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150A - 광학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증대한 광주사 장치, 코드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증대한 광주사 장치, 코드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150A
KR20000029150A KR1019990045076A KR19990045076A KR20000029150A KR 20000029150 A KR20000029150 A KR 20000029150A KR 1019990045076 A KR1019990045076 A KR 1019990045076A KR 19990045076 A KR19990045076 A KR 19990045076A KR 20000029150 A KR20000029150 A KR 20000029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light
pattern
mirror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604B1 (ko
Inventor
오오까와마사노리
이찌까와도시유끼
와따누끼히로시
야마자끼고조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2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er having more than one scanning window, e.g. two substantially orthogonally placed scanning windows for integration into a check-out counter of a super-mar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554Moving beam scanning
    • G06K7/10564Light sources
    • G06K7/10574Multipl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554Moving beam scanning
    • G06K7/10594Beam path
    • G06K7/10603Basic scanning using moving elements
    • G06K7/10613Basic scanning using moving elements by rotation, e.g. polygon
    • G06K7/1062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 판독 장치 등에 사용되며, 특히 두께를 저감하여 보다 완전한 360。 판독을 실현할 수 있는 멀티 헤드 광주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주사 장치는 저부, 저부에 거의 수직한 측부, 광원, 다각형 미러, 측부의 본체 내에 수용되는 광검지 장치를 포함한다. 광원으로부터 광선을 저부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출사하도록 하고, 또 다각형 미러는 저부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위치에 회전축을 갖는다. 광주사 장치는 저부 내에서 주사를 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각 패턴 미러의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또한 저부로부터 출사한 주사 패턴을 사용하여 판독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주사 패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증대한 광주사 장치, 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장치{OPTICAL SCANNER, CODE READER AND BAR CODE READER HAVING INCREASED DEGREE OF FREEDOM IN PLACEMENT OF OPTICAL PARTS}
본 발명은 바코드 판독 장치 등에 사용되는 광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코드 판독 장치에 사용되며 광학 부품의 위치 크기를 줄이고 코드 독출을 개선하는 멀티 헤드 광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상품 등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정산 작업을 하기 위해 POS(Point-of-sale) 시스템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POS 시스템에서는 상품을 주사하는 것에 의해 바코드 정보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정산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정산 작업의 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다. POS 시스템에서는 특히, 카운터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소위 정치식 스캐너가 주류로 되어 있다.
종래의 장치는 단일의 판독창을 구비하고, 여기에서 바코드를 주사하기 위한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형태의 장치가 보편적이었다. 종래의 판독창은 카운터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형태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방향(즉, 바코드의 방향)이 한정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판독창으로 바코드를 향하게 하여야 되므로, 오퍼레이터의 작업상의 부하가 문제로 되어 있었다.
그러한 오퍼레이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소위 멀티 헤드 스캐너가 제안되어, 점차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공지된 멀티 헤드 스캐너는 카운터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창(저부창)과 카운터 면에 대하여 직립하는 창(측부창)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멀티 헤드 스캐너는 그러나 하기의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첫째로,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 장치의 저부의 두께가 두꺼운 문제가 있었다. 유럽에서는 정산 작업을 하는 오퍼레이터가 앉아서 작업을 할 것이 법령상 의무로 되어 있다. 한편, 스캐너는 카운터 면에 매설되며 설치되기 때문에, 스캐너가 두꺼우면 카운터 밑면에서 스캐너가 밀려나올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의 무릎을 카운터 밑면에 넣을 수 없게 되기도 하고, 주사면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바코드 판독의 조작성이 나빠지는 등, 오퍼레이터의 부담이 커진다. 그러나, 오퍼레이터가 서서 바코드 판독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스캐너의 밑면에 현금을 수용하는 서랍을 배치하는 구성이 채용되는 카운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스캐너가 두꺼우면 오퍼레이터로부터 서랍까지의 거리가 길게 되어, 오퍼레이터에 의한 현금 출납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이용자로부터는 90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는 어느 것이나 100mm 이상의 두께로 되어 있어, 이용자의 요망에 응할 수 없었다. 또, 실제의 장치 운용상, 이 10mm 정도의 두께 차는 대단히 큰 것이다.
둘째로,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는 완전한 360。 판독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멀티 헤드 스캐너는 모든 방향으로 바코드를 향하더라도 바코드 판독이 가능한 것을 최대의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것은 저부와 측부로부터 각각 주사 패턴이 출사되기 때문에, 가령 바코드가 판독창 측을 향하지 않아도, 스캐너가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에서는 바코드와 카운터 면과의 사이의 경사와, 완전한 360。판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바코드를 읽을 수 없는 상황이 생겨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바코드가 카운터 면에 대하여 평행한 경우에는 판독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카운터 면에 대하여 수직인 경우에는 판독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에는 완전한 360。판독을 실현할 수 없다.
셋째로,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에 의하면, 단일의 광선에 의해 멀티 주사 패턴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말하는 멀티 주사 패턴이란, 저부에서 출사되는 주사 패턴과, 측부에서 출사되는 주사 패턴을 총칭한 것이다.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에서는, 예컨대 광원을 복수 구비하고, 각각의 광원으로부터 광선을 다각형 미러 등의 주사 기기에 입사하는 구성을 채용하거나, 단일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빔 분리기에 의해 분할하여, 각각의 광선을 다른 방향으로부터 주사 기기에 입사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주사 기기에 입사하는 광선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검지 장치라든지, 이 반사광을 광검지 장치에 입사시키기 위한 집광 기기를 광선의 수만큼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스캐너의 크기와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저부의 두께를 절감하는 광 주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부의 두께를 90mm 이하로 실현하는 광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완벽에 가까운 360。 판독을 보증하는 멀티 헤드 스캐너 등의 광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사 기기에 입사하는 광선을 단일로 하고, 또한 멀티 주사 패턴을 발생할 수 있는 광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상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정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저부 패턴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측부 패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 BMR, BML, BVR, BVL의 분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 BCR, BCL, BOR, BOL의 분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측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 SVR, SVL의 분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측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 SHTR, SHTL, SHDR SHTL의 분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고, 특정 패턴 미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정면도이고, 특정 패턴 미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상면도이고, 특정 패턴 미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상면도이고, 특정 패턴 미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가 저부창에 대하여 수직인 경우의 판독을 설명하는 도면.
도14a∼14d는 도13에 도시된 판독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행할 경우 바코드와 바코드를 주사하는 주사 패턴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가 저부창에 대하여 평행한 경우의 판독을 설명하는 도면.
도16a∼16d는 도15에 도시된 판독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행할 경우 별로 설명하는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측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상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정면도.
도20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저부 패턴도.
도2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측부 패턴도.
도21은 도20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 BMR, BML, BVR 및 BVL의 분해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 BCR, BCL, BOR 및 BOL의 분해도.
도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측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 SVL 및 SVR의 분해도.
도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측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 SHTL, SHTR, SHDR 및 SHDL의 분해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특정 패턴 미러의 배치를 도시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측면도.
도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특정 패턴 미러의 배치를 도시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상면도.
