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424A -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424A
KR20000032424A KR1019980048875A KR19980048875A KR20000032424A KR 20000032424 A KR20000032424 A KR 20000032424A KR 1019980048875 A KR1019980048875 A KR 1019980048875A KR 19980048875 A KR19980048875 A KR 19980048875A KR 20000032424 A KR20000032424 A KR 20000032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test
movable track
motor
transf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5661B1 (ko
Inventor
황의성
Original Assignee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문술
Priority to KR101998004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6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characterized by movements or sequence of movemen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 트레이에 적재한 후, 그 테스트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라이브의 구동에 따라 푸싱판이 테스트 트레이를 소켓어셈블리측으로 누르도록 이루어진 핸들러의 가동트랙에 있어서, 사이드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됨과 동시에 모터에 설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절환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이동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본 발명은 소자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 트레이에 적재한 후, 그 테스트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트레이의 구비된 캐리어 모듈에 삽입되는 소자를 하이픽스 보드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테스트부에 설치된 가동트랙을 이송시키기 위한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에서 생산 완료된 소자는 수평 또는 수직식 핸들러의 엘리베이터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테스터에 의한 성능 테스트 결과에 따라 양품과 불량품으로 구분하고, 그 분류된 소자중 양품은 출하하고, 불량품은 폐기시킨다.
상기와 같이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소자는 테스트 트레이에 담겨져 테스트사이트에 이동된 후 테스트 사이트에서 하이픽스 보드 내의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그 성능이 테스트된다.
이때, 그 테스트에는 소자와 콘택트되는 소켓이 구비되는데 가동트랙은 그 소켓과 소자를 접촉시키므로서 테스터에 의해 성능을 검사받을 수 있게 되고, 그 가동트랙은 양측에 설치된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이송된다.
도 1은 종래의 핸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 3은 테스트 트레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먼저, 소자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핸들러는 완제품으로 생산된 소자가 담겨지는 고객트레이(100)가 적재되는 적재부(102)와, 그 적재부(102)에 적재된 최상측의 고객트레이(100)가 이동아암(103)에 의해 분리되어 안착되는 로딩부(104)와, 그 로딩부(104)에 얹혀진 고객트레이로부터 피커가 소자를 흡착하여 이송됨에 따라 소자의 위치를 정렬하는 얼라이너(105)와, 상기 고객트레이(100) 내에 담겨 있던 소자를 얼라이너로 이송시켜 위치를 정렬한 다음, 수평이동하는 테스트 트레이(106)의 캐리어 모듈에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피커(107,125)와, 테스트 트레이(106)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면서 테스트 트레이(106)에 로딩된 소자를 원하는 테스트 온도가 되도록 가열시키는 히팅챔버(108)와, 그 히팅챔버(108)내에서 소자가 테스트 조건에 알맞는 온도로 가열되어 통로(109)를 따라 송출되고, 이때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된 소자를 테스트하는 제 1테스트부(126) 및 제 2테스트부(127)와, 테스트 트레이(106)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일정온도조건에서 테스트된 소자를 냉각시키는 냉각챔버(111)와, 그 냉각챔버(111)에서 배출된 테스트 트레이(106)가 얹혀지는 언로딩부(112)와, 그 언로딩부(112)에 적재된 테스트 트레이(106)로부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소자를 분류하여 적재하는 분류적재부(113)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핸들러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완제품으로 생산된 소자가 담겨진 고객트레이(100)를 적재부(102)에 적재시키면 엘리베이터(114)에 의해 고객트레이(100)가 한스텝씩 상승되고 트랜스퍼(115)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상측에 위치된 고객트레이(100)를 집어 버퍼(116)의 상면에 위치하고 다음의 고객트레이(100)를 잡기 위해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트랜스퍼(115)에 의해 1개의 고객트레이(100)가 버퍼(116)에 위치하면 이동아암(103)이 고객트레이(100)를 집어 로딩부(104)에 위치시킨다. 그 로딩부(104)에 고객트레이(100)가 위치되면 피커(107)가 이동하여 고객트레이(100)에 담겨진 1열의 소자를 진공으로 흡착한 후, 얼라이너(105)로 이동하여 소자의 위치를 테스트 트레이(100)에 장착된 캐리어 모듈의 캐비티와 일치되도록 정렬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소자가 정렬되면, 피커(107)가 얼라이너(105)내에 위치된 소자를 재흡착하고 테스트 트레이(106)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소자를 캐비티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피커(107)가 위와 같은 동작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테스트 트레이(106)에 테스트하려는 소자를 모두 얹어놓으면 레일(117)의 상면에 얹혀진 테스트 트레이(106)가 히팅챔버(108)의 상측에 형성된 통로(118)를 따라 히팅챔버(108)의 내부에 수평상태로 인입되어 엘리베이터(119)에 얹혀진다.
