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5613A - 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5613A
KR20000025613A KR1019980042766A KR19980042766A KR20000025613A KR 20000025613 A KR20000025613 A KR 20000025613A KR 1019980042766 A KR1019980042766 A KR 1019980042766A KR 19980042766 A KR19980042766 A KR 19980042766A KR 20000025613 A KR20000025613 A KR 2000002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ime
silence
message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447B1 (ko
Inventor
이세웅
김복규
정만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44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0PC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화기 오동작으로 인한 비지 상태가 장기적으로 계속될 때 실시간 프로토콜(RTP ; Real-Time Protocol) 패킷에 포함된 음성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 묵음이 계속되면 호를 해제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호 해제를 위해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를 전송한 후 온 후크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오프 후크 상태이면 송수신 음성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묵음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측정한 송수신 음성 신호의 레벨이 묵음 기준 파워보다 모두 작으면 그 송수신 신호의 묵음 시간이 묵음 기준 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묵음 시간이 기준 묵음 시간을 경과하면 호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호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랜 환경의 패킷망에서 사용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폰은 랜(LAN) 환경의 패킷망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인식 단위로 하는 단말기로서, 기존의 전화망인 공중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인터넷 망을 연결시켜 주는 게이트웨이(Gate-Way) 시스템의 내부 단말기로도 사용된다.
인터넷 폰은 패킷망에서 동작하며 호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호 제어 패킷의 교환으로 단말기간의 호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호 해제 동작을 도1 의 상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 설정으로 통화가 이루어진 후 호를 해제하려는 경우 일측 단말기(IP Phone1)는 송수화기에 의해 후크 스위치가 눌리면 온 후크 상태가 되어 상대측 단말기(IP Phone2)로 디스코넥트 메시지(Disconnect Message)를 송신하고 상대측 단말기(IP Phone2)에서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Disconnect Acknowledge Message)가 수신되면 호 해제를 수행한다.
이 후, 설정된 호가 해제되면 단말기(IP Phone1)는 비지(BUSY) 상태에서 유휴(idle) 상태로 변화되어 다른 호를 설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대 단말기(IP Phone2)는 디스코넥트 메시지가 수신되어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의 송신한 후 호를 해제한다.
만일, 디스코넥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IP Phone2)의 경우 호 해제시 송수화기를 내려 놓기 전에는 비지 상태를 유지하여 다른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호 설정 요구를 받을 수 없다.
즉, 디스코넥트 메시지의 교환만으로 유휴(idle) 상태로 되지 않는 이유는 Call Transfer, Call Forwarding, Conference 등의 경우 디스코넥트 메시지 교환후에도 프로토콜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디스코넥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후크 스위치가 눌려지지 않으면 비지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어 새로운 호 설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송수화기 오동작으로 인한 비지 상태가 장기적으로 계속될 때 실시간 프로토콜(RTP ; Real-Time Protocol) 패킷에 포함된 음성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 묵음이 계속되면 호를 해제 또는 사용자에게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창안한 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호 해제시의 상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폰에 있어서, 호 설정 후 디스코넥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디스코넥트 메시지의 수신으로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를 전송한 후 온 후크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오프 후크 상태이면 송수신 신호의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측정한 송수신 신호의 파워 레벨이 묵음 기준 파워보다 작으면 그 송수신 신호의 묵음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송수신 신호의 묵음 시간이 묵음 기준 시간을 보다 길면 호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내장된 씨피유(CPU)가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디스코넥트 메시지가 수신되어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를 전송한 후 오프 후크 상태를 판단하면 오디오 코덱에서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실시간 프로토콜 패킷을 복호하여 송수신 음성 신호의 파워(P(out)),(P(in))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파워(P(out)), (P(in))가 묵음 기준 음성 파워(P(min))보다 모두 작을 때 그 묵음 시간(T(low-power))이 묵음 기준 시간(T(max))을 경과할 때 호 해제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시간 프로토콜 패킷에는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 오디오 코덱에서 부호화된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프로토콜 패킷을 복호하여 PCM 신호로 바꾼 후 D/A 변환기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에 출력하므로써 사용자의 귀에 음성이 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내장된 씨피유(CPU)에 PCM 데이터의 음성 신호를 레벨 측정에 이용하여 묵음을 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내장하며, 이 알고리즘은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를 송신후에도 비지 상태를 유지하여 일정 시간 묵음이 계속될 때는 송수화기의 오동작으로 간주하여 단말기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유휴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호 제어를 위한 동작은 도2 의 신호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호 설정에 의한 통화를 수행된 후 통화의 종료를 위해 상대측에서 디스코넥트 메시지를 수신되면 상대측으로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를 전송한 후 씨피유(CPU)는 온 후크 상태인지 판단한다.
이에 따라, 후크 스위치가 눌려져서 온 후크 상태이면 씨피유(CPU)는 다른 호 설정을 위해 유휴(idle) 상태로 전환시킨다.
만일,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 전송후에도 오프 후크 상태이면 씨피유(CPU)는 실시간 프로토콜 패킷에서 복호된 PCM 데이터로부터 송수신 음성의 파워 레벨(P(out)), (P(in))를 측정한다.
이때, 씨피유(CPU)는 수신 음성 파워(P(in))와 송신 음성 파워(P(out))가 묵음 기준 음성 파워(P(min))보다 작은지 각기 비교한다.
