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976A -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976A
KR20000035976A KR1019997001882A KR19997001882A KR20000035976A KR 20000035976 A KR20000035976 A KR 20000035976A KR 1019997001882 A KR1019997001882 A KR 1019997001882A KR 19997001882 A KR19997001882 A KR 19997001882A KR 20000035976 A KR20000035976 A KR 2000003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ring
support member
support plate
sp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011B1 (ko
Inventor
벡커폴커
허만스인고
쾨르테프랑크
베스텐도르프토마스
짐머만홀거
레퍼빌프리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3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부재가 스프링 코일 소자를 통해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는 가운데,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지 부재가 자동차 내에서 하우징의 설치 위치와 무관하게 마련되어 있는 자유 진동 공간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 부재에 작용하고 일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의 스프링의 각각의 장력 성분에 대해 다른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장력 성분이 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지지 부재를 적어도 2 개의 스프링 코일 소자에 의해 하우징 내에 지지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스프링 강도 및 전체 진동계의 고유 주파수가 양호하게 상승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저주파수 경우에서의 소망스럽지 않은 공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Spr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Vibration- or Shock-Sensitive Apparatus secured to a Support in a Housing}
예를 들어, 디스크 플레이어, CD-디스크 플레이어(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CD-체인저(교체기) 또는 디스켓 플레이어 또는 하드 디스크 플레이어를 지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또한 지지 부재를 코일 스프링 소자를 거쳐 하우징 내에 방진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CD 플레이어를 방진 및 내충격적으로 고정하는 것은 특히, 자동차에서는 교란 없는 작동을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장치는 자동차에 고정 설치된 장치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현가되고, 지지부재도 인장 스프링이나 압축 스프링으로 된 다수의 코일 스프링을 통해서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다. 도 1a는 인장 스프링을 가진 공지의 스프링 장치를, 또한 도 1b는 압축 스프링을 가진 공지의 스프링 장치를 도시한다. 도 1a에서는 그 상부면에 예를 들어, CD 플레이어(1)가 있는 판형상의 지지부재(2)가 도합 4 개의 코일 스프링(10, 11; 그 중 단지 4 개만 표시됨)을 통해 직방체(3)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하우징에 작용하는 자극에 의해서도 플레이어(1)는 그 가속도가 아주 크게 약화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현가의 경우에는 자극 주파수가 낮을 때에는 바람직하지 않게 장치(1)를 심하게 진동시키는 원인이 되는 공진 상태가 형성되어, 그 결과로서 장치(1)가 하우징(3)에 충돌하게 될 수 있다. 이런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진동계의 고유 주파수(ωmax)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데, 그 이유는 그 순간의 자극의 경우 플레이어(1)의 속도가 훨씬 약화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질량(M)이 하기의 식 1에 따라 오직 스프링 강도(K)를 상승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에서 스프링(10,11)에 매달린 지지판은 자체의 중력에 의해 충분히 외측으로 편의되어, 그 판은 편의를 위한 자유 진동 공간의 대략 중앙에 있을 수 밖에 없고 그 진동 공간의 높이는 도 1a에 있어 x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편의는 스프링 강도를 감소시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지만, 식 1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게 고유 진동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피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1b에 의한 스프링 배치는 또한 스프링이 축 방향, 즉 스프링 축 방향으로 부하를 받을, 그러한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반경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에는 스프링이 심하게 휘어진다. 스프링은 거의 신장하지는 않고 대체로 단지 흔들리거나 구부러진다. 그래서, 반경 방향으로는 단지 작은 복귀력만 작용한다. 장치가 소정 설치 위치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자동차에 설치되었을 때에만 반경 방향 배향 힘이 스프링에 작용한다. 상기 경우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3)가 기울어질 때에는 지지 부재(2)는 자체의 중력에 의해 측방으로 심하게 편의해서 자유 진동 공간이 줄어든다. 진동 또는 충격 자극의 경우에는 하우징의 측벽에 충돌할 위험이 있다. 그래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프링 장치의 사용은, 디스크 플레이어가 규정된 설치 위치에 고정 배치될, 따라서 예를 들어, 단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을 그런 경우에 한정된다. 자동차 무전장치에 있는 CD 플레이어는 가끔 비스듬히 대응하는 버팀대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 하우징이 버스의 지붕 구조물 내에 고정될 때에는, CD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정한 경사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그런 경우 경사각에 조화되는 추가의 스프링(19)을 지지 부재(2)에 고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이때에도 역시 결점은, 플레이어를 자동차 내 소정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시킬 수는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많은 장치의 경우, 예를 들어, CD 체인저를 일정 범위 내에서 그때에 주어진 설치 위치에 적합화시킬 수 있게 도와주는 적응 기계부품을 모색하게 된다. 이 공지의 종래 기술은 도 7a 및 7b에 표시되어 있다. 