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072B1 -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 - Google Patents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072B1
KR100532072B1 KR1020050105180A KR20050105180A KR100532072B1 KR 100532072 B1 KR100532072 B1 KR 100532072B1 KR 1020050105180 A KR1020050105180 A KR 1020050105180A KR 20050105180 A KR20050105180 A KR 20050105180A KR 100532072 B1 KR100532072 B1 KR 100532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us
fruit
present
fast
varie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장길
Original Assignee
백장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장길 filed Critical 백장길
Priority to KR1020050105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자와 궁천조생 품종을 인공교배 시켜 얻어진 주심배 실생을 이용하여 조생종이고, 착색이 빠르고 신맛이 적으며 과실이 중대립이고 다수확성이며 수확기가 빠르고 격년결실성이 없고 당산비가 높은 특징이 있는 모수와 동일한 유전형질로 계승되어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고접에 의하여 무성번식 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New Citrus Variety Asexually Propagated by grafting}
본 발명은 감귤 신품종 복길온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생종이고, 착색이 빠르고 신맛이 적으며 과실이 중대립이고 다수확성이며 수확기가 빠르고 격년결실성이 없고 당산비(당과 산도에 대한 비율)가 높은 , 모수와 동일한 유전형질로 계승되어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고접에 의하여 무성번식 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지재배시 복길온주 감귤은 수확기가 9월 25일 경으로 조생종이며, 특히 착색이 빠르고 산도(0.8%)가 낮아 신맛이 없으며 과중은 90g으로 중대립종이며 당함량이 10 o BX로 높고 당산비가 높아 맛이 좋은 고접에 의하여 무성번식 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귤류라 불리는 식물은 분류상 밀감아과, 금감속, 탱자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이 3속의 식물은 아시아 대륙 동남부와 그 주변의 여러섬에 분포되어 있다. 그런데 오스트리아 대륙에는 감귤류의 식물은 전혀 존재하지 않고 같은 밀감아과에 속하는 3속에 근연의 Microcitrus속과 Elemocitrus속만이 야생한다. 이 양속은 감귤류 3속과 형태적으로는 매우 다르나 교배 친화성은 높아 다수의 잡종이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동남아시아의 감귤류와 오스트리아의 두 속과는 조상을 같이하는 혈연관계에 있으므로 다른 지역에서 독립된 진화의 길을 걸어 왔기 때문에 형태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낸다.
현재 감귤을 이용한 식품으로의 실태는 영양학적인 측면에서는 비타민 공급원(비타민C 31∼40mg/과즙 100cc, 비타민A 11∼50I.U/과즙 100cc), 식이섬유 공급원(셀룰로즈, 펙틴 등), 유기산 공급원(구연산, 사과산 등) 및 유리당(포도당, 과당 등)의 공급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제주산 감귤류 함유된 기능성물질 이용하여 연구되고 이용되고 있는 분야는 감귤과피에 함유된 정유성분(테레핀류, R-리모넨)을 이용한 항암물질ㅇ천연세정제 및 향료추출, 감귤함유 플라보노이드(헤스페리딘, 나리진, 노빌레틴 등)를 이용하여 모세혈관 강화제 및 암 억제물질로 사용되고 있고, 감귤귤 과즙에 함유된 리모노이드류(리모닌, 아닐린, 노밀린, 이카친 등)의 종양억제성분 이용, 카로티노이드(β-카로틴, 크립토키산틴 등)를 이용한 성인병예방 즉 체내의 활성산소를 억제시켜 노화를 억제하고 암을 억제시키는 효과로 이용되고 있다.
제주도의 감귤 재배는 서기 476년, 백제 문주왕 2년에 감귤을 공물헌상했다는 고려사기의 기록으로 보아 이보다 훨씬 이전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당시의 재배품종은 거의가 제주재래종으로 금귤, 산귤, 청귤, 동정귤, 유자, 유감, 당유자, 홍귤, 감자, 석금귤, 편귤, 사두감, 주감 등 22개 품종이 재배되었으나 생식용으로는 맛이 없고 품질이 떨어져 차차 새로운 품종으로 개량되어 지금은 병귤, 당유자, 유자, 청귤, 동정귤, 홍귤, 진귤 등 몇 가지 종만을 찾아볼 수가 있다.
