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545B1 -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 Google Patents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545B1
KR100430545B1 KR10-2001-0047534A KR20010047534A KR100430545B1 KR 100430545 B1 KR100430545 B1 KR 100430545B1 KR 20010047534 A KR20010047534 A KR 20010047534A KR 100430545 B1 KR100430545 B1 KR 100430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wall
container
sealing material
insec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852A (ko
Inventor
요시오 가쓰다
김효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더 클로록스 인터내셔날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331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72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33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25561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더 클로록스 인터내셔날 캄파니 filed Critical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전 독(毒) 모이의 누출방지와 사용시 독 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飛散)됨을 방지하여 구제(驅除)효과를 저감시키는 일이 없는 개미, 바퀴벌레, 지네 등와 같은 벌레(이하, "벌레"라고 략칭한다)들의 유인모이용기를 제공함에 있다.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벌레의 유인모이를 넣어두기 위한 오목부로서 둘레벽이 그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입자의 직경 0.5∼3mm의 입자모양 또는 과립모양의 독(毒)모이를 넣을 수 있게 한 모이수납부와, 그 모이수납부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 또는 열용착된 시이트와, 그 시이트의 한끝 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를 가지며, 당김조각부를 잡아당김으로써 그 시이트를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밀봉(Seal)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밀봉재와 밀봉재가 결합되는 둘레벽은 상호 결합에 있어서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밀봉재를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구조를 이루게 하였고, 또 모이수납부에는 그 둘레 벽의 안쪽에 그 둘레벽의 대략 윗면위치를 돌면서 그 오목부의 바닥면 부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은 조각을 복수개 구비한 차양형상부재가 부착되며, 또 상기 용기 본체의 덮개체에는 복수개의 벌레 출입구를 마련하고, 또한 외주벽부의 한쪽면을 대략 덮개체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형성하여 그 상단 부근에 1개의 밀봉재 박리구멍을 마련하며, 또한 그 한쪽면의 안쪽면에 그 한쪽면과 대략 같은 높이의 내벽을 설치한 이중벽 구조를 이루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벌레의 유인모이용기{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본 발명은 주로 사람의 생활 영역에 서식하는 벌레(개미, 바퀴벌레, 지네 등)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모이 또는 독(毒)모이를 용기 내에 넣어두고, 그것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에 의하여 벌레를 용기 내로 유인하여 잡거나 또는 독 모이를 용기 밖으로 물고 나가서 먹게 한 후 독사시키는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벌레 유인모이용기는 모이를 그 곳에서 먹지 않고 집까지 운반한 다음에 먹는 개미의 습성을 이용하여 용기 내에 넣어둔 독모이를 개미집까지 운반하게하여 개미집 내의 개미집단을 모두 구제하는 개미의 집단구제법에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넣어둔 모이의 냄새로 해충을 용기 내에 유인해 넣어 잡거나 또는 독사시키는 종래의 유인모이(또는 독 모이)용기로는 입자 형태나 과립형태의 고체의 유인모이를 넣어두는 것, 겔, 페이스트 등의 반고체 유동체의 유인모이를 넣어두는 것, 또는 액체의 유인모이를 넣어두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개미의 집단구제를 목적으로 하는 용기에는 입자상태 또는 과립상태의 독 모이를 용기안쪽의 오목부에 넣어두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이를 밀봉보존하기 위하여 밀봉재가 오목부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즉, 오목부를 형성하는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는 구조의 용기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이 용기는 사용할 때에 상기 밀봉재를 밀봉된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떼어내고 적당한 곳에 놓아둔다.
그러나, 상술한 개미나 해충 등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밀봉재와 용기의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성이 너무 강하여 밀봉재를 박리하기가 어려운 것일 때에는 강한 힘으로 밀봉재를 박리할 필요가 있고, 때로는 오목부내에 넣어둔 유인모이(또는 독모이)가 밀봉재를 박리할 때 용기 밖으로 비산하는 사태가 생긴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용기는 소형이고, 용기를 손에 든 상태로 밀봉재를 박리하므로, 용기 밖으로의 모이의 비산 사고가 생기기 쉽다.