도 7a는 처음 수평 설치 위치에 있어 장치와 그 하우징(3)을 보여준다. 도시되지 않은 CD 체인저는 지지 부재(2)에 고정되어 있는 데, 그 부재는 두 스프링(10 및 11)을 통해 두 원판(40)에 걸려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2)는 스프링을 위해 제공된 자유 진동 공간의 대략 중앙에 위치된다. 디스크(40)는 각각 한 축(41)에 의해 장치 하우징(3)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수평 설치의 경우에는 스프링(10, 11)은 도 7b의 위치(A)에 배치된다. 이제 같은 장치가 자동차 내의 수직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면, 하우징(3)이 90°만큼 회전된 후 두 원판(40)은, 두 스프링(10, 11)이 도 7b에서 위치(B)에 위치되고 이어서 제동될 때까지, 작동 수단(42)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배치되어 있는 장치와 함께 지지 부재(2)의 중력은 이제 다시 스프링(10, 11)의 장력에 의해 보상되며, 따라서 지지 부재는 하우징 내에서 수직 설치시에도 자유롭게 진동될 수 있다. 또한 0°와 90°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에도 조절될 수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의 결점은 장치의 제조가 어렵고 고가의 적응 기계부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장치는 축(41)에 평행 위치하는 축 주위로만 기울어질 수 있어, 적응 기계부품을 상이한 설치 위치에 상당한 고 비용으로 적합화 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대개념에 의한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지지 부재가 인장 스프링에 현가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프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지지 부재가 압축 스프링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 2의 스프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지지 하우징이 경사졌을 경우의 도 1a의 스프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경사각에 조화하는 추가 스프링을 가진 도 2a의 스프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CD 플레이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스프링이 지지판으로부터 경사져 멀어지고 있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에 표시된 실시예에 대한 힘 도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c는 지지판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4 개의 스프링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3 개의 스프링을 가진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종래 기술에 의한 2 개의 스프링에 현가된 CD 체인저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CD 체인저용 스프링 장치의 실시예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측면도.
청구 범위 주청구항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장치는 상기 종래 기술에 비해 각각의 스프링 강도가 증가되고 계의 고유 주파수가 상승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지지 부재가 하우징 내의 소정 위치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일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 성분에 대해 항상 하나의 장력 성분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방식으로 강도가 큰 인장 또는 압축 스프링을 사용할 때 지지 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자유 진동 공간의 중앙으로부터 과도하게 신장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스프링 장치의 적합화 또는 적응 기계공학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지지 부재를 자동차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지지 부재의 위치는 설치 위치가 상이해도 하우징에 대해서 미소하게만 변하고, 이에 의해 진동 또는 충격의 경우 설치 위치와 무관하게 장치의 교란 없는 기능 작용이 보장될 수 있다.
이것은 대체로, 하우징이 경사지거나 회전되었을 때, 도 2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처럼 단순히 진동하거나 휘어지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장치의 경우에는, 지지 부재를 하우징 내에 탄성 지지함에 의해 지지 부재가 임의의 방향으로 편의하면 스프링이 항상 회전하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편의에는 항상 대응하는 복귀력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양태 및 변형은 청구범위 종속항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양호하게는 스프링 장치는 지지 부재가 자유 진동 공간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진동 진폭이 클 경우에도 하우징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 부재 및 하우징에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다시 분리될 수 있는 저렴한 인장 스프링의 사용도 장점인데, 그 이유는 설치 비용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 부재를 납작한 직사각형 지지판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유리하다. 직사각형 지지판은 양호하게는 구석 부위에 배치된 스프링을 통해 직사각형 하우징 내에 지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부면과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각각 4 개의 인장 스프링으로 지지판을 하우징 내에 지지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지지판을 자유 진동 공간의 중앙에 또한 상하 하우징 벽에 평행하게 안정적이고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판이 상부면 위의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구석 부위에서 2 개의 인장 스프링을 통해 상부 하우징 벽에 그리고, 다른 두 구석 부위에서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으로 하부 하우징 벽에 고정될 때에는, 4 개의 스프링이 지지판을 하우징 내에 탄성 지지하기에 충분하다.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것은,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판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지지판을 하우징 내에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장치를 경사 위치로 설치하면 스프링의 신장이 더욱 커지고 그것에 의해 복귀력도 강해진다.
