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346A - 세발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 - Google Patents

세발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346A
KR20000035346A KR1019990049491A KR19990049491A KR20000035346A KR 20000035346 A KR20000035346 A KR 20000035346A KR 1019990049491 A KR1019990049491 A KR 1019990049491A KR 19990049491 A KR19990049491 A KR 19990049491A KR 20000035346 A KR20000035346 A KR 2000003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upport
neck
support member
front edg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286B1 (ko
Inventor
시미즈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히로타 기요시
가부시키가이샤 오히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타 기요시, 가부시키가이샤 오히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히로타 기요시
Publication of KR2000003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45D19/10Backward lavabos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 부분을 세발할 때 피세발자가 목 부분에 느끼는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발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에는 피세발자(6)가 위를 향한 상태에서 두부를 삽입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전방 에지 부분(1a)에는 피세발자(6)의 목 부분을 받치는 목 받침부(101c)가 형성된 수조(1)를 구비하는 세발 장치에 있어서, 목 받침부(101c)가 복수의 슬릿(14)이 형성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수조(1) 내에는 목 받침부(101c)의 복수의 슬릿(14)이 형성된 부분의 하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수단(5)이 배설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세발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A HAIR WASHING APPARATUS AND A NECK RECEIVING MEMBER USED THEREFOR}
본 발명은 미용실, 이발관 등에 설치되는 세발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세발자(被洗髮者)의 목 부분을 세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세발기의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세발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 (A)는 세발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B)는 세발기의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세발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A)에서, 세발기는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수조(水槽)(1)를 가지고 있으며 이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 위를 향한 상태의 피세발자(6)의 목 부분을 받치는 목 받침 부재(51)가 배설되어 있다. 또, 55는 피세발자의 두부(頭部)의 모발을 세정하기 위한 두부 세정 파이프, 56은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nozzle)이다.
다음에, 도 8 (B)에서,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는 홈부(57)가 형성되며 이 홈부(57)의 상단(上端)에 목 받침 부재(51)가 배설되어 있다. 이 목 받침 부재(51)는 피세발자(6)의 목 부분을 받치는 목 받침부(51a)가 상기 홈부(57)를 덮도록 형성되고 이 목 받침부(51a)에는 세정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세정수 통과공(5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조(1)의 하부에는 그 노즐(54)로부터 상기 목 받침 부재(51)의 세정수 통과공(52)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목 부분 세정 파이프(53)가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세발기에 의한 목 부분의 세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피세발자(6)를 위를 향한 상태가 되게 하고 그 목 부분을 목 받침 부재(51)의 목 받침부(51a)에서 받치도록 하여 그 두부를 수조(1)의 개구부에 삽입한다.
이어서, 목 부분의 세발을 행하도록 세발기를 조작하면 목 부분 세정 파이프(53)의 노즐(54)로부터 세정수가 목 받침 부재(51)의 세정수 통과공(52)을 향하여 분사되고, 이에 따라서 피세발자(6)의 목 부분이 세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세발기에는 피세발자(6)의 목 부분을 목 받침 부재(51)의 1개의 큰 세정수 통과공(52)이 형성된 목 받침부(51a)로 받치기 때문에 피세발자(6)가 목 부분에 위화감을 느낀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목 부분을 세발할 때 피세발자가 목 부분에 느끼는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발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세발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발기의 수조 전방 에지부의 목 받침부가 형성된 부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목 받침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 (A)는 사시도, 도 3 (B)는 정면도, 도 3 (C)는 배면도, 도 3 (D)는 평면도, 도 3 (E)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세발기의 수조 전방 에지부의 목 받침부가 형성된 부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세정 파이프와 조인트의 접속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 (A)는 종단면도, 도 5 (B)는 도 5 (A)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세발기의 수조 전방 에지부의 목 받침부가 형성된 부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목 받침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7 (A)는 사시도, 도 7 (B)는 정면도, 도 7 (C)는 배면도, 도 7 (D)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세발기의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세발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 (A)는 세발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B)는 세발기의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세발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조, 1a:전방 에지부, 1b:절단부의 측벽, 2:캐비닛, 3:절단부, 3a:좌측면, 3b:우측면, 3c:저면, 4:목 받침 부재, 5:세정 파이프, 5a:분출공, 5b:내공, 5c:조인트 결합부, 5d:나사 구멍, 6:피세발자, 7:단부, 7a:단부의 측면, 8:나사 구멍, 9:나사 삽입공, 10:고정 나사, 11:캡, 12:파이프 삽입공, 13:패킹, 14:슬릿, 21:조인트, 31:레버, 32:조인트, 32a:기부, 32b:결합부, 32c:가이드 홈, 32d:O링 홈, 32e:내공, 32f:암나사부, 33:O링, 34:가이드 나사, 35:급수관, 35a:수나사부, 41:본체측 파이프 삽입공, 42:단부, 43:목 받침 부재, 44: 나사 삽입공, 45:목 받침측 파이프 삽입공, 46:나사 구멍, 47:패킹, 47a:파이프 삽입공, 51:목 받침 부재, 51a:목 받침부, 52:세정수 통과공, 53:목 부분 세정 파이프, 54:노즐, 55:두부 세정 파이프, 56:노즐, 57:홈부, 100:수조 전방 에지부의 목 받침부가 형성된 부분, 101:상면부, 101a:좌측 에지부, 101b:우측 에지부, 101c:목 받침부, 102:전면부, 103:후면부, 201:상벽부, 201a:좌측 에지부, 201b:우측 에지부, 201c:목 받침부, 202:전벽부, 203:후벽부, 204:측벽부, 204a:좌측 벽부, 204b:우측 벽부, 205:저벽부, 206:부착부, 207:개구부, d:간극, N1∼N3:노즐 헤드, S1∼S7:샤워 헤드
본 발명(청구항 1)에 의한 세발 장치는, 상부에는 피세발자가 위를 향한 상태에서 두부를 삽입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전방 에지 부분에는 상기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받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수조를 구비한 세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부는 복수의 슬릿(slit) 또는 소공(小孔)이 형성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 내에는 상기 목 받침부의 복수의 슬릿 또는 소공이 형성된 부분의 하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수단이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항 2)에 의한 세발 장치는, 상기 세발 장치(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이 절단부에는, 대략 역 J자형으로 절곡(折曲)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 부분의 좌우 에지부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목 받침부가 형성된 판체(板體)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가 그 후면의 하방 에지부를 제외한 주연부(周緣部)가 이 절단부의 주연부의 상기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포개지도록 하여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항 3)에 의한 세발 장치는, 상기 세발 장치(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사 수단이 상기 절단부의 상기 목 받침 부재로 덮인 부분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청구항 4)에 의한 세발 장치는, 상기 세발 장치(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사 수단의 세정수의 분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청구항 5)에 의한 세발 장치는, 상기 세발 장치(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그 측면 및 저면이 이 절단부의 측면 및 저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그 후면의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또한 그 상벽(上壁) 부분에 상기 목 받침부가 형성된 상자체(箱子體)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가 이 절단부에 끼워져 상기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항 6)에 의한 세발 장치는, 상기 세발 장치(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사 수단이 상기 목 받침 부재의 내부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청구항 7)에 의한 세발 장치는 세발기의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형성된 절단부에 끼워지도록 부착되는 목 받침 부재로서, 그 측면 및 저면이 상기 절단부의 측면 및 저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그 후면의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또한 그 상벽 부분에 복수의 슬릿 또는 소공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위를 향한 상태의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받치기 위한 목 받침부가 