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709A -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의용매추출법 - Google Patents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의용매추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709A
KR20000029709A KR1019997000810A KR19997000810A KR20000029709A KR 20000029709 A KR20000029709 A KR 20000029709A KR 1019997000810 A KR1019997000810 A KR 1019997000810A KR 19997000810 A KR19997000810 A KR 19997000810A KR 20000029709 A KR20000029709 A KR 2000002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acetyl
cephalosporin
cyclohexanone
aca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림게리엠.에프.
루비존엠.
오디아비키에이취.
Original Assignee
모스 데이빗 엠.
브리스톨-마이어즈 스퀴브 컴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스 데이빗 엠., 브리스톨-마이어즈 스퀴브 컴페니 filed Critical 모스 데이빗 엠.
Publication of KR2000002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02Preparation
    • C07D501/12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Abstract

세팔로스포린 중간체,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및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는사이클로헥사논을 사용하여 용매 추출한 후에 물로 역추출함으로써, 저농도의 농축된 형태로 상기 중간체들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부터 고농도의 수용액 형태로 얻을수 있다. 이 중간체의 고농도 수용액은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7-ACA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Description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의 용매 추출법{SOLVENT EXTRACTION OF 3-HYDROXYMETHYLCEPHALOSPORINS}
7-아미노세팔로스포린산(7-ACA: 7-aminocephalosporanic acid) 및 다양한 그의 유도체는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제조에 중요한 중간체라고 알려져 있다. 다양한 3-치환기를 갖는 7-ACA 및 그의 유도체는 발효-유도된 세팔로스포린 C로부터 공지된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세파로스포린 C를 7-ACA로 전환하는 것은 것은 화학적 및 효소적 공지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출원 제 4,533,632 호에는 발효 수용액에서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C를 제조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생성물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에서 세팔로스포린 C에 비해 현저한 이점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424,196 호 등의 다른 참고문허에는 발효 수용액에서 제조된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C을 3-하이드록시메틸 치환기를 갖는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로 전환시키는 효소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Takeda의 미국 특허 제 4,908,444 호와 Lilly의 미국 특허 제 5,221,739 호 및 J.Antibiotics 47(1): 64-71, 1994에는, 수용액에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아세트산으로 아세틸화 반응시켜, 이후에 고수율의 7-ACA로 효소 가수분해될 수있는 7-글루타릴 ACA를 제조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발효 수용액으로부터 제조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이용한 효소적 7-ACA 공정이 이미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공정은 아직 상용화되지 못했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심각한 문제점은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가 발효 수용액에서 매우 작은 농도(~1-3%)로 얻어지며, 이러한 농도로는 종래 기술 방법에 의해 경제적으로 아실화 반응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Lilly의 특허 및 J.Antibiotics 논문에서는, 아세틸화 반응이 고농도,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의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개시되어 있다. 지금까지는, 데스아세틸 세파로스포린 C 발효액으로부터 수용성 아실화 반응 단계를 적용하기에 충분한 농도의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의 수용액을 얻어 상용화할 수는 없었다. 다음 구조식을 갖는, 관련 세팔로스로린 C 유도체, N-카르비소부톡시세팔로스포린C(N-carbisobutoxy-cephalosporin C):
및 그의 비스-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이 7-ACA의 화학적 합성에서 유용한 중간체로서 미국 특허 제 3,573,296 및 3,830,809 호에 개시되어 있다. 중간체 N-카르비소부톡시세팔로스포린 C는 본문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세팔로스포린 D"로서 기재되어 있다. 세팔로스포린 D를 이용하여 7-ACA를 제조하는 높은 적정 농도의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C 발효(예컨대, 미국 특허 제 4,533,632 호 참조)를 개선하는 이점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발효액에서 제조되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C를 미국 특허제 3,573,296 호에 개시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이소부틸클로로포메이트에 의한 아실화 반응으로 다음 구조식을 갖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그 후에, 이렇게 제조된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는 미국 특허 제 4,908,444 호 및 5,221,739 호에 개시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아세트산 무수물로 아세틸화 반응시켜야만 세팔로스포린 D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생성물은 경우에 따라, 미국 특허 제 3,830,809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비스-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의 형태로 분리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아세틸화 반응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고농도(≥1O% 중량/부피)의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가 아세틸화 반응 단계의 비용 절감을 위해 요구된다. 또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의 경우에 있어서, 발효액으로부터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이 정도의 고농도로 얻을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이 없었다.