지지판이 종변에 고정된 지지판에 대략 평행하게 배향된 인장 스프링을 통해 하우징에 연결되면, 지지판의 평면에 배치된 세개의 스프링을 가진 장치로서 충분하다.
예를 들어, CD 체인저의 경우에서와 같은 많은 경우에는 진동 민감 장치가 직방형 지지 부재에 고정된다. 그런 경우 직방형 지지 부재는 양호하게는 2 개의 원추대형 스프링을 통해 하우징의 두 대향 측벽들 사이에 탄성 지지된다. 그러면 원추대형 스프링의 최초 및 최종 권선은 탄성 작용에 관여하지 않고 양호하게는 각각 측벽에 납작하게 배치된 인접 영역으로 측벽에 고정 연결된다. 원추대형 스프링은 지지 부재가 특히, 작은 장소만을 차지하고 또한 저렴하게 하우징 내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기재로부터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장치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진동 또는 충격 민감 장치(1)는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CD 플레이어이다. CD 플레이어(1)는 직사각형 지지판(2)의 상부면에 있다. 지지판(2)은 4 개의 코일 스프링 소자(그 중 단지 2 개, 즉 스프링(10, 11)만이 도 3에 도시됨)로 직방형 하우징(3)의 상부면(27)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3)은 수평 설치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으로서, 저렴한 인장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은 나사 모양으로 감긴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그 단부는 고리 형태로 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은 지지판(2)의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인장 스프링의 고리는, 플레이어(1)에 의해 덮이지 않은 직사각형 지지판(2)의 상부면(25) 위의 단부에 배치된 대응 후크 내에 또한 이것에 대향하는 하우징 상부면(27)의 후크 내에 걸려 있다. 도 3에는 단지 스프링(12, 13)만이 도시되어 있는 4 개의 추가 인장 스프링에 의해 지지판(2)의 하부면(26)은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 하부면(28)과 연결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의 길이는, 하우징(3)에 고정된 모든 인장 스프링이 현가되었을 때, 지지 부재(2)에 배치된 후크 내에 신장되어 맞물릴 필요가 있을 정도가 되게 한다. 8 개의 스프링 모두를 고정한 후에는 지지 부재(2)는 하우징(3) 내에 인장 상태에 있게 된다. 그래서 지지판(2)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스프링(10)의 인력은 스프링(12)의 인력에 반대로 작용하고, 스프링(11)의 인력은 스프링(13)의 인력에 반대로 작용한다. 스프링들의 강도는, 상부면에 배치된 스프링(10, 11)이 동일한 힘으로 지지판을 하우징 상부면(27) 쪽으로 끌고, 그와 같은 힘으로, 반대측 하부면(26)에 배치된 스프링(12, 13)이 지지판(2)을 하우징 하부면(28) 쪽으로 끌도록,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들의 강도 즉, 진동계의 전체 강도는, 진동 공간의 중앙으로부터 지지판을 변위시킴이 없이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양호하게는 전체 계의 고유 진동수가 높은 주파수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판(2)은 스프링 소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진동 완충기를 통해 하우징(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더욱이 스프링 강도가 큰 경우 지지판(2)과 장치(1)의 중력으로는 상부 스프링(10, 11)의 작은 신장 그리고 하부 스프링(12, 13)의 작은 수축만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판(2)에서 하우징 상부면(27)까지의 거리는 하우징 하부면(28)까지의 거리 보다 약간 더 크다. 스프링 길이를 미소하게 변경시키거나 또는 스프링의 하우징 부재에서의 현가점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수평 배치의 경우 하우징 상부면(27)과 하우징 하부면(28)에 대해 동일한 거리로 지지판(2)을 자유 진동거리(x)의 중앙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수평 설치에서 벗어나 하우징(3)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지지판(2)은 자체의 중력 성분에 의해 하우징 하부면(28)에 평행하게 편향된다. 그 경우에는 편향된 중력은 반경 방향 힘으로서 스프링(10, 11, 12, 13)에 작용한다. 이 경우는 스프링(10, 11)이 진동하거나 또는 휘어지는 선행 기술에 대한 도 2a에 도시된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도 3의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장치의 경우에는 스프링(12)은 스프링(10)의 단순 진동을 방지하고 스프링(13)은 스프링(11)의 단순 진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지지 부재(2)는 진동 공간의 중앙에서 인장상태에 놓여있기 때문에, 하우징(3)이 경사지고 지지 부재(2)가 측방으로 편의된 경우 모두 8 개의 스프링은 신장(신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신장으로 다시 측방향 편의에 대해 반대로 작용하는 복귀력이 발생되는 데, 이 복귀력은 스프링들의 강도가 강할수록 그만큼 커진다. 따라서, 상기 측방향 편의는 종래 기술의 경우보다 훨씬 작다. 진동 부하 또는 충격하에서도 지지부재(2)가 하우징(3)의 측벽에 충돌하는 것은 양호하게 방지된다.