감귤류는 다른 과수와 마찬가지로 육종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 외에 다배성이라는 성질이 감귤품종개량을 어렵게 하고 있다. 다배성인 품종을 교배모계로 하였을 때 종자가 성숙하면 접합배(zygotic embryo)는 무성배(nucellar embryo)에 눌려 발아력이 떨어지므로 교배육종의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
감귤품종의 육성에는 주심배 실생에 의한 육종, 교잡에 의한 육종, 돌연변이에 의한 유종이 있다. 감귤의 종자는 종류에 따라 단배의 것과 다배의 것이 있는데 주심배를 만드는 품종에서는 그 종자는 본래의 수정한 유성배와 같이 몇개의 주심배를 합쳐서 다배종자라 한다. 이와 같은 품종을 다배품종이라 부르며 온주밀감, 하귤, 유자, 팔삭, 이예감, 탱자 등이 이들에 속한다. 종자가 다배인 경우 그중의 1개는 수정한 유성배이고 나머지는 배낭주위의 주심조직으로부터 난핵이 수정한 후에 무성적으로 발생해서 배가 발달한 것인데 이것을 주심배 또는 무성배(Nucellar or apogamic embryo)라 부른다. 이것에 대해 수정하여 형성된 배를 유성배(Gametic embryo)라 한다. 주심배는 주심세포로부터 체세포 분열에 의해서 무성적으로 된 것이므로 모친과 그 유전질을 같이 가재며 이것을 실생하면 모친과 똑같은 것이 생긴다. 이와 같이 주심배 실생 특성을 이용해서 신종 또는 신품종을 육성할 수 있다.
현재 우리 감귤산업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사실은 수입개방에 따라 해결한다는 것은 국제 경쟁력이 있는 과실을 생산하여 내적으로는 수요확대를 촉진하고 외적으로는 수출을 확대하는 것이다. 과수는 주곡류와는 달리 산업발전 초기단계에서부터 시장경제원리 하에서 치열한 산지간 경쟁을 반복하여 왔다. 소비단계에서 생산 과실의 우위성, 고도의 경쟁력은 품질 이외에는 생각할 수 없으며 산지의 우위성은 양질과실의 생산결과로서 인식되어 지고 있다.
과실 품질 결정의 제일 조건은 품종에 있고 제주도에서 감귤이 생산되지 않는 9월경에 수확할 수 있는 품종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조기 출하에 따른 하우스재배의 시설 및 난방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조기에 수확하는 기존의 극조생종의 경우 착색 상태가 불량하고 신맛이 많아 비수기의 고가에 유통시키는 감귤로는 적합하지 않는 상태에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생종 감귤으로 착색이 빠르고, 감산이 빨라 신맛이 적으며, 과실이 중대립형이고 다수확성이며, 수확기가 빠르고, 격년결실성이 없고, 당산비가 높은 특징이 있는, 모수와 동일한 유전형질로 계승되어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고접에 의하여 무성번식 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탱자와 궁천조생 품종을 인공교배시켜 얻어진 주심배 실생을 이용한 조생종 감귤으로 착색이 빠르고, 감산이 빨라 신맛이 적으며, 과실이 중대립형이고, 다수확성이며 수확기가 빠르고 격년결실성이 없고 , 당산비가 높은 특징이 있는, 모수와 동일한 유전형질로 계승되어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고접에 의하여 무성번식 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을 제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종 감귤나무는 수세가 중간으로 반직립성이며 밀식이 가능한 수형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감귤나무의 엽의 형태를 살펴보면 엽신은 녹색이고 엽병에 밀선이 있고 엽병은 타원형의 특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종 감귤의 과실은 녹황색의 편원형으로 정단부의 모양은 평형이며 전면으로 착색되어 있고 과중은 90g, 과육율은 82%, 과피 두께 0,21%, 수확직후의 당도 10 o BX , 산도 0.8%, 당산비 12.5의 특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종 감귤나무는 수확기가 같은 조생종이 보통 11월말에 수확하나 본 변종 감귤은 이보다 2개월 빠른 9월 하순경이며 격년결실성이 없으며 궤양병에 저항성인 품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변종 복길온주 감귤은 탱자와 궁천조생 품종의 인공교배 시켜 얻어진 주심배 실생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인공교배는 1985년 5월 상순경에 암꽃이 피기 전에 수꽃을 모두 제거한 후 교배봉투를 씌우고 암꽃 만개기간에 2일 간격으로 3회 화분을 주입하여 교배를 실시하였다. 당년 11월경에 교잡종 종자를 채취한 후 이듬해 봄에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농장에 양묘하여 얻어진 묘목으로 교잡종 계통을 조성하여 1987년-1995년까지 1차 선발과정을 거친 후 1996년부터 2005년 까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에서 개체별로 과실특성을 조사하였다.
