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158A -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 Google Patents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158A
KR20000035158A KR1019990048129A KR19990048129A KR20000035158A KR 20000035158 A KR20000035158 A KR 20000035158A KR 1019990048129 A KR1019990048129 A KR 1019990048129A KR 19990048129 A KR19990048129 A KR 19990048129A KR 20000035158 A KR20000035158 A KR 20000035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hotochromic
titanium
mica titanium
m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8083B1 (ko
Inventor
오가와카추키
아소다이수케
사쿠라이오사무
오노카주노리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00035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8Thermochromatic; Photochromic; Phototr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의 광강도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연색성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는 조사되는 자외선강도에 따라서 암색화하는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화합물로 운모표면을 피복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이 존재하고, 그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의 색이 물체색으로써 관찰되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산화티탄층이 암색화하는 것에 의해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간섭광을 강조하여, 관찰색을 변화시키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배합하고, 화장료의 색조의 적어도 일부가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에 의하여 부여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LIGHT-RESPONDING HIGH COLOR-RENDERING MAKEUP COSMETIC PREPARATION}
본 발명은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특히 주위의 빛의 강도에 따라 자연스런 외관색으로 변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료에 요구되는 기본적 역할로서는 보다 아름답게 보이는 「미적역할」, 심지좋음을 주는 「감각적 역할」, 화장유지·이차부착방지라는 「기능성」등을 들 수가 있다.
이 역할 중에서 미적역할을 다하기 위하여서는 일반적으로 운모티탄계 원료를 비롯한 각종 광택안료의 배합에 의해, 안면도포시의 질감을 조정해 왔다. 이들 일반적인 운모티탄계 안료는 화장품원료기준에도 기재된 것과 같이, 미세한 박편상 운모의 표면에 이산화티탄층을 형성시킨 진주광택과 여러 가지의 간섭색을 갖는 것이다. 그 제법으로는 황산티타닐 등과 같은 티탄의 무기염류 수용액을 운모존재하에서 가수분해하고, 운모 표면에 함수이산화티탄을 석출한 후에 가열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운모티탄계 안료의 간섭색은 운모 표면상의 이산화티탄 피복층의 두께에 의하여 다양한 색채를 보인다. 그러나, 그 물체색으로는 어느 것도 백색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도 운모티탄계 안료에 여러 가지의 물체색을 부여하는 방법이 고려되어 왔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생성된 운모티탄계 안료의 표면에 산화철, 감청, 산화크롬, 카본블랙, 카민 등의 착색안료를 첨가하는 것을 들 수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운모티탄의 투명성을 감소시켜버린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운모티탄중의 운모에 각종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도핑하는 것에 의하여 운모티탄의 투명성을 잃지 않는 착색운모티탄계 안료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안료에도 각종 기능이 요구되는 것에 의하여, 그 중 한가지로써, 주위의 광 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색조가 변화하는 소위 포토크로믹성(혹은 포토트로피성)을 갖은 안료가 주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포토크로믹성을 응용한 제품으로는, 조광유리와 가변색 메이크업 화장료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운모티탄계 안료에 있어서는 단일의 간섭색밖에 얻을 수가 없고, 화운데이션에 배합한 경우 등에 있어서는, 광 강도가 강한 태양광선 하에서는 전체로써 흰빛을 띠게 되고, 한편 광 강도가 낮은 실내에서는 전체로서 노랗고 거무스름해져 버리고 만 것이었다. 이 때문에 광 강도에 따라 자연스러운 연색성(演色性)을 갖는 안료를 개발하는 것이 강하게 희망되어졌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운모티탄중의 산화티탄에 포토크로믹성을 부여하면, 운모티탄에 함유되는 산하티탄이 광강도에 따라서 색조를 변화시켜서, 이에 의하여 운모티탄에 생기는 간섭색이 강조되어, 관찰색이 변하는 극히 유용한 진주광택안료로서 기능하여 얻을 수 있는 발견하고, 빛에 응답하여 관찰색이 변화하는 운모티탄 안료를 개발, 특개평9-165532호 공보에서 제안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료를 화장료에 이용하여, 주위의 광강도에 맞는 광응답성의 연색(演色) 효과를 갖는 화장료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한 것이고, 주위의 광강도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연색성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산화티탄층의 비율과 포토크로믹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운모티탄에 첨가하는 산화철의 양과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이 나타내는 반사간섭광의 각 파장별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첨가하는 부활제의 양에 의해 운모티탄의 나타내는 연색성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각 온도에서 소성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연색성과 복귀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각 온도에서 소성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이 나타내는 반사간섭광의 각 파장별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운모티탄의 각 빛의 조건에서 나타내는 반사율 특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우더리 화운데이션의 각 빛의 조건에서의 반사광 중의 각 파장별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응답성 고연색(高演色) 메이크업 화장료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배합한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조사되는 자외선강도에 따라서 암색화하는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화합물로 운모표면을 피복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이 존재하고, 그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의 색이 물체색으로써 관찰되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산화티탄층이 암색화하는 것에 의해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에 발생하는 간섭광을 강조하여,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을 변화시키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이고, 화장료의 색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에 의하여 부여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산화티탄층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섭광의 색조가 물체색과는 다른 색을 보이도록 운모티탄에 함유되는 산화티탄층의 층두께가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산화티탄층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섭광의 색조가 물체색의 보색 또는 보색근방의 색역을 보이도록 운모티탄에 함유되는 산화티탄층의 층두께가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명소에서는 가시광선의 장파장 영역을 중심으로 한 빛의 반사율이 저하되고, 암소에서는 가시광선의 장파장 영역을 중심으로 한 빛의 반사율이 높아지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산화철 또는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운모티탄에 함유되는 산화티탄의 비율이 47∼5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850∼950℃에서 소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배합량이 0.1∼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과 함께, 빛에 의하여 물체색, 혹은 명도만을 변화시키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1∼30중량%를 병용하여 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운모표면을, 조사시키는 자외선강도에 따라 암색화하는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화합물로 운모티탄 표면이 피복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이 존재하고,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의 색이 물체색으로써 관찰되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산화티탄층이 암색화하는 것에 의해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에 발생하는 간섭광을 강조하고,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을 변화시키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이고, 화장료의 색조의 적어도 일부가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에 의하여 부여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료의 색조의 적어도 일부라는 것은 어느 화장료의 색조가 다른 색조를 갖는 수종의 안료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을 때에, 그 화장료의 색조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색요소인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설명함에 있어, 관찰색, 물체색, 간섭색이라는 어구를 사용하지만, 관찰색이라는 것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눈으로 관찰한 경우에 실제로 관찰되는 색이고, 또한 간섭색이라는 것은 운모표면에 피복된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 화합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간섭광이 나타내는 색이고, 물체색이라는 것은 상기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에 간섭광이 생성하지 않는 상태에서 관찰되는 색이다.