도 3에 표시된 실시예의 개선형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관찰자 쪽의 4 개의 스프링(10, 11, 12, 13)만이 나타나 있는, 8 개의 인장 스프링이 장치(3)가 수평으로 설치된 가운데 상부면(25)과 하부면(26)으로부터 비스듬히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직사각형 지지판(2)의 구석 부분과 연결되지 않은 인장 스프링(2)의 단부는 직방형 하우징(3)에 대응하는 8 개의 구석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을 도 5의 삼차원 도시에서(단지 4 개의 스프링만 도시됨) 좀 더 분명히 알 수 있다. 물론 스프링들을 하우징(3)의 구석에 직접 고정하지 않고 측벽 또는 대응하는 틀의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하우징 내에 고정 소자를 배치하고 몇 개의 스프링은 고정 부재에 또한 다른 스프링들은 하우징 벽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단지 스프링들을 외측으로 비스듬히 배치시키는 것으로, 그 경우 한 스프링의 특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 성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스프링의 같은 크기의 장력 성분이 반작용하게 된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힘 도해도이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의 관찰은 이차원의 경우에 국한되어 있다. 지지판(2)에는 장력(F1, F2, F3및 F4)이 작용한다. 이들 각각의 장력, 예를 들어, 장력(F1)은 수평 성분(F1') 및 수직 성분(F1")으로 분해될 수 있고, 그 성분에, 다른 스프링의 반대 방향 장력 성분이 반대로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성분(F1')에는 스프링(12)의 성분(F4')이 또한 성분(F1")에는 스프링(11)의 성분(F2")이 반대로 작용하고 있다. 모든 작용력은 보상되기 때문에 지지 부재(2)는 진동 공간의 중앙에 인장 유지된다. 스프링 힘에 비해 작은 크기의 지지판(2)의 중력은 단지 지지판의 하우징 하부면(28) 방향으로의 미약한 편의를 일으킬 뿐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상기 실시예의 장점은 특히 8 개의 스프링이 수평 방향뿐 아니고 수직 방향으로도 인장된다는 데 있다. 하우징의 경사 설치 또는 수직 설치의 경우 비스듬히 위치하는 스프링들은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보다 축방향으로 더 강하게 편의되고, 이것은 다시 보다 강한 복원력을 야기시킨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지지 부재(2)의 임의의 방향의 편향에 대응하여 강한 복귀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지지 부재(2)가 직사각형 판(2)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사각형의 종변(22)에는 하부면(26)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다리(20)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2)는 8 개의 스프링(그 중에서 단지 스프링(10, 11, 12, 13)만이 도 4c에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하우징(3)에 인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스프링(10)은 지지판의 상부면(25)에 직접이 아니라 하우징 하부면(28)으로 돌출하는 다리(20)의 단부(29)에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12)은 다리(20)와 지지판(2)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22)에 고정되어 있어서, 스프링(10, 11)은 지지 부재(2)의 상부면(25)을 지나 돌출되고 스프링(12, 13)은 반대 방향으로 하부면(26)을 지나 돌출되어 있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추가의 개선형을 도시하는 데, 여기서는 지지 부재(2)가 단지 4 개의 인장 스프링(10, 13, 14, 15)을 통해 하우징(3)에 인장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2)의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구석 영역에서 스프링(10, 15)이 지지판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10, 15)은 상부면(25)으로부터 비스듬히 외측으로 돌출해 있고 그 다른 단부로는 하우징(3)의 상부면(27)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구석에서 하우징(3)과 연결되어 있다. 