히팅챔버(108)의 엘리베이터(119)에 순차적으로 얹혀진 테스트 트레이(106)는 아랫방향으로 한스텝씩 이송되면서 테스트에 적합한 온도, 즉 소자가 제품에 적용된 상태에서 동작시 발열되는 온도로 히팅하거나 추운지역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로 냉각시킨 후 테스트 트레이(106)가 히팅침버(108)의 아랫방향에 위치된 통로(109)를 따라 제 1테스트부(126)로 이송되어 오면 테스트 트레이(106)를 하향구동시키는 수직드라이브(120)가 하강하여 테스터 고정장치(121)에 의해 각 소자의 테스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하여 소켓을 통해 결과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테스터(미도시됨)가 소자의 성능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제 1테스트부(126)에 의해 홀수열의 캐리어 모듈(129)에 로딩된 소자(128)만을 테스트하게 된다.
왜냐하면, 기존의 테스터는 한번에 테스트할 수 있는 소자의 개수가 32개인데, 도 3에 도시된 테스트 트레이(106)의 캐리어 모듈(129)에 로딩된 소자(128)는 64개이므로 한번의 테스트로는 로딩된 소자를 모두 검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동작으로 캐리어 모듈(127)에 얹혀진 홀수열의 소자(126)를 테스트한 후, 테스트 트레이(106)는 이송수단에 의해 제 2테스트부(127)쪽으로 이동하여 짝수열의 소자를 테스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테스트 트레이(106)에 로딩된 소자(126)가 테스트되면 그 테스트 트레이는 냉각챔버(111)의 아랫방향에 형성된 통로(122)를 따라 냉각챔버(111)의 엘리베이터(123)에 얹혀지게 되므로 순차적으로 상승하면서 외부의 대기온도와 거의 동일한 온도로 서서히 냉각된다.
냉각이 이루어진 테스트 트레이(106)는 냉각챔버(111)의 상부에 형성된 통로(124)를 따라 언로딩부(112)로 이송되고 이때 언로딩부(112)에 설치된 피커(125)가 캐리어 모듈(127)에 안착된 소자(126)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분류적재부(113)에 위치된 빈 고객트레이(101)내에 분류하여 담는다.
소자(126)가 각각의 캐리어 모듈(127)에 모두 삽입되면 빈 테스트 트레이는 레일(117)을 따라 초기상태로 이송되므로 계속적으로 소자의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핸들러는 테스터의 용량 한계로 인하여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된 소자를 한번에 테스트하지 못하고 2회에 걸쳐서 이루어지므로 장비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한번의 테스트로 64개의 소자를 모두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장비의 크기를 줄이고, 소자가 담겨진 테스트 트레이를 효율적으로 이송시킬수 있는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3은 테스트 트레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캐리어 모듈의 홀수열이 소켓과 일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5는 테스트 트레이가 소켓측으로 전진하여 소자의 리드가 소켓의 콘택트 핀과 접속된 상태도이며,
도 6은 캐리어 모듈의 짝수열이 소켓과 일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동트랙 구동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이드 베이스 12 : 플레이트
14 : 고정볼트 16 : 실린더
18 : 모터 고정 플레이트 20 : 모터
22 : 플레이트 24 : 구동기어
26 : 스크류샤프트 28 : 이송캡
30 : 센서 32 : 감지편
34 : 회전방지블럭 36 : 브라켓
38 : 요홈 40 : 모터
42 : 돌출턱
본 발명은 드라이브의 구동에 따라 푸싱판이 테스트 트레이를 소켓어셈블리측으로 누르도록 이루어진 핸들러의 가동트랙에 있어서, 사이드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됨과 동시에 모터에 설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절환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이동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핸들러의 가동트랙 이동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드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40)와; 상기 모터축에 고정된 구동기어(24)와; 상기 구동기어(24)와 결합됨과 동시에 모터(40)에 설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스크류샤프트(26)와; 상기 스크류샤프트(26)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절환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이동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사이드 베이스(10)의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된 브라켓(36)과; 상기 스크류샤프트(26)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브라켓(36)의 상부를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이송캡(28)과; 상기 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샤프트(26)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송캡(28)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캡(28)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회전방지블럭(3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이송캡(28)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회전방지블럭(34)에 의해 고정되는 감지편(32)과; 상기 브라켓(40)의 후부에 수직하게 세워져서 설치되어 상기 이송캡(28)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감지편(32)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3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편(32)은 "┌┘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브라켓(40)은 그 상부내측에 이송캡(28)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요홈(38)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캡(28)은 상기 브라켓(36)에 형성된 요홈(38)에 삽입되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하부에 