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185A -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교량바닥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교량바닥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185A
KR20000026185A KR1019980043606A KR19980043606A KR20000026185A KR 20000026185 A KR20000026185 A KR 20000026185A KR 1019980043606 A KR1019980043606 A KR 1019980043606A KR 19980043606 A KR19980043606 A KR 19980043606A KR 20000026185 A KR20000026185 A KR 2000002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recast concrete
joint
bridg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825B1 (ko
Inventor
박칠림
김성운
김영진
정철헌
장성욱
장승필
윤석구
Original Assignee
장병주, 이일쇄
주식회사 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주, 이일쇄, 주식회사 대우 filed Critical 장병주, 이일쇄
Priority to KR101998004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8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건설되는 교량에 존재하게 되는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구조를 개선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철거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비부착 긴장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 시스템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다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바닥판을 긴장시키는 다수개의 긴장재를 포함하는 교량바닥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바닥판이 접하는 측면은 측면의 일정 부분의 중앙 부분이 소정의 경사각과 깊이 및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측면의 상,하부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는 강연선의 주위에 고무로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해 교량바닥판을 시공하는데 이용된다.

Description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본 발명은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의 바닥판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현장에서 조립하고, 바닥판간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비부착 내부긴장재를 갖는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량의 바닥판을 만들기 위해 현장에서 거푸집을 제작하고, 이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장기간의 양생과정을 통해 바닥판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바닥판 시공법은 많은 전문 건설인력이 필요하고, 특히 도심지와 같이 차량통행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공사로 인한 교통체증심화로 인하여 막대한 간접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장 시공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된 공법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시공방법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은 공장에서 미리 강제 거푸집을 제작하고, 이 거푸집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증기양생 후, 탈형하는 공정을 통해 완성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하여 교량바닥판을 시공할 경우 공기 단축 및 인력절감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은 제작과 운반 및 가설을 위해 차량 진행 방향 및 차량 진행 직각 방향으로 그 크기가 제한되어, 분할 제작됨으로 현장조립시 바닥판과 바닥판간 이음부가 발생하게 된다.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이음부는 바닥판과 바닥판 사이, 그리고 바닥판과 주형사이에 존재하게 되는데,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주형위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하면 바닥판과 바닥판사이 및 바닥판과 주형 사이에 각각 이음부가 존재하게 된다. 이 중 바닥판과 바닥판 사이의 이음부에서는 현장 타설 바닥판과 달리 바닥판 사이가 분리됨으로써, 차량 통행 및 바닥판의 온도변화로 인해 균열이 발생되고, 이 균열을 통한 누수로 인해 주형이 부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판과 주형 사이의 이음부에는 이음부의 충진작업을 위한 별도의 하부 작업대가 필요하여 현장에서의 추가적인 작업공정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간 이음부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주형 간 이음부에 충진되는 채움재의 불량으로 인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건설되는 교량에 존재하게 되는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연결구조를 개선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철거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비부착 긴장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해 교량바닥판을 시공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간의 이음부 단면도.
도2b는 도2a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이음부측 측면 상세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바닥판 시스템의 실험을 위한 전단실험체의 단면도.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단실험체의 전단실험 상태도.
도4a는 도3b를 이용한 전단실험에 의한 이음부 균열하중과 경사각과의 관계도.
도4b는 도3b를 이용한 전단실험에 의한 이음부 균열하중과 D/H비 관계도.
도5a는 도3b를 이용한 전단실험에 의한 이음부 파괴하중과 경사각과의 관계도.
도5b는 도3b를 이용한 전단실험에 의한 이음부 파괴하중과 D/H비 관계도.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간의 이음부를 모사하기 위한 실험체의 개념도.
도6b는 도6a의 개념에 의한 휨실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6a의 휨실험에 의한 균열하중과 프리스트레스힘과의 관계도.
도8a는 종래의 정착장치의 구성도.
도8b는 도8a의 비부착긴장재의 단면도.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장치의 구성도.