도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다각형 미러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광선이 입사되는 구성을 도시한 바코드 판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제 1 주사 패턴을 출사하고, 상기 수평면에 직립하는 면으로부터 측방으로 향하여 제 2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광주사 장치에 있어서,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선을 주사하는 회전축을 갖는 주사 기기와, 주사 기기를 구동하는 구동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 기기의 회전축은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거의 수평 방향이 되도록 상기 주사 기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주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주사 패턴이 출사하는 면이 수평면에 수직하지 않아야 되고, 수평면과 수직하는 각과 수평면과 수직하는 면이 본질적으로 90。일 필요는 없다. 제 2 주사 패턴이 출사하는 면과 수평면이 90。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광원은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카운터 면에 매설되며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할 제 1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저부와, 상기 저부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설치되며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할 제 1 주사 패턴과 상이한 제 2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측부와, 코드 판독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음을 발하도록 상기 측부의 상부 중앙에, 또한 이용자에게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드 판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카운터 면에 매설되며 코드를 광학 적으로 판독하는 제 1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저부와, 상기 저부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설치되어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할 제 1 주사 패턴과 상이한 제 2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측부와, 상기 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측부의 배면 벽면의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드 판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광 기기의 수광면은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와,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 기기에 의해 생성된 주사광선을 반사하여 주사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선을 생성하는 주사 패턴 미러와, 상기 주사선이 출사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선은 복수의 미러에 의해 반사된 뒤, 상기 개구로부터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주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와,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 기기에 의해 생성된 주사광선을 반사하여 주사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선을 생성하는 주사 패턴 미러와, 상기 주사선이 출사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 패턴 미러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미러 중 적어도 1개의 미러의 제 1 방향으로 제1 입사 주사면이 주사되며, 상기 주사 패턴 미러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미러 중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 주사광의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제 2 입사 주사광이 주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주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와, 상기 주사 기기에 의해 생성된 주사광선을 반사하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는 패턴 미러와, 상기 패턴 미러에 의해 반사된 주사광이 출사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 밖의 제 1 가상면 상에 제 1 주사광이 주사되고, 상기 가상면의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 주사광이 주사되고, 상기 제 1 주사광과 상기 제 2 주사광은 상기 패턴 미러를 구성하는 복수의 미러 중 적어도 2개의 공통 미러에 의해 동시에 반사된 뒤, 상기 개구로부터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 스캐너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카운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면을 갖는 저부 본체와, 상기 제 1 면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면을 갖는 측부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로의 설치 시에, 카운터 면 밑에 위치하는 상기 저부 본체의 두께가 90mm 이하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카운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면을 갖는 저부 본체와, 상기 제 1 면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면을 갖는 측부 단체와,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와,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기기와, 상기 측부 본체 내의 상기 수광 기기에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는 집광 기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사 기기는 상기 바코드 판독 장치가 설치되는 카운터의 카운터 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제1 주사 패턴을 출사하고, 수평면에 대하여 직립하는 면으로부터 측방을 향하여 제2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광 스캐너에 있어서,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주사 기기와, 상기 주사 기기를 구동하는 구동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 기기가 하방을 향하여 광선을 반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캐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광 스캐너는 주사 기기의 반사면이 하방을 향하여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주사 기기를 구비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주사광을 출사하여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한 뒤,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주사되는 제1 주사광과, 제1 주사광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사되는 제2 주사광선을 구비하며, 상기 양 주사광은 동일 광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판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장점은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이하 간단히 장치라 칭한다)는 정산 카운터 내에 매립되는 소위 멀티 헤드 스캐너가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 헤드 스캐너는 현재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장치의 외관은 도시하지 않는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는 정산 카운터(2)면(상품 활주면)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되는 저부창(3)과, 정산 카운터(2)면에 대하여 직립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측부창(14)을 구비한다. 각각의 창(3,14)으로부터는 복수 본의 주사선으로 구성되는 주사 패턴이 출사되어, 바코드의 판독이 행하여진다. 또한, 저부창(3)이 설치된 바코드 판독 장치의 전체를 이후 "저부"(1), 측부창(14)이 설치된 바코드 판독 장치의 전체를 이후 "측부"(4)로 칭한다.
정산 카운터(2)면 상에서 상품을 활주시켜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저부창(3)이 설치된 장치의 면을 정산 카운터(2)면과 동일 면이 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측부창(14)은 바코드 판독을 실행하는 오퍼레이터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것은 종래부터 존재하는 멀티 헤드 스캐너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1∼도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1은 측면도를, 도2는 평면도를, 도3은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3a는 측부창(14)의 연장 선상 부근의 정면 단면도, 도3b는 장치 선단의 정면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1∼도3에 도시된 장치는 크게 나눠 카운터(2)면 아래에 매설되는 저부(1)와, 카운터(2)면에 대하여 직립하는 측부(4)로 구성되어 있다. 저부(1)는 카운터(2)면과 동일 면에 저부창(3)이 설치된다. 저부창(3)의 레벨은 카운터(2)면에서 상품을 미끄러뜨려 판독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카운터(2)면과 저부(1)면 간에 단차가 있으면, 이 부분에서 상품이 걸려, 판독 작업의 조작성이 나빠지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품이 파손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상품을 카운터(2)면을 가로질러 미끄러뜨려 이동시키기 때문에, 카운터(2)면을 "상품 활주면"이라고 한다. 또, 도1의 예에서는, 저부(1)의 길이가 비교적 길게, 측부(4)의 길이는 비교적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는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원(5), 광원(5)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의 일종인 다각형 미러(6),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주사된 광선을 적당히 반사하여 주사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선을 생성하는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7개의 미러로 된 패턴 미러,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광량에 따라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지 장치(8), 광검지 장치(8)로부터 출력된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이치화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할 때까지의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9)(이하 "A/D 회로" 또는 간단히 "기판"이라함), A/D 회로(9)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서 바코드를 복조하는 디코더 등이 구비된 메인 프린트 기판(10)(메인 PCB) 등을 구비한다. 광검지 장치(8)에 입사하는 반사광은 오목 미러(11)에 의해 집광·반사된다.
도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5)으로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원(5)으로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선을 정형하는 레이저 빔 정형 수단인 콜리메이터 렌즈(도시 안됨) 및 개구(도시 안됨)와, 레이저 광원(5)을 구동하는 드라이브 회로로 된 레이저 광원 유니트가 바람직하다. 레이저광 정형 수단 과 드라이브 회로는 일체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5)은 도1에 나타낸 장치의 좌측 하부, 요컨대 측부(4)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단다. 레이저광은 장치 하부의 광원(5)에서 상방을 향하여 출사된다. 도1의 예에서는 광원(5)으로부터 거의 수직 상방을 향하여 레이저광이 출사된다. 그러나, 이 레이저광의 출사 방향(즉, 출사 각도)은 장치의 설계 등의 사정에 의해서 기울어 있어도 상관없다.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에서는 카운터로의 설치를 본 실시예와 동일하게 한 경우, 광선을 분할하지 않고, 상방으로 광을 출사하는 구성은 채용하지 않았다.
광원(5)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은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각형 미러(6)는 측부(4) 본체의 상부 중앙 부근에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다각형 미러(6)는 4면의 반사면을 구비한다. 또한, 이들 4면의 반사면은 약간씩 그 경사가 다르다. 이와 같이 각 반사면의 경사가 다르기 때문에, 다각형 미러(6)는 4본의 평행한 주사선을 생성할 수 있다.
다각형 미러(6)는 모터(12)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입사하는 레이저광선을 주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각형 미러(6)의 기부는 성형 수지로 제조되고 그 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각형 미러(6)의 구멍내에는 미러(12)의 회전축(12a)이 삽입되어 있다. 다각형 미러(6)는 실질적으로는 상품 활주면과 동일한 저부창(3)과 거의 평행한 위치에 설치된 회전축(6a)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축(6a)은 수평에 대해 대략 5。에 저부창(3)에 인접한 회전축(6a)의 쪽이 하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다각형 미러(6) 회전축(6a)의 경사는 적당한 설계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다각형 미러(6)는 장치의 하방에서 레이저광이 입사하여, 하방으로 향하여 주사선을 반사·출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다각형 미러(6)의 반사면은 하방을 향한다고 말할 수가 있다. 상방을 향한 반사면도 있지만, 레이저광이 모든 반사면으로 한번에 입사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반사면은 입사 레이저광선을 반사시키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유효하게 작용하는 반사면만을 생각하면, 반사면이 하방을 향한다라고 생각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다각형 미러 대신 진동 미러를 사용하여 레이저광선을 반사시킬 수도 있음을 주지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와 비교하여, 하기의 점이 특히 다르다.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에서는 다각형 미러의 회전축이 저부창(3)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기본적으로 종래의 다각형 미러는 저부 본체 내, 또는 측부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특히 종래의 광 스캐너의 저부 내의 광학 부품 등의 배치의 자유도가 낮았다. 또한,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에서는 다각형 미러라든지 광원의 배치 위치의 형편상 또는 레이저광의 광로의 형편상, 특별히 저부의 패턴 미러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광원(5) 및 주사 기기의 어느 것도 저부 본체(1) 내에 설치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특히 저부(1) 본체 내의 기타 광학 부재, 구체적으로는 패턴 미러의 배치의 자유도가 넓어진다.
여기서,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은 발산광이다. 또한, 바코드의 판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패턴 미러는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광검지 장치(8)에 입사시키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의 이유에 의해 패턴 미러를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이러한 요망에 응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검지 장치(8)는 A/D 회로(9)를 탑재하는 기판에 일체적으로 부착 되어 있다. 이 기판은 측부(4) 본체의 배면 부근에, 그 벽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는 위치에 부착 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검지 장치(8)의 수광면은 도시 하측을 향한다. 광검지 장치(8)의 수광면에는 오목 미러(11)에 의해 집광된 광이 입사한다.