지지판(2)의 다른 두 구석 영역은 동일한 방식으로 스프링(13, 14)을 통해 하우징(3)의 하부면(28)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다른 두 구석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의 스프링 장치는 상기 도 4a의 스프링 장치로부터 나온 것으로서, 상부면(25)과 하부면(26)에서 교대로 4 개의 스프링이 탈락되어 있다. 또한,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지지판의 임의의 편향에 대응적으로 복귀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5의 스프링 장치는 단지 4 개의 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이점을 완전히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는 3 개의 스프링으로 완전한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부재(2)는 직방형 하우징(3) 내부의 중앙에 도약판 모양으로 고정되어 지지판(2)의 평면에 배치된 3 개의 인장 스프링(16, 17, 18)에 의해 하우징(3)에 연결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16)은 종변(22, 21)에 의해 형성된 구석 영역에서 이 영역에 대향하는 하우징(3)의 안쪽 구석에 연결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17)은 종변(21, 24)에 의해 형성된 구석 영역에서 이웃하는 하우징(3)의 안쪽 구석에 연결되어 있다. 세 번째 인장 스프링(18)은 스프링(16, 17)에 대향하는 종변(23)의 중심부를, 스프링(16, 17)에 연결된 안쪽 구석들에 대향 위치하는 하우징 벽의 중점과 연결시키고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지지판(2)에서 하우징(3)의 측벽까지의 거리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는 약간 더 큰 치수로 정해진다.
도 8a 및 8b에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진동 민감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직방형 지지 부재(2) 내에 배치된 CD 플레이어이다. 지지 부재(2)는 적어도 2 개의 측벽(6, 7)을 갖고 있고, 코일 스프링 소자(10, 11)를 통해 하우징(3)과 연결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소자(10, 11)로서는 그 자체가 공지의 원추대형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 스프링의 내부 권선들은, 스프링을 완전히 수축했을 때 스프링의 높이가 단일 권선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하나의 나선 형태로 서로 안으로 위치된다. 원추대형 스프링은 구조 높이가 낮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원추대형 스프링은 와이어 스프링 또는 밴드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10, 11)은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0, 11)이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 스프링은 그 양단부에 탄성 작용에 참여하지 않는 2 개의 불활성 권선(30, 31)을 갖고 있다. 스프링(10)의 단부 권선(30)은 측벽(7) 위에 평평하게 배치된 연접 영역(33)에서 지지 부재(2)의 측벽(7)과 통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최대 직경을 가진 단부 권선(31)은 대향하는 하우징(3)의 측벽(46)과 연접 영역(34)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11)도 비슷한 방식으로 지지 부재(2)의 측벽(6) 및 하우징(3)의 측벽(46)에 대향하는 측벽(45)과 연결되어 있다. 이런 식의 연접에 의해 단지 2 개의 스프링을 갖는 배치에서, 지지 부재(2)의 스프링(10, 11) 주위의 회전에 기인하고 스프링(10, 11)의 비틀림을 일으키는 원주력(순환력)에 대응하는 복귀력이 반작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스프링(10)의 인력이 스프링(11)의 인력에 반대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지 부재(2)는 원추대형 스프링(10, 11) 사이에서 이들을 위해 제공된 자유 진동 공간의 대략 중앙에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10, 11)이 연장되는 축 주위로 하우징(3)이 회전하는 경우, 원추대형 스프링이 회전 대칭체이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크기의 복귀력이 지지 부재(2)의 중력에 반대로 작용한다. 도 8a에서 종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경우, 도 7a에 표시된 종래 기술과는 반대로 지지 부재(2)의 수평 편의력에 대향하는 강한 복귀력이 작용하여, 지지 부재(2)는 역시 자유 진동 공간의 대략 중간에 머무르게 된다.