도9a는 종래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포켓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2 : 바닥판과 바닥판간 이음부
3 : 바닥판과 바닥판간 이음부 충진용 홀 4 : 채움재
5 : 전단연결재 6 : 전단포켓
7, 22 : 씰링테이프 8 : 간격재
9 : 전단포켓 채움재 10 :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헌치
15 : 프리스트레스 긴장재 16 : 주형
17 : 바닥판과 주형간 틈새 23 : 전단키
24 : 긴장재의 쉬스관 25 : 비부착 긴장재
26 : 쉬스관 보호용 씰링테이프 31 : 콘크리트 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바닥판을 긴장시키는 다수개의 긴장재를 포함하는 교량바닥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바닥판이 접하는 측면은 측면의 일정 부분의 중앙 부분이 소정의 경사각과 깊이 및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측면의 상,하부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조립시공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2a는 도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바닥판 사이의 이음부의 상세도이고, 도2b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이음부측 측면 사시도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은 현장 타설 바닥판과 달리 바닥판(1)과 바닥판(1) 사이에 이음부(2)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이음부(2)를 통한 하중전달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 하중에 의해 바닥판(1)과 바닥판(1) 사이의 이음부(2)에 작용되는 수직 전단력에 대한 저항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바닥판의 이음부측 측면을 凹형상(21)을 갖도록 하였다. 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을 상하 단부보다 중앙이 더 오목하게 되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바닥판의 하부측에 씰링테이프(22)를 부착한 후, 바닥판(1)과 바닥판(1)을 결합하기 위한 채움재(4)를 충진하는 경우에 채움재(4)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채움재(4)가 충진되면 전단키(2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과 바닥판 사이의 이음부에 전단키(23)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채움재(4)를 충진시키게 되는데, 이 때 채움재(4)를 바닥판의 측면 상단의 좁은 틈새 사이로 충진하게 되면, 충진 작업중 채움재가 넘처나는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의 측면 일부에 채움재 충진용 홀(3)을 형성하였다. 상기 채움재 충진용 홀(3)을 이용하게 되면 삼각형 쐐기형태의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곳에 채움재를 서서히 붓게 되면 바닥판과 바닥판 사이의 좁은틈새(2) 사이가 쉽게 충진된다. 또한, 비부착 긴장재(25)가 관통되도록 하기 위한 쉬스관(24) 주변은 원형의 씰링테이프(26)를 부착하여 채움재가 비부착 긴장재(25)에 묻어 비부착 긴장재(25)의 제거시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또한, 채움재(4)는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일체화되기 위해서 탄성계수, 건조수축계수 등의 기계적 성질이 모재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과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한다. 그래야만 경화시 경계면에서의 수축량 차이가 적어, 양호한 밀착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무수축모르터는 콘크리트와 기계적 성질이 유사하나, 에폭시모르터는 탄성계수가 콘크리트의 약 1/10정도이고, 건조수축 및 열팽창계수는 10배정도 크기 때문에, 동일 응력 수준에서의 변형량의 차이가 발생할 우려가 크고, 온도에 따른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크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교량바닥판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실험 과정 및 결과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단키의 최적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전단실험체의 단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전단 실험체의 전단실험을 위한 실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과 바닥판(1) 사이의 전단실험을 위한 실험체는 3개의 콘크리트 부재(31)로 구성되어 있고, 경계면이 2군데 있다. 도면에서 α는 경사각을, D는 전단키의 깊이를, H는 전단키의 높이를 각각 의미한다. 한편, 실험장치는 비부착 긴장재(40)를 모사할 수 있도록 강봉을 설치하고, 만능시험기(32)에 의해 재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유압잭(35)으로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의 크기는 로드셀(36)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4a는 이음부 경사균열 하중과 경사각(α)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4b는 이음부 경사균열 하중과 D/H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5a는 이음부 파괴하중과 경사각(α)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5b는 이음부 파괴하중과 D/H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판과 바닥판의 이음부(2)에 전단키(23)를 형성하면, 지압저항능력이 발생되어, 이음면이 분리되더라도 전단저항능력이 전단키가 없는 경우보다 향상되는데, 강도면에서는 경사각이 45°인 경우가 유리하나, 이음부 균열저항면에서는 경사각이 약 60°인 경우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D/H비는 강도나 변형저항성면에서 모두 약 1/4인 경우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6a는 도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바닥판 사이의 이음부를 모사한 실험체이고, 도6b는 도6a의 개념에 의한 휨실험부재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에 도입해야 될 종방향 프리스트레스 힘을 결정하기 위해서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직접 실험하기 보다는 이음부를 모사할 수 있는 부분 모델(61)을 구성하여 실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휨실험부재(61)는 바닥판 이음부(2)를 모사할 수 있도록 부재중앙에 이음부를 두고, 비부착 긴장재(15)를 이용하여 교축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독립부재로 되어 있다. 하중은 부재의 길이를 3등분한 점에 만능시험기로 재하한다.