이하, 상기 인공교배로 얻어지는 변종 감귤의 특성을 엽특성, 수형, 개화특성, 결실특성, 수확기, 과실형태 및 과실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변종 감귤의 잎표면 모습으로 엽신은 녹색이고 엽병에 밀선이 있고 엽병은 타원형이고 밀선을 띠고 있다. 생장 습성은 반직립성이며 절간장이 중간이다. 개화특성은 수꽃의 경우 5월 10일경에 개화되기 시작하여 5월 15일경에 종료된다 화관은 백색이며 꽃잎모양은 넓은 타원형이고 꽃잎수는 5매를 초과한다
도 2는 과실 상면 모습으로 녹황색의 편원형으로 정단부의 모양은 평형이며 전면으로 착색되어 있고 과중은 90g, 착과가 잘 되고 과실이 대조품종인 궁천조생 보다 수확량은 많은 편이다. 도3은 과실의 횡단면으로 과육율은 82%, 과피 두께 0,21%, 수확직후의 당도 10 o BX , 산도 0.8을 나타 낸다. 수확기는 9월 하순으로 조생종에 속하며 도4에 본 바와 같이 노지재배시 수량이 3,750㎏/10a으로 다수확 품종에 속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종 감귤나무 품종의 무성번식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신품종 복길온주의 무성번식방법은 고접에 의한 번식방법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고접 번식방법은 통상적인 감귤의 고접방법을 이용하였다. 고접시기는 4월 상순이후 5월 중순까지가 좋지만 너무 이르면 발아까지의 기간이 길고 저온, 건조에 맞닿을 확률이 높아 활착이 나쁘고 생육이 불량하다. 한편 너무 늦으면 대목의 수액의 유동이 활발하여 목질부가 너무 벗겨지기 쉬워 상처가 커서 아물기가 힘들다. 가을에도 고접을 하는데 9월 하순에서 10월상순에 하여야 활착이 잘되며 한해 등의 우려를 조심해야 한다.
고접 방법에는 주지 피하접, 부주지 피하접, 수관전체 피하접 + 복접 병행을 하였을때 피하접과 복접처리에서 수량, 세근량 수익성이 높아 피하접 + 복접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합도 및 세근량, 수량, 수익면에서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밤나무 교잡종 육성
조생종 감귤으로 착색이 빠르고 신맛이 적으며 과실이 중대립형이고 다수확성이며 수확기가 빠르고 당산비가 높은 우량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탱자와 궁천조생 품종의 인공교배 시켜 얻어진 주심배 실생을 얻엇다. 인공교배는 1995년 5월 상순경에 암꽃이 피기 전에 수꽃을 모두 제거한 후 교배봉투를 씌우고 암꽃 만개기간에 2일 간격으로 3회 화분을 주입하여 교배를 실시하였다. 당년 11월경에 교잡종 종자를 채취한 후 이듬해 봄에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농장에 양묘하여 얻어진 묘목으로 교잡종 계통을 조성하여 1996년-2005년까지 1차 선발과정을 거친 후 2001년부터 2005년 까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에서 개체별로 과실특성을 조사하였다.