형성된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세발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실시예 1에 의한 세발기는 수조(1)를 가지고 있고 이 수조(1)는 그 측벽(側壁)을 절곡시키도록 하여 그 주연부가 두껍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 주연부가 캐비닛(cabinet)(2)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수조(1)는 그 상부에 피세발자(6)가 위를 향한 상태에서 두부를 삽입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그 전방 에지부(1a)에 상기 피세발자(6)의 목 부분을 받치는 목 받침부(10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목 받침부(101c)는 상기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 형성된 절단부(3)에 배설된 목 받침 부재(4)에 형성되어 있고, 이 절단부(3)의 목 받침 부재(4)로 덮인 부분에 상기 목 받침 부재(4)의 목 받침부(101c)의 슬릿(14)이 형성된 부분의 하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파이프(5)가 배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세정 파이프(5)에는 세정수와, 샴푸액 및 린스액이 혼합된 세정수가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조(1)의 내면에는 피세발자(6)의 두부 및 목 부분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샤워 헤드(S1∼S7), 및 피세발자(6)의 두부 및 목 부분에 샴푸액 및 린스액이 혼합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 헤드(N1∼N3)가 배설되고, 이들 샤워 헤드(S1∼S7), 노즐 헤드(N1∼N3) 및 상기 세정 파이프(5)는 제어 장치(미도시)의 제어를 받아 자동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수조 전방 에지부의 목 받침부(101c)가 형성된 부분(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 2,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세발기의 목 받침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목 받침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 (A)는 사시도, 도 3 (B)는 정면도, 도 3 (C)는 배면도, 도 3 (D)는 평면도, 도 3 (E)는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 예를 들면 이 전방 에지부(1a)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에 수직인 좌우의 측면(3a, 3b)과 수평인 저면(3c)을 가지는 절단부(3)가 형성되고, 또한 이 절단부(3)를 따라 단부(段部)(7)가 형성되며 이 단부(7)의 절단부(3)의 저면을 따르는 부분에 나사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단부(3)의 좌우 측면(3a, 3b) 하부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파이프 삽입공(12)이 형성되고, 이 파이프 삽입공(12)을 관통하도록 세정 파이프(5)가 배설되어 있다. 이 세정 파이프(5)는 그 외주면의 상방을 향한 부분에 다수의 분출공(5a)이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설되어 있고, 또 그 선단이 막히고 그 후단이 조인트(21)에 의하여 급수관(35)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목 받침 부재(4)는 대략 역 J자형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그 후면의 하방 에지부를 제외한 주연부가 이 절단부 주연부의 수조(1)의 전방 에지 부분에 포개지도록 형성되며 또한 그 상면 부분의 좌우 에지부를 제외한 부분에 목 받침부(101c)가 형성된 판체로 이루어지는 부재로 여기에서는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는 대략 구형(矩形)의 좌우 에지부(101a, 101b), 및 이 좌우 에지부(101a, 101b) 사이에 그 전단(前端)이 좌우 에지부(101a, 101b)의 전단에 일치하고 그 후단이 이 좌우 에지부(101a, 101b)의 후단으로부터 반원형으로 돌출하며, 좌우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연장되는 목 받침부(101c)로 이루어지는 상면부(101)와, 이 상면부(101)의 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前面部)(102)와, 상기 상면부(101)의 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부(103)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이 상면부(101)의 목 받침부(101c)의 후반 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슬릿(14)이 좌우 방향으로 밀접되어 나란히 배설되도록 형성되며, 또 이 전면부(102)의 하단부에서 상기 수조(1) 단부(7)의 나사 구멍(8)에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 삽입공(9)이 형성되어 있다.
또, 목 받침 부재(4)는 예를 들면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층(基層) 상에 발포(發砲) 스티롤 등의 쿠션 물질로 이루어지는 쿠션 층이 형성된 2층 구조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목 받침 부재(4)가 상기 절단부(3)의 단부(7)에 이 단부(7)의 좌우 측면(7a)과 이 목 받침 부재(4)의 좌우 측면 사이에 누수 방지용 패킹(13)이 개재되어 끼워지고, 고정 나사(10)를 그 나사 삽입공(9)을 통하여 수조(1)의 나사 구멍(8)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수조(1)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이 고정 나사(10)가 나사 삽입된 나사 삽입공(9)에 방수용(防水用) 캡(11)이 끼워져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세발기의 동작을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서, 먼저 피세발자(6)를 위를 향한 상태가 되게 하고 그 목 부분을 목 받침 부재(4)의 목 받침부(101c)에서 받치도록 하여 그 두부를 수조(1)의 개구부에 삽입한다.
