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588A - 사과 신품종인 화랑 - Google Patents

사과 신품종인 화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588A
KR20000033588A KR1019980050510A KR19980050510A KR20000033588A KR 20000033588 A KR20000033588 A KR 20000033588A KR 1019980050510 A KR1019980050510 A KR 1019980050510A KR 19980050510 A KR19980050510 A KR 19980050510A KR 20000033588 A KR20000033588 A KR 2000003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ji
apple
color
varieties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장근
Original Assignee
안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장근 filed Critical 안장근
Priority to KR101998005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3588A/ko
Publication of KR2000003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74Rosaceae, e.g. strawberry, apple, almonds, pear, rose, blackberries or raspberries
    • A01H6/7418Malus domestica, i.e. app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8Fr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사과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을 개시한다:
1. 사과 모계 후지(富士) 사과에 어버이 화분으로서 쓰가루(津輕)을 사용하여 얻은 묘목 5000주에서 얻은 변이 사과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2. 꽃눈수 및 잎의 수가 모계 후지 사과품종에 배해 약 2∼3배로 많음.
3. 수세가 강하고, 수자가 직립이며, 열매가지가 단가지형이며, 5년 성목이 2.2∼2.5 m임.
4. 열매 크기가 모계 후지사과에 비해 약 1.7∼2배이고, 부계인 쓰가루 사과에 비해 약 1.8∼2.5배의 중량이고, 열매의 형태가 장원추형임.
5. 열매의 육질은 단단하고, 치밀도는 높으며, 평균당도가 15.9°Bx.
6. 성숙기가 중생종(중부지방에서 10월 하순∼11월 초순에 수확).
7. 출하 및 보구력이 강하여 사과 나무에서 숙과후 약 30일 동안 낙과되지 않는 열매.
8. 해거리 현상이 없고, 2년생부터 열매가 열리기 시작함으로 경제성이 높음.