검정한 결과 교배조합 중 C-28번 개체가 각 특성에서 우수하여 본 실시예에 적합한 신품종으로 선발하였다. 상기 신품종의 수세, 개화기, 수확기, 격년결실성 및 내병성은 표1, 과중, 과육율, 과피두께, 당도, 산도 및 당산비는 표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개화기 수확기 특성
품종 수세 개화기 수확기(월.일) 격년결실성 내병성(궤양병)
복길온주 5.10-5.15 9.25-9.30
궁천족생 5.15-5.20 11.25- 11.30
과실 특성
품종 과중(g) 과육율(%) 과피두께(mm) 당도 (o BX) 산도(%) 당산비
복길온주 90 82 0.21 10 0.8 12.5
궁천조생 80 74 0.28 8 1.32 6.06
<실시예 2> 고접에 의한 모수의 유전적 형질 고정
감귤 대목은 탱자이고 중간대목은 궁천조생이며 접수는 새로운 복길온주이다. 접수는 활착이 용이하고, 활착후 눈의 신장이 양호하고 접목조작이 쉬운 것이나 3년생가지부터 매년 봄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당년 봄가지나 여름가지가 좋다. 접수의 채취는 2 ~ 3월 전정시에 채취하며 잎의 엽병을 2 ~ 3 mm 남겨 조제하였다. 접수의 저장은 신문지 5 ~ 6겹을 물에 완전히 적셔 물기를 닦아낸후 접수를 싸고 포장한 상태를 비닐로 다시 포장하여 냉장고 5 ~ 7℃ 냉장실에 두면 5월 상순까지 저장하였다. 주의할 점은 접수에 물기가 묻어있는 상태로 저장하게 되면 곰팡이가 쓸어 부패하기 쉽고 저장중에 개봉하여 접수 절단부위에서 곰팡이가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회 잘라주어 도관이 막히지 않게 하였다. 고접시기는 4월 30일경 실시하였다.
접수는 2아보다는 1아로 하여야 하는데 2아복접시 활착은 높으나 접수가 많이 소요되고 신초가 짧으며 가지의 분지각이 좁아 활착후 가지가 바람에 찢어질우려가 많고 수형이 복잡해지기 쉽다. 대목은 형성층안의 목질부가 접도에 살짝 깍이듯 말듯할 정도로 깍아내고 접수는 1 ~ 2cm 길이로 대목에 부착시킬면은 평행하게 깍아내려 대목의 깍아낸 부분과 접수 깍아낸 부분이 밀착시 공간이 뜨지않도록 하며 대목이 굵어 접수가 좌우로 기울어져 밀착되어도 형성층 부위가 넓어 활착이 용이하게 하였다. 밀착후 테이프를 아래에서 위로 감아 올라가되 접수는 피하접(절접)시 파라필름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감싸주며 절단면도 발코트 등으로 유합이 용이하게 발라주었다. 피하접은 절단면이 굵을 경우에 2개이상, 가늘면 1개만을 붙이는데 가지끝을 자른후 절단면에서 접수폭만큼의 껍질을 벗겨내어 접수를 밀착시키며, 복접의 경우 굵은 대목일때에는 껍질만 벗겨내며 가는 대목인 경우 목질부층까지 깍아내어 밀착시켰다. 전체적인 수고가 높지않도록 3 ~ 4주지를 선정하여 주지끝 절단면에는 피하접을 주지상에는 15 ~ 20cm간격으로 복접을 하며 각 주지당 측지 ~ 부주지 정도를 남겨 일소해 및 급격한 뿌리 활력 저하를 방지하였다.
본 발명의 신품종 변종 감귤 "복길온주" 는 조생종이고, 착색이 빠르고 신맛이 적으며 과실이 중대립이고 다수확성이며 수확기가 빠르고 격년결실성이 없고 당산비가 높아 비수기에 수확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커서 감귤 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종 감귤의 잎표면 모습,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종 감귤의 과실 상면 모습,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종 감귤의 과실 횡단면 모습,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종 감귤의 수확전 모습.