Claims (10)

  1. 스프링 코일 소자(10 내지 19)를 통해 하우징(3)과 연결되어 있는 지지 부재(2)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1)를 하우징(3)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2)에 일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의 스프링의 각각의 장력 성분에 대해 다른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장력 성분이 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지지 부재(2)가 적어도 2 개의 스프링 코일 소자에 의해 하우징(3) 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2)는 자신을 위해 제공된 자유 진동 공간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 소자(10 내지 18)는 그 단부가 고리, 후크 또는 대응 고정 수단 형태로 구성된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2)는 상부면(25)과 하부면(26)을 갖는 양호하게는 직사각형 모양의 지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지지판(2)이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 사이에 대략 같은 거리에서 지지되도록, 지지판(2)은 상부면(25)으로부터 돌출되는 4 개의 인장 스프링(10, 11)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하우징 부분(27)에, 또한 하부면(26)으로부터 돌출되는 4 개의 추가의 인장 스프링(12, 13)으로 제 1 하우징 부분(27)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우징 부분(28)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지지판(2)이 대략 같은 거리에서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 사이에 지지되도록, 지지판(2)은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 위치되는 지지판의 두 구석 영역에서 상부면(25)으로부터 돌출되는 인장 스프링(10, 15)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하우징 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판(2)은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 위치되는 지지판의 다른 두 구석 영역에서 하부면(26)으로부터 돌출되는 인장 스프링(13, 14)으로 제 1 하우징 부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우징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비스듬히 뻗어 나오며 지지판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지지판(2)이 하우징(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지지판(2)은 그 짧은 종변(21, 22, 23, 24)에서 그 평면 내에, 그리고 지지판(2)에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3 개의 인장 스프링(16, 17, 18)에 의해 하우징(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 소자로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두개의 원추대형 스프링(10, 11)이 배치되어 있고, 그 일단부(30)는 지지 부재(2)에 있는 하나의 측벽(6, 7)과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부(34)는 하우징의 측벽(45, 46)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원추대형 스프링(10, 11)의 단부 권선(30, 31)은 불활성 권선으로서 탄성 작용에 관여하지 않으며, 납작하게 측벽에 배치된 연접 영역(33, 34)에서 지지 부재(2)의 측벽(6, 7) 및 하우징(3)의 측벽(45, 46)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민감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KR10-1999-7001882A 1996-09-09 1997-09-02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KR100471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6496.5 1996-09-09
DE19636496A DE19636496C2 (de) 1996-09-09 1996-09-09 Federanordnung zur Lagerung eines an einem Trägerteil befestigten vibrations- oder stoßempfindlichen Gerätes in einem 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976A true KR20000035976A (ko) 2000-06-26
KR100471011B1 KR100471011B1 (ko) 2005-03-07

Family

ID=780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882A KR100471011B1 (ko) 1996-09-09 1997-09-02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71434B1 (ko)
EP (1) EP0923684B1 (ko)
JP (1) JP2001500232A (ko)
KR (1) KR100471011B1 (ko)
DE (2) DE19636496C2 (ko)
WO (1) WO199801136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071A (ko) * 2021-04-07 2022-10-14 권영민 제진과 면진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2022A1 (de) * 1998-11-24 2000-06-0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Anordnung zum schutz von elektronischen funktionseinheiten und/oder funktionsgruppen
KR20000038339A (ko) * 1998-12-05 2000-07-05 전주범 씨디 체인저의 방진 장치
DE10026178C2 (de) * 1999-05-26 2003-10-30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Elastisches Konstruktionselement
US6598545B2 (en) * 2001-04-10 2003-07-29 Newport Corporation Vibration damper for optical tables and other structures
US7094181B2 (en) * 2001-04-26 2006-08-22 David Hall Transportable trampoline system
WO2003019035A2 (en) * 2001-08-08 2003-03-06 Isic A/S Vibration damper for dampening vibrations at low frequencies