이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산화티탄층의 포토크로믹성에 의하여 주위의 자외선강도에 따라서 명도변화를 일으키고, 그에 따라서 운모티탄에 생기는 간섭광을 강조하기 때문에, 명소에서는 간섭광의 색조와 운모티탄의 물체색의 혼합된 색조를 보이고, 암소에서는 주로 물체색의 색조를 보이는 것 같이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의 명도와 색상이 동시 변화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이라는 것은 이와 같이 물체색이나 간섭색 등의 요소에 의해, 눈으로 보아 실제로 관찰되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색조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에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를 배합했을 때의 자연에서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매치한 연색성을 띠는 화장료로 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색조, 보색, 포토크로믹성을 이하와 같이 정의하였다.
색조의 정의
색을 감각하는 것은, 지각 중에서 구체적인 의미를 갖지 않고, 적, 황, 녹, 청, ··· 등이라는 단순한 느낌만을 추상했던 것, 즉 색자극과 1 대 1로 대응하는 지각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색감각은 색의 3속성에 따라서 3차원공간의 원통좌표의 θ방향에 색상, z방향에 명도, r방향에 채도를 감각적으로 같은 보도로 되도록 척도화한 만셀 표색계로 나타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표색계는 일본에서는 1958년에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으로써 JIS(JIS Z 8721)에서 채용되고 있다. 만셀 표식계에 있어서는, 10색상을 기본색상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적(R), 황(Y), 녹(G), 청(B), 자(P), 등(橙)(YR), 황녹(GY), 청녹(BG), 청자(PB), 적자(RP)의 표시 방법이 있고, 측색하여 만셀 변환한 결과, 각 영역(색상)에 있는 것을 그 색으로써 대부분 정의할 수가 있다.
보색의 정의
보색이란, 2색을 어느 비율에서 가법혼색할 때에, 혼합색이 무채색이 되는 관계를 말한다. 즉, 색광의 경우는, 2색의 혼합색이 백색광, 물체색의 경우에는 회색이 되면, 2종의 피혼합색은 보색이라는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보색이 되는 색관계로써는, 적과 녹, 청과 등, 황과 자색 등을 들 수가 있다.
포토크로믹성의 정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포토크로믹성을 시험했다.
샘플은 2.8×4.5cm의 각형중명(角型中皿)으로 분체 5g을 30kg/㎠의 압력에서 성형한 것을 이용한다.
그리고, 빛의 조건으로써는, UV-A 형광등(도시바사제, FL20SBLB)와 UV-B형광등(도시바사제, FL20S·E)을 15cm의 간격으로 각각 1등씩 고정하고, 자외선강도계(도레사제, SUV-T형)로 자외선 강도가 2mW/㎠ 이 되도록 높이 조정을 한다.
또한, 실제의 측정은,
(1) 샘플을 실온·암소에 약 10시간 방치한 것을 측색기(미놀타사제 CM-1000RH)로 측색한다.
(2) 이 샘플에 상기 자외선을 30분간 조사하고 암색화할 때의 색을 동일하게 하여 측색한다.
(3) 이 조사샘플을 실온에서 암소에 3시간 방치한 때의 색을 동일하게 하여 측색한다.
그리고, 포토크로믹성을,
(1)과 (2)의 색차 △E를 A,
(1)과 (3)의 색차 △E를 B라 하면,
7≤A≤20
B≤5
인 것이라고 정의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광강도에 의한 색조의 변화는, △E가 10이하에서는 포토크로믹성에 의한 명도의 변화를 일으키고, △E가 10이상에서는 포토크로믹성에 의한 명도와 함께 색상의 변화도 볼 수 있다. 따라서 △E가 10이상에서 연색성이 더욱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이라는 것은, 빛을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관찰색의 색조를 변화시키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나타내고,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이라 말한 경우는 빛을 조사하여도 관찰색의 색조가 대부분 변화하지 않고, 주로 명도가 변화하는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의 제조방법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를 얻는 방법은, 운모와, 산화티탄과,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라고 말할 수 있는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함유하는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이 공존하고, 이들이 공존하는 상태에서 소성하는 것이다.