다양한 유기 용매들이 발효 수용액에서 세팔로스포린 생성물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어 왔는데, n-부틸 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메틸이소부틸 케톤, 클로로포름 및 에틸 아세테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3,835,129 호에는 사이클로헥사논이 우수한 N-아실 세팔로스포린 C 추출 용매로서 여겨지지만, 대량 단위 작업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에멀젼 문제가 나타난다고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4,168,375 호에는 세팔로스포린 C의 설폰아미드 유도체에 대해 가능한 추출 용매로서 사이클로헥산논이 열거되어 있지만,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의 추출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 3,986,644 호에서는, 사이클로헥사논을 사용하여 소정의 세팔로스포린 C 포스포러스 아미드 유도체를 추출하는 것은 개시되어 있으나,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에 대한 기재는 역시 전혀 기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및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과 같은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가 통상의 유기 용매로는 N-블록킹된 세팔로스포린 C 등의 기타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에 이용되는 통상적인 유기 용매로는 추출이 거의 또는 전혀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이클로헥사논을 추출 용매로서 사용한다면, 발효액으로부터 상기 수용성 아세틸화 반응 단계를 경제적으로 실시할수 있기에 충분할 정도로 농축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얻어, 이후에 공지 방법에 따라 7-ACA로 전환시킬 수 있는 7-글루타릴 ACA 및 세팔로스포린 D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저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발효 수용액,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공 처리된 발효액(a processed fermentation broth)으로부터 고농도(≥l0% 중량/부피)의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a)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함유하는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발효액,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공 처리된 발효액을 공급하고;
(b) 이 용액을 pH 약 1.5 내지 약 3에서 사이클로헥사논과 접촉시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사이클로헥사논 용매층으로 추출 시키고;
(c) 이 사이클로헥사논 용매층을 물층과 분리한 후에;
(d) 이 사이클로헥사논층을 pH 약 5 내지 약 7.5에서 물과 접촉시키고;
(e) 바람직한 범위로 농측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용액을 함유한 물층을 분리한다.
본 발명은 발효 수용액(aqueous fermentation broths)으로부터 3-하이드록시 메틸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농축 수용액을 얻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효 수용액으로부터 소정의 3-하이드록시메릴세팔로스포린 중간체의 사이클로헥사논 추출 후에, 수용액으로 역추출(back-extraction)하여, 바람직한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 중간체의 농축 수용액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껏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C로부터 7-ACA를 제조하는 효소 공정을 상용화 단위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건이 되는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의 7-글루타릴 ACA로의 아세틸화 반응 단계, 즉 아세트산 무수물에 의한 수용성 아세틸화 반응에서의 경제성 있는 수율이 요구된다. 이 단계에서의 경제성 있는 수율은 고농도(≥10% 중량/부피)의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출발 물질의 수용액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하지만, 이 물질이 발효액으로부터 얻어지는 경우, 발효액 내에 ∼1-3% 정도의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7-ACA 제조용 화학적 합성 방법과 경쟁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발효액으로부터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추출한 후에, 아세틸화 반응을 위해 이를 농축시킬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공지된 중간체, 세팔로스포린 D를 이용하여 전형적인 화학 합성 경로에 의해 7-ACA를 제조함에 있어서도, 발효 과정 중에 생성된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C를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로 전환시킨 후에, 아세트산 무수물에 의한 수용성 아세틸화 반응이 세팔로스포린 D 생성물을 고농도로 제공하게 될 수 있도록 발효액으로부터 이 물질을 고농도로 추출함으로써, 큰 농도의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C 발효에서의 최근 개선점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례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출발물질로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함유하는 가공 처리된 발효액을 사용한다. 