US6871561B2 (en) * 2002-03-07 2005-03-2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Isolator and assembly configuration
TWI247283B (en) * 2002-08-13 2006-01-11 Uniwill Comp Corp Anti-shock system for data access apparatus
JP2004152116A (ja) * 2002-10-31 2004-05-27 Toshiba Corp 電子機器
EP1424553A3 (de) * 2002-11-29 2004-10-13 ABB PATENT GmbH Einrichtung mit Aufhängung eines Probenkörpers
DE10311755B4 (de) * 2003-03-18 2016-05-04 Dr. Johannes Heidenhain Gmbh Einschubrahmen für ein Speichermedium
US7395931B2 (en) * 2003-12-03 2008-07-08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Protective device for reducing the impact of physical shock
US7487958B2 (en) * 2005-05-10 2009-02-10 Shu-Lung Wang Anti-vibration mechanism for dental impression material mixer
EP1758125A1 (en) * 2005-08-24 2007-02-28 THOMSON Licensing Disk drive unit
US20080185183A1 (en) * 2007-02-07 2008-08-07 Chien-Chung Chen Resonance-coordinating device for audio and video
US8214148B2 (en) * 2008-11-14 2012-07-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ive mounting within an inertial navigation system
CN102032926A (zh) * 2010-12-01 2011-04-27 南京物联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振动/震动记录仪的信号处理模块安装结构
US8480052B2 (en) * 2011-01-11 2013-07-09 Drs Tactical Systems, Inc. Vibration isolating device
FR2988170B1 (fr) * 2012-03-15 2014-03-14 Thales Sa Centrale inertielle comprenant un boitier externe et un ensemble capteur suspendu
CN103727171A (zh) * 2012-10-16 2014-04-16 义乌市黑白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消振机座
CN103727170A (zh) * 2012-10-16 2014-04-16 义乌市黑白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抗共振式消振机座
TW201425168A (zh) * 2012-12-28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機櫃組合及具有該機櫃組合的貨櫃數據中心
WO2014133202A1 (ko) * 2013-02-27 2014-09-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머플러 테일 파이프의 진동저감장치
US10018243B1 (en) * 2013-12-20 2018-07-10 Steve L. Gilbert Vibration isolation of electronics and/or components
CN103742580A (zh) * 2014-01-09 2014-04-23 东南大学 一种惯性导航组件隔振系统固有频率调整方法
JP6082709B2 (ja) * 2014-03-06 2017-02-15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移動体の床面支持構造
CA2894135A1 (en) * 2014-06-16 2015-12-16 Universiti Putra Malaysia A variable stiffness bracing device
US20160070317A1 (en) * 2014-09-05 2016-03-10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Wuhan) Co., Ltd. Mounting system for hard disk drive
US10888173B2 (en) * 2016-10-28 2021-01-12 Sleep Number Corporation Air controller with vibration isolators
JP7113451B2 (ja) * 2018-06-28 2022-08-05 株式会社ユニロック 防振構造、計測装置
US11276435B2 (en) * 2018-10-30 2022-03-15 Quanta Computer Inc.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for server rack delivery
CN110547959B (zh) * 2019-09-29 2022-03-11 深圳智加问道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按摩眼罩
CN111697904B (zh) * 2020-06-21 2023-07-25 山东益嘉宏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物联网实时安全信息传输的矿业专用变频器
CN112927727B (zh) * 2021-01-27 2021-12-07 深圳冠兰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护性好的激光播放器外壳
US20230052751A1 (en) * 2021-08-12 2023-02-16 Ashley Sawatsk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ducing vibration of 3d printers
US11832728B2 (en) * 2021-08-24 2023-12-05 Sleep Number Corporation Controlling vibration transmission within inflation assemblies
EP4198337A1 (en) 2021-12-15 2023-06-21 Versuni Holding B.V. A system having an object supported by a vibration damping mounti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4501A (en) * 1924-11-08 1925-09-22 Fed Telephone Mfg Corp Shock-proofing-mounting means for vacuum tubes
US1710478A (en) * 1927-09-07 1929-04-23 Hoppin Mary Gallatin Hat support
US2246323A (en) * 1937-11-06 1941-06-1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Shock and vibration proof mounting for control apparatus
GB571026A (en) 1943-07-22 1945-08-02 William Edward Barb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ti-vibration mounting devices
US2474042A (en) * 1945-07-16 1949-06-21 Jr Edward J Egle Vibration eliminating apparatus