이때 포토크로믹성 부활제의 첨가량은 0.1∼10%, 소성온도는 750∼9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산화티탄에 포토크로믹성을 부여하고, 또한, 운모와, 산화티탄과,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체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운모와 산화티탄은 운모층 상에 산화티탄층을 형성한 운모티탄의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에 있어서, 안료의 물체색은 운모티탄 표면 및/또는 운모티탄 내부에 존재하는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에 의하여 부여된다. 즉, 운모티탄 표면 및/또는 운모티탄 내부에 철 또는 철화합물이 존재한다면, 물체색은 황등색(黃橙色), 코발트 또는 코발트화합물에서는 자색, 니켈 또는 니켈 화합물에서는 황녹색,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에서는 적자색 등의 물체색으로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산화티탄에 포토크로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금속으로써는, 철, 크롬, 구리, 니켈, 망간, 코발트, 몰리브덴 등이 있고, 금속분 자체 혹은 그 황산염, 염화물, 질산염, 초산염 등의 염, 산화물, 수화물 등이 있다.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는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로써 이용되는 금속이나 그 염, 산화물, 수화물 등에 의해서도 물체색이 부여되기 때문에, 어떠한 부활제로도 이용될 리가 없고, 안료에 어떠한 물체색을 부여하고자 하는 가에 따라서, 예를 들면 물체색을 황등색으로 하는 경우에는, 적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부활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는 상기 요건을 만족하여 제조하는 것에 의하여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는 빛의 조사, 특히 자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관찰색의 색조가 변화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물, 분말, 유분, 계면활성제, 저급알콜, 다가알콜, 보습제, 방부제, 고분자, 산화방지제, 자외선방어제, 향료, 각종 약제 등을 본 발명이 지닌 빛의 조건에 따른 연색성을 나타내는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질적, 양적 범위에서 배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배합되어 얻는 분말로는, 통상 화장료에서 이용되는 분말을 들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탈크, 카오린, 운모, 세리사이트, 백운모, 흑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버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마그네슘,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오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 소석고, 인산칼슘, 불소 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비누(미리스틴산아연, 팔미틴산칼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등)의 무기분말과, 폴리아미드수지분말, 폴리에틸렌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분말, 폴리스틸렌분말, 스티렌아크릴산공중합체수지분말, 벤조구아나민수지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분말, 셀룰로스분말 등의 유기분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백색계안료, 산화철(적산화철), 티탄산철 등의 무기적색계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안료, 흑산화철, 카본, 저차산화티탄 등의 무기흑색계안료, 망고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계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청색계안료, 산화티탄피복마이카, 산화티탄피복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피복탈크, 착색산화티탄피복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스, 어린박(漁鱗箔) 등의 펄 안료, 알미늄 파우더, 카파 파우더 등의 금속분말안료, 적색202호, 적색205호, 적색220호, 적색228호, 적색405호, 등색203호, 등색204호, 황색205호, 황색401호, 청색404호 등의 유기안료, 적색3호, 적색104호, 적색227호, 적색401호, 등색205호, 황색4호, 황색202호, 녹색3호, 청색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알미늄레이크 등의 유기안료,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색소를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배합되어 얻는 유분(油分)으로는, 통상 화장료에서 이용되는 유분을 들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아보가드유, 동백유, 마카데미아너트유, 밍크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호호바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등의 액체유지, 야자유,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목랍, 경화피마자유 등의 고체유지, 밀랍, 칸데리라 왁스, 카르나바 왁스, 이보타 왁스, 경랍, 라노린, 환원라노린 등의 납(蠟),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파라핀, 세레신, 와세린, 스쿠알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의 탄화수소,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등의 고급지방산,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올레일알콜, 모노스테아릴그리세롤에테르, 모노팔미틸그리세롤에테르, 콜레스테롤, 휘토스테롤, 이소스테아릴알콜 등의 고급알콜,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스테아린산브틸, 올레인산데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옥탄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옥탄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옥탄산글리세린,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아미노 등의 에스테르유,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디엔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탄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3차원그물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수지, 실리콘고무 등의 실리콘 등을 들 수가 있지만, 상기 유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유분은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어 얻는 계면활성제를 그 이온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이온계면활성제로써, 예를 들면, 비누용 베이스, 라우린산나트륨 등의 지방산비누,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고급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 함)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산, 야자유지방산메틸타우릿드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아미드술폰산염,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염 등의 인산에스테르염,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염 등의 술포숙신산염,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염, 경화야자유지방산 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 로토유 등의 황산화염,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염,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지방산에스테르술폰산염, 이급알콜황산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알킬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산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 나트륨 등을 들 수가 있다.
양이온계면활상제로써는, 예를 들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세틸피리디움 등의 알킬피리디늄염, 알킬사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키노리늄염, 디알킬모리호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유도체, 아밀알콜지방산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성계면활성제로써는, 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조린나트륨 등의 이미다조린계 양성계면활성제,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양성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가 있다.
친유성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솔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키올레이트 등의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경화파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가 있다.
친수성비이온계활성제로써는 예를 들면, POE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POE솔비트모노올레이트 등의 POE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POE스테아릴에테르, POE코레스타놀에테르 등의 POE알킬에테르, POE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알킬페닐에테르, 플루로닉 등의 플루아로닉형류, POE·폴리옥시프로필렌(이하, POP라 함)세틸에테르 등의 POE·POP알킬에테르,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축합체, POE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 등의 POE파마자유경화파마자유 유도체, POE밀랍·라노린유도체, 알카놀아미드, POE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아미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POE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면활성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1종 혹은 2종 이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배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얻을 수 있는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기초화장·화운데이션·백분·볼연지·입술연지·마스카라·아이샤도·아이라이너 등 그 용도에 따라서 각종 형태를 취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는 배합되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에 따라 유용한 광응답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배합된 안료가 나타내는 물성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화티탄층의 층두께의 검토
운모티탄에서 발하는 간섭색은, 운모상에 적층된 산화티탄층의 두께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운모티탄의 핵이 되는 평균입경 20㎛의 운모에 대하여, 산화티탄층의 비율이 30%전후에서는 백, 40%전후에서 황, 47%전후에서는 적, 50%전후에서는 청, 55%전후에서는 녹이 된다.
평균입경 20㎛의 운모에 각 비율로 산화티탄층을 운모에 피복시킨 운모티탄에 산화철을 1중량% 혼합하고, 900℃에서 소성하는 것에 의해 얻은 물체색이 적등색의 안료를 시료로 하고, 운모티탄에 함유되는 산화티탄의 비율이 포토크로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기 포토크로믹성의 정의 하에, 상기 운모티탄의 산화티탄층의 비율과 포토크로믹성의 관계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산화티탄층이 45%에서는 충분한 포토크로믹성을 알 수가 없다. 또한, 산화티탄층이 60%에서도 역시 포토크로믹성이 낮아져버렸다. 한편, 산화티탄층이 50%전후에서 높은 포토크로믹성을 나타냈다. 이 산화티탄층의 비율의 경우, 간섭광의 색은, 청색∼적자∼적색으로 되어 안료의 물체색과 보색에 가까운 관계가 된다.
이 시험에 이용된 산화티탄층이 50%전후의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는 자외선미조사의 상태에서는 산화티탄층에서의 투과간섭광과 반사간섭광을 합친 반사광은 백색이 되고, 또한 운모표면에서의 반사광도 백색이 된다. 그리고 이 시험에서 이용한 운모티탄의 조성에서는, 상기 운모티탄 및 산화티탄의 각각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의 사이에서 생기는 간섭광은 백색이 된다. 그리고, 이 안료는 산화티탄 표면에 적등색의 반사광을 갖는 산화철 등의 금속이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안료의 색은 밝은 적등색이 된다.
이 안료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운모표면에서 반사광은 백색이지만, 산화티탄층에 포토크로믹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산화티탄층의 색조가 회색 혹은 흑색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투과 간섭광은 산화티탄층에 흡수되어, 반사간섭광만을 발현한다.