오목 미러(11)는 신호광 집광 기기로서, 광원(5)으로부터 다각형 미러(6)에 이르는 광로 중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 미러(11)의 반사면은 광검지 장치(8)로 향하고 있고, 다각형 미러(6)를 개재하여 입사하는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신호광)을 광검지 장치(8)로 향하여 집광 반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오목 미러(11)의 중앙 부분에는 광원(5)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선을 다각형 미러(6)에 입사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PCB(10)는 측부(4) 본체 하부의 저면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PCB(10)에는 디코딩 장치(도시 안됨), 디코드된 신호를 POS 단말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패이스 콘넥터(13), AC 어댑터(도시 안됨) 등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장치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 장치(도시 안됨) 등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광원(5)의 점등, 다각형 미러(6)/모터(12)의 구동, A/D 회로(9)의 동작 등은 메인 PCB(10)에 의해 제어된다.
광원(5)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선은 콜리메이터 렌즈 및 개구에 의해서 바코드를 판독하는 데 필요한 분해능을 갖도록 정형되어 다각형 미러(6)로 향하여 출사된 다음, 오목 미러(11)의 중앙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서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한다.
전술과 같이, 다각형 미러(6)의 4면의 반사면은 각각의 경사가 다르기 때문에, 다각형 미러(6)에 의해서 4본의 평행한 주사선이 생성된다.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생성된 주사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향하여 출사된다.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생성된 주사선은 저부(1) 및 측부(4)에 설치된 주사선 분할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패턴 미러에 의해 적당히 분할 반사되어, 저부창(3), 측부창(14)으로부터 주사 패턴으로서 출사된다. 주사 패턴은 각각 복수의 다른 방향으로 주사되는 복수의 주사선에 의해 구성된다. 각각의 주사선의 주사 방향과 각도는 패턴 미러의 경사 등에 의해 결정된다.
도4a∼도8은 저부창(3)에서 출사되는 주사 패턴(저부 패턴)과, 측부창(4)에서 출사되는 주사 패턴(측부 패턴)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4a는 저부 패턴을, 도4b는 측부 패턴(b)을 창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4a 및 4b에서, 주사 패턴을 둘러싸는 4각의 부분은 창틀이다. 또한 도5 및 도6은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을, 도7 및 도8은 측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을 각각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4∼도8을 사용하여 저부 패턴 및 측부 패턴에 관해서 설명한다.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되는 주사 패턴(저부 패턴)은 하기의 8개의 주사 패턴 BMR, BML, BVR, BVL, BCR, BCL, BOR, BOL으로부터 구성된다. 또, 각 주사 패턴은 평행한 4본의 평행 주사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주사 패턴을 형성하는 선은 완전히 평행한 주사선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서는 평행한 것으로 간주하여도 지장이 없다.
도4a는 저부창(3) 에서의 저부 패턴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5 및 도6은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각 주사 패턴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5는 주사 패턴 BML, BMR, BVL, BVR을, 도6은 주사 패턴 BCL, BCR, BOL, BOR을 나타낸다. 또, 도4a 도시 상방은 측부창(14)에 가까운 쪽을 나타내고 있고, 도5 및 도6의 화살표는 각 주사 패턴의 대략의 출사 방향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5 및 도6에 나타낸 이들 패턴 중, BVR, BVL은 각각 저부창(3) 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주사된다. 기타 주사 패턴은 저부창(3) 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 방향으로 주사된다. 그러나, 주사 패턴의 주사 방향은 실제로는 완전한 수직/수평 방향이 아니고, 수직/수평에 대해 다소 간에 기울고 있지만, 이 들에 관해서도 수직/수평이라고 간주한다. 이 주사 패턴의 주사 방향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도6에 나타낸 주사 패턴 쌍을 BOR과 BOL을 대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의 쌍으로 되는 주사 패턴은 엄밀히는 완전한 좌우 대칭이 아니다. 특히 BOR과 BOL의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좌우의 주사 위치를 비켜놓아, 바코드의 판독(주사)의 확률을 높이도록 구성한다.
도4b, 도7 및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되는 주사 패턴(측부 패턴)은 하기의 6개의 주사 패턴 SVR, SVL, SHTR, SHTL, SHDR, SHDL로 구성된다. 이들의 6개 주사 패턴도 4본의 평행한 주사선으로 구성된다.
도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측부창(14) 면의 측부 패턴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7 및 도8은 측부 패턴을 구성하는 각 주사 패턴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의 주사 패턴과 같이, 도7 및 도8의 화살표는 각 주사 패턴의 출사 방향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들 6개의 주사 패턴 중, SVR, SVL은 저부창(3) 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주사된다. 기타 주사 패턴 SHTR, SHTL, SHDR 및 SHDL에 대해서는 저부창(3) 면에 대하여 거의 수평 방향으로 주사된다. 또한 도5 및 도6의 주사 방향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실제의 주사 패턴의 주사 방향은 도8에서와 같이 완전한 수직/수평 방향이 아니고, 수직/수평에 대해 다소 기울어 있어도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사 패턴은 수직/수평 방향으로 주사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하 저부 패턴(도4a)과 측부 패턴(도4b)을 구성하는 주사선의 출사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레이저광은 광원(5)으로부터 다각형 미러(6)로 향하여 출사되지만, 각 주사선 경로는 이 지점까지는 공통이다.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생성된 주사선은 계속해서, 하기의 순서 SVL1-SHR1-BMR1-BVR1-BZ1-BVL1-BML1-SHL1-SVRl로 패턴 미러를 주사한다. 또, 패턴 미러는 도4∼도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패턴 미러에 첨부된 부호 중, 선두의 문자는 저부 패턴/측부 패턴 중 어느 것에 대응한 것인가를 나타내고 있다. 선두에 B가 첨부된 패턴 미러는 저부 패턴에, S가 첨부된 패턴 미러는 측부 패턴에 각각 대응한다. 패턴 미러에 대해, 문자 V는 관련된 주사 패턴이 수직 방향으로 주사되는 것을 나타내고, 문자 H는 수평 방향으로, 문자 L은 스캐너의 좌측에서 출사되고, 문자 R은 스캐너의 우측에서 출사되고, 문자 T는 측부창의 상측부(상부)에서 출사되고, 문자 D는 측부창의 저부측(하부)에서 출사되는 것을 나타낸다. 문자 Z와 M은 특별한 의미가 없다.
이들의 패턴 미러는 어느 것이나 그 반사면이 다각형 미러(6) 측으로 향하고 있고, 대략 부채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부 패턴용의 패턴 미러는 저부(1)로 향하고, 측부 패턴용의 패턴 미러는 측부(4)로 향하여, 각각 다각형 미러(6)로부터 입사한 주사선을 반사한다.
저부 패턴을 생성하는 저부 패턴 미러는 장치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하의 미러 BZ1, BVR1, BVL1, BMR1, BML1, BMR2, BML2, BMR3, BML3, BMR4, BML4, BHR2, BHL2, BZ2, BZR3, BZL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미러는 장치의 중심선에 대하여 거의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중, BZ1, BVR1, BVL1, BMR1, BML1의 5매의 미러는 측부(4)의 밑에 배치되어 있고, 그 반사면은 저부(1)로 향한다. BZR3, BZL3, BMR4, BML4의 4개의 미러는 저부(1)의 저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BMR2, BML2, BMR3, BML3, BHR2, BHL2, BZ2의 7매의 미러는 그 반사면을 약간 하방으로 기울어, 저부의 측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BZR3과 BZL3은 그 외측 부분이 약간 상방을 향하여 기울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저부(1)의 밑면과 패턴 미러(예컨대 BZL3) 간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공간 부분에는 예컨대 케이블 등을 부설할 수 있다(도3에서 흑색 원부분이 케이블임). 이러한 경사는 BMR4, BML4에도 가해지고 있다.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선은 다각형 미러(6)에 의해 반사된 뒤, 이하의 경로를 거쳐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된다.
BMR : 다각형-BMR1-BMR2-BMR3-BMR4-저부창
BML : 다각형-BML1-BML2-BML3-BML4-저부창
BCR : 다각형-BZ1-BZ2-BZR3-저부창
BCL : 다각형-BZl-BZ2-BZL3-저부창
BOR : 다각형-BZ1-BHR2-BZR3-저부창
BOL : 다각형-BZ1-BHL2-BZL3-저부창
BVR : 다각형-BVRl-BHR2-BZR3-저부창
BVL : 다각형-BVL1-BHL2-BZL3-저부창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BCR(BCL)과 BOR(BOL)의 경로는 BZ1과 BZR3(BZL3)의 2개의 미러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이 사이의 BZ2와 BHR2(BHL2)의 부분만 경로가 다르다. 마찬가지로, BOR(BOL)과 BVR(BVL)의 경로에서는 BHR2(BHL2)과 BZR3(BZL3)의 2개의 패턴 미러가 공통화 되어 있고,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주사된 주사선이 처음에 입사하는 패턴 미러인 BZ1와 BVR1(BVL1)가 다르다.