본문에서 "가공 처리된 발효액"이라 함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424,19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효소 공정에 의해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을 함유하는 발효액으로 변환되거나, 이소부틸클로로포메이트에 의한 아실화 반응에 의해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함유하는 발효액으로 화학적 변환된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C 발효액을 의미한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는 이 가공 처리된 발효액내에 반드시 회수 가능한 양으로 존재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약1-3%(중량/부피) 정도의 매우 작은 농도로 존재한다. 이 가공 처리된 발효액은 직접 사용하거나, pH 조정과 같은 정제 및 여과 공정 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가공 처리된 발효액은 하나 이상의 수지 컬럼에 의한 처리로 추가 정제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이렇게 처리된 수용액을 "수지 용리액(resin eluate)"이라 하기도 한다.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가공 처리된 발효액은 추출 용매로서의 사이클로헥사논과 접촉시켜, 교반이나 그 외의 방법으로 발효액과 격렬하게 혼합하여 두 가지 용매층을 생성시킨다. 이 사이클로헥사논에 의한 추출 동안, 또는 그 이전에 이 용액 또는 혼합물을 황산, 질산 또는 염산과 같은 무기산으로 pH 약 1.5 내지 약 3, 바람직하게는 약 2로 조정한다. 사이클로헥사논 추출 단계에 대한 온도는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긴 하지만, 약 0 ℃에서 실온 정도까지의 범위에서의 온도로 추출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5-10 ℃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추출 후에, 수용액은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의 추가량을 얻을 수 있도록 사이클로헥사논으로 재차 추출하여, 사이클로헥사논층을 합칠 수도 있다. 사이클로헥사논 추출을 통해, 발효액으로부터 높은 퍼센트, 일반적으로 90% 이상으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수포린 D를 추출할 수 있다.
7-글루타릴 ACA 또는 세팔로스포린 D를 제조하는 아세틸화 단계는 수용액 조건 하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A를 함유하는 사이클로헥사논층을 물로 역추출하여 바람직한 범위로 농축된 수용액을 얻어야만 한다. 사이클로헥사논층을 물층과 분리한 후에, 약 5 내지 7.5 정도의 pH 범위에서 물과 접촉시켜 두 가지 용매층을 다시 생성시키는데, 이때에는 물층에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이 포함된다. 용매층을 분리하여 목적하는 수용액을 얻는다. 이 단계에서 pH를 조정하는 데 사용하는 염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세트산나트륨이나 아세트산칼륨과 같은 아세트산 완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추출 단계에서의 온도는 사이클로헥사논 추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물에 의한 역추출을 통해, 높은 퍼센트, 다시 약 90% 이상으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물층에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10% 이상 농도의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수용액이 제공된다. 10-20% 중량/부피 정도 범위의 농도가 달성될 수 있는데, 15% 농도가 용이하게 얻어지며, 후속 아세틸화 단계에서 바람직하다. 추출 및 그 후의 역추출 공정의 조합을 통해,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농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 공정의 염들을 제거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클로헥사논은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및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와 같은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의 추출용으로 우수한 용매임을 알 수 있다. 발효액으로부터 N-블록킹된 세팔로스포린 C와 같은 그 외의 세팔로스포린 중간체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유기 용매는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에 유용하지 않다. 이에 대한 예시로, 다음 표 1a 및 1b에 다양한 산업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및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의 퍼센트를 나타내였다.
비록 데스아세틸세팔로스포린 D의 경우에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리 첨가된 n-부틸아세테이트로도 추출이 잘되긴 하였지만, 사이클로헥사논이 가장 우수한 추출 용매임이 명백하다. 에틸아세테이트가 에탄올과 아세트산으로 쉽게 가수분해되기 때문에 에틸아세테이트에 대한 용매 회수율은 그리 좋지 않을 것이라 추정된다. 역추출에서 부탄올과 같은 알콜의 존재는 후속 아세틸화 단계에서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체 추출/역추출 공정에 따르면, 10 배 이상으로 농축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또는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생성된 고농도 수용액은 추가 공정이 필요 없이도 수용성 아세틸화 반응 공정에 적합하다.
다음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한다.