Claims (1)

  1. 개화기가 5월10일 내지 5월15일이며, 수확기가 9월 25일 내지 9월30일이며, 착색이 빠르고, 산도가 0.8이며, 과중은 90g으로 중대립종이며, 당함량이 10 o BX 이며, 당산비가 12.5, 격년결실성이 없는 특성을 가지며, 고접에 의하여 무성번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길온주로 명명된 변종 감귤 식물.
KR1020050105180A 2005-11-04 2005-11-04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 KR100532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180A KR100532072B1 (ko) 2005-11-04 2005-11-04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180A KR100532072B1 (ko) 2005-11-04 2005-11-04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072B1 true KR100532072B1 (ko) 2005-11-29

Family

ID=3730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180A KR100532072B1 (ko) 2005-11-04 2005-11-04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0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132B1 (ko) 2007-02-13 2007-09-19 백장길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귤 변종식물 ‘상고’
KR100759131B1 (ko) 2006-12-06 2007-09-19 제주감귤농업협동조합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귤 변종식물 ‘애향’
WO2015199497A1 (ko) * 2014-06-26 2015-12-3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생온주인 감귤 변종 식물'아라온주'
KR20170002328A (ko) 2015-06-29 2017-01-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생온주인 감귤 변종 식물 ''제대온주''
WO2017003183A3 (ko) * 2015-06-29 2017-03-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생온주인 감귤 변종 식물 '제대온주'
CN110337933A (zh) * 2019-08-22 2019-10-18 重庆俊瑞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以枳壳做砧木嫁接柠檬的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131B1 (ko) 2006-12-06 2007-09-19 제주감귤농업협동조합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귤 변종식물 ‘애향’
KR100759132B1 (ko) 2007-02-13 2007-09-19 백장길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귤 변종식물 ‘상고’
WO2015199497A1 (ko) * 2014-06-26 2015-12-3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생온주인 감귤 변종 식물'아라온주'
KR20170002328A (ko) 2015-06-29 2017-01-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생온주인 감귤 변종 식물 ''제대온주''
WO2017003183A3 (ko) * 2015-06-29 2017-03-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생온주인 감귤 변종 식물 '제대온주'
USPP35226P3 (en) 2015-06-29 2023-06-20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itrus tree named ‘Jedae’
CN110337933A (zh) * 2019-08-22 2019-10-18 重庆俊瑞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以枳壳做砧木嫁接柠檬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indall Rambutan cultivation
Pinto et al. Annona species.
El-Siddig Tamarind: Tamarindus Indica L.
Thokchom et al. Production preference and importance of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A review
Rajan Propagation of horticultural crops
KR20180073183A (ko) 연내 수확이 가능하며 과실 크기가 증대된 신품종 감귤 및 이의 육종방법
KR100532072B1 (ko) 고접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복길온주 감귤 변종 식물
Li et al. Akebia: A potential new fruit crop in China
KR100759132B1 (ko)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귤 변종식물 ‘상고’
CN107197771B (zh) 一种提高枇杷果实品质的培育方法
Mazumdar Minor fruit crops of India: Tropical and subtropical
Tripathi Passion fruit
KR102131234B1 (ko) 감귤 신품종 &#39;타라타라 극조생&#39;
Velho et al. Cupuassu: a new beverage crop for Brazil
Monostori et al. A review on sweet potato with special focus on hungarian production: utilization, biology and transplant production
KR100759131B1 (ko)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귤 변종식물 ‘애향’
Mall Methods and procedures for high yielding seed cane production
Ognjanov et al. Modern peach and nectarine production.
Singh Bush Mango (Irvingia gabonensis): new potential multipurpose fruit tree for India
Meena et al. 16. Advanced Production Technology of Kiwifruit Under Temperate Region
CN107079772A (zh) 一种提高果实品质的枇杷品种培育方法
Tran et al. Improving Cultivation of Gac Fruit
McCamant Perennial fruit
Zhang A manual of bamboo hybridization
Singh et al. The Jam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