Description

사과 신품종인 화랑(New Variety Apple "Wharang")
본 발명은 경북 상주시 예남면 신촌 1리 755번지에서 재배하는 모계 후지 사과나무와 부계 쓰가루 품종에서 교잡 변종된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에 관한 것이다.
사과가 우리 나라에 도입된 지는 약 100년 정도로 알려지고 있으며, 그 동안 외국에서 도입된 품종과 국내에서 육서오딘 품종을 합하면 약 500종 이상이고 알려져 있으나, 이들 품종은 그 동안 재배면, 유통면 또는 소비면 등에서 도태되고, 오늘날 재배되는 품종과 남게 된 것이다. 특히 근년, 소비자들의 기호가 신맛이 강한 것을 기피하고, 단맛이 높고, 과즙이 많은 것, 향기가 좋은 것을 즐기는 경향으로 인해, 종래의 사과중 왜금, 적룡, 축, 욱, 인도, 국광 등은 자취를 감추고, 홍옥, 후지, 왕령, 무쓰, 레드골드 등이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요즘에는 정림, 금령, 왕림, 아카네 등이 새로운 품종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는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는 후지는 일본에서 개발된 품종으로 국광에 딜리셔스를 교배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과실의 무게가 300g 정도로 큰 편이고, 타원형으로 다즙이고, 단맛이 강하며 품질이 대단히 우수하여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후지 품종은 장과지이므로 재배에 노동력이 많이 요구되며, 밀식 재배가 어려우며, 결실후 가지의 쇠약이 쉬우므로 갱신에 유의하여야 하고, 유인에 어려운 점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이러한 식물 품종을 대체할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품종을 개발하지 못한 채, 종래의 품종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과실의 당도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단과지형의 스퍼형 품종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래 동안 예의 연구한 결과, 후지 품종의 꽃에 각종 품종을 교배하여 육성하던 중, 쓰가루 품종을 교배한 것에서 꽃눈수가 모계인 후지에 비해 약 3배이고, 잎의 수가 모계인 후지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변이종이 1990년 발현되어 이를 1990년에 후지 품종에 고접하여 관찰하여 본 결과, 변이종의 유전자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이를 경상북도 농촌진흥원에 과수포장의 후지 품종에 고접하여 품종 특성을 연구 의뢰한 바, 본 발명의 신품종인 화랑은 수 차례의 검정을 걸쳐 품종이 고정되어 있으며, 특히 모수 유전성 검정을 한 바, 유전성이 그대로 유지되며, 단과지 착과형(Spur type)으로 마디길이가 짧고, 꽃눈 착생이 양호하고, 과중이 무겁고 대과비율이 높으며, 과형이 장원추형으로 품질이 우수하고, 신초(新梢)의 길이가 짧으며 해거리가 없고, 밀식 재배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품종 과수인 화랑의 사과의 과일을 나타낸 것으로,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사과 과일의 정면도, 저면도, 뒤집어 놓은 상태의 정면도, 절개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품종 화랑의 사과와 모계인 후지의 사과를 대비한 사진으로 좌측은 화랑, 우측은 후지의 과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품종 과수 4년생에 사과가 달린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품종 과수 2년생에 사과가 달린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사과 화랑의 잎과 모계인 후지사과의 잎의 비교도로서 좌측은 화랑의 잎을, 우측은 후지의 잎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화랑의 잎의 수가 약 2배정도 많음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신품종 과수의 수자를 나타낸 사진이다.
즉, 본 발명자는 1989년 종래의 후지 품종의 과수의 개화시에 쓰가루 품종의 과수의 꽃가루를 모아 이를 약 5000주의 후지 품종 과수의 꽃에 인공수정한 후, 관찰하였다. 인공수정한 후지 품종의 과수를 그 익년에 관찰한 바, 그 중 한 나무에서 잎이 크기가 약간 작고, 화아수 및 잎의 수가 모수인 후지 품종에 비해 약 2∼3배 많은 변이종이 발견되었다. 이 나무의 화아착생 및 착과가 지나치게 잘 되어 과다 착과를 막기 위해 충분히 적과(摘果)를 실시한 바, 당도가 후지 품종에 비해 월등하고, 단과지 형상으로 성장하였다. 이 가지를 종래의 후지 품종 및 홍옥 품종 등에 고접하여 본 결과, 동일한 유전성이 유지되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그 다음 해에 제 2세대 사과를 고접으로 번식시켜 확인하여 본 바, 상기 사과 과일의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상기 사과 신품종을 계속하여 묘목에 고접에 의해 무성생식 및 상품화를 위해 선택하였다. 본 발명자는 현재까지 본 발명의 과수 및 과일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갖는 품종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밀식 재배할 수 있음을 알았다.
본 발명의 사과 신품종은 시판품종과 상이하며, 균질하고 안정된 특성을 지닌다.
[본 발명 품종의 무성 번식]
본 발명의 사과 신품종을 경북 상주시 예남면 신촌 1리 755번지 소재의 농장에서 변이종을 1∼2년생의 묘목에 고접하여 무성 번식을 수행한 결과, 모수의 성질과 같은 성질을 나타냈으며, 계대 증식을 통해 그 특성이 그대로 유전되는 특성을 나타냈었다. 더 나아가 1991년부터 변이종을 경상북도 농촌진흥원에 검정시험 및 모수 유전성 검정을 의뢰한 바, 그 특성이 그대로 유전됨을 확인하였다.
[품종의 설명]
본 발명의 신품종 사과를 "화랑"라 명명하며, 이 신품종의 과수 특성은 수세는 강하고, 직립성이며, 크기는 후지 품종보다 작고, 생산성이 높으며, 과일 특성은 과중은 평균 466 g으로 후지에 비해 약 1.8배이며, 과피는 후지와 비슷한 선홍색이고, 과형은 장원추이며, 경도는 평균 1.77 kg/5mmΦ으로 후지보다 강하며, 백색의 육질을 가지며, 과핵은 극히 적고, 과일의 맛은 당도가 높고, 신맛이 적으며, 향이 좋으며, 보구력이 길다. 생육특성으로는 신초장이 후지의 약 70% 정도로 짧고, 마디수는 후지와 거의 같거나 적으며, 마디사이의 길이는 후지에 비해 약 70%로 짧고, 잎의 길이는 후지에 비해 상당히 작고, 잎의 폭도 상당히 작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신품종 화랑은 후지 등의 종래 품종과 달리 2년생부터 과일을 수확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과일은 육질이 연하면서도 숙성후 실온 또는 창고에서 약 5∼6 개월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장거리 운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과 품종 화랑은 과일의 당도가 높고, 과중이 후지 품종에 비해 훨씬 크고, 단과지형이므로 밀식재배가 가능한 우수한 품종이다.
경북 농촌 진흥원에 존재하는 본 발명 신품종의 과수의 수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그의 식물학적 특성을 팬톤 프로패셔널 컬러 시스템 실렉터(Panton, Inc, 1984, 1990)에 따른 색도로서 하기와 같이 기술한다.
나무:
크기→작음. 5년생이 2∼2.5 m임.
생장력→왕성
성장→직립
생산성→생산성 높음
수확성→일정함. 해거리 없음
밀도→중간
줄기:
크기→짧음
결→매끈함
색→ 갈색 (18-1614) 내지 (19-1716)
가지:
크기→짧음.
결→부드러움.
색→갈색 (18-1614) 내지 (17-1525)
잎:
크기→작음 폭이 좁고 짧음
평균 길이; 8.1 cm
평균폭; 5.0 cm
형태→ 뾰족한 피침형.
두께→중간
가장자리→ 톱날형
색→ 녹색 내지 암녹색 (18-0521) 내지 (18-0820)
꽃:
크기→중간-눈에 잘 띔
개화기간→1998년 4월 25일 ∼ 1998년 5월 10일 (지역 및 기후
조건에 따라 약간 다름)
색→ 후지와 동일
화분→다량
열매:
성숙도→ 단단함
첫 번째 수확일→1998년 10월 20일
마지막 수확일→1998년 11월 10일
크기→거대함, 축방향 평균직경; 8.9 cm
봉합면으로 횡방향 평균직경; 10.0 cm
형태→장원추형.
꼭지→후지와 거의 동일
과피:
두께→중간
결→살결이 단단함
갈라지려는 경향→없음
색→ 선홍색 줄무늬 (17-1654)
육질(살):
결→단단함
원숙도→골고루 익음
섬유질→중간, 연함
즙→다량
맛→우수함, 매우 달고 신맛이 거의 없음.
향→ 많음
만족도→우수함
색→황백색 (12-0712).
씨:
타입→ 후지와 같음
색→갈색 내지 적갈색 (18-1540) 내지 (19-1540)
용도:
디저트용, 통조림용
시장성 - 근거리 및 장거리
보구력: 매우 우수함
적하성: 매우 양호함
[본 발명 신품종과 후지 품종의 비교]
1. 주요 특성
구분 숙기(월/일) 과중(g) 당도(°Bx) 경도(kg/5mmΦ) 과형 과피색
본 발명품 10/25 466 15.9 1.77 장원추 선홍
후지 10/25 263 15.2 1.74 원추 선홍
2. 과실특성
구분 과형 과피색 당도(°Bx) 경도(kg/5mmΦ) 과중(g)
모수고접 1차(6년생)고접 2차(4년생)(평균) 장원추장원추장원추 선홍선홍선홍 15.315.916.6 1.781.791.75 471497431
장원추 선홍 15.9 1.77 466
후지 원추 선홍 15.2 1.74 263
3. 생육특성
구분 신초장 마디수 마디간 길이 잎 길이(cm) 잎 폭(cm)
모수고접 1차(6년생)고접 2차(4년생)(평균) 333029 211921 1.61.61.4 8.88.07.4 4.94.85.2
31 20 1.5 8.1 5.0
후지 44 19 2.3 10.6 7.4
4. 화아착생 및 과실비대량
구분 화아수(개/100cm) 과실 비대량(cm)
종경 횡경 과형지수
모수고접 1차(6년생)고접 2차(4년생)(평균) 374039 9.19.18.6 10.110.09.9 0.900.910.87
39 8.9 10.0 0.89
후지 13 7.4 8.5 0.87
상기 사과 신품종인 화랑의 나무, 그 꽃, 잎 및 열매는 품종이 성장하는 기후, 토양 조건 및 재배술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식물학적 설명은 발명자의 주소의 과수원에서의 생태학적 조건하에서 성장한 품종에 대한 설명이다.
본 발명의 신품종 사과나무는 특히, 과수의 육질이 단단하고, 단과지형으로 밀식재배가 가능하고, 과실은 중량이 모계 품종인 후지에 비하여 약 1.77배이며, 평균당도가 15.9도로 후지보다 높으며, 더욱이 2년생부터 과실이 열리고, 보구력이 뛰어나고, 맛이 우수하여 종래의 품종, 특히 후지 품종의 대체 품종으로 유망하다.