도7은 도6b의 실험체에 대한 휨실험에 의한 교축방향 프리스트레스 힘의 크기 결정을 위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축방향으로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 응력의 크기가 25 kg/㎠이상이면 비록 부재간 이음부가 있더라도 이음부가 없는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균열 하중 이상의 하중수준에서 이음부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도8a는 종래의 정착장치의 구성도이고, 도8b는 비부착 긴장재(25)의 단면도이며,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에는 정착용 볼트(83)와 정착용 너트(82)를 이용하여 각 긴장재(25)별로 독립적으로 정착판을 이용 정착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정착할 경우 정착단에서의 응력집중으로 균열발생 및 균등한 응력의 도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광폭의 정착판(86)을 사용하여 정착단에서의 응력집중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비부착 긴장재(25)는 강연선(84)을 고무코딩(8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 비부착 긴장재(25)에 대한 그라우팅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도9a는 종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주형간 틈새(17)를 결합하는 방법이고,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주형간 틈새를 결합하는 방법이다.
도면에서 씰링테이프(7)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을 거치하게 되면, 바닥판의 무게로 인하여 씰링테이프(7)가 압착되어 소정의 틈새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형의 상부에 시멘트모르터 재질의 간격재(8)를 배치하여, 씰링테이프(7)의 압착을 방지하고, 소정의 틈새를 확보하도록 하여, 바닥판의 높이 조절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포켓의 단면도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과 주형(16)간의 결합은 바닥판 제작시 미리 설치된 전단포켓(6)을 주형 상부면에 배치된 전단연결재(5)위에 일치되게 거치하고, 전단포켓(6)에 채움재(9)를 충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전단포켓 하단부의 폭을 주형 상부면에 배치된 씰링테이프(7)의 순폭보다 작게함으로써, 바닥판(1)과 씰링테이프(7)의 밀착을 확보하고, 채움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바닥판사이의 이음부형상으로 바닥판면이 접하는 면에 凹형태를 갖도록 하며, 경사각을 약 60°, 전단키의 높이/깊이의 비를 약 1/4로 하여, 이음부에서의 균열저항능력을 개선하였다.
둘째,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약 25 kg/cm2이상 도입하면 바닥판간 이음부의 밀착성을 유지하여 일체화를 도모함으로, 이음부에서의 누수 및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정착단에서 광폭의 정착판을 사용하면 정착부에서의 응력집중으로 인한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등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이 가능하다.
세째, 비부착 긴장재를 사용함으로써, 그라우팅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하여 교량을 건설한 다음, 바닥판의 가설, 교체 및 재가설시 긴장재만 제거하면 상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네째, 전단포켓 하단부의 총폭을 주형 상부에 부착된 채움재 누출방지용 테이프의 순폭보다 작게함으로써, 바닥판과 주형간 밀착을 확보하고, 채움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모르터 재질의 간격재를 사용함으로써,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의 과도한 압착을 방지하여 소정의 틈새를 확보할 수 있다.
다섯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바닥판사이에 삼각형 쐐기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여, 채움재의 충진시 이음부상의 좁은 틈새에서 발생되는 병목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채움재의 충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콘크리트와 탄성계수, 열팽창계수 등의 기계적 성질이 유사한 무수축모르터를 채움재로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의 경계면에서 양호한 밀착을 유지할 수 있고, 경계면에서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온도변화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손실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다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바닥판을 긴장시키는 다수개의 긴장재를 포함하는 교량바닥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바닥판이 접하는 측면은 측면의 일정 부분의 중앙 부분이 소정의 경사각과 깊이 및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측면의 상,하부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에 전단키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경사각은 약 60°, 깊이/높이비는 약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간 이음부의 밀착성 유지 및 이음부에서의 누수 및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약 25㎏/㎠ 이상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는 강연선의 주위에 고무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바닥판이 접하는 측면의 중앙 부분과 대응되는 상부에는 채움재의 충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채움재 충진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긴장재는 각 측면마다 균등한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하나의 정착판을 통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긴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바닥판의 이음부를 상기 채움재로 충진시에 상기 채움재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음부의 하부 및 양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긴장재가 관통하는 쉬스관의 주변에 부착된 씰링테이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시스템.