이와 같이, 다른 주사선이 2개의 패턴 미러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으로 저부(1) 내에 수용해야 할 패턴 미러의 매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의 미러 매수가 감소하므로 동일 공간 내에 미러를 수용하는 것이면, 미러 1개당 면적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여,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의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경로 BOR(BOL)과 BVR(BVL)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은 서로 거의 직교한 주사 궤적을 그리지만,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술한 식으로 주사 궤적이 전혀 다른 주사선이 공통의 패턴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장치는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지 않다.
측부 패턴을 생성하는 측부 패턴 미러는 이하의 미러 SVR1, SVL1, SVR2, SVL2, SHR1, SHL1, SHTR2, SHTL2, SHTR3, SHTL3, SHDR2, SHDL2, SHDR3, SHDL3에 의해 구성된다.
측부 패턴을 생성하는 이들의 패턴 미러도, 저부 패턴 미러와 같이 장치의 중심선에 대하여 거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SHTR2, SHTL2, SHDR2, SHDL2의 4개의 패턴 미러는 측부(4) 본체의 상부에, 그 반사면을 밑으로 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측부 패턴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사 패턴은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주사된 뒤, 이하의 경로를 거쳐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된다.
SVR : 다각형-SVRl-SVR2-측부창
SVL : 다각형-SVL1-SVL2-측부창
SHTR : 다각형-SHR1-SHTR2-SHTR3-측부창
SHTL : 다각형-SHL1-SHTL2-SHTL3-측부창
SHDR : 다각형-SHRl-SHDR2-SHDR3-측부창
SHDL : 다각형-SHL1-SHDL2-SHDL3-측부창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SHTR(SHTL)과 SHDR(SHDL)은 SHR(SHL)을 공통 미러로서 사용하고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고, 특정한 패턴 미러만을 뽑아 내어 도시한 도면이다. 각 패턴 미러에 그려진 직선은 각 패턴 미러의 주사선의 주사 궤적을 도시한 것이고, 4본의 평행한 주사선 중 가장 외측의 2본의 주사선을 특별히 도시한 것이다. 또, 도면중 BML3에 그려진 2본의 주사선은 엄밀하게는 평행하지 않지만, 이러한 주사선에 관해서도 "평행"하다고 여기서는 간주한다. 도9에 도시된 패턴 미러 중, BHR2는 거의 수평 방향과 거의 수직 방향의 2종류의 주사선에 의해 주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정면도이고, 특정한 패턴 미러로서 측부(4) 본체 내에 수납된 패턴 미러만을 도시한 것이다. 또, SVL2와 쌍이 되는 SVR2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는다. 도10에 도시된 패턴 미러에서도, 주사선의 궤적이 실선으로 그려지고 있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상면도이다. 이 중, 도11은 반사면이 위를 향하고 있는 패턴 미러를, 도12는 반사면이 하방을 향하고 있는 패턴 미러를 각각 도시한다. 또, 이들의 도면에서도 일부의 패턴 미러는 구지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BZL3, BZR3은 총 3종류의 주사선에 의해 주사되고, 이들의 주사선은 직각으로 서로 교차한다. 또한, BML4, BMR4도, 3종류의 주사선에 의해 주사되고, 일부의 주사선은 서로 직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교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12에서는 반사면이 하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패턴 미러를 주사하는 주사선의 궤적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2에 도시되어 있는 패턴 미러중, BHR2, BHL2는 서로에 교차하는 2종류의 주사선에 의해 주사됨을 알 수 있다.
도13은 바코드가 저부창(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의 주사 패턴에 의한 주사 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바코드로 향하여 출사되고, 또한 저부창(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주사되는 주사 패턴 즉, 바코드의 방향과 거의 일치한 주사 패턴에 의해 바코드가 주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되는 SVR, SVL의 양패턴과, (2)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되는 BVR, BVL의 양패턴이다.
도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코드가 첨부된 상품이 측부창(14)을 향하여 장치의 오른쪽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4개의 경우, 즉 (1) 바코드가 거의 측부창(14) 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 (2) 바코드가 상품의 이동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3) 바코드가 상품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4) 바코드가 오퍼레이터 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측부창(14)에 대면하고 있지 않음)를 생각할 수 있다.
도14a∼도14d는 이들의 4개의 경우에 관해서, 바코드와 이것을 주사하는 주사 패턴과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14a는 바코드가 거의 측부창(14) 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바코드는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되는 SVR 패턴 및 SVL 패턴에 의해 주사되어 판독이 행하여진다.
도14b는 바코드가 상품 이동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바코드는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되는 SVR 패턴과,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되는 BVL 패턴에 의해 주사된다.
도14c는 바코드가 상품 이동 방향과 역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바코드는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되는 SVL 패턴과,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되는 BVR 패턴에 의해 주사된다.
도14d는 바코드가 오퍼레이터 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바코드는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되는 주사선에 의해서는 주사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저부 스캐너로부터 측부창(14)을 향하여 출사되는 BVR 패턴과 BVL 패턴에 의해 주사되어, 판독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도14a∼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코드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는 관계없이 360。의 판독이 가능하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가 저부창(3)에 대하여 거의 수평인 경우의 주사 패턴에 의한 주사 궤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저부창(3)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주사되는 주사 패턴을 사용하여 바코드가 주사된다. 또, 상품의 이동 방향은 도13의 경우와 동일 조건, 구체적으로 상품을 측부창(14)를 향하여 장치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다.
도15의 경우라도, 4개의 경우, 즉 (1) 바코드가 측부창(14)을 향하고 있는 경우, (2) 상품 이동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3) 상품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4) 오퍼레이터 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 고려할 수 있다.
도16a∼16d는 상기 도15에 나타낸 4개의 경우에서 바코드와 바코드를 주사하는 주사 패턴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a는 바코드가 측부창(14) 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바코드는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되는 SHTR 패턴, SHDR 패턴, SHTL 패턴 또는 SHDL 패턴에 의해 주사된다. 또, 도16a의 경우에서는 거의 같은 주사 궤적을 그리는 SHTR과 SHDR, SHTL과 SHDL은 특별히 나눠 도시하지 않는다.
도16b는 바코드가 상품 이동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바코드는 저부창(3)으로부터 상품 이동 방향으로 출사되는 BML 패턴에 의해 주사된다.
도16c는 바코드가 상품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바코드는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되는 BMR 패턴에 의해 주사된다.
도16d는 바코드가 오퍼레이터 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바코드가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되는 주사 패턴에 의해 주사되지 않는다. 그 대신, 바코드는 저부창(3)으로부터 측부창(14)의 방향으로 출사되는 BOR, BCR, BCL, BOL의 각 패턴에 의해 주사된다.
이와 같이, 바코드가 저부창(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라도, 본 실시예에 의하면 360。의 판독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저부창(3)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의 주사 궤적을 그리는 BVR(BVL) 패턴과, 저부창(3)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주사 궤적을 그리는 BOR(BOL) 패턴은 각각 거의 같은 방향으로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된다. 요컨대, 이들의 주사 패턴은 주사 궤적을 그리는 방향이 다르지만, 거의 같은 조건으로 바코드를 주사한다. 그 때문에, 바코드가 저부창(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저부창(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같은 바코드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바코드가 저부창(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도,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도, 완전한 360。 판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저부(1) 스캐너부의 두께를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보다도 엷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저부(1) 스캐너부의 두께를 90mm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졌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저부(1) 스캐너부에서, 판독 영역 중에 측부창(14)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놓여진 가상 평면 위를 세로 방향으로 주사하는 주사선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다각형 미러(6)를 측부(4) 본체의 상부에 배치하고, 또한 저부(1)의 본체 내로 일부의 수평 주사선을 생성하기 위한 미러를 공유화하고 있고, 저부(1) 본체의 내부의 공간을 유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패턴과 수직 패턴이라는 다른 2종류 이상의 주사 패턴이 다각형으로부터 판독 개구부(창)에 이르는 광로 속에서, 2종류의 동일 패턴 미러를 공유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바코드 판독 장치는 종래에 존재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다각형 미러(6)로부터 저부(1)의 본체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는 것이, 같은 주사각에서 보다 긴 주사선 길이를 갖는 주사선을 생성하기 때문에 대단히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저부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대단히 유용한 구성이고, 패턴 미러의 면적 증대 또는 매수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단일 레이저 빔에 의해 주사선을 생성하는 구성을 채용한 바코드 판독 장치에서는 다각형 미러(6)로부터 판독창까지의 광로 길이가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길이의 주사선을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저부에서 상기한 가상 평면 위를 세로 방향으로 주사하는 주사선을 생성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저부(1)로부터 가상 평면을 수직으로 주사하는 주사선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바코드 판독 장치에서는 상기한 가상 평면 위를 세로 방향으로 주사하는 주사선을 생성하기 위한 패턴 미러를 그 본체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가상 평면 위를 세로 방향으로 주사하는 주사선은 종래의 다각형으로 단일 방향으로부터 광선이 입사하는 형태의 바코드 판독 장치에 의해서는 실현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4면의 반사면(파셋트)을 갖는 다각형 미러(6)를 사용한다. 그러나 다각형 미러(6)는 4면으로 제한되지 않고, 3면의 반사면을 갖는 것, 또는 5면 이상의 반사면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각형 미러(6)의 반사면 수가 줄면, 그만큼 보다 큰 주사각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다각형 미러(6)의 반사면이 4면인 경우, 주사각은 180。로 할 수 있는데 비하여, 반사면이 3면의 경우에는 주사각을 240。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각을 우선하는 것이면, 반사면이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주사각이 크면, 같은 광로 길이에 비교하면 그 만큼 긴 주사선 길이를 갖는 주사선을 생성할 수 있다.