돌출턱(42)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캐리어 모듈의 홀수열이 소켓과 일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5는 테스트 트레이가 소켓측으로 전진하여 소자의 리드가 소켓의 콘택트 핀과 접속된 상태도이며, 도 6은 캐리어 모듈의 짝수열이 소켓과 일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수직상태로 이송하는 테스트 트레이(106)의 이송경로상인 소켓어셈블리(128)의 일측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가동트랙(129)이 설치되어 있고, 테스트 트레이(106)는 수직상태로 이송되므로 인해 테스트부(110)로 이송 완료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가 가동트랙(129)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동트랙(129)의 하단에 스토퍼(13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130)는 테스트 트레이(106)가 가동트랙(129)으로 이송되어 소자의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트랙상으로 노출되어 테스트 트레이(106)가 자중에 의해 가동트랙(129)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테스트가 완료되면 공지의 구동수단에 의해 가동트랙의 외측으로 빠져 나와 테스트 트레이(106)가 냉각챔버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측판(131)의 일측에는 64개의 캐리어 모듈(127)이 매달린 테스트 트레이(106)가 이송되어 오면 홀수열 또는 짝수열의 소자를 소켓어셈블리(128)의 소켓(132)에 콘택트시킬 수 있도록 가동트랙(129)을 1스탭씩 좌우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일단이 테스트부(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가동트랙(129)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수단은 사이드 베이스(10)의 우측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40)와, 그 모터축에 고정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24)와, 그 구동기어(24)의 내부에 나사결합됨과 함께 수평하게 연결된 스크류샤프트(26)와, 상기 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스크류샤프트(26)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절환하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기어(24)의 회전운동을 스크류샤프트(26)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절환하는 이동수단은 스크류샤프트(26)의 다른 일단에 고정된 이송캡(28)과, 그 이송캡(28)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방지블럭(34)과, 상기 회전방지블럭의 일단이 끼워져 스크류샤프트(26)의 회전운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브라켓(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방지블럭(34)은 이송캡(28)의 상부에 설치되는 감지편(32)을 이송캡(28)에 고정시킨다.
상기 감지편(32)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수직한 우측부에 고정볼트(14)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샤프트(26)의 일측단부에 고정된다.
회전방지블럭(34)의 이송경로상에는 스크류샤프트(26)의 이동으로 브라켓(36)의 후부에 고정된 센서(30)가 감지편(32)을 감지함에 따라 모터(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로 1스탭씩 이동하는 가동트랙(129)은 가이드 수단에 의해 안내되어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스크류샤프트(26)가 사이드 베이스(10)의 우측으로 최대한 인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일단에 이송캡(28)이 고정볼트(1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트랙(129)이 도면상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에서 히팅챔버의 셔터가 개방되면 가동트랙(129)이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경로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히팅챔버의 내부에서 테스트에 적절한 온도로 소자가 히팅된 테스트 트레이(106)가 자중에 의해 이송된다.
가동트랙(129)을 따라 테스트부(110)로 이송된 테스트 트레이(106)는 가동트랙(129)의 내부로 인출되어 있던 스토퍼(130)에 걸리게 되므로 이송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테스트 트레이(106)가 가동트랙(129)사이로 이송되어 테스트부(110)에 위치하면 드라이브의 구동으로 푸싱판(151)이 스프링(150)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여 가동트랙(129)을 소켓어셈블리(128)측으로 밀게 되므로 테스트 트레이(106)의 캐리어 모듈(127)에 매달린 홀수열의 소자(126)가 소켓어셈블리(128)로 이동하고, 이때 소자의 리드가 소켓(132)의 콘택트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성능을 검사하는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진 소자(126)는 설정된 시간동안 테스트를 하고, 그 결과를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하게 된다.
상기의 작동으로 캐리어 모듈(127)에 매달린 홀수열의 소자(126)를 테스트하고 나면 드라이브가 초기상태로 환원되므로 가동트랙(129)도 스프링(150)의 복원력으로 초기상태로 환원된다.
이와 같이, 홀수열의 소자를 테스트하고 나면 콘트롤부에 의해 구동수단의 모터(40)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기 모터축에 고정된 구동기어(24)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기어(24)의 회전운동에 따라 나사결합된 스크류샤프트(26)도 회전운동하려고 하지만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된 회전방지블럭(34)의 일단이 이송캡(28)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운동이 억제되므로 스크류샤프트(26)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가동트랙(129)이 수평이동하는 양은 캐리어 모듈(127)의 간격 및 소켓(132)의 간격에 따라 콘트롤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모터(40)의 구동에 따라 제어된다.