또, 접착력이 밀봉재의 내부 박리강도보다도 크게되면, 밀봉재를 박리할 때 밀봉재 자체가 찢어져서 그 일부가 용기의 둘레벽 윗면에 접착된 채로 남는 폐단도 생긴다. 예를 들면, 벌레 유인모이용기의 모이를 넣어둔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에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밀봉재를 용착하여 윗면 전체와 접착시킨 경우에는 밀봉재의 접착성이 필요이상으로 너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밀봉재와 용기의 오목부 윗면과의 접착성이 너무 약하여 밀봉재가 박리되기 쉬운 것일 때에는 넣어둔 유인모이(또는 독모이)의 밀봉성이 불충분하게 되며, 따라서 그 보존 중에 모이가 습기 등에 의하여 변질되기 쉬워지고, 또 모이에 함유된 벌레를 유인하여 중독사(死)시키기 위한 유효성분이 방출 휘산(揮散)되기 쉬워지므로, 모이의 보존가능기간 특히 모이의 유효기간이 실효(失效)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는 유인모이(독모이)가 들어있는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과 밀봉재와의 접착성을 조절하여 모이에 대하여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밀봉재를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내의 모이를 넣어둔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밀봉재를 쉽게, 그리고 찢어져 그 일부가 남는 일 없이 박리할 수 있게 하여, 모이의 비산(飛散)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용기 내에 넣어둔 유인모이에 대하여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하여, 습기 등에 의한 모이의 변질을 방지함으로써 모이의 보존 가능 기간 특히, 그 유효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벌레 유인 모이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벌레의 유인모이를 넣어두기 위한 오목부를 둘러싼 둘레 벽이 그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모이수납부와, 그 모이수납부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그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 또는 열용착된 시이트의 한끝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 조각부를 가지며, 그 당김조각부를 잡아 당김으로써 그 시이트를 상기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밀봉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은 상기 밀봉재와의 결합에 있어서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밀봉재를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벌레 유인모이용기는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1)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는 배껍질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2)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는 주름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3)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는 반구형상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이 분산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4)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는 둘레벽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고랑부가 둘레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5)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 단면은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지그재그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6)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 단면은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파도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7)밀봉재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접촉하는 쪽은 털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8)밀봉재는 적당한 인장강도를 가진 종이시이트와 필요에 따라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섬유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비하여 독모이가 누출되거나, 사용할 때에 독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벌레의 구제효과를 저감시키지 않는 벌레 유인모이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외주벽부 및 그 안쪽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둘레벽을 설치하여 구성한 모이수납부를 가진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외주벽부와 접합되는 덮개체로 된 벌레 유인모이용기에서, 상기 모이수납부에 입경이 0.5∼3㎜의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넣어 둠과 동시에, 그 둘레벽의 안쪽에 그 둘레벽의 대략 윗면 위치를 돌면서 그 오목부의 바닥 부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은 조각을 복수개 구비한 차양형상부재를 부착하며, 그 둘레벽 윗면에 박리할 수 있는 밀봉재를 구비하고, 그 덮개체에는 복수개의 벌레 출입구를 마련하며, 또한 상기 외주벽부의 한쪽면을 상기 덮개체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형성하고, 또 그 상단 부근에 1개의 밀봉재 박리구멍을 뚫어놓고, 또한 그 한쪽면의 안쪽에 그 한쪽면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 내벽을 설치하여 이중벽 구조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벌레 유인모이용기는 모이 수납부의 차양형상부재와 덮개체의 벌레 출입구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1)상기에서 차양형상부재의 작은 조각이 판자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2)벌레 출입구가 덮개체의 둘레가장자리 측면에 가로가 긴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제2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제3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제3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7a는 제4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b는 제4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8은 제5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9는 제6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10은 제7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밀봉재와의 결합형태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8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밀봉재와의 결합형태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9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벌레유인모이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밀봉재 박리 후),
도 13은 도 12의 Ⅱ-Ⅱ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밀봉재 박리 전)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10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벌레유인모이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밀봉재 박리 후),
도 16은 도15의 Ⅲ-Ⅲ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밀봉재 박리 전),
도 17은 도15에 도시한 용기의 외관 사시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벌레 유인모이용기 2: 용기본체
3: 모이 수납부 4: 벌레 출입구
5: 밀봉재 5a: 당김조각부
6: 밀봉재 박리구멍 7: 벌레의 유인모이
8: 둘레 벽 9: 배 껍질 무늬
10: 주름무늬 11: 반구형상(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
12: 고랑부 13: 지그재그형 단면
14: 파도형 단면 20: 털()면
30: 섬유 재 100,221 : 벌레 유인모이용기
102,222: 용기본체 103,223 : 덮개체
104,224: 모이수납부 105,225 : 둘레벽
106,226: 차양형상부재 107,227 : 작은 조각
108,228: 독모이 109,229 : 벌레 출입구
110,230: 밀봉재 박리구멍 111,231 : 밀봉재
111a,231a: 당김조각부 112,232 : 내벽
<제1실시예 내지 제8실시예(도1 내지 도11참조)>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벌레 유인모이용기는 적어도 용기본체와, 모이수납부와, 밀봉재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개미와 같은 벌레 구제에 사용하는 것일 때, 얇은 상자형의 용기(주로 플라스틱제)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모이용기는 개미나 해충 등의 벌레가 침입할 수 있는 크기의 벌레 출입구와, 용기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벌레 유인모이를 넣어두는 오목부(모이수납부)와, 밀봉재의 당김조각부를 용기밖으로 당겨내어 밀봉재의 박리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밀봉재 박리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모이수납부는 벌레 유인모이를 넣어두기 위한 오목부로서, 둘레벽이 그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둘레에 걸쳐, 예를 들면 육상트랙경기장의 주행코오스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물론 다각형상이라도 좋다.