따라서, 상기 안료에 있어서는, 상기 운모티탄 및 산화티탄의 각각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의 사이에서 생기는 간섭광은 청색 ∼ 적색이 된다. 그리고 안료 전체로써는 산화철의 반사광인 적등색과 합쳐서, 칙칙하거나 혹은 거무스름한 적자∼청색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 안료는 광강도에 따른 색상 및 명도의 변화를 일으키고, 광강도가 약한 곳에서는 밝은 적등색을 나타내고, 한편 광강도가 강한 곳에서는 칙칙하거나 혹은 거무스름한 적자∼청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안료를 메이크업 화장료에 배합하고, 높은 연색성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운모티탄의 물체색을 화장료에 부여하도록 하는 색조로 하고, 운모티탄에 생기는 간섭광의 색조를 그 물체색의 보색 혹은 그 근방이 되도록 산화티탄층의 비율을 조정하면 된다.
그러나 반드시 물체색의 보색 혹은 그 근방으로 하지 않고서도 상기 포토크로믹성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포토크로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산화티탄층의 비율로 인하여 생기는 간섭광의 차이는 빛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색조를 고려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가 있다.
단지, 산화티탄층의 비율을 물체와 유사한 색조를 보이는 간섭광이 생기는 것으로 해버리면 대단히 적은 포토크로믹성밖에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한 포토크로믹성의 정의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본 시험에 이용한 운모티탄에서는 산화티탄층의 비율이 45%이하인 것이 그 색조에 해당하고, 포토크로믹성을 △E≒5를 채 보이지 않고, 명도변화밖에 일으키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물체색과 유사한 간섭색이 생기는 산화티탄층의 비율은 피해야 할 것이다.
첨가하는 포토크로믹성 부활제의 양의 검토
상기 시험에 의하여, 화장료에 부여하려는 색조는 주로, 운모티탄의 물체색에 따라서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의 제조방법에 따라,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로써 산화철을 사용하고, 운모 : 산화티탄 = 51 : 49 ∼ 57 : 43으로 하고, 900℃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물체색이 적등색에서 청색의 간섭색을 보이는 운모티탄에 대하여 부활제인 산화철의 양을 변화시켜 색채를 시험했다. 운모티탄에 첨가한 산화철의 양은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가 양호한 포토크로믹성을 보인 0.1∼10중량% 사이에서 변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의하여 알 수 있듯이 첨가하는 산화철의 양에 따라서, 빛의 각 파장에서의 반사율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험을 행한 운모티탄의 색채가 적등색이기 때문에 맨 살갗의 색에 매치한 살색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을 전제로 평가하면, 색조에 관하여서는 산화철을 1중량% 전후 첨가한 것이 맨살갗의 색조에 근사하여 양호하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광반사율의 측정은 전부 측정대상에 백색광을 조사하고, 측정대상에서 반사광을 분광하여 측정하고 있다.
또한 첨가하는 부활제의 양에 의해 운모티탄이 나타내는 포토크로믹성도 변화한다. 이 변화를 상기 시료에서 시험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의하여 알 수 있듯이 첨가하는 산화철의 양에 따라서, 포토크로믹성도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운데이션 등의 살색 메이크업 화장료에 배합할 때에는, 산화철을 0.1∼2.5중량% 첨가한 것이 양호한 포토크로믹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산화철을 0.1∼1.5중량% 첨가한 것이 높은 포토크로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 및 도 3에서 얻어진 결과를 고려하면, 운모티탄에 포토크로믹성 부활제인 산화철을 첨가하여 맨살갗에 매치한 높은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살색 메이크업 화장료로 하기 위하여서는, 첨가하는 산화철의 양을 0.3∼2.0중량%, 특히 0.4∼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온도의 검토
계속해서 상기 포토크로믹성 기판 광택안료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로써 산화철을 1중량% 사용하고, 산화티탄층의 비율을 50%로 한 청색의 간섭색을 보이는 것을 이용하고, 소성온도를 변화시켜서, 연색성, 운모티탄에 생기는 간섭광의 색조에 주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했다. 소성온도는 500∼1000℃까지 변화시켰다. 그 결과를 도 4, 5에 나타낸다.
도 4는 각 온도에서 소성시킨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연색성과 복귀성을 표시한 것이다. 도 4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소성온도가 700℃를 넘으면 서서히 연색성이 높아지고, 950℃에서 가장 높은 연색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암소방치하에서 색조가 돌아오는 복귀성을 고려하면, 명소 및 암소에서의 색조의 변화가 가장 큰 것은 900℃에서 소성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각 온도에서 소성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기초가 검은 아케이드지에 도포하고, 운모티탄에 생기는 반사간섭광만에 대하여 그 반사율을 각 파장별로 측정한 것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소성온도의 상승과 함께 반사간섭광의 반사율도 높고, 특히 850℃를 넘으면, 550nm이상의 파장의 반사간섭광의 반사율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간섭광이 청색에서 적색계로 변화하는 것은 850℃ 이상에서 양호하게 산화철과의 결합체가 운모티탄 표면상에 형성되기 때문인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도 5의 결과에서 850℃이상에서 소성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실내의 형광등에 의해 산화티탄층의 명도가 내려가 청색에 적색을 띤 적자색으로 양호하게 변하는 것이라고 예측된다.
또한 도 4의 연색성과 복귀성의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주위의 광조건에 따른 높은 연색성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로 하기 위하여서는, 소성온도를 850∼9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관점을 고려하면, 높은 연색성을 갖는 살색 메이크업 화장료로 하기 위해서는, 산화티탄층의 비율이 47∼57%의 운모티탄에,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를 0.3∼2.0중량% 첨가하고, 소성온도를 850∼950℃로 한 안료가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운모티탄의 주위의 광조건에 대한 응답성의 검토
그래서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안료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로써 산화철을 1중량% 사용하고, 산화티탄층의 비율을 50% 전후로 한 청색의 간섭색을 보이는 운모티탄을 이용하고, 900℃의 소성온도에서 소성하고, 얻어진 운모티탄에 관하여 다른 빛 조건하에서 보이는 반사율 특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의 결과에서 백색 형광등 하에서와 같은 어두운 환경에 있어서는 주로 가시광인 500nm이상의 장파장영역을 중심으로 한 반사율이 높고, 태양광 하에서와 같은 밝은 환경에 있어서는 장파장영역의 반사율이 저하하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안료를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으로, 주위의 광조건에 따른 자연에서 높은 연색성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로 할 수 있다.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화장료에서의 배합량의 검토
이어서 실제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화장료에 배합하고, 그 화장료가 보이는 특성을 검사했다. 도 6의 시험에 이용한 운모티탄으로 화운데이션을 제조했다. 그리고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배합량이 화장료에 주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했다.
