-16 2022-02-01 宁波高新区鹏博科技有限公司 一种昆虫回收设备
RU191808U1 (ru) * 2018-12-27 2019-08-2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АЛМАПА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насекомых
WO2021081284A1 (en) * 2019-10-23 2021-04-29 S. C. Johnson & Son, Inc. Bait stations
US11937593B1 (en) * 2023-06-01 2024-03-26 Nick Suteerawanit German cockroach glue trap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836A (en) * 1981-04-06 1986-01-14 American Cyanamid Co. Insect feeding station
US4894947A (en) * 1981-04-06 1990-01-23 American Cyanamid Company Insect feeding station
US5048225A (en) * 1981-04-06 1991-09-17 The Clorox Company Insect feeding station
US4485582A (en) * 1983-03-25 1984-12-04 American Cyanamid Company Insect feeding station
US4782621A (en) * 1986-08-13 1988-11-08 Seth Wissman Insecticide bait holder
US4793093A (en) * 1987-06-10 1988-12-27 Chesebrough-Pond's Inc. Feeding station for vermin
US4823506A (en) * 1987-07-02 1989-04-25 S.C. Johnson & Son, Inc. Insect bait device
US4837969A (en) * 1988-09-27 1989-06-13 S. C. Johnson & Son, Inc. Bait station
US5357709A (en) * 1993-05-07 1994-10-25 Lin Wen Jen Apparatus for storing a bait which contains an insecticidal ingredi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545B1 (ko) * 2000-10-31 2004-05-10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7657D1 (de) 2003-01-16
HUP9903101A2 (hu) 2000-05-28
PE106098A1 (es) 1999-01-26
EG21102A (en) 2000-11-29
AU4489697A (en) 1998-04-14
PL186311B1 (pl) 2003-12-31
EP0933988B1 (en) 2002-12-04
UA48250C2 (uk) 2002-08-15
AP996A (en) 2001-08-09
ATE228758T1 (de) 2002-12-15
WO1998011775A1 (en) 1998-03-26
CZ92799A3 (cs) 1999-12-15
CA2265599C (en) 2001-03-06
CN1230873A (zh) 1999-10-06
HU219738B (hu) 2001-07-30
AP9901484A0 (en) 1999-03-31
MY130942A (en) 2007-07-31
AU708465B2 (en) 1999-08-05
ES2184133T3 (es) 2003-04-01
ID21871A (id) 1999-08-05
TR199901376T2 (xx) 1999-08-23
TW360491B (en) 1999-06-11
EP0933988A1 (en) 1999-08-11
DE69717657T2 (de) 2003-04-10
HUP9903101A3 (en) 2000-06-28
PL332309A1 (en) 1999-08-30
HRP970496A2 (en) 1998-08-31
NZ334603A (en) 2000-04-28
JP2001500739A (ja) 2001-01-23
BR9711497A (pt) 1999-08-24
JP3805793B2 (ja) 2006-08-09
IN192594B (ko) 2004-05-08
PT933988E (pt) 2003-04-30
CA2265599A1 (en) 1998-03-26
CN1092481C (zh) 2002-10-16
RU2183060C2 (ru) 2002-06-10
KR100332017B1 (ko) 2002-04-10
UY24719A1 (es) 1998-03-12
AR008840A1 (es) 200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761A (en) Bait station for crawling insects
KR100909587B1 (ko) 이중 살충 베이트 스테이션
US5960585A (en) Bait station for crawling insects
KR100332017B1 (ko)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US4793093A (en) Feeding station for vermin
US5357709A (en) Apparatus for storing a bait which contains an insecticidal ingredient
EP0802725B1 (en) Insect bait station
US5953854A (en) Granular bait station
US20050160659A1 (en) Apparatus for killing insects by trapping larvae
US20050198893A1 (en) Insect bait station
US4173093A (en) Cockroach catching device
US6655079B1 (en) Insect bait station
US5528854A (en) Plastic insect bait assembly
RU99107669A (ru) Ловушка для ползающих насекомых
WO1991015951A1 (en) Bait station
US20020124458A1 (en) In-ground pest bait station
KR101201394B1 (ko) 개미 제거용 유인구
JP3678982B2 (ja) 害虫捕獲容器
KR19990041299U (ko) 바퀴벌레 유인상자
JP2016073253A (ja) アリ用毒餌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