또, 밀봉재를 박리한 후, 모이가 쏟아져 나오지 않도록 둘레벽의 윗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안쪽으로 향하여 적당한 차양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 밀봉재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 등으로 된 시이트상 부재로서, 모이수납부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그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 또는 열용착(히이트시일)되어 있다. 또, 밀봉재는 그 시이트가 접착하는 모이수납부의 한끝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작부를 가지며, 이 당김조각부는 길게 뻗어 있고, 상기 시이트가 접착하는 모이수납부의 다른 끝쪽을 넘어 상기 용기의 밀봉재 박리구멍을 지나 용기밖으로 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밖에서 이 당김조각부를 잡아당김으로써 모이수납부(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에 접착된 상기 시이트를 그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밀봉재를 박리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필름과 같은 밀봉재를 유인모이용기의 모이수납부(오목부)의 둘레벽의 편평한 윗면에 용착하고, 그 윗면전체와 접착하는 방법을 채용하였을 때에는 밀봉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성이 필요이상으로 너무 강해져서 밀봉재가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밀봉재를 박리할 때, 오목부내에 수납된 유인모이(독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하는 사태가 생기기 쉽다. 밀봉재를 종이제의 것으로 바꾸면 밀봉재를 박리할 때 밀봉재 자체가 찢어져서 그 일부가 용기의 둘레벽 윗면에 접착된 채로 남는 폐단도 생기기 쉽다.
그러나, 그 반면에 밀봉재와 용기의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성을 현저히 약하게 하면, 수납된 유인모이(독모이)의 밀봉성이 불충분하게 되며, 따라서 그 보존중에 모이가 습기 등에 의한 모이의 변질, 유효성분의 휘산방출에 의한 모이의 보존가능기간 특히 모이의 유효기간의 단축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벌레 유인모이용기는 모이수납부(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의 구조에 대하여 여러 가지 개량을 가함으로써 유인모이(독모이)에 대하여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밀봉재를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을 정도로 모이수납부(오목부)의 둘레벽 윗면과 밀봉재와의 접착성을 조절한 것이다.
그 개량법의 첫째는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 배껍질모양 또는 주름모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들 모양의 형성에 의하여 밀봉재가 접착성이 뛰어난 플라스틱(PE)시이트라도 밀봉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만큼 밀봉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
또,개량법의 둘째는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 반구형상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을 분산점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둘레벽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고랑부를 둘레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전자는 점접촉에 의하여 밀봉재와 결합하는 것이고, 또 후자는 선접촉에 의하여 밀봉재와 결합하는 것이다. 어느 것이나 시이트상의 밀봉재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겅우에 비하여 밀봉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밀봉재의 박리가 쉬워진다.
또,개량법의 셋째는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단면을 둘레벽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형 단면 또는 파도형 단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의 경우와 똑같이 밀봉재와의 결합에 있어서 밀봉재와 선 접촉하는 구조이고, 따라서 시이트상의 밀봉재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밀봉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어 밀봉재의 박리가 쉬워진다.
그 개량법의 네째는 밀봉재의 표면에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접착되는 쪽에 털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털면의 형성에 의하여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이 접착성이 뛰어난 평탄한 평면이라도 밀봉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만큼 밀봉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
또, 개량법의 다섯째는 밀봉재를 적당한 인장강도를 가진 종이시이트와, 필료에 의하여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섬유재로 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 섬유재의 개재라는 구성은 예를 들면 밀봉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에 적당한 섬유재 예를 들면 짧고 촙된 섬유를 혼련하여 그 접착제로 밀봉재를 둘레벽 윗면에 접착시킴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다. 그래서,밀봉재를 종이재로 하고, 또한 둘레벽 윗면과의 사이에 섬유재를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둘레벽의 윗면이 접착성이 뛰어난 평탄한 평면이라도 밀봉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밀봉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넣어두는 유인모이로서는 입자 과립 등의 고체의 유인모이와, 겔, 페이스트 등의 반고체 유동체의 유인모이, 또는 액체의 유인모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과립베이트제, 제리베이트제를 사용한다.
<제9실시예 내지 제10 실시예 (도12 내지 도17참조)>
본 발명의 제9 내지 제10실시 예에 따른 개미유인 모이 용기는 적어도 용기본체와, 덮개체와, 밀봉재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와, 바람직한 투명한 덮개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수지로 이루어지며, 통상 양자의 재질은 같으나 다른 것이라도 무방하다. 용기본체의 둘레가장자리 측면인 외주벽부와 덮개체의 둘레 가장자리 측면은 접합부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고, 접합방식은 끼워맞춤, 초음파용착, 힌지에 의한 연결 등 으로 적절히 채용 가능하다.