이어서, 세발기를 시동하면 샤워 헤드(S1∼S7) 및 노즐 헤드(N1∼N3)에 의하여 두부의 세발이 행해지는 동시에, 세정 파이프(5)로부터 세정수가 목 받침 부재(4)의 목 받침부(101c)의 하면을 향하여 분사되고 이 분사된 세정수가 슬릿(14)을 통하여 피세발자(6)의 목 부분에 뿌려지며, 이에 따라서 피세발자의 목 부분의 모발이 세정된다. 이때, 피세발자(6)는 목 부분이 목 받침 부재(4)의 다수의 슬릿(14)이 밀집되어 형성된 목 받침부(101c)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예에 비하여 피세발자(6)가 목 부분에 느끼는 위화감이 감소된다. 또, 세정 파이프(5)가 절단부(3)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세정수를 충분히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세발기의 수조 전방 에지부의 목 받침부가 형성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 2에 의한 세발기는 세정 파이프(5)의 세정수의 분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 2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며, 본 실시예 2에 의한 세발기는 절단부(3)의 우측면(3b)에 조인트(32)가 배설되고 이 조인트(32)의 일단에 급수관(35)이 접속되며, 세정 파이프(5)가 그 선단과 절단부(3)의 좌측면(3a) 사이에 간극(D)을 가지도록 하여 이 조인트(3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세정 파이프(5)의 기단부(基端部)에는 레버(31)가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이 세정 파이프(5)와 조인트(32)의 접속 구조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세정 파이프(5)와 조인트(32)의 접속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 (A)는 종단면도, 도 5 (B)는 도 5 (A)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에서, 조인트(32)는 기부(基部)(32a)와, 이 기부(32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가이드 홈(32c)과 2개의 O링 홈(32d)이 형성된 결합부(32b)로 이루어지는, 단(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단부의 내주에 그 내공(內孔)(32e)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암나사부(32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32)의 기부(32a)가 수조(1)의 절단부(3)의 측벽(1b)을 관통하도록 하여 이 측벽(1b)에 고정되고, 이 조인트(32)의 암나사부(32f)에 급수관(35)이 그 선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35a)에서 나사 결합하도록 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세정 파이프(5)는 원형의 단면(斷面)을 가지며, 그 후단부의 내주에 그 내공(5b)의 직경보다 크며 또한 상기 조인트(32)의 결합부(32b)에 결합되는 지름과, 이 결합부(32b)의 길이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조인트 결합부(5c)가 형성되고, 이 조인트 결합부(5c)에서 상기 조인트(32)의 결합부(32b)의 가이드 홈(32c)에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 구멍(5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정 파이프(5)의 조인트 결합부(5c)가 상기 조인트(32)의 결합부(32b)에 끼워지고, 이 조인트(32)의 결합부(32b)의 O링 홈(32d)에 O링(33)이 배치되며, 이 세정 파이프(5)의 나사 구멍(5d)에 가이드 나사(34)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레버(31)를 상하 이동시키면 그에 대응하여 세정 파이프(5)가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분출공(5a)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 각도가 변화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세발기에 의한 피세발자의 목 부분의 세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세발기를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세발하도록 조작한다.
이어서, 피세발자의 목 부분에 세정 파이프(5)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면 레버(31)를 상하 이동시켜 세정 파이프(5)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 각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서, 피세발자의 체형이나 머리형, 모발의 오염 정도 등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목 부분을 세발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세발기의 수조 전방 에지부의 목 받침부가 형성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목 받침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7 (A)는 사시도, 도 7 (B)는 정면도, 도 7 (C)는 배면도, 도 7 (D)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 3에 의한 세발기는 그 상벽 부분에 목 받침부(101c)가 형성된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43)가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 형성된 절단부(3)에 끼워져 이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 2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본 실시예 3에 의한 세발기는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 예를 들면 이 전방 에지부(1a)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좌우 측면(3a, 3b) 및 수평인 저면(3c)을 가지고, 이 좌우 측면(3a, 3b) 하부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본체측 파이프 삽입공(41)을 가지는 절단부(3)가 형성되며, 또한 이 절단부(3)의 저면(3c)을 따라 단부(42)가 형성되고 이 단부(42)에 나사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목 받침 부재(43)는 상기 절단부(3)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부재로, 여기에서는 그 하면(저면)이 상기 절단부(3)의 저면(3c)에 합쳐지는 형상(여기에서는 구형)으로 형성된 저벽부(底壁部)(205)와, 그 외면(측면)이 각각 상기 절단부(3)의 좌우 측면(3a, 3b)에 합쳐지는 형상(여기에서는 대략 구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좌우 측면(3a, 3b) 서로의 하부의 상기 절단부(3)의 본체측 파이프 삽입공(41)에 대응하는 부분에 목 받침측 파이프 삽입공(4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저벽부(205)의 좌우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측벽부(204a, 204b)와, 이 좌우 측벽부(204a, 204b)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우 에지부(201a, 201b) 및 이 좌우 에지부(201a, 201b) 사이에 그 전단이 이 좌우 에지부(201a, 201b)의 전단에 일치하고 그 후단이 이 좌우 에지부(201a, 201b)의 후단으로부터 반원형으로 돌출되며, 좌우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연장되는 목 받침부(201c)로 이루어지는 상벽부(201)와, 이 상벽부(201), 좌우의 측벽부(204a, 204b) 및 저벽부(205)의 각 전단을 그 주연으로 하는 전벽부(202)와, 그 좌우의 끝단이 상기 좌우의 측벽부(204a, 204b)에 각각 접속되고, 그 하단과 상기 저벽부(205) 사이에 개구부(207)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벽부(201)의 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벽부(203)와, 상기 전벽부(20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조(1)의 단부(42)의 나사 구멍(46)에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 삽입공(44)이 형성된 부착부(206)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상기 상벽부(201)의 목 받침부(201c)의 후반 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슬릿(14)이 좌우 방향으로 밀접되어 나란히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목 받침 부재(43) 및 세정 파이프(5)의 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목 받침 부재(43)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목 받침 부재(43)를 그 본체 부분이 상기 절단부(3)에, 그 부착부(206)가 상기 단부(42)에 각각 위치하며 또한 이 절단부(3)의 좌우 측면(3a, 3b)과 그 좌우 측면(204a, 204b) 사이에 누수 방지용 패킹(47)이 개재되도록 하여 이 절단부(3) 및 단부(42)에 끼운다.