제조한 화운데이션에 배합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이외의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배합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성분명 배합량
탈크세리사이트카오린구상 나이론분말구상 PMMA분말질화붕소분말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세스키이소스테아린산솔비탄유동파라핀디메틸폴리실록산와세린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마이카방부제향료 1424102410.5131220.5잔여적량적량
상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에 상기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각각 양을 변화시켜 배합하고, 시험하였다.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0.1중량% 배합한 것을 제조예 1, 3중량% 배합한 것을 제조예 2, 10중량% 배합한 것을 제조예 3, 20중량% 배합한 것을 제조예 4, 30중량% 배합한 것을 제조예 5, 35중량% 배합한 것을 제조예 6으로 했다.
또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대신에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각각 양을 변화시켜 배합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3%중량 배합한 것을 비교예 1, 10중량% 배합한 것을 비교예 2로 했다.
각각 얻어진 제조예 1∼6 및 비교예 1, 2의 화운데이션을 10인의 전문 페널에 의하여 시험했다. 시험항목은 완성된 것의 투명감, 자연스러운 완성, 옥외(날씨: 쾌청)에서의 흰빛 띰이 없음, 실내에서의 그을음이 없음이다.
평가는,
대단히 우수하다 ◎ : 대단히 우수하다고 느낀 패널이 9명 이상
우수하다 ○ : 대단히 우수하다고 느낀 패널이 7∼8명
약간 우수하다 △ : 대단히 우수하다고 느낀 패널이 4∼6명
효과를 알수 없다 × : 대단히 우수하다고 느낀 패널이 3명이하
라고 하는 기준으로 채점하였다.
이 관능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배합량 투명감 완성 옥외:흰빛띰 실내:그을음
제조예1 0.1wt%
제조예2 3wt%
제조예3 10wt%
제조예4 20wt%
제조예5 30wt%
제조예6 35wt%
비교예1 3wt% ×
비교예2 10wt% ×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0.1∼30중량% 사이에서 배합한 것이 모든 항목에서 우수하다는 회답이 얻어지고 있다. 특히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3∼10중량% 배합한 화장료는 특히 우수하다고 대부분의 패널이 회답하고 있다.
회답을 보면,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배합량이 3중량% 이하이면 색 그을음 보정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평가가 보였다. 또한 제조예가 화운데이션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지만, 10중량%를 넘어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배합하고 있으면 그 배합량이 증가하는 것에 반짝반짝하는 느낌 등의 펄제 특유의 점재감(点在感)이 보이도록 되었다는 평가나 광택이 있음이 지나치다는 평가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운데이션을 제조할 때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배합량이 3∼10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배합한 화장료는 전체로써의 평가는 할 것도 없는 것이지만, 주위의 광조건에 전체에 매치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투명감의 완성의 결여, 실내에서는 그을은 색이 되어버린다는 평가가 많이 보였다.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과의 배합의 검토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과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혼합하여 배합한 것은 어떠한 화장료로 되는가를 시험했다. 비교대상으로써는 상기 시험에 의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제조예 2를 이용하였다.
상기 성분표 1에 기재된 성분에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3중량%를 배합한 것에 대하여, 다시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 1중량%을 배합한 것을 제조예 7, 5중량%를 배합한 것을 제조예 8, 10중량%를 배합한 것을 제조예 9, 20중량%를 배합한 것을 제조예 10, 30중량%를 배합한 것을 제조예 11, 32중량%를 배합한 것을 제조예 12로 했다.
시험방법 및 평가항목과 그 기준은 상기 표 2에 결과를 기재한 것과 같고 전문 패널 10인에 의한 관능시험에서 비교시험했다.
이 관능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종래의 PC산화티탄배합량 투명감 완성 옥외:흰빛띰 실내:그을음
제조예2 0wt%
제조예7 1wt%
제조예8 5wt%
제조예9 10wt%
제조예10 20wt%
제조예11 30wt%
제조예12 32wt%
표 3의 결과에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단독으로 배합하는 것보다도,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과 혼합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쪽이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특히 상기 시험에서 양호한 평가를 얻은 제조예 2도, 금회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과 혼합한 화장료와 비교하면, 옥외에서 하얗게 뜬 것 같이 느껴진다고 말하는 회답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이 결과에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과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혼합하여 배합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는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1∼30중량% 사이에서 배합한 것이 모든 항목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회답이 얻어지고 있다. 특히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1∼20중량% 배합한 화장료는 대단히 우수하다는 회답을 대부분의 패널이 회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의 배합량이 1중량%인 것은 은폐력이 결여된다는 평가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30중량% 이상 배합하면 은폐력이 지나치게 높아, 투명감이 없어져서, 완성이 부자연스러운 것이 되버린다는 회답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과 함께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1∼30중량%, 특히 5∼20중량% 배합한 것이 양호하다.
이상의 검토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의 하나인 화운데이션은 산화티탄층의 비율이 47∼57%의 운모티탄에 포토크로믹성 부활제인 산화철을 0.3∼2.0중량%첨가하고, 소성온도를 850∼950℃로 한 안료를 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3∼10중량% 배합하고, 또한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을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 배합한 것이 주위의 빛의 조건에 따른 자연스런 연색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실제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처방예를 기재한다. 단위는 중량%이다.
[처방예 1]
파우더리 화운데이션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10
2.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 8
3. 탈크 15
4. 세리사이트 25
5. 산화철 5
6. 구상 나이론분말 2
7. 구상 PMMA분말 4
8. 질화붕소분말 1
9. 마이카 잔여
10.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0.5
11. 세스키이소스테아린산솔비탄 1
12. 유동파라핀 3
13. 디메틸폴리실록산 1
14. 와세린 2
15.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2
16.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0.5
17. 방부제 적량
18. 향료 적량
1∼9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것에 가열용해한 10∼18을 가하여 다시 균일하게 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더리 화운데이션을 조정했다. 이 파우더리 화운데이션을 빛의 조건을 변화시켜 반사광 중의 각 파장별 반사율을 측정한 것을 도 7에 나타낸다.