유인모이용기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나, 취급의 용이성, 가격, 독 모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용기본체 및 덮개 체의 일변 또는 직경이 4∼8㎝인 대략 정방형, 장방형, 원형이고, 양 부분을 접합한 후의 높이가 1∼2㎝정도의 것이 적당하다.
외주벽 부 및 후술하는 내벽의 안쪽에는 또 둘레 벽에 의하여 구성되는 모이수납부가 있다. 이 모이 수납부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데, 둘레 벽의 높이는 6∼12㎜정도가 적당하고, 통상 외주벽의 저변을 향하여 넓어지는 둑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제9 내지 제10실시 예는 시일 재를 박리후, 독 모이가 쏟아지지 않도록 둘레 벽의 안쪽의 대략 윗면위치, 바람직하기는 윗면보다 수㎜ 낮은 위치를 돌면서 그 오목부의 바닥 면 부근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은 조각을 복수개 구비한 차양형상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차양의 폭은 수납하는 독 모이의 양에도 의존하나, 3∼8㎜정도가 적합하고, 차양의 아래쪽에는 침입한 개미가 독 모이 수납 부에 들어가기 쉽도록 또한 독 모이를 물고 나가기 쉽도록 오목부의 바닥면 부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은 조각이 구비된다. 작은 조각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대략 3각형이나 대형의 판자형상이고, 오목 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나란히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 작은 조각은 둘레 벽의 안쪽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하여도 좋고, 또는 예를 들면 둘레벽이 대략 장방형이면 대향하는 1쌍의 2변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 제9내지 제10실시 예에 따른 벌레유인모이용기에는 당연히 개미와 같은 벌레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벌레 출입구는 덮개체에 마련되고, 독 모이의 누출이나 사용시의 모이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벽의 윗면 이상의 높은 위치에 코너부를 피하여 복수개 마련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덮개 체의 둘레가장자리측면에 가로가 긴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한다. 또, 출입구의 크기는 개미와 같은 벌레를 막는 성능의 관점에서 슬릿의 경우는 폭 2∼4㎜정도, 구멍형이면 예를 들면 대략 반원형상이면 직경 2∼5㎜정도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용기본체에 있어서는 외주벽부의 한쪽면을 대략 덮개체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형성하고, 또 그 상단 부근에 1개의 밀봉재 박리구멍을 뚫어 설치한다. 한편, 그것에 접합하는 덮개체에 상당하는 한쪽 면은 상기 외주벽부의 한쪽 면의 형상에 맞추어 그 덮개체의 측면 하단으로부터 윗면 둘레 가장자리부 또는 측면 상단 가까이 까지 절결한 형상인데,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을 설치한 용기본체와 접합한다. 좋은 예로는 대략 덮개체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형성한 외주벽부의 한쪽면의 상부나 또는 그것에 접합되는 덮개체에 상당하는 윗면 둘레 가장 자리부 또는 측면 상단 부근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절결 함으로써 밀봉재 박리구멍이 되는 부분을 그들의 접합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외주벽부의 한쪽 면 및 덮개체의 한쪽면은 측면 전체 뿐만 아니라 측면의 일부도 의미한다.
또, 이에 더하여 본발명에서는 상기 높게 형성한 외주벽부의 한쪽면의 안쪽에 그 한쪽면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 내벽을 설치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였으므로, 더욱 확실한 모이누출 방지효과가 있으며, 또 그 내벽도 또한 밀봉재를 지지하므로, 밀봉재 박리구멍으로부터 밀봉재를 박리할 때에 밀봉재의 당김 가이드로서 작용하여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변형으로서는 대략 덮개체 윗면까지 높게 한 외주벽부의 안쪽에 내벽을 설치하지 않고 외주벽부의 한쪽면의 상부를 안쪽으로 90도 이상 접어 넣어 차양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차양이 모이누출방지의 효과나 밀봉재 박리구멍으로부터 밀봉재를 박리할 때의 밀봉재의 당김가이드로서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 용기의 변형으로서 밀봉재 박리구멍을 외주벽부의 전측면이 같은 높이인 용기본체와 상기와 같은 절결한 측면을 갖지 않은 덮개체로 된 용기의 덮개체 또는 외주벽부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밀봉재 박리구멍은 모이 누출 방지를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용기의 윗면 둘레 가장자리 또는 측면 상단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벌레유인모이용기의 모이수납부는 벌레(개미)에 의한 모이의 운반용이성을 고려하여 입경이 0.5∼3㎜인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넣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하는 시험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더욱 바람직한 것은 입경이 0.5∼2㎜인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다. 더 큰 입자 덩어리 또는 페이스트상의 독 모이를 사용하면 모이누출의 문제가 생기지 않으나, 벌레에 의한 모이의 운반 용이성이나 벌레의 구제효과의 면에서는 불리하게 된다. 독 모이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라메틸논, 피부로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에 각종 유인성 기재나 부형제를 배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벌레유인모이용기를 벌레가 배회하는 뜰이나 현관 등에 놓아두면, 용기내에 유인되어 들어간 벌레가 독모이를 물고 벌레집 예컨대, 개미집으로 가져가 개미집내의 개미들과 함께 먹어 모두 죽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효율적인 벌레구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흙 위에 놓아 두는 경우, 본 발명의 용기를 소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용기의 한쪽면을 집게기구가 그 한 끝에 달린 스틱으로 바람직하기는 용기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집고, 그 스틱을 흙속에 꽂아 넣어 고정시켜도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최량의 실시형태로서 도면에 의하여 구체화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레 유인모이용기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종 단면도이고,도 4는 도 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벌레 유인모이용기(1)는 용기본체(2)로서의 플라스틱제의 얇은 상자형의 용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용기본체(2)는 그 내부에 설치된 오목부형상의 모이수납부(3), 개미 등의 해충과 같이 벌레가 침입할 수 있는 크기의 벌레 출입구(4) 및 밀봉재(5)의 박리에 이용되는 밀봉재 박리구멍(6)을 구비하고 있다. 