모터(40)의 구동이 완료되면 캐리어 모듈(127)에 매달린 짝수열의 소자가 소켓과 일치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의 구동에 따라 캐리어 모듈(127)에 매달린 소자의 리드를 소켓 어셈블리(128)의 소켓(132)에 콘택트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짝수열의 소자를 테스트하고 나면 드라이브의 복원으로 가동트랙(129)도 스프링(150)의 복원력으로 후퇴하게 되는데, 가동트랙이 후퇴하고 나면 콘트롤부에 의해 모터(40)가 역회전하게 되므로 가동트랙(129)은 센서(30)가 스크류샤프트(26)와 연결설치된 이송캡(28)에 고정된 감지편(32)을 감지할 때 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가동트랙(129)이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경로와 일치되는 지점까지 이동된 다음 이동을 완료하게 되므로 냉각챔버의 셔터를 개방함과 동시에 테스트 트레이(106)의 이송을 제어하는 스토퍼(130)를 가동트랙(129)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테스트 완료된 소자가 매달린 테스트 트레이가 냉각챔버측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1개의 테스트 트레이를 히팅챔버로부터 공급받아서 캐리어 모듈의 홀수열과 짝수열의 소자를 테스트한 다음 냉각챔버측으로 이송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한사이클을 설명한 것으로 계속해서 공급되는 테스트트레이의 동작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가동트랙 구동장치는 1개의 테스트부를 구성하고 그 테스트부에서 64개의 소자가 설치된 테스트 트레이를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장비가 간단해지고, 테스트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테스트시간에 따른 테스트양이 증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드라이브의 구동에 따라 푸싱판이 테스트 트레이를 소켓어셈블리측으로 누르도록 이루어진 핸들러의 가동트랙에 있어서,
    사이드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됨과 동시에 모터에 설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절환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이동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사이드 베이스의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브라켓의 상부를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이송캡과;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샤프트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송캡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캡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회전방지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이송캡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회전방지블럭에 의해 고정되는 감지편과;
    상기 브라켓의 후부에 수직하게 세워져서 설치되어 상기 이송캡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감지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편은 "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그 상부내측에 이송캡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캡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하부에 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의 가동트랙 구동장치.
KR1019980048875A 1998-11-14 1998-11-14 핸들러의가동트랙구동장치 KR10030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875A KR100305661B1 (ko) 1998-11-14 1998-11-14 핸들러의가동트랙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875A KR100305661B1 (ko) 1998-11-14 1998-11-14 핸들러의가동트랙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424A true KR20000032424A (ko) 2000-06-15
KR100305661B1 KR100305661B1 (ko) 2001-11-30

Family

ID=1955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875A KR100305661B1 (ko) 1998-11-14 1998-11-14 핸들러의가동트랙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96B1 (ko) * 2007-11-27 2009-06-11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테스트 소켓 내구성 시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96B1 (ko) * 2007-11-27 2009-06-11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테스트 소켓 내구성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5661B1 (ko) 200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372B1 (ko)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핸들러, 및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5307011A (en) Loader and unloader for test handler
KR101133188B1 (ko) 소자소팅장치 및 그 방법
KR0138755B1 (ko) Ic 분류별 수납장치 및 ic 검사장치
KR101767663B1 (ko) 기판 제조 설비 및 기판 제조 방법
JP3704013B2 (ja) モジュールicハンドラーのキャリア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80074118A1 (en) Pick-And-Place Mechanism Of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Handling Apparatus And Suc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JP2774264B2 (ja) 半導体素子検査機の素子積み降ろし装置
KR19990083190A (ko) 트레이 이송 암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의 이재(移載) 장치, 집적 회로 시험 장치 및 트레이의 처리 방법
KR101372240B1 (ko) 피치변경장치,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2401058B1 (ko) 소자핸들러
JPWO2008075439A1 (ja) 電子部品試験装置及び電子部品の試験方法
WO2001073458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sorting semiconductor devices received in trays
US5920192A (en) Integrated circuit trans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guide with an integrated circuit positioning function
KR19990088192A (ko) 트레이이송암,전자부품시험장치및트레이반송방법
US6209194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emiconductor device packages using servo motors
KR102249305B1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100401014B1 (ko) 테스트 핸들러
KR102236104B1 (ko) 트레이 이송 장치
CN209772785U (zh) 半导体元件封装缺陷检查机
KR100305661B1 (ko) 핸들러의가동트랙구동장치
JPH09152466A (ja) Ic試験方法及び装置
KR100287556B1 (ko) 수평식핸들러의 테스트 소켓과 소자의 콘택트장치
KR100273984B1 (ko) 수평식핸들러의냉각챔버내에서의테스트트레이이송장치
JP2001116800A (ja) 電子部品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