이 도 7을 보아서 아는 바와 같이 처방예 1에 나타낸 파우더리 화운데이션은, 맨살에 가까운 각 파장의 반사율분포를 갖으면서, 명소에 있어서는 주로 장파장영역의 반사율이 내려가고, 암소에 있어서는 역으로 장파장영역의 반사율이 올라가 있다. 이와 같이, 이 처방예 1에서 얻어진 파우더리 화운데이션은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춰서, 맨살의 색에 가까운 연색을 띤 것이었다.
[처방예 2]
유성형 화운데이션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10
2.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 10
3. 아연화 8
4. 산화철(적) 2
5. 산화철(황) 4.7
6. 산화철(흑) 0.3
7. 고형파라핀 10
8. 와세린 15
9. 아몬드유 7
10. 유동파라핀 30
11. 솔비탄세스키올레인산에스테르 3
12. 향료 적량
13. 방부제, 산화방지제 적량
3∼6을 분쇄혼합하고, 1, 2를 가하여 다시 균일하게 혼합하고 10의 일부와 11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분말부). 남은 10과 7∼9 및 12, 13을 가열용해하여 혼합하고, 상기 분말부를 가하여 잘 교반하면서 40℃까지 냉각하고, 용기에 충전하는 것에 의하여 유성형 화운데이션을 조정하였다. 이 처방예 2에서 얻어진 유성형 화운데이션도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춰서, 맨살갗의 색에 가까운 연색을 띠는 것이었다.
[처방예 3]
수중유형 유화 화운데이션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5
2. 1,3-부틸렌글리콜 7
3. 글리세린 3
4. 벤토나이트 1
5. 수산화칼륨 0.2
6. 트리에탄올아민 9
7. 정제수 잔여
8. 이산화티탄 9
9. 산화철 4
10. 구상 실리카분말 7
11. 디메틸폴리실록산 10
12. 유동파라핀 8
13.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
14.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0.8
15. 세틸알콜 1
16. 방부제 적량
17. 향료 적량
2∼7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하고, 여기에 혼합분쇄한 1 및 8∼10을 가하여 분산하고, 여기에 가열용해한 11∼17을 가하여 유화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수중유형 유화 화운데이션을 얻었다. 이 처방예 3에서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 화운데이션도,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게 맨살갗의 색에 가까운 연색을 띤 것이었다.
[처방예 4]
유중수형 유화 화운데이션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10
2. 구상 나이론분말 2
3. 실리콘처리 이산화티탄 10
4. 실리콘처리 산화철 5
5.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 1
6. 실리콘처리 마이카 1.5
7. 금속비누처리 탈크 5.5
8. 정제수 잔여
9.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나트륨 3
10. 글리세린 10
11. 디프로필렌글리콜 5
12.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
13. 유동파라핀 3
14.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
15. 실리콘수지 5
16. 모노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 2
17. 폴리옥시에틸렌변성실리콘 0.5
18. 방부제 적량
19. 향료 적량
12∼19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용해하고, 여기에 혼합 분쇄한 1∼7의 각 성분을 첨가하여 분산하고, 여기에 균일하게 혼합 교반한 8∼11을 가하여 유화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유중수형 유화 화운데이션을 얻었다. 이 처방예 4에서 얻어진 유중수형 유화 화운데이션도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고, 맨살갗 색에 가까운 연색을 띤 것이었다.
[처방예 5]
유중수형 유화 화운데이션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10
2. 구상 나이론분말 2
3. 실리콘처리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 10
4. 실리콘처리 산화철 5
5.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 1
6. 실리콘처리 마이카 1.5
7. 금속비누처리 탈크 5.5
8. 정제수 잔여
9.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나트륨 3
10. 글리세린 10
11. 디프로필렌글리콜 5
12.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
13. 유동파라핀 3
14.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
15. 실리콘수지 5
16. 모노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 2
17. 폴리옥시에틸렌변성실리콘 0.5
18. 방부제 적량
19. 향료 적량
12∼19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용해하고, 여기에 혼합 분쇄한 1∼7의 각 성분을 첨가하여 분산하고, 여기에 균일하게 혼합 교반한 8∼11을 가하여 유화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유중수형 유화 화운데이션을 얻었다. 이 처방예 5에서 얻어진 유중수형 유화 화운데이션도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고, 맨살갗 색에 가까운 연색을 띤 것이었다.
[처방예 6]
백분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15
2. 세리사이트 10
3.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엘라스토머 구상분말 5
4. 질화붕소 20
5. 산화철 3
6. 탄산마그네슘 3
7. 탈크 잔여
8. 구상 알루미나분말 4
9. 스쿠알란 2
10. 트리옥탄산글리세린 3
11. 세스키올레인산솔비탄 1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8의 각 성분을 혼합분쇄하고, 9∼13의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가하여 혼합교반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백분을 얻었다. 이 처방예 6에서 얻어진 백분은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춰서, 어두운 곳에서는 밝게, 밝은 곳에서는 하얗게 적절하게 통제한 연색을 띤 것이었다.
[처방예 7]
백분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15
2. 세리사이트 10
3.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엘라스토머 구상분말 5
4. 질화붕소 20
5. 산화철 3
6. 탄산마그네슘 3
7.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 1
8. 탈크 잔여
9. 구상 알루미나분말 4
10. 스쿠알란 2
11. 트리옥탄산글리세린 3
12. 세스키올레인산솔비탄 1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9의 각 성분을 혼합분쇄하고, 10∼14의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가하여 혼합교반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백분을 얻었다. 이 처방예 7에서 얻어진 백분은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춰서, 어두운 곳에서는 밝게, 밝은 곳에서는 하얗게 적절하게 통제한 연색을 띤 것이었다.
[처방예 8]
아이샤도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7
2. 세리사이트 7
3. 마이카 15
4. 질화붕소 33
5. 운모티탄 2
6. 산화철 1.5
7. 탈크 잔여
8. 스쿠알란 2
9. 디메틸폴리실록산 2
10. 실리콘수지 1.5
11. 모노올레인산솔비탄 0.5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7의 각 성분을 혼합분쇄하고, 8∼13의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가하여 혼합교반하고, 접시안에 성형하여 아이샤도를 얻었다. 이 처방예 8에서 얻어진 아이샤도는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춰서, 어두운 곳에서는 색조에 붉은빛이 가하여진 밝은 색조가 되고, 밝은 곳에서는 색조의 명도를 적당한 정도로 통제한 연색을 띤 것이었다.