이어서, 캐비닛(2) 문(미도시)으로부터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 내부에 손을 넣고 세정 파이프(5)를 절단부(3)의 본체측 파이프 삽입공(41), 패킹(47)의 파이프 삽입공(47a) 및 목 받침 부재(43)의 목 받침측 파이프 삽입공(45)에 통과시키고, 그 후단을 조인트(21)를 이용하여 급수관(35)에 접속한다.
이어서, 고정 나사(10)를 목 받침 부재(43)의 부착부(206)의 나사 삽입공(44)을 통과하게 하여 수조(1)의 단부(42)의 나사 구멍(46)에 나사 고정하고, 그 결과 목 받침 부재(43)를 수조(1)에 부착한다. 그 후, 고정 나사(10)를 나사 삽입한 나사 삽입공(44)에 방수용 캡(11)을 끼운다. 이에 따라서, 목 받침 부재(43) 및 세정 파이프(5)의 부착이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3에서는, 그 상벽 부분에 목 받침부(101c)가 형성된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43)를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 형성된 절단부(3)에 끼워 이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에 부착하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목 받침 부재(43)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목 받침 부재(4)와 수조(1)의 전방 에지부(1a)를 별체(別體)로 하였지만 이들을 일체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 1∼3에서는 목 받침 부재(4, 43)의 상면에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슬릿 대신 소공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 1∼3에서는 슬릿을 목 받침 부재(4, 43) 상면의 후반 부분에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을 다른 부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세정 파이프(5)를 절단부(3)에 배설하였지만, 이것을 목 받침 부재(4)의 목 받침부(101c)의 하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 가능한 수조(1) 내의 다른 부분에 배설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부에는 피세발자가 위를 향한 상태에서 두부를 삽입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전방 에지 부분에는 상기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받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수조를 구비한 세발 장치에 있어서, 목 받침부는 복수의 슬릿 또는 소공이 형성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수조 내에는 목 받침부의 복수의 슬릿 또는 소공이 형성된 부분의 하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수단이 배설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므로, 목 부분을 세발할 때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목 받침부의 슬릿 또는 소공이 형성된 부분에서 받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예에 비하여 피세발자가 목 부분에 느끼는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이 절단부에는, 대략 역 J자형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의 좌우 에지부를 제외한 부분에 목 받침부가 형성된 판체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가 그 후면의 하방 에지부를 제외한 주연부가 이 절단부의 주연부의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포개지도록 하여 배설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므로, 피세발자가 목 부분에 느끼는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목 받침부를 별체로 한 세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세정수 분사 수단이 절단부의 목 받침 부재로 덮인 부분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므로, 세정수를 충분히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세정수 분사 수단의 세정수의 분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피세발자의 체형이나 머리형, 모발의 오염 정도 등에 따라서 최적의 상태로 목 부분을 세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그 측면 및 저면이 이 절단부의 측면 및 저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그 후면의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또한 그 상면에 목 받침부가 형성된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가 이 절단부에 끼워져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므로, 피세발자가 목 부분에 느끼는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목 받침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세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세정수 분사 수단이 목 받침 부재의 내부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세정수를 충분히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세발기의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형성된 절단부에 끼워지도록 부착되는 목 받침 부재로서, 그 측면 및 저면이 절단부의 측면 및 저면에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그 후면의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또한 그 상벽 부분에 복수의 슬릿 또는 소공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위를 향한 상태의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받치기 위한 목 받침부가 형성된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수조에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한 목 