다각형 미러(6)의 반사면 수가 적은 경우, 일회의 주사로 생성할 수 있는 주사선의 본수가 감소한다. 예컨데, 반사면이 3면의 다각형 미러(6)에서는 3본의 주사선이 생성되는데 비하여, 4면의 다각형 미러(6)에서는 4본의 주사선을 생성할 수 있다.
주사선 본수가 불어나면, 각 주사선 간의 간격을 그만큼 좁힐 수 있다. 반대로 주사선 본수가 줄면, 각 주사선 간의 간격이 넓어진다. 후자의 경우, 예컨대 배면 아래 소위, "트란케이트 라벨"을 판독하는 경우, 바코드가 주사선 간의 빈틈을 빠져나가 마지막, 판독을 할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사선 간격을 좁히면, 주사선 본수가 적은 분주사 패턴에 의한 주사 범위가 좁게 되어, 충분한 판독 영역을 확보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4면의 다각형 미러(6)에서는 3면의 다각형 미러(6)에 비하여 주사각이 작기 때문에, 같은 길이의 주사선을 얻기 위해서는 그만큼 주사선의 광로 길이를 여분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각형 미러(6)가 측부(4) 본체의 상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저부와의 거리를 길게 잡을 수 있고, 따라서 광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각이 작은 4면의 다각형 미러(6)를 사용하더라도, 필요 충분한 주사선 길이를 갖는 주사선을 얻을 수 있다.
다각형 미러(6)의 반사면을 5면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주사각은 더욱 짧게 된다. 이 경우, 광로 길이를 4면의 반사면을 갖는 다각형 미러(6)를 구비한 장치보다도 길게 취할 수 있으면, 충분히 사용에 적합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저부(1)만 2개의 패턴 미러를 공통 사용했었지만, 측부 패턴 미러에 관해서도 2개의 패턴 미러를 공통 사용하더라도 지장이 없다. 당연히, 3개 또는 그 이상의 패턴 미러를 다른 주사 패턴과 공통 사용하더라도, 조금도 상관없다.
도1∼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측부(4) 본체의 상부의 오퍼레이터에게 대향하는 위치에 판독 가부를 알리는 통지음을 발하는 스피커(15)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는 장치 측면의 특히 저면 부근의 위치에 이러한 스피커(15)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장치 측면은 카운터 내에 매설되기 때문에, 스피커가 카운터에 의해 막힐 수 있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바코드 판독 가부의 통지음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슈퍼마켓의 정산 카운터 부근은 꽤 시끄러우므로, 통지음의 음량이 상당히 클 필요가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피커(15)가 카운터(2)면 밑으로 숨어버리면 충분한 음량을 발할 수 없다. 또한, 스피커의 사이즈를 크게 하면 음량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원래가 멀티 헤드 스캐너에 장착 가능한 스피커는 그다지 큰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대처법은 그다지 유효한 것이 못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15)가 측부(4) 본체 상부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의 직경이 작더라도,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확인가능한 정도의 음량을 갖는 음을 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피커의 소리의 전파 방향에서는 지향성이 있기 때문에, 장치 측면에 설치하기보다, 장치 전면에 스피커를 부착한 구성 쪽이 소리의 전파를 생각하면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서는, 스피커(15)를 측부(4) 본체 상부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는 이유에 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에서는, 유효한 공간이 있으면 그 위치에 패턴 미러를 가능하는 한 배치한다. 예컨데, 패턴 미러를 측부 본체의 상부와 측부 모두에 배치한다. 원하는 판독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한 패턴 미러 등의 기타 광학 부품의 설치에 우선권을 부여했다. 스피커 등의 판독 자체에는 특별히 영향을 주지 않는 부품이 광학 부품을 배치한 후의 빈 공간에 겨우 무시할 정도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실정이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에서는, 스피커가 장치 본체의 측면, 더구나 카운터(2)면 밑으로 숨어버리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서는 다각형 미러(6)가 측부(4) 본체의 상부에, 그 회전축이 거의 수평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하거나 또는 다각형 미러(6)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막는 위치에는 광학 부품을 배치할 수 없다. 도2나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서는 측부(4)의 중앙 부분, 특히 상부 부근에는 패턴 미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측부(4) 본체 상부 부근에서, 패턴 미러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을 이용하여, 스피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것이 다각형 미러(6)의 특징적인 배치의 부차적인 효과이다. 또, 스피커 대신에 부저 등을 사용한 장치에서도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가 측부(4)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면, 저부(1) 내에 패턴 미러 등의 광학 부품을 배치하는 자유도가 올라간다. 이 점으로 좁혀서 생각하면, 다각형 미러(6) 등의 주사 기기는 저부(1)면에 대하여 평행 방향일 필요는 없고, 하방으로 향하여 주사선을 출사(반사) 시킬 수 있으면, 상기와 같은 광학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늘리는 작용을 실현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따라서, 다각형 미러(6)의 형상에 의해서 그 회동 축이 예컨대 저부(1)면에 대하여 수직이어도 지장이 없다.
또, 측부(4) 본체 내에 주사 기기를 수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면, 주사 기기는 측부(4) 본체의 상단 부근에 설치할 필요도 없다. 예컨데, 설계에 응해서 측부(4) 본체의 하부 부근에 주사 기기를 설치하는 것을 본 실시예는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 경우, 유효한 반사면은 상방을 향하고 있고, 주사 기기는 상방을 향하여 주사선을 출사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사 기기로서는 이밖에 갈바노 미러/진동 미러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미러만이 아니고 예컨대 회절 격자를 사용한 원판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절격자는 반사형이나 투과형이라도 상관없다.
상술한 점을 생각하면, 광원(5)으로부터의 광선은 저부(1)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출사될 필요가 없다. 패턴 미러의 배치의 형편상, 본 실시예에서는 광선을 저부(1)면에 수직하게 상방으로 출사하고 있지만, 패턴 미러 배치의 문제가 특별히 없는 한, 예컨대 측방에서 광선을 입사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도17∼도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7은 내부 단면도이고, 도18은 내부 상면도, 도19는 내부 정면도이다. 상술한 요소와 동일한 도17∼도19에 나타낸 요소에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17∼도19에 나타낸 장치는 도1∼도3에 도시되어 있던 장치와 거의 같은 외관으로 이루어진다. 그들 간의 큰 차이는 장치 내부의 광학 부품의 배치와 출사되는 주사 패턴이다. 이하, 도1∼도3에 도시된 장치와 도17∼도19에 나타낸 장치의 상위 점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도17∼도19에 나타낸 다각형 미러(6)가 측부(4)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반사면이 4면인 점은 도1∼도3의 다각형 미러(6)와 같다. 그러나, 도17∼도19에 도시되는 다각형 미러(6)는 그 회전축이 상품 활주면에 대하여 약간 상향, 자세히는 약5。 상향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생성되는 주사선은 도1∼도3의 장치와 비교하여, 보다 저부(1) 측을 향하여 출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광원(5) 유니트는 측부(4) 본체의 상방으로, 측부창(14)을 향하여 좌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광원(5)은 장치 하방으로 향하여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광원(5)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선을 다각형 미러(6)에 입사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서는 다각형 미러(6)의 밑으로 소형의 미러(16)(도18)를 배치한다. 이 미러(16)에 의해, 레이저광은 바로 아래에서 다각형 미러(6)를 향하여 입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은 프레넬 렌즈(17)에 의해 집광되어, 측부(4)의 저면에 설치된 미러(18)에 의해서 광검지 장치(8)에 도입된다. 광검지 장치(8)를 탑재한 메인 PCB(10)는 장치의 저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검지의 수광면은 도17∼도19의 좌측을 향한다.