[처방예 9]
아이샤도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7
2. 세리사이트 7
3. 마이카 15
4. 질화붕소 33
5. 운모티탄 2
6. 산화철 1.5
7. 종래의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 3
8. 탈크 잔여
9. 스쿠알란 2
10. 디메틸폴리실록산 2
11. 실리콘수지 1.5
12. 모노올레인산솔비탄 0.5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8의 각 성분을 혼합분쇄하고, 9∼14의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가하여 혼합교반하고, 접시안에 성형하여 아이샤도를 얻었다. 이 처방예 9에서 얻어진 아이샤도는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춰서, 어두운 곳에서는 색조에 붉은 빛이 가하여진 밝은 색조가 되고, 밝은 곳에서는 색조의 명도를 적당한 정도로 통제하여 연색을 띤 것이었다.
[처방예 10]
입술연지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 10
2. 카르나바 왁스 1
3. 칸데리라 왁스 2
4. 세레신 10
5.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9
6. 디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린 13
7.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90,000Pa·s, 25℃) 5
8.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10mPa·s, 25℃) 5
9. 실리콘수지 8
10. 스쿠와란 잔여
11.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1
12. 마카데미아너트유지방산콜레스테릴 3.5
13. 합성규산나트륨마그네슘 0.5
14. 소수성실리카 0.5
15. 정제수 2
16. 색제 적량
17. 방부제 적량
18. 향료 적량
60℃로 가열한 12에 13, 14를 분산시키고, 이것에 균일하게 용해한 11과 15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별도로 가열용해하여 둔 2∼10에 가하여 다시 충분히 교반한다. 그리고 1 및 16∼18의 각 성분을 가하여 교반하고, 분산시켜서, 그후 용기에 충전하여 입술연지를 얻었다. 이 처방예 10에서 얻어진 입술연지는 주위의 빛의 조건에 맞춰서, 어두운 곳에서는 붉음이 한층 더 밝은 색조가 되고, 밝은 곳에서는 색조의 명도를 적절한 정도로 통제한 색조를 띤 것이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주로 산화티탄층의 비율이 47∼57%의 운모티탄에, 포토크로믹성 부활제인 산화철을 0.3∼2.0 중량%를 가하고, 소성온도를 850∼950℃로 한 적등색의 물체색에서 청색 간섭색의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이용하여 설명을 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만을 배합한 메이크업 화장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화장료에 자(紫) 색채를 부여하고 싶은 경우는, 산화티탄층의 비율을 42%전후의 운모티탄에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로써 코발트를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높은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물체색이 보라에서 간섭색이 황색의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이 되고, 적 색채를 부여하고 싶은 경우는, 산화티탄 층의 비율을 55%전후의 운모티탄에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로써 동을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높은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물체색이 적에서 간섭색이 녹색인 포토크로믹성 안료가 된다.
이와 같이, 운모티탄의 물체색으로써 부여하려는 색조를 갖는 포토크로믹성 부활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이에 맞춰, 운모티탄의 산화티탄층의 층두께를, 간섭광이 물체색과 다른 색조를 보이도록 적당하게 조정하면 목적하는 색조를 보이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얻을수가 있고, 이것을 배합하여 화장료로 한다는 것에서 주위의 빛에 응답하여 높은 연색성을 보이는 메이크업 화장료로 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본 발명에서의 광응답성 연색 메이크업 화장료에 의하면, 자연스러워 투명감이 있는 완성을 손상하지 않고, 옥외·실내 어딘 가의 빛의 조건에도 적응한 최적한 색조변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9)

  1.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을 배합한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배합된 상기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조사된 자외선 강도에 따라서 암색화하는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화합물로 운모표면을 피복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이 존재하고, 그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의 색이 물체색으로써 관찰되고,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산화티탄 또는 산화티탄화합물로 이루어진 산화티탄층이 암색화하는 것에 의해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에 발생하는 간섭광을 강조하여,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을 변화시키는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이고,
    화장료의 색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관찰색에 의하여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배합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산화티탄층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섭광의 색조가 물체색과는 다른 색을 나타내도록 운모티탄에 함유되는 산화티탄층의 층두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배합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산화티탄층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섭광의 색조가 물체색의 보색 또는 보색근방의 색역을 나타내도록 운모티탄에 함유되는 산화티탄층의 층두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배합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명소에서는 가시광선의 장파장영역을 중심으로 한 빛의 반사율이 저하하고, 암소에서는 가시광선의 장파장영역을 중심으로 한 빛의 반사율이 높아지는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5. 제 3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산화철 또는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운모티탄에 함유되는 산화티탄의 비율이 47∼5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7. 제 3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은 850∼950℃에서 소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배합되는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의 배합량이 0.1∼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색 변화형 포토크로믹성 운모티탄과 함께 빛에 의해 주로 명도를 변화시키는 포토크로믹성 산화티탄 1∼30중량%를 병용하여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KR1019990048129A 1998-11-02 1999-11-02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KR100588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12308 1998-11-02
JP31230898 1998-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158A true KR20000035158A (ko) 2000-06-26
KR100588083B1 KR100588083B1 (ko) 2006-06-08

Family

ID=1802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129A KR100588083B1 (ko) 1998-11-02 1999-11-02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06409B1 (ko)
EP (1) EP0998901B1 (ko)
KR (1) KR100588083B1 (ko)
DE (1) DE69911347T2 (ko)
TW (1) TW51330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464A (ko) * 2002-08-30 2002-12-26 최명식 헤어 셋팅용 변색용제 및 이를 갖춘 헤어 셋팅용제
KR20020096213A (ko) * 2001-06-19 2002-12-31 조현화 광호변성 컬러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4765B1 (fr) * 1999-06-09 2005-03-11 Oreal Pigment interferentiel et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tel pigment
US6939837B2 (en) * 2000-06-05 2005-09-06 Procter & Gamble Company Non-immersive method for treating or cleaning fabrics using a siloxane lipophilic fluid
US7071950B2 (en) * 2000-09-01 2006-07-04 Ricoh Co., Ltd. Super imposed image display colo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FR2815848B1 (fr) * 2000-10-31 2003-04-18 Oreal Compostion cosmetque contenant un agent de coloration photochrome et son utilisation pour le maquillage et/ou le soin de la peau et/ou des phaneres
KR20040052506A (ko) * 2001-05-30 2004-06-23 노프 코포레이션 건식 세정용 세정제 조성물
KR20020096214A (ko) * 2001-06-19 2002-12-31 조현화 광호변성 투웨이 케이크의 제조방법
US7324118B2 (en) * 2001-08-31 2008-01-29 Ricoh Company, Ltd. Super imposed image display colo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SE524197C2 (sv) * 2002-03-12 2004-07-06 Ove Karlsson Med Ove Karlsson Ny komposition
FR2845898B1 (fr) * 2002-10-18 2006-07-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ssociant au moins deux matieres colorantes dont au moins une matiere colorante photochrome.