KR1019980043606A 1998-10-19 1998-10-19 내부긴장재를갖는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을이용한교량바닥판시스템 KR10032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606A KR100323825B1 (ko) 1998-10-19 1998-10-19 내부긴장재를갖는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을이용한교량바닥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606A KR100323825B1 (ko) 1998-10-19 1998-10-19 내부긴장재를갖는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을이용한교량바닥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185A true KR20000026185A (ko) 2000-05-15
KR100323825B1 KR100323825B1 (ko) 2002-06-20

Family

ID=1955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606A KR100323825B1 (ko) 1998-10-19 1998-10-19 내부긴장재를갖는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을이용한교량바닥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8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064A (ko) * 2002-03-15 2003-09-22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조립식 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상부 구조물
KR100794444B1 (ko) * 2006-10-20 2008-01-16 원대연 복합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슬래브교의 시공법
KR20150136150A (ko) * 2014-05-26 2015-12-07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채움재
KR101588593B1 (ko) * 2015-03-25 2016-01-26 김근택 가교의 시공방법
KR102529660B1 (ko) * 2022-04-15 2023-05-10 김선곤 복개용 가시설 구조물 및 이의 공법
CN116695548A (zh) * 2023-08-04 2023-09-05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高架桥盖梁纵向分片窄缝连接结构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132B1 (ko) * 2001-05-17 2003-07-31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합성형 스틱박스교 시공방법
KR100903985B1 (ko) 2004-03-24 2009-06-25 주식회사 삼표 중공슬래브 전단키
KR100582563B1 (ko) 2004-08-24 2006-05-23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가설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KR100629905B1 (ko) 2004-08-24 2006-09-29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기존 교량의 보강 시공방법 및 이 보강 시공방법으로제작된 교량
KR100720997B1 (ko) * 2006-07-18 2007-05-2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720996B1 (ko) * 2006-07-18 2007-05-2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1211334B1 (ko) * 2010-08-04 2012-12-1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강재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 구조
KR101211332B1 (ko) * 2010-08-04 2012-12-1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sc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 구조
KR101640933B1 (ko) * 2015-06-09 2016-07-19 박재현 강합성 라멘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810203B1 (ko) * 2016-04-08 2017-12-18 (주)삼현피에프 강재거더 상부플랜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064A (ko) * 2002-03-15 2003-09-22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조립식 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상부 구조물
KR100794444B1 (ko) * 2006-10-20 2008-01-16 원대연 복합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슬래브교의 시공법
KR20150136150A (ko) * 2014-05-26 2015-12-07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채움재
KR101588593B1 (ko) * 2015-03-25 2016-01-26 김근택 가교의 시공방법
KR102529660B1 (ko) * 2022-04-15 2023-05-10 김선곤 복개용 가시설 구조물 및 이의 공법
CN116695548A (zh) * 2023-08-04 2023-09-05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高架桥盖梁纵向分片窄缝连接结构及施工方法
CN116695548B (zh) * 2023-08-04 2023-10-03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高架桥盖梁纵向分片窄缝连接结构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825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825B1 (ko) 내부긴장재를갖는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을이용한교량바닥판시스템
Shim et al. Design of shear connection in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bridges with precast decks
US9988775B1 (en) Concrete i-beam for bridge construction
KR100696441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US6694690B2 (en) Concrete constructions employing the use of a ductile strip
KR10202504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US6345403B1 (en) Method of bridge construction using concrete diaphragms
US11774335B2 (en) Experimental system of surrounding rock and lining structure under unequal surrounding pressure and water pressure
CN111042010A (zh) T梁桥拼宽构造及施工方法
CN112681117A (zh) 连接装置及桥梁墩柱与承台连接处的施工方法
KR10070405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CN109162204B (zh) 一种桥梁下部结构横向分块快速组拼的施工方法
CN110747903A (zh) 多孔框架桥及其拼装施工方法
KR101219788B1 (ko) 유압잭을 이용한 압축력 도입이 가능한 교량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1693767B1 (ko)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EP3543418B1 (en)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segments tendon ducts and resulting structure
CN114657887A (zh) 一种组合梁桥负弯矩区预制板抗裂结构的施工方法
JPH09273117A (ja) 床版の目地構造
CN112030728A (zh) 一种装配式梁桥预制桥墩连接系统及其施工方法
Alkhrdaji et al. Surface bonded FRP reinforcement for strengthening/repair of structural reinforced concrete
Sasaki Experimental study on precast deck connection using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Zobel et al. Repair of impact damaged prestressed bridge girder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and placement methods
CN110820512B (zh) 板梁横向连接装置及其施工方法
JP7452284B2 (ja) 床版取替工法
Yokota et al. Wheel running fatigue test of UHPFRC deck slab for highway b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