FR1115329A (fr) 1954-12-10 1956-04-23 Dispositif de suspension amortisseur pour appareils de précision et autres
US2799778A (en) * 1956-01-11 1957-07-16 Stephenson John Gregg Stable local oscillator
US2905162A (en) * 1956-06-18 1959-09-22 Holley Carburetor Co Ignition distributor
US2932546A (en) * 1957-07-29 1960-04-12 Ampatco Lab Corp Instrument mounting
DE1134452B (de) * 1960-02-20 1962-08-09 Braun Ag Schwingankermotor, insbesondere fuer Trockenrasierapparate
US3115323A (en) * 1961-06-16 1963-12-24 Francis J Crandell Vibration isolators
US3220726A (en) * 1963-04-02 1965-11-30 Wonder Products Company Center post hobby horse
DE1252785B (de) 1963-07-09 1967-10-26 Licentia Gmbh Federelement zur Isolierung der axialen und Drehschwingungen kleiner Elektromotoren in Tongeraeten
US3389881A (en) 1965-07-17 1968-06-25 Philips Corp Resilient supports for rotating machine parts
US3450379A (en) * 1967-09-15 1969-06-17 Itek Corp Vibration isolation device
DE7710055U1 (de) * 1977-03-30 1977-07-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Gehäuse- und/oder Gestellkombination für die elektr. Nachrichten- oder Meßtechnik
JPS6039831B2 (ja) 1979-11-12 1985-09-07 三菱製鋼株式会社 免震床
US4482125A (en) * 1982-09-22 1984-11-13 Over-Lowe Company Lamp supporting unit for absorbing shocks and vibrations
JPS60163592U (ja) * 1984-04-07 1985-10-30 ソニー株式会社 乗物用光学デイスクプレーヤ
DE3514164A1 (de) * 1985-04-19 1986-10-2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Elastische lagerung mit einstellbarer daempfung fuer schallplattenspieler
GB2176870B (en) 1985-06-07 1989-07-12 Demetrios Georgio Papadopoulos Vibration or shock isolators
JPS6376932A (ja) 1986-09-17 1988-04-07 Kajima Corp 建物用動吸振器
US4870552A (en) * 1988-07-22 1989-09-26 Vitta Trust, C/O Michael F. Vitta, Trustee Lighting devive
US5042024A (en) * 1989-04-28 1991-08-2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k re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being disposed in different attitudes
DE4106329C1 (en) * 1991-02-28 1992-06-17 Siegward 6338 Huettenberg De Roth Protective housing for burglar alarm - has proximity switches to initiate alarm upon attempted sabotage
US5366200A (en) * 1992-09-29 1994-11-22 Scura John E Shock mount assembly
US5886810A (en) * 1997-09-29 1999-03-23 Hinds Instruments, Inc. Mounting apparatus for an optical assembly of a photoelastic modulator
US6129445A (en) * 1998-08-11 2000-10-10 Yus United Enterprises Inc. Shock absorbing work lamp prot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071A (ko) * 2021-04-07 2022-10-14 권영민 제진과 면진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1434B1 (en) 2002-04-16
DE19636496C2 (de) 2000-11-30
WO1998011362A2 (de) 1998-03-19
WO1998011362A3 (de) 1998-08-06
KR100471011B1 (ko) 2005-03-07
DE19636496A1 (de) 1998-03-12
US20020053632A1 (en) 2002-05-09
JP2001500232A (ja) 2001-01-09
EP0923684A2 (de) 1999-06-23
EP0923684B1 (de) 2001-06-06
DE59703736D1 (de)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011B1 (ko) 지지 부재에 고정된 진동 또는 충격 민감 장치를 하우징 내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
US5595430A (en) Resilient retainer for vibration sensitive components
US4744547A (en) Elastic engine mount
EP0780845A1 (en) Rotary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CN1125931C (zh) 具有振动敏感结构单元的电子装置
US6292455B1 (en) Disk drive apparatus with elastic dampers
JPH0427631B2 (ko)
JPS62502001A (ja) レコ−ドプレ−ヤ−用の調節可能な緩衝部材を有する弾性的な支承装置
JPH07253139A (ja) ハウジング部分上に振動を減衰して担板を支持する装置
JPH03505797A (ja) 振動に敏感な部分を備えた器具
US5645262A (en) Portable CD mount for off road vehicles
US3263953A (en) Vibration isolation mount
JPH0744052Y2 (ja) ショックマウントによる電子機器の取付装置
WO1993008414A1 (en) Vibration damper
JPH031484B2 (ko)
US3381150A (en) Torque motor
JPS63275828A (ja) ダンパ−装置
JP2641453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CN101672338A (zh) 减振装置及使用该减振装置的盘驱动器
JP4594847B2 (ja) 防振構造
US7060896B2 (en) Sound and vibration damper in a motor vehicle electrical distribution box
KR100238257B1 (ko) 전자기기의 방진장치
JPH1089412A (ja) 振動絶縁装置
JPH08135735A (ja) ダンパ装置
JP3192050B2 (ja) 車載用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