US20040223928A1 (en) * 2003-05-08 2004-1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FR2864765B1 (fr) * 2004-01-05 2008-02-22 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de la peau
US7695726B2 (en) 2004-01-23 2010-04-1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igmented cosmetic composition exhibiting radiance with soft focus
EP1591131B1 (en) 2004-04-30 2011-06-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lour-changing absorbent article
US20050249684A1 (en) * 2004-05-07 2005-11-10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Taurate formulated pigmented cosmetic composition exhibiting radiance with soft focus
US20060057084A1 (en) * 2004-09-14 2006-03-16 Gonzalez Anthony D Attero-chromic color aggregates
CN101065102A (zh) * 2004-11-24 2007-10-31 宝洁公司 毛发处理剂
US9089493B2 (en) * 2005-09-16 2015-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US8442281B2 (en) * 2006-04-28 2013-05-1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Artificially displaying information relative to a body
EP2066290A2 (en) * 2006-09-28 2009-06-1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aler composition comprising titanium dioxide coated pigment and metal soap coated pigment
JP2010503726A (ja) * 2006-09-28 2010-02-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固形粉末組成物
US20080175931A1 (en) * 2007-01-19 2008-07-24 Nathalie Schlemer Cosmetic foundation
FR2942406B1 (fr) * 2009-02-23 2011-04-22 Oreal Procede de demaquillage et composition cosmetique demaquillante
US8435924B2 (en) * 2009-11-04 2013-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ducing color change in overlapping layers
US20110106035A1 (en) * 2009-11-04 2011-05-05 Kelyn Anne Arora Absorbent article having activated color regions in overlapping layers
US8435205B2 (en) 2010-01-29 2013-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or having a color gradient
US8343411B2 (en) 2010-04-23 2013-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web substrate having activated color regions in deformed regions
US8637430B2 (en) 2010-04-23 2014-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substrate having activated color regions in topical additive regions
US8975210B2 (en) 2010-04-23 2015-03-10 The Procter & Gamble Co. Web substrate having activated color regions in deformed regions
US8440587B2 (en) 2010-04-23 2013-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ducing color change in a web substrate
US8460597B2 (en) 2011-03-22 2013-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ducing color change in a substrate
WO2012177747A2 (en) 2011-06-24 2012-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oving articles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same
CA2840320A1 (en) 2011-06-24 2012-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activating colorant associated with an article
US9168209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320687B2 (en) 2013-03-13 2016-04-2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394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393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GB201817195D0 (en) 2018-10-22 2018-12-05 Theunseen Cosmetic composition
GB201817196D0 (en) 2018-10-22 2018-12-05 Theunseen Cosmetic composition
WO2020208643A1 (en) * 2019-04-06 2020-10-15 Koel Colours Pvt. Ltd. A stable reversible coloured photochromic additive
EP3719082A1 (en) * 2019-04-06 2020-10-07 Koel Colours Pvt. Ltd. A stable reversible-coloured photochromic additive
CN109908009A (zh) * 2019-04-14 2019-06-21 广州艾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变色口红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209A (ja) 1991-02-28 1993-03-02 Sumitomo Chem Co Ltd フオトクロミツク性を有する酸化チタン系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345433A (ja) 1993-06-11 1994-12-20 Sumitomo Chem Co Ltd フォトクロミック性を有する酸化チタン系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06755B2 (ja) * 1994-02-15 2004-03-15 株式会社資生堂 ホトクロミック性複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皮膚外用剤
JPH07258580A (ja) 1994-03-23 1995-10-09 Shiseido Co Ltd ホトクロミック性複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皮膚外用剤
EP0701810B1 (en) * 1994-09-14 2004-11-17 Shiseido Company Limited Skin-colour adjusting method, and coloured titanium oxide coated mica used therefor
JP3507230B2 (ja) 1995-12-13 2004-03-15 株式会社資生堂 フォトクロミック性基板光沢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TW505521B (en) 1997-06-25 2002-10-11 Kao Corp Hair cosmet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213A (ko) * 2001-06-19 2002-12-31 조현화 광호변성 컬러무스
KR20020095464A (ko) * 2002-08-30 2002-12-26 최명식 헤어 셋팅용 변색용제 및 이를 갖춘 헤어 셋팅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11347T2 (de) 2004-07-08
DE69911347D1 (de) 2003-10-23
EP0998901B1 (en) 2003-09-17
US6306409B1 (en) 2001-10-23
EP0998901A1 (en) 2000-05-10
KR100588083B1 (ko) 2006-06-08
TW513308B (en)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083B1 (ko)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US5176905A (en) Photochromic flesh-colored pig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363696B2 (ja) 肌化粧料用色材組成物、それを用いたファンデーション、化粧方法
KR0162620B1 (ko) 포토 크로믹성 연색 조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재료
US5628934A (en) Photochromic color rendering regulatory composition and cosmetics
JP2003519644A (ja) シャドー効果化粧用組成物
JP2006299051A (ja) 着色複合粉末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1288038A (ja) 化粧料
JP2002154929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4786011B2 (ja) 酸化鉄−ビスマス化合物複合顔料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4068800B2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4058208B2 (ja) 光応答性高演色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3026537A (ja) 着色雲母チタン
JP2017048213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CN103596547A (zh) 乳化型底妆化妆品及其制造方法
TW201231071A (en) Makeup cosmetic
JP2010235485A (ja) 粉末固形化粧料
JP2001335432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4083423A (ja) 化粧料
JP3456674B2 (ja) 着色雲母チタン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肌色調整用組成物
KR101508192B1 (ko)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수산화마그네슘을 이용한 판상 안료 표면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프트 포커스 화장료 조성물
JP2004123681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3384628B2 (ja) 肌色調整用組成物
JPH0881333A (ja) 肌色調整方法
JP2001278743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