실시예 1
2.7%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수용액(1180 mL)와 사이클로헥사논(1180 mL)를 교반시키고, 6 N HC1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pH를 2.0으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분별 깔대기(separatory funnel)에 옮겨 담아 추출을 수행하였다. 각 층을 분리하여 사이클로헥사논층을 얻었다. 물층은 새 사이클로헥사논(2×100O mL)으로 추출하였다. 모두 합친 사이클론헥사논층(3220 mL)을 측정하여 0.928% 용액을 얻었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는 92% 수율(efficiency)로 추출되었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함유하는(0.928%) 사이클로헥사논 추출물(3215 mL)는 4.0 M 아세트산나트륨(NaOAc, 90.0 mL)로 역추출하였다. 혼합물의 초기 pH는 2.4에서 5.87로 상승하였다. 각 층을 분리하고 18.1% 농도의 물층(151.5 mL)을 얻었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의 역추출은 92% 수율로 달성되었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추출의 전체 수율은 84%이였다.
실시예 2
2.48%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수용액(910 mL)와 사이클로헥사논(910 mL)를 교반시키고, 6 N HC1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pH를 7.2에서 2.0으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분별 깔대기에 옮겨 담아 추출하였다. 각 층을 분리하여 사이클로헥사논층을 얻었다. 물층은 새 사이클로헥사논(2×91O mL)으로 추출하였다. 모두 합친 사이클론헥사논층(2825 mL)을 측정하여 O.77% 용액을 얻었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는 96% 수율로 추출되었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함유하는(0.77%) 사이클로헥사논 추출물(2822 mL)는 4.8 M 아세트산칼륨(KOAc, 60.0 mL)로 역추출하였다. 혼합물의 초기 pH는 pH 2.5에서 pH 6.45로 상승하였다. 각 층을 분리하고 14.1% 농도의 물층(122.5 mL, 79%)을 얻었다. 1.0 M KOAc(2×7.0 mL)로 역추출하여 모두 합친 배합 수용액층(18.2 mL, 7.6%)를 얻었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의 역추출은 87.6% 수율로 달성되었다.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추출의 전체 수율은 84%이였다.
실시예 3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용액을 함유하는 산화된 UF(Ultrafilter: 한외여과) 삼투액을 이용한 실험실 단위:
DeLaval 분리기를 사용하여,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2.41%)를 함유하는 여과된 발효액(10.19 L)은 pH 2.O에서 사이클로헥사논(10.19 L)으로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은 1.9 L 단위로 수행하였다. 새 삼투액(permeate)은 이전 추출 공정으로부터의 다량의 사이클로헥사논으로, 연속 추출 공정처럼 추출하였다. 최종 용액(1.18%)으로부터 다량의 사이클로헥사논 부분(3830 mL) 4.0 M NaOAc(150 mL)으로 역추출하여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수용액(250 mL, 16.3%)을 얻었다. 역추출은 90% 수율이였다.
실시예 4
A. 분별 깔대기 추출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용액(16.88 g, 37.76 mmol, 1.9 L)을 사이클로헥사논(945 mL)과 함께 교반시켰다(5。C). 이 용액을 염산(6 N , 86.0 mL)으로 pH를 7.18에서 2.27로 조정하였다. 두 층의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시켜, pH가 2.18이 됨을 관찰하였다. 이 혼합물을 분별 깔대기에 옮겨 담아, 각 층을 분리하였다. 소량의 백색 에멀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사이클로헥사논층(750 mL)과 물층(2195 mL)을 HPLC 분석용으로 샘플링하였다. 사이클로헥사논 내의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18.5 g/L)은 77.5% 수율로 얻었다. 수용액에 나머지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0.76 g/L, 9.4%)가 함유되었다. 물질 합계는 86.9%이였다.
B. DeLaval 분리기에 의한 추출
취급이 용이하도록,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용액(4.025 L)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의 용액(17.36 g, 36.66 mmo1, 2.0 L)을 사이클로헥사논(1.0 L)과 함께 교반시켰다(5 ℃). 이 용액을 염산으로(6N, 78.0 mL) pH 7.7에서 pH 2.5로 조정하였다. 두 층의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의 용액(17.58 g, 37.13 mmol, 2.025 L)을 사이클로헥사논(1.0 L)과 함께 교반시켰다(5。C). 이 용액을 염산으로(6 N, 90.0 mL) pH 7.86에서 pH 2.57로 조정하였다. 두 층의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시켰다. 두 혼합물들 모두를 Deval 분리기(Seperator) 옮겨 담고 유기층과 물층을 분리하였다. 소량의 백색 고체가 사이클로헥사논층에 존재하였다. 사이클로헥사논층(171O mL) 및 물층(4020 mL)를 HPLC 분석용으로 샘플링하였다. 사이클로헥사논내의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17.92 g/L)은 87.7% 수율로 얻었다. 수용액에 나머지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0.86 g/L, 9.9%)가 함유되었다. 물질 합계는 97.6%이였다.