벌레들이 출입하기 위한 벌레 출입구(4)는 용기 본체(2)의 덮개체가 결합되는 외주 벽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형상의 모이수납부(3)에는 입자상(약1~2mm의 직경의 것)의 벌레유인모이(7)가 수납되고, 그 오목부의 실질적인 전둘레에 걸쳐 육상트랙경기장의 주행 경기의 주행 코스와 비슷한 형상의 둘레벽(8)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재(5)는 플라스틱으로 된 시이트상의 부재로서, 모이수납부(3)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그 둘레벽(8)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다. 둘레벽(8)의 윗면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껍질 모양(9)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이트상의 밀봉재(5)는 그것이 접착되는 모이수납부(3)의 한끝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5a)를 가지며, 이 당김조각부(5a)는 길게 뻗어 있고, 상기 한끝쪽과 반대쪽의 다른 끝쪽을 넘어 상기의 밀봉재박리구멍(6)을 지나 용기 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밖에서 이 당김조각부(5a)를 잡아당김으로써 모이수납부(3)의 둘레벽(8) 윗면에 접착된 시이트상 밀봉재(5)를 둘레벽(8)의 윗면으로부터 박리 함으로써 밀봉재(5)를 박리 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5는 제2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벌레 유인모이용기는 도5의 표시와 같이, 모이수납부의 둘레벽(8)의 윗면만을 주름모양(10)으로 형성함에 의해, 밀봉재(5)가 접착성이 뛰어난 플라스틱(PE)시이트라도 밀봉재(5)와 둘레벽(8)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 만큼 밀봉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의 용기와 같다.
<실시예3>
도 6a는 제3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제3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다.
본 실시예의 벌레 유인모이용기는 도6의 표시와 같이,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 분산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상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용기에서는 분산점 모양으로 배치된 돌기점(11)의 형성에 의하여 밀봉재(5)와 둘레벽(8)과의 결합은 점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이트상의 밀봉재(5)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8)의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밀봉재(5)와 둘레벽(8) 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밀봉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의 용기와 같다.
<실시예4>
도 7a는 제4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서 모이 수납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b는 제4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서 모이 수납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도 7의 표시와 같이,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 둘레벽(8)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고랑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용기에서는 고랑부(12)의 형성에 의하여 밀봉재(5)와 둘레벽(8)과의 결합은 선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시이트 상의 밀봉재(5)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8)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밀봉재(5)와 둘레벽(8)의 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밀봉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예1의 용기와 같다.
<실시예 5>
도 8은 제5실시 예로서 도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도8의 표시와 같이, 둘레벽(8)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지그재그형 단면(13)으로 형성되어 있다.그래서 본 실시예의 지그재그형 단면(13)의 형성에 의하여 밀봉재(5)와 둘레벽(8)과의 결합은 도8 의 표시와 똑같이 선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시이트 상의 밀봉재(5)가 모이 수납부의 둘레벽(8)윗면과 전체 면에 걸쳐 접착(열 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밀봉재(5)와 둘레벽(8)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밀봉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의 용기와 같다.
<실시예6>
도 9는 제6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서의 모이 수납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도9의 표시와 같이, 둘레 벽(8)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파도형 단면(14)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예의 용기는 파도형 단면(14)의 형성에 의하여 밀봉재(5)와 둘레벽(8)과의 결합은 실 시예 5와 똑같이 선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시이트 상의 밀봉재(5)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8)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밀봉재(5)와 둘레벽(8)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밀봉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예1의 용기와 같다.