도1∼도3에 도시된 장치와 비교하면, 광검지 장치(8)가 장치 저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부의 측부(4)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두께는 저부의 타단부(도17에서 오른쪽)의 두께보다도 약간 두껍다. 그러나, 오퍼레이터로부터는 다소라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무릎을 끼워 넣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한편, 도1과 도17을 대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서는 도1에서와 같이 측부(4) 왼쪽 밑부분에 광원(5)을 구비하지 않고, 또한 도17의 메인 PCB(10)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의 저부의 상하면의 간격이 도1에 도시된 장치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위치에 설치되는 패턴 미러(BMR2, BML2 등)면적을 그만큼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1에 도시된 장치보다도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보다 많이 집광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도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광의 경로에 관해서 설명한다.
광원(5)으로부터 하방으로 출사된 레이저광은 다각형 미러(6)와 프레넬 렌즈(17) 간에 설치된 소형 미러(16)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반사되어,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한다. 그리고,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주사되어 주사선이 생성된다.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생성된 주사선은 하기의 순서 SVL1-SHR1-BMR1-BVR1-BZ1-BVL1-BML1-SHL1-SVR1로 패턴 미러를 주사한다. 또, 패턴 미러의 부호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예와 같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각형 미러(6)에 의해 생성된 주사선이 합계 9매의 패턴 미러를 주사한다.
저부 패턴을 생성하는 저부 패턴 미러는 다음의 것 BMR1, BML1, BMR2, BML2, BMR3, BML3, BMR4, BML4, BZ1, BZ2, BHR, BHL으로부터 된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큰 차이는 저부의 저면에 설치된 패턴 미러의 매수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BZR3, BZL3, BMR4, BML4이라는 4개의 패턴 미러를 사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을 BMR4, BML4이라는 2개의 패턴 미러만을 사용한다. 이 만큼, 저부의 저면에 설치하는 패턴 미러의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각 주사 패턴은 이하의 경로를 통하여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된다.
BMR : 다각형 BMRl BMR2-BMR3-BMR4-저부창
BML : 다각형 BMLl-BML2-BML3-BML4-저부창
BCL : 다각형 BZl-BZ2-BML4-저부창
BCR : 다각형-BZ1-BZ2-BMR4-저부창
BOL : 다각형-BZl-BHR-BML4-저부창
BOR : 다각형-BZl-BHL-BMR4-저부창
BVR : 다각형-BVRl-BHL-BMR4-다각형
BVL : 다각형-BVLl-BHR-BML4-다각형
상기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모든 주사 패턴은 패턴 미러 BMR4/BML4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또한, BCL(BCR)와 BOL(BOR)은 이외에 BZ1을 공통으로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BOL(BOR)와 BVL(BVR)은 BHR(BHL)을 공통으로 사용한다.
측부 패턴을 생성하는 측부 패턴 미러는 하기의 것 SVR1, SVL1, SVR2, SVL2, SVR3, SVL3, SHR1, SHL1, SHTR2, SHTL2, SHTR3, SHTL3, SHDR2, SHDL2, SHDR3, SHDL3, SHD4으로부터 된다.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특히, 측부(4) 본체의 배면에 한 장의 패턴 미러 SHD4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부 패턴을 구성하는 각 주사 패턴은 하기의 경로를 지나서 측부창(14)으로부터 출사된다.
SVR : 다각형 SVR1-SVR2-SVR3 측부창
SVL: 다각형 SVL1-SVL2-SVL3 측부창
SHTR : 다각형 SHRl SHTR2-SHTR3-측부창
SHTL: 다각형 SHLl SHTL2-SHTL3-측부창
SHDR: 다각형 SHRl SHDR2-SHDR3-SHD4-측부창
SHDL: 다각형 SHLl SHDL2SHDL3S HD4 측부창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서는 SHTR(SHTL)과 SHDR(SHDL)이 SHR1(SHL1)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같이, 바코드가 저부창(3)에 대하여 수직이거나 수평이어도, 360。 판독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0a와 도20b는 저부창(3)과 측부창(14) 각각의 저부 패턴과 측부 패턴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21 및 도22는 저부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 패턴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23 및 도24는 측부 패턴을 구성하고 있는 주사 패턴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2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특히 최하면에 설치된 패턴 미러를 그 배치 상황이 알기 쉽도록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도26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시의 최 내부에 배치되는 패턴 미러의 배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광원(5)을 하나로 하고, 또한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하는 레이저광이 하나인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광원(5)을 복수로 하거나 또는 하나의 광원(5)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광선을 분할하여, 복수의 레이저광이 다각형 미러(6)에 입사되는 것 같은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조금도 지장이 없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정면 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실시예에 의한 광주사 장치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것과 동일하고, 도17에 도시된 장치에 더하여 추가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27의 장치에서는 단일 광원(5)을 사용하고, 이 광원(5)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그 도중에서 빔 분리기를 사용하여 분할하고, 분할된 광의 한 쪽은 직접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하고, 분할된 광의 다른 쪽은 미러(20)∼미러(21)를 개재하여 분할된 광의 한 쪽과는 반대 방향으로부터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레이저광선을 다른 방향으로부터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하는 구성은 각각의 레이저광선을 장치의 좌우 각각에 대응시킬 수 있다. 요컨대, 한 쪽의 레이저광은 장치의 오른쪽에서 출사되는 주사선에, 다른 쪽의 레이저광은 장치의 좌측에서 출사되는 주사선에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치는 특히 다각형 미러(6)의 반사면 수가 많고, 일면 당 주사각이 작은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도1∼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장치를 약간 수정하여, 복수의 광원(5)을 설치하여, 이들 광원(5)의 각각으로부터 다각형 미러(6)에 대하여 레이저광선을 입사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광원(5)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바코드 판독 장치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 되도록 두개의 광원(5)을 배치하는 수법 등, 여러 가지의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광원(5)은 각각 상방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여기서, 복수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레이저광이 다각형 미러(6)에 입사하지만,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은 각각 바코드를 주사한 주사선의 광축을 따라서 장치에 입사하기 때문에,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기 위한 수단(오목 미러)은 각각의 광원(5)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의 광로 상에 복수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광검지 장치(8)는 광원(5)의 수에 대응한 수가 설치된다.
이들의 광원(5)을 복수로 하는 구성은 부품 점수의 삭감은 곤란하지만, (1) 광원(5)을 광선을 수직 방향으로 출사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라든지, (2) 주사 기기를 측부(4) 본체의 상단 부근에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부(1)의 본체의 두께를 엷게 하는 효과를 주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주사선 길이를 길게 하기 때문에, 광로 길이를 될 수 있는 한 길게 취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사선을 반사하는 패턴 미러의 매수를 종래의 장치보다도 늘리고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SVR과 SVL 이외의 주사 패턴은 최저 3개의 패턴 미러에 의해 반사된다. 특히 BMR과 BML이라고 한 패턴은 4개의 패턴 미러에 의해 반사된 뒤, 저부창(3)으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모든 주사 패턴이 3개 이상의 패턴 미러에 의해 반사된 뒤, 창으로부터 출사된다. 특히 BMR, BML, SHDR 및 SHDL의 4개의 주사 패턴은 어느 것이나 4개의 패턴 미러에 의해 반사된 뒤, 각각 대응하는 창으로부터 출사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종래의 바코드 판독 장치에서는 이러한 3개 이상의 패턴 미러를 반사시켜 주사선을 생성하여 광로 길이를 확보하는 사상에 기초를 둔 것은 없고, 특히 4개 이상의 패턴 미러를 지나서 주사선을 출사시키는 장치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첫째로, 다각형 미러 및 기타의 주사 수단을 회전축이 상품 활주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이 되도록 배치, 구성하여, 측부 본체 내부에 수용한다. 이에 따라, 저부 내부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패턴 미러의 배치의 자유도를 올림과 동시에, 패턴 미러의 면적을 넓혀서,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의 집광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 주사 기기를 측부 본체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측부 와 저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공간을 설치할 수 있어, 각 광학 부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원을 측부에 설치하여, 상품 활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광을 출사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저부 내부에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선을 주사 기기에 도입하기 위한 광로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광학 부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패턴 미러의 대면적화도 가능하다.