C. 물로의 역추출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의 사이클로헥사논 용액(13.86 g, 29.27 mmol, 750 mL)을 아세트산나트륨(2.0 M, 124 mL)와 함께 교반시켰다(10 ℃). 이 용액을 교반시키고, pH를 pH 2.13에서 pH5.77로 상승시켰다(35 분). 용액을 분별 깔대기에 옮겨 담아 분리하였다. 물층(1705 mL)과 사이클로헥사논층(690 mL)를 HPLC 분석용으로 샘플링하였다. 수용성 완충 용액내의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75.4 g/L)를 92.5% 수율로 얻었다. 사이클로헥사논 용액에 나머지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0.46 g/L, 2.3%)가 함유되었다. 물질 합계는 94.8%이였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누락

Claims (6)

  1.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저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부터 고농도(≥10% 중량/부피)의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제조하는방법:
    (a)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공급하고;
    (b) 이 용액을 pH 약 1.5 내지 3 정도에서 사이클로헥사논과 접촉시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를 사이클로헥사논 용매층으로 추출하고;
    (c) 이 사이클로헥사논 용매층을 물층과 분리하고;
    (d) 이 사이클로헥사논층을 pH 약 5 내지 7.5에서 물과 접촉시키고;
    (e) 목적하는 범위로 농축된 데스아세틸 7-글루타릴 ACA 용액을 함유하는 물층을 분리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용액으로서 가공 처리된 발효액을 사용하는 방법.
  3.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아세트산 완충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저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부터 고농도(≥1O% 중량/부피)의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제조하는방법:
    (a)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공급하고;
    (b) 이 용액을 pH 약 1.5 내지 3 정도에서 사이클로헥사논과 접촉시켜, 데스아세틸세팔로스포린 D를 사이클로헥사논 용매층으로 추출하고;
    (c) 이 사이클로헥사논 용매층을 물층과 분리하고;
    (d) 이 사이클로헥사논층을 pH 약 5 내지 7.5에서 물과 접촉시키고;
    (e) 목적하는 범위로 농축된 데스아세틸 세팔로스포린 D 용액을 함유하는 물층을 분리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용액으로서 가공 처리된 발효액을 사용하는 방법.
  6. 제 4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아세트산 완충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19997000810A 1996-07-29 1997-07-18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의용매추출법 KR200000297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37296P 1996-07-29 1996-07-29
US60/022,372 1996-07-29
US3021496P 1996-11-05 1996-11-05
US60/030,214 1996-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709A true KR20000029709A (ko) 2000-05-25

Family

ID=2669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810A KR20000029709A (ko) 1996-07-29 1997-07-18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의용매추출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01241A (ko)
EP (1) EP0918778A4 (ko)
JP (1) JP2001500114A (ko)
KR (1) KR20000029709A (ko)
CN (1) CN1065865C (ko)
AU (2) AU3661597A (ko)
HU (1) HUP9904328A3 (ko)
WO (2) WO1998004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26954T1 (de) * 1998-03-27 2002-11-15 Dsm Nv Verfahren zur fermentativen herstellung von cephalosporin
IT1312567B1 (it) * 1999-05-21 2002-04-22 Antibioticos Spa Processo per la sintesi di derivati beta-lattamici.