Claims (1)

  1. 모계 품종인 후지 품종의 개화시에 쓰가루 화분을 인공수정하여 얻어진 변이된 본 발명의 신품종의 가지를 종래의 사과 품종 또는 능금의 성목에 고접하거나, 그의 눈(芽)을 취출하여 이를 종래의 사과 품종 또는 능금의 성목의 눈의 자리에 아접(芽接)하여 얻어진 가지를 계대번식시켜 품종을 고정한 것으로, 하기 특성을 가지며, 무성번식되는 사과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나무:
    크기→작음. 5년생이 2∼2.5 m임.
    생장력→왕성
    성장→직립
    생산성→생산성 높음
    수확성→일정함. 해거리 없음
    밀도→중간
    줄기:
    크기→짧음
    결→매끈함
    색→ 갈색 (18-1614) 내지 (19-1716)
    가지:
    크기→짧음.
    결→부드러움.
    색→갈색 (18-1614) 내지 (17-1525)
    잎:
    크기→작음 폭이 좁고 짧음
    평균 길이; 8.1 cm
    평균폭; 5.0 cm
    형태→ 뾰족한 피침형.
    두께→중간
    가장자리→ 톱날형
    색→ 녹색 내지 암녹색 (18-0521) 내지 (18-0820)
    꽃:
    크기→중간-눈에 잘 띔
    개화기간→1998년 4월 25일 ∼ 1998년 5월 10일 (지역 및 기후
    조건에 따라 약간 다름)
    색→ 후지와 동일
    화분→다량
    열매:
    성숙도→ 단단함
    첫 번째 수확일→1998년 10월 20일
    마지막 수확일→1998년 11월 10일
    크기→거대함, 축방향 평균직경; 8.9 cm
    봉합면으로 횡방향 평균직경; 10.0 cm
    형태→장원추형.
    꼭지→후지와 거의 동일
    과피:
    두께→중간
    결→살결이 단단함
    갈라지려는 경향→없음
    색→ 선홍색 줄무늬 (17-1654)
    육질(살):
    결→단단함
    원숙도→골고루 익음
    섬유질→중간, 연함
    즙→다량
    맛→우수함, 매우 달고 신맛이 거의 없음.
    향→ 많음
    만족도→우수함
    색→황백색 (12-0712).
    씨:
    타입→ 후지와 같음
    색→갈색 내지 적갈색 (18-1540) 내지 (19-1540)
    용도:
    디저트용, 통조림용
    시장성 - 근거리 및 장거리
    보구력: 매우 우수함
    적하성: 매우 양호함
KR1019980050510A 1998-11-24 1998-11-24 사과 신품종인 화랑 KR20000033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510A KR20000033588A (ko) 1998-11-24 1998-11-24 사과 신품종인 화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510A KR20000033588A (ko) 1998-11-24 1998-11-24 사과 신품종인 화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588A true KR20000033588A (ko) 2000-06-15