더욱, 본 발명에서는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검지 장치를 측부 본체 내에 설치하고, 수광면을 예컨대 하향으로 한다. 또한, 광검지 장치를 탑재하는 기판을 측부 본체의 배면과 거의 평행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우선 저부에 광검지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측부 본체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각각의 구성으로서, 저부의 두께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특히 종래의 멀티 헤드 스캐너로서는 실현 곤란하던 두께 90mm를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 3개 이상의 패턴 미러에 의해 주사선을 반사시킨 뒤,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장치 사이즈를 대형화하지 않고 광원으로부터 판독 위치까지의 광로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주사 각도가 작은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주사선 길이를 갖는 주사선을 생성하기 때문에, 대단히 유효하다.
본 발명은 다른 주사 패턴끼리, 2개 이상의 패턴 미러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주사 패턴마다 독특한 패턴 미러를 설치하는 것은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장치를 대형화시키지 않는다고 한다면, 패턴 미러 배치 상의 제한을 받아, 소망의 주사 패턴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2개 이상의 패턴 미러를 다른 주사 패턴끼리 공유하고 있으므로, 패턴 미러의 매수 자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체 내부의 패턴 미러 배치의 제한이 종래의 장치보다도 절감되고, 또한 패턴 미러의 유효 면적을 넓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본 발명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주사 궤적을 그리는 주사 패턴과 수평 방향으로 주사 궤적을 그리는 주사 패턴 등과 같이, 다른 방향으로 주사 궤적을 그리는 주사 패턴과가 공통의 패턴 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되는 구성을 채용한다. 특히 2개 이상의 패턴 미러를 공통화 하는 것으로, 서로의 주사 패턴의 주사 방향을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코드의 방향에 관계없이, 멀티 헤드 스캐너의 360°판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구성에 관하여서는 멀티 헤드 스캐너가 아니더라도, 같은 방향으로부터 다른 주사 궤적을 그리는 주사 패턴을 출사시키는 것에 따라, 카운터 면 등에 대한 바코드의 각도/경사에 관계없이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2)

  1.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제 1 주사 패턴을 출사하고,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직립하는 면으로부터 측방을 향하여 제 2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광주사 장치에 있어서,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선을 주사하며, 회전축을 포함하는 주사 기기와,
    상기 주사 기기를 구동하는 구동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 기기의 회전축이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거의 수평 방향이 되도록, 상기 주사 기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3. 카운터 면에 매설되며, 제 1 주사 패턴을 출사하여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저부와,
    상기 저부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주사 패턴과 상이한 제 2 주사 패턴을 출사하여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부 중앙에 이용자에 대면해서 설치되어, 상기 코드의 판독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음을 발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판독 장치.
  4. 카운터 면에 매설되며, 제 1 주사 패턴을 출사하여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저부와,
    상기 저부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주사 패턴과 상이한 제 2 주사 패턴을 출사하여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측부와,
    기판 상에 탑재되어, 상기 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측부의 배면 벽면의 방위를 따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판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기기의 수광면은 하방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판독 장치.
  6.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와,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 기기에 의해 생성된 주사광선을 반사하여 주사 패턴을 구성하는 주사선을 생성하는 주사 패턴 미러와,
    상기 주사선이 출사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선은 상기 복수의 미러에 의해 반사된 뒤, 상기 개구로부터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기기는 4 반사면을 갖는 다각형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8.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와,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 기기에 의해 생성된 주사광선을 반사하여 주사선으로 된 주사 패턴을 생성하는 주사 패턴 미러와,
    상기 주사선이 출사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 패턴 미러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미러 중 적어도 1개에 제 1 방향으로 제 1 입사 주사광이 주사되며, 상기 주사 패턴 미러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미러 중 적어도 1개에 상기 제 1 주사광의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제 2 입사 주사광이 주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9.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와,
    상기 주사 기기에 의해 생성된 주사광선을 반사하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는 패턴 미러와,
    상기 패턴 미러에 의해 반사된 주사광이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 밖의 제 1 가상면 상에 제 1 주사광이 주사되고, 상기 가상면상의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 주사광이 주사되고, 상기 제 1 주사광과 상기 제 2 주사광은 상기 패턴 미러를 구성하는 복수의 미러 중 적어도 2개의 공통 미러에 의해 동시에 반사된 뒤, 상기 개구로부터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10. 카운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면을 갖는 저부 본체와,
    상기 제 1 면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면을 갖는 측부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 면 밑에 위치하는 상기 저부 본체의 두께가 9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11. 카운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면을 갖는 저부 본체와,
    상기 제 1 면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면을 갖는 측부 본체와,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과 상기 주사 기기가 상기 측부 본체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본체는
    상기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기기와,
    상기 측부 본체 내의 상기 수광 기기에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는 집광 기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기기는 상기 바코드 판독 장치가 설치되는 카운터 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카운터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15.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제 1 주사 패턴을 출사하고,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직립하는 면으로부터 측방을 향하여 제 2 주사 패턴을 출사하는 광주사 장치에 있어서,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주사 기기와,
    상기 주사 기기를 구동하는 구동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 기기는 하방을 향하여 광선을 반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16. 카운터 면에 매설되는 저부와,
    상기 저부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설치되는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상이한 주사 패턴이 각각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반사면을 갖는 주사 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주사 기기의 반사면이 하방을 향하여 광선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18. 주사광을 출사하고,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한 뒤,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주사되는 제 1 주사광과,
    상기 제 1 주사광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사되는 제 2 주사광선을 구비하고,
    상기 양 주사광은 동일 광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판독 장치.
  19.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제 1 주사 패턴을 출사하여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저부와,
    상기 저부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주사 패턴과 상이한 제 2 주사 패턴을 출사하여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주사하는 주사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기기는 하방으로 향한 상이한 경사의 반사면을 갖는 다각형 미러로 되며, 광원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광선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상기 주사 기기에 의해 생성된 주사광선을 반사하는, 복수의 주사 패턴을 생성하는 복수의 패턴 미러를 포함한 주사 패턴 미러를 더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공통 패턴 미러로부터 상이한 주사 궤적의 적어도 2개의 주사 패턴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상기 주사 기기에 의해 생성된 주사광선을 반사하는, 복수의 주사 패턴을 생성하는 복수의 패턴 미러를 포함한 주사 패턴 미러를 더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공통 패턴 미러로부터 상이한 주사 궤적의 적어도 2개의 주사 패턴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장치.