이에 따라, 씨피유(CPU)는 수신 음성 파워(P(in))와 송신 음성 파워(P(out))중 하나라도 묵음 기준 음성 파워(P(min))보다 크면 Call Transfer, Call Forwarding, Conference 등을 실행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송수신 음성의 레벨(P(out)),(P(in))을 다시 측정한다.
이 후, 수신 음성 파워(P(in))와 송신 음성 파워(P(out))가 모두 묵음 기준 음성 파워(P(min))보다 작으면 묵음 시간(T(low-power))을 계수하면서 묵음 기준 시간(T(max))을 경과하는지 비교, 판단하게 된다.
이때, 수신 음성 파워(P(in))와 송신 음성 파워(P(out))중 하나라도 묵음 기준 음성 파워(P(min))보다 커지게 되면 송수신 신호 묵음 시간(T(low-power))를 '0'으로 초기화한 후 다시 송수신 음성의 레벨(P(out)),(P(in))을 다시 측정하여 묵음 기준 음성 파워(P(min))와 비교한다.
이 후, 수신 음성 파워(P(in))와 송신 음성 파워(P(out))가 모두 묵음 기준 음성 파워(P(min))보다 작은 상태에서 송수신 신호 묵음 시간(T(low-power))이 묵음 기준 시간(T(max))을 경과하면 씨피유(CPU)는 송수화기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후크 스위치가 눌려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호를 해제하고 유휴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씨피유(CPU)는 스피커측으로 경보음을 발생시켜 송수화기의 오동작에 의해 후크 스위치가 오프 상태임을 사용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레벨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톤 검출 또는 음성 인식 등의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랜(LAN) 환경의 패킷망에서 사용되는 단말기에서 핸드셋 오동작시 호 설정을 해제할 수 있어 핸드셋이 잘못 놓인 경우에도 새로운 호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디스코넥트 메시지(Disconnect Message)의 교환으로 호 설정을 해제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패킷망에 사용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코넥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디스코넥트 메시지의 수신으로 디스코넥트 인식 메시지를 전송한 후 온 후크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오프 후크 상태이면 송수신 음성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묵음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측정한 송수신 음성 신호의 레벨이 묵음 기준 파워보다 모두 작으면 그 송수신 신호의 묵음 시간이 묵음 기준 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에서 묵음 시간이 기준 묵음 시간을 경과하면 호 설정을 해제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송수신 음성 신호의 레벨 측정은 실시간 프로토콜 패킷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복호한 PCM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호 설정을 해제하는 제5 단계에서 호 설정 해제 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제어 방법.
KR1019980042766A 1998-10-13 1998-10-13 호 제어 방법 KR10027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766A KR100273447B1 (ko) 1998-10-13 1998-10-13 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766A KR100273447B1 (ko) 1998-10-13 1998-10-13 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613A true KR20000025613A (ko) 2000-05-06
KR100273447B1 KR100273447B1 (ko) 2000-12-15

Family

ID=1955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766A KR100273447B1 (ko) 1998-10-13 1998-10-13 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19B1 (ko) * 2002-12-12 2005-05-1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종료 방법
KR101398998B1 (ko) * 2013-06-27 2014-05-27 주식회사 인터엠 비상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19B1 (ko) * 2002-12-12 2005-05-1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종료 방법
KR101398998B1 (ko) * 2013-06-27 2014-05-27 주식회사 인터엠 비상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3447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6829B2 (ja) コンピュータ・テレフォニー・インテグレーションアダプタ
KR100607140B1 (ko) 인터넷 전화기
KR100480722B1 (ko) 링백 톤 발생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및 그의 링백 톤전송 방법
JP2002247187A (ja) 電話回線網とコンピュ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の両方を利用できる電話システム
US20040136515A1 (en) Off-hold alert for telecommunications devices
KR101307751B1 (ko) mⅤoIP단말 퍼스트 콜 유실 방지시스템 및 방지 방법
US200400015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ulating ringback transparently
KR100273447B1 (ko) 호 제어 방법
JPWO2003081897A1 (ja) ファクシミリ通信可能なVoIP端末およびその通信方法
WO2009024066A1 (fr) Procédé de commande de détection d'activité vocale et dispositif de commande apparenté
JP3795825B2 (ja) ナンバーディスプレイ着信によりipアドレス登録を促すようにしたip通信システムおよび該ip通信システムを構成するゲートキーパーならびにip端末装置
JP2003124967A (ja) 中継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通信方法
JP2008546223A (ja) 信号を検出して携帯デバイスの呼び出しモードを変更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60176875A1 (en) IP telephone exchange and IP telephone terminal
KR20020011110A (ko) 호출 응답 판정 방법 및 장치
JP3903822B2 (ja) ボタン電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62268A (ja) Ip電話機
JP4154184B2 (ja) 音声端末及び音声通信方法
KR20040039548A (ko) 사설 교환기를 이용한 인터넷 폰 접속 시스템 및 방법
JP2000236356A (ja) 音声ゲートウェイ装置、通信回線確立中信号の通知方法、および通信回線確立中信号通知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323543B2 (ja) 音声端末
JP2006042175A (ja) 通話システム、通話方法、通話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863156B2 (ja) 回線切換装置
JP2004056775A (ja) VoIP電話システム
US8204178B1 (en) Method to prevent TTY/TDD probing and unwanted TTY/TDD tone generation on voice gatew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