Family

ID=1955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510A KR20000033588A (ko) 1998-11-24 1998-11-24 사과 신품종인 화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358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491B1 (ko) * 2009-12-28 2013-01-11 영주시(농업기술센터 장) 사과 우량묘목 생산방법
KR101521850B1 (ko) * 2015-04-06 2015-05-26 임상철 사과 신품종 ''자후''
KR101594327B1 (ko) * 2015-07-28 2016-02-16 임상철 사과 신품종 '씨엘후지'
KR101614912B1 (ko) 2015-07-14 2016-04-27 김정호 신규 사과 품종
CN116686702A (zh) * 2023-07-24 2023-09-05 山东省烟台市农业科学研究院(山东省农业科学院烟台市分院) 一种白色苹果品种培育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491B1 (ko) * 2009-12-28 2013-01-11 영주시(농업기술센터 장) 사과 우량묘목 생산방법
KR101521850B1 (ko) * 2015-04-06 2015-05-26 임상철 사과 신품종 ''자후''
KR101614912B1 (ko) 2015-07-14 2016-04-27 김정호 신규 사과 품종
KR101594327B1 (ko) * 2015-07-28 2016-02-16 임상철 사과 신품종 '씨엘후지'
CN116686702A (zh) * 2023-07-24 2023-09-05 山东省烟台市农业科学研究院(山东省农业科学院烟台市分院) 一种白色苹果品种培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aka-Mavrona et al. Response of squash (Cucurbita spp.) as rootstock for melon (Cucumis melo L.)
US20100146852A1 (en) Novel pepper plants
KR20180073183A (ko) 연내 수확이 가능하며 과실 크기가 증대된 신품종 감귤 및 이의 육종방법
Ortiz et al. Pitaya fruit quality (Hylocereus undatus [Haworth] Britton & Rose) accor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A review
JP2018143188A (ja) サツマイモの苗及びその作成方法、並びにサツマイモの栽培方法
Luby et al. ‘Northblue’,‘Northsky’, and ‘Northcountry’Blueberries
KR100532072B1 (ko)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
AU2013234539B2 (en) Personal celery
CN116965332A (zh) 一种赏食兼顾马铃薯的选育方法
KR102131234B1 (ko) 감귤 신품종 '타라타라 극조생'
KR20000033588A (ko) 사과 신품종인 화랑
Bose et al. Flowering, fruiting behavior and nutritional quality of selected guava genotypes
Pohlan et al. Growth and production of cacao
KR101566150B1 (ko) 사과 신품종 ''에스씨엘''
BE1024483B1 (nl) Appelboom met verkort groeiseizoen van fruit
Fakir et al. Seed growth and seed quality in Dipogon lignosus (L.) Verdc. bean
KR102295884B1 (ko) 4배체 베니바에 감귤나무의 번식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영양번식한 4배체 베니바에 감귤나무
USPP32830P3 (en) Camellia sinensis (L.) Kuntze plant named ‘Kiyoka’
Tran et al. Improving Cultivation of Gac Fruit
KR20090031641A (ko) 딸기모종
KR101614912B1 (ko) 신규 사과 품종
Junthasri et al. Effect of hand pollination to increase yield of papaya (Carica papaya) cv.'Yellow Krang'grown in Thailand.
KR19990086564A (ko) 배나무 신품종인 임금
Ledesma et al. Jumbo Kesar mango for south Florida.
US6140561A (en) To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