KR1019990045076A 1998-10-21 1999-10-18 광학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증대한 광주사 장치, 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장치 KR100572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962198A JP3881792B2 (ja) 1998-10-21 1998-10-21 光走査装置、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98-299621 1998-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150A true KR20000029150A (ko) 2000-05-25
KR100572604B1 KR100572604B1 (ko) 2006-04-24

Family

ID=1787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076A KR100572604B1 (ko) 1998-10-21 1999-10-18 광학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증대한 광주사 장치, 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31844B1 (ko)
EP (2) EP0996077B1 (ko)
JP (1) JP3881792B2 (ko)
KR (1) KR100572604B1 (ko)
CN (1) CN1237471C (ko)
DE (1) DE6993717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1922B2 (en) * 1994-08-17 2006-05-30 Metrologic Instruments, Inc. Compact bioptical laser scanning system
TW550936B (en) * 2001-12-31 2003-09-01 Veutron Corp Optical path layout of image capturing system and the achieving method thereof
US7773149B2 (en) * 2002-07-16 2010-08-10 Yin-Chun Huang Layout of the optical path in the image captur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7111785B2 (en) * 2003-06-05 2006-09-26 Symbol Technologies, Inc. Compact, omni-directional scan pattern generator and method in a reader for electro-optically reading indicia
US6866197B1 (en) * 2003-10-17 2005-03-15 Ncr Corporation Optical scanner having enhanced item side coverage
US7137560B2 (en) * 2004-11-30 2006-11-21 Ncr Corporation Optical scanner
JP4388116B2 (ja) * 2007-11-26 2009-12-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
CN102047270A (zh) * 2008-05-28 2011-05-04 得利捷扫描集团有限公司 用于编码信息读取器的充电支架和包括该充电支架的读取系统
WO2012012651A2 (en) 2010-07-23 2012-01-26 Datalogic Scanning, Inc. Data reader having compact arrangement
US9122939B2 (en) 2010-09-16 2015-09-01 Datalogic ADC, Inc.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optical codes on reflective surfaces while minimizing flicker perception of pulsed illumination
US8960548B2 (en) 2012-06-08 2015-02-24 Datalogic ADC, Inc. Bioptic data reader with split vertical windows and speaker
US9016578B2 (en) * 2013-05-14 2015-04-28 Symbol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electro-optically reading a target in the presence of ambient light by suppressing the ambient light
USD723560S1 (en) * 2013-07-03 2015-03-03 Hand Held Products, Inc. Scanner
USD730901S1 (en) * 2014-06-24 2015-06-02 Hand Held Products, Inc. In-counter barcode scanner
US9594936B1 (en) 2015-11-04 2017-03-14 Datalogic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reading of data from reflective surfaces of electronic devices
CN105956507A (zh) * 2016-05-12 2016-09-21 刘青建 一种底照式双头扫描装置
EP3312760B8 (de) * 2016-10-18 2020-04-22 Leuze electronic GmbH + Co KG Optischer sensor
CN107704792A (zh) * 2017-08-30 2018-02-16 合肥新文远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伪二维码读取器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2375A (ko) 1961-09-13
GB1280677A (en) 1968-06-27 1972-07-05 Rca Corp Article designat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US3812325A (en) 1970-08-18 1974-05-21 Chesapeake & Ohio Railway Means for reading and interpreting color-coded identification labels
US3728677A (en) 1971-05-10 1973-04-17 Stanford Research Inst Rotation-independent reading of rectangular insignia
US3818444A (en) 1972-06-29 1974-06-18 Pitney Bowes Inc Optical bar code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n x scan pattern
US3916158A (en) 1974-01-21 1975-10-28 Pitney Bowes Inc Optical scann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scanning pattern
US3958104A (en) 1974-03-06 1976-05-18 Servo Corporation Of America Multiplexed optical scanner system
US3947816A (en) 1974-07-01 1976-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mnidirectional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4093865A (en) * 1977-04-29 1978-06-0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ode symbol scanner using a double X bar pattern
NL7713933A (en) 1977-12-15 1979-06-19 Sweda International Inc Optical scanning system with backward reflection - uses multiple cross principle with parallel lines as scanning tracks excited at speed of rotating element
DE2757235C2 (de) 1977-12-22 1983-02-17 Sweda International, Inc., 07058 Pine Brook, N.J. Optisch-mechanische Abtastvorrichtung mit einem rotierenden Spiegelrad
US4224509A (en) 1978-10-19 1980-09-23 Ncr Corporation Holographic scanning system
JPS56164312A (en) 1980-05-22 1981-12-17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Optical deflecting device
US4587407A (en) 1983-06-20 1986-05-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Scanning system for bar code labels affixed to rods
JPS60238811A (ja) 1984-05-11 1985-11-27 Fuji Photo Film Co Ltd 光ビ−ム走査装置
JPS61200524A (ja) 1985-03-01 1986-09-05 Fuji Photo Film Co Ltd 光走査装置
US4753498A (en) 1985-03-22 1988-06-28 Tokyo Kogaku Kikai Kabushiki Kaisha Optical reader
JPS61233876A (ja) 1985-04-08 1986-10-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学式読取装置
JPS61238811A (ja) 1985-04-16 1986-10-24 Nippon Oil & Fats Co Ltd 非水系重合体分散液の製造法
US4652732A (en) 1985-09-17 1987-03-2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profile bar code scanner
US4795224A (en) 1986-10-06 1989-01-03 Katsuchika Goto Optical scanning pattern generator
US4816661A (en) 1986-12-22 1989-03-28 Symbol Technologies, Inc. Scan pattern generators for bar code symbol readers
JPS63311320A (ja) 1987-06-15 1988-12-20 Canon Inc 光走査装置
JPH0193715A (ja) 1987-10-05 1989-04-12 Minolta Camera Co Ltd 回転走査体
JP2737143B2 (ja) 1988-03-08 1998-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H0253194A (ja) 1988-08-17 1990-02-22 Syst Interijiensu Prod:Kk 識別標識および読取装置
US5293033A (en) * 1988-09-20 1994-03-08 Tokyo Electric Co., Ltd. Optical reading apparatus
JP2732497B2 (ja) 1988-09-21 1998-03-30 株式会社テック 商品データ読取装置
US4935609A (en) 1988-12-15 1990-06-19 Ncr Corporation Composite lens for a hand-held bar code label reader
JP2771593B2 (ja) 1989-04-20 1998-07-02 富士通株式会社 光走査装置
US4971410A (en) 1989-07-27 1990-11-20 Ncr Corporation Scanning and collection system for a compact laser
US5128520A (en) * 1989-08-11 1992-07-07 Spectra-Physics, Inc. Scanner with coupon validation
US5019694A (en) 1989-09-29 1991-05-28 Ncr Corporation Overhead scanning terminal
US5268565A (en) 1989-10-16 1993-12-07 Fujitsu Limited Compact type bar code reader
US5206491A (en) 1990-03-02 1993-04-27 Fujitsu Limited Plural beam, plural window multi-direction bar code reading device
US5073702A (en) 1990-03-26 1991-12-17 Ncr Corporation Multiple beam bar code scanner
US5491328A (en) * 1991-09-24 1996-02-13 Spectra-Physics Scanning Systems, Inc. Checkout counter scanner having multiple scanning surfaces
US5229588A (en) 1991-09-30 1993-07-20 Ncr Corporation Dual aperture optical scanner
JP2789282B2 (ja) 1992-07-10 1998-08-20 富士通株式会社 光学式マーク読取装置
WO1994001835A1 (en) * 1992-07-14 1994-01-20 Spectra-Physics Scanning Systems, Inc. Multiple plane scanning system for data reading applications
US5475207A (en) * 1992-07-14 1995-12-12 Spectra-Physics Scanning Systems, Inc. Multiple plane scanning system for data reading applications
US5825010A (en) * 1994-11-21 1998-10-20 Symbol Technologies, Inc. Bar code scanner positioning
US5834708A (en) * 1995-06-08 1998-11-10 Spectra-Physics Scanning Systems, Inc. Multiple plane weigh platter for multiple plane scanning systems
US5684289A (en) 1995-10-30 1997-11-04 Ncr Corporation Optical scanner having enhanced item side coverage
DE19545137A1 (de) * 1995-12-04 1997-06-05 Cristoffer Stratmann System zur Registrierung und Abrechnung von Waren in Selbstbedienungsgeschäften
JP3441580B2 (ja) 1995-12-14 2003-09-02 富士通株式会社 読取装置
EP0811958A3 (en) * 1996-06-05 2004-09-29 NCR International, Inc. Self-service checkout apparatus and methods
US5886336A (en) * 1996-12-12 1999-03-23 Ncr Corporation Multiside coverage optical scanner
JP3628867B2 (ja) * 1997-04-24 2005-03-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
US5975417A (en) * 1997-12-19 1999-11-02 Ncr Corporation Convertible barcode sca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7471C (zh) 2006-01-18
EP0996077B1 (en) 2007-09-26
EP0996077A2 (en) 2000-04-26
EP1260932A1 (en) 2002-11-27
DE69937179T2 (de) 2008-01-10
KR100572604B1 (ko) 2006-04-24
US6631844B1 (en) 2003-10-14
DE69937179D1 (de) 2007-11-08
CN1251455A (zh) 2000-04-26
JP2000121984A (ja) 2000-04-28
EP0996077A3 (en) 2000-08-16
JP3881792B2 (ja)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604B1 (ko) 광학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증대한 광주사 장치, 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장치
KR20080088561A (ko) 광주사 장치
JP3441580B2 (ja) 読取装置
US6568598B1 (en) Multiple plane scanning system for data reading applications
US20040056099A1 (en) Two window optical scanner
US7325739B2 (en) Electro-optical scanner having exit window with light collecting optics
US5149949A (en) Optical scanner with counterrotating reflector elements
KR100329535B1 (ko) 광학주사장치
US7552874B2 (en) Optical scanner
KR100444814B1 (ko) 광주사장치및방법과광원모듈
US5892214A (en) Low profile planar scanner
US7866558B2 (en) Laser scanner
WO1994001835A1 (en) Multiple plane scanning system for data reading applications
JPH0823629B2 (ja) 光学読取装置
JP3791493B2 (ja) 光走査装置、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バーコード読取装置
US6237851B1 (en) Dual mode barcode scanner
JP4187296B2 (ja) 光学的情報読み取り装置
JPH03167683A (ja) 商品データ読取装置
JPH03129584A (ja) バーコード読取り装置
JP2837664B2 (ja) バーコード読取り装置
JPH117489A (ja) バ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
JP2005018034A (ja) 光走査装置、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H1153461A (ja) バ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
JP2000163507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