<실시예7>
도 10은 제7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서의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밀봉재와의 결합형태의 일부만을 확대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둘레 벽(8)의 윗면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하고, 시이트상 밀봉재(5)의 모이수납부(3)의 둘레벽(8)윗면과 접착되는 쪽에 털()면(20)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털면(20)의 형성에 의하여 둘레벽(8) 윗면이 밀봉재(5)와의 접착성이 일반적으로 뛰어난 평면구조라도 밀봉재(5)와 둘레벽(8)의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 만큼 밀봉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예1의 용기와 같다.
<실시예8>
도 11은 제8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서의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밀봉재와의 결합 형태의 일부만을 확대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벌레 유인모이 용기는 적당한 인장강도를 가진 종이 시이트의 밀봉재(5)와, 둘레벽(8)의 윗면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하고, 둘레벽(8)의 윗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섬유재(3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밀봉재(5)를 종이제의 것으로 하고, 또한 둘레벽(8)의 윗면과의 사이에 섬유재(30)를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둘레벽(8)의 윗면의 시일 재와의 접착성이 일반적으로 뛰어난 평면구조라도 밀봉재(5)와 둘레벽(8)의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 만큼 밀봉재(5)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의 용기와 같다.
<실시예9>
도 12는 제9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벌레 유인모이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밀봉재 박리 후), 도 13은 도 12의 Ⅱ-Ⅱ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밀봉재 박리 전),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12∼13은 본 발명의 벌레유인모이용기에 대한 제9실시 예로, 본 실시예의 벌레 유인모이용기(100)는 용기본체(102)로서의 플라스틱제의 대략 정방형의 상자형 용기(일변이 약 6㎝, 높이 약 8㎜)와, 덮개체(103)로서의 플라스틱제의 대략 정방형의 상자형 용기(일변이 약 6㎝, 높이 약 8㎜)로 이루어지며, 양자는 끼워 맞춘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용기본체(102)는 그 내부에 오목부형상의 모이수납부(104)를 가지며,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 둘레에 걸쳐 육상트랙 경기장의 주행 코오스와 비슷한 형상의 둘레 벽(105)(높이는 용기본체(102)와 똑같은 약 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105)의 안쪽에는 폭이 3∼8㎜정도이고 둘레벽(105)의 윗면으로부터 2㎜정도 낮은 위치를 도는 차양형상부재(106)가 부착된다. 그리고, 이 차양형상부재(106)는 그 오목부의 저면 부근에 수직방향으로 내려서 설치되는 작은 조각(107)(본 실시 예에서는 대향하는 1쌍의 2변에 판자형상의 것이 합계 8개)을 가지며, 작은 조각(小片)(107)은 오목부에 수납되어 있는 독모이(108)(입경 1㎜의 입제)와 개미가 왕래하기 쉽도록 오목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덮개체(103)의 3측면에는 각각 개미의 출입구(109)가 둘레벽(105)의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가로가 긴 슬릿(폭 2㎜, 길이 10㎜)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출입구(109)가 없는 덮개체(103)의 나머지 1측면의 중앙부를 윗면 둘레 가장자리 부근까지 절결하고, 대응하는 외주 벽의 1측면부분을 덮개체(103)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하되, 상부를 일부 절결하도록 형성하여, 슬릿상의 밀봉재 박리구멍(110)을 구성하고 있다. 또, 그 외주벽부의 그 대응하는 측면의 안쪽은 그 1측면 상단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 내벽(112)을 설치하여 이중 벽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확실한 모이누출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내벽(112)은 밀봉재(111)를 지지하므로 밀봉재의 당김 가이드로서 도움이 된다.
상기 밀봉재(111)는 상기 실시예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수지로 된 시이트상의 부재로서, 모이수납부(104)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둘레벽(105)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105)의 윗면에는 배껍질 모양(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시이트 상의 밀봉재(111)는 그것이 접착되는 모이수납부(104)의 한끝 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111a)를 가지며, 이 당김조각부(111a)는 길게 뻗어 있고, 상기 한끝 쪽과 반대쪽의 다른 끝 쪽을 넘어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110)을 지나 용기 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제작된 본 실시예의 벌레유인모이용기(100)는 보존 중에 독 모이의 누출을 볼 수 없고, 밀봉재(111)를 박리하여 사용할 때에도 독 모이가 비산될 염려는 없었다. 그리고 용기를 지면 위에 놓아도, 또 용기의 일 측면을 고정용 스틱으로 집고 뜰에서 스틱을 흙 속에 꽂아 넣어 사용하여도, 만족스러운 개미와 같은 벌레 구제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개미와 같은 벌레의 습성 때문에 스틱을 타고 덮개 체의 윗면으로 올라간 후, 출입구(109)에 도달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시예10>
도 15는 제10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벌레 유인모이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밀봉재 박리 후),도 16은 도15의 Ⅲ-Ⅲ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밀봉재 박리 전),도 17은 도15에 도시한 용기의 외관 사시 도이다.