GB0016336D0 (en) * 2000-07-03 2000-08-23 Zeneca Ltd Chemical process
GB0016338D0 (en) * 2000-07-03 2000-08-23 Zeneca Ltd Chemical process
AU2003303657A1 (en) * 2003-01-06 2004-07-29 Lupin Limited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efpodoxime proxetil
CN103421025B (zh) * 2012-05-21 2016-05-11 上海医药工业研究院 制备7α-甲氧基头孢菌素C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3296A (en) * 1968-07-01 1971-03-30 Bristol Myers C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7-aminocephalosporanic acid
BE791288A (fr) * 1971-11-15 1973-05-14 Lilly Co Eli Recuperation de la cephalosporine c
US3830809A (en) * 1972-08-25 1974-08-20 Bristol Myers Co Bis-dicyclohexylamine n-carbisobutoxycephalosporin c
US3980644A (en) * 1973-04-23 1976-09-14 Eli Lilly And Company Pentavalent phosphorus amides of cephalosporins and separation process using same
GB1489231A (en) * 1974-02-20 1977-10-19 Alfa Farmaceutici Spa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ephalosporin c and derivatives thereof
US3986644A (en) * 1975-05-21 1976-10-19 Diamond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pensing pump
FR2461753A1 (fr) * 1979-07-19 1981-02-06 Glaxo Group Ltd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ephalosporine par fermentation et micro-organisme destine a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908444A (en) * 1986-01-23 1990-03-1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of producing cephem compounds
IT1252308B (it) * 1990-12-21 1995-06-08 Antibioticos Spa Procedimento enzimatico per la produzione di acido 7- amminocefalosporanico e derivati
US5221739A (en) * 1992-01-09 1993-06-22 Eli Lilly And Company Acetylation of 3-hydroxymethyl cephalospor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661597A (en) 1998-02-20
WO1998004565A1 (en) 1998-02-05
JP2001500114A (ja) 2001-01-09
EP0918778A1 (en) 1999-06-02
CN1226250A (zh) 1999-08-18
US5801241A (en) 1998-09-01
EP0918778A4 (en) 2000-08-09
AU3671397A (en) 1998-02-20
HUP9904328A3 (en) 2001-07-30
CN1065865C (zh) 2001-05-16
HUP9904328A2 (hu) 2000-06-28
WO1998004564A1 (en) 199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43834B (no) Gassfilterelement.
JP5184465B2 (ja) クラブラン酸カリウムの製造方法
JP2873143B2 (ja) 新規なアルキレンジアンモニウム ジクラブラネート誘導体、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CZ54495A3 (en) Process for preparing and/or purification of clavulanic acid
RU2206613C2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клавулановой кислоты
EP0005614B1 (en) Lithium pseudomonate, process for its isolation and its hydrolysis
KR20000029709A (ko) 3-하이드록시메틸세팔로스포린의용매추출법
HUT66020A (en) Medhod for the purification of crude clavulanic acid
SI9500134A1 (en) Preparation procedure of pure alkali salts of clavulanic acid
SI9500074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lkani salts of clavulanic acid.
EP0941229B1 (en) Purification of fermented clavulanic acid
RU2696099C1 (ru) Хемоэнзиматический синтез производных 2,5-дикетоморфолина
JP2002509933A (ja) セファロスポリンの発酵製造の新規な方法
ITMI991120A1 (it) Processo per la sintesi di derivati beta-lattamici
JP2001521393A (ja) クラブラン酸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アルカリ金属塩の単離方法
JP3883525B2 (ja) プラバスタチンナトリウムの精製方法
RU216650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го раствора дезацетил-7-глутариламиноцефалоспориновой кислоты
JPH0751090A (ja) 光学活性3−アミノブタン酸の製造法及びそのエステル中間体
EP1020471A1 (en) Process for producing UCN-01
US4204058A (en) Process for obtaining cephalosporin C and the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from culture filtrates or culture solutions
JP3888402B2 (ja) 光学活性N−カルボベンゾキシ−tert−ロイシンの製造法
RU264467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3,3',3'',3'''-(3,8,13,17-тетраметилпорфирин-2,7,12,18-тетраил) тетрапропионовой кислоты (копропорфирина)
US20010029038A1 (en) Purification of fermented clavulanic acid
JPH10507932A (ja) 3,3−ジエチル−4−[(4−カルボキシ)フェノキシ]−2−アゼチジノンエステルの酵素加水分解
EP0072090B1 (en) Process for purifying cephalosporin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