받침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상부에는 피세발자(被洗髮者)가 위를 향한 상태에서 두부(頭部)를 삽입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전방 에지 부분에는 상기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받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수조(水槽)를 구비한 세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부는 복수의 슬릿(slit) 또는 소공(小孔)이 형성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 내에는 상기 목 받침부의 복수의 슬릿 또는 소공이 형성된 부분의 하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수단이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에는, 대략 역 J자형으로 절곡(折曲)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 부분의 좌우 에지부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목 받침부가 형성된 판체(板體)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가 그 후면의 하방 에지부를 제외한 주연부(周緣部)가 상기 절단부의 주연부의 상기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포개지도록 하여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사 수단이 상기 절단부의 상기 목 받침 부재로 덮인 부분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사 수단의 세정수의 분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그 측면 및 저면이 상기 절단부의 측면 및 저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그 후면의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또한 그 상벽(上壁) 부분에 상기 목 받침부가 형성된 상자체(箱子體)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가 상기 절단부에 끼워져 상기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사 수단이 상기 목 받침 부재의 내부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장치.
  7. 세발기의 수조의 전방 에지 부분에 형성된 절단부에 끼워지도록 부착되는 목 받침 부재로서,
    그 측면 및 저면이 상기 절단부의 측면 및 저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그 후면의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또한 그 상벽 부분에 복수의 슬릿 또는 소공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위를 향한 상태의 피세발자의 목 부분을 받치기 위한 목 받침부가 형성된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받침 부재.
KR1019990049491A 1998-11-27 1999-11-09 세발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 KR100328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36423 1998-11-27
JP10336423A JP2000157324A (ja) 1998-11-27 1998-11-27 洗髪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首受け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346A true KR20000035346A (ko) 2000-06-26
KR100328286B1 KR100328286B1 (ko) 2002-03-16

Family

ID=1829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491A KR100328286B1 (ko) 1998-11-27 1999-11-09 세발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2703B1 (ko)
JP (1) JP2000157324A (ko)
KR (1) KR100328286B1 (ko)
TW (1) TW59533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2067B2 (ja) * 2011-03-04 2014-09-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後頭部支持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洗髪装置
CN204708717U (zh) * 2014-05-29 2015-10-21 酒井医疗株式会社 沐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378A (en) * 1989-01-19 1990-02-20 Lealyce Reddell Shampoo basin
JP3133690B2 (ja) * 1997-01-29 2001-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洗髪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95336U (en) 2004-06-21
KR100328286B1 (ko) 2002-03-16
JP2000157324A (ja) 2000-06-13
US6212703B1 (en) 2001-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9553A (en) Shower utensil having brush
KR100237802B1 (ko) 자동 세발기
KR100328286B1 (ko) 세발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목 받침 부재
JP2938334B2 (ja) 自動洗髪機
KR100408439B1 (ko) 자동 세발기
KR100314882B1 (ko) 세발기
KR100332655B1 (ko) 자동 세발기
KR100443845B1 (ko) 세발용 용기
JPH0986573A (ja) 薬剤噴射容器
JPH1043641A (ja) シャワーヘッド用ジョイントおよびシャワー装置
JPH1057295A (ja) 食器洗浄機
JPH11333329A (ja) シャワー散水板およびシャワーヘッド
JPH0248524Y2 (ko)
KR100332656B1 (ko) 세발기
JPH0616587Y2 (ja) 食器洗浄機
KR102316329B1 (ko) 에어 혼입 노즐팁 구조
CN213785890U (zh) 一种按压式化妆瓶
JP3612509B2 (ja) シャワー器具
JPH10328066A (ja) シャワー装置及び洗浄液カートリッジ
KR20100007694U (ko) 개량 샤워기 헤드
JP2002263020A (ja) 浴槽洗浄装置
JPH078317A (ja) 自動洗髪機
JPH08295359A (ja) ポンプスプレー容器
KR200298393Y1 (ko) 샤워기 헤드
KR20230165601A (ko) 세척이 용이한 샴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