도15∼17은 본 발명의 벌레 유인모이용기에 대한 실시예 10으로, 본 실시예의 벌레 유인모이용기(221)는 실시 예 9와 똑같이 플라스틱제의 대략 정방형의 상자형용기(일변이 약 6㎝, 높이 약 8㎜)로 된 용기본체(222) 및 덮개체(223)가 끼워 맞춘 형태로서 접합되어 있다. 또, 용기본체(222)는 실시예 9와 똑같이 그 내부에 오목부형상의 모이수납부(224)를 가지며,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 둘레에 걸쳐 육상트랙 경기장의 주행 코오스와 비슷한 형상의 둘레벽(225)(높이는 용기본체(222)와 같은 약 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225)의 안쪽에는 폭이 3∼8㎜정도이고 둘레벽(225)의 윗면보다 2㎜정도 낮은 위치를 도는 차양형상부재(226)가 부착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차양형상부재(226)는 그 오목부의 바닥면 부근으로 수직방향으로 내려 설치되는 둘레벽(225)의 안쪽의 전 둘레에 걸쳐 판자형상의 작은 조각(227)이 합계가 14개 정도로 설치되어 있다. 작은 조각(227)도 오목 부에 수납되어 있는 독모이(228)(입경 1㎜의 입자제)와 개미와 같은 벌레가 왕래하기 쉽도록 오목 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체(223)의 3측면에는 각각 개미의 출입구(229)가 둘레벽(225)의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T자형의 슬릿(폭 3㎜)으로 설치되어 있다. 실시 예9와 똑같이, 출입구(229)가 없는 덮개체(223)의 나머지 1측면의 중앙부를 윗면 둘레 가장자리 부근까지 절결하고, 대응하는 외주벽부의 1측면부분을 덮개체(223)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하되, 상부를 일부 절결하여 형성하여 슬릿상의 밀봉재 박리구멍(230)을 구성하고 있다. 또, 그 외주벽부의 그 대응하는 측면의 안쪽은 그 1측면 상단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 내벽(232)을 설치한 이중 벽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확실한 모이 누출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내벽(232)은 밀봉재(231)를 지지하므로 밀봉재의 당김 가이드로서 도움이 된다.
밀봉재(231)는 플라스틱수지로 된 시이트상의 부재로서, 모이수납부(224)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둘레벽(225)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225)의 윗면에도 배껍질모양(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시이트상의 밀봉재(231)는 그것이 접착되는 모이수납부(224)의 한끝 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231a)를 가지며, 이 당김조각부(231a)는 길게 뻗어 있고, 상기 한끝 쪽과 반대쪽의 타단부를 넘어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230)을 지나 용기 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제작된 본실시예 2의 벌레 유인모이용기(221)도 또한 실시 예 9의 용기와 똑같이 만족스러운 개미와 같은 벌레 구제효과를 나타냈다.
<시험예1>
실시예 9에 준하여 하기 표1에 도시한 벌레의 각종 유인용기를 제작하여 개미에 대하여 하기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독모이의 누출 : 밀봉재를 박리한 후, 용기를 70도의 각도로 세웠을때에 용기로부터 누출되는 독모이량을 조사하였다. 입경을 바꾼 독모이를 사용하였고, 결과는 독모이 수납량에 대한 누출량의 비율로 표시하였다.
②개미 구제효과 : 종래의 유인모이용기(출입구를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독모이로서 덩어리를 사용한 것)을 지면 위에 놓아둔 경우와 비교하여 0 ,△,X로 표시하였다.
시험결과, 작은 조각을 구비한 차양형상부재를 가지며, 독모이로서 2.0㎜까지의 입경의 입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벌레 유인모이용기는 독 모이의 누출이나 비산 방지와 벌레(개미)구제효과의 양면에서 뛰어난 데 대하여, 비교예 1 또는 2와 같이 차양형상부재가 없는 경우, 독 모이가 누출되기 쉽고, 한편 차양형상부재의 작은 조각을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 3이나 큰 입경이나 덩어리와 같은 독 모이를 사용한 비교예 4 또는 5에서는 개미 구제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유인모이가 수납된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밀봉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고, 그 때 밀봉재가 찢어져 그 일부가 그 윗면에 남는 일이 없으며, 또 그 오목부의 밖으로 모이가 비산하는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2)용기내에 수납된 유인모이에 대하여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습기 등에 의한 모이의 변질을 방지하고, 또 모이의 보존가능기간 특히 그 유효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3)종래의 벌레유인모이용기에 비하여 독모이가 누출되거나 사용시에 독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하는 문제가 없고, 또한 벌레(개미)의 구제효과가 저감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벌레유인모이용기는 바퀴벌레, 개미, 지네 등의 해충의 구제에, 특히 개미집내의 개미집단의 구제에 유효한 잇점을 갖는다.

Claims (12)

  1.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벌레들이 출입하기 위한 벌레 출입구들이 외주 벽부에 다수개 형성되며, 외주벽부와 결합되는 덮개체를 갖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벌레의 유인모이를 넣어두기 위한 오목 부를 둘러싼 둘레 벽이 그 오목 부의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모이 수납 부; 및
    상기 모이수납부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그 둘레벽 윗면에 밀봉성을 유지하게 접착 또는 열용착되고, 한 끝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를 가지며, 그 당김조각부를 잡아당김으로써 그 시이트를 상기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게 한 플라스틱 또는 종이 재질중 어느 하나로 된 밀봉(Seal)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 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는 배껍질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는 주름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는 반구형상이나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이 분산 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는 둘레벽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고랑부가 둘레 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 단면은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지그 재그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 단면은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파도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모이 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접착되는 쪽에 털 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적당한 인장강도를 가진 종이시이트와,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에 입경이 0.5∼3㎜의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넣어둠과 동시에, 그 둘레 벽의 안쪽에 그 둘레벽의 대략 윗면위치를 돌면서 그 오목부의 바닥면 부근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작은 조각을 복수개 구비한 차양형상부재를 더 부착하여, 그 둘레벽 윗면에 박리할 수 있는 밀봉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에는 복수개의 벌레출입구를 설치하며, 그 덮개체의 윗면까지 상기 외주벽부의 1측면을 높게 형성하여 그 상단 부근에 1개의 밀봉재 박리 구멍을 뚫어 설치함과 아울러 외주벽부의 일 측면의 안쪽에 그 일 측면과 대략 같은 높이의 내벽을 더 설치하여 이중벽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 유인모이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형상부재의 작은 조각은 판자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벌레 출입구가 상기 덮개체의 둘레 가장자리 측면에 가로가 긴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KR10-2001-0047534A 2000-10-31 2001-08-07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KR100430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33185 2000-10-31
JPJP-P-2000-00333186 2000-10-31
JP2000333186A JP3747263B2 (ja) 2000-10-31 2000-10-31 虫の誘引餌容器
JP2000333185A JP2002125561A (ja) 2000-10-31 2000-10-31 虫の誘引餌容器
JP2001046820 2001-02-22
JPJP-P-2001-00046820 200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52A KR20020034852A (ko) 2002-05-09
KR100430545B1 true KR100430545B1 (ko) 2004-05-10

Family

ID=3747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534A KR100430545B1 (ko) 2000-10-31 2001-08-07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5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052Y1 (ko) * 1987-02-19 1989-09-11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터어보 차져 엔진 급 가속시의 흡입 공기 증대장치
US5033229A (en) * 1990-10-10 1991-07-23 S. C. Johnson & Son, Inc. Liquid delivery bait station
KR19980701338A (ko) * 1995-01-11 1998-05-15 에드윈 알. 로시니 곤충 유인 장치 (insect bait station)
KR20000036224A (ko) * 1996-09-18 2000-06-26 프랭크 제이. 윌리엄 삼세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052Y1 (ko) * 1987-02-19 1989-09-11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터어보 차져 엔진 급 가속시의 흡입 공기 증대장치
US5033229A (en) * 1990-10-10 1991-07-23 S. C. Johnson & Son, Inc. Liquid delivery bait station
KR19980701338A (ko) * 1995-01-11 1998-05-15 에드윈 알. 로시니 곤충 유인 장치 (insect bait station)
KR20000036224A (ko) * 1996-09-18 2000-06-26 프랭크 제이. 윌리엄 삼세 기어 다니는 곤충용 미끼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52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3795C (en) Liquid delivery bait station
US5953854A (en) Granular bait station
US5572825A (en) Glue trap
US8266839B2 (en) Insect bait station with snap-open cartridge and cradle
US7310908B2 (en) Insect bait station
US7694456B1 (en) Flying insect trap
US6502348B2 (en) Reusable pesticide bait station
JP4788857B2 (ja) 蟻の誘引餌容器
AU2003207647B2 (en) Packaged rodenticide
US20080256843A1 (en) Insect Bait Station
US20030145511A1 (en) Bait tray with a breachable internal seal
KR100430545B1 (ko)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JP4480983B2 (ja) アリ用毒餌剤容器
JP2002209499A (ja) 蟻の誘引餌容器
KR100425251B1 (ko) 개미의 유인 모이용기
JP3930009B2 (ja) アリ用毒餌剤容器
JP3747263B2 (ja) 虫の誘引餌容器
JP2002125561A (ja) 虫の誘引餌容器
JP7079961B2 (ja) 鼠の駆除方法
WO2005043998A1 (ja) アリ用毒餌剤容器および食餌体用アリ誘引剤組成物
JPH025743Y2 (ko)
CN114630580A (zh) 诱饵站
JP3007113U (ja) ゴキブリ殺虫器
JPH0348162B2 (ko)
JPH